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Date post: 15-Jan-2020
Category:
Upload: others
View: 4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23
1 ABSTRACT A goal of this paper is to provide with marketing strategies for laver’s consumption extension by analyzing consumption behavior and pattern for laver. To suggest the marketing strategies, this paper, first of all, examine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ructures for the Korean laver industries. Secondly, this paper analyzes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laver’s consumption history. In particular, to understand the laver’s consumption pattern and history, this paper carried out literatures reviews,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consumer survey. As results obtained from the above approaches, this paper discovered that the consumption pattern of laver had respectiv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period. In particular, period prior to the 1960s can be defined as ‘unusual-item stage’ period of the 1960s and 1970s, called as ‘high rank food stage’ period of the 1980s and 1990s,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ABSTRACT Ⅰ. 서 Ⅱ. 김의 생산 및 유통구조 Ⅲ. 김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이 논문은 2009년도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원
Transcript
Page 1: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1

ABSTRACTA goal of this paper is to provide with marketing strategies for laverrsquos consumption extension by analyzing consumption behavior and pattern for laver

To suggest the marketing strategies this paper first of all examine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ructures for the Korean laver industries Secondly this paper analyzes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laverrsquos consumption history In particular to understand the laverrsquos consumption pattern and history this paper carried out literatures reviews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consumer survey

As results obtained from the above approaches this paper discovered that the consumption pattern of laver had respectiv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period In particular period prior to the 1960s can be defined as lsquounusual-item stagersquo period of the 1960s and 1970s called as lsquohigh rank food stagersquo period of the 1980s and 1990s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ABSTRACTⅠ 서 론Ⅱ 김의 생산 및 유통구조

Ⅲ 김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Ⅳ 결론 및 시사점참고문헌

목 차

이 논문은 2009년도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음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원

2

21

called as lsquopopular food stagersquo and period of the 2000s called as lsquowell-being food stagersquo In addition the survey on laverrsquos consumption behavior showed that the younger the age the higher preference The reason for laverrsquos preference was due to lsquoconveniencersquo lsquohealthrsquo and lsquogood tastersquo In particular preference of dried laver was increased because of concern on food security of seasoned and roasted laver Purchasing information for laver mainly depended on lsquoWord of Mouthrsquo

In conclusion laver is recognized as lsquoa well-being foodrsquo to consumers and also as more preferred to young generation lsquoConveniencersquo and lsquoFood Securityrsquo were one of reasons for laverrsquos preference As an important marketing strategy for laverrsquos consumption extension this paper suggested that lsquoBuzz Marketingrsquo by the housekeepers was more effective than media advertisement with high cost

Key Words laver consumption pattern consumption history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Ⅰ 서 론

세기 국민소득의 증대와 그로 인한 사회문화경제와 관련된 전반적인 생활수준의 향상은 식품소비의 고급화 다양화 간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웰빙(well-being)

의 영향으로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더욱 증가되고 있다(Sloan 2006)

이러한 식품소비에 관한 관심 증가는 연구 분야에 있어서도 나타나고 있다 농업부문에서는 식품의 소비구조 소비성향 소비자 교육 소비자 정보 소비자 단체 등 다양한 소비분야의 연구들이 진행되었다(이계임한혜성손은영 2007) 또한 이러한 연구들이 예전에는 주로 부류별(육류 과실류 등)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쌀 돼지고기 매실 김치 등 구체적인 품목별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이계임 등 2000채용우박성호 2006박종수이승신 2002김성용조성환 2006 등)

이에 비해 수산부문에 있어 품목별 소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수산물 소비에 관한 연구로는 주요 활어류를 중심으로 수급불균형에 대한 문제를 소비측면에서 풀어보고자 한 홍성걸정명생(1999)과 정명생임경희(2003)의 연구가 있다 그리고 이남수(2006)는 개별 품목인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해 논하였으며 김봉태이남수(2008)는

3

전복의 소비자 선호와 구매요인 분석을 통해 소비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김 소비에 관한 연구로는 이민규박은영(2009)이 김의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렇듯 수산부문의 경우 그 중요성에 비해 개별 품목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며 일부 품목에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특정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생산 유통구조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에 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김은 예로부터 맛과 향이 뛰어나고 비타민 함량이 풍부한 고급 식품으로 평가되었다(Bae 1991) 또한 최근에는 농수산물 주요 29개 대표품목 중의 하나로 선정되어 생산유통구조 개선뿐만 아니라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다 특히 김은 국내 양식품목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시대별 소비패턴을 살펴볼 수 있는 품목이며 기호식품의 성격이 강한 넙치나 전복과는 달리 모든 연령층에서 소비되는 가장 보편적인 식품이다 또한 김은 농업부문의 쌀과 같은 존재로 양식산업에 있어 근본적인 품목이며 생산자를 포함한 해당산업 종사자가 가장 많은 품목1) 중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큰 품목이므로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는 현재의 김 소비패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우선 김의 생산과 유통구조를 파악하였다 또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의 특성을 파악한 후 소비자 설문조사를 통해 김의 선호도 인지도 구매처 구매기준 및 시기 등 소비행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김의 소비패턴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현재의 소비행태를 세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비측면에서의 김 소비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 및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2장에서는 FAO와 어업생산 통계 등을 이용하여 김 생산 및 유통구조에 관해 살펴본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 전문가의 인터뷰(FGI) 결과를 중심으로 김 소비 역사와 소비 특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김 소비행태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1) 통계청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9년 양식 종류별 주된 양식어업 가구 수는 전체 22592 어가임 그 중 김 양식어업 가구 수는 전체의 160(53610어가)이며 해조류 양식어업 가구의 527를 점하고 있음

4

Ⅱ 김의 생산 및 유통구조

1 김 생산동향가 세계 김 생산동향세계의 김(Laver)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김을 생산하는 국가로는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북한 등이 있으며 전체 생산량은 150만 톤 규모이다(lt그림 1gt 참조)

전 세계 김 생산량의 60인 90만 톤을 중국이 생산하고 있으며 일본은 40만 톤 한국은 21만 톤 규모이다 그러나 생산금액으로는 일본(89억 달러) 중국(44억 달러) 한국(21

억 달러)의 순이다(lt표 1gt 참조)

-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50 60 70 80 90 00 01 02 03 04 05 06 07년

천 톤

북한

대만

한국

일본

중국

자료FAO Aquaculture Production 1950-2007(Release dataFebruary 2009)

lt그림 1gt 세계 주요 국가별 김 생산량추이

즉 일본에 비해 중국의 김 생산량은 2배 이상 많지만 생산금액은 12수준이다 이는 중국에서 생산되는 김의 80 이상이 일반김(방사무늬김)에 비해 저렴한 단김(檀紫菜)이기

5

때문이다2)

KMI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이나 일본의 일반김과 같은 중국의 조반김(條班紫菜) 생산량은 연간 2400만 속(260g 기준) 정도이다3)

lt표 1gt 세계 김 생산동향(단위톤 천 달러)

구 분 1998 2000 2002 2004 2006 2007

생산량

중 국 330137 424913 587750 708863 805261 904170

일 본 396615 391681 436031 358929 367678 395500

한 국 190979 130488 209995 228554 217559 210956

대 만 4 19 24 7 5 8

북 한 8000 7000 - - - -

생산금액

중 국 165069 191211 264488 318988 362368 443043

일 본 881655 873449 981070 807590 827276 889875

한 국 172494 88690 107517 166630 177724 208870

대 만 94 444 527 198 129 146

북 한 4400 3850 - - - -

주분석 자료는 FAO Aquaculture Production의 lsquospeciesrsquo 중 Laver(Nori)만을 검색한 결과임자료상 동

나 국내 김 생산동향2008년 기준 국내 김 생산량은 9980만 속이고 생산금액은 2092억 원으로 어업 생산액

의 33를 점하고 있다 또한 생산량과 생산금액도 지난 2000년에 비해 2배정도 증가했다

그러나 김 양식 어가 수는 12 수준으로 감소해 어가당 양식 면적은 25배 증가했으며 생산량과 생산금액도 4배 이상 증가했다(lt표 2gt 참조)

2) 박민규(2006)에 따르면 중국의 양식 김 종류는 크게 단김(檀紫菜)과 조반김(條班紫菜)이 있으며 단김은 중국의 전통적인 양식품종이고 조반김은 일본에서 도입된 방사무늬 김의 일종임 이 두 가지 김은 가공방법이나 용도가 상이한데 우선 단김은 원초를 원형과 장방형으로 건조하며 먹을 때는 작게 뜯어 물에 넣고 스프나 볶음용으로 사용함 이는 한국과 일본의 마른미역과 같은 식재료임 그에 비해 조반김은 대부분 수출 또는 과자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됨

3) KMI 수산업관측센터 「김 수산관측」 2007년 2월호

6

lt표 2gt 국내 김 생산규모구 분 2000(A) 2005 2008(B) BA()

전 체

생 산 량(천 속) 51501 79169 99755 937

생산금액(억 원) 1036 1861 2090 1017

양식면적(ha) 46870 53945 55321 180

어 가 수(호) 14180 8752 6825 -519

어가당생 산 량(천 속) 36 90 146 3024

생산금액(백만원) 73 213 306 3191

양식면적(ha) 33 62 81 1452

자료농림수산식품부 내부자료

국내 김 생산량 추이를 연대별로 보면 lsquo계단식(階段式)rsquo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lt표 3gt 참조) 이러한 생산량 증가는 김의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 등 국내외 시장 환경변화 소비행태의 변화 등과 관련이 있다4)

lt표 3gt 연대별 김 생산동향구 분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생산량(톤) 513 7972 40199 103333 176042 197874

주lsquo생산량rsquo은 해당 연대의 10년간 김 생산량 평균치며 lsquo2000년대rsquo는 2008년까지의 평균치임자료FAO Aquaculture Production 1950-2007(Release dataFebruary 2009) 어업생산통계

지난 60년간의 김 생산 추이 중 가장 큰 변화로 꼽을 수 있는 것은 70년대 생산가공의 기계화와 대일 수출 중단 80년대 한국형 조미김 개발과 장기 보관기술 개발 90년대 대일 수출 재개 등이 있다 그러나 2000년 이후의 김 생산량은 연도별 변동은 있으나 다른 연대에 비해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4) 김 생산량 증감 요인에는 해황 여건 작황 시설량 등 lsquo통제 불가능 요인rsquo과 기술개발 수출 소비행태 변화 등 lsquo통제 가능 요인rsquo이 있음 본 연구에서는 김 생산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통제 가능 요인에 한해서만 다루고자 함

7

-

50

100

150

200

250

300

51

54

57

60

63

66

69

72

75

78

81

84

87

90

93

96

99

02

05

08

천톤

주1951sim2007년까지는 lsquoFAOrsquo자료이며 2008년은 lsquo어업생산통계rsquo를 이용하였음

lt그림 2gt 연도별 김 생산량 추이

2 김 유통구조

김은 물김형태로 생산되어 거의 전량이 1차 가공단계인 마른김 가공업체에 판매된다 그리고 lsquo마른김rsquo은 2차 가공단계인 조미김 가공업체나 도매시장으로 판매된다

김의 주요 유통경로는 lsquo생산자rsquo rarr lsquo마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산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조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소비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대형소매점rsquo rarr lsquo일반 소비자rsquo 또는 lsquo음식점rsquo 등의 과정을 거친다(lt그림 3gt 참조)

마른김은 주로 마른김 가공업체나 소비지 도매시장을 통해 조미김 가공업체나 외식업체

김밥 전문점 등으로 판매되며 조미김은 주로 대형소매점을 통해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마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500여 개소가 있으며 대부분 해남 완도 진도 장흥 등 산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250여 개소가 있다

김의 주요 소비처별 비중을 보면 식당 등 외식업체에서의 소비가 39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는 가정 내 소비(33) 급식(11) 김밥 전문점5)(11) 등의 순이다(lt그림 3gt 참

8

조) 기타에는 주로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삼각김밥6)이 포함된다

삼각김밥은 편의점의 주요 판매 제품 중의 하나로 주로 식사 대용품으로 소비된다 최근 1년 간 편의점에서 물건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남녀 1563명을 대상으로 lsquo편의점 이용 행태와 만족도rsquo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편의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상품 중 삼각김밥 등 lsquo식사 대용식품rsquo이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7) 이 결과는 최근 들어 편의점이 김 소비의 중요한 업태 중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내부자료

lt그림 3gt 김의 유통경로 및 소비처별 비중

5) 김밥전문점 중 프랜차이즈형 김밥 전문점에서의 김 소비는 전체의 5 정도이며 개인이 운영하는 김밥 전문점까지 포함하면 11 정도의 규모임

6) lsquo삼각김밥rsquo은 김밥의 한 종류이며 일본의 오니기리(おにぎり)를 한국에 맞게 만든 제품임 삼각김밥의 도입은 1990년대였으나 밥과 김이 붙어 눅눅해져서 먹기가 불편하고 위생상의 문제로 판매가 부진했음 2000년대 들어 김과 밥을 분리하는 포장법이 개발되어 판매가 급증하고 있음 최근에는 기존의 휴대성과 함께 다양한 고급 첨가물이 가미된 제품의 출시로 소비량이 증가 추세임

7) 이투데이(httpwwwetodaykrnews) 기사 내용 2009-07-09 112525

9

김Ⅲ 김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

소비패턴은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입 여건 변화 소비행태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문헌연구와 FGI를 통해 김의 소비

특성을 시대별 및 종류별로 분류하고 소비자 설문을 통한 김의 인지도 선호도 구매행태 등 김의 소비행태를 분석한다

1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가 1960년대 이전특산품 시대김의 상품형태는 크게 물김(原藻) 마른김 조미김으로 나눌 수 있다 물김 상태로 소비

되는 경우는 일부 산지 소비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마른김이나 조미김으로 소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김을 먹기 시작한 것은 1814년에 쓰여진 자산어보(玆山魚譜)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라는 김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적어도 200년 이상 되었다8) 우리나라의 김 역사는 수 백 년에 이르지만 조선시대 때에는 주로 자연산 채취 위주의 생산이었다 그리고 일제시대에는 일본의 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되었으며 대부분 수출되었다9) 해방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1960년대 이전의 김은 일반인들의 경우 거의 먹을 수 없는 lsquo특산품(特産品)rsquo으로 인식 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기술적인 김 양식의 시작은 1949년 영국의 학자 K Dreu가 김의 포자 증식을 발견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8) ① 자산어보(玆山魚譜)는 1814년(순조 15) 정약전(丁若銓1760sim1816)에 의해 쓰여진 한국 최고(最古)의 어류학서(魚類學書)이며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 155종에 대한 명칭분포형태습성 및 이용 등에 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음 ② 자산어보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는 김을 가리키는 말로 김을 세절(細切)하여 종이처럼 떠서 말린 가공제품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음 ③ 해의가 처음으로 나오는 문헌으로는 자산어보(玆山魚譜)보다 300년 이상 빠른 「경상도지리지」(1434년)와 「동국여지승람」(1478년) 등이 있음

9) 한일 김 수출의 역사는 제1기sim제5기로 나눌 수 있음 제1기(1919sim1953)는 lsquo정부 관리 무역기rsquo라고 하며 한국산 김에 대한 공판 및 자유판매가 실시되었음 제2기(1954sim1977)는 lsquo민간 보호 무역기rsquo이며 제3기(1978sim1994)는 lsquo수출 금지기rsquo로 70년대 일본의 냉동망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생산량이 급증하였기 때문에 한국산 김 수입을 전면적으로 제한했음 제4기(1995sim2004)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1기rsquo로 한국산에 대해 김 IQ를 배정하였음 제5기(2005sim현재)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2기rsquo로 한국 외에도 중국 IQ로 확대되어 Global IQ가 실시되고 있음(박민규 2006)

10

나 1960sim1970년대고급식품 시대1954년 김의 인공 종묘기술이 개발된 후 1960년대에는 일본으로부터 부류식 양식 망홍

및 냉동망 등이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개량 품종인 큰참김 큰방사무늬김 등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까지는 개량품종이나 가공기술 등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한 전통방식10)으로 김을 가공했다 따라서 이 시대의 김은 누구나 먹을 수 있는 식품이기 보다는 특별한 시기나 특별한 사람들이 먹는 lsquo고급식품rsquo으로 인식되었다

그 후 1977년 전자동 김 건조기가 개발보급되고 산처리제 개발 등으로 본격적으로 마른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화된 마른김 생산체제는 김 역사의 획기적인 변화이며 이 변화로 김밥용 김과 김부각 구이 김 등의 김 가공 역사가 시작되었다(김덕술

2007)

다 1980sim1990년대대중식품 시대1960년대는 lsquo김 양식기술의 혁신rsquo이고 1970년대는 lsquo품종개량과 병해대책기술의 혁신rsquo이

었다면 1980년대는 lsquo가공기술의 혁신rsquo이었으며 1990년대는 lsquo제조기술의 혁신rs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970년대 말 마른김 생산이 기계화되었으나 김 소비는 여전히 가정에서 직접 마른김을 구운 후 기름과 소금으로 맛을 내는 수작업에 의존했다 그 후 1982년 한국형 조미김이 개발되어 김 소비의 편리성(便利性)이 더욱 강화되었다 그와 더불어 1988년에는 lsquo즉석 김 구이기계rsquo의 개발로 소자본으로도 김 가공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미김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11) 즉 이 시기에는 김의 가공기술과 제조기술의 발달로 김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 빼 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김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화입김12) 생산기술의 개발이다

10) 전통적인 김의 제조과정(Process of Making Laver)은 우선 자연채묘에 의해 생육한 김을 lsquo김칼rsquo로 뜯어 해수 및 담수로 염분과 이물질을 씻어내고 lsquo김 탈수기rsquo로 수분을 줄인 후 lsquo조파기rsquo로 김을 부드럽게 분쇄함 그리고 lsquo김틀rsquo로 모양을 만들고 lsquo김되rsquo에 붙여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말함

11) 1989년부터는 즉석 구이용으로 돌김을 더 선호하게 되었으며 그 후 1993년에는 재래 조미김 1998년에는 파래 조미김이 가공소비되기 시작했음

12) lsquo화입김rsquo은 생김을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온풍건조실(90)에서 6sim8시간 열처리 하여 방습포장한 김을 말하는데(이태식 외 2000) 수분 함유량이 보통 2sim3 수준임 화입김의 용도는 김의 주 생산시기인 11월sim익년 4월에 생산된 김을 물량이 부족한 비 생산시기(5월sim10월)에 방출하거나 소비자 기호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미김을 생산 할 목적으로 이용됨

11

한편 초창기 조미김은 일본의 가공 시설과 기술 도입을 통해 만들어진 lsquo맛김rsquo이었는데

이는 장당 3g 이상의 김에 조미액(간장)으로 가미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한국형 조미김은 장당 26g 정도의 마른김을 소금과 식용유로 조미하여 가공한 것으로 가정에서 구운 김보다 눅눅함이 적고 김을 굽는 수고를 덜 수 있어 그 수요가 급증했다

그 후 조미김은 상품 형태 첨가물의 종류 포장 방법 등의 개선을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한국 조미김은 일본 조미김과 달리 lsquo소비자 편의성rsquo과 함께 lsquo맛rsquo 위주의 수요자 지향적인 제품 개발이 이루어졌다 즉 한국 조미김의 특징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lsquo맛의 다양성rsquo이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lt표 4gt 참조)

이러한 한국 조미김의 다양성은 일본산이나 중국산 김에 대한 수입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시용 김으로 유명한 일본산 김에 대응한 서구권이나 동남아권 등의 해외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무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lt표 4gt 한국 조미김과 일본 조미김의 특징구 분 한 국 일 본

제품 개발 동기 소비자 편의성 추구(수요자 중심)

중하품 김 처리방법 모색(공급자 중심)

제품 개발 방향 맛 향주요 첨가물 종류 소금 기름 간장평균 중량(속 당) 190sim300g(평균 260g) 300g 전후

장 점∙ 맛이 다양하고 우수∙ 제품 다양성 확보로 수요충족∙ 기름에 익숙한 중화권 및 서구권

소비자 접근성 용이

∙ 균등한 품질 및 규격화 (품질은 1sim13등급으로 구분)∙ 장기 보관성∙ 김 고유의 향과 맛 유지

단 점 ∙ 규격화 부진∙ 보관성이 낮음(기름 때문)

∙ 맛 품질의 획일성 (일반김 위주 생산 때문)

비 고 ∙ 소비자 중심의 제품개발로 규격화는 미흡하나 제품은 다양

∙ 가공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규격화가 실시되었음

주김 소비관련 전문가 자문(FGI 20091006sim23) 결과를 연구자가 재정리하였음

12

라 2000년대웰빙식품 시대(기능성 건강식품)2000년대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능성과 건강 지향적인 김 제품

