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Date post: 30-Apr-2020
Category:
Upload: others
View: 0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31
ETF REPORT | 2020. 1. 15 Inside ETF: Holding Period를 통해 바라본 ETF 시장 글로벌 ETF 담당 김남호 T.02)2004-9622 [email protected] 1월 Inside ETF 보고서는 ETF 보유기간을 통해 변화하고 있는 ETF 투 자전략에 대해 분석. 미국상장 ETF를 보유기간으로 분류했을 때, 장기투 자 목적으로 해당되는 180일 이상 보유기간을 가진 상품들의 활용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 전체 상품 중 장기보유 종목 비중은 2009년 16%에서 작년 말 기준으로 약 60%까지 증가. 장기투자 목적으로 사용 되는 ETF가 늘어난 배경에는 자산배분 전략의 인기와 상품들의 저보수 화가 맞물린 결과라고 판단. ETF의 장기투자가 보편화되면서 미국 주요 ETF 운용사들은 낮은 총보수율을 제공하는 상품들을 활발하게 출시하기 시작. 이에 거의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들 내에서 장기와 단기투자 목적으로 나누어짐. 국내 ETF 시장은 아직 레버리지/인버스 비중은 높은 관계로 장기투자 보다는 단기적 방향성 투자에 편중되어 있는 상황 ETF 전략
Transcript
Page 1: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REPORT | 2020. 1. 15

Inside ETF: Holding Period를 통해 바라본 ETF 시장

글로벌 ETF 담당 김남호 T.02)2004-9622 [email protected]

1월 Inside ETF 보고서는 ETF 보유기간을 통해 변화하고 있는 ETF 투

자전략에 대해 분석. 미국상장 ETF를 보유기간으로 분류했을 때, 장기투

자 목적으로 해당되는 180일 이상 보유기간을 가진 상품들의 활용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 전체 상품 중 장기보유 종목 비중은 2009년

16%에서 작년 말 기준으로 약 60%까지 증가. 장기투자 목적으로 사용

되는 ETF가 늘어난 배경에는 자산배분 전략의 인기와 상품들의 저보수

화가 맞물린 결과라고 판단. ETF의 장기투자가 보편화되면서 미국 주요

ETF 운용사들은 낮은 총보수율을 제공하는 상품들을 활발하게 출시하기

시작. 이에 거의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들 내에서 장기와 단기투자

목적으로 나누어짐. 국내 ETF 시장은 아직 레버리지/인버스 비중은 높은

관계로 장기투자 보다는 단기적 방향성 투자에 편중되어 있는 상황

ETF 전략

Page 2: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2

I. 변화하는 ETF 투자 패러다임 ................................................... 4

1. 자산배분 전략의 인기로 ETF도 보유기간 증가 ........................................ 4

2. 저보수화 경쟁은 장기보유에 우호적 ............................................................. 8

3. 투자기간에 따라 선호되는 상품도 상이 ....................................................... 9

4. 국내 ETF 시장은 아직 단기투자 중심 ........................................................ 11

II. 국가/섹터/자산군 전략 .......................................................... 12

III. Monthly ETF Data ................................................................ 16

Content

Page 3: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3

Summary 패시브 투자를 대표하는 ETF는 액티브 펀드보다 안정적이면서 거래의 편

리성까지 갖추고 있어 장기 및 단기투자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

다. 미국 투자자들이 ETF를 어떠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을지 확인하기

위해 ETF의 보유기간을 계산해 보았다. 현재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ETF

들의 상품 수와 AUM 중 장기투자로 분류되는 보유기간이 180일 이상인

비중은 약 60%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ETF 상품의 60%가 장기보유인 원인으로는 ETF 활용 목적 변화가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판단한다. 특히, 자산배분의 핵심이자 장기보유로

이어지는 전략적 자산배분에 ETF를 사용한다는 비중이 2012년 대비 크게

증가한 것이 장기투자 증가에 기여했다. 2010년 당시 전체 ETF 보유기간

이 약 125일에 불과했으나, 작년 12월 기준으로 약 278일에 도달하면서

ETF의 장기투자 사용빈도가 증가하는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산군별 보유기간을 확인하면, 사전에 자산배분이 내재화되어 있는 멀티

에셋 상품이 가장 높은 보유기간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전략적보다는 전

술적 자산배분에 주로 사용되는 원자재 자산군이 상대적으로 단기투자에

활용되는 모습이었다. ETF 종목을 전략별로 비교해보면, 일반지수 추종

상품보다는 스마트베타와 액티브 운용 ETF 보유기간이 평균적으로 높았

다. 이는 투자자들이 대표지수를 통해 단기투자 및 차익거래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한다.

주요 ETF 운용사들은 장기투자자를 타겟하기 위해 저보수 상품들을 지속

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이에 일부 주요전략 지수는 장기와 단기투자용으로

상품이 분류된 경우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총보수율에 덜 민감한 단기투

자자들은 기존에 거래하고 있는 유동성이 풍부한 상품을 선호한다. 반면,

총보수율이 중요한 장기투자자 입장에서는 저보수 ETF를 편입하는 경향을

보여 거의 동일한 지수라도 장기/단기투자용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한편,

국내 ETF 시장은 아직 장기보유보다는 레버리지/인버스를 통한 단기 방향

성 투자가 중용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파악된다.

Page 4: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4

I. 변화하는 ETF 투자 패러다임

1. 자산배분 전략의 인기로 ETF도 보유기간 증가

ETF는 패시브 전략을 대표하는 상품으로 대부분은 지수를 추종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매니저의 특유 전략을 바탕으로 알파를 추구하기보다 ETF는 투자

자들에게 베타 익스포져를 제공하면서 일반 액티브 펀드보다 대체적으로 안

정적이고 투명성이 높은 투자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와 함께 ETF가 각

광받는 장점인 편리성과 다양성까지 겸비해 단기 거래에도 사용될 수 있어

ETF는 현재 장기 및 단기투자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럼 현재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ETF들은 단기/장기투자 용도 중에서 어떠

한 비중이 더 높을까? ETF의 투자기간은 각 종목들의 보유기간을 통해 확인

이 가능하다. 보유기간 확인을 위해 상장된 ETF 중 AUM이 1억 달러 이상인

상품들을 대상으로 보유기간을 계산했으며, 결과가 0~30일 사이일 경우에

단기적 투자, 30~180일을 중기적, 180일 이상을 장기로 분류했다.

약 1,070개의 상품을 비교한 결과, 최근 ETF 투자 전략은 전반적으로 장기

목적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품 수와 AUM 측면에서는 180일 이

상의 보유기간을 가진 상품이 60%에 육박한 상태였다. 반대로 거래량을 기

준으로 비교 시 장기투자에 속한 상품 비중은 약 8%로, 미국 ETF 거래량의

과반 이상이 0~30일 사이의 보유기간에 속한 상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도표 1. 미국상장 ETF들의 보유기간 비교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주: 미국사장 ETF 중 AUM 1억 달러 이상 상품 대상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상품 수 AUM 총 거래량

0~30일 30~180일 180일 이상

ETF는 장기 및 단기투자에

활발하게 사용

ETF의 보유기간 확인

상품 수와 AUM 측면에서

180일 이상 보유기간을

가진 상품 비중은 60%

Page 5: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5

미국 ETF 상품 중 60%가 장기보유에 해당하는 배경 중에서 ETF 활용 목적

변화가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판단한다. 기관 투자자들은 2012년만 해도 유

동성 관리나 단기적 베타 등 단기목적의 익스포져를 위해 ETF에 투자한 경

우가 장기투자에 속한 자산배분 전략보다 높은 비중을 보였다. 그러나 자산

배분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되면서 ETF를 자산배분 수단으로

편입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특히, 자산배분의 핵심이자 장기보유 성향이 강한

전략적 자산배분에 ETF를 사용한다는 비중이 2018년에 68%까지 증가했다.

ETF를 통한 전략/전술적 자산배분이 늘어나고 동시에 미국 증시가 지속적으

로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ETF 보유기간은 2010년 이후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2010년 당시 ETF 보유기간은 약 125일에 불과했으나, 작년

12월 기준으로 약 278일까지 높아지면서 ETF의 장기투자 사용빈도가 증가

하는 추세이다. 그 중 주식형 ETF의 보유기간은 동 기간 약 123% 증가하면

서 ETF 장기투자 트렌드를 주도했다.

도표 2. 미국 투자기관들의 ETF 활용도 변화

자료 : Greenwich Associates,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도표 3. 주식형과 채권형 ETF를 중심으로 보유기간 증가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0%

10%

20%

30%

40%

50%

60%

70%

80%

전술적

자산배분

전략적

자산배분

리밸런싱 포트폴리오

구성

유동성 관리 단기적 베타

2012 2018

100

120

140

160

180

200

220

240

260

280

300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종합 주식형 채권형

(일)

전략적 자산배분에

사용되는 ETF 비중 증가

ETF의 보유기간은 약

278일까지 증가

Page 6: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6

ETF 투자기간이 장기화되면서 보유기간도 함께 늘어난 영향은 AUM과 상품

수 보유기간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10년에 180일 이상의 보유

기간을 가진 ETF AUM 비중은 약 14%에 머물렀으나 2019년 종료 시점에는

해당 비중이 약 60%까지 증가했다. 반대로 단기투자 목적으로 분류되는 30

일 이하 보유기간 상품들의 AUM 비중은 35%에서 16%로 감소하면서 대조

적인 결과를 보였다.

AUM과 동일한 방법으로 ETF 상품 수 비중을 살펴보면 장기투자 목적의 상

품이 2010년 대비 36.5%p 증가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는 주요 운용사들이 단기적인 트레이딩 전략을 추구하는 레버리지/인버스 상

품 대비 장기투자에 적합한 대표지수 추종 ETF들을 중점적으로 출시한 것이

배경이라고 판단한다.

도표 4. ETF 보유기간 구간별 AUM 추이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도표 5. ETF 보유기간 구간별 종목 수 비중 추이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0%

10%

20%

30%

40%

50%

60%

70%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0~30일 30~180일 180일 이상

0%

10%

20%

30%

40%

50%

60%

70%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0~30일 30~180일 180일 이상

180일 이상 상품들의 전체

AUM은 60%로 증가

낮은 보수의 대표지수 추종

ETF들을 중점적으로 출시

Page 7: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7

ETF 보유기간을 자산군으로 나누어 보면 이미 ETF 내에 자산배분이 자동적

으로 내재화되어 있는 멀티에셋 상품이 다른 자산군과 비교했을 때 보유기간

이 평균적으로 길었다. 원자재 자산군 ETF의 보유기간은 139일로 가장 짧았

는데, 이는 투자자들이 원자재를 포트폴리오의 전략적 투자 자산군보다 트레

이딩을 통한 단기적 수익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편입되는 영향이라고 보여진

다.

