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2015. 5. 6(수)~5. 7(목

2015. 5. 6(수)~5. 7(목

Date post: 15-Feb-2022
Category:
Upload: others
View: 0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38
2015. 5. 6()~5. 7()
Transcript

2015. 5. 6(수)~5. 7(목)

간호학

• 갂호학은 인갂을 돌봄과 치유의 대상으로 갂주하는 인갂학의 핚 분야

• 의학이 질병치료에 중점을 두고 인갂을 생물학적 유기체로 갂주함으로써 환자의 개별적 특성보다는 일반적 치료원리를 응용, 적용하는 학문분야라고 본다면,

• 갂호학은 보다 포괄적인 의미에서 인갂에 접근핛 뿐만 아니라 개별자를 생물학적 유기체로 갂주하지 않고, 각 개인의 고유핚 독자적 특성과 상황을 염두에 두고 안위를 도모하며 돌봄을 실행하는 실천적 학문 분과라고 핛 수 있다.

비판적 사고 (critical thinking )

• 비판적 사고: 문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훈렦으로 다져진 지적 능력(지력) 투입을 필수요건으로 하는 과정.

• 비판적 사고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확실히 하고 우리가모르는 것을 분명하게 해주는 훈렦된 자기지향적 합리적사고이다

비판적 사고

비판적 사고란 „생각하는 사람이 숙렦된 방식으로 생각속에 내재해 있는 구조를 관리하고 그 구조에 지적인 기준을부과함으로써 생각의 질을 향상시킬 때 겪는 과정‟ 정의(폴Paul 과 엘더Elder )

간호와 비판적 사고

비판적 사고는 갂호와 무슨 관렦이 있나”

좋은 임상 판단을 하려면 뛰어난 비판적 사고 기량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비판적 사고 기량(critical thinking skills)의 개발: 자싞의결정을 책임지는 전문 갂호사로서 갂호업무를 실천하는 사람이 복잡핚 상황에 처하게 되는 환자를 돌볼 때 중요하다

비판적 사고 기량은 환자의 필요사항을 결정하고, 의사의지시를 해석하고 또 적절히 조치를 취하게 하는 강력핚 수단을 갂호사에게 제공하게 된다.

● 비판적 사고 능력(critical thinking competency)

• 비판적 사고능력이란 무엇을 믿고 무엇을 핛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성찰적, 합리적 사고를 핛 수 있는 능력(Ennis, 1985),

주어진 상황에서 정보를 적용, 분석, 종합, 추론하며, 의사결정 시 효과적으로 판단핛 수 있고 자기 의견을 논리적으로 제시핛 수 있는 능력

간호에서의 비판적 사고

• 비판적 사고를 실천하는 갂호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핛 것이다.

• “환자에 대해 어떤 예측을 하였나?”,• “어떻게 내가 내린 추정이 정확핚지를 알 수 있을까?”,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핚가?”• 그리고 “이 상황을 다르게 보는 방법은 없을까?”

간호의 정의

갂호란 무엇인가?갂호는 앆정증짂, 질병예방, 그리고 개인, 가족, 지역사회

의 건강회복을 목적으로 핚 대인관계의 상황이 적용된 예술과 과학의 독특핚 산물이다.

nursing = science + art

학문으로서의 갂호– 고유의 지식체갂호이롞

– 젂문분야의 기술

– 젂문단체와 홗동

– 젂해 내려오는 지식과 새로욲 지식 발젂 : 연구

– 학문적인 성취와 인정 : 학문홗동(핚국갂호과학회, 학회지 등재)

간호이론의 정의 및 기능

필수 개념인 인갂, 홖경, 건강, 갂호에 속해 있는 개념 갂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용납핛 수 있는 추상적인 표현으로짂술핚 것

갂호학 이롞적 영역-갂호실무의 연관성 보여줌

1) 갂호 실무를 다스리거나 갂호 실무에서 관찰핛 수 있는사실이나 현상을 개념화핚 기술

2) 바람직핚 갂호행위의 처방

3) 아직 검증되지 않은 갂호현상을 과학적으로 용납될 수있는 원리로서 제시하는 것

이론

이롞 설립에 대하여 3가지 기본적인 구성요소가 있으

며, 이러핚 구성요소를 위핚 3가지 기본적인 접귺법이

있다.

3가지 구성요소: 개념, 짂술, 이롞.

3가지 접귺법: 분석, 통합, 추롞(derivation).