들이 개발되었다 즉 lsquo김의 차별화rsquo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조미 첨가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2001년에는 인삼이나 김치 와사비 등의 첨가물로 맛을 낸 기능성 김이 출시되었으며 2003년에는 웰빙의 영향에 따라 기존의 대두유보다 몸에 좋은 참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고급기름을 이용한 제품의 차별화가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김 본연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 추세에 힘입어 조미김에 비해 가미가 되지 않은 마른김의 선호도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기술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로 김 소비가 특산품에서 대중식품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 소비 성향에 따라 김이 웰빙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은 lsquo김 소비의 역사rsquo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ldquo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rdquo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 특성은 향후 김 소비 패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t표 5gt 시대별 김 소비의 특성시 기 1960년대 이전 1960sim70년대 1980sim90년대 2000년대 이후김 식품명 명 특산품 고급식품 대중식품 웰빙식품주 요특 징

∙ 자연산 생산∙ 생산 지향적

∙ 수출위주 생산∙ 생산 지향적

∙ 내수위주 생산∙ 소비 지향적

∙ 제품 차별화∙ 소비 지향적

선 호김 종류

일반김 돌김(자연산) 일반김 돌김 재래김 재래김 파래김

김자반 등김 생산규 모

500톤 이하(21만속)

8천sim4만 톤(300sim1700만속)

10sim18만 톤(4200sim7500만속)

20만 톤(8300만속)

기 술수 준

∙ 재래식생산방식 (생산 및 가공)

∙ 부류식 양식∙ 개량품종 도입∙ 김 건조기 보급∙ 산처리제 개발

∙ 즉석구이기계개발∙ 김 건조기 보편화∙ 조미김 개발 (한국형 조미김)

∙ 고차 가공기술∙ 고차 제조기술 (다양한 첨가물)

주1) lsquo김 식품 명명rsquo은 시대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명명(命名)한 것임2) lsquo김 생산 규모rsquo는 각 연대별(10년간) 평균 생산량을 의미하며 ( )의 수치는 연대별 생산량을 마른김으

로 환산(물김 2411kg=1속)한 것임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2: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2

21

called as lsquopopular food stagersquo and period of the 2000s called as lsquowell-being food stagersquo In addition the survey on laverrsquos consumption behavior showed that the younger the age the higher preference The reason for laverrsquos preference was due to lsquoconveniencersquo lsquohealthrsquo and lsquogood tastersquo In particular preference of dried laver was increased because of concern on food security of seasoned and roasted laver Purchasing information for laver mainly depended on lsquoWord of Mouthrsquo

In conclusion laver is recognized as lsquoa well-being foodrsquo to consumers and also as more preferred to young generation lsquoConveniencersquo and lsquoFood Securityrsquo were one of reasons for laverrsquos preference As an important marketing strategy for laverrsquos consumption extension this paper suggested that lsquoBuzz Marketingrsquo by the housekeepers was more effective than media advertisement with high cost

Key Words laver consumption pattern consumption history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Ⅰ 서 론

세기 국민소득의 증대와 그로 인한 사회문화경제와 관련된 전반적인 생활수준의 향상은 식품소비의 고급화 다양화 간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웰빙(well-being)

의 영향으로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더욱 증가되고 있다(Sloan 2006)

이러한 식품소비에 관한 관심 증가는 연구 분야에 있어서도 나타나고 있다 농업부문에서는 식품의 소비구조 소비성향 소비자 교육 소비자 정보 소비자 단체 등 다양한 소비분야의 연구들이 진행되었다(이계임한혜성손은영 2007) 또한 이러한 연구들이 예전에는 주로 부류별(육류 과실류 등)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쌀 돼지고기 매실 김치 등 구체적인 품목별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이계임 등 2000채용우박성호 2006박종수이승신 2002김성용조성환 2006 등)

이에 비해 수산부문에 있어 품목별 소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수산물 소비에 관한 연구로는 주요 활어류를 중심으로 수급불균형에 대한 문제를 소비측면에서 풀어보고자 한 홍성걸정명생(1999)과 정명생임경희(2003)의 연구가 있다 그리고 이남수(2006)는 개별 품목인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해 논하였으며 김봉태이남수(2008)는

3

전복의 소비자 선호와 구매요인 분석을 통해 소비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김 소비에 관한 연구로는 이민규박은영(2009)이 김의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렇듯 수산부문의 경우 그 중요성에 비해 개별 품목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며 일부 품목에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특정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생산 유통구조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에 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김은 예로부터 맛과 향이 뛰어나고 비타민 함량이 풍부한 고급 식품으로 평가되었다(Bae 1991) 또한 최근에는 농수산물 주요 29개 대표품목 중의 하나로 선정되어 생산유통구조 개선뿐만 아니라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다 특히 김은 국내 양식품목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시대별 소비패턴을 살펴볼 수 있는 품목이며 기호식품의 성격이 강한 넙치나 전복과는 달리 모든 연령층에서 소비되는 가장 보편적인 식품이다 또한 김은 농업부문의 쌀과 같은 존재로 양식산업에 있어 근본적인 품목이며 생산자를 포함한 해당산업 종사자가 가장 많은 품목1) 중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큰 품목이므로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는 현재의 김 소비패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우선 김의 생산과 유통구조를 파악하였다 또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의 특성을 파악한 후 소비자 설문조사를 통해 김의 선호도 인지도 구매처 구매기준 및 시기 등 소비행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김의 소비패턴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현재의 소비행태를 세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비측면에서의 김 소비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 및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2장에서는 FAO와 어업생산 통계 등을 이용하여 김 생산 및 유통구조에 관해 살펴본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 전문가의 인터뷰(FGI) 결과를 중심으로 김 소비 역사와 소비 특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김 소비행태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1) 통계청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9년 양식 종류별 주된 양식어업 가구 수는 전체 22592 어가임 그 중 김 양식어업 가구 수는 전체의 160(53610어가)이며 해조류 양식어업 가구의 527를 점하고 있음

4

Ⅱ 김의 생산 및 유통구조

1 김 생산동향가 세계 김 생산동향세계의 김(Laver)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김을 생산하는 국가로는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북한 등이 있으며 전체 생산량은 150만 톤 규모이다(lt그림 1gt 참조)

전 세계 김 생산량의 60인 90만 톤을 중국이 생산하고 있으며 일본은 40만 톤 한국은 21만 톤 규모이다 그러나 생산금액으로는 일본(89억 달러) 중국(44억 달러) 한국(21

억 달러)의 순이다(lt표 1gt 참조)

-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50 60 70 80 90 00 01 02 03 04 05 06 07년

천 톤

북한

대만

한국

일본

중국

자료FAO Aquaculture Production 1950-2007(Release dataFebruary 2009)

lt그림 1gt 세계 주요 국가별 김 생산량추이

즉 일본에 비해 중국의 김 생산량은 2배 이상 많지만 생산금액은 12수준이다 이는 중국에서 생산되는 김의 80 이상이 일반김(방사무늬김)에 비해 저렴한 단김(檀紫菜)이기

5

때문이다2)

KMI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이나 일본의 일반김과 같은 중국의 조반김(條班紫菜) 생산량은 연간 2400만 속(260g 기준) 정도이다3)

lt표 1gt 세계 김 생산동향(단위톤 천 달러)

구 분 1998 2000 2002 2004 2006 2007

생산량

중 국 330137 424913 587750 708863 805261 904170

일 본 396615 391681 436031 358929 367678 395500

한 국 190979 130488 209995 228554 217559 210956

대 만 4 19 24 7 5 8

북 한 8000 7000 - - - -

생산금액

중 국 165069 191211 264488 318988 362368 443043

일 본 881655 873449 981070 807590 827276 889875

한 국 172494 88690 107517 166630 177724 208870

대 만 94 444 527 198 129 146

북 한 4400 3850 - - - -

주분석 자료는 FAO Aquaculture Production의 lsquospeciesrsquo 중 Laver(Nori)만을 검색한 결과임자료상 동

나 국내 김 생산동향2008년 기준 국내 김 생산량은 9980만 속이고 생산금액은 2092억 원으로 어업 생산액

의 33를 점하고 있다 또한 생산량과 생산금액도 지난 2000년에 비해 2배정도 증가했다

그러나 김 양식 어가 수는 12 수준으로 감소해 어가당 양식 면적은 25배 증가했으며 생산량과 생산금액도 4배 이상 증가했다(lt표 2gt 참조)

2) 박민규(2006)에 따르면 중국의 양식 김 종류는 크게 단김(檀紫菜)과 조반김(條班紫菜)이 있으며 단김은 중국의 전통적인 양식품종이고 조반김은 일본에서 도입된 방사무늬 김의 일종임 이 두 가지 김은 가공방법이나 용도가 상이한데 우선 단김은 원초를 원형과 장방형으로 건조하며 먹을 때는 작게 뜯어 물에 넣고 스프나 볶음용으로 사용함 이는 한국과 일본의 마른미역과 같은 식재료임 그에 비해 조반김은 대부분 수출 또는 과자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됨

3) KMI 수산업관측센터 「김 수산관측」 2007년 2월호

6

lt표 2gt 국내 김 생산규모구 분 2000(A) 2005 2008(B) BA()

전 체

생 산 량(천 속) 51501 79169 99755 937

생산금액(억 원) 1036 1861 2090 1017

양식면적(ha) 46870 53945 55321 180

어 가 수(호) 14180 8752 6825 -519

어가당생 산 량(천 속) 36 90 146 3024

생산금액(백만원) 73 213 306 3191

양식면적(ha) 33 62 81 1452

자료농림수산식품부 내부자료

국내 김 생산량 추이를 연대별로 보면 lsquo계단식(階段式)rsquo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lt표 3gt 참조) 이러한 생산량 증가는 김의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 등 국내외 시장 환경변화 소비행태의 변화 등과 관련이 있다4)

lt표 3gt 연대별 김 생산동향구 분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생산량(톤) 513 7972 40199 103333 176042 197874

주lsquo생산량rsquo은 해당 연대의 10년간 김 생산량 평균치며 lsquo2000년대rsquo는 2008년까지의 평균치임자료FAO Aquaculture Production 1950-2007(Release dataFebruary 2009) 어업생산통계

지난 60년간의 김 생산 추이 중 가장 큰 변화로 꼽을 수 있는 것은 70년대 생산가공의 기계화와 대일 수출 중단 80년대 한국형 조미김 개발과 장기 보관기술 개발 90년대 대일 수출 재개 등이 있다 그러나 2000년 이후의 김 생산량은 연도별 변동은 있으나 다른 연대에 비해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4) 김 생산량 증감 요인에는 해황 여건 작황 시설량 등 lsquo통제 불가능 요인rsquo과 기술개발 수출 소비행태 변화 등 lsquo통제 가능 요인rsquo이 있음 본 연구에서는 김 생산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통제 가능 요인에 한해서만 다루고자 함

7

-

50

100

150

200

250

300

51

54

57

60

63

66

69

72

75

78

81

84

87

90

93

96

99

02

05

08

천톤

주1951sim2007년까지는 lsquoFAOrsquo자료이며 2008년은 lsquo어업생산통계rsquo를 이용하였음

lt그림 2gt 연도별 김 생산량 추이

2 김 유통구조

김은 물김형태로 생산되어 거의 전량이 1차 가공단계인 마른김 가공업체에 판매된다 그리고 lsquo마른김rsquo은 2차 가공단계인 조미김 가공업체나 도매시장으로 판매된다

김의 주요 유통경로는 lsquo생산자rsquo rarr lsquo마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산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조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소비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대형소매점rsquo rarr lsquo일반 소비자rsquo 또는 lsquo음식점rsquo 등의 과정을 거친다(lt그림 3gt 참조)

마른김은 주로 마른김 가공업체나 소비지 도매시장을 통해 조미김 가공업체나 외식업체

김밥 전문점 등으로 판매되며 조미김은 주로 대형소매점을 통해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마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500여 개소가 있으며 대부분 해남 완도 진도 장흥 등 산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250여 개소가 있다

김의 주요 소비처별 비중을 보면 식당 등 외식업체에서의 소비가 39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는 가정 내 소비(33) 급식(11) 김밥 전문점5)(11) 등의 순이다(lt그림 3gt 참

8

조) 기타에는 주로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삼각김밥6)이 포함된다

삼각김밥은 편의점의 주요 판매 제품 중의 하나로 주로 식사 대용품으로 소비된다 최근 1년 간 편의점에서 물건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남녀 1563명을 대상으로 lsquo편의점 이용 행태와 만족도rsquo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편의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상품 중 삼각김밥 등 lsquo식사 대용식품rsquo이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7) 이 결과는 최근 들어 편의점이 김 소비의 중요한 업태 중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내부자료

lt그림 3gt 김의 유통경로 및 소비처별 비중

5) 김밥전문점 중 프랜차이즈형 김밥 전문점에서의 김 소비는 전체의 5 정도이며 개인이 운영하는 김밥 전문점까지 포함하면 11 정도의 규모임

6) lsquo삼각김밥rsquo은 김밥의 한 종류이며 일본의 오니기리(おにぎり)를 한국에 맞게 만든 제품임 삼각김밥의 도입은 1990년대였으나 밥과 김이 붙어 눅눅해져서 먹기가 불편하고 위생상의 문제로 판매가 부진했음 2000년대 들어 김과 밥을 분리하는 포장법이 개발되어 판매가 급증하고 있음 최근에는 기존의 휴대성과 함께 다양한 고급 첨가물이 가미된 제품의 출시로 소비량이 증가 추세임

7) 이투데이(httpwwwetodaykrnews) 기사 내용 2009-07-09 112525

9

김Ⅲ 김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

소비패턴은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입 여건 변화 소비행태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문헌연구와 FGI를 통해 김의 소비

특성을 시대별 및 종류별로 분류하고 소비자 설문을 통한 김의 인지도 선호도 구매행태 등 김의 소비행태를 분석한다

1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가 1960년대 이전특산품 시대김의 상품형태는 크게 물김(原藻) 마른김 조미김으로 나눌 수 있다 물김 상태로 소비

되는 경우는 일부 산지 소비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마른김이나 조미김으로 소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김을 먹기 시작한 것은 1814년에 쓰여진 자산어보(玆山魚譜)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라는 김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적어도 200년 이상 되었다8) 우리나라의 김 역사는 수 백 년에 이르지만 조선시대 때에는 주로 자연산 채취 위주의 생산이었다 그리고 일제시대에는 일본의 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되었으며 대부분 수출되었다9) 해방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1960년대 이전의 김은 일반인들의 경우 거의 먹을 수 없는 lsquo특산품(特産品)rsquo으로 인식 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기술적인 김 양식의 시작은 1949년 영국의 학자 K Dreu가 김의 포자 증식을 발견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8) ① 자산어보(玆山魚譜)는 1814년(순조 15) 정약전(丁若銓1760sim1816)에 의해 쓰여진 한국 최고(最古)의 어류학서(魚類學書)이며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 155종에 대한 명칭분포형태습성 및 이용 등에 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음 ② 자산어보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는 김을 가리키는 말로 김을 세절(細切)하여 종이처럼 떠서 말린 가공제품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음 ③ 해의가 처음으로 나오는 문헌으로는 자산어보(玆山魚譜)보다 300년 이상 빠른 「경상도지리지」(1434년)와 「동국여지승람」(1478년) 등이 있음

9) 한일 김 수출의 역사는 제1기sim제5기로 나눌 수 있음 제1기(1919sim1953)는 lsquo정부 관리 무역기rsquo라고 하며 한국산 김에 대한 공판 및 자유판매가 실시되었음 제2기(1954sim1977)는 lsquo민간 보호 무역기rsquo이며 제3기(1978sim1994)는 lsquo수출 금지기rsquo로 70년대 일본의 냉동망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생산량이 급증하였기 때문에 한국산 김 수입을 전면적으로 제한했음 제4기(1995sim2004)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1기rsquo로 한국산에 대해 김 IQ를 배정하였음 제5기(2005sim현재)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2기rsquo로 한국 외에도 중국 IQ로 확대되어 Global IQ가 실시되고 있음(박민규 2006)

10

나 1960sim1970년대고급식품 시대1954년 김의 인공 종묘기술이 개발된 후 1960년대에는 일본으로부터 부류식 양식 망홍

및 냉동망 등이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개량 품종인 큰참김 큰방사무늬김 등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까지는 개량품종이나 가공기술 등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한 전통방식10)으로 김을 가공했다 따라서 이 시대의 김은 누구나 먹을 수 있는 식품이기 보다는 특별한 시기나 특별한 사람들이 먹는 lsquo고급식품rsquo으로 인식되었다

그 후 1977년 전자동 김 건조기가 개발보급되고 산처리제 개발 등으로 본격적으로 마른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화된 마른김 생산체제는 김 역사의 획기적인 변화이며 이 변화로 김밥용 김과 김부각 구이 김 등의 김 가공 역사가 시작되었다(김덕술

2007)

다 1980sim1990년대대중식품 시대1960년대는 lsquo김 양식기술의 혁신rsquo이고 1970년대는 lsquo품종개량과 병해대책기술의 혁신rsquo이

었다면 1980년대는 lsquo가공기술의 혁신rsquo이었으며 1990년대는 lsquo제조기술의 혁신rs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970년대 말 마른김 생산이 기계화되었으나 김 소비는 여전히 가정에서 직접 마른김을 구운 후 기름과 소금으로 맛을 내는 수작업에 의존했다 그 후 1982년 한국형 조미김이 개발되어 김 소비의 편리성(便利性)이 더욱 강화되었다 그와 더불어 1988년에는 lsquo즉석 김 구이기계rsquo의 개발로 소자본으로도 김 가공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미김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11) 즉 이 시기에는 김의 가공기술과 제조기술의 발달로 김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 빼 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김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화입김12) 생산기술의 개발이다

10) 전통적인 김의 제조과정(Process of Making Laver)은 우선 자연채묘에 의해 생육한 김을 lsquo김칼rsquo로 뜯어 해수 및 담수로 염분과 이물질을 씻어내고 lsquo김 탈수기rsquo로 수분을 줄인 후 lsquo조파기rsquo로 김을 부드럽게 분쇄함 그리고 lsquo김틀rsquo로 모양을 만들고 lsquo김되rsquo에 붙여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말함

11) 1989년부터는 즉석 구이용으로 돌김을 더 선호하게 되었으며 그 후 1993년에는 재래 조미김 1998년에는 파래 조미김이 가공소비되기 시작했음

12) lsquo화입김rsquo은 생김을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온풍건조실(90)에서 6sim8시간 열처리 하여 방습포장한 김을 말하는데(이태식 외 2000) 수분 함유량이 보통 2sim3 수준임 화입김의 용도는 김의 주 생산시기인 11월sim익년 4월에 생산된 김을 물량이 부족한 비 생산시기(5월sim10월)에 방출하거나 소비자 기호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미김을 생산 할 목적으로 이용됨

11

한편 초창기 조미김은 일본의 가공 시설과 기술 도입을 통해 만들어진 lsquo맛김rsquo이었는데

이는 장당 3g 이상의 김에 조미액(간장)으로 가미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한국형 조미김은 장당 26g 정도의 마른김을 소금과 식용유로 조미하여 가공한 것으로 가정에서 구운 김보다 눅눅함이 적고 김을 굽는 수고를 덜 수 있어 그 수요가 급증했다

그 후 조미김은 상품 형태 첨가물의 종류 포장 방법 등의 개선을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한국 조미김은 일본 조미김과 달리 lsquo소비자 편의성rsquo과 함께 lsquo맛rsquo 위주의 수요자 지향적인 제품 개발이 이루어졌다 즉 한국 조미김의 특징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lsquo맛의 다양성rsquo이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lt표 4gt 참조)

이러한 한국 조미김의 다양성은 일본산이나 중국산 김에 대한 수입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시용 김으로 유명한 일본산 김에 대응한 서구권이나 동남아권 등의 해외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무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lt표 4gt 한국 조미김과 일본 조미김의 특징구 분 한 국 일 본

제품 개발 동기 소비자 편의성 추구(수요자 중심)

중하품 김 처리방법 모색(공급자 중심)

제품 개발 방향 맛 향주요 첨가물 종류 소금 기름 간장평균 중량(속 당) 190sim300g(평균 260g) 300g 전후

장 점∙ 맛이 다양하고 우수∙ 제품 다양성 확보로 수요충족∙ 기름에 익숙한 중화권 및 서구권

소비자 접근성 용이

∙ 균등한 품질 및 규격화 (품질은 1sim13등급으로 구분)∙ 장기 보관성∙ 김 고유의 향과 맛 유지

단 점 ∙ 규격화 부진∙ 보관성이 낮음(기름 때문)

∙ 맛 품질의 획일성 (일반김 위주 생산 때문)

비 고 ∙ 소비자 중심의 제품개발로 규격화는 미흡하나 제품은 다양

∙ 가공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규격화가 실시되었음

주김 소비관련 전문가 자문(FGI 20091006sim23) 결과를 연구자가 재정리하였음

12

라 2000년대웰빙식품 시대(기능성 건강식품)2000년대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능성과 건강 지향적인 김 제품