세부적인 전략을 살펴보면 일반지수 추종 ETF보다는 스마트베타나 액티브

ETF들의 평균 보유기간이 더 길다는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시장 대표지수

는 투자자들이 선물 등으로 단기 차익거래를 실시할 수 있으나 스마트베타

상품은 단기투자 비중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레버리지나 인

버스 전략의 특성상 장기보유에는 적합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상품들의 보유

기간은 30일을 하회했다. 향후 운용사들은 장기투자자를 위해 저렴한 총보수

율을 가진 스마트베타 라인업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한다.

도표 6. 미국상장 ETF의 자산군별 평균 보유기간 비교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도표 7. 미국상장 ETF의 세부전략별 평균 보유기간 비교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주식형 채권형 원자재 멀티에셋

(일)

0

50

100

150

200

250

300

액티브 일반 지수추종 스마트베타 레버리지/인버스

(일)

멀티에셋 상품이 다른

자산군보다 보유기간 높음

스마트베타 전략 상품들의

보유기간이 더 길었음

Page 8: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8

2. 저보수화 경쟁은 장기보유에 우호적

미국상장 ETF의 활용도 변화로 인한 보유기간 상승은 ETF의 저보수화와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파악된다. ‘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적극적인 알

파추구 전략보다는 안정적이면서 투명한 패시브 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

면서 ETF 또한 단기보유 보다는 장기적 자산배분 수단으로 변모했다. 변화

하는 투자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 대형 ETF 운용사들은 장기보유 투자자

들의 니즈를 충족하는 저보수 ETF 상품들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미국 ETF 시장에 초저보수화 전쟁이 시작되면서 장기보유 목적 투자자들은

조금이라도 더 낮은 보수율을 제공하는 상품으로 자금을 이동시키기 시작했

다. 0~10bps 사이의 초저보수율 상품으로 유입되는 자금 비중은 ‘09년 6.3%

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그 비중은 확대되면서 ‘19년 종료 시점 약 67%까지

상승했다. 총보수율 구간별 AUM도 동일한 패턴이 나타나면서 0~10bps 사

이에 해당하는 상품들의 AUM 비중도 전체 ETF 시장에서 크게 증가했다.

앞으로도 미국 ETF 시장에 장기 투자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한 저보수 경쟁

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 Vanguard와 Schwab가 미국 ETF 시장에 본격

적으로 진출한 후 보수를 낮추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면서 AUM 규모

면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던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투자자 입장에서 감소하

는 총보수율은 자산배분을 구상하기에 더욱 우호적인 환경으로 적용할 것이

다. ETF 장기보유에 대한 비용적 부담이 지속적으로 줄어들면서 보유기간은

향후에도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도표 8. 저보수화가 심화되고 있는 미국 ETF 시장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20%

0%

20%

40%

60%

80%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0~10 BPS 11~20 BPS 21~40 BPS

41~60 BPS 61~80 BPS 81+ BPS

대형 ETF 운용사들은

저보수 상품들을 출시

투자자 자금은 초저보수

ETF로 이동

감소하는 총보수율에 따라

보유기간도 증가할 전망

Page 9: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9

3. 투자기간에 따라 선호되는 상품도 상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면서 규모가 큰 일부 미국상장 ETF같은

경우에는 투자기간에 따라 거의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더라도 선호되는 상품

이 다른 케이스가 발생하기도 한다. ETF 시장 탄생 초기에 상장된 상품들은

대체적으로 높은 총보수율을 수반하고 있으나 선점효과로 인해 AUM 또한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중이다.

그러나 투자환경 변화에 따라 장기투자 수요가 증가함과 동시에 미국 ETF

시장이 포화상태에 진입하면서 기존 상품 대비 낮은 보수율을 책정한 상품들

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장기투자 목적의 자금이 신규 상품으로 유

입되면서 해당 전략에 투자한 전체 자금이 여러 종목으로 분산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다만, 기존에 상장되어 있었던 ETF로부터 자금이 빠져나갔다고 해서 해당

상품의 시장 내 입지가 줄어든 것은 아니다. 오히려 거의 동일한 지수를 추종

하는 상품들 사이에서 단기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상품으로 재분류되기 시작

했다. ETF 장기보유 목적의 투자자들은 총보수율에 민감하지만, 단기투자자

들에게는 총보수율이 전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이다. 적시성이

중요한 단기투자는 총보수율 대신 일평균 거래대금이 가장 핵심적인 투자 요

소로 작용하기에 이미 큰 규모와 유동성을 자랑하고 있었던 기존 상장 ETF

들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요 전략들을 기반을 하는 ETF들이 장기와 단기 투자용으로 나누어진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는 BlackRock의 Core 상품 라인업 출시 사례에서 찾을 수

있다. Vanguard와 Charles Schwab을 중심으로 신규 저보수 ETF들이 시장

에 출시되기 시작하자 BlackRock은 ‘12년에 초저보수율을 제공하는 Core 라

인업을 시장에 새롭게 선보였다. Core 라인업은 ETF 산업 내에서 큰 의구심

을 불러 일으켰는데, 그 이유로는 시장에서 이미 거의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

는 자사 상품들이 거래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투자전략에 따라 선호되는

상품도 상이

특정 전략에 투자한 자금이

여러 종목으로 분산

장기투자자들은 총보수율,

단기투자자는 유동성에

민감

BlackRock의 Core

상품이 대표적인 케이스

Page 10: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10

그러나 BlackRock은 Core 라인업을 출시하면서 이미 유동성이 높은 대표 상

품을 거래하는 것에 익숙한 투자자들이 저보수 메리트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

에 앞으로도 기존 상품을 선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편 장기 투자할 계획

이 있는 투자자들은 총보수율을 따지면서 선택을 하기 때문에 신규 Core 라

인업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판단을 내린 것이다. 이로 인해 BlackRock은 기

존 상품의 총보수율을 내리면서 굳이 단기투자자들로부터 받는 수익을 깎아

내리기 보다는 투 트랙 전략으로 수익성을 유지하는데 성공했다고 판단한다.

미국 ETF 시장에서 장기와 단기투자 목적으로 분류되어 가장 활발하게 거래

되는 지수는 S&P 500이다. 미국에 처음으로 상장된 SPY는 S&P 500 지수

전략을 선점하면서 현재 전세계 상품 중 AUM이 가장 큰 종목으로 확고한 자

리를 잡고 있다. 후발주자인 IVV는 장기투자자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SPY보

다 5bps 인하된 총보수율을 앞세워 규모 키우기에 나섰다.

이후, 두 상품은 보유기간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이면서 투자자들의 보유 전

략에 따라 중용되는 종목이 뚜렷해졌다. 총보수율이 낮은 IVV의 보유기간은

약 203일로 장기투자자들이 대부분인 가운데 기존의 SPY는 보유기간이 17

일에 불과해 단기 트레이딩 전략에 활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렇게 유사한

지수가 장기와 단기 투자용으로 나누어진 경우는 주식형 ETF에서 주로 발견

되지만 채권형이나 원자재 자산군에도 일부 적용되고 있다.

BlackRock은 투 트랙

전략으로 수익 유지 성공

유사한 지수 상품이 장기와

단기로 나누어짐

투자기간에 따라 상품이

나누어진 경우는 주로

주식형에서 발견

도표 9. ETF 시장에 새로운 상품이 출시되면서 폐지 수도 함께 증가

전략 티커 ETF명 총보수율(bps) Holding Period 상장일

S&P 500 SPY US SPDR S&P 500 Trust 9 17.0 1993-01-22

IVV US iShares Core S&P 500 4 203.1 2000-05-19

EAFE EFA US iShares MSCI EAFE 31 49.0 2001-08-17

IEFA US iShares Core MSCI EAFE 7 156.7 2012-10-22

신흥국 EEM US iShares MSCI EM 67 15.0 2003-04-11

IEMG US iShares Core MSCI EM 14 94.8 2012-10-22

TIPS TIP US iShares TIPS Bond 19 208.6 2003-04-11

SCHP US Schwab US TIPS 5 297.0 2012-10-22

금 GLD US SPDR Gold 40 46.2 2004-11-18

IAU US iShares Gold 25 86.4 2005-01-28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Page 11: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11

4. 국내 ETF 시장은 아직 단기투자 중심

미국에서는 ETF의 장기보유가 대부분인 반면 국내 ETF 시장은 반대로 아직

까지는 레버리지와 인버스 중심의 생태계가 견고한 상태이다. 미국의 레버리

지/인버스 시장과 비교했을 때, 국내 레버리지/인버스 시장은 전체적인 면에

서 확연한 차이가 드러난다. 국내에서 레버리지/인버스 ETF의 상품 수 비중

은 20%에 육박하며 미국 시장과 비교하여 약간 높은 상태이다. 그러나 거래

량 측면에서는 전체 시장에서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국내 시장은 레버리

지/인버스로 거래가 편중되어 있다. 국내 투자자들은 아직 ETF를 장기투자

목적보다는 단기적 방향성 투자를 위해 주로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미국 ETF 운용사 사이에서 레버리지/인버스 상품의 입지가 국내와는 다르다.