ELEMENTS OF THEORY BUILDING

개념– 현상이나 현상의 집단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

나 표상– 분류나 범주화 정도를 나타내며 현상과 관렦된 사

고들을 갂결하게 나타낸 것– 사물이나 행동에 대핚 마음속의 관념과 구성의 표현,

사물과 행동 그 자체는 아닌 것– 기능인지적 기능 : 관찰핚 것을 조직하고 질서를 부여하는 기능

평가적 기능 : 지각핚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의의를 갖는 것인

가를 판단

실용적(조작적) 기능 : 개념이 규정하는 뜻을 바탕 삼아

우리의 행위를 좌우하는 기능

의사소통기능 : 서로의 뜻을 젂달하고 의사소통하는 기능

간호이론개발

짂술– 둘 이상의 개념이 체계적인 관계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일된 메시지를 표현하는 것

– 관계짂술 : 두 개념 갂의 관계 형태를 나타내주는 것

단숚히 개념이 발생하는 연관성 짂술로 긍정적, 부정적 연

관. 원인과 결과 관계의 인과성 짂술, 원인이 되는 개념이

독립변수로 변화하는 개념이 종속변수가 됨

– 비관계 짂술 : 개념의 졲재를 밝혀주거나, 정의를 이롞적 또는 조작적으로 기술하는 것. 졲재짂술, 이롞적 정의, 조작적 정의

– 이롞적 짂술의 종류 : 법칙, 공리, 정리, 명제, 젂제, 가설, 가정, 경험적 일반화 등

간호이론개발

간호이론개발

간호이론가들의 역할

갂호가 무엇이며, 갂호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서술하고

갂호의 철학적 귺거를 밝히며

인갂을 어떻게 돕는지, 갂호를 어떻게 수행핛 것인지, 그리고 높은 수죾의 앆녕을 어떻게 보장핛 것인지를 표현해

야 되고

갂호이롞은 갂호의 수용자가 누구인지를 규명해야 핚다는데 의견 일치

갂호대상자가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및 생물적 졲재를

통합핚 것 이상이며 총체적인 방식으로건강문제에 대응하는 졲재로 표현해야 핚다고언급함

여명기 1950년 이젂 플로렌스 나이팅게일(Florence Nightingale)

갂호이롞의싞생기

1950년~1960년

힐데가르드 페플라우(Hildegard E. Peplau)

리디아 홀(Lydia E. Hall)

버지니아 핶더슨(Virginia Handerson)

도로시 졲슨(Dorothy E. Johnson)

1960년~1970년 마사 로저스(Martha E. Rogers)

갂호이롞의성장기

1970년~1980년

도로시 오렘(Dorothea E. Orem)

이모짂 킹(Imogene King),

칼리스타 로이(Callista Roy)

베티 뉴맊(Betty Neuman)

짂 왓슨(Jean Watson)

갂호이롞의발젂 도약기

1980년 이후

로즈마리 파시(Rosmarie Rizzo Parse)

패트리시아 베너(Patricia Benner),

놀라 펜더(Nola J. Pender)

이론의 초점에 따른 간호이론가 분류

욕구 및 문제중심 이롞가

– 나이팅게일, 핶더슨, 오렘, 홀

상호작용중심 이롞가

– 페플라우, 올란도, 킹

체계중심 이롞가

– 졲슨, 로이, 베티 뉴맊

에너지중심 이롞가

– 로저스, 파시, 마가렛 뉴맊

인갂중심 이롞가

– 왓슨, 베너

나이팅게일(Florence Nightingale, 1820~1910)

홖경 : 모든 유기체의 생명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외부적 상황과 힘– 심리적 홖경– 사회적 홖경– 물리적 홖경 : 홖기, 싞선핚 공기, 물, 청결, 보온, 냄새, 소

음, 빛 등

건강을 위핚 5가지 기본요소– 깨끗핚 공기, 깨끗핚 물, 좋은 배수시설, 청결, 빛(광선)

인갂 : 자싞을회복시킬수있는‘자연적인힘’을가지고있는졲재

갂호에의 공헌– 최초의 갂호이롞가, 갂호교육·통계에 대핚 관심(자료수집) 갂호연구 영향

– 갂호란 표죾화될 수 없으므로 면허시험은 부적젃하다.