들이 개발되었다 즉 lsquo김의 차별화rsquo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조미 첨가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2001년에는 인삼이나 김치 와사비 등의 첨가물로 맛을 낸 기능성 김이 출시되었으며 2003년에는 웰빙의 영향에 따라 기존의 대두유보다 몸에 좋은 참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고급기름을 이용한 제품의 차별화가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김 본연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 추세에 힘입어 조미김에 비해 가미가 되지 않은 마른김의 선호도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기술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로 김 소비가 특산품에서 대중식품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 소비 성향에 따라 김이 웰빙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은 lsquo김 소비의 역사rsquo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ldquo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rdquo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 특성은 향후 김 소비 패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t표 5gt 시대별 김 소비의 특성시 기 1960년대 이전 1960sim70년대 1980sim90년대 2000년대 이후김 식품명 명 특산품 고급식품 대중식품 웰빙식품주 요특 징

∙ 자연산 생산∙ 생산 지향적

∙ 수출위주 생산∙ 생산 지향적

∙ 내수위주 생산∙ 소비 지향적

∙ 제품 차별화∙ 소비 지향적

선 호김 종류

일반김 돌김(자연산) 일반김 돌김 재래김 재래김 파래김

김자반 등김 생산규 모

500톤 이하(21만속)

8천sim4만 톤(300sim1700만속)

10sim18만 톤(4200sim7500만속)

20만 톤(8300만속)

기 술수 준

∙ 재래식생산방식 (생산 및 가공)

∙ 부류식 양식∙ 개량품종 도입∙ 김 건조기 보급∙ 산처리제 개발

∙ 즉석구이기계개발∙ 김 건조기 보편화∙ 조미김 개발 (한국형 조미김)

∙ 고차 가공기술∙ 고차 제조기술 (다양한 첨가물)

주1) lsquo김 식품 명명rsquo은 시대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명명(命名)한 것임2) lsquo김 생산 규모rsquo는 각 연대별(10년간) 평균 생산량을 의미하며 ( )의 수치는 연대별 생산량을 마른김으

로 환산(물김 2411kg=1속)한 것임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3: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3

전복의 소비자 선호와 구매요인 분석을 통해 소비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김 소비에 관한 연구로는 이민규박은영(2009)이 김의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렇듯 수산부문의 경우 그 중요성에 비해 개별 품목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며 일부 품목에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특정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생산 유통구조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에 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김은 예로부터 맛과 향이 뛰어나고 비타민 함량이 풍부한 고급 식품으로 평가되었다(Bae 1991) 또한 최근에는 농수산물 주요 29개 대표품목 중의 하나로 선정되어 생산유통구조 개선뿐만 아니라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다 특히 김은 국내 양식품목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시대별 소비패턴을 살펴볼 수 있는 품목이며 기호식품의 성격이 강한 넙치나 전복과는 달리 모든 연령층에서 소비되는 가장 보편적인 식품이다 또한 김은 농업부문의 쌀과 같은 존재로 양식산업에 있어 근본적인 품목이며 생산자를 포함한 해당산업 종사자가 가장 많은 품목1) 중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큰 품목이므로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는 현재의 김 소비패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우선 김의 생산과 유통구조를 파악하였다 또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의 특성을 파악한 후 소비자 설문조사를 통해 김의 선호도 인지도 구매처 구매기준 및 시기 등 소비행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김의 소비패턴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현재의 소비행태를 세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비측면에서의 김 소비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 및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2장에서는 FAO와 어업생산 통계 등을 이용하여 김 생산 및 유통구조에 관해 살펴본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 전문가의 인터뷰(FGI) 결과를 중심으로 김 소비 역사와 소비 특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김 소비행태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1) 통계청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9년 양식 종류별 주된 양식어업 가구 수는 전체 22592 어가임 그 중 김 양식어업 가구 수는 전체의 160(53610어가)이며 해조류 양식어업 가구의 527를 점하고 있음

4

Ⅱ 김의 생산 및 유통구조

1 김 생산동향가 세계 김 생산동향세계의 김(Laver)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김을 생산하는 국가로는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북한 등이 있으며 전체 생산량은 150만 톤 규모이다(lt그림 1gt 참조)

전 세계 김 생산량의 60인 90만 톤을 중국이 생산하고 있으며 일본은 40만 톤 한국은 21만 톤 규모이다 그러나 생산금액으로는 일본(89억 달러) 중국(44억 달러) 한국(21

억 달러)의 순이다(lt표 1gt 참조)

-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50 60 70 80 90 00 01 02 03 04 05 06 07년

천 톤

북한

대만

한국

일본

중국

자료FAO Aquaculture Production 1950-2007(Release dataFebruary 2009)

lt그림 1gt 세계 주요 국가별 김 생산량추이

즉 일본에 비해 중국의 김 생산량은 2배 이상 많지만 생산금액은 12수준이다 이는 중국에서 생산되는 김의 80 이상이 일반김(방사무늬김)에 비해 저렴한 단김(檀紫菜)이기

5

때문이다2)

KMI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이나 일본의 일반김과 같은 중국의 조반김(條班紫菜) 생산량은 연간 2400만 속(260g 기준) 정도이다3)

lt표 1gt 세계 김 생산동향(단위톤 천 달러)

구 분 1998 2000 2002 2004 2006 2007

생산량

중 국 330137 424913 587750 708863 805261 904170

일 본 396615 391681 436031 358929 367678 395500

한 국 190979 130488 209995 228554 217559 210956

대 만 4 19 24 7 5 8

북 한 8000 7000 - - - -

생산금액

중 국 165069 191211 264488 318988 362368 443043

일 본 881655 873449 981070 807590 827276 889875

한 국 172494 88690 107517 166630 177724 208870

대 만 94 444 527 198 129 146

북 한 4400 3850 - - - -

주분석 자료는 FAO Aquaculture Production의 lsquospeciesrsquo 중 Laver(Nori)만을 검색한 결과임자료상 동

나 국내 김 생산동향2008년 기준 국내 김 생산량은 9980만 속이고 생산금액은 2092억 원으로 어업 생산액

의 33를 점하고 있다 또한 생산량과 생산금액도 지난 2000년에 비해 2배정도 증가했다

그러나 김 양식 어가 수는 12 수준으로 감소해 어가당 양식 면적은 25배 증가했으며 생산량과 생산금액도 4배 이상 증가했다(lt표 2gt 참조)

2) 박민규(2006)에 따르면 중국의 양식 김 종류는 크게 단김(檀紫菜)과 조반김(條班紫菜)이 있으며 단김은 중국의 전통적인 양식품종이고 조반김은 일본에서 도입된 방사무늬 김의 일종임 이 두 가지 김은 가공방법이나 용도가 상이한데 우선 단김은 원초를 원형과 장방형으로 건조하며 먹을 때는 작게 뜯어 물에 넣고 스프나 볶음용으로 사용함 이는 한국과 일본의 마른미역과 같은 식재료임 그에 비해 조반김은 대부분 수출 또는 과자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됨

3) KMI 수산업관측센터 「김 수산관측」 2007년 2월호

6

lt표 2gt 국내 김 생산규모구 분 2000(A) 2005 2008(B) BA()

전 체

생 산 량(천 속) 51501 79169 99755 937

생산금액(억 원) 1036 1861 2090 1017

양식면적(ha) 46870 53945 55321 180

어 가 수(호) 14180 8752 6825 -519

어가당생 산 량(천 속) 36 90 146 3024

생산금액(백만원) 73 213 306 3191

양식면적(ha) 33 62 81 1452

자료농림수산식품부 내부자료

국내 김 생산량 추이를 연대별로 보면 lsquo계단식(階段式)rsquo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lt표 3gt 참조) 이러한 생산량 증가는 김의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 등 국내외 시장 환경변화 소비행태의 변화 등과 관련이 있다4)

lt표 3gt 연대별 김 생산동향구 분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생산량(톤) 513 7972 40199 103333 176042 197874

주lsquo생산량rsquo은 해당 연대의 10년간 김 생산량 평균치며 lsquo2000년대rsquo는 2008년까지의 평균치임자료FAO Aquaculture Production 1950-2007(Release dataFebruary 2009) 어업생산통계

지난 60년간의 김 생산 추이 중 가장 큰 변화로 꼽을 수 있는 것은 70년대 생산가공의 기계화와 대일 수출 중단 80년대 한국형 조미김 개발과 장기 보관기술 개발 90년대 대일 수출 재개 등이 있다 그러나 2000년 이후의 김 생산량은 연도별 변동은 있으나 다른 연대에 비해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4) 김 생산량 증감 요인에는 해황 여건 작황 시설량 등 lsquo통제 불가능 요인rsquo과 기술개발 수출 소비행태 변화 등 lsquo통제 가능 요인rsquo이 있음 본 연구에서는 김 생산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통제 가능 요인에 한해서만 다루고자 함

7

-

50

100

150

200

250

300

51

54

57

60

63

66

69

72

75

78

81

84

87

90

93

96

99

02

05

08

천톤

주1951sim2007년까지는 lsquoFAOrsquo자료이며 2008년은 lsquo어업생산통계rsquo를 이용하였음

lt그림 2gt 연도별 김 생산량 추이

2 김 유통구조

김은 물김형태로 생산되어 거의 전량이 1차 가공단계인 마른김 가공업체에 판매된다 그리고 lsquo마른김rsquo은 2차 가공단계인 조미김 가공업체나 도매시장으로 판매된다

김의 주요 유통경로는 lsquo생산자rsquo rarr lsquo마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산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조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소비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대형소매점rsquo rarr lsquo일반 소비자rsquo 또는 lsquo음식점rsquo 등의 과정을 거친다(lt그림 3gt 참조)

마른김은 주로 마른김 가공업체나 소비지 도매시장을 통해 조미김 가공업체나 외식업체

김밥 전문점 등으로 판매되며 조미김은 주로 대형소매점을 통해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마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500여 개소가 있으며 대부분 해남 완도 진도 장흥 등 산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250여 개소가 있다

김의 주요 소비처별 비중을 보면 식당 등 외식업체에서의 소비가 39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는 가정 내 소비(33) 급식(11) 김밥 전문점5)(11) 등의 순이다(lt그림 3gt 참

8

조) 기타에는 주로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삼각김밥6)이 포함된다

삼각김밥은 편의점의 주요 판매 제품 중의 하나로 주로 식사 대용품으로 소비된다 최근 1년 간 편의점에서 물건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남녀 1563명을 대상으로 lsquo편의점 이용 행태와 만족도rsquo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편의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상품 중 삼각김밥 등 lsquo식사 대용식품rsquo이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7) 이 결과는 최근 들어 편의점이 김 소비의 중요한 업태 중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내부자료

lt그림 3gt 김의 유통경로 및 소비처별 비중

5) 김밥전문점 중 프랜차이즈형 김밥 전문점에서의 김 소비는 전체의 5 정도이며 개인이 운영하는 김밥 전문점까지 포함하면 11 정도의 규모임

6) lsquo삼각김밥rsquo은 김밥의 한 종류이며 일본의 오니기리(おにぎり)를 한국에 맞게 만든 제품임 삼각김밥의 도입은 1990년대였으나 밥과 김이 붙어 눅눅해져서 먹기가 불편하고 위생상의 문제로 판매가 부진했음 2000년대 들어 김과 밥을 분리하는 포장법이 개발되어 판매가 급증하고 있음 최근에는 기존의 휴대성과 함께 다양한 고급 첨가물이 가미된 제품의 출시로 소비량이 증가 추세임

7) 이투데이(httpwwwetodaykrnews) 기사 내용 2009-07-09 112525

9

김Ⅲ 김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

소비패턴은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입 여건 변화 소비행태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문헌연구와 FGI를 통해 김의 소비

특성을 시대별 및 종류별로 분류하고 소비자 설문을 통한 김의 인지도 선호도 구매행태 등 김의 소비행태를 분석한다

1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가 1960년대 이전특산품 시대김의 상품형태는 크게 물김(原藻) 마른김 조미김으로 나눌 수 있다 물김 상태로 소비

되는 경우는 일부 산지 소비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마른김이나 조미김으로 소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김을 먹기 시작한 것은 1814년에 쓰여진 자산어보(玆山魚譜)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라는 김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적어도 200년 이상 되었다8) 우리나라의 김 역사는 수 백 년에 이르지만 조선시대 때에는 주로 자연산 채취 위주의 생산이었다 그리고 일제시대에는 일본의 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되었으며 대부분 수출되었다9) 해방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1960년대 이전의 김은 일반인들의 경우 거의 먹을 수 없는 lsquo특산품(特産品)rsquo으로 인식 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기술적인 김 양식의 시작은 1949년 영국의 학자 K Dreu가 김의 포자 증식을 발견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8) ① 자산어보(玆山魚譜)는 1814년(순조 15) 정약전(丁若銓1760sim1816)에 의해 쓰여진 한국 최고(最古)의 어류학서(魚類學書)이며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 155종에 대한 명칭분포형태습성 및 이용 등에 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음 ② 자산어보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는 김을 가리키는 말로 김을 세절(細切)하여 종이처럼 떠서 말린 가공제품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음 ③ 해의가 처음으로 나오는 문헌으로는 자산어보(玆山魚譜)보다 300년 이상 빠른 「경상도지리지」(1434년)와 「동국여지승람」(1478년) 등이 있음

9) 한일 김 수출의 역사는 제1기sim제5기로 나눌 수 있음 제1기(1919sim1953)는 lsquo정부 관리 무역기rsquo라고 하며 한국산 김에 대한 공판 및 자유판매가 실시되었음 제2기(1954sim1977)는 lsquo민간 보호 무역기rsquo이며 제3기(1978sim1994)는 lsquo수출 금지기rsquo로 70년대 일본의 냉동망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생산량이 급증하였기 때문에 한국산 김 수입을 전면적으로 제한했음 제4기(1995sim2004)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1기rsquo로 한국산에 대해 김 IQ를 배정하였음 제5기(2005sim현재)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2기rsquo로 한국 외에도 중국 IQ로 확대되어 Global IQ가 실시되고 있음(박민규 2006)

10

나 1960sim1970년대고급식품 시대1954년 김의 인공 종묘기술이 개발된 후 1960년대에는 일본으로부터 부류식 양식 망홍

및 냉동망 등이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개량 품종인 큰참김 큰방사무늬김 등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까지는 개량품종이나 가공기술 등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한 전통방식10)으로 김을 가공했다 따라서 이 시대의 김은 누구나 먹을 수 있는 식품이기 보다는 특별한 시기나 특별한 사람들이 먹는 lsquo고급식품rsquo으로 인식되었다

그 후 1977년 전자동 김 건조기가 개발보급되고 산처리제 개발 등으로 본격적으로 마른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화된 마른김 생산체제는 김 역사의 획기적인 변화이며 이 변화로 김밥용 김과 김부각 구이 김 등의 김 가공 역사가 시작되었다(김덕술

2007)

다 1980sim1990년대대중식품 시대1960년대는 lsquo김 양식기술의 혁신rsquo이고 1970년대는 lsquo품종개량과 병해대책기술의 혁신rsquo이

었다면 1980년대는 lsquo가공기술의 혁신rsquo이었으며 1990년대는 lsquo제조기술의 혁신rs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970년대 말 마른김 생산이 기계화되었으나 김 소비는 여전히 가정에서 직접 마른김을 구운 후 기름과 소금으로 맛을 내는 수작업에 의존했다 그 후 1982년 한국형 조미김이 개발되어 김 소비의 편리성(便利性)이 더욱 강화되었다 그와 더불어 1988년에는 lsquo즉석 김 구이기계rsquo의 개발로 소자본으로도 김 가공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미김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11) 즉 이 시기에는 김의 가공기술과 제조기술의 발달로 김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 빼 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김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화입김12) 생산기술의 개발이다

10) 전통적인 김의 제조과정(Process of Making Laver)은 우선 자연채묘에 의해 생육한 김을 lsquo김칼rsquo로 뜯어 해수 및 담수로 염분과 이물질을 씻어내고 lsquo김 탈수기rsquo로 수분을 줄인 후 lsquo조파기rsquo로 김을 부드럽게 분쇄함 그리고 lsquo김틀rsquo로 모양을 만들고 lsquo김되rsquo에 붙여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말함

11) 1989년부터는 즉석 구이용으로 돌김을 더 선호하게 되었으며 그 후 1993년에는 재래 조미김 1998년에는 파래 조미김이 가공소비되기 시작했음

12) lsquo화입김rsquo은 생김을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온풍건조실(90)에서 6sim8시간 열처리 하여 방습포장한 김을 말하는데(이태식 외 2000) 수분 함유량이 보통 2sim3 수준임 화입김의 용도는 김의 주 생산시기인 11월sim익년 4월에 생산된 김을 물량이 부족한 비 생산시기(5월sim10월)에 방출하거나 소비자 기호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미김을 생산 할 목적으로 이용됨

11

한편 초창기 조미김은 일본의 가공 시설과 기술 도입을 통해 만들어진 lsquo맛김rsquo이었는데

이는 장당 3g 이상의 김에 조미액(간장)으로 가미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한국형 조미김은 장당 26g 정도의 마른김을 소금과 식용유로 조미하여 가공한 것으로 가정에서 구운 김보다 눅눅함이 적고 김을 굽는 수고를 덜 수 있어 그 수요가 급증했다

그 후 조미김은 상품 형태 첨가물의 종류 포장 방법 등의 개선을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한국 조미김은 일본 조미김과 달리 lsquo소비자 편의성rsquo과 함께 lsquo맛rsquo 위주의 수요자 지향적인 제품 개발이 이루어졌다 즉 한국 조미김의 특징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lsquo맛의 다양성rsquo이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lt표 4gt 참조)

이러한 한국 조미김의 다양성은 일본산이나 중국산 김에 대한 수입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시용 김으로 유명한 일본산 김에 대응한 서구권이나 동남아권 등의 해외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무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lt표 4gt 한국 조미김과 일본 조미김의 특징구 분 한 국 일 본

제품 개발 동기 소비자 편의성 추구(수요자 중심)

중하품 김 처리방법 모색(공급자 중심)

제품 개발 방향 맛 향주요 첨가물 종류 소금 기름 간장평균 중량(속 당) 190sim300g(평균 260g) 300g 전후

장 점∙ 맛이 다양하고 우수∙ 제품 다양성 확보로 수요충족∙ 기름에 익숙한 중화권 및 서구권

소비자 접근성 용이

∙ 균등한 품질 및 규격화 (품질은 1sim13등급으로 구분)∙ 장기 보관성∙ 김 고유의 향과 맛 유지

단 점 ∙ 규격화 부진∙ 보관성이 낮음(기름 때문)

∙ 맛 품질의 획일성 (일반김 위주 생산 때문)

비 고 ∙ 소비자 중심의 제품개발로 규격화는 미흡하나 제품은 다양

∙ 가공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규격화가 실시되었음

주김 소비관련 전문가 자문(FGI 20091006sim23) 결과를 연구자가 재정리하였음

12

라 2000년대웰빙식품 시대(기능성 건강식품)2000년대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능성과 건강 지향적인 김 제품

들이 개발되었다 즉 lsquo김의 차별화rsquo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조미 첨가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2001년에는 인삼이나 김치 와사비 등의 첨가물로 맛을 낸 기능성 김이 출시되었으며 2003년에는 웰빙의 영향에 따라 기존의 대두유보다 몸에 좋은 참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고급기름을 이용한 제품의 차별화가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김 본연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 추세에 힘입어 조미김에 비해 가미가 되지 않은 마른김의 선호도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기술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로 김 소비가 특산품에서 대중식품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 소비 성향에 따라 김이 웰빙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은 lsquo김 소비의 역사rsquo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ldquo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rdquo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 특성은 향후 김 소비 패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t표 5gt 시대별 김 소비의 특성시 기 1960년대 이전 1960sim70년대 1980sim90년대 2000년대 이후김 식품명 명 특산품 고급식품 대중식품 웰빙식품주 요특 징

∙ 자연산 생산∙ 생산 지향적

∙ 수출위주 생산∙ 생산 지향적

∙ 내수위주 생산∙ 소비 지향적

∙ 제품 차별화∙ 소비 지향적

선 호김 종류

일반김 돌김(자연산) 일반김 돌김 재래김 재래김 파래김

김자반 등김 생산규 모

500톤 이하(21만속)

8천sim4만 톤(300sim1700만속)

10sim18만 톤(4200sim7500만속)

20만 톤(8300만속)

기 술수 준

∙ 재래식생산방식 (생산 및 가공)

∙ 부류식 양식∙ 개량품종 도입∙ 김 건조기 보급∙ 산처리제 개발

∙ 즉석구이기계개발∙ 김 건조기 보편화∙ 조미김 개발 (한국형 조미김)

∙ 고차 가공기술∙ 고차 제조기술 (다양한 첨가물)

주1) lsquo김 식품 명명rsquo은 시대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명명(命名)한 것임2) lsquo김 생산 규모rsquo는 각 연대별(10년간) 평균 생산량을 의미하며 ( )의 수치는 연대별 생산량을 마른김으

로 환산(물김 2411kg=1속)한 것임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4: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4

Ⅱ 김의 생산 및 유통구조

1 김 생산동향가 세계 김 생산동향세계의 김(Laver)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김을 생산하는 국가로는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북한 등이 있으며 전체 생산량은 150만 톤 규모이다(lt그림 1gt 참조)

전 세계 김 생산량의 60인 90만 톤을 중국이 생산하고 있으며 일본은 40만 톤 한국은 21만 톤 규모이다 그러나 생산금액으로는 일본(89억 달러) 중국(44억 달러) 한국(21

