Current Status of Aspirin User in Korean Diabetic Patients Using Korean Health Insurance Database

Post on 13-Nov-2023

0 views 0 download

transcript

당뇨병 제 30 권 제 5 호, 2006 원

- 363 -

당뇨병환자에서 아스피린 사용 황 동반질환:

건강보험자료 분석결과

한당뇨병학회 기 통계연구 Task Force Team*,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연구실

**,

가천의과 길병원 내분비내과1, 아주의 내분비 사내과학교실

2, 을지의 내과학교실

3, 포천 문의 내과학교실

4,

인제의 부산백병원 내분비 사내과5, 고려의 구로병원 내분비내과

6, 가톨릭의 내과학교실

7, 연세의 내과학교실

8,

이화여 의과 학 내분비내과9, 고려의 의학통계학교실

10, 연세원주의 내분비내과

11

박이병*,1․김

*,2․김재용

*,**․김혜

**․김화

*,**․민경완

*,3․박석원

*,4․박정

*,5

백세 *,6․손 식*,7․안철우*,8․오지 *,9․이선희**․이 *,10․정춘희*,11․최인정**․최경묵*,6

Current Status of Aspirin User in Korean Diabetic Patients Using Korean Health Insurance Database

Ie Byung Park*,1, Dae Jung Kim*,2, Jaiyong Kim*,**, Hyeyoung Kim**, Hwayoung Kim*,**, Kyung Wan Min*,3,

Seok Won Park*,4, Jeong Hyun Park*,5, Sei Hyun Baik*,6, Hyun Shik Son*,7, Chul Woo Ahn*,8, Jee-Young Oh*,9,

Sunhee Lee**, Juneyoung Lee*,10, Choon Hee Chung*,11, Injeoung Choi**, Kyung Mook Choi*,6

Task Force Team for Basic Statistical Study of Korean Diabetes Mellitus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epartment of Research,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Department of Endocrinology, Gachon University of Science and Medicine, Gil Medical Center1;

Department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2;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ulji University3;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4;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Inje College of Medicine5;

Division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6;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7;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8;

Division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9;

Department of Biostatist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10;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11

- Abstract -

Aims: ADA guidelines recommend aspirin for all patients with diabetes who have had a

prior CHD events as well as a primary prevention strategy among those with at least one

other risk factor.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regular aspirin intake among Korean

adults who diagnosed as diabetes.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spirin user in new-onset diabetes over

40 years based on health insurance claims submitted to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HIRA) of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01 through December 2003.

New onset diabetes defined as the first health insurance claim of antidiabetic drugs

submitted to HIRA for the three months (January to March 2001) that never submitted for

previous 6 years.

수일자: 2006년 8월 4일, 통과일자: 2006년 9월 28일, 책임 자: 최경묵, 고려 학교 의과 학 내분비내과

- 당뇨병 제 30 권 제 5 호, 2006 -

- 364 -

서 론

당뇨병환자에서 심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2~4배까지

증가한다1-4). 이것은 동맥경화증과 증에 의해 주로 일어

나며 소 의 기능이상이 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

다3,4). 아스피린은 강력한 수축제이며 소 응집제제

인 thromboxane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심 질환을 방하

거나 일 수 있다. 심 질환에 한 아스피린의 일차

방 혹은 이차 방효과가 입증됨5-8)에 따라 미국당뇨병학회

에서는 1997년부터 당뇨병환자에서 아스피린 사용을 권고

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 으며, 이후 약간의 수정을 거쳐

아스피린의 사용을 범 하게 권유하고 있다3).

제3차 미국국민건강 양조사 (1988-1994)에 따르면 당뇨

병환자의 27%에서 심 질환을 동반하고 있으며 71%에

서 한가지 이상 심 질환의 험인자를 갖고 있다고 조사

되었다9). Rolka 등이 이들 환자의 아스피린 사용력을 조사

한 결과 심 질환이 있는 경우 37%, 험인자 1가지 이

상을 갖고 있는 경우 13%만이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있어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것에 비해 매우 은 수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지 하 다. 한 Krein 등10)은 미국에서 부분의

당뇨병환자가 1가지 이상 심 질환의 험인자를 가지고

있어 잠재 인 아스피린 복용 상자이지만 규칙 으로 복

용하고 있는 사람은 20%에 불과하여 지속 인 국민 홍보

와 진료의사들을 한 아스피린 처방권유를 권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 다.

이에 연구자 등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DB를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년 동안 새로이 진단된 당뇨병환

자의 연간발생률과 특징을 조사하고 이들 환자에서의 아스

피린 사용실태와 동반질환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 다.