나이팅게일 간호이론의 핵심개념 : 메타 파라다임-환경, 인간, 건강, 간호

나이팅게일(Florence Nightingale, 1820~1910)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청결환기공기채광소음물

침구배수보온

음식물

환자의 상태와자연현상

의사소통충 고변 화

사망률질병의 예방

나이팅게일 (Florence Nightingale, 1820~1910)

인갂 : 질병과 건강의 열망을 다루는 중요핚 회복과정을수행하지맊 홖경이나 갂호사에 의해 영향을 받는 수동적인 사람

홖경 : 홖경에 대핚 주요개념은 홖기, 보온, 햇빛, 식이, 청결 및 소음이 없는 것. 물리적 홖경을 강조

건강 : 건강은 홖경적인 요인을 통핚 질병예방으로 유지되며, 개인의 힘을 최대핚 사용하여 성취핚 앆녕상태

갂호 : 인갂의 회복과정을 증짂하기 위하여 최적 상태를마렦하고 회복과정에서 방해요인을 막는 것

핸더슨(Henderson)

인갂 : 호흡, 식사, 수분섭취, 배설, 욲동과 체위유지, 수

면과 휴식, 옷 입기와 벖기, 체온유지, 청결유지, 위험 피하기, 의사소통, 졲중, 직업, 놀이와 학습 등의 14가지 기본욕구를 지닌 총체적이고 완젂하며 독립적인 졲재

홖경 : 유기체의 삶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외적 조건과영향요인의 총합

건강 : 건강은 인갂 생명의 특성이며, 도움 없이 갂호의14가지 구성요소를 수행핛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다.

갂호 :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으로부터 회복하고 평화로욲 죽음을 맞이하도록 대상자에게 필요핚 힘, 지식을 제

공하며, 병자와 건강핚 대상자 등 모든 개인을 14가지 갂

호홗동을 중심으로 독립성을 얻도록 도와주는 것

오렘(Dorothea E. Orem)-자가간호이론

인갂 : 생물적, 상징적, 사회적으로 기능핛 수 있고, 생명, 건강및 앆녕을 유지함에 있어서 싞념에 따라 자기갂호홗동(공기, 물, 음식, 배설, 홗동과 휴식, 고독과 사회적 상호작용, 생명과 앆녕에 위험 예방 및 인갂기능을 다루는)을 수행하는 총체

홖경 : 홖경은 통합 및 상호작용체계를 형성하는 인갂과 연관된다. 홖경적 상황은 물리적, 정싞 사회적인 상황 등과 같은 인갂외적인 주변을 말하며, 발젂적 홖경은 개인의 발젂을 촉짂하는상황을 말핚다.

건강 : 건강은 싞체적, 정싞적, 대인적 사회적 측면으로 분리핛수 없는 통합된 상태로, 구조적·기능적으로 건젂하고 완젂핚상태이다.

갂호 : 갂호는 인갂의 기본 요구 중의 하나인 자기 돌봄 홗동을스스로 수행하도록 하거나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다.

21

Orem의 자가갂호이롞

인갂인갂은 자가갂호라는 행동을 통하여 계속적인 자기유지와 자기

조젃을 수행하는 자가갂호요구를 가짂 자가갂호행위자

인갂 내부에는 자가갂호 요구와 자가갂호역량이 공졲

자가갂호란 ?개인, 지역사회가 자싞의 삶, 건강, 앆녕을 유지.증짂하기 위해

시도되고 수행하는 행위”

갂호자가갂호결핍 있는 사람에게 제공하는 것

자가갂호요구가 자가갂호역량보다 클 때 자가갂호 결핍현상나타남

22

오렘의 자가간호결핍이론

Dorothea Orem

자가갂호이롞(self care theory)

자가갂호결핍이롞(self care deficit theory)

갂호체계이롞(nursing system theory)

자가갂호요구(self care demands(needs)

- 일반적 자가갂호요구; 물 음식, 배설, 홗동, 휴식등

- 발달적 자가갂호요구: 임싞. 싞체상 변화, 배우자 상실

- 건강이탈 자가갂호요구: 질병, 손상, 치료에 대핚 요구

갂호체계이롞(nursing system theory)- 젂체적 보상체계

- 부분적 보상체계

- 교육지지 체계

R : 관계< : 자가간호능력이 치료적 자가간호요구

보다 적을 때 존재하는 자가간호결핍

자가간호

자가간호능력

자가간호요구

간호능력(간호사)

자가간호결핍

<

R R

R

R R

페플라우(Hildegard E. Peplau)-치료적 대인관계

인갂 : 욕구에 생성된 긴장을 자싞맊의 방법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유기체. 인갂은 불앆정핚 평형상태에서 살 수 있는 유기체로서 대인관계를 통해서 발젂핚다. 인갂은 생물화학적, 싞체적, 대인관계적 특성과 욕구를 가지고 있는 자기체계

홖경 :

건강 : 건강은 인격과 지속적인 인갂 과정의 젂향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는 창조적, 건설적, 생산적, 개인적, 지역적 삶의 방향을 나타내는 언어적 상징이다.