억 달러)의 순이다(lt표 1gt 참조)

-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50 60 70 80 90 00 01 02 03 04 05 06 07년

천 톤

북한

대만

한국

일본

중국

자료FAO Aquaculture Production 1950-2007(Release dataFebruary 2009)

lt그림 1gt 세계 주요 국가별 김 생산량추이

즉 일본에 비해 중국의 김 생산량은 2배 이상 많지만 생산금액은 12수준이다 이는 중국에서 생산되는 김의 80 이상이 일반김(방사무늬김)에 비해 저렴한 단김(檀紫菜)이기

5

때문이다2)

KMI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이나 일본의 일반김과 같은 중국의 조반김(條班紫菜) 생산량은 연간 2400만 속(260g 기준) 정도이다3)

lt표 1gt 세계 김 생산동향(단위톤 천 달러)

구 분 1998 2000 2002 2004 2006 2007

생산량

중 국 330137 424913 587750 708863 805261 904170

일 본 396615 391681 436031 358929 367678 395500

한 국 190979 130488 209995 228554 217559 210956

대 만 4 19 24 7 5 8

북 한 8000 7000 - - - -

생산금액

중 국 165069 191211 264488 318988 362368 443043

일 본 881655 873449 981070 807590 827276 889875

한 국 172494 88690 107517 166630 177724 208870

대 만 94 444 527 198 129 146

북 한 4400 3850 - - - -

주분석 자료는 FAO Aquaculture Production의 lsquospeciesrsquo 중 Laver(Nori)만을 검색한 결과임자료상 동

나 국내 김 생산동향2008년 기준 국내 김 생산량은 9980만 속이고 생산금액은 2092억 원으로 어업 생산액

의 33를 점하고 있다 또한 생산량과 생산금액도 지난 2000년에 비해 2배정도 증가했다

그러나 김 양식 어가 수는 12 수준으로 감소해 어가당 양식 면적은 25배 증가했으며 생산량과 생산금액도 4배 이상 증가했다(lt표 2gt 참조)

2) 박민규(2006)에 따르면 중국의 양식 김 종류는 크게 단김(檀紫菜)과 조반김(條班紫菜)이 있으며 단김은 중국의 전통적인 양식품종이고 조반김은 일본에서 도입된 방사무늬 김의 일종임 이 두 가지 김은 가공방법이나 용도가 상이한데 우선 단김은 원초를 원형과 장방형으로 건조하며 먹을 때는 작게 뜯어 물에 넣고 스프나 볶음용으로 사용함 이는 한국과 일본의 마른미역과 같은 식재료임 그에 비해 조반김은 대부분 수출 또는 과자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됨

3) KMI 수산업관측센터 「김 수산관측」 2007년 2월호

6

lt표 2gt 국내 김 생산규모구 분 2000(A) 2005 2008(B) BA()

전 체

생 산 량(천 속) 51501 79169 99755 937

생산금액(억 원) 1036 1861 2090 1017

양식면적(ha) 46870 53945 55321 180

어 가 수(호) 14180 8752 6825 -519

어가당생 산 량(천 속) 36 90 146 3024

생산금액(백만원) 73 213 306 3191

양식면적(ha) 33 62 81 1452

자료농림수산식품부 내부자료

국내 김 생산량 추이를 연대별로 보면 lsquo계단식(階段式)rsquo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lt표 3gt 참조) 이러한 생산량 증가는 김의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 등 국내외 시장 환경변화 소비행태의 변화 등과 관련이 있다4)

lt표 3gt 연대별 김 생산동향구 분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생산량(톤) 513 7972 40199 103333 176042 197874

주lsquo생산량rsquo은 해당 연대의 10년간 김 생산량 평균치며 lsquo2000년대rsquo는 2008년까지의 평균치임자료FAO Aquaculture Production 1950-2007(Release dataFebruary 2009) 어업생산통계

지난 60년간의 김 생산 추이 중 가장 큰 변화로 꼽을 수 있는 것은 70년대 생산가공의 기계화와 대일 수출 중단 80년대 한국형 조미김 개발과 장기 보관기술 개발 90년대 대일 수출 재개 등이 있다 그러나 2000년 이후의 김 생산량은 연도별 변동은 있으나 다른 연대에 비해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4) 김 생산량 증감 요인에는 해황 여건 작황 시설량 등 lsquo통제 불가능 요인rsquo과 기술개발 수출 소비행태 변화 등 lsquo통제 가능 요인rsquo이 있음 본 연구에서는 김 생산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통제 가능 요인에 한해서만 다루고자 함

7

-

50

100

150

200

250

300

51

54

57

60

63

66

69

72

75

78

81

84

87

90

93

96

99

02

05

08

천톤

주1951sim2007년까지는 lsquoFAOrsquo자료이며 2008년은 lsquo어업생산통계rsquo를 이용하였음

lt그림 2gt 연도별 김 생산량 추이

2 김 유통구조

김은 물김형태로 생산되어 거의 전량이 1차 가공단계인 마른김 가공업체에 판매된다 그리고 lsquo마른김rsquo은 2차 가공단계인 조미김 가공업체나 도매시장으로 판매된다

김의 주요 유통경로는 lsquo생산자rsquo rarr lsquo마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산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조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소비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대형소매점rsquo rarr lsquo일반 소비자rsquo 또는 lsquo음식점rsquo 등의 과정을 거친다(lt그림 3gt 참조)

마른김은 주로 마른김 가공업체나 소비지 도매시장을 통해 조미김 가공업체나 외식업체

김밥 전문점 등으로 판매되며 조미김은 주로 대형소매점을 통해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마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500여 개소가 있으며 대부분 해남 완도 진도 장흥 등 산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250여 개소가 있다

김의 주요 소비처별 비중을 보면 식당 등 외식업체에서의 소비가 39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는 가정 내 소비(33) 급식(11) 김밥 전문점5)(11) 등의 순이다(lt그림 3gt 참

8

조) 기타에는 주로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삼각김밥6)이 포함된다

삼각김밥은 편의점의 주요 판매 제품 중의 하나로 주로 식사 대용품으로 소비된다 최근 1년 간 편의점에서 물건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남녀 1563명을 대상으로 lsquo편의점 이용 행태와 만족도rsquo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편의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상품 중 삼각김밥 등 lsquo식사 대용식품rsquo이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7) 이 결과는 최근 들어 편의점이 김 소비의 중요한 업태 중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내부자료

lt그림 3gt 김의 유통경로 및 소비처별 비중

5) 김밥전문점 중 프랜차이즈형 김밥 전문점에서의 김 소비는 전체의 5 정도이며 개인이 운영하는 김밥 전문점까지 포함하면 11 정도의 규모임

6) lsquo삼각김밥rsquo은 김밥의 한 종류이며 일본의 오니기리(おにぎり)를 한국에 맞게 만든 제품임 삼각김밥의 도입은 1990년대였으나 밥과 김이 붙어 눅눅해져서 먹기가 불편하고 위생상의 문제로 판매가 부진했음 2000년대 들어 김과 밥을 분리하는 포장법이 개발되어 판매가 급증하고 있음 최근에는 기존의 휴대성과 함께 다양한 고급 첨가물이 가미된 제품의 출시로 소비량이 증가 추세임

7) 이투데이(httpwwwetodaykrnews) 기사 내용 2009-07-09 112525

9

김Ⅲ 김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

소비패턴은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입 여건 변화 소비행태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문헌연구와 FGI를 통해 김의 소비

특성을 시대별 및 종류별로 분류하고 소비자 설문을 통한 김의 인지도 선호도 구매행태 등 김의 소비행태를 분석한다

1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가 1960년대 이전특산품 시대김의 상품형태는 크게 물김(原藻) 마른김 조미김으로 나눌 수 있다 물김 상태로 소비

되는 경우는 일부 산지 소비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마른김이나 조미김으로 소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김을 먹기 시작한 것은 1814년에 쓰여진 자산어보(玆山魚譜)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라는 김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적어도 200년 이상 되었다8) 우리나라의 김 역사는 수 백 년에 이르지만 조선시대 때에는 주로 자연산 채취 위주의 생산이었다 그리고 일제시대에는 일본의 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되었으며 대부분 수출되었다9) 해방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1960년대 이전의 김은 일반인들의 경우 거의 먹을 수 없는 lsquo특산품(特産品)rsquo으로 인식 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기술적인 김 양식의 시작은 1949년 영국의 학자 K Dreu가 김의 포자 증식을 발견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8) ① 자산어보(玆山魚譜)는 1814년(순조 15) 정약전(丁若銓1760sim1816)에 의해 쓰여진 한국 최고(最古)의 어류학서(魚類學書)이며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 155종에 대한 명칭분포형태습성 및 이용 등에 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음 ② 자산어보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는 김을 가리키는 말로 김을 세절(細切)하여 종이처럼 떠서 말린 가공제품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음 ③ 해의가 처음으로 나오는 문헌으로는 자산어보(玆山魚譜)보다 300년 이상 빠른 「경상도지리지」(1434년)와 「동국여지승람」(1478년) 등이 있음

9) 한일 김 수출의 역사는 제1기sim제5기로 나눌 수 있음 제1기(1919sim1953)는 lsquo정부 관리 무역기rsquo라고 하며 한국산 김에 대한 공판 및 자유판매가 실시되었음 제2기(1954sim1977)는 lsquo민간 보호 무역기rsquo이며 제3기(1978sim1994)는 lsquo수출 금지기rsquo로 70년대 일본의 냉동망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생산량이 급증하였기 때문에 한국산 김 수입을 전면적으로 제한했음 제4기(1995sim2004)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1기rsquo로 한국산에 대해 김 IQ를 배정하였음 제5기(2005sim현재)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2기rsquo로 한국 외에도 중국 IQ로 확대되어 Global IQ가 실시되고 있음(박민규 2006)

10

나 1960sim1970년대고급식품 시대1954년 김의 인공 종묘기술이 개발된 후 1960년대에는 일본으로부터 부류식 양식 망홍

및 냉동망 등이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개량 품종인 큰참김 큰방사무늬김 등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까지는 개량품종이나 가공기술 등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한 전통방식10)으로 김을 가공했다 따라서 이 시대의 김은 누구나 먹을 수 있는 식품이기 보다는 특별한 시기나 특별한 사람들이 먹는 lsquo고급식품rsquo으로 인식되었다

그 후 1977년 전자동 김 건조기가 개발보급되고 산처리제 개발 등으로 본격적으로 마른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화된 마른김 생산체제는 김 역사의 획기적인 변화이며 이 변화로 김밥용 김과 김부각 구이 김 등의 김 가공 역사가 시작되었다(김덕술

2007)

다 1980sim1990년대대중식품 시대1960년대는 lsquo김 양식기술의 혁신rsquo이고 1970년대는 lsquo품종개량과 병해대책기술의 혁신rsquo이

었다면 1980년대는 lsquo가공기술의 혁신rsquo이었으며 1990년대는 lsquo제조기술의 혁신rs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970년대 말 마른김 생산이 기계화되었으나 김 소비는 여전히 가정에서 직접 마른김을 구운 후 기름과 소금으로 맛을 내는 수작업에 의존했다 그 후 1982년 한국형 조미김이 개발되어 김 소비의 편리성(便利性)이 더욱 강화되었다 그와 더불어 1988년에는 lsquo즉석 김 구이기계rsquo의 개발로 소자본으로도 김 가공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미김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11) 즉 이 시기에는 김의 가공기술과 제조기술의 발달로 김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 빼 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김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화입김12) 생산기술의 개발이다

10) 전통적인 김의 제조과정(Process of Making Laver)은 우선 자연채묘에 의해 생육한 김을 lsquo김칼rsquo로 뜯어 해수 및 담수로 염분과 이물질을 씻어내고 lsquo김 탈수기rsquo로 수분을 줄인 후 lsquo조파기rsquo로 김을 부드럽게 분쇄함 그리고 lsquo김틀rsquo로 모양을 만들고 lsquo김되rsquo에 붙여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말함

11) 1989년부터는 즉석 구이용으로 돌김을 더 선호하게 되었으며 그 후 1993년에는 재래 조미김 1998년에는 파래 조미김이 가공소비되기 시작했음

12) lsquo화입김rsquo은 생김을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온풍건조실(90)에서 6sim8시간 열처리 하여 방습포장한 김을 말하는데(이태식 외 2000) 수분 함유량이 보통 2sim3 수준임 화입김의 용도는 김의 주 생산시기인 11월sim익년 4월에 생산된 김을 물량이 부족한 비 생산시기(5월sim10월)에 방출하거나 소비자 기호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미김을 생산 할 목적으로 이용됨

11

한편 초창기 조미김은 일본의 가공 시설과 기술 도입을 통해 만들어진 lsquo맛김rsquo이었는데

이는 장당 3g 이상의 김에 조미액(간장)으로 가미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한국형 조미김은 장당 26g 정도의 마른김을 소금과 식용유로 조미하여 가공한 것으로 가정에서 구운 김보다 눅눅함이 적고 김을 굽는 수고를 덜 수 있어 그 수요가 급증했다

그 후 조미김은 상품 형태 첨가물의 종류 포장 방법 등의 개선을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한국 조미김은 일본 조미김과 달리 lsquo소비자 편의성rsquo과 함께 lsquo맛rsquo 위주의 수요자 지향적인 제품 개발이 이루어졌다 즉 한국 조미김의 특징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lsquo맛의 다양성rsquo이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lt표 4gt 참조)

이러한 한국 조미김의 다양성은 일본산이나 중국산 김에 대한 수입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시용 김으로 유명한 일본산 김에 대응한 서구권이나 동남아권 등의 해외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무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lt표 4gt 한국 조미김과 일본 조미김의 특징구 분 한 국 일 본

제품 개발 동기 소비자 편의성 추구(수요자 중심)

중하품 김 처리방법 모색(공급자 중심)

제품 개발 방향 맛 향주요 첨가물 종류 소금 기름 간장평균 중량(속 당) 190sim300g(평균 260g) 300g 전후

장 점∙ 맛이 다양하고 우수∙ 제품 다양성 확보로 수요충족∙ 기름에 익숙한 중화권 및 서구권

소비자 접근성 용이

∙ 균등한 품질 및 규격화 (품질은 1sim13등급으로 구분)∙ 장기 보관성∙ 김 고유의 향과 맛 유지

단 점 ∙ 규격화 부진∙ 보관성이 낮음(기름 때문)

∙ 맛 품질의 획일성 (일반김 위주 생산 때문)

비 고 ∙ 소비자 중심의 제품개발로 규격화는 미흡하나 제품은 다양

∙ 가공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규격화가 실시되었음

주김 소비관련 전문가 자문(FGI 20091006sim23) 결과를 연구자가 재정리하였음

12

라 2000년대웰빙식품 시대(기능성 건강식품)2000년대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능성과 건강 지향적인 김 제품

들이 개발되었다 즉 lsquo김의 차별화rsquo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조미 첨가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2001년에는 인삼이나 김치 와사비 등의 첨가물로 맛을 낸 기능성 김이 출시되었으며 2003년에는 웰빙의 영향에 따라 기존의 대두유보다 몸에 좋은 참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고급기름을 이용한 제품의 차별화가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김 본연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 추세에 힘입어 조미김에 비해 가미가 되지 않은 마른김의 선호도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기술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로 김 소비가 특산품에서 대중식품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 소비 성향에 따라 김이 웰빙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은 lsquo김 소비의 역사rsquo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ldquo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rdquo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 특성은 향후 김 소비 패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t표 5gt 시대별 김 소비의 특성시 기 1960년대 이전 1960sim70년대 1980sim90년대 2000년대 이후김 식품명 명 특산품 고급식품 대중식품 웰빙식품주 요특 징

∙ 자연산 생산∙ 생산 지향적

∙ 수출위주 생산∙ 생산 지향적

∙ 내수위주 생산∙ 소비 지향적

∙ 제품 차별화∙ 소비 지향적

선 호김 종류

일반김 돌김(자연산) 일반김 돌김 재래김 재래김 파래김

김자반 등김 생산규 모

500톤 이하(21만속)

8천sim4만 톤(300sim1700만속)

10sim18만 톤(4200sim7500만속)

20만 톤(8300만속)

기 술수 준

∙ 재래식생산방식 (생산 및 가공)

∙ 부류식 양식∙ 개량품종 도입∙ 김 건조기 보급∙ 산처리제 개발

∙ 즉석구이기계개발∙ 김 건조기 보편화∙ 조미김 개발 (한국형 조미김)

∙ 고차 가공기술∙ 고차 제조기술 (다양한 첨가물)

주1) lsquo김 식품 명명rsquo은 시대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명명(命名)한 것임2) lsquo김 생산 규모rsquo는 각 연대별(10년간) 평균 생산량을 의미하며 ( )의 수치는 연대별 생산량을 마른김으

로 환산(물김 2411kg=1속)한 것임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5: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5

때문이다2)

KMI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이나 일본의 일반김과 같은 중국의 조반김(條班紫菜) 생산량은 연간 2400만 속(260g 기준) 정도이다3)

lt표 1gt 세계 김 생산동향(단위톤 천 달러)

구 분 1998 2000 2002 2004 2006 2007

생산량

중 국 330137 424913 587750 708863 805261 904170

일 본 396615 391681 436031 358929 367678 395500

한 국 190979 130488 209995 228554 217559 210956

대 만 4 19 24 7 5 8

북 한 8000 7000 - - - -

생산금액

중 국 165069 191211 264488 318988 362368 443043

일 본 881655 873449 981070 807590 827276 889875

한 국 172494 88690 107517 166630 177724 208870

대 만 94 444 527 198 129 146

북 한 4400 3850 - - - -

주분석 자료는 FAO Aquaculture Production의 lsquospeciesrsquo 중 Laver(Nori)만을 검색한 결과임자료상 동

나 국내 김 생산동향2008년 기준 국내 김 생산량은 9980만 속이고 생산금액은 2092억 원으로 어업 생산액

의 33를 점하고 있다 또한 생산량과 생산금액도 지난 2000년에 비해 2배정도 증가했다

그러나 김 양식 어가 수는 12 수준으로 감소해 어가당 양식 면적은 25배 증가했으며 생산량과 생산금액도 4배 이상 증가했다(lt표 2gt 참조)

2) 박민규(2006)에 따르면 중국의 양식 김 종류는 크게 단김(檀紫菜)과 조반김(條班紫菜)이 있으며 단김은 중국의 전통적인 양식품종이고 조반김은 일본에서 도입된 방사무늬 김의 일종임 이 두 가지 김은 가공방법이나 용도가 상이한데 우선 단김은 원초를 원형과 장방형으로 건조하며 먹을 때는 작게 뜯어 물에 넣고 스프나 볶음용으로 사용함 이는 한국과 일본의 마른미역과 같은 식재료임 그에 비해 조반김은 대부분 수출 또는 과자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됨

3) KMI 수산업관측센터 「김 수산관측」 2007년 2월호

6

lt표 2gt 국내 김 생산규모구 분 2000(A) 2005 2008(B) BA()

전 체

생 산 량(천 속) 51501 79169 99755 937

생산금액(억 원) 1036 1861 2090 1017

양식면적(ha) 46870 53945 55321 180

어 가 수(호) 14180 8752 6825 -519

어가당생 산 량(천 속) 36 90 146 3024

생산금액(백만원) 73 213 306 3191

양식면적(ha) 33 62 81 1452

자료농림수산식품부 내부자료

국내 김 생산량 추이를 연대별로 보면 lsquo계단식(階段式)rsquo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lt표 3gt 참조) 이러한 생산량 증가는 김의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 등 국내외 시장 환경변화 소비행태의 변화 등과 관련이 있다4)

lt표 3gt 연대별 김 생산동향구 분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생산량(톤) 513 7972 40199 103333 176042 197874

주lsquo생산량rsquo은 해당 연대의 10년간 김 생산량 평균치며 lsquo2000년대rsquo는 2008년까지의 평균치임자료FAO Aquaculture Production 1950-2007(Release dataFebruary 2009) 어업생산통계

지난 60년간의 김 생산 추이 중 가장 큰 변화로 꼽을 수 있는 것은 70년대 생산가공의 기계화와 대일 수출 중단 80년대 한국형 조미김 개발과 장기 보관기술 개발 90년대 대일 수출 재개 등이 있다 그러나 2000년 이후의 김 생산량은 연도별 변동은 있으나 다른 연대에 비해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4) 김 생산량 증감 요인에는 해황 여건 작황 시설량 등 lsquo통제 불가능 요인rsquo과 기술개발 수출 소비행태 변화 등 lsquo통제 가능 요인rsquo이 있음 본 연구에서는 김 생산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통제 가능 요인에 한해서만 다루고자 함

7

-

50

100

150

200

250

300

51

54

57

60

63

66

69

72

75

78

81

84

87

90

93

96

99

02

05

08

천톤

주1951sim2007년까지는 lsquoFAOrsquo자료이며 2008년은 lsquo어업생산통계rsquo를 이용하였음

lt그림 2gt 연도별 김 생산량 추이

2 김 유통구조

김은 물김형태로 생산되어 거의 전량이 1차 가공단계인 마른김 가공업체에 판매된다 그리고 lsquo마른김rsquo은 2차 가공단계인 조미김 가공업체나 도매시장으로 판매된다