상 방법

1. 연구 상

1994년 12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6년간) 당뇨병 상병

코드 (E10, E11, E12, E13, E14)를 주상병 혹은 부상병으로

하여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1번도 여 신청한 이 없

는 40세 이상 환자를 상으로 하 다. 이들 환자 2001년

부터 2003년까지 매년 첫 3개월 동안 (1월부터 3월까지) 당

뇨병 상병코드를 주 는 부상병으로 최 여 청구된 환자

경구 당강하제나 인슐린을 사용한 당뇨병환자를 상으

로 하 으며, 분석년도 내에 사망한 사람은 제외하 다.

2. 방법

상환자의 3년간 아스피린 투여정도와 동반질환유무

치료경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 다. 아스피린 사용자의

정의는 상품명에 계없이 하루 75~499 mg를 6개월 이상

처방된 경우로 하 다. 고 압의 정의는 고 압 진단 (I10,

Results: The number of total new-onset diabetic patients was 30,014 in 2001, 29,819 in 2002,

and 32,061 in 2003. The incidence rate of diabetes over 40 years for 3 months in 2001,

2002 and 2003 were 0.172%, 0.167% and 0.18. Mean age of women who diagnosed

diabetes were significant higher than that of men in 2001 (women 59.2 ± 10.6 yrs, men

54.8 ± 9.8 yrs), in 2002 (women 59.5 ± 10.6 yrs, men 54.6 ± 9.3 yrs) and in 2003 (women

59.6 ± 10.7 yrs, men 54.7 ± 9.9 yrs) (p < 0.001).

The number of aspirin user increased from 2,065 (6.9%) in 2001, 2,638 (8.9%) in 2002 and

3,711 (11.6%) in 2003. 30.5% of new-onset diabetics in 2001 had hypertension, 12.4% of

them had hypercholesterolemia, 11.8% of them had cerebral infarct, 2.6% of them had

cerebral hemorrhage, 3.8% of them had coronary heart disease and, but, 55.6% of them

had not any CV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aspirin use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the number of aspirin us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cerebral infarct and coronary heart disease was higher than in patients without those

(hypertension [OR], 3.89 (95% CI, 3.52~4.31); hypercholesterolemia [OR], 2.16 (95% CI,

1.90~2.46; cerebral infarct [OR], 2.05 (95% CI, 1.82~2.30); coronary heart disease [OR], 9.41

(95% CI, 8.20~10.80), respectively). Coronary heart disease was the most important

associated factor of aspirin use.

Conclusions: We found significant underuse of aspirin therapy among our population

compared with that of America. Major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aspirin use in

diabetic patients. (J Kor Diabetes Assoc 30:363~371, 2006)

━━━━━━━━━━━━━━━━━━

Key Words: Aspirin,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 박이병 외 16인: 당뇨병환자에서 아스피린 사용현황 및 동반질환: 건강보험자료 분석결과 -

- 365 -

I11, I12, I13, I15)을 받고 해당 약제를 투여한 경우, 고지

증의 정의는 고지 증 진단 (E780)을 받고 해당 약제를

투여한 경우, 상동맥질환 (I20, I21, I22, I23, I24, I25),

뇌경색 (I63), 뇌출 (I60, I61, I62)은 약물투여나 처치에

계없이 해당 ICD-10 코드를 1년 이상 갖고 있는 경우로

하 다. 한 뇌경색과 뇌출 을 합쳐서 뇌 질환으로,

상동맥질환과 뇌 질환을 합쳐서 심 질환으로 정의하

다. 소득수 의 정도는 리변수로서 국민 체에 한

건강보험 보험료 수 의 비율로 평가하 다 (percentile).

3. 통계분석

모든 자료는 SAS 8.1 통계 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연도별 변화와 남녀 간 비교, 아스피린 사용유무에 따

른 변화는 t-test, chi-test, ANOVA를 이용하 고 아스피린

사용과 동반질환과의 연 성 분석을 해 로지스틱 다변량

회귀분석을 시행하 다. P 값이 0.05 미만일 때 유의하다고

단하 다.

결 과

1. 새롭게 진단된 당뇨병환자의 발생률

2001년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 동안 새롭게 진단된 당뇨

병환자는 30,014명으로 3개월간 발생률은 0.17% (30.014명

/40세 이상 연양인구 수 17,356,139.5.5명), 남자는 0.21%

(16,992명/40세 이상 남자 연양인구 수 8,161,100.5명), 여자

는 0.14% (13,022명/40세 이상 여자 연양인구 수 9,195,039

명)으로 남자의 당뇨병 발생률이 많았다.

2002년과 2003년의 3개월간 신규 당뇨병환자는 각각

29,819명 (남자 16,656명, 여자 13,163명), 32,061명 (남자

17,900명, 여자 14,161명)으로 2001년에 비해 증가하는 경

향을 보 다 (Table 1).

2. 상군의 연령에 따른 발생 정도

2001년 상환자 여자의 평균나이 (59.2 ± 10.6세)가

남자의 평균나이 (54.8 ± 9.8세)보다 많았으며, 2002년 (여

자 59.5 ± 10.6세, 남자 54.6 ± 9.3세)과 2003년 (여자 59.6

Table 1. Bas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Diabetes from 2001 to 2003

2001 year 2002 year 2003 year P value

Total No.