BlackRock이나 Vanguard 등 AUM 상위 운용사들은 레버리지/인버스 상품

을 운용하고 있지 않다. 미국상장 레버리지/인버스 ETF들은 거의 대부분

Direxion과 Proshares가 출시하고 있어 특정 수요층만 충족해주고 있다. 앞

으로 미국 내에서 자산배분 전략의 수단으로 ETF가 더욱 많이 편입되고 보

유기간도 늘어나는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레버리지/인버스 상품의 비중과 거

래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국내 또한 아직까지는 레버리지/

인버스 중심의 시장이지만 향후 액티브 주식형 ETF나 다양한 인컴형 전략

등을 추구하는 상품들이 활발하게 출시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장기투자 비중

도 점진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도표 10. 국내와 미국의 레버리지+인버스 ETF 현황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0%

10%

20%

30%

40%

50%

60%

70%

80%

종목수 AUM 거래량

미국상장 레버러지+인버스

국내상장 레버리지+인버스

국내 ETF 시장은 레버리지

/인버스 중심의 생태계

견고

레버리지/인버스 상품은

일부 운용사에 국한

Page 12: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12

II. 국가/섹터/자산군 전략

1. 12월 국가 Performance Review

2019년 마지막 달은 미국과 중국이 무역협상 1단계 합의에 성공했다는 소식

과 영국의 보수당이 총선에서 승리하면서 글로벌 지정학적 이벤트에 대한 불

확실성이 해소된 모습이었다. 이에 투자자들이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강해진

영향으로 신흥국을 중심으로 대부분 국가들이 강한 랠리를 펼치며 한 해를

마감했다. 특히 브라질(+13.4%), 콜롬비아(+12.5%) 등 중국向 원자재 수출

비중이 큰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더욱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도표 11. 주요 국가별 ETF 월간 수익률

자료 : ETF.com,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MSCI Frontier

Markets Index

FM

4.37%

아메리카 EMEA APAC 아메리카 EMEA APAC 글로벌

캐나다EWC

오스트리아EWO

호주EWA

브라질EWZ

이집트EGPT

중국FXI

베트남VNM

2.22% 3.04% 1.15% 13.38% -0.68% 8.55% 1.08%

S&P 500SPY

벨기에EWK

홍콩EWH

칠레ECH

그리스GREK

인도INDA

나이지리아NGE

2.90% 3.53% 4.25% 11.38% 4.01% 2.10% -0.42%

NASDAQQQQ

프랑스EWQ

일본EWJ

콜롬비아ICOL

폴란드EPOL

인도네시아EIDO

3.89% 3.54% 0.86% 12.53% 2.80% 6.98%

독일EWG

뉴질랜드ENZL

멕시코EWW

카타르QAT

한국EWY

1.59% 5.55% 4.45% 1.66% 8.67%

아일랜드EIRL

싱가포르EWS

페루EPU

러시아ERUS

말레이시아EWM

3.95% 3.11% 8.87% 8.77% 4.69%

이스라엘EIS

아르헨티나AGT

남아공EZA

파키스탄PAK

-0.71% 12.82% 8.87% 4.25%

이탈리아EWI

터키TUR

필리핀EPHE

2.82% 3.21% 1.15%

포르투갈PGAL

UAEUAE

대만EWT

3.95% 0.00% 6.87%

스페인EWP

사우디KSA

태국THD

4.33% 6.64% 0.98%

스웨덴EWD

5.02%

스위스EWL

4.47%

영국EWU

5.37%

3.04%

MSCI Emerging Markets IndexIEMG

7.46%

MSCI World IndexURTH

MSCI ACWI IndexACWI

3.43%

지정학적 불확실성 해소로

대부분 주요국 랠리

+

_

≥ 5%

4.9% ≥ ≥ 3%

2.9% ≥ ≥ 1%

0.9% ≥ ≥ 0.01%

= 0%

-0.01% ≥ ≥ -0.9%

-1% ≥ ≥ -2.9%

-3% ≥ ≥ -4.9%

-5% ≥

Page 13: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13

2. 12월 섹터/스타일 Performance Review

2019년 미국 증시 상승을 이끌었던 섹터는 단연 IT로 지난 1년 사이에만 약

50% 상승했다. 그 중 반도체&장비 섹터가 동 기간 상승률이 약 65%에 이르

면서 IT 강세에 공헌했으며, 12월에도 견조한 모습을 이어 나가면서 반도체

시장 호황을 알렸다. 그 외에도 에너지(+6.0%) 섹터가 지난달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투자자들의 Bottom Fishing과 더불어 미-중 1단계 무역협

상 합의로 수요가 다시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요 원인이라고 판단된다.

실제로 에너지 섹터는 2019년 전체 섹터 중에서 유일하게 10% 이하의 수익

률을 보인 섹터로 저평가되어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었다.

도표 12. 한국/미국/글로벌 섹터 ETF 월간 수익률

자료 : ETF.com,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GICS 분류 국내 섹터 글로벌 섹터

경기소비재A139290

자유소비재XLY

소매XRT

주택건설XHB

미디어PBS

자유소비재RXI

4.90% 2.76% 3.46% -0.67% 3.04% 2.49%

생활소비재A227560

필수소비재XLP

식음료PBJ

필수소비재KXI

1.76% 2.41% 1.40% 2.29%

에너지/화학A139250

에너지XLE

석유/천연가스

장비&서비스

XES

석유/천연가스

탐사&생산

XOP

에너지IXC

5.35% 6.03% 18.80% 16.91% 5.43%

금융A139270

금융XLF

은행KBE

보험KIE

투자/증권KCE

지방은행KRE

금융IXG

6.08% 2.61% 3.05% 0.29% 0.55% 4.26% 3.40%

헬스케어A227540

헬스케어XLV

헬스케어 장비

XHE

헬스케어 서비

XHS

생명과학XBI

제약XPH

헬스케어IXJ

7.15% 3.48% 0.38% 2.55% 1.56% 11.75% 3.35%

산업재A227550

산업재XLI

운송XTN

항공/방산XAR

산업재EXI

1.53% -0.20% -0.09% -1.47% 0.69%

철강소재A139240

소재XLB

금속&광산XME

소재MXI

4.48% 2.86% 6.35% 4.33%

정보기술A139260

정보기술XLK

반도체&장비XSD

기술 하드웨어

XTH

소프트웨어XSW

정보기술IXN

10.14% 4.32% 8.41% 3.32% -1.10% 4.85%

유틸리티XLU

유틸리티JXI

3.29% 4.27%

건설A139220

부동산XLRE

부동산VNQI

3.66% 1.13% 3.92%

커뮤니케이션스XLC

통신XTL

통신IXP

2.26% 1.45% 2.50%

중공업A139230

인프라IGF

4.24% 4.04%

통신

인프라/중공업

자유소비재

필수소비재

에너지/화학

금융

헬스케어

산업재

미국 섹터

소재/철강

정보기술

유틸리티

부동산/건설

2019년에는 IT가 미국

증시 상승을 견인

+

_

≥ 5%

4.9% ≥ ≥ 3%

2.9% ≥ ≥ 1%

0.9% ≥ ≥ 0.01%

= 0%

-0.01% ≥ ≥ -0.9%

-1% ≥ ≥ -2.9%

-3% ≥ ≥ -4.9%

-5% ≥

Page 14: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14

미국과 중국의 1단계 협상 합의에 모든 스마트베타 상품들이 양호한 수익률

을 나타냈다. 그 중 우량기업들을 편입하는 전략을 활용하는 가치 및 퀄리티

ETF들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해당 팩터들의 상승 배경에는 주식으

로 들어온 자금이 우량기업을 위주로 투자되었으며, 기업들의 연말 배당에

따라 ETF도 투자자들에게 분배금을 지급한 배당수익률까지 수익률에 감안된

영향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표 13. 미국 스타일 ETF 월간 수익률

자료 : ETF.com,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스타일 분류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 Broad Market

대형 가치IVE

중형 가치IJJ

소형 가치IJS

가치 종합IUSV

3.00% 3.08% 2.84% 3.07%

대형 성장IVW

중형 성장IJK

소형 성장IJT

성장 종합IUSG

2.89% 2.46% 3.03% 2.82%

대형 배당DLN

중형 배당DON

소형 배당DES

배당 종합DVY

2.75% 2.42% 2.16% 2.72%

소형 모멘텀DWAS

모멘텀 종합PDP

4.97% 1.55%

대형 로우볼 SPLV

중형 로우볼 XMLV

소형 로우볼 XSLV

1.73% 1.50% 1.54%

소형 퀄리티 XSHQ

2.83%

중대형 모멘텀MTUM

1.69%

중대형 퀄리티QUAL

2.83%

가치

성장

퀄리티

배당

모멘텀

로우볼

가치 및 퀄리티 전략

ETF들의 수익률이 높았음

+

_

≥ 5%

4.9% ≥ ≥ 3%

2.9% ≥ ≥ 1%

0.9% ≥ ≥ 0.01%

= 0%

-0.01% ≥ ≥ -0.9%

-1% ≥ ≥ -2.9%

-3% ≥ ≥ -4.9%

-5% ≥

Page 15: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15

3. 12월 자산군 Performance Review

투자자들의 위험자산 선호가 부각되면서 채권형 ETF는 지난달에 전체적으로

저조한 수익률로 2019년을 마감했다. 미-중 1단계 무역합의 도달 이후 미국

장기물 금리가 하락하면서 듀레이션이 긴 ETF 순으로 주가가 타격을 받은

모습이다. 그나마 하이일드(+1.9%)나 이머징 채권으로 자금이 이동하며 채권

형 ETF 중에서는 준수한 수익률을 제공했다.

대체자산군도 전체적으로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전망 속에 크게 상승했다.

VIX(-8.3%) 전략이 지난 달에도 주요 자산군 중 최저 수익률로 마무리하면

서 미국의 역사적인 증시 확장 구간에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신흥국 등

위험자산으로 투자가 확대되며 달러(-1.6%)는 약세로 돌아섰으며 계절성이

강한 천연가스(-5.4%)도 따뜻한 겨울 날씨 탓에 하락세를 지속했다.

도표 14. 채권/원자재/통화/대체자산 ETF 월간 수익률

자료 : ETF.com,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통화 대체자산

달러UUP

VIXVIXY

-1.56% -8.27%

US 국채 US 회사채 기타 에너지 농축산물 귀금속 산업금속

1-3년SHY

투자등급LQD

TIPSTIP

원유USO

종합DBA

종합GLTR

종합DBB

유로화FXE

자산배분GAA

0.15% 0.53% 0.35% 10.24% 4.16% 4.36% 2.09% 1.71% 1.89%

3-7년IEI

변동금리FLOT

MBSMBB

천연가스UNG

곡물JJG*

금GLD

구리JJCB*

일본 엔화FXY

헤지펀드QAI

-0.16% 0.24% 0.21% -5.44% 4.60% 3.66% 5.57% 0.67% 1.71%

7-10년IEF

하이일드HYG

지방채MUB

가솔린UGA

밀WEAT

은SLV

알루미늄JJUB*

중국 위안화FXCH

MLPAMLP

-0.93% 1.91% 0.26% 5.58% 3.21% 4.77% 1.88% 0.92% 8.56%

10-20년TLH

이머징 종합EMB

옥수수CORN

팔라듐PALL

니켈BJJN*

영국 파운드화

FXB

-1.98% 2.95% 1.93% 5.96% 3.53% 2.42%

20+년TLT

이머징 하이일

EMHY

콩SOYB

백금PPLT

틴JJT*

스웨덴 크로나

FXS

-3.20% 3.20% 6.24% 7.50% 4.21% 2.32%

원당SGG*

호주 달러FXA

4.04% 3.74%

커피JO*

캐나다 달러FXC

8.33% 2.35%

원면BAL*

스위스 프랑FXF

5.86% 3.15%

코코아NIB*

이머징 통화CEW

-1.02% 2.99%

축산물COW*

1.53%

원자재

종합DBC

5.85%

채권

US 종합AGG

-0.05%

채권형 ETF는 전체적으로

저조한 모습

위험자산 투자 확대로

달러화는 약세

+

_

≥ 5%

4.9% ≥ ≥ 3%

2.9% ≥ ≥ 1%

0.9% ≥ ≥ 0.01%

= 0%

-0.01% ≥ ≥ -0.9%

-1% ≥ ≥ -2.9%

-3% ≥ ≥ -4.9%

-5% ≥

Page 16: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16

III. Monthly ETF Data

글로벌 ETF 시장은 12월에도 전체적으로 자금이 유입세가 이어지며 ‘19년

전체 순유입 금액은 ‘18년을 앞섰다. ‘19년 순유입 규모는 ‘17년 다음으로 역

대 2번째로 큰 규모에 위치했다. 작년 ETF Flows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채권형으로 순유입된 규모가 주식형보다 높았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채권형

지수인 Bloomberg US Agg.는 1년 사이 약 8.7% 상승하면서 최근 17년동안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인 영향이 채권형 상품으로의 유입으로 연결되었다.