김의 주요 유통경로는 lsquo생산자rsquo rarr lsquo마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산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조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소비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대형소매점rsquo rarr lsquo일반 소비자rsquo 또는 lsquo음식점rsquo 등의 과정을 거친다(lt그림 3gt 참조)

마른김은 주로 마른김 가공업체나 소비지 도매시장을 통해 조미김 가공업체나 외식업체

김밥 전문점 등으로 판매되며 조미김은 주로 대형소매점을 통해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마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500여 개소가 있으며 대부분 해남 완도 진도 장흥 등 산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250여 개소가 있다

김의 주요 소비처별 비중을 보면 식당 등 외식업체에서의 소비가 39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는 가정 내 소비(33) 급식(11) 김밥 전문점5)(11) 등의 순이다(lt그림 3gt 참

8

조) 기타에는 주로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삼각김밥6)이 포함된다

삼각김밥은 편의점의 주요 판매 제품 중의 하나로 주로 식사 대용품으로 소비된다 최근 1년 간 편의점에서 물건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남녀 1563명을 대상으로 lsquo편의점 이용 행태와 만족도rsquo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편의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상품 중 삼각김밥 등 lsquo식사 대용식품rsquo이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7) 이 결과는 최근 들어 편의점이 김 소비의 중요한 업태 중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내부자료

lt그림 3gt 김의 유통경로 및 소비처별 비중

5) 김밥전문점 중 프랜차이즈형 김밥 전문점에서의 김 소비는 전체의 5 정도이며 개인이 운영하는 김밥 전문점까지 포함하면 11 정도의 규모임

6) lsquo삼각김밥rsquo은 김밥의 한 종류이며 일본의 오니기리(おにぎり)를 한국에 맞게 만든 제품임 삼각김밥의 도입은 1990년대였으나 밥과 김이 붙어 눅눅해져서 먹기가 불편하고 위생상의 문제로 판매가 부진했음 2000년대 들어 김과 밥을 분리하는 포장법이 개발되어 판매가 급증하고 있음 최근에는 기존의 휴대성과 함께 다양한 고급 첨가물이 가미된 제품의 출시로 소비량이 증가 추세임

7) 이투데이(httpwwwetodaykrnews) 기사 내용 2009-07-09 112525

9

김Ⅲ 김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

소비패턴은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입 여건 변화 소비행태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문헌연구와 FGI를 통해 김의 소비

특성을 시대별 및 종류별로 분류하고 소비자 설문을 통한 김의 인지도 선호도 구매행태 등 김의 소비행태를 분석한다

1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가 1960년대 이전특산품 시대김의 상품형태는 크게 물김(原藻) 마른김 조미김으로 나눌 수 있다 물김 상태로 소비

되는 경우는 일부 산지 소비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마른김이나 조미김으로 소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김을 먹기 시작한 것은 1814년에 쓰여진 자산어보(玆山魚譜)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라는 김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적어도 200년 이상 되었다8) 우리나라의 김 역사는 수 백 년에 이르지만 조선시대 때에는 주로 자연산 채취 위주의 생산이었다 그리고 일제시대에는 일본의 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되었으며 대부분 수출되었다9) 해방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1960년대 이전의 김은 일반인들의 경우 거의 먹을 수 없는 lsquo특산품(特産品)rsquo으로 인식 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기술적인 김 양식의 시작은 1949년 영국의 학자 K Dreu가 김의 포자 증식을 발견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8) ① 자산어보(玆山魚譜)는 1814년(순조 15) 정약전(丁若銓1760sim1816)에 의해 쓰여진 한국 최고(最古)의 어류학서(魚類學書)이며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 155종에 대한 명칭분포형태습성 및 이용 등에 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음 ② 자산어보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는 김을 가리키는 말로 김을 세절(細切)하여 종이처럼 떠서 말린 가공제품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음 ③ 해의가 처음으로 나오는 문헌으로는 자산어보(玆山魚譜)보다 300년 이상 빠른 「경상도지리지」(1434년)와 「동국여지승람」(1478년) 등이 있음

9) 한일 김 수출의 역사는 제1기sim제5기로 나눌 수 있음 제1기(1919sim1953)는 lsquo정부 관리 무역기rsquo라고 하며 한국산 김에 대한 공판 및 자유판매가 실시되었음 제2기(1954sim1977)는 lsquo민간 보호 무역기rsquo이며 제3기(1978sim1994)는 lsquo수출 금지기rsquo로 70년대 일본의 냉동망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생산량이 급증하였기 때문에 한국산 김 수입을 전면적으로 제한했음 제4기(1995sim2004)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1기rsquo로 한국산에 대해 김 IQ를 배정하였음 제5기(2005sim현재)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2기rsquo로 한국 외에도 중국 IQ로 확대되어 Global IQ가 실시되고 있음(박민규 2006)

10

나 1960sim1970년대고급식품 시대1954년 김의 인공 종묘기술이 개발된 후 1960년대에는 일본으로부터 부류식 양식 망홍

및 냉동망 등이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개량 품종인 큰참김 큰방사무늬김 등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까지는 개량품종이나 가공기술 등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한 전통방식10)으로 김을 가공했다 따라서 이 시대의 김은 누구나 먹을 수 있는 식품이기 보다는 특별한 시기나 특별한 사람들이 먹는 lsquo고급식품rsquo으로 인식되었다

그 후 1977년 전자동 김 건조기가 개발보급되고 산처리제 개발 등으로 본격적으로 마른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화된 마른김 생산체제는 김 역사의 획기적인 변화이며 이 변화로 김밥용 김과 김부각 구이 김 등의 김 가공 역사가 시작되었다(김덕술

2007)

다 1980sim1990년대대중식품 시대1960년대는 lsquo김 양식기술의 혁신rsquo이고 1970년대는 lsquo품종개량과 병해대책기술의 혁신rsquo이

었다면 1980년대는 lsquo가공기술의 혁신rsquo이었으며 1990년대는 lsquo제조기술의 혁신rs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970년대 말 마른김 생산이 기계화되었으나 김 소비는 여전히 가정에서 직접 마른김을 구운 후 기름과 소금으로 맛을 내는 수작업에 의존했다 그 후 1982년 한국형 조미김이 개발되어 김 소비의 편리성(便利性)이 더욱 강화되었다 그와 더불어 1988년에는 lsquo즉석 김 구이기계rsquo의 개발로 소자본으로도 김 가공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미김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11) 즉 이 시기에는 김의 가공기술과 제조기술의 발달로 김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 빼 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김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화입김12) 생산기술의 개발이다

10) 전통적인 김의 제조과정(Process of Making Laver)은 우선 자연채묘에 의해 생육한 김을 lsquo김칼rsquo로 뜯어 해수 및 담수로 염분과 이물질을 씻어내고 lsquo김 탈수기rsquo로 수분을 줄인 후 lsquo조파기rsquo로 김을 부드럽게 분쇄함 그리고 lsquo김틀rsquo로 모양을 만들고 lsquo김되rsquo에 붙여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말함

11) 1989년부터는 즉석 구이용으로 돌김을 더 선호하게 되었으며 그 후 1993년에는 재래 조미김 1998년에는 파래 조미김이 가공소비되기 시작했음

12) lsquo화입김rsquo은 생김을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온풍건조실(90)에서 6sim8시간 열처리 하여 방습포장한 김을 말하는데(이태식 외 2000) 수분 함유량이 보통 2sim3 수준임 화입김의 용도는 김의 주 생산시기인 11월sim익년 4월에 생산된 김을 물량이 부족한 비 생산시기(5월sim10월)에 방출하거나 소비자 기호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미김을 생산 할 목적으로 이용됨

11

한편 초창기 조미김은 일본의 가공 시설과 기술 도입을 통해 만들어진 lsquo맛김rsquo이었는데

이는 장당 3g 이상의 김에 조미액(간장)으로 가미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한국형 조미김은 장당 26g 정도의 마른김을 소금과 식용유로 조미하여 가공한 것으로 가정에서 구운 김보다 눅눅함이 적고 김을 굽는 수고를 덜 수 있어 그 수요가 급증했다

그 후 조미김은 상품 형태 첨가물의 종류 포장 방법 등의 개선을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한국 조미김은 일본 조미김과 달리 lsquo소비자 편의성rsquo과 함께 lsquo맛rsquo 위주의 수요자 지향적인 제품 개발이 이루어졌다 즉 한국 조미김의 특징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lsquo맛의 다양성rsquo이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lt표 4gt 참조)

이러한 한국 조미김의 다양성은 일본산이나 중국산 김에 대한 수입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시용 김으로 유명한 일본산 김에 대응한 서구권이나 동남아권 등의 해외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무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lt표 4gt 한국 조미김과 일본 조미김의 특징구 분 한 국 일 본

제품 개발 동기 소비자 편의성 추구(수요자 중심)

중하품 김 처리방법 모색(공급자 중심)

제품 개발 방향 맛 향주요 첨가물 종류 소금 기름 간장평균 중량(속 당) 190sim300g(평균 260g) 300g 전후

장 점∙ 맛이 다양하고 우수∙ 제품 다양성 확보로 수요충족∙ 기름에 익숙한 중화권 및 서구권

소비자 접근성 용이

∙ 균등한 품질 및 규격화 (품질은 1sim13등급으로 구분)∙ 장기 보관성∙ 김 고유의 향과 맛 유지

단 점 ∙ 규격화 부진∙ 보관성이 낮음(기름 때문)

∙ 맛 품질의 획일성 (일반김 위주 생산 때문)

비 고 ∙ 소비자 중심의 제품개발로 규격화는 미흡하나 제품은 다양

∙ 가공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규격화가 실시되었음

주김 소비관련 전문가 자문(FGI 20091006sim23) 결과를 연구자가 재정리하였음

12

라 2000년대웰빙식품 시대(기능성 건강식품)2000년대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능성과 건강 지향적인 김 제품

들이 개발되었다 즉 lsquo김의 차별화rsquo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조미 첨가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2001년에는 인삼이나 김치 와사비 등의 첨가물로 맛을 낸 기능성 김이 출시되었으며 2003년에는 웰빙의 영향에 따라 기존의 대두유보다 몸에 좋은 참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고급기름을 이용한 제품의 차별화가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김 본연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 추세에 힘입어 조미김에 비해 가미가 되지 않은 마른김의 선호도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기술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로 김 소비가 특산품에서 대중식품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 소비 성향에 따라 김이 웰빙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은 lsquo김 소비의 역사rsquo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ldquo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rdquo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 특성은 향후 김 소비 패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t표 5gt 시대별 김 소비의 특성시 기 1960년대 이전 1960sim70년대 1980sim90년대 2000년대 이후김 식품명 명 특산품 고급식품 대중식품 웰빙식품주 요특 징

∙ 자연산 생산∙ 생산 지향적

∙ 수출위주 생산∙ 생산 지향적

∙ 내수위주 생산∙ 소비 지향적

∙ 제품 차별화∙ 소비 지향적

선 호김 종류

일반김 돌김(자연산) 일반김 돌김 재래김 재래김 파래김

김자반 등김 생산규 모

500톤 이하(21만속)

8천sim4만 톤(300sim1700만속)

10sim18만 톤(4200sim7500만속)

20만 톤(8300만속)

기 술수 준

∙ 재래식생산방식 (생산 및 가공)

∙ 부류식 양식∙ 개량품종 도입∙ 김 건조기 보급∙ 산처리제 개발

∙ 즉석구이기계개발∙ 김 건조기 보편화∙ 조미김 개발 (한국형 조미김)

∙ 고차 가공기술∙ 고차 제조기술 (다양한 첨가물)

주1) lsquo김 식품 명명rsquo은 시대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명명(命名)한 것임2) lsquo김 생산 규모rsquo는 각 연대별(10년간) 평균 생산량을 의미하며 ( )의 수치는 연대별 생산량을 마른김으

로 환산(물김 2411kg=1속)한 것임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6: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6

lt표 2gt 국내 김 생산규모구 분 2000(A) 2005 2008(B) BA()

전 체

생 산 량(천 속) 51501 79169 99755 937

생산금액(억 원) 1036 1861 2090 1017

양식면적(ha) 46870 53945 55321 180

어 가 수(호) 14180 8752 6825 -519

어가당생 산 량(천 속) 36 90 146 3024

생산금액(백만원) 73 213 306 3191

양식면적(ha) 33 62 81 1452

자료농림수산식품부 내부자료

국내 김 생산량 추이를 연대별로 보면 lsquo계단식(階段式)rsquo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lt표 3gt 참조) 이러한 생산량 증가는 김의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 등 국내외 시장 환경변화 소비행태의 변화 등과 관련이 있다4)

lt표 3gt 연대별 김 생산동향구 분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생산량(톤) 513 7972 40199 103333 176042 197874

주lsquo생산량rsquo은 해당 연대의 10년간 김 생산량 평균치며 lsquo2000년대rsquo는 2008년까지의 평균치임자료FAO Aquaculture Production 1950-2007(Release dataFebruary 2009) 어업생산통계

지난 60년간의 김 생산 추이 중 가장 큰 변화로 꼽을 수 있는 것은 70년대 생산가공의 기계화와 대일 수출 중단 80년대 한국형 조미김 개발과 장기 보관기술 개발 90년대 대일 수출 재개 등이 있다 그러나 2000년 이후의 김 생산량은 연도별 변동은 있으나 다른 연대에 비해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4) 김 생산량 증감 요인에는 해황 여건 작황 시설량 등 lsquo통제 불가능 요인rsquo과 기술개발 수출 소비행태 변화 등 lsquo통제 가능 요인rsquo이 있음 본 연구에서는 김 생산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통제 가능 요인에 한해서만 다루고자 함

7

-

50

100

150

200

250

300

51

54

57

60

63

66

69

72

75

78

81

84

87

90

93

96

99

02

05

08

천톤

주1951sim2007년까지는 lsquoFAOrsquo자료이며 2008년은 lsquo어업생산통계rsquo를 이용하였음

lt그림 2gt 연도별 김 생산량 추이

2 김 유통구조

김은 물김형태로 생산되어 거의 전량이 1차 가공단계인 마른김 가공업체에 판매된다 그리고 lsquo마른김rsquo은 2차 가공단계인 조미김 가공업체나 도매시장으로 판매된다

김의 주요 유통경로는 lsquo생산자rsquo rarr lsquo마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산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조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소비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대형소매점rsquo rarr lsquo일반 소비자rsquo 또는 lsquo음식점rsquo 등의 과정을 거친다(lt그림 3gt 참조)

마른김은 주로 마른김 가공업체나 소비지 도매시장을 통해 조미김 가공업체나 외식업체

김밥 전문점 등으로 판매되며 조미김은 주로 대형소매점을 통해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마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500여 개소가 있으며 대부분 해남 완도 진도 장흥 등 산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250여 개소가 있다

김의 주요 소비처별 비중을 보면 식당 등 외식업체에서의 소비가 39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는 가정 내 소비(33) 급식(11) 김밥 전문점5)(11) 등의 순이다(lt그림 3gt 참

8

조) 기타에는 주로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삼각김밥6)이 포함된다

삼각김밥은 편의점의 주요 판매 제품 중의 하나로 주로 식사 대용품으로 소비된다 최근 1년 간 편의점에서 물건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남녀 1563명을 대상으로 lsquo편의점 이용 행태와 만족도rsquo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편의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상품 중 삼각김밥 등 lsquo식사 대용식품rsquo이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7) 이 결과는 최근 들어 편의점이 김 소비의 중요한 업태 중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내부자료

lt그림 3gt 김의 유통경로 및 소비처별 비중

5) 김밥전문점 중 프랜차이즈형 김밥 전문점에서의 김 소비는 전체의 5 정도이며 개인이 운영하는 김밥 전문점까지 포함하면 11 정도의 규모임

6) lsquo삼각김밥rsquo은 김밥의 한 종류이며 일본의 오니기리(おにぎり)를 한국에 맞게 만든 제품임 삼각김밥의 도입은 1990년대였으나 밥과 김이 붙어 눅눅해져서 먹기가 불편하고 위생상의 문제로 판매가 부진했음 2000년대 들어 김과 밥을 분리하는 포장법이 개발되어 판매가 급증하고 있음 최근에는 기존의 휴대성과 함께 다양한 고급 첨가물이 가미된 제품의 출시로 소비량이 증가 추세임

7) 이투데이(httpwwwetodaykrnews) 기사 내용 2009-07-09 112525

9

김Ⅲ 김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

소비패턴은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입 여건 변화 소비행태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문헌연구와 FGI를 통해 김의 소비

특성을 시대별 및 종류별로 분류하고 소비자 설문을 통한 김의 인지도 선호도 구매행태 등 김의 소비행태를 분석한다

1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가 1960년대 이전특산품 시대김의 상품형태는 크게 물김(原藻) 마른김 조미김으로 나눌 수 있다 물김 상태로 소비

되는 경우는 일부 산지 소비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마른김이나 조미김으로 소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김을 먹기 시작한 것은 1814년에 쓰여진 자산어보(玆山魚譜)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라는 김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적어도 200년 이상 되었다8) 우리나라의 김 역사는 수 백 년에 이르지만 조선시대 때에는 주로 자연산 채취 위주의 생산이었다 그리고 일제시대에는 일본의 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되었으며 대부분 수출되었다9) 해방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1960년대 이전의 김은 일반인들의 경우 거의 먹을 수 없는 lsquo특산품(特産品)rsquo으로 인식 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기술적인 김 양식의 시작은 1949년 영국의 학자 K Dreu가 김의 포자 증식을 발견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8) ① 자산어보(玆山魚譜)는 1814년(순조 15) 정약전(丁若銓1760sim1816)에 의해 쓰여진 한국 최고(最古)의 어류학서(魚類學書)이며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 155종에 대한 명칭분포형태습성 및 이용 등에 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음 ② 자산어보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는 김을 가리키는 말로 김을 세절(細切)하여 종이처럼 떠서 말린 가공제품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음 ③ 해의가 처음으로 나오는 문헌으로는 자산어보(玆山魚譜)보다 300년 이상 빠른 「경상도지리지」(1434년)와 「동국여지승람」(1478년) 등이 있음

9) 한일 김 수출의 역사는 제1기sim제5기로 나눌 수 있음 제1기(1919sim1953)는 lsquo정부 관리 무역기rsquo라고 하며 한국산 김에 대한 공판 및 자유판매가 실시되었음 제2기(1954sim1977)는 lsquo민간 보호 무역기rsquo이며 제3기(1978sim1994)는 lsquo수출 금지기rsquo로 70년대 일본의 냉동망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생산량이 급증하였기 때문에 한국산 김 수입을 전면적으로 제한했음 제4기(1995sim2004)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1기rsquo로 한국산에 대해 김 IQ를 배정하였음 제5기(2005sim현재)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2기rsquo로 한국 외에도 중국 IQ로 확대되어 Global IQ가 실시되고 있음(박민규 2006)

10

나 1960sim1970년대고급식품 시대1954년 김의 인공 종묘기술이 개발된 후 1960년대에는 일본으로부터 부류식 양식 망홍

및 냉동망 등이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개량 품종인 큰참김 큰방사무늬김 등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까지는 개량품종이나 가공기술 등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한 전통방식10)으로 김을 가공했다 따라서 이 시대의 김은 누구나 먹을 수 있는 식품이기 보다는 특별한 시기나 특별한 사람들이 먹는 lsquo고급식품rsquo으로 인식되었다

그 후 1977년 전자동 김 건조기가 개발보급되고 산처리제 개발 등으로 본격적으로 마른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화된 마른김 생산체제는 김 역사의 획기적인 변화이며 이 변화로 김밥용 김과 김부각 구이 김 등의 김 가공 역사가 시작되었다(김덕술

2007)

다 1980sim1990년대대중식품 시대1960년대는 lsquo김 양식기술의 혁신rsquo이고 1970년대는 lsquo품종개량과 병해대책기술의 혁신rsquo이

었다면 1980년대는 lsquo가공기술의 혁신rsquo이었으며 1990년대는 lsquo제조기술의 혁신rs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970년대 말 마른김 생산이 기계화되었으나 김 소비는 여전히 가정에서 직접 마른김을 구운 후 기름과 소금으로 맛을 내는 수작업에 의존했다 그 후 1982년 한국형 조미김이 개발되어 김 소비의 편리성(便利性)이 더욱 강화되었다 그와 더불어 1988년에는 lsquo즉석 김 구이기계rsquo의 개발로 소자본으로도 김 가공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미김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11) 즉 이 시기에는 김의 가공기술과 제조기술의 발달로 김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 빼 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김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화입김12) 생산기술의 개발이다

10) 전통적인 김의 제조과정(Process of Making Laver)은 우선 자연채묘에 의해 생육한 김을 lsquo김칼rsquo로 뜯어 해수 및 담수로 염분과 이물질을 씻어내고 lsquo김 탈수기rsquo로 수분을 줄인 후 lsquo조파기rsquo로 김을 부드럽게 분쇄함 그리고 lsquo김틀rsquo로 모양을 만들고 lsquo김되rsquo에 붙여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말함