Sex (men, %)

30,014

56.6

29,819

55.9

32,061

55.8

Age (years)(%)

40~49

50~59

60~69

≥ 70

Mean age (± S.D.)(yrs)

28.8

32.3

26.7

12.3

56.7 ± 10.4

29.7

30.5

27.1

12.7

56.8 ± 10.5

29.1

30.1

27.7

13.1

56.9 ± 10.5

ns

Income (%)

Medicaid

0~20%

20~40%

41~60%

61~80%

81~100%

5.9

19.2

16.4

17.3

19.2

22.0

6.0

19.2

16.1

17.1

19.3

22.2

5.5

20.9

17.0

17.0

18.4

21.2

ns

DM treatment (%)

OHA

Insulin alone

OHA + insulin

95.4

1.5

3.1

95.9

0.8

3.2

95.8

0.9

3.3

< 0.001

Associated CVD (%)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Cerebral infract

Cerebral hemorrhage

Coronary disease

No associated CVD

30.5

10.4

11.8

11.8

3.8

55.5

33.2

12.4

10.4

11.6

3.8

52.6

36.2

13.2

9.6

10.6

4.1

50.0

< 0.001

< 0.001

< 0.001

< 0.001

ns

< 0.001

Aspirin user (n)(%) 2,065(6.9) 2,638(8.8) 3,711(11.6) < 0.001

* CVD, cardiovascular disease.

- 당뇨병 제 30 권 제 5 호, 2006 -

- 366 -

± 10.7세, 남자 54.7 ± 9.9세)에도 여자의 평균나이가 많았

다 (P < 0.001). 2001년, 2002년, 2003년 모든 연도에서 50

의 새로이 진단된 당뇨병환자의 수는 다른 연령 에 비해

높았으며 (P < 0.001), 70세 이후에서는 발생 정도가 격

히 감소하 다 (Table 1).

3. 소득수 에 따른 당뇨병 발생 정도

소득수 에 한 평가방법으로 건강보험 보험료 수 의

비율을 비교해보면 의료보험료가 높을수록 새로이 진단되는

당뇨병환자의 수가 증가하여 상 81~100 percentile군이

가장 높았으며, 의료보호 (medicaid) 환자군에서는 2001년

5.9%, 2002년 6.0%, 2003년 5.5%로 다른 군에 비해 낮았

다 (P < 0.001)(Table 1).

4. 상군의 당뇨병 치료방법

2001년 새롭게 진단된 환자의 부분이 경구 당강하제

만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95.4%), 인슐린 치료 (인슐린만

사용하거나 인슐린과 경구 당강하제를 병합하는 경우)를

하는 경우는 4.6%에 불과하 다. 이러한 경향은 2002년,

2003년도에도 비슷하 다 (Table 1).

5. 상군의 동반질환

상환자 1가지 이상의 고 압 약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는 2001년 9,149명 (30.5%), 2002년 9,894명 (33.2%),

2003년 11,611명 (36.2%)로 차 증가하 다 (P < 0.001).

고지 증 약을 1가지 이상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2001년

3,108명 (10.4%), 2002년 3,708명 (12.4%), 2003년 4,220

명 (13.2%)로 차 증가하 다 (P < 0.001). 뇌경색의 경우

2001년 3,554명 (11.8%), 2002년 3,116명 (10.5%), 2003년

3,075명 (9.6%)으로 차 감소하 으며, 뇌출 의 경우에도

차 감소하 다 (P < 0.001). 상동맥질환은 2001년

1,142명 (3.8%), 2002년 1,137명 (3.8%), 2003년 1,308명

(4.1%)으로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 압, 고지

증, 뇌경색, 뇌출 상동맥질환이 모두 없었던 경우는

16,674명 (55.6%)로 반수가 넘었다 (Table 1).

2001년 상군을 남녀로 구분하여 비교하면, 여자군이

남자군에 비해 고 압 (P < 0.001), 고지 증 (P < 0.001)

이 유의하게 많이 동반되었다. 그러나 뇌경색, 뇌출 질환,

상동맥질환은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2002년, 2003년에도 비슷하 다 (Table 2).

6. 상군의 아스피린 사용 정도

아스피린 사용자는 2001년 2,065명 (6.9%), 2002년

2,638명 (8.9%), 2003년 3,711명 (11.6%)로 매년 유의하게

증가하 다 (P < 0.001). 2001년도 아스피린 사용자의 평균

연령은 60.4 ± 9.6세로 비교 고령자에서의 처방이 되고

있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70세

이상에서 가장 높은 처방률을 보 다 (40 , 294명/8,633명

(3.4%); 50 , 625명/9,568명 (6.5%); 60 , 771명/8,008명

(9.6%); 70 이상, 375명/3,685명 (10.2%), P < 0.001).