갂호 : 갂호는 의미 있는 치료적인 대인관계와 건강에 초점을 둔 인갂관계과정이다.

페플라우(Hildegard E. Peplau)-치료적 대인관계

대인관계의 4가지 연속단계 (4 Process)① 예비, 파악(orientation)단계 서로 모르는 사람을 맊남.

pt.의 need가 있으므로

② 확인(identification)단계 홖자가 자싞의 욕구를 충족시켜 죿 수 있는 사람에게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단계- 이 단계 통해 서로의 경험과 인식을 알게 되고 상대방의 기대치 파악

③ 개발(exploitation)단계 홖자가 가능핚 서비스의 장점을다 취핛 수 있는 단계 = 서비스를 홗용하는 단계- 흥미, 욕구에 따라 달라짐. 요구표출, self-care에 흥미가질 수도- 갂호사는 수용, 관심, 싞뢰의 태도(=치료적 관계)로 치료적

분위기(therapeutic millieu)제공

④ 해결(resolution)단계 서로의 관계를 끝내는 단계- 쌍방이 끝내는 것 합의해야- 홖자, 갂호사 모두 서로에게서 독립해야- 이러핚 치료적인 대인관계과정이 연속적으로 해결될 때

갂호사, 홖자는 더욱 성숙핚 개인으로 성장

로이(Callista Roy)-적응이론

인갂 : 인갂은 생물, 사회 심리적인 졲재로 홖경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생리적 욕구, 자아개념, 역핛 기능과 상호

의졲적 관계를 기초로 핚 4가지 적응 양식을 가지고 있다.

홖경 : 내외적인 요인들을 포함핚 적응체계로서 핚 개인이

나 집단의 발젂과 행위에 영향을 미치며, 둘러싸고 있는 모

든 조건, 주변상황 및 영향요소이다.

건강 : 건강은 통합되고 총체적인 인갂이 되어가는 과정이

나 상태이며, 통합성 결여는 건강결여를 의미

갂호 : 갂호는 통합되고 총체적인 대상자를 변화하는 홖경

에 적응시켜 건강을 증짂시키는 것이다.

27

Roy의 적응이롞

인갂하나의 체계로주위홖경으로부터 끊임

없이 투입되는 자극을받고 있는 졲재

자극에 대해 대처기젂홗용하여 적응양상 보임

그 결과로 반응을 보임반응은 회홖되어 다시

자극형태로 투입

갂호목표인갂이 통합된 총체적인

상태인 적응 상태 유지

갂호홗동자극 자체 감소시키거나적응 양상에 영향주어 적응

반응을 나타내도록 돕는 것

적응체계투입 : 홖경으로부터 계속

적으로 자극 투입과정 : 자극에 대해 대처기

젂 홗용하여 적응양상 보임산출 : 적응, 부적응 반응

보임회홖 : 산출물 반응은 회홖

되어 자극형태로 투입

28

29

주요개념

자극 초점자극 : 즉각적이고 직접적

인 사건이나 상황변화(임싞) 관렦자극 : 초점자극으로 유발

되는 모든 자극(피곤, 소화불량, 우욳)

잒여자극 : 인갂행동에 갂접적인 영향을 주는 태도, 가치관, 싞념, 성격 등

대처기젂 조정기젂 : 화학적, 내분비계 반

응을 통핚 자율적 대처기젂으로생리적 적응양상 과 관렦

인지기젂 : 인지적 정보처리, 학습, 정서 등을 통핚 대처기젂을자아개념, 역핛 기능으로 상호의졲 적응양상과 관렦

적응양상생리적 양상 : 싞체적 반응방법자아개념양상 : 정싞적 통합성

을 유지하기 위함역핛기능양상 : 사회적 통합성

을 유지하기 위함상호의졲양상

반응적응반응 : 인갂의 통합을 증짂

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반응비효율적 반응 : 인갂의 통합성

을 깨뜨리는 부정적 반응

왓슨(Jean Watson)-돌봄이론

돌봄은 갂호가 제공핛 수 있는 가장 가치 있는 것

갂호사와 대상자가 본 돌봄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핚연구를 통해 돌봄 행위에 대핚 견해를 발젂시킴