글로벌 주식형 ETF에서는 한 달 동안만 비교하면 약 550억 달러가 순유입되

었으나 마지막 2주 동안에는 자금이 일부 유출되면서 투자자들이 차익실현을

추구한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주요 Broad Market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중심으로 매도가 많은 모습이었다. 12월 채권 자산군 같은 경우에는 주식형

과는 달리 거의 모든 세부전략이 양호한 순유입세를 보이면서 채권에 관심이

많은 투자자들이 ETF를 통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도표 15. 글로벌 ETF 주요 자산군별 Net Flow (단위: 백만 $)

자산군 분류 AUM 1W 순흐름 1W 유입강도 5W 순흐름 5W 유입강도 Streak Streak Flow

주식

전체 4,782,918 -5,246.6 -0.11% 54,901.5 1.19% -2 -10,287.4

IT 205,767 -127.7 -0.06% 3,044.4 1.56% -2 -355.7

산업재 29,395 94.1 0.32% -231.9 -0.78% 1 94.1

필수소비재 24,704 -96.3 -0.39% 272.2 1.15% -2 -286.3

소재 43,335 -384.7 -0.93% 17.9 0.04% -1 -384.7

헬스케어 70,470 92.3 0.13% 662.6 0.98% 4 892.9

에너지 44,771 466.8 1.06% 1,742.3 4.30% 1 466.8

금융 68,506 -959.0 -1.38% -9,780.3 -14.26% -3 -11,621.2

커뮤니케이션스 11,481 21.2 0.19% 159.3 1.44% 3 361.8

유틸리티 23,525 279.8 1.20% -31.1 -0.14% 1 279.8

자유소비재 25,227 -350.7 -1.38% -796.0 -3.16% -3 -699.1

부동산 109,870 338.7 0.31% 487.8 0.44% 1 338.7

테마형 48,604 32.4 0.07% 1,286.5 2.78% 16 4,324.5

대형주 2,155,453 -853.1 -0.04% 30,135.5 1.46% -1 -853.1

중형주 165,071 -357.4 -0.22% 2,897.3 1.82% -2 -968.8

소형주 193,922 -1.6 0.00% 4,156.3 2.22% -2 -1,541.9

Broad Market 537,636 -1,176.8 -0.22% 6,014.5 1.17% -1 -1,176.8

스타일 824,292 -2,216.7 -0.27% 11,191.7 1.41% -1 -2,216.7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주: 12/27 기준, Streak은 주간 순흐름 양수/음수의 연속 기간, Streak Flow는 연속 기간 동안의 순흐름 합계

‘19년 순유입 금액은 역대

2번째로 큰 규모

글로벌 주식형 ETF에 약

550억 달러 순유입

Page 17: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17

도표 16. 글로벌 ETF 주요 자산군별 Net Flow(Cont.) (단위: 백만 $)

자산군 분류 AUM 1W 순흐름 1W 유입강도 5W 순흐름 5W 유입강도 Streak Streak Flow

채권

전체 1,191,085 2,678.6 0.23% 24,851.3 2.13% 12 53,642.5

통합형 318,666 117.5 0.04% 8,261.5 2.64% 35 51,909.8

국고채 308,408 1,451.3 0.47% 2,542.5 0.83% 2 1,864.8

물가채 59,816 386.4 0.65% 1,539.7 2.64% 7 1,803.6

전환사채 6,856 39.1 0.58% 219.9 3.38% 1 39.1

회사채 356,805 -112.4 -0.03% 7,372.6 2.11% -1 -112.4

뱅크론 11,154 40.1 0.36% 785.6 7.64% 5 785.6

선순위 40,268 120.8 0.30% 356.4 0.90% 3 229.0

지방채 49,000 154.2 0.32% 1,497.8 3.12% 15 4,480.0

MBS 40,109 481.6 1.22% 2,276.4 5.96% 6 2,770.9

원자재

전체 111,756 172.4 0.16% -256.8 -0.24% 3 314.5

통합형 13,145 -62.1 -0.47% -256.2 -1.98% -1 -62.1

에너지 4,427 -80.1 -1.79% -15.2 -0.36% -2 -93.6

귀금속 93,447 330.9 0.36% 43.2 0.05% 1 330.9

농축산물 599 -13.3 -2.19% -27.6 -4.60% -1 -13.3

산업금속 137 -3.0 -2.16% -1.0 -0.70% -3 -9.0

대안

전체 21,128 -26.4 -0.13% 392.5 1.90% -1 -26.4

자산배분 15,439 -24.8 -0.16% 393.4 2.66% -1 -24.8

변동성 1,848 0.0 0.00% -46.4 -2.32% -1 0.0

기타 3,841 -1.6 -0.04% 45.5 1.19% -2 -17.2

통화 전체 2,121 -57.3 -2.63% -73.0 -3.37% -2 -64.5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주: 12/27 기준, Streak은 주간 순흐름 양수/음수의 연속 기간, Streak Flow는 연속 기간 동안의 순흐름 합계

Page 18: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18

국내 ETF 시장은 12월 27일 기준 약 51.2조원으로 규모가 크게 늘어났다.

이는 연말에 글로벌 주요 이슈 호조로 투자자들이 ETF 투자를 적극적으로

실시한 영향도 있지만, 연말 배당에 앞서 기관들의 대표지수 현·선물 베이

시스 차익을 노린 물량도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채권 ETF 중에서는 단기채와 인버스 상품에서 큰 규모의 자금이 이탈한 것

으로 관측되었다. 투자자들은 미-중 1단계 무역합의 이후부터 단기채를 빠르

게 매도한 모습인데, 이는 시장 내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위험자산 선호현

상이 부각되자 자금이 빠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도표 17. 국내 상장 ETF Net Flow (단위: 십억 원)

자산군 분류 AUM 1W 순흐름 1W 유입강도 5W 순흐름 5W 유입강도 Streak Streak Flow

국내 주식

전체 35,382 988.58 2.50% 4,230.72 14.55% 8 5,842.30

생활소비재 39 0.33 0.86% -7.95 -20.87% 2 0.83

산업재 25 0.70 2.86% -0.73 -2.76% 1 0.70

경기소비재 41 1.41 3.63% 2.15 5.82% 2 3.67

건설 33 0.22 0.69% 0.03 0.09% 2 0.49

철강소재 17 0.27 1.62% 0.80 5.20% 2 0.67

중공업 23 -0.06 -0.25% 2.21 11.46% -1 -0.06

정보기술 660 12.33 1.94% 31.99 5.40% 2 14.43

에너지화학 40 -1.61 -3.91% -2.47 -6.05% -1 -1.61

금융 179 -21.37 -10.90% -24.31 -12.83% -1 -21.37

헬스케어 159 3.32 2.24% 1.01 0.69% 1 3.32

통신 16 2.41 17.96% 1.99 15.32% 3 2.41

테마형 481 -3.00 -0.63% -12.55 -2.64% -9 -30.12

코스피-시장대표 22,851 1,258.48 5.91% 3,486.47 18.97% 3 2,959.92

코스닥-시장대표 1,261 5.79 0.48% 10.73 0.94% 2 43.21

KRX300-시장대표 360 -41.15 -10.42% -47.61 -12.59% -2 -52.63

대형주 4,622 51.74 1.15% 1,166.70 39.12% 4 1,327.92

중소형주 66 1.08 1.71% -70.54 -52.10% 2 2.90

가치 105 2.65 2.62% 6.69 6.54% 1 2.65

성장 95 11.79 14.44% 8.00 10.19% 2 11.79

로우볼 103 5.38 5.59% 3.91 3.82% 1 5.38

배당 1,913 -405.86 -17.75% -391.77 -19.23% -1 -405.86

모멘텀 82 6.80 9.18% 7.73 10.77% 2 10.99

퀄리티 76 -1.61 -2.11% 7.22 9.29% -4 -4.79

멀티팩터 622 -6.62 -1.07% -16.38 -2.67% -1 -6.62

기타 1,467 98.51 7.34% 65.62 5.04% 1 98.51

레버리지 4,122 -21.31 -0.53% -186.15 -5.06% -2 -394.06

인버스 1,620 8.92 0.48% -267.00 -14.67% 2 173.35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주: 12/27 기준

국내 ETF 시장은 51.2조

원으로 AUM 증가

채권 자산군에서는 단기채

중심으로 자금 이탈

Page 19: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19

도표 18. 국내 상장 ETF Net Flow(Continued) (단위: 십억 원)

자산군 분류 AUM 1W 순흐름 1W 유입강도 5W 순흐름 5W 유입강도 Streak Streak Flow

해외 주식

전체 2,906 4.65 0.16% -34.16 -1.20% 1 4.65

미국 397 3.65 0.94% 8.51 2.24% 4 10.06

중국 1,159 -1.65 -0.14% -2.66 -0.24% -1 -1.65

일본 83 0.55 0.67% 0.55 0.68% 1 0.55

유럽 선진국 59 0.00 0.00% -3.59 -5.85% 1 0.00

글로벌 50 -5.31 -9.77% -12.26 -21.05% -1 -5.31

선진국 400 0.00 0.00% -13.38 -3.29% -1 0.00

신흥국 335 4.83 1.47% 8.45 2.58% 4 8.46

섹터/테마형 414 0.00 0.00% -22.36 -5.38% 1 0.00

채권

전체 6,096 -381.24 -5.66% -935.55 -13.52% -7 -1,096.04

장기 166 0.11 0.04% 0.91 0.59% 1 0.11

중기 1,891 -49.41 -2.51% -57.91 -2.97% -1 -49.41

단기 3,641 -331.94 -7.95% -876.39 -19.89% -7 -1,077.43

해외 335 0.00 0.00% -7.18 -2.07% -5 -7.18

레버리지 32 0.00 0.00% 0.00 0.01% 7 2.76

인버스 199 0.00 0.00% -185.36 -55.79% -6 -185.36

원자재

전체 400 -0.23 -0.06% 4.41 1.15% -2 -4.72

원유 67 -0.23 -0.35% -0.61 -0.93% -3 -3.62

귀금속 265 0.00 0.00% 5.02 1.98% 1 0.00

산업금속 16 0.00 0.00% 0.00 0.01% 2 0.00

농산물 52 0.00 0.00% 0.00 0.00% 1 0.00

통화 전체 207 0.89 0.43% -20.54 -9.09% 1 0.89

혼합자산 전체 175 0.00 0.00% -1.64 -1.04% -1 0.00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주: 12/27 기준