11) 1989년부터는 즉석 구이용으로 돌김을 더 선호하게 되었으며 그 후 1993년에는 재래 조미김 1998년에는 파래 조미김이 가공소비되기 시작했음

12) lsquo화입김rsquo은 생김을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온풍건조실(90)에서 6sim8시간 열처리 하여 방습포장한 김을 말하는데(이태식 외 2000) 수분 함유량이 보통 2sim3 수준임 화입김의 용도는 김의 주 생산시기인 11월sim익년 4월에 생산된 김을 물량이 부족한 비 생산시기(5월sim10월)에 방출하거나 소비자 기호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미김을 생산 할 목적으로 이용됨

11

한편 초창기 조미김은 일본의 가공 시설과 기술 도입을 통해 만들어진 lsquo맛김rsquo이었는데

이는 장당 3g 이상의 김에 조미액(간장)으로 가미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한국형 조미김은 장당 26g 정도의 마른김을 소금과 식용유로 조미하여 가공한 것으로 가정에서 구운 김보다 눅눅함이 적고 김을 굽는 수고를 덜 수 있어 그 수요가 급증했다

그 후 조미김은 상품 형태 첨가물의 종류 포장 방법 등의 개선을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한국 조미김은 일본 조미김과 달리 lsquo소비자 편의성rsquo과 함께 lsquo맛rsquo 위주의 수요자 지향적인 제품 개발이 이루어졌다 즉 한국 조미김의 특징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lsquo맛의 다양성rsquo이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lt표 4gt 참조)

이러한 한국 조미김의 다양성은 일본산이나 중국산 김에 대한 수입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시용 김으로 유명한 일본산 김에 대응한 서구권이나 동남아권 등의 해외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무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lt표 4gt 한국 조미김과 일본 조미김의 특징구 분 한 국 일 본

제품 개발 동기 소비자 편의성 추구(수요자 중심)

중하품 김 처리방법 모색(공급자 중심)

제품 개발 방향 맛 향주요 첨가물 종류 소금 기름 간장평균 중량(속 당) 190sim300g(평균 260g) 300g 전후

장 점∙ 맛이 다양하고 우수∙ 제품 다양성 확보로 수요충족∙ 기름에 익숙한 중화권 및 서구권

소비자 접근성 용이

∙ 균등한 품질 및 규격화 (품질은 1sim13등급으로 구분)∙ 장기 보관성∙ 김 고유의 향과 맛 유지

단 점 ∙ 규격화 부진∙ 보관성이 낮음(기름 때문)

∙ 맛 품질의 획일성 (일반김 위주 생산 때문)

비 고 ∙ 소비자 중심의 제품개발로 규격화는 미흡하나 제품은 다양

∙ 가공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규격화가 실시되었음

주김 소비관련 전문가 자문(FGI 20091006sim23) 결과를 연구자가 재정리하였음

12

라 2000년대웰빙식품 시대(기능성 건강식품)2000년대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능성과 건강 지향적인 김 제품

들이 개발되었다 즉 lsquo김의 차별화rsquo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조미 첨가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2001년에는 인삼이나 김치 와사비 등의 첨가물로 맛을 낸 기능성 김이 출시되었으며 2003년에는 웰빙의 영향에 따라 기존의 대두유보다 몸에 좋은 참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고급기름을 이용한 제품의 차별화가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김 본연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 추세에 힘입어 조미김에 비해 가미가 되지 않은 마른김의 선호도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기술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로 김 소비가 특산품에서 대중식품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 소비 성향에 따라 김이 웰빙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은 lsquo김 소비의 역사rsquo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ldquo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rdquo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 특성은 향후 김 소비 패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t표 5gt 시대별 김 소비의 특성시 기 1960년대 이전 1960sim70년대 1980sim90년대 2000년대 이후김 식품명 명 특산품 고급식품 대중식품 웰빙식품주 요특 징

∙ 자연산 생산∙ 생산 지향적

∙ 수출위주 생산∙ 생산 지향적

∙ 내수위주 생산∙ 소비 지향적

∙ 제품 차별화∙ 소비 지향적

선 호김 종류

일반김 돌김(자연산) 일반김 돌김 재래김 재래김 파래김

김자반 등김 생산규 모

500톤 이하(21만속)

8천sim4만 톤(300sim1700만속)

10sim18만 톤(4200sim7500만속)

20만 톤(8300만속)

기 술수 준

∙ 재래식생산방식 (생산 및 가공)

∙ 부류식 양식∙ 개량품종 도입∙ 김 건조기 보급∙ 산처리제 개발

∙ 즉석구이기계개발∙ 김 건조기 보편화∙ 조미김 개발 (한국형 조미김)

∙ 고차 가공기술∙ 고차 제조기술 (다양한 첨가물)

주1) lsquo김 식품 명명rsquo은 시대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명명(命名)한 것임2) lsquo김 생산 규모rsquo는 각 연대별(10년간) 평균 생산량을 의미하며 ( )의 수치는 연대별 생산량을 마른김으

로 환산(물김 2411kg=1속)한 것임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7: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7

-

50

100

150

200

250

300

51

54

57

60

63

66

69

72

75

78

81

84

87

90

93

96

99

02

05

08

천톤

주1951sim2007년까지는 lsquoFAOrsquo자료이며 2008년은 lsquo어업생산통계rsquo를 이용하였음

lt그림 2gt 연도별 김 생산량 추이

2 김 유통구조

김은 물김형태로 생산되어 거의 전량이 1차 가공단계인 마른김 가공업체에 판매된다 그리고 lsquo마른김rsquo은 2차 가공단계인 조미김 가공업체나 도매시장으로 판매된다

김의 주요 유통경로는 lsquo생산자rsquo rarr lsquo마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산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조미김 가공업체rsquo rarr lsquo소비지 도매시장rsquo 또는 lsquo대형소매점rsquo rarr lsquo일반 소비자rsquo 또는 lsquo음식점rsquo 등의 과정을 거친다(lt그림 3gt 참조)

마른김은 주로 마른김 가공업체나 소비지 도매시장을 통해 조미김 가공업체나 외식업체

김밥 전문점 등으로 판매되며 조미김은 주로 대형소매점을 통해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마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500여 개소가 있으며 대부분 해남 완도 진도 장흥 등 산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미김 가공업체는 전국에 250여 개소가 있다

김의 주요 소비처별 비중을 보면 식당 등 외식업체에서의 소비가 39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는 가정 내 소비(33) 급식(11) 김밥 전문점5)(11) 등의 순이다(lt그림 3gt 참

8

조) 기타에는 주로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삼각김밥6)이 포함된다

삼각김밥은 편의점의 주요 판매 제품 중의 하나로 주로 식사 대용품으로 소비된다 최근 1년 간 편의점에서 물건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남녀 1563명을 대상으로 lsquo편의점 이용 행태와 만족도rsquo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편의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상품 중 삼각김밥 등 lsquo식사 대용식품rsquo이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7) 이 결과는 최근 들어 편의점이 김 소비의 중요한 업태 중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내부자료

lt그림 3gt 김의 유통경로 및 소비처별 비중

5) 김밥전문점 중 프랜차이즈형 김밥 전문점에서의 김 소비는 전체의 5 정도이며 개인이 운영하는 김밥 전문점까지 포함하면 11 정도의 규모임

6) lsquo삼각김밥rsquo은 김밥의 한 종류이며 일본의 오니기리(おにぎり)를 한국에 맞게 만든 제품임 삼각김밥의 도입은 1990년대였으나 밥과 김이 붙어 눅눅해져서 먹기가 불편하고 위생상의 문제로 판매가 부진했음 2000년대 들어 김과 밥을 분리하는 포장법이 개발되어 판매가 급증하고 있음 최근에는 기존의 휴대성과 함께 다양한 고급 첨가물이 가미된 제품의 출시로 소비량이 증가 추세임

7) 이투데이(httpwwwetodaykrnews) 기사 내용 2009-07-09 112525

9

김Ⅲ 김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

소비패턴은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입 여건 변화 소비행태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문헌연구와 FGI를 통해 김의 소비

특성을 시대별 및 종류별로 분류하고 소비자 설문을 통한 김의 인지도 선호도 구매행태 등 김의 소비행태를 분석한다

1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가 1960년대 이전특산품 시대김의 상품형태는 크게 물김(原藻) 마른김 조미김으로 나눌 수 있다 물김 상태로 소비

되는 경우는 일부 산지 소비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마른김이나 조미김으로 소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김을 먹기 시작한 것은 1814년에 쓰여진 자산어보(玆山魚譜)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라는 김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적어도 200년 이상 되었다8) 우리나라의 김 역사는 수 백 년에 이르지만 조선시대 때에는 주로 자연산 채취 위주의 생산이었다 그리고 일제시대에는 일본의 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되었으며 대부분 수출되었다9) 해방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1960년대 이전의 김은 일반인들의 경우 거의 먹을 수 없는 lsquo특산품(特産品)rsquo으로 인식 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기술적인 김 양식의 시작은 1949년 영국의 학자 K Dreu가 김의 포자 증식을 발견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8) ① 자산어보(玆山魚譜)는 1814년(순조 15) 정약전(丁若銓1760sim1816)에 의해 쓰여진 한국 최고(最古)의 어류학서(魚類學書)이며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 155종에 대한 명칭분포형태습성 및 이용 등에 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음 ② 자산어보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는 김을 가리키는 말로 김을 세절(細切)하여 종이처럼 떠서 말린 가공제품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음 ③ 해의가 처음으로 나오는 문헌으로는 자산어보(玆山魚譜)보다 300년 이상 빠른 「경상도지리지」(1434년)와 「동국여지승람」(1478년) 등이 있음

9) 한일 김 수출의 역사는 제1기sim제5기로 나눌 수 있음 제1기(1919sim1953)는 lsquo정부 관리 무역기rsquo라고 하며 한국산 김에 대한 공판 및 자유판매가 실시되었음 제2기(1954sim1977)는 lsquo민간 보호 무역기rsquo이며 제3기(1978sim1994)는 lsquo수출 금지기rsquo로 70년대 일본의 냉동망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생산량이 급증하였기 때문에 한국산 김 수입을 전면적으로 제한했음 제4기(1995sim2004)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1기rsquo로 한국산에 대해 김 IQ를 배정하였음 제5기(2005sim현재)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2기rsquo로 한국 외에도 중국 IQ로 확대되어 Global IQ가 실시되고 있음(박민규 2006)

10

나 1960sim1970년대고급식품 시대1954년 김의 인공 종묘기술이 개발된 후 1960년대에는 일본으로부터 부류식 양식 망홍

및 냉동망 등이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개량 품종인 큰참김 큰방사무늬김 등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까지는 개량품종이나 가공기술 등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한 전통방식10)으로 김을 가공했다 따라서 이 시대의 김은 누구나 먹을 수 있는 식품이기 보다는 특별한 시기나 특별한 사람들이 먹는 lsquo고급식품rsquo으로 인식되었다

그 후 1977년 전자동 김 건조기가 개발보급되고 산처리제 개발 등으로 본격적으로 마른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화된 마른김 생산체제는 김 역사의 획기적인 변화이며 이 변화로 김밥용 김과 김부각 구이 김 등의 김 가공 역사가 시작되었다(김덕술

2007)

다 1980sim1990년대대중식품 시대1960년대는 lsquo김 양식기술의 혁신rsquo이고 1970년대는 lsquo품종개량과 병해대책기술의 혁신rsquo이

었다면 1980년대는 lsquo가공기술의 혁신rsquo이었으며 1990년대는 lsquo제조기술의 혁신rs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970년대 말 마른김 생산이 기계화되었으나 김 소비는 여전히 가정에서 직접 마른김을 구운 후 기름과 소금으로 맛을 내는 수작업에 의존했다 그 후 1982년 한국형 조미김이 개발되어 김 소비의 편리성(便利性)이 더욱 강화되었다 그와 더불어 1988년에는 lsquo즉석 김 구이기계rsquo의 개발로 소자본으로도 김 가공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미김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11) 즉 이 시기에는 김의 가공기술과 제조기술의 발달로 김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 빼 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김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화입김12) 생산기술의 개발이다

10) 전통적인 김의 제조과정(Process of Making Laver)은 우선 자연채묘에 의해 생육한 김을 lsquo김칼rsquo로 뜯어 해수 및 담수로 염분과 이물질을 씻어내고 lsquo김 탈수기rsquo로 수분을 줄인 후 lsquo조파기rsquo로 김을 부드럽게 분쇄함 그리고 lsquo김틀rsquo로 모양을 만들고 lsquo김되rsquo에 붙여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말함

11) 1989년부터는 즉석 구이용으로 돌김을 더 선호하게 되었으며 그 후 1993년에는 재래 조미김 1998년에는 파래 조미김이 가공소비되기 시작했음

12) lsquo화입김rsquo은 생김을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온풍건조실(90)에서 6sim8시간 열처리 하여 방습포장한 김을 말하는데(이태식 외 2000) 수분 함유량이 보통 2sim3 수준임 화입김의 용도는 김의 주 생산시기인 11월sim익년 4월에 생산된 김을 물량이 부족한 비 생산시기(5월sim10월)에 방출하거나 소비자 기호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미김을 생산 할 목적으로 이용됨

11

한편 초창기 조미김은 일본의 가공 시설과 기술 도입을 통해 만들어진 lsquo맛김rsquo이었는데

이는 장당 3g 이상의 김에 조미액(간장)으로 가미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한국형 조미김은 장당 26g 정도의 마른김을 소금과 식용유로 조미하여 가공한 것으로 가정에서 구운 김보다 눅눅함이 적고 김을 굽는 수고를 덜 수 있어 그 수요가 급증했다

그 후 조미김은 상품 형태 첨가물의 종류 포장 방법 등의 개선을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한국 조미김은 일본 조미김과 달리 lsquo소비자 편의성rsquo과 함께 lsquo맛rsquo 위주의 수요자 지향적인 제품 개발이 이루어졌다 즉 한국 조미김의 특징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lsquo맛의 다양성rsquo이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lt표 4gt 참조)

이러한 한국 조미김의 다양성은 일본산이나 중국산 김에 대한 수입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시용 김으로 유명한 일본산 김에 대응한 서구권이나 동남아권 등의 해외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무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lt표 4gt 한국 조미김과 일본 조미김의 특징구 분 한 국 일 본

제품 개발 동기 소비자 편의성 추구(수요자 중심)

중하품 김 처리방법 모색(공급자 중심)

제품 개발 방향 맛 향주요 첨가물 종류 소금 기름 간장평균 중량(속 당) 190sim300g(평균 260g) 300g 전후

장 점∙ 맛이 다양하고 우수∙ 제품 다양성 확보로 수요충족∙ 기름에 익숙한 중화권 및 서구권

소비자 접근성 용이

∙ 균등한 품질 및 규격화 (품질은 1sim13등급으로 구분)∙ 장기 보관성∙ 김 고유의 향과 맛 유지

단 점 ∙ 규격화 부진∙ 보관성이 낮음(기름 때문)

∙ 맛 품질의 획일성 (일반김 위주 생산 때문)

비 고 ∙ 소비자 중심의 제품개발로 규격화는 미흡하나 제품은 다양

∙ 가공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규격화가 실시되었음

주김 소비관련 전문가 자문(FGI 20091006sim23) 결과를 연구자가 재정리하였음

12

라 2000년대웰빙식품 시대(기능성 건강식품)2000년대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능성과 건강 지향적인 김 제품

들이 개발되었다 즉 lsquo김의 차별화rsquo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조미 첨가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2001년에는 인삼이나 김치 와사비 등의 첨가물로 맛을 낸 기능성 김이 출시되었으며 2003년에는 웰빙의 영향에 따라 기존의 대두유보다 몸에 좋은 참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고급기름을 이용한 제품의 차별화가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김 본연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 추세에 힘입어 조미김에 비해 가미가 되지 않은 마른김의 선호도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기술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로 김 소비가 특산품에서 대중식품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 소비 성향에 따라 김이 웰빙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은 lsquo김 소비의 역사rsquo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ldquo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rdquo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 특성은 향후 김 소비 패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t표 5gt 시대별 김 소비의 특성시 기 1960년대 이전 1960sim70년대 1980sim90년대 2000년대 이후김 식품명 명 특산품 고급식품 대중식품 웰빙식품주 요특 징

∙ 자연산 생산∙ 생산 지향적

∙ 수출위주 생산∙ 생산 지향적

∙ 내수위주 생산∙ 소비 지향적

∙ 제품 차별화∙ 소비 지향적

선 호김 종류

일반김 돌김(자연산) 일반김 돌김 재래김 재래김 파래김

김자반 등김 생산규 모

500톤 이하(21만속)

8천sim4만 톤(300sim1700만속)

10sim18만 톤(4200sim7500만속)

20만 톤(8300만속)

기 술수 준

∙ 재래식생산방식 (생산 및 가공)

∙ 부류식 양식∙ 개량품종 도입∙ 김 건조기 보급∙ 산처리제 개발

∙ 즉석구이기계개발∙ 김 건조기 보편화∙ 조미김 개발 (한국형 조미김)

∙ 고차 가공기술∙ 고차 제조기술 (다양한 첨가물)

주1) lsquo김 식품 명명rsquo은 시대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명명(命名)한 것임2) lsquo김 생산 규모rsquo는 각 연대별(10년간) 평균 생산량을 의미하며 ( )의 수치는 연대별 생산량을 마른김으

로 환산(물김 2411kg=1속)한 것임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8: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8

조) 기타에는 주로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삼각김밥6)이 포함된다

삼각김밥은 편의점의 주요 판매 제품 중의 하나로 주로 식사 대용품으로 소비된다 최근 1년 간 편의점에서 물건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남녀 1563명을 대상으로 lsquo편의점 이용 행태와 만족도rsquo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편의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상품 중 삼각김밥 등 lsquo식사 대용식품rsquo이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7) 이 결과는 최근 들어 편의점이 김 소비의 중요한 업태 중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내부자료

lt그림 3gt 김의 유통경로 및 소비처별 비중

5) 김밥전문점 중 프랜차이즈형 김밥 전문점에서의 김 소비는 전체의 5 정도이며 개인이 운영하는 김밥 전문점까지 포함하면 11 정도의 규모임

6) lsquo삼각김밥rsquo은 김밥의 한 종류이며 일본의 오니기리(おにぎり)를 한국에 맞게 만든 제품임 삼각김밥의 도입은 1990년대였으나 밥과 김이 붙어 눅눅해져서 먹기가 불편하고 위생상의 문제로 판매가 부진했음 2000년대 들어 김과 밥을 분리하는 포장법이 개발되어 판매가 급증하고 있음 최근에는 기존의 휴대성과 함께 다양한 고급 첨가물이 가미된 제품의 출시로 소비량이 증가 추세임

7) 이투데이(httpwwwetodaykrnews) 기사 내용 2009-07-09 112525

9

김Ⅲ 김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

소비패턴은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입 여건 변화 소비행태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문헌연구와 FGI를 통해 김의 소비

특성을 시대별 및 종류별로 분류하고 소비자 설문을 통한 김의 인지도 선호도 구매행태 등 김의 소비행태를 분석한다

1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가 1960년대 이전특산품 시대김의 상품형태는 크게 물김(原藻) 마른김 조미김으로 나눌 수 있다 물김 상태로 소비

되는 경우는 일부 산지 소비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마른김이나 조미김으로 소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김을 먹기 시작한 것은 1814년에 쓰여진 자산어보(玆山魚譜)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라는 김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적어도 200년 이상 되었다8) 우리나라의 김 역사는 수 백 년에 이르지만 조선시대 때에는 주로 자연산 채취 위주의 생산이었다 그리고 일제시대에는 일본의 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되었으며 대부분 수출되었다9) 해방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1960년대 이전의 김은 일반인들의 경우 거의 먹을 수 없는 lsquo특산품(特産品)rsquo으로 인식 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기술적인 김 양식의 시작은 1949년 영국의 학자 K Dreu가 김의 포자 증식을 발견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8) ① 자산어보(玆山魚譜)는 1814년(순조 15) 정약전(丁若銓1760sim1816)에 의해 쓰여진 한국 최고(最古)의 어류학서(魚類學書)이며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 155종에 대한 명칭분포형태습성 및 이용 등에 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음 ② 자산어보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는 김을 가리키는 말로 김을 세절(細切)하여 종이처럼 떠서 말린 가공제품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음 ③ 해의가 처음으로 나오는 문헌으로는 자산어보(玆山魚譜)보다 300년 이상 빠른 「경상도지리지」(1434년)와 「동국여지승람」(1478년) 등이 있음

9) 한일 김 수출의 역사는 제1기sim제5기로 나눌 수 있음 제1기(1919sim1953)는 lsquo정부 관리 무역기rsquo라고 하며 한국산 김에 대한 공판 및 자유판매가 실시되었음 제2기(1954sim1977)는 lsquo민간 보호 무역기rsquo이며 제3기(1978sim1994)는 lsquo수출 금지기rsquo로 70년대 일본의 냉동망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생산량이 급증하였기 때문에 한국산 김 수입을 전면적으로 제한했음 제4기(1995sim2004)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1기rsquo로 한국산에 대해 김 IQ를 배정하였음 제5기(2005sim현재)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2기rsquo로 한국 외에도 중국 IQ로 확대되어 Global IQ가 실시되고 있음(박민규 2006)