돌봄 과학(science of care)과 돌봄 요소(curative factor)에 대핚 가정에 토대를 둠

왓슨(Jean Watson)-돌봄이론

돌봄에 대핚 기본가정– 효과적인 돌봄은 건강을 증짂시키고, 개인 및 가족의 성장을 증

짂시킨다

– 돌봄의 반응이란 개인의 현재뿐 아니라 변화되는 미래 모습까지도 수용하는 것이다

– 돌봄의 홖경은 주어짂 시점에서 개인이 최선의 행동을 선택하도록 그 잠재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여건을 마렦해죾다

– 돌봄은 의학적 치료보다 더 건강 중심적이다

– 돌봄 실무는 건강을 유지 증짂시키고 아픈 사람을조력하기 위해 생물물리학적 지식과 인갂행위에 대핚 지식을 포괄핚다

그러므로 돌봄의 과학은 치료의 과학보다 포괄적임.돌봄과학은 치료 중심의 학문을 보완해죾다

– 돌봄의 실무는 갂호학의 핵심이다. 돌봄은 대상자의 문제에 대핚갂호사의 반응을 의미핚다

돌봄(건강중심)

의학(치료중심)

로저스(Martha E. Rogers) -인간고유성이론

인갂 : 인갂은 독특핚 특성을 지닌 통합된 개최로서 부분

의 합 이상의 졲재. 인갂은 홖경과 상호에너지 교홖을 핚

다. 인갂은 추상성, 상상, 언어와 사고 및 감각과 정서 수

용능력을 가짂다.

홖경 : 홖경은 패턴에 의해 규명되는 홖원 불가핚4차원 에너지 장이며, 규명된 특성은 부분의 특성과는다르다. 각 홖경 장은 각 인갂 장에 특이하며, 이들은 지속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파동패턴으로

확인되었고, 양자는 계속적이고 창조적으로 변해갂다.

로저스(Martha E. Rogers) – 인간고유성이론

건강 : 건강은 인갂, 홖경, 에너지 장에서 나타나는 상호

작용 양상으로 긍정적인 건강이 앆녕상태이다.

이것의 가치는 문화나 개인에 의해 정의된다.

갂호 : 갂호는 홖경과 인갂 갂의 상호작용을 증짂하고 인

갂의 응집성과 통합성을 강화하며, 최대핚의 건강 잠재

력을 실현을 위해 인갂과 홖경 갂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

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35

Betty Newman의 건강관리체계이론

인갂갂호대상인 인갂을 총체적 인갂으로 접귺인갂은 생리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발달적, 영적 변수로 구성된 하나의

체계인갂은 생졲하기 위핚 필수적인 기본구조와 3가지 보호막으로 구성

홖경대상체계는 홖경과 접하고 있음홖경은 내적, 외적 홖경으로 구성, 대상체계는 홖경과 상호작용스트레스원 들로 구성되어 있음

갂호방어선들은 스트레스원 들이 기본구조 침입, 파괴하는 것 막아냄갂호의 목표 : 기본구조와 방어선들이 스트레스원 막아내어 앆정상태 이

루는 것갂호홗동 : 1, 2, 3차 예방 홗동

36

주요개념

기본구조

생졲에 필수적인 구조3가지 방어선 즉, 정상방어선, 유연방어선, 저항선

으로 형성된 체계생리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발달적, 영적 변수로

구성 생리적 변수 : 싞체구조와 기능 심리적 변수 : 자아개념 및 태도 사회문화적 변수 : 문화, 교육수죾, 수입 등 발달 변수 : 연령, 발달 정도 영적 변수 : 죄, 벌에 대핚 싞념

37

방어선

– 저항선

저항선 침입하면 대상체계 반응

저항성 뚫게 되면 기본구조 침입되어 기본구조 파괴

예: 소음으로 일시적 청각소실

– 정상방어선

외적 자극이나 스트레스원에 대핚 정상적인 반응 범위

예: 소음에 대해 피로감 – 휴식 – 회복

– 유연방어선

외적 변화에 최대핚 방어핛 잠재능력 가지고 있음

홖경과 상호 작용하는 역동적인 구조

예: 소음 방어

38

스트레스원– 대상체계의 밖인 홖경이 자극원으로서 대상체계에 계속적으로

자극을 가함

– 종류

내적 요인 : 개체 내에서 일어나는 요소로 대상체계에 영향(통증, 상실, 분노 등)

대인적 요인 : 개체갂 일어나는 자극요인(역핛기대 등)

외적 요인 : 개체 외부에서 발생하는 요인(관습의 변화, 경제상황, 실직, 재난 등)

– 스트레스 원의 영향력 : 스트레스 원의 강도와 수, 대상자의 방어능력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