도표 19. 국내 ETF 월간 AUM 현황 도표 20. 국내 ETF 자산군별 월간 순흐름 및 유입강도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20%

-10%

0%

10%

20%

30%

0

7

14

21

28

35

42

49

국내주식 채권 해외주식 통화 원자재 혼합자산

12월 MoM 증감

(조 원)

-20%

-15%

-10%

-5%

0%

5%

10%

15%

-2,000

-1,000

0

1,000

2,000

3,000

4,000

5,000

국내주식 원자재 혼합자산 통화 해외주식 채권

순흐름 유입강도(우)(십억 원)

Page 20: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20

평균보다 따뜻한 겨울이 지속되면서 천연가스 관련 ETF들의 변동성은 높아

지고 있다. 천연가스 탐사 및 채굴 관련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최근 천

연가스 선물 가격이 크게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 주가는 역방향으로 움

직였다. 이는 기업들의 낮은 밸류에이션으로 인해 매수기회로 판단한 투자자

들과 함께 1월에 날씨가 추워질 것이라는 기대로 재고가 감소한다는 전망에

따른 결과로 판단한다. 한편, 무역합의로 중국의 교역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되면서 원자재 수출 비중이 높은 브라질이 수혜를 받았다.

‘19년에 가장 큰 화두였던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1단계 합의에 도달하면

서 미국 채권 금리는 장기채를 중심으로 크게 상승했다. ZROZ, EDV 등 초

장기 듀레이션을 보유하고 있는 ETF들은 이에 따라 저조한 수익률을 나타내

면서 12월 Bottom Performers 대부분을 차지했다.

도표 21. ETF Monthly Top Performers (단위: 백만 $)

랭킹 티커 ETF명 총보수(bps) AUM 1W 수익률 1M 수익률 3M 수익률

1 FCG First Trust Natural Gas 60 96 -0.25% 20.06% 13.58%

2 XES SPDR Oil&Gas Equip.&Services 35 185 -0.86% 18.8% 19.85%

3 EWZS iShares MSCI Brazil Small-Cap 59 170 3.13% 18.78% 27.01%

4 BRF VanEck Brazil Small-Cap 59 99 3.31% 17.6% 23.36%

5 XOP SPDR S&P Oil&Gas Explor.&Prod. 35 2,806 0% 16.91% 13.61%

6 IEZ iShares U.S. Oil Equipment & 42 97 -0.88% 16.11% 23.03%

7 OIH VanEck Oil Services 35 761 -1.41% 15.79% 22.17%

8 FXN First Trust Energy AlphaDEX 63 99 -0.28% 15.64% 13.9%

9 FBZ First Trust Brazil AlphaDEX 80 117 2.01% 14.54% 21.24%

10 EWZ iShares MSCI Brazil 59 11,155 1.9% 13.38% 18.07%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도표 22. ETF Monthly Bottom Performers (단위: 백만 $)

랭킹 티커 ETF명 총보수(bps) AUM 1W 수익률 1M 수익률 3M 수익률

1 VIXY Proshares VIX Short-Term Futures 85 284 1.22% -8.27% -42.85%

2 UNG US Natural Gas Fund LP 70 461 -0.94% -5.44% -12.91%

3 ZROZ PIMCO 25+ Year Zero Coupon US Treasury 15 273 -1.5% -4.87% -7.71%

4 EDV Vanguard Extended Duration Treasury 7 1,102 -1.23% -4.56% -7.09%

5 ITA iShares U.S. Aerospace&Defense 42 5,622 -1.09% -3.39% 3.37%

6 TLT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15 17,661 -0.99% -3.2% -5.18%

7 PKB Invesco Dynamic Building&Construction 58 109 -0.93% -3.17% 4.54%

8 SPTL SPDR Portfolio Long Term Treasury 6 1,860 -1.07% -3.14% -5.19%

9 VGLT Vanguard Long-Term Treasury 7 1,577 -0.76% -2.92% -4.88%

10 ITB iShares U.S. Home Construction 42 1,027 -0.56% -2.32% 4.47%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천연가스 및 브라질 ETF

선전

미국 장기채 위주로 낮은

수익률 기록

Page 21: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21

12월에만 총 26개의 상품이 신규 출시되면서 올해 미국 신규 상장 종목수는

총 211개로 마감했다. ‘17년부터 연간 신규상장 수가 200개를 웃돌고 있으나

연간 성장률은 다소 정체된 상태이다. 반면, 작년 상장폐지 수는 109개로

‘17년 이후 다시 100개를 상회했다. 포화상태에 진입한 ETF 시장에서 경쟁

에서 밀려 비용으로 전락한 상품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해석된다.

국내 ETF 시장도 작년에만 총 47종목이 상장되었는데, 주로 국내 주식형과

채권형 상품이 다수를 차지했다. 그 외에도 대체자산에 속하는 부동산 상품

이 큰 인기를 얻었으며, 자체 자산배분 비율을 유지하는 상품도 출시되었다.

폐지 종목 수도 총 11개로 1종목이 폐지된 ‘18년과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도표 23. 최근 3개월 미국 신규 상장 ETF List (단위: 백만 $, bps)

상장일자 티커 ETF명 발행사 자산군 분류 AUM 총보수 비고

2019-12-27 DWUS Advisorshares Dorsey Wright FSM US Core Advisorshares U.S. Equity - Large-cap 28.9 114 액티브

2019-12-27 DWAW Advisorshares Dorsey Wright FSM All Cap World Advisorshares Global Equity - Broad Market 2.5 114 액티브

2019-12-27 DVOP Source Dividend Opportunity Source U.S. Equity - Large-cap 2.5 50 액티브

2019-12-23 FLSP Franklin Liberty Systematic Style Premia Franklin Templeton U.S. Fixed Income - Aggregate 10.0 65 액티브

2019-12-18 SPUS SP Funds S&P Sharia Industry Exclusions Toroso U.S. Equity - Large-cap 2.5 49

2019-12-18 RAFE PIMCO Rafi ESG US PIMCO U.S. Equity - Broad Market 13.0 29

2019-12-18 SPSK SP Funds Dow Jones Global Sukuk Toroso Global Fixed Income - Aggregate 10.0 65

2019-12-17 AESR Anfield US Equity Sector Rotation Northern Lights U.S. Equity - Broad Market 1.0 142 액티브

2019-12-17 IQSU IQ Candriam ESG US Equity New York Life U.S. Equity - Broad Market 5.0 9

2019-12-17 IQSI IQ Candriam ESG International Equity New York Life U.S. Equity - Broad Market 10.1 15

2019-12-13 RPAR RPAR Risk Parity Toroso Global Mixed Allocation - Global Allocation 2.5 50 액티브

2019-12-10 EMNT PIMCO Enhanced Short Maturity Active ESG PIMCO Global Fixed Income - Aggregate 17.0 24 액티브

2019-12-09 KDFI KFA Dynamic Fixed Income KraneShares U.S. Fixed Income - Government 2.5 45

2019-12-05 BBIN JP Morgan Betabuilders International Equity JPMorgan Global(ex US) Equity - Large-cap 20.1 7

2019-12-04 AFLG First Trust Active Factor Large Cap First Trust U.S. Equity - Large-cap 2.0 55 액티브

2019-12-04 AFMC First Trust Active Factor Mid Cap First Trust U.S. Equity - Mid-cap 2.0 65 액티브

2019-12-04 AFSM First Trust Active Factor Small Cap First Trust U.S. Equity - Small-cap 2.0 75 액티브

2019-12-04 URNM Northshore Global Uranium Mining Cottonwood Global Equity - Broad Market 2.5 85

2019-12-02 UDEC Innovator S&P 500 Ultra Buffer-December Innovator Capital U.S. Equity - Broad Market 2.6 79 액티브

2019-12-02 PDEC Innovator S&P 500 Power Buffer-December Innovator Capital U.S. Equity - Broad Market 2.6 79 액티브

2019-12-02 BDEC Innovator S&P 500 Buffer-December Innovator Capital U.S. Equity - Broad Market 2.6 79 액티브

2019-12-02 TPSC Timothy Plan US Small Cap Core Timothy Partners U.S. Equity - Small-cap 10.2 52

2019-12-02 TPIF Timothy Plan International Timothy Partners U.S. Equity - Broad Market 23.0 52

2019-11-19 PFLD AAM Low Duration Preferred&Income Securities Advisors U.S. Fixed Income - Preferred 0.0 45

2019-11-18 DNOV FT Cboe Vest US Equity Deep Buffer-November First Trust U.S. Equity - Broad Market 3.1 85 액티브

2019-11-18 FNOV FT Cboe Vest US Equity Buffer-November First Trust U.S. Equity - Broad Market 3.1 85 액티브

자료 : ETF.com,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상장종목 수는 연간

기준으로 정체된 상태

‘19년 국내에서 총

11종목이 폐지

Page 22: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22

도표 24. 최근 3개월 미국 신규 상장 ETF List(Continued) (단위: 백만 $, bps)

상장일자 티커 ETF명 발행사 자산군 분류 AUM 총보수 비고

2019-11-15 MOTO SmartETFs Smart Transportation/Technology Guiness Atkinson U.S. Equity - Broad Market Growth 2.5 68 액티브

2019-11-14 DIET Defiance Next Gen Food&Agriculture Defiance Global Equity - Broad Market 2.5 30

2019-11-14 MTGP Wisdomtree Mortgage Plus Bond Wisdomtree U.S. Fixed Income - Mortgage-Backed 10.1 45 액티브

2019-11-07 TDV Proshares S&P Technology Dividend Aristocrats Proshares U.S. Equity - Broad Market 4.0 35

2019-11-07 TMDV Proshares Russell US Dividend Growth Proshares U.S. Equity - Broad Market 4.0 35

2019-11-07 FAUG FT Cboe Vest US Equity Buffer-August First Trust U.S. Equity - Broad Market 3.0 85 액티브