10

나 1960sim1970년대고급식품 시대1954년 김의 인공 종묘기술이 개발된 후 1960년대에는 일본으로부터 부류식 양식 망홍

및 냉동망 등이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개량 품종인 큰참김 큰방사무늬김 등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까지는 개량품종이나 가공기술 등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한 전통방식10)으로 김을 가공했다 따라서 이 시대의 김은 누구나 먹을 수 있는 식품이기 보다는 특별한 시기나 특별한 사람들이 먹는 lsquo고급식품rsquo으로 인식되었다

그 후 1977년 전자동 김 건조기가 개발보급되고 산처리제 개발 등으로 본격적으로 마른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화된 마른김 생산체제는 김 역사의 획기적인 변화이며 이 변화로 김밥용 김과 김부각 구이 김 등의 김 가공 역사가 시작되었다(김덕술

2007)

다 1980sim1990년대대중식품 시대1960년대는 lsquo김 양식기술의 혁신rsquo이고 1970년대는 lsquo품종개량과 병해대책기술의 혁신rsquo이

었다면 1980년대는 lsquo가공기술의 혁신rsquo이었으며 1990년대는 lsquo제조기술의 혁신rs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970년대 말 마른김 생산이 기계화되었으나 김 소비는 여전히 가정에서 직접 마른김을 구운 후 기름과 소금으로 맛을 내는 수작업에 의존했다 그 후 1982년 한국형 조미김이 개발되어 김 소비의 편리성(便利性)이 더욱 강화되었다 그와 더불어 1988년에는 lsquo즉석 김 구이기계rsquo의 개발로 소자본으로도 김 가공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미김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11) 즉 이 시기에는 김의 가공기술과 제조기술의 발달로 김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 빼 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김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화입김12) 생산기술의 개발이다

10) 전통적인 김의 제조과정(Process of Making Laver)은 우선 자연채묘에 의해 생육한 김을 lsquo김칼rsquo로 뜯어 해수 및 담수로 염분과 이물질을 씻어내고 lsquo김 탈수기rsquo로 수분을 줄인 후 lsquo조파기rsquo로 김을 부드럽게 분쇄함 그리고 lsquo김틀rsquo로 모양을 만들고 lsquo김되rsquo에 붙여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말함

11) 1989년부터는 즉석 구이용으로 돌김을 더 선호하게 되었으며 그 후 1993년에는 재래 조미김 1998년에는 파래 조미김이 가공소비되기 시작했음

12) lsquo화입김rsquo은 생김을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온풍건조실(90)에서 6sim8시간 열처리 하여 방습포장한 김을 말하는데(이태식 외 2000) 수분 함유량이 보통 2sim3 수준임 화입김의 용도는 김의 주 생산시기인 11월sim익년 4월에 생산된 김을 물량이 부족한 비 생산시기(5월sim10월)에 방출하거나 소비자 기호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미김을 생산 할 목적으로 이용됨

11

한편 초창기 조미김은 일본의 가공 시설과 기술 도입을 통해 만들어진 lsquo맛김rsquo이었는데

이는 장당 3g 이상의 김에 조미액(간장)으로 가미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한국형 조미김은 장당 26g 정도의 마른김을 소금과 식용유로 조미하여 가공한 것으로 가정에서 구운 김보다 눅눅함이 적고 김을 굽는 수고를 덜 수 있어 그 수요가 급증했다

그 후 조미김은 상품 형태 첨가물의 종류 포장 방법 등의 개선을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한국 조미김은 일본 조미김과 달리 lsquo소비자 편의성rsquo과 함께 lsquo맛rsquo 위주의 수요자 지향적인 제품 개발이 이루어졌다 즉 한국 조미김의 특징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lsquo맛의 다양성rsquo이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lt표 4gt 참조)

이러한 한국 조미김의 다양성은 일본산이나 중국산 김에 대한 수입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시용 김으로 유명한 일본산 김에 대응한 서구권이나 동남아권 등의 해외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무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lt표 4gt 한국 조미김과 일본 조미김의 특징구 분 한 국 일 본

제품 개발 동기 소비자 편의성 추구(수요자 중심)

중하품 김 처리방법 모색(공급자 중심)

제품 개발 방향 맛 향주요 첨가물 종류 소금 기름 간장평균 중량(속 당) 190sim300g(평균 260g) 300g 전후

장 점∙ 맛이 다양하고 우수∙ 제품 다양성 확보로 수요충족∙ 기름에 익숙한 중화권 및 서구권

소비자 접근성 용이

∙ 균등한 품질 및 규격화 (품질은 1sim13등급으로 구분)∙ 장기 보관성∙ 김 고유의 향과 맛 유지

단 점 ∙ 규격화 부진∙ 보관성이 낮음(기름 때문)

∙ 맛 품질의 획일성 (일반김 위주 생산 때문)

비 고 ∙ 소비자 중심의 제품개발로 규격화는 미흡하나 제품은 다양

∙ 가공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규격화가 실시되었음

주김 소비관련 전문가 자문(FGI 20091006sim23) 결과를 연구자가 재정리하였음

12

라 2000년대웰빙식품 시대(기능성 건강식품)2000년대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능성과 건강 지향적인 김 제품

들이 개발되었다 즉 lsquo김의 차별화rsquo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조미 첨가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2001년에는 인삼이나 김치 와사비 등의 첨가물로 맛을 낸 기능성 김이 출시되었으며 2003년에는 웰빙의 영향에 따라 기존의 대두유보다 몸에 좋은 참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고급기름을 이용한 제품의 차별화가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김 본연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 추세에 힘입어 조미김에 비해 가미가 되지 않은 마른김의 선호도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기술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로 김 소비가 특산품에서 대중식품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 소비 성향에 따라 김이 웰빙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은 lsquo김 소비의 역사rsquo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ldquo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rdquo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 특성은 향후 김 소비 패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t표 5gt 시대별 김 소비의 특성시 기 1960년대 이전 1960sim70년대 1980sim90년대 2000년대 이후김 식품명 명 특산품 고급식품 대중식품 웰빙식품주 요특 징

∙ 자연산 생산∙ 생산 지향적

∙ 수출위주 생산∙ 생산 지향적

∙ 내수위주 생산∙ 소비 지향적

∙ 제품 차별화∙ 소비 지향적

선 호김 종류

일반김 돌김(자연산) 일반김 돌김 재래김 재래김 파래김

김자반 등김 생산규 모

500톤 이하(21만속)

8천sim4만 톤(300sim1700만속)

10sim18만 톤(4200sim7500만속)

20만 톤(8300만속)

기 술수 준

∙ 재래식생산방식 (생산 및 가공)

∙ 부류식 양식∙ 개량품종 도입∙ 김 건조기 보급∙ 산처리제 개발

∙ 즉석구이기계개발∙ 김 건조기 보편화∙ 조미김 개발 (한국형 조미김)

∙ 고차 가공기술∙ 고차 제조기술 (다양한 첨가물)

주1) lsquo김 식품 명명rsquo은 시대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명명(命名)한 것임2) lsquo김 생산 규모rsquo는 각 연대별(10년간) 평균 생산량을 의미하며 ( )의 수치는 연대별 생산량을 마른김으

로 환산(물김 2411kg=1속)한 것임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9: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9

김Ⅲ 김의 소비특성 및 소비행태

소비패턴은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 수출입 여건 변화 소비행태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문헌연구와 FGI를 통해 김의 소비

특성을 시대별 및 종류별로 분류하고 소비자 설문을 통한 김의 인지도 선호도 구매행태 등 김의 소비행태를 분석한다

1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가 1960년대 이전특산품 시대김의 상품형태는 크게 물김(原藻) 마른김 조미김으로 나눌 수 있다 물김 상태로 소비

되는 경우는 일부 산지 소비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마른김이나 조미김으로 소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김을 먹기 시작한 것은 1814년에 쓰여진 자산어보(玆山魚譜)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라는 김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적어도 200년 이상 되었다8) 우리나라의 김 역사는 수 백 년에 이르지만 조선시대 때에는 주로 자연산 채취 위주의 생산이었다 그리고 일제시대에는 일본의 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되었으며 대부분 수출되었다9) 해방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1960년대 이전의 김은 일반인들의 경우 거의 먹을 수 없는 lsquo특산품(特産品)rsquo으로 인식 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기술적인 김 양식의 시작은 1949년 영국의 학자 K Dreu가 김의 포자 증식을 발견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8) ① 자산어보(玆山魚譜)는 1814년(순조 15) 정약전(丁若銓1760sim1816)에 의해 쓰여진 한국 최고(最古)의 어류학서(魚類學書)이며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 155종에 대한 명칭분포형태습성 및 이용 등에 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음 ② 자산어보에 기록된 lsquo해의(海衣)rsquo는 김을 가리키는 말로 김을 세절(細切)하여 종이처럼 떠서 말린 가공제품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음 ③ 해의가 처음으로 나오는 문헌으로는 자산어보(玆山魚譜)보다 300년 이상 빠른 「경상도지리지」(1434년)와 「동국여지승람」(1478년) 등이 있음

9) 한일 김 수출의 역사는 제1기sim제5기로 나눌 수 있음 제1기(1919sim1953)는 lsquo정부 관리 무역기rsquo라고 하며 한국산 김에 대한 공판 및 자유판매가 실시되었음 제2기(1954sim1977)는 lsquo민간 보호 무역기rsquo이며 제3기(1978sim1994)는 lsquo수출 금지기rsquo로 70년대 일본의 냉동망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생산량이 급증하였기 때문에 한국산 김 수입을 전면적으로 제한했음 제4기(1995sim2004)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1기rsquo로 한국산에 대해 김 IQ를 배정하였음 제5기(2005sim현재)는 lsquo정부간 협의무역 제2기rsquo로 한국 외에도 중국 IQ로 확대되어 Global IQ가 실시되고 있음(박민규 2006)

10

나 1960sim1970년대고급식품 시대1954년 김의 인공 종묘기술이 개발된 후 1960년대에는 일본으로부터 부류식 양식 망홍

및 냉동망 등이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개량 품종인 큰참김 큰방사무늬김 등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까지는 개량품종이나 가공기술 등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한 전통방식10)으로 김을 가공했다 따라서 이 시대의 김은 누구나 먹을 수 있는 식품이기 보다는 특별한 시기나 특별한 사람들이 먹는 lsquo고급식품rsquo으로 인식되었다

그 후 1977년 전자동 김 건조기가 개발보급되고 산처리제 개발 등으로 본격적으로 마른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화된 마른김 생산체제는 김 역사의 획기적인 변화이며 이 변화로 김밥용 김과 김부각 구이 김 등의 김 가공 역사가 시작되었다(김덕술

2007)

다 1980sim1990년대대중식품 시대1960년대는 lsquo김 양식기술의 혁신rsquo이고 1970년대는 lsquo품종개량과 병해대책기술의 혁신rsquo이

었다면 1980년대는 lsquo가공기술의 혁신rsquo이었으며 1990년대는 lsquo제조기술의 혁신rs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970년대 말 마른김 생산이 기계화되었으나 김 소비는 여전히 가정에서 직접 마른김을 구운 후 기름과 소금으로 맛을 내는 수작업에 의존했다 그 후 1982년 한국형 조미김이 개발되어 김 소비의 편리성(便利性)이 더욱 강화되었다 그와 더불어 1988년에는 lsquo즉석 김 구이기계rsquo의 개발로 소자본으로도 김 가공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미김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11) 즉 이 시기에는 김의 가공기술과 제조기술의 발달로 김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 빼 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김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화입김12) 생산기술의 개발이다

10) 전통적인 김의 제조과정(Process of Making Laver)은 우선 자연채묘에 의해 생육한 김을 lsquo김칼rsquo로 뜯어 해수 및 담수로 염분과 이물질을 씻어내고 lsquo김 탈수기rsquo로 수분을 줄인 후 lsquo조파기rsquo로 김을 부드럽게 분쇄함 그리고 lsquo김틀rsquo로 모양을 만들고 lsquo김되rsquo에 붙여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말함

11) 1989년부터는 즉석 구이용으로 돌김을 더 선호하게 되었으며 그 후 1993년에는 재래 조미김 1998년에는 파래 조미김이 가공소비되기 시작했음

12) lsquo화입김rsquo은 생김을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온풍건조실(90)에서 6sim8시간 열처리 하여 방습포장한 김을 말하는데(이태식 외 2000) 수분 함유량이 보통 2sim3 수준임 화입김의 용도는 김의 주 생산시기인 11월sim익년 4월에 생산된 김을 물량이 부족한 비 생산시기(5월sim10월)에 방출하거나 소비자 기호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미김을 생산 할 목적으로 이용됨

11

한편 초창기 조미김은 일본의 가공 시설과 기술 도입을 통해 만들어진 lsquo맛김rsquo이었는데

이는 장당 3g 이상의 김에 조미액(간장)으로 가미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한국형 조미김은 장당 26g 정도의 마른김을 소금과 식용유로 조미하여 가공한 것으로 가정에서 구운 김보다 눅눅함이 적고 김을 굽는 수고를 덜 수 있어 그 수요가 급증했다

그 후 조미김은 상품 형태 첨가물의 종류 포장 방법 등의 개선을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한국 조미김은 일본 조미김과 달리 lsquo소비자 편의성rsquo과 함께 lsquo맛rsquo 위주의 수요자 지향적인 제품 개발이 이루어졌다 즉 한국 조미김의 특징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lsquo맛의 다양성rsquo이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lt표 4gt 참조)

이러한 한국 조미김의 다양성은 일본산이나 중국산 김에 대한 수입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시용 김으로 유명한 일본산 김에 대응한 서구권이나 동남아권 등의 해외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무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lt표 4gt 한국 조미김과 일본 조미김의 특징구 분 한 국 일 본

제품 개발 동기 소비자 편의성 추구(수요자 중심)

중하품 김 처리방법 모색(공급자 중심)

제품 개발 방향 맛 향주요 첨가물 종류 소금 기름 간장평균 중량(속 당) 190sim300g(평균 260g) 300g 전후

장 점∙ 맛이 다양하고 우수∙ 제품 다양성 확보로 수요충족∙ 기름에 익숙한 중화권 및 서구권

소비자 접근성 용이

∙ 균등한 품질 및 규격화 (품질은 1sim13등급으로 구분)∙ 장기 보관성∙ 김 고유의 향과 맛 유지

단 점 ∙ 규격화 부진∙ 보관성이 낮음(기름 때문)

∙ 맛 품질의 획일성 (일반김 위주 생산 때문)

비 고 ∙ 소비자 중심의 제품개발로 규격화는 미흡하나 제품은 다양

∙ 가공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규격화가 실시되었음

주김 소비관련 전문가 자문(FGI 20091006sim23) 결과를 연구자가 재정리하였음

12

라 2000년대웰빙식품 시대(기능성 건강식품)2000년대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능성과 건강 지향적인 김 제품

들이 개발되었다 즉 lsquo김의 차별화rsquo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조미 첨가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2001년에는 인삼이나 김치 와사비 등의 첨가물로 맛을 낸 기능성 김이 출시되었으며 2003년에는 웰빙의 영향에 따라 기존의 대두유보다 몸에 좋은 참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고급기름을 이용한 제품의 차별화가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김 본연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 추세에 힘입어 조미김에 비해 가미가 되지 않은 마른김의 선호도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기술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로 김 소비가 특산품에서 대중식품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 소비 성향에 따라 김이 웰빙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은 lsquo김 소비의 역사rsquo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ldquo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rdquo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 특성은 향후 김 소비 패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t표 5gt 시대별 김 소비의 특성시 기 1960년대 이전 1960sim70년대 1980sim90년대 2000년대 이후김 식품명 명 특산품 고급식품 대중식품 웰빙식품주 요특 징

∙ 자연산 생산∙ 생산 지향적

∙ 수출위주 생산∙ 생산 지향적

∙ 내수위주 생산∙ 소비 지향적

∙ 제품 차별화∙ 소비 지향적

선 호김 종류

일반김 돌김(자연산) 일반김 돌김 재래김 재래김 파래김

김자반 등김 생산규 모

500톤 이하(21만속)

8천sim4만 톤(300sim1700만속)

10sim18만 톤(4200sim7500만속)

20만 톤(8300만속)

기 술수 준

∙ 재래식생산방식 (생산 및 가공)

∙ 부류식 양식∙ 개량품종 도입∙ 김 건조기 보급∙ 산처리제 개발

∙ 즉석구이기계개발∙ 김 건조기 보편화∙ 조미김 개발 (한국형 조미김)

∙ 고차 가공기술∙ 고차 제조기술 (다양한 첨가물)

주1) lsquo김 식품 명명rsquo은 시대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명명(命名)한 것임2) lsquo김 생산 규모rsquo는 각 연대별(10년간) 평균 생산량을 의미하며 ( )의 수치는 연대별 생산량을 마른김으

로 환산(물김 2411kg=1속)한 것임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10: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10

나 1960sim1970년대고급식품 시대1954년 김의 인공 종묘기술이 개발된 후 1960년대에는 일본으로부터 부류식 양식 망홍

및 냉동망 등이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개량 품종인 큰참김 큰방사무늬김 등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까지는 개량품종이나 가공기술 등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한 전통방식10)으로 김을 가공했다 따라서 이 시대의 김은 누구나 먹을 수 있는 식품이기 보다는 특별한 시기나 특별한 사람들이 먹는 lsquo고급식품rsquo으로 인식되었다

그 후 1977년 전자동 김 건조기가 개발보급되고 산처리제 개발 등으로 본격적으로 마른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계화된 마른김 생산체제는 김 역사의 획기적인 변화이며 이 변화로 김밥용 김과 김부각 구이 김 등의 김 가공 역사가 시작되었다(김덕술

2007)

다 1980sim1990년대대중식품 시대1960년대는 lsquo김 양식기술의 혁신rsquo이고 1970년대는 lsquo품종개량과 병해대책기술의 혁신rsquo이

었다면 1980년대는 lsquo가공기술의 혁신rsquo이었으며 1990년대는 lsquo제조기술의 혁신rs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970년대 말 마른김 생산이 기계화되었으나 김 소비는 여전히 가정에서 직접 마른김을 구운 후 기름과 소금으로 맛을 내는 수작업에 의존했다 그 후 1982년 한국형 조미김이 개발되어 김 소비의 편리성(便利性)이 더욱 강화되었다 그와 더불어 1988년에는 lsquo즉석 김 구이기계rsquo의 개발로 소자본으로도 김 가공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미김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11) 즉 이 시기에는 김의 가공기술과 제조기술의 발달로 김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 빼 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김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화입김12) 생산기술의 개발이다

10) 전통적인 김의 제조과정(Process of Making Laver)은 우선 자연채묘에 의해 생육한 김을 lsquo김칼rsquo로 뜯어 해수 및 담수로 염분과 이물질을 씻어내고 lsquo김 탈수기rsquo로 수분을 줄인 후 lsquo조파기rsquo로 김을 부드럽게 분쇄함 그리고 lsquo김틀rsquo로 모양을 만들고 lsquo김되rsquo에 붙여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말함

11) 1989년부터는 즉석 구이용으로 돌김을 더 선호하게 되었으며 그 후 1993년에는 재래 조미김 1998년에는 파래 조미김이 가공소비되기 시작했음

12) lsquo화입김rsquo은 생김을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온풍건조실(90)에서 6sim8시간 열처리 하여 방습포장한 김을 말하는데(이태식 외 2000) 수분 함유량이 보통 2sim3 수준임 화입김의 용도는 김의 주 생산시기인 11월sim익년 4월에 생산된 김을 물량이 부족한 비 생산시기(5월sim10월)에 방출하거나 소비자 기호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미김을 생산 할 목적으로 이용됨

11

한편 초창기 조미김은 일본의 가공 시설과 기술 도입을 통해 만들어진 lsquo맛김rsquo이었는데

이는 장당 3g 이상의 김에 조미액(간장)으로 가미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한국형 조미김은 장당 26g 정도의 마른김을 소금과 식용유로 조미하여 가공한 것으로 가정에서 구운 김보다 눅눅함이 적고 김을 굽는 수고를 덜 수 있어 그 수요가 급증했다

그 후 조미김은 상품 형태 첨가물의 종류 포장 방법 등의 개선을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한국 조미김은 일본 조미김과 달리 lsquo소비자 편의성rsquo과 함께 lsquo맛rsquo 위주의 수요자 지향적인 제품 개발이 이루어졌다 즉 한국 조미김의 특징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lsquo맛의 다양성rsquo이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lt표 4gt 참조)

이러한 한국 조미김의 다양성은 일본산이나 중국산 김에 대한 수입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시용 김으로 유명한 일본산 김에 대응한 서구권이나 동남아권 등의 해외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무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lt표 4gt 한국 조미김과 일본 조미김의 특징구 분 한 국 일 본

제품 개발 동기 소비자 편의성 추구(수요자 중심)