Table 2. Comparison between Men and Women with Newly Diagnosed Diabetes in 2001

Men (16,992) Women (13,022) P value

Age (Years) (%)

40~49

50~59

60~69

≥ 70

Mean age (± S.D.) (yrs)

35.0

33.6

23.5

8.0

54.8 ± 9.8

20.6

30.6

31.0

17.9

59.2 ± 10.6 < 0.001

DM treatment (%)

OHA

Insulin alone

OHA + insulin

95.0

1.7

3.3

95.9

1.3

2.8

ns

Associated CVD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Cerebral infarct

Cerebral hemorrhage

Coronary disease

No associated CVD

26.7

8.9

12.0

13.4

3.8

59.4

34.9

12.2

11.7

12.9

3.9

50.9

< 0.001

< 0.001

ns

ns

ns

< 0.001

Aspirin user (n)(%) 1,045 (6.1) 1,065 (7.8) < 0.001

NS, not significant.

- 박이병 외 16인: 당뇨병환자에서 아스피린 사용현황 및 동반질환: 건강보험자료 분석결과 -

- 367 -

Table 3.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Aspirin User and Non-user in 2001

Aspirin user

(2,065)

Aspirin non-user

(27,949)P value

Sex

Men (%)

Women (%)

50.6

49.4

57.1

42.9

< 0.001

< 0.001

Mean age (S.D.)(yrs) 60.4 ± 9.6 56.4 ± 10.4 < 0.001

DM treatment (%)

OHA

Insulin alone

OHA + insulin

95.8

0.9

3.3

95.4

1.5

3.1

ns

Associated CVD (%)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Cerebral infarct

Cerebral hemorrhage

Coronary disease

No associated CVD

66.0

20.1

27.2

4.2

23.3

12.1

27.9

9.7

10.7

2.4

2.4

58.8

< 0.001

< 0.001

< 0.001

< 0.001

< 0.001

< 0.001

* CVD, cardiovascular disease.

Table 4.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Aspirin Use as a Dependent Variable in 2001

Characteristics O. R. 95% CI P value

Sex

Men 1.03 0.93~1.14 0.545

Women 1.0

Age

40~49 1.0

50~59 1.46 1.26~1.70 < 0.001

60~69 1.83 1.58~2.12 < 0.001

≥ 70 1.75 1.47~2.08 < 0.001

Type of DM therapy

OHA 1.0

Insulin 0.72 0.44~1.17 0.180

Both 0.92 0.69~1.20 0.498

Hypertension

No 1.0

Yes 3.90 3.52~4.31 < 0.001

Hypercholesterolemia

No 1.0

Yes 2.16 1.90~2.46 < 0.001

Cerebral infarct

No 1.0

Yes 2.05 1.82~2.30 < 0.001

Cerebral hemorrhage

No 1.0

Yes 1.02 0.79~1.31 0.89

Coronary disease

No 1.0

Yes 9.41 8.20~10.80 < 0.001

- 당뇨병 제 30 권 제 5 호, 2006 -

- 368 -

7. 아스피린 사용 유무에 따른 임상특징의 비교

아스피린 사용군의 평균연령이 비사용군에 비해 높았으며

(60.4 ± 9.6세 56.4 ± 10.4세, P < 0.001), 당뇨병 치료방법

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아스피린 사용자에서 고 압, 고지

증, 뇌경색 상동맥질환 동반율이 높았으며 (P < 0.001),

뇌출 의 빈도도 아스피린 사용자군이 더 높았다 (P <

0.001). 한 고 압, 고지 증, 뇌경색, 상동맥질환 없이

아스피린이 처방되는 경우는 12.1% (249명/2,065명) 다

(Table 3).

8. 아스피린 사용에 한 동반질환의 로지스틱 다변량

회귀분석

2001년 상군에서 아스피린 사용과 동반질환에 한 로

지스틱 다변량 회귀분석을 시행하 다. 남녀 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이 높은 경우 아스피린의 사용량이 증가하

다. 40 에 비해 50 1.46배 (95% CI: 1.26~1.70), 60

1.83배 (95% CI: 1.58~2.12)이었으며 70 에는 1.75배

(95% CI: 1.47~2.08)로 감소하 다. 한 고 압이 동반된

경우 3.89배 (95% CI: 3.53~4.31), 고지 증이 동반된 경우

2.16배 (95% CI: 1.90~2.46), 뇌경색증이 동반된 경우 2.05

배 (95% CI: 1.82~2.30) 으며 상동맥질환이 동반된 경

우는 9.41배 (95% CI: 8.20~10.80)로 아스피린 사용에 한

가장 요한 동반질환이었다. 뇌출 질환인 경우 동반 유무

에 따라 아스피린 사용의 차이가 없었다 (Table 4).