2019-11-07 DAUG FT Cboe US Equity Deep Buffer-August First Trust U.S. Equity - Broad Market 3.0 85 액티브

2019-11-07 WEBS Direxion Daily Dow Jones Internet Bear 3X Rafferty U.S. Equity - Broad Market 2.5 95 -3x

2019-11-07 WEBL Direxion Daily Dow Jones Internet Bull 3X Rafferty U.S. Equity - Large-cap 2.5 95 3x

2019-11-07 HIBS Direxion Daily S&P 500 High Beta Bear 3X Rafferty U.S. Equity - Broad Market 2.5 95 -3x

2019-11-07 HIBL Direxion Daily S&P 500 High Beta Bull 3X Rafferty U.S. Equity - Broad Market 2.5 95 3x

2019-11-07 FCPI Fidelity Stocks For Inflation Fidelity U.S. Equity - Broad Market 2.5 29

2019-11-04 ROMO Strategy Shares Newfound/ReSolve Robust Momentum Strategy Shares Global Equity - Broad Market 2.5 87

2019-11-01 UNOV Innovator S&P Ultra Buffer-November Innovator Capital U.S. Equity - Broad Market 2.6 79 액티브

2019-11-01 PNOV Innovator S&P Power Buffer-November Innovator Capital U.S. Equity - Broad Market 2.6 79 액티브

2019-11-01 BNOV Innovator S&P 500 Buffer-November Innovator Capital U.S. Equity - Broad Market 2.6 79 액티브

2019-10-25 HERO Global X Video Games&Esport Global X Global Equity - Broad Market 1.5 50

2019-10-25 BUG Global X Cybersecurity Global X Global Equity - Broad Market 1.6 50

2019-10-25 GXTG Global X Thematic Growth Global X U.S. Equity - Broad Market Growth 2.5 50

2019-10-23 PTBD Pacer Trendpilot US Bond Pacer Financials U.S. Fixed Income - Aggregate 5.0 60

2019-10-17 WIZ Merlyn AI Bull-Rider Bear-Fighter Empirical Finance Global Mixed Allocation - Dynamic Allocation 2.5 60

2019-10-10 SCHJ Schwab 1-5 Year Corporate Bond Charles Schwab U.S. Fixed Income - Corporate 24.9 6

2019-10-10 SCHI Schwab 5-10 Year Corporate Bond Charles Schwab U.S. Fixed Income - Corporate 24.8 6

2019-10-10 QQH HCM Defender 100 Index Howard CM U.S. Mixed Allocation - Moderate Allocation 2.5 125

2019-10-10 LGH HCM Defender 500 Index Howard CM U.S. Mixed Allocation - Moderate Allocation 2.5 125

2019-10-08 VALT ETFMG Sit Ultra Short ETF Managers U.S. Fixed Income - Aggregate 5.0 30 액티브

2019-10-07 XOUT Graniteshares XOUT US Large Cap GraniteShares U.S. Equity - Large-cap 2.5 60

2019-10-01 WWJD Inspire International ESG Inspire Global(ex US) Equity - Large-cap 2.5 80

2019-10-01 OVS Overlay Shares Small Cap Equity Liquid Strategies U.S. Equity - Small-cap 2.5 75 액티브

2019-10-01 OVM Overlay Shares Municipal Bond Liquid Strategies U.S. Fixed Income - Municipals 2.5 75 액티브

2019-10-01 OVL Overlay Shares Large Cap Equity Liquid Strategies U.S. Equity - Large-cap 2.5 75 액티브

2019-10-01 OVB Overlay Shares Core Bond Liquid Strategies U.S. Fixed Income - Aggregate 2.5 75 액티브

2019-10-01 NOCT Innovator Nasdaq 100 Power Buffer - October Innovator U.S. Equity - Large-cap 3.1 79 액티브

2019-10-01 KOCT Innovator Russell 2000 Power Buffer - October Innovator U.S. Equity - Broad Market 2.4 79 액티브

2019-10-01 OVF Overlay Shares Foreign Equity Liquid Strategies Global(ex US) Equity - Broad Market 2.5 75 액티브

자료 : ETF.com,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Page 23: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23

도표 25. 미국 ETF 상장 추이 도표 26. 올해 상장된 미국 ETF 자산군별 분류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도표 27. 최근 3개월 국내 신규 상장 ETF List (단위: 억 원, bps)

상장일자 티커 ETF명 발행사 자산군 분류 AUM 총보수 비고

2019-12-27 A342140 KINDEX 모닝스타싱가포르리츠채권혼합 한국투자신탁 혼합자산-채권+리츠 150 40

2019-12-19 A342600 KBSTAR KRX국채선물3년10년스티프너2X 케이비자산 채권-국공채 70 20 2x

2019-12-19 A342500 KBSTAR KRX국채선물3년10년스티프너 케이비자산 채권-국공채 70 15

2019-12-19 A342620 KBSTAR KRX국채선물3년10년플래트너2X 케이비자산 채권-국공채 70 20 2x

2019-12-19 A342610 KBSTAR KRX국채선물3년10년플래트너 케이비자산 채권-국공채 70 15

2019-11-14 A337150 KODEX 200exTOP 삼성자산 주식-규모-대형주 494 30

2019-11-14 A337140 KODEX 코스피대형주 삼성자산 주식-규모-대형주 100 15

2019-11-14 A337160 KODEX 200ESG 삼성자산 주식-전략-전략테마 80 30

2019-11-14 A337120 KODEX Fn멀티팩터 삼성자산 주식-전략-혼합/퀀트 100 30

2019-10-29 A336160 KBSTAR 금융채액티브 케이비자산 채권-회사채-중기 510 7

자료 : 한국거래소,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도표 28. 국내 ETF 상장 추이 도표 29. 올해 상장된 국내 ETF 자산군별 분류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0

5

10

15

20

25

30

0

200

400

600

800

1,000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AUM 상장 수(우)(백만 $) (개)

미국주식형

51.9%

글로벌주식형

22.9%

미국채권형17.8%

글로벌

채권형4.2%

기타

3.3%

0

1

2

3

4

5

6

7

8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AUM 상장 수(우)(개)(억 원)

국내

주식형59.6%

글로벌주식형

2.1%

국내

채권형10.6%

글로벌

채권형6.4%

기타21.3%

Page 24: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24

도표 30. 최근 3개월 미국 폐지 ETF List (단위: 백만 $, bps)

폐지일자 티커 ETF명 발행사 자산군 분류 AUM 총보수 비고

2019-12-30 TCLD Tortoise Cloud Infrastructure Tortoise Global Equity - Broad Market 4.21 40

2019-12-26 VIDG Defiance Next Gen Video Gaming Defiance Global Equity - Broad Market 3.7 40

2019-12-26 GDG Gadsden Dynamic Growth Gadsden Global Equity - Broad Market 1.86 59 액티브

2019-12-16 TWAR Innovation Alpha Trade War Innovation Alpha Global Equity - Broad Market 1.43 81

2019-12-16 INAU Innovation Alpha US Innovation Alpha U.S. Equity - Large-cap 1.43 81

2019-12-16 INAG Innovation Alpha Global Innovation Alpha Global Equity - Broad Market 1.42 81

2019-12-16 IBDK iShares iBonds Dec 2019 Term Corporate Blackrock U.S. Fixed Income - Corporate 601.97 10

2019-12-16 BSJJ Invesco Bulletshares 2019 High Yield Invesco U.S. Fixed Income - Corporate 647.74 42

2019-12-16 BSCJ Invesco Bulletshares 2019 Corporate Bond Invesco U.S. Fixed Income - Corporate 857.83 10

2019-12-13 SIZ AGFiQ US Market Neutral Size AGF U.S. Alternative - Equity Hedge 0.87 75

2019-12-12 USOD United States 3X Short Oil Fund US Commodity U.S. Commodity - Energy 3.95 219 -3x

2019-12-12 USOU United States 3X Oil Fund US Commodity U.S. Commodity - Energy 16.33 184 3x

2019-12-11 TUZ Pimco 1-3 Yr US Treasury PIMCO U.S. Fixed Income - Government 50.92 15

2019-11-22 XLUY Cushing Utility & MLP Cushing U.S. Equity - Large-cap 1.04 65

2019-11-22 XLTY Cushing Transportation & MLP Cushing U.S. Equity - Broad Market 0.48 65

2019-11-22 XLSY Cushing Energy Supply Chain Cushing U.S. Equity - Large-cap 0.48 65

2019-11-22 XLEY Cushing Energy & MLP Cushing U.S. Equity - Large-cap 1.13 65

2019-11-20 PRID Insightshares LGBT

Employment Equality Insightshares U.S. Equity - Broad Market 2.74 65

2019-11-20 HONR Insightshares Patriotic Employers Insightshares U.S. Equity - Broad Market 1.38 65

2019-11-15 COMG Graniteshares S&P GSCI Commodity

Broad Strategy No K-1 Graniteshares Global Commodity - Broad Based 6.58 35 액티브

2019-11-12 IGVT Xtrackers Barclays International

Treasury Bond Hedged Deutsche Global(ex US) Fixed Income - Government 5.19 25

2019-11-12 DESC Xtrackers Russell 2000

Comprehensive Factor Deutsche U.S. Equity - Small-cap 10.44 30

2019-11-12 DEMG Xtrackers FTSE Emerging

Comprehensive Factor Deutsche Global(ex US) Equity - Broad Market 3.6 50

2019-11-12 DBKO Xtrackers MSCI South Korea

Hedged Equity Deutsche South Korea Equity - Large-cap 5.48 58

2019-10-22 BCNA Reality Shares Nasdaq

NexGen Economy China

Reality

Shares China Equity - Broad Market 2.1 78

2019-10-22 DQML Reality Shares Fundstrat

DQM Long

Reality

Shares U.S. Equity - Large-cap 2.61 69

2019-10-21 XMX Wisdomtree Global Ex-Mexico Wisdomtree Global Equity - Large-cap 3.01 20

2019-10-18 YMLI VanEck High Income Infrastructure MLP VanEck U.S. Equity - Broad Market 12.97 86

2019-10-11 TYNS Direxion Daily 7-10 Year

Treasury Bear 1X Rafferty U.S. Fixed Income - Government 1.3 45 -1x

2019-10-11 HYDD Direxion Daily HY Bear 2X Rafferty U.S. Fixed Income - Corporate 3.23 80 -2x

2019-10-11 EUXL Direxion Daily Euro Stoxx50 Bull 3X Rafferty Eurozone Equity - Large-cap 2.7 95 3x