고 찰

본 연구를 통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DB를 이용한 분

석 결과, 2001년도 3개월 동안 40세 이상에서 새로이 진단

된 당뇨병환자의 발생률은 0.17% (30.014명/40세 이상 연

양인구 수 17,356,139.5.5명) (남자 0.21%, 여자 0.14%)이

었으며, 이들 환자의 6.9% (2,065명) 환자가 아스피린이 처

방되고 있었으며 연도가 지날수록 사용정도가 증가하 다.

이러한 아스피린 처방률은 미국10)의 경우보다 낮은 경향을

보 다. 한 상동맥질환이 동반될수록 (9.41배), 고 압

이 동반될수록 (3.89배), 고지 증이 동반될수록 (2.16배),

연령이 증가할수록 아스피린의 사용정도가 증가하 으며,

상동맥질환 (9.41배)이 아스피린 처방의 가장 요한 동

반질환이었다.

경제수 이 향상됨에 따라 세계 으로 당뇨병의 유병

률과 발생률이 격히 증가하고 있다. 1994년도 세계보건기

구 자료에 의하면 세계에 약 1억 1,040만명의 당뇨병환자

가 있으며, 2003년에는 1억 9,400만명으로 증가하여 20세

이상 성인의 5.1%가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2025년에는 세계 으로 3억 3,300만명, 20세 이상

성인의 6.3%로 증가할것으로 측되고 있으며11), 우리나라

도 2003년 20세 이상 성인의 6.4% (219만명)가 당뇨병을

가지고 있으며, 2025년에는 8.3% (320만명)으로 증가할 것

으로 보고하 다12). 한 내당능장애도 당뇨병환자 수만큼

증가 할 것으로 상된다. 우리나라의 당뇨병 연간발생률도

보고자마다 차이가 있지만 략 1.3~2.5%정도 추정되며13-15)

차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 첫 3

개월 동안의 당뇨병 발생률이 0.17% (30.014명/40세 이상

연양인구 수 17,356,139.5.5명), 남자는 0.21% (16,992명/40

세 이상 남자 연양인구 수 8,161,100.5명), 여자는 0.14%

(13,022명/40세 이상 여자 연양인구 수 9,195,039명)으로

남자의 당뇨병 발생률이 많았다. 3개월 동안의 발생 정도가

1년 동안 일정하다고 가정할 경우, 2001년 당뇨병환자의 연

간발생률은 0.69% (남자 0.83%, 여자 0.57%)이었으며,

2002년과 2003년의 연간발생률 추정치는 각각 0.67%,

0.71%로 비슷하 다. 본 연구방법이 보험심사자료만을 이

용한 으로 미루어 당뇨병환자의 상당수가 국민건강보험

의료제도권에서 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당뇨병 진단기 이 당뇨용제를

사용한 경우에만 한정되어 있어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으로

치료하고 있는 경우는 제외되어 실제의 발생률보다 낮게 측

정될 가능성이 많다.

2001년 상환자 여자의 평균나이 (59.2 ± 10.6세)가

남자의 평균나이 (54.8 ± 9.8세)보다 많았으며, 2002년 (여

자 59.5 ± 10.6세, 남자 54.6 ± 9.3세)과 2003년 (여자 59.6

± 10.7세, 남자 54.7 ± 9.9세)에도 여자의 평균나이가 많았

다 (P < 0.001). 2001년, 2002년, 2003년 모든 연도에서 50

의 발생률이 다른 연령 에 비해 높았으며 (P < 0.001),

70세 이후에서는 발생 정도가 격히 감소하 다.

새로이 발생된 당뇨병환자 남녀 간 임상 양상이 커다

란 차이를 보 는데, 남자군이 여자군에 비해 고 압 (P <

0.001)과 고지 증 (P < 0.001)이 게 동반되었다. 여자군

의 나이가 남자보다 5세 가량 높은 것이 주요 원인일 것으

로 생각되나 본 연구만으로는 남녀 간 차이가 생긴 이유에

해 밝힐 수는 없었다. 향후에 우리나라 남녀 인구구조 특

성 등을 고려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스피린 (아세틸살리실산)은 소 로스타 란딘 H

synthase-1 (cyclooxygenase-1, COX-1)과 2(cyclooxygenase-2,

COX-2)의 활성도를 아세틸화하여 비가역 으로 억제한다.

특히 COX-1의 활성도를 비가역 으로 억제함으로써 PGG2

와 thromboxane A2의 생성을 막아 결과 으로 소 응

집과 형성을 억제하여 액의 순환을 좋게 한다. 이러

한 작용 때문에 아스피린은 심증, 심근경색과 같은 상

동맥질환, 허 성 뇌졸 말 질환 등의 방과 재

발방지에 효과가 있어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약제 의

하나이다1-8).