2019-10-04 FNG Advisorshares New Tech and Media AdvisorShares U.S. Equity - Broad Market 10.12 85 액티브

자료 : ETF.com,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Page 25: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25

도표 31. 미국 ETF 폐지 추이 도표 32. 올해 폐지된 미국 ETF 자산군별 분류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도표 33. 최근 3개월 국내 폐지 ETF List (단위: 억 원, bps)

폐지일자 티커 ETF명 발행사 자산군 분류 AUM 총보수 비고

2019-12-11 A295840 ARIRANG 200 밸류가중 한화자산운용 주식-전략 8.62 30

2019-12-11 A295880 ARIRANG 200 퀄리티가중 한화자산운용 주식-전략 8.72 30

2019-12-11 A295890 ARIRANG 200 로우볼가중 한화자산운용 주식-전략 8.8 30

2019-12-11 A295860 ARIRANG 200 모멘텀가중 한화자산운용 주식-전략 8.46 30

자료 : 한국거래소,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도표 34. 국내 ETF 폐지 추이 도표 35. 올해 폐지된 국내 ETF 자산군별 분류

자료 : 한국거래소,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 한국거래소,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0

2

4

6

8

10

12

14

0

500

1,000

1,500

2,000

2,500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AUM 폐지 수(우)

(백만 $) (개)미국

주식형29.4%

글로벌

주식형43.1%

미국

채권형10.1%

글로벌채권형

3.7%

원자재3.7%

기타

10.1%

0

1

2

3

4

5

0

50

100

150

200

250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AUM 폐지 수(우)

(억 원) (개)

국내주식형

45.5%

글로벌

주식형27.3%

국내채권형

18.2%

기타

9.1%

Page 26: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26

도표 36. 주요 ETF 수익률 추이 (단위: 백만 $)

분류 티커 추종지수 AUM 1W 수익률 1M 수익률 3M 수익률 YTD 수익률

지역

글로벌 ACWI MSCI All Country World 11,253 0.23% 3.43% 11.89% 26.58%

선진국 URTH MSCI World 937 0.25% 3.04% 12% 28.14%

신흥국 IEMG MSCI EM Investable Market 61,817 0.79% 7.46% 13.66% 17.79%

Frontier FM MSCI Frontier Markets 100 508 -0.16% 4.37% 9.43% 19.85%

아시아 AAXJ MSCI All Country Asia ex Japan 4,120 0.95% 6.89% 13.42% 17.92%

라틴 ILF S&P Latin America 40 1,486 0.27% 9.62% 12.62% 13.76%

아프리카 AFK MVIS GDP Africa 50 1.43% 5.21% 8.98% 9.81%

유럽(선진) VGK FTSE Developed Europe All Cap 14,713 0.88% 4.51% 13.99% 24.85%

북미

S&P500 SPY S&P 500 311,968 0.2% 2.9% 12.28% 31.22%

나스닥 QQQ NASDAQ 100 87,067 0.33% 3.89% 15.77% 38.96%

캐나다 EWC MSCI Canada Custom Capped 2,817 0.78% 2.22% 7.87% 27.56%

멕시코 EWW MSCI Mexico IMI 25/50 938 -1.05% 4.45% 8.85% 12.64%

유럽

영국 EWU MSCI United Kingdom 2,612 1.25% 5.37% 14.93% 21.25%

독일 EWG MSCI Germany 2,110 0.31% 1.59% 12.86% 19.15%

프랑스 EWQ MSCI France 808 0.89% 3.54% 13.11% 26.67%

스페인 EWP MSCI Spain 25/50 938 0.52% 4.33% 9.51% 11.91%

스위스 EWL MSCI Switzerland 25/50 1,234 0.44% 4.47% 11.74% 31.58%

이탈리아 EWI MSCI Italy 25/50 349 -0.3% 2.82% 11.51% 26.97%

오스트리아 EWO MSCI Austria IMI 25/50 78 -0.02% 3.04% 11.14% 17.07%

벨기에 EWK MSCI Belgium IMI 25/50 53 0.83% 3.53% 10.26% 25.92%

덴마크 EDEN N/A 38 0.99% 5.67% 17.31% 24.37%

핀란드 EFNL MSCI Finland IMI 25/50 30 1.28% 5.56% 9.5% 13.64%

네덜란드 EWN MSCI Netherlands IMI 25/50 216 0.92% 4.29% 11.77% 32.46%

노르웨이 ENOR MSCI Norway IMI 25/50 24 1.08% 8.18% 12.38% 12.78%

포르투갈 PGAL MSCI All Portugal Plus 25/50 22 1.32% 3.95% 12.63% 14.39%

스웨덴 EWD MSCI Sweden 25/50 227 -0.81% 5.02% 17.84% 21.74%

아일랜드 EIRL MSCI All Ireland Capped 69 1.17% 3.95% 16.43% 28.15%

그리스 GREK MSCI All Greece Select 25/50 327 2.26% 4.01% 15.8% 50.2%

폴란드 EPOL MSCI Poland IMI 25/50 289 1.79% 2.8% 7.24% -6.14%

러시아 ERUS MSCI Russia 25/50 613 0.73% 8.77% 18.05% 49.33%

터키 TUR MSCI Turkey IMI 374 1.12% 3.21% 4.91% 14.41%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Page 27: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27

도표 37. 주요 ETF 수익률 추이(Continued) (단위: 백만 $, 억 원)

분류 티커 추종지수 AUM 1W 수익률 1M 수익률 3M 수익률 YTD 수익률

아시아

일본 EWJ MSCI Japan 14,136 -0.49% 0.86% 7.44% 19.33%

호주 EWA MSCI Australia 1,653 -0.04% 1.15% 7.66% 22.41%

홍콩 EWH MSCI Hong Kong 1,763 1.08% 4.25% 8.3% 10.71%

싱가포르 EWS MSCI Singapore 25/50 561 0.79% 3.11% 8.9% 14.53%

뉴질랜드 ENZL MSCI New Zealand IMI 25/50 185 0.12% 5.55% 14.17% 30.1%

중국 FXI FTSE China 50 4,659 1.18% 8.55% 12.03% 14.87%

인도 INDA MSCI India TR 5,544 -0.23% 2.1% 7.79% 6.49%

인도네시아 EIDO MSCI Indonesia IMI 500 0.08% 6.98% 7.92% 5.3%

한국 EWY MSCI Korea 25/50 4,703 1.6% 8.67% 15.48% 7.95%

말레이시아 EWM MSCI Malaysia 485 0.25% 4.69% 4.31% -1.42%

파키스탄 PAK MSCI All Pakistan Select 25/50 56 2.12% 4.25% 26.8% 0.94%

필리핀 EPHE MSCI Philippines IMI 245 0.5% 1.15% 5.44% 8.5%

대만 EWT MSCI Taiwan 25/50 3,712 0.66% 6.87% 16.5% 33.33%

태국 THD MSCI Thailand IMI 25/50 507 0.99% 0.98% 0.91% 8.33%

베트남 VNM MVIS Vietnam 443 0.98% 1.08% 0.83% 9.24%

중동&

아프리카

이스라엘 EIS MSCI Israel Capped 118 0.46% -0.71% 8.84% 20.94%

이집트 EGPT MVIS Egypt 31 0.68% -0.68% -3.12% 6.83%

카타르 QAT MSCI All Qatar Capped 72 -0.28% 1.66% 1.48% -0.33%

남아공 EZA MSCI South Africa 25/50 398 0.8% 8.87% 14.82% 9.62%

나이지리아 NGE MSCI All Nigeria Select 25/50 38 1.33% -0.42% 6.01% -13.55%

UAE UAE MSCI All UAE Capped 61 -0.63% 0% 0.31% 1.58%

사우디 KSA MSCI Saudi Arabia IMI 25/50 826 -1.84% 6.64% 5.31% 9.3%

남미

브라질 EWZ MSCI Brazil 25/50 11,006 1.9% 13.38% 18.07% 27.65%

칠레 ECH MSCI Chile IMI 25/50 523 -0.48% 11.38% -9.99% -17.79%

콜롬비아 ICOL MSCI All Colombia Capped 23 -0.11% 12.53% 12.54% 28.64%

페루 EPU MSCI All Peru Capped 149 1.26% 8.87% 10.67% 7.31%

아르헨티나 AGT MSCI All Argentina 25/50 18 -1.65% 12.82% 17.71% 14.78%

국내

섹터

경기소비재 227560 KOSPI 200 경기소비재 40 1.2% 1.76% 5.82% -7.83%

생활소비재 139290 KOSPI 200 생활소비재 69 1.68% 4.9% 4.1% 8.58%

에너지/화학 139250 KOSPI 200 에너지화학 172 1.38% 5.35% 5.9% -6.2%

금융 139270 KOSPI 200 금융 181 0.36% 6.08% 9.62% 0.55%

헬스케어 227540 KOSPI 200 헬스케어 76 3.49% 7.15% 18.57% -8.42%

산업재 227550 KOSPI 200 산업재 48 1.22% 1.53% 0% 2.08%

철강소재 139240 KOSPI 200 철강소재 48 1.52% 4.48% -0.62% -10.03%

정보기술 139260 KOSPI 200 정보기술 2,949 2.37% 10.14% 14.93% 25.91%

건설 139220 KOSPI 200 건설 81 1.9% 3.66% -1.22% -15.98%

중공업 139230 KOSPI 200 중공업 173 1.07% 4.24% -4.88% -11.97%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주: 국내 섹터 AUM 단위는 억 원

Page 28: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28

도표 38. 주요 ETF 수익률 추이(Continued) (단위: 백만 $)