- 박이병 외 16인: 당뇨병환자에서 아스피린 사용현황 및 동반질환: 건강보험자료 분석결과 -

- 369 -

아스피린의 2차 방 효과는 여러 문헌에서 증명된 바

있다8). Anti-Platelet Trialists 연구에서 심근경색증, 뇌졸 ,

일과성 허 발작, 심 질환의 병력 ( 수술, 성형

술, 심증 등)이 있는 남녀 환자들을 상으로 항 소 치

료를 시행한 145개 향 연구를 메타 분석한 결과,

질환의 발생이 25% 감소함을 보 으며 이러한 험의 경감

은 당뇨병환자에서도 유사하 다8). 이에 반하여 1차 방에

한 효과는 2차 방효과만큼 충분하지 않다. The US

Physicians' Health Study에서 남자 의사군을 약군으로 하

여 용량 아스피린에 한 1차 방 연구를 시행하 다5).

연구 결과, 치료군에서 심 질환 험도의 44%가 감소하

으며, 당뇨병환자만을 다시 분석한 결과 심근경색증의 험

도가 0.39로 나타났다.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에서 심 질환의 병력이 있는 1형, 2형 남녀 당뇨병환자

들을 상으로 한 1차, 2차 방연구에서도 비교 험도를

0.72로 낮출 수 있다고 보고하 으며6), The Hypertension

Optimal Treatment (HOT) Trial에서도 이와 유사한 효과가

보고되었다7).

이상과 같은 임상결과를 통하여 2006년 미국당뇨병학회

치료가이드라인에서는 아스피린 치료지침을 다음과 같이 정

하고 있다3). 심 질환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2차 방 목

으로 사용하고 1차 방목 으로는 40세 이상의 당뇨병

환자이거나 심 질환의 험인자를 1가지 이상 갖고 있는

경우, 즉 심 질환의 가족력, 고 압, 흡연, 이상지질 증,

알부민뇨 등이 동반된 경우 아스피린 사용을 권장하 다.

제3차 미국국민건강 양조사 (1988~1994)에 따르면 당

뇨병환자의 27%에서 심 질환을 동반하고 있으며 71%

에서 한가지 이상의 심 질환 험인자를 가지고 있다고

조사되었다9). 이러한 자료로 미루어 당뇨병 모든 환자에서

아스피린 사용이 필요할 가능성을 시사하 다. Rolka 등9)이

이들 환자의 아스피린 사용력을 조사한 결과 심 질환이

있는 경우 37%, 험인자 1가지 이상을 갖고 있는 경우

13%만이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있어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것에 비해 매우 은 수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지 하 다.

한 Krein 등10)은 미국에서의 당뇨병환자 부분이 1가지

이상의 심 질환 험인자를 갖고 있어 잠재 인 아스피

린 복용 상자이지만 규칙 으로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20%에 불과하다고 보고하 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도 우리나라 년이상에서 새로이

진단된 당뇨병환자의 6.9%만이 아스피린이 처방되고 있어

미국의 경우보다 낮은 경향을 보 다. 그러나 2002년 8.8%,

2003년 11.6%로 차 증가하여 2년 동안 68% 이상 증가되

었다. 당뇨병환자의 부분이 심 질환이 있거나 험인

자가 1개 이상 동반되어 있고 약제가격이 렴한 것을 고려

한다면 아스피린 처방을 극 으로 유도할 필요성이 있으

며, 이를 한 국민 홍보와 임상진료의사에 한 홍보교

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아스피린 사용자의 동반질환을 분석하기

하여 로지스틱 다변량 회귀분석을 시행하 다. 남녀 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이 높은 경우 아스피린의 사용량이

증가하 다. 40 에 비해 50 1.46배, 60 1.83배, 70 에

는 1.75배 으며 70 이후 사망률이 높은 것을 고려한다면

연령이 높을수록 아스피린의 사용정도가 증가된다고 생각된

다. 한 고 압이 동반된 경우 3.89배, 고지 증이 동반된

경우 2.16배, 뇌경색증이 동반된 경우 2.05배 으며 상동

맥질환이 동반된 경우는 9.41배로 아스피린 사용에 한 가

장 강력한 동반질환이었다. 한 고 압, 고지 증, 뇌경색,

상동맥질환 없이도 아스피린이 처방되는 경우가 12.1%에

달해 다른 원인에 의해 아스피린이 처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스피린 사용군의 뇌출 빈도가 비사용군보다 높

게 나왔으나 아스피린 투여 후 생긴 것인지는 본 연구방법

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최근에 아스피린의 치료효과가 서양사람과 일본사람이

다를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16). 과거에

발표된 자료를 이용하여 일본 년나이에서의 상동맥질

환, 출 성뇌질환 장 출 등의 발병률을 조사하여

아스피린 사용에 한 이익과 손해의 득실을 비교하고자 하

다. 연구결과 5년간의 상동맥질환 유병률은 0.8%로, 미

국의 3%에 비해 낮은 반면 출 성뇌질환은 0.5%로, 미국의

0.2%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아스피린 방요법의 기

요소인 5년간 상동맥질환 유병률에 한 역치를 일본의

경우 더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 한 이러한 기 은 미

국보다 상동맥질환이 은 나라에 용될 수 있으며 장

출 이나 출 성뇌질환의 발생이 높은 나라의 경우 아스

피린 사용에 있어 더욱 신 해야 한다고 강조하 다17). 이

러한 연구결과는 일본과 인 한 우리나라에게 시사하는 바

가 크며, 한국실정에 맞는 아스피린 사용 가이드라인을 만

들기 한 세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 으로는 상병코드와 약제 사용만을 가지

고 분석하 고 심 질환 험인자인 흡연, 비만, 심

가족력 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

만으로 리하고 있는 당뇨병환자가 상군에서 제외되어

추후 이를 보완할 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DB가 갖는 자료의 충실성과 실제