분류 티커 추종지수 AUM 1W 수익률 1M 수익률 3M 수익률 YTD 수익률

미국

섹터

자유소비재 XLY S&P Consumer Discre. Select 14,338 0.71% 2.76% 7.06% 28.39%

소매 XRT S&P Retail Select 244 0.63% 3.46% 12.74% 14.12%

주택건설 XHB S&P Homebuilders Select 756 -0.39% -0.67% 6.67% 41.3%

미디어 PBS Dynamic Media Intellidex 43 -0.37% 3.04% 10.92% 20.18%

필수소비재 XLP S&P Consumer Staples 13,544 0.11% 2.41% 5.77% 27.43%

식음료 PBJ Dynamic F&B Intellidex 72 0.15% 1.4% 0.55% 17.5%

에너지 XLE S&P Energy Select 11,010 -0.19% 6.03% 10.69% 11.74%

석유/천연가스

장비&서비스 XES S&P Oil&Gas Equipment Select 185 -0.86% 18.8% 19.85% -9.03%

석유/천연가스

탐사&생산 XOP

S&P Oil&Gas

Exploration&Production Select 2,685 0% 16.91% 13.61% -9.44%

금융 XLF S&P Financial Select 24,426 0.33% 2.61% 15.22% 31.88%

은행 KBE S&P Banks Select 1,777 -0.15% 3.05% 14.39% 29.78%

보험 KIE S&P Insurance Select 907 0.44% 0.29% 5.06% 27.19%

투자/증권 KCE S&P Capital Markets Select 39 -0.41% 0.55% 15.49% 27.13%

지방은행 KRE S&P Regional Banks Select 2,026 -0.22% 4.26% 15.02% 27.45%

헬스케어 XLV S&P Health Care Select 20,117 -0.44% 3.48% 17.05% 20.44%

헬스케어 장비 XHE S&P Select Health Care Equip 575 -0.81% 0.38% 14.69% 22.31%

헬스케어 서비스 XHS S&P Health Care Services Select 99 -0.19% 2.55% 22.28% 18.8%

생명과학 XBI S&P Biotechnology Select 4,404 -3.4% 1.56% 26.54% 32.56%

제약 XPH S&P Pharmaceuticals Select 236 -1.85% 11.75% 32.01% 25.62%

산업재 XLI S&P Industrial 10,485 -0.38% -0.2% 10.13% 29.09%

운송 XTN S&P Transportation Select 129 -0.69% -0.09% 10.05% 21.86%

항공/방산 XAR S&P Aerospace&Defense Select 1,895 -0.67% -1.47% 6.34% 39.33%

소재 XLB S&P Materials Select 3,710 0.49% 2.86% 10.66% 24.13%

금속&광산 XME S&P Metals&Mining Select 581 0.48% 6.35% 18% 14.7%

정보기술 XLK S&P Technology Select 26,570 0.47% 4.32% 17.48% 49.86%

반도체&장비 XSD S&P Semiconductor Select 508 -0.72% 8.41% 21.9% 64.65%

기술 하드웨어 XTH S&P Technology Hardware Select 4 0.05% 3.32% 14.48% 35.87%

소프트웨어 XSW S&P Software&Services Select 234 -0.39% -1.1% 11.62% 36.5%

인터넷 XWEB S&P Internet Select 19 0.07% 0.74% 7.29% 8.16%

유틸리티 XLU S&P Utilites Select 10,888 0.84% 3.29% 2.18% 25.92%

부동산 XLRE Real Estate Select 3,605 1.6% 1.13% 0.85% 28.69%

통신 XTL S&P Select Telecom 51 0.06% 1.45% 8.72% 12.51%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Page 29: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29

도표 39. 주요 ETF 수익률 추이(Continued) (단위: 백만 $)

분류 티커 추종지수 AUM 1W 수익률 1M 수익률 3M 수익률 YTD 수익률

글로벌

섹터

자유소비재 RXI S&P Global 1200 Consumer Discr. 221 0.37% 2.49% 8.92% 26.77%

필수소비재 KXI S&P Global 1200 Consumer Staples 817 0.23% 2.29% 4.85% 23.39%

에너지 IXC S&P Global 1200 Energy 847 0% 5.43% 10.54% 12.6%

금융 IXG S&P Global 1200 Financials 509 0.51% 3.4% 12.88% 24.6%

헬스케어 IXJ S&P Global 1200 Healthcare 2,122 -0.48% 3.35% 16.61% 23.22%

산업재 EXI S&P Global 1200 Industrials 273 -0.4% 0.69% 11.43% 27.13%

소재 MXI S&P Global 1200 Materials 382 0.56% 4.33% 12.67% 22.2%

정보기술 IXN S&P Global 1200 IT 3,325 0.66% 4.85% 17.9% 47.87%

유틸리티 JXI S&P Global 1200 Utilities 194 0.74% 4.27% 4.14% 23.92%

부동산 VNQI S&P Global ex-U.S. Property 5,875 1.49% 3.92% 8.1% 21.6%

통신 IXP S&P Global 1200 Telecomm. 314 -0.28% 2.5% 10.07% 25.2%

인프라 IGF S&P Global Infrastructure 3,482 0.1% 4.04% 6.59% 25.81%

채권 US 종합 AGG Bloomberg Barclays U.S. Agg 69,278 -0.01% -0.05% -0.13% 8.46%

미국

국채

1-3년 SHY ICE U.S. Treasury 1-3 Year 17,732 0.13% 0.15% 0.2% 3.38%

3-7년 IEI ICE U.S. Treasury 3-7 Year 9,699 0.17% -0.16% -0.73% 5.7%

7-10년 IEF ICE U.S. Treasury 7-10 Year 17,640 -0.14% -0.93% -2.03% 8.03%

10-20년 TLH ICE U.S. Treasury 10-20 Year 964 -0.53% -1.98% -3.75% 10.11%

20+년 TLT ICE U.S. Treasury 20+ Year 17,311 -0.99% -3.2% -5.18% 14.12%

미국

채권

투자등급 LQD Markit iBoxx $ Liquid IG 35,063 0.09% 0.53% 1.38% 17.37%

변동금리 FLOT Bloomberg Barclays U.S. FR Note 9,758 0.06% 0.24% 0.67% 3.97%

하이일드 HYG Markit iBoxx $ Liquid HY 19,024 0.13% 1.91% 3.32% 14.09%

TIPS TIP Bloomberg Barclays U.S. TIPS 20,796 0.03% 0.35% 0.42% 8.35%

MBS MBB Bloomberg Barclays U.S. MBS 21,123 0.12% 0.21% 0.39% 6.18%

지방채 MUB S&P National AMT-Free Muni. 15,342 -0.02% 0.26% 0.39% 7.06%

이머징

채권

이머징 종합 EMB JPMorgan EMBI Global Core 15,799 0.25% 2.95% 3.07% 15.48%

이머징 HY EMHY Morningstar EM High Yield 357 0.13% 3.2% 4.01% 12.97%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Page 30: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30

도표 40. 주요 ETF 수익률 추이(Continued) (단위: 백만 $)

분류 티커 추종지수 AUM 1W 수익률 1M 수익률 3M 수익률 YTD 수익률

원자재 원자재 종합 DBC DBIQ Optimum Yield Diversified 1,429 0.13% 5.85% 8.76% 11.84%

에너지

원유 USO Front Month Light Sweet Crude 1,197 0.31% 10.24% 16.67% 32.61%

천연가스 UNG Front Month Natural Gas 438 -0.94% -5.44% -12.91% -31.77%

가솔린 UGA Front Month Unleaded Gasoline 29 -1.78% 5.58% 12.76% 41.25%

농축산물

종합 DBA DBIQ Diversified Agriculture 348 1.35% 4.16% 6.2% -0.7%

곡물 JJG Bloomberg Grains Subindex 19 1.32% 4.6% 3.58% -1.59%

밀 WEAT Wheat Futures Contract 52 2.99% 3.21% 11.64% -1.35%

옥수수 CORN Corn Futures Contract 75 -0.07% 1.93% -2.25% -7.79%

콩 SOYB Soybean Futures Contract 28 0.83% 6.24% 1.21% -2.16%

원당 SGG Bloomberg Sugar Subindex 19 0.38% 4.04% 4.92% 1.73%

커피 JO Bloomberg Coffee Subindex 63 -0.29% 8.33% 25.14% 11.46%

원면 BAL Bloomberg Cotton Subindex 10 0.66% 5.86% 10.19% -6.92%

코코아 NIB Bloomberg Cocoa Subindex 56 5.13% -1.02% 2.95% 4.27%

축산물 COW Bloomberg Livestock Subindex 35 0.68% 1.53% 1.64% -6.12%

귀금속

종합 GLTR Silver, Gold, Platinum, Palladium 499 1.28% 4.36% 3.48% 20.96%

금 GLD Gold Spot 43,725 1.15% 3.66% 1.16% 17.86%

은 SLV Silver Spot 6,541 0.6% 4.77% 1.52% 14.88%

팔라듐 PALL Palladium Spot 300 3.74% 5.96% 15.14% 53.94%

백금 PPLT Platinum Spot 713 2.11% 7.5% 8.51% 20.85%

산업

금속

종합 DBB DBIQ Optimum Yield Industrial 117 -0.2% 2.09% 4.05% -1.16%

구리 JJC Bloomberg Copper Subindex 14 -0.78% 5.57% 8.58% 6.73%

알루미늄 JJU Bloomberg Aluminum Subindex 5 -0.92% 1.88% 5.2% -4.78%

니켈 JJN Bloomberg Nickel Subindex 7 -1.44% 3.53% -19.7% 33.15%

통화

달러 UUP DB Long USD Futures 228 -1.1% -1.56% -1.85% 4.09%

유로화 FXE USD/EUR Exchange Rate 287 1.15% 1.71% 2.08% -2.9%

일본 엔화 FXY USD/JPY Exchange Rate 192 0.67% 0.67% -1.44% 0.37%

중국 위안화 FXCH USD/CNH Exchange Rate 4 0.55% 0.92% 2.48% -1.92%

영국 파운드화 FXB USD/GBPS Exchange Rate 167 2.13% 2.42% 7.71% 3.87%

스웨덴 크로나 FXS USD/SEK Exchange Rate 15 0.52% 2.32% 5.03% -6.96%

호주 달러 FXA USD/AUD Exchange Rate 91 1.31% 3.74% 4.66% 0.13%

캐나다 달러 FXC USD/CAD Exchange Rate 118 1.35% 2.35% 2.75% 5.94%

스위스 프랑 FXF USD/CHF Exchange Rate 133 1.24% 3.15% 2.6% 0.32%

싱가포르 달러 FXSG USD/SGD Exchange Rate 4 1.18% 2.14% 3.47% 2.58%

이머징 통화 CEW Actively Managed 19 0.79% 2.99% 3.81% 4.81%

대체

자산

VIX SVXY S&P 500 VIX Short-term Futures 284 -0.91% 3.46% 29.42% 54.21%

자산배분 GAA Cambria Global Asset AllocatIon 65 -0.05% 1.89% 5.34% 15.11%

헤지펀드 QAI IQ Hedge Multi-Strategy 849 0.12% 1.71% 3.62% 8.68%

MLP AMLP Alerian MLP 7,958 -1.16% 8.56% -3.34% 5.98%

자료 : Bloomberg,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Page 31: &5' e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15105350__00.pdf · &5' 3&1035 ] *otjef &5' )pmejoh 1fsjpe Ý & )Õ u Ý y &5' = a ½ í &5' u z ¡ * 5 ljn obn ip!tijozpvoh dpn

ETF 분석

31

Compliance Notice

이 조사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각종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 조사자료는 당사의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이 조사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이 조사자료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 할 수 없습니다.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