의 임상자료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다. 그러나 본 연구

이 2005년 3월에 보고한 바에 의하면, 진단코드의 타당도

분석결과 당뇨병 입원에피소드의 진단코드 일치도는 87.2%,

당뇨병 외래개시 환자의 진단코드 일치도는 72.3%로 확인

되어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이라고 생각된다18). 한 고

압이나 고지 증 약제의 경우 보험 여 신청된 모든 건수를

확인할 수 있다는 도 보험심사자료가 갖는 장 이라고 생

각된다. 다만 상동맥질환, 뇌 질환의 상병코드 정확도

- 당뇨병 제 30 권 제 5 호, 2006 -

- 370 -

에 해서는 추후 연구를 통하여 타당도 정도를 확인해야

하며 심 질환의 험인자인 알부민뇨증, 심 질환 가

족력, 비만 등 건강보험심사평가원 DB에서 확인할 수 없는

험인자에 한 세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에서는 아스피린 외에도 다른 항 소 제제를 사용

하는 경우가 흔하므로 본 연구만으로 항 소 제제의 사용

정도를 악할 수는 없다. 그러나 오랜기간 동안의 연구결

과를 토 로 심 질환에 한 방효과가 증명된 만큼 항

소 제제의 표약물인 아스피린 사용정도를 알아보는 것

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국가 인 자

료를 이용한 분석자료이므로 국가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결론 으로,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년 이상에서 새로

이 진단된 당뇨병환자의 아스피린 사용 정도는 서구에 비해

낮았다. 보험심사자료의 정확도를 고려하여 실제 임상에서

의 아스피린 처방 경향을 평가할 수 있는 추가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당뇨병환자의 부분이 심

질환이 있거나 험인자가 1개 이상 동반되어 있고 아스

피린의 약제가격이 렴한 것을 고려한다면 아스피린 처방

을 극 으로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요 약

연구배경: 당뇨병환자의 주요 사망원인인 심 질환의

방을 하여 아스피린 사용이 범 하게 권유되고 있다.

연구자 등은 우리나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DB자료를 이

용하여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새로이 진단된 당뇨병환자

의 아스피린 사용정도와 동반질환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

다.

방법: 1994년 12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6년간) 당뇨병

상병코드 (E10, E11,E12, E13, E14)를 주상병 혹은 부상병

으로 하여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1번도 여 신청한

이 없는 40세 이상 환자를 상으로 하 다. 이들 환자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매년 첫 3개월 동안 (1월부터 3월

까지) 당뇨병 상병코드를 주 는 부상병으로 최 여 청

구된 환자 경구 당강하제나 인슐린을 사용한 당뇨병환

자로 하 다.

결과: 1) 2001년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 동안 새롭게 진

단된 당뇨병환자는 30,014명으로 3개월간 발생률은 0.17%

(남자 0.21%, 여자는 0.14%)로 남자의 당뇨병 발생률이 많

았다. 2002년과 2003년의 3개월간 신규 당뇨병환자는 각각

29,819명, 32,061명으로 2001년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 다.

2) 상환자 고 압이 동반된 경우는 2001년 30.5%,

2002년 33.2%, 2003년 36.2%로 차 증가하 다 (P < 0.001).

고지 증이 동반된 경우도 2001년 10.4%, 2002년 12.4%,

2003년 13.2%로 차 증가하 다 (P < 0.001). 뇌경색의

경우 2001년 11.8%, 2002년 10.5%, 2003년 9.6%으로

차 감소하 으며, 뇌출 의 경우에도 차 감소하 다 (P <

0.001). 상동맥질환은 2001년 3.8%, 2002년 3.8%, 2003

년 4.1%으로 연도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 압, 고지

증, 뇌경색, 뇌출 상동맥질환이 모두 없었던 경우는

55.6% 반수가 넘었다.

3) 아스피린 사용자는 2001년 2,065명 (6.9%), 2002년

2,638명 (8.9%), 2003년 3,711명 (11.6%)로 매년 유의하게

증가하 다 (P < 0.001).

4) 아스피린 사용군의 평균연령이 비사용군에 비해 높았

으며 (P < 0.001), 당뇨병 치료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아스피린 사용자에서 고 압, 고지 증, 뇌경색 상동맥

질환 동반율이 높았으며 (P < 0.001), 고 압, 고지 증, 뇌

경색, 상동맥질환 없이 아스피린이 처방되는 경우는

12.1% (249명/2,065명)이었다.

5) 2001년 상군에서 아스피린 사용과 동반질환에 한

로지스틱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남녀 간의 차이는 없었으

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아스피린 사용이 증가하 다. 고 압

이 동반된 경우 3.89배, 고지 증이 동반된 경우 2.16배, 뇌

경색증이 동반된 경우 2.05배 으며 상동맥질환이 동반된

경우는 9.41배로 아스피린 사용에 한 가장 요한 동반질

환이었다.

결론: 당뇨병환자의 아스피린 처방건수는 외국에 비해 낮

은 경향을 보 으며 (2001년 6.9%), 상동맥질환이 동반될

수록 (9.41배), 고 압이 동반될수록 (3.89배), 고지 증이

동반될수록 (2.16배) 연령이 증가할수록 아스피린의 사용정

도가 증가하 다. 보험심사자료의 정확도를 고려하여 실제

임상에서의 아스피린 처방 경향을 평가할 수 있는 추가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Stamler J, Vaccaro O, Neaton JD, Wentworth D:

Diabetes, other risk factors, and 12-yr cardiovascular

mortality for men screened in the Multiple Risk

Factor Intervention Trial. Diabetes Care 16:434-44,

1993

2. Haffner SM, Lehto S, Ronnemaa T, Pyorala K,

Laakso M: Mortality from coronary heart disease in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and in nondiabetic

subjects with and without prior myocardial infarction.

N Engl J Med 339:229-34, 1998

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06. Diabetes Care S4-42, 2006.

4. Colwell JA, Nesto RW: The platelet in diabetes: focus

on prevention of ischemic events. Diabetes Care

- 박이병 외 16인: 당뇨병환자에서 아스피린 사용현황 및 동반질환: 건강보험자료 분석결과 -

- 371 -

26:2181-8, 2003

5.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Aspirin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events:

recommendation and rationale. Ann Intern Med

136:157-60, 2002

6. The ETDRS Investigators: Aspirin effects on mortality

and morbidity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port 14,

JAMA 268:1292-300, 1992

7. Hansson L, Zanchetti A, Carruthers SG, Dahlof B,

Elmfeldt D, Julius S, Menard J, Rahn KH, Wedel H,

Westerling S: Effects of intensive blood-pressure

lowering and low-dose aspirin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principal results of the Hypertension

Optimal Treatment (HOT) randomised trial: HOT

study group. Lancet 351:1755-62, 1998

8. Antiplatelet Trialists' Collaboration: Collaborative

overview of randomised trials of antiplatelet

therapy-I. Prevention of death,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by prolonged antiplatelet therapy in

various categories of patients. BMJ 308:81-106, 1994

9. Rolka DB, Fagot-Campagna A, Narayan KM: Aspirin

use among adults with diabetes: estimate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abetes Care 24:197-201, 2001

10. Krein SL, Vijan S, Pogach LM, Hogan MM, Kerr

EA: Aspirin Use and Counseling About Aspirin

Among Patients With Diabetes. Diabetes Care

25:965-70, 2002

11.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Diabetes Atlas. 2nd

ed. p. 17-71, Belgium,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3

12. Kim SM, Lee JS, Lee J, Na JK, Han JH, Yoon DK,

Baik SH, Choi DS, Choi KM: Prevalence of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in Korea: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1. Diabetes

Care 29:226-31, 2006

13. 오지 , 이혜진, 홍은순, 홍 선, 성연아, 이선희: 서울

목동 아 트지역에서 당뇨병의 유병률과 발생률. 당뇨

병 27:73-83, 2003

14. 이계원, 김동진, 박주리, 류혜진, 박수연, 권순범, 류옥

, 박상수, 김희 , 서지아, 오정헌, 김신곤, 김난희, 최

경묵, 백세 , 최동섭: 서울 서남부 지역 60세 이상 노

인 인구에서의 3년간 당뇨병 유병률. 한내과학회지

67:607-14, 2004

15. Shin CS, Lee HK, Koh C-S, Kim YI, Shin YS, Yoo

KY, Paik HY, Park YS, Yang BG: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NIDDM in Yonchon County,

Korea. Diabetes Care 20:1842-6, 1997

16. Morimoto T, Fukui T, Lee TH, Matsui K: Application

of U.S. guidelines in other countries: aspirin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events in Japan.

Am J Med 117:459-68, 2004

17. Rodondi N, Bauer DC: Assessing the risk/benefit

profile before recommending aspirin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events. Am J Med

117:528-30, 2004.

18. 김재용: 건강보험자료를 활용한 당뇨병 발생 의료이

용 황분석. 한당뇨병학회·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동

심포지엄: Diabetes in Korea 2005,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