중하품 김 처리방법 모색(공급자 중심)

제품 개발 방향 맛 향주요 첨가물 종류 소금 기름 간장평균 중량(속 당) 190sim300g(평균 260g) 300g 전후

장 점∙ 맛이 다양하고 우수∙ 제품 다양성 확보로 수요충족∙ 기름에 익숙한 중화권 및 서구권

소비자 접근성 용이

∙ 균등한 품질 및 규격화 (품질은 1sim13등급으로 구분)∙ 장기 보관성∙ 김 고유의 향과 맛 유지

단 점 ∙ 규격화 부진∙ 보관성이 낮음(기름 때문)

∙ 맛 품질의 획일성 (일반김 위주 생산 때문)

비 고 ∙ 소비자 중심의 제품개발로 규격화는 미흡하나 제품은 다양

∙ 가공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규격화가 실시되었음

주김 소비관련 전문가 자문(FGI 20091006sim23) 결과를 연구자가 재정리하였음

12

라 2000년대웰빙식품 시대(기능성 건강식품)2000년대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능성과 건강 지향적인 김 제품

들이 개발되었다 즉 lsquo김의 차별화rsquo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조미 첨가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2001년에는 인삼이나 김치 와사비 등의 첨가물로 맛을 낸 기능성 김이 출시되었으며 2003년에는 웰빙의 영향에 따라 기존의 대두유보다 몸에 좋은 참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고급기름을 이용한 제품의 차별화가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김 본연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 추세에 힘입어 조미김에 비해 가미가 되지 않은 마른김의 선호도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기술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로 김 소비가 특산품에서 대중식품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 소비 성향에 따라 김이 웰빙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은 lsquo김 소비의 역사rsquo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ldquo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rdquo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 특성은 향후 김 소비 패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t표 5gt 시대별 김 소비의 특성시 기 1960년대 이전 1960sim70년대 1980sim90년대 2000년대 이후김 식품명 명 특산품 고급식품 대중식품 웰빙식품주 요특 징

∙ 자연산 생산∙ 생산 지향적

∙ 수출위주 생산∙ 생산 지향적

∙ 내수위주 생산∙ 소비 지향적

∙ 제품 차별화∙ 소비 지향적

선 호김 종류

일반김 돌김(자연산) 일반김 돌김 재래김 재래김 파래김

김자반 등김 생산규 모

500톤 이하(21만속)

8천sim4만 톤(300sim1700만속)

10sim18만 톤(4200sim7500만속)

20만 톤(8300만속)

기 술수 준

∙ 재래식생산방식 (생산 및 가공)

∙ 부류식 양식∙ 개량품종 도입∙ 김 건조기 보급∙ 산처리제 개발

∙ 즉석구이기계개발∙ 김 건조기 보편화∙ 조미김 개발 (한국형 조미김)

∙ 고차 가공기술∙ 고차 제조기술 (다양한 첨가물)

주1) lsquo김 식품 명명rsquo은 시대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명명(命名)한 것임2) lsquo김 생산 규모rsquo는 각 연대별(10년간) 평균 생산량을 의미하며 ( )의 수치는 연대별 생산량을 마른김으

로 환산(물김 2411kg=1속)한 것임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11: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11

한편 초창기 조미김은 일본의 가공 시설과 기술 도입을 통해 만들어진 lsquo맛김rsquo이었는데

이는 장당 3g 이상의 김에 조미액(간장)으로 가미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한국형 조미김은 장당 26g 정도의 마른김을 소금과 식용유로 조미하여 가공한 것으로 가정에서 구운 김보다 눅눅함이 적고 김을 굽는 수고를 덜 수 있어 그 수요가 급증했다

그 후 조미김은 상품 형태 첨가물의 종류 포장 방법 등의 개선을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한국 조미김은 일본 조미김과 달리 lsquo소비자 편의성rsquo과 함께 lsquo맛rsquo 위주의 수요자 지향적인 제품 개발이 이루어졌다 즉 한국 조미김의 특징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lsquo맛의 다양성rsquo이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lt표 4gt 참조)

이러한 한국 조미김의 다양성은 일본산이나 중국산 김에 대한 수입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시용 김으로 유명한 일본산 김에 대응한 서구권이나 동남아권 등의 해외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무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lt표 4gt 한국 조미김과 일본 조미김의 특징구 분 한 국 일 본

제품 개발 동기 소비자 편의성 추구(수요자 중심)

중하품 김 처리방법 모색(공급자 중심)

제품 개발 방향 맛 향주요 첨가물 종류 소금 기름 간장평균 중량(속 당) 190sim300g(평균 260g) 300g 전후

장 점∙ 맛이 다양하고 우수∙ 제품 다양성 확보로 수요충족∙ 기름에 익숙한 중화권 및 서구권

소비자 접근성 용이

∙ 균등한 품질 및 규격화 (품질은 1sim13등급으로 구분)∙ 장기 보관성∙ 김 고유의 향과 맛 유지

단 점 ∙ 규격화 부진∙ 보관성이 낮음(기름 때문)

∙ 맛 품질의 획일성 (일반김 위주 생산 때문)

비 고 ∙ 소비자 중심의 제품개발로 규격화는 미흡하나 제품은 다양

∙ 가공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규격화가 실시되었음

주김 소비관련 전문가 자문(FGI 20091006sim23) 결과를 연구자가 재정리하였음

12

라 2000년대웰빙식품 시대(기능성 건강식품)2000년대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능성과 건강 지향적인 김 제품

들이 개발되었다 즉 lsquo김의 차별화rsquo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조미 첨가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2001년에는 인삼이나 김치 와사비 등의 첨가물로 맛을 낸 기능성 김이 출시되었으며 2003년에는 웰빙의 영향에 따라 기존의 대두유보다 몸에 좋은 참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고급기름을 이용한 제품의 차별화가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김 본연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 추세에 힘입어 조미김에 비해 가미가 되지 않은 마른김의 선호도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기술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로 김 소비가 특산품에서 대중식품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 소비 성향에 따라 김이 웰빙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은 lsquo김 소비의 역사rsquo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ldquo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rdquo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 특성은 향후 김 소비 패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t표 5gt 시대별 김 소비의 특성시 기 1960년대 이전 1960sim70년대 1980sim90년대 2000년대 이후김 식품명 명 특산품 고급식품 대중식품 웰빙식품주 요특 징

∙ 자연산 생산∙ 생산 지향적

∙ 수출위주 생산∙ 생산 지향적

∙ 내수위주 생산∙ 소비 지향적

∙ 제품 차별화∙ 소비 지향적

선 호김 종류

일반김 돌김(자연산) 일반김 돌김 재래김 재래김 파래김

김자반 등김 생산규 모

500톤 이하(21만속)

8천sim4만 톤(300sim1700만속)

10sim18만 톤(4200sim7500만속)

20만 톤(8300만속)

기 술수 준

∙ 재래식생산방식 (생산 및 가공)

∙ 부류식 양식∙ 개량품종 도입∙ 김 건조기 보급∙ 산처리제 개발

∙ 즉석구이기계개발∙ 김 건조기 보편화∙ 조미김 개발 (한국형 조미김)

∙ 고차 가공기술∙ 고차 제조기술 (다양한 첨가물)

주1) lsquo김 식품 명명rsquo은 시대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명명(命名)한 것임2) lsquo김 생산 규모rsquo는 각 연대별(10년간) 평균 생산량을 의미하며 ( )의 수치는 연대별 생산량을 마른김으

로 환산(물김 2411kg=1속)한 것임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12: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12

라 2000년대웰빙식품 시대(기능성 건강식품)2000년대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능성과 건강 지향적인 김 제품

들이 개발되었다 즉 lsquo김의 차별화rsquo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조미 첨가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2001년에는 인삼이나 김치 와사비 등의 첨가물로 맛을 낸 기능성 김이 출시되었으며 2003년에는 웰빙의 영향에 따라 기존의 대두유보다 몸에 좋은 참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등 고급기름을 이용한 제품의 차별화가 시도되었다

최근에는 김 본연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 추세에 힘입어 조미김에 비해 가미가 되지 않은 마른김의 선호도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기술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로 김 소비가 특산품에서 대중식품으로 발전되었으며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 소비 성향에 따라 김이 웰빙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은 lsquo김 소비의 역사rsquo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ldquo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rdquo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 특성은 향후 김 소비 패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t표 5gt 시대별 김 소비의 특성시 기 1960년대 이전 1960sim70년대 1980sim90년대 2000년대 이후김 식품명 명 특산품 고급식품 대중식품 웰빙식품주 요특 징

∙ 자연산 생산∙ 생산 지향적

∙ 수출위주 생산∙ 생산 지향적

∙ 내수위주 생산∙ 소비 지향적

∙ 제품 차별화∙ 소비 지향적

선 호김 종류

일반김 돌김(자연산) 일반김 돌김 재래김 재래김 파래김

김자반 등김 생산규 모

500톤 이하(21만속)

8천sim4만 톤(300sim1700만속)

10sim18만 톤(4200sim7500만속)

20만 톤(8300만속)

기 술수 준

∙ 재래식생산방식 (생산 및 가공)

∙ 부류식 양식∙ 개량품종 도입∙ 김 건조기 보급∙ 산처리제 개발

∙ 즉석구이기계개발∙ 김 건조기 보편화∙ 조미김 개발 (한국형 조미김)

∙ 고차 가공기술∙ 고차 제조기술 (다양한 첨가물)

주1) lsquo김 식품 명명rsquo은 시대별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명명(命名)한 것임2) lsquo김 생산 규모rsquo는 각 연대별(10년간) 평균 생산량을 의미하며 ( )의 수치는 연대별 생산량을 마른김으

로 환산(물김 2411kg=1속)한 것임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13: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13

2 김 소비행태13)

가 선호도 및 인지도1) 선호도

가) 연령대별 선호도김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대와 김 선호도간

의 상관계수가 유의한 음(-)의 관계(r=-0142 plt001)를 보였다(lt표 6gt 참조) 이는 lsquo연령대가 낮을수록 김을 더 선호한다rsquo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반적인 김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김이 대표적인 반찬류 중의 하나이며14) 특히 간편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lt표 6gt 연령대별 김 선호도 차이구 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 계 F-value r

N 45 255 308 188 104 900

5327 -0142선 호 도 40889 41020 40390 39202 37308 39989

표준편차 79264 75124 67417 81366 87279 76419

주plt005 plt001 plt0001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김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lsquo편리성rsquo과 lsquo건강rsquo 그리고 lsquo맛rsquo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lsquo반찬으로 먹기 편해서rsquo라는 응답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조사대상이 주부임을 감안하면 어린 자녀를 둔 20sim30대 주부들의 김 선호도는 자녀의 선호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lsquo건강에 좋기 때문rsquo이나 lsquo습관 때문rsquo이라는 응답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lt표 7gt 참조)

13) 본 절의 내용은 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전문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lsquo품목별 소비동향 조사rsquo를 이용하였음 본 논문에 사용된 설문 결과는 지난 2009년 3월 25일부터 27일까지(3일간) 전국 만 20세 이상의 주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이며 표집오차는 95신뢰수준에 plusmn327p임

14) 가정 내 김의 용도를 조사한 결과(KMI) 반찬용이 986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조미 첨가용(07) 간식용(05) 술안주용(01) 등의 순임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14: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14

lt표 7gt 김 선호 이유(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반찬으로 먹기 편해서 397 493 483 366 299 354

건강에 좋기 때문에 260 243 177 303 298 298

맛이 좋아서 228 236 251 245 233 195

늘 먹던 습관 때문에 102 28 67 103 165 134

가격이 저렴해서 12 00 13 16 05 18

기 타 01 00 04 00 00 00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은 일반적인 수산물 선호도와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선호한다 또한 주로 반찬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김 소비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측면에서 보면 김 소비시장을 목표 고객에 따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김 소비시장을 동질의 시장이 아닌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개의 시장 및 목표고객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우선 lsquo표적시장 1rsquo은 20sim30대의 연령층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며 어린 자녀들의 선호가 반영된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고 lsquo표적시장 2rsquo는 40대 이상으로 건강성과 기존의 식습관을 추구하는 소비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시장 1에는 반찬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조미김 위주로 구성하되 고급 유제품을 사용하여 식품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주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적시장 2에는 주력 제품을 마른김 위주로 하되 간편성 강화를 위해 속(100장) 단위가 아닌 소포장 제품이나 절단김 형태의 제품을 보급함으로서 표적시장에 적합한 제품 포지셔닝이 가능 할 것이다

나) 김 종류별 선호도김 종류별 선호도를 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선호 비율이 64로 마른김의 선호도가 더

높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조미김은 앞서 살펴본 김 선호도와 같이 나이가 적을수록 선호하는 반면 마른김은 나이가 많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15: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15

lt표 8gt 김 종류별 선호도(단위)

구 분 평 균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마 른 김 598 411 437 658 758 742

조 미 김 402 590 563 342 242 258

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특히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lsquo마른김이 조미김에 비해 김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어서rsquo라는 응답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lsquo조미김보다 건강에 좋다고 생각해서rsquo 356 lsquo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rsquo 186 등의 순이었다 즉 마른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조미김에 비해 lsquo고유의 맛rsquo과 lsquo건강rsquo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lsquo웰빙rsquo이나 lsquoLOHASrsquo 등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김을 선택할 때도 건강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미김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금이나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 등으로 마른김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마른김의 선호도 상승은 김의 주요 소비처인 대형소매점의 김 매출액 비중 변화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표 9gt 참조) 국내 S사 A 마트의 김 매출액 기준 마른김의 판매 비중이 2005년에 310였으나 2008년에는 3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 지향적 소비 증가와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도 마른김의 장점인 lsquo안전성rsquo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강화를 위한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소포장절단 마른김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인 안전성과 편리성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lt표 9gt 연도별종류별 김 매출비중(대형마트)(단위)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조 미 김 690 664 617 613

마 른 김 310 336 383 387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각 연도별 조미김과 마른김의 매출액 합을 100으로 환산한 것임자료A 마트 내부자료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16: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16

2) 인지도소비자들의 김 선호도는 비교적 높은데 비해 김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다

아래 lt표 10gt에서도 알 수 있듯이 김 산지가 아닌 지역을 산지로 알고 있거나 산지별 생산 비중을 감안할 때 완도 이외의 산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김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낮게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응답한 50여 개의 김 제품 중 상위 3개 제품15)에 대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기업 김 브랜드에 편중된 소비자 인지도를 보였다

lt표 10gt 김 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단위)

구 분 김 산지인 지역 김 산지가아닌 지역 합 계완 도 서 천 진 도 해 남 신 안 기 타

응답 비율 562 51 37 29 21 84 216 1000생산 비중 131 90 139 135 112 393 - 1000 주김 산지가 아닌 지역 중 응답이 가장 많은 곳은 광천 대천 남해 등이었음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8년 5월호

마케팅 측면에서 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 주로 브랜드 명이 lsquo안동 간고등어rsquo와 같이 lsquo지명 + 품목명rsquo인 경우가 많으므로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lsquo장흥 무산김rsquo을 표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이미지 구축과 김 산지 인지도 향상을 위한 장흥군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또한 대기업 중심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의 편중은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러나 김 전문 업체(삼해상사 만전식품 등)들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쌓아온 김 관련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고품질고급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며 대기업 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보다는 신규시장 창출이 더욱 합당할 것이다

15) 기존의 김 제품 브랜드 중 소비자 인지도가 높은 것은 동원 FampB의 lsquo양반김rsquo 동남산업의 lsquo해표김rsquo (주)풀무원의 lsquo풀무원김rsquo 등이 있음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17: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17

나 김 구매행태1) 구매처 및 구매기준

김의 주요 구매처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lsquo대형소매점rsquo을 통한 구매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래시장(259) 일반 슈퍼(88) 직거래(81) 등의 순이었다

또한 김 구매 시 고려요인으로는 lsquo맛rsquo이라는 응답이 47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품 안전성(153) 브랜드(139) 산지(118) 등의 순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급성장으로 소비시장의 판도가 대형마트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김의 주요 구매처 중 대형소매점 비중이 516라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4gt 참조) 따라서 김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하는 것이 판로확보의 관건일 수밖에 없다

lt 주요 구매처 gt lt 주요 구매 기준 gt

대형소매점

516

일반 슈퍼

88

직거래

80

재래시장

259

인터넷 쇼핑

20

기타

37

475

브랜드

139

산지

118

기타

23

색택

93

식품안전성

153

주구매처 중 lsquo대형소매점rsquo은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업태를 말하며 구매 기준의 lsquo색택rsquo은 색깔과 윤기를 의미함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lt그림 4gt 김의 주요 구매처 및 구매기준

2) 구매 시기김 소비는 종류별로 주 구매 시기의 차이를 보인다 KMI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른김은

주로 명절(추석 설)과 햇김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2월에 소비가 집중된다 또한 조미김은 명절과 휴가철인 7sim8월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lt표 11gt 참조)

특히 김은 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있어 선물용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18: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18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마른김과 조미김 모두 주요 구매 시기가 공통적으로 명절에 집중된다 또한 마른김은 제철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김이 생산되는 시기에 주로 구매하며 조미김은 연중 소비되지만 특히 휴가철 등 야외에서 간편하게 반찬용으로 먹기 위해 도시락김을 많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lt표 11gt 김의 주요 구매 시기 및 종류구 분 주요 구매 시기 주요 김 제품

마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햇김 생산시기(11sim2월) 햇김(당해년도 생산된 김)

조미김 명절(설 추석) 선물용 세트김휴가철(7sim8월) 도시락김(반찬용)

자료KMI 「김 수산관측」 2006년 1월호

이러한 김 종류별 구매 시기 차이는 대형마트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lt그림 5 참조gt)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백만원

마른김류 조미김류

주본 자료는 S유통의 2005sim2008년까지의 월별 김 제품 매출액(POS자료) 기준임 자료S유통 내부자료

lt그림 5gt 김 종류별 구매 시기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19: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19

우선 마른김의 경우 구매 시기가 김의 생산 시기인 11월에서 익년 4월에 집중되는 일명 lsquoU-자형rsquo 구매 패턴을 보인다 그에 비해 조미김은 연중 일정 수준 이상의 구매가 이루어지며 특히 명절(추석 설)에 집중되는 구매 패턴을 보인다

3) 구매 정보 수집경로김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에 대해서는 lsquo판매자나 주위사람을 통해서rsquo라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포장지 문구(233) TV 등 대중매체(126) 시식 등 직접경험(50) 등의 순이었다

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경로는 무엇보다 구전(Word of Mouth)이나 인쇄물(포장지 또는 광고 문구 등)을 통한 경우가 70 이상을 점한다 그에 비해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일반적인 공산품 구매 시 소비자의 구매 정보 수집경로와는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김의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고비용의 대중매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구전효과가 높은 집단인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16)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lt표 12gt 김 구매 정보 수집경로구 분 판매자나

주위사람포장지 문 구

대중매체(TV 등)

시 식(직접경험) 기 타 합 계

빈 도(명) 400 210 114 45 131 900

비 율() 444 233 126 50 146 1000

주lsquo기타rsquo에는 광고문구 46 인터넷 34 산지 01 및 무응답이 65 포함되어 있음자료KMI 수산업관측센터 소비자 설문조사(2009325sim27) 결과

16)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이란 인적 네크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게 하는 방법임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word of mouth)이라고도 함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20: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20

Ⅳ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중국의 가세로 세계 김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김의

80 이상이 한국이나 일본산과 다른 용도의 김임을 감안하면 2000년대 들어 김 생산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김 생산 규모는 대형화 추세이며 유통구조는 다른 품목에 비해 안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비는 외식업체와 가정 내 소비가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대 들어 편의점을 중심으로 식사대용으로 삼각김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김 가루도 제품화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용 이외의 단체급식 등 일명 lsquo업무용rsquo 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 자반도 김 시장의 15정도를 차지할 만큼 소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김 소비패턴을 시대별로 보면 lsquo특산품rsquo에서 lsquo고급식품rsquo 그리고 lsquo대중식품rsquo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lsquo웰빙식품rsquo으로 대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별 김 소비패턴의 변화는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 증가와 건강 지향적 소비성향에 따른 결과이다 이렇듯 최근의 김 소비패턴은 예전에 비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건강식품으로서 소비자 인식도 호전되고 있어 향후 김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은 다른 수산물과 달리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 선호한다 또한 김을 선호하는 이유는 lsquo편리성rsquo lsquo건강rsquo lsquo맛rsquo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마른김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의 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의 가장 큰 장점은 반찬용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편리성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마른김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가미 또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절단 소포장 마른김 제품의 개발 및 판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에 대한 정보 수집 경로는 구전이나 포장지 문구를 통한 경우가 많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수집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향후 김 홍보 및 판촉전략 수립 시에는 점포 내 판촉사원를 대상으로 김에 대한 사전지식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하며 주부 모니터 등을 이용한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을 고려해 볼만 하다 또한 제품 포장지의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21: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21

문구를 통한 정보 수집이 많으므로 표시항목에 안전성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본 연구는 개별 품목인 김에 대한 단편적인 소비행태 분석 외에도 생산 및 유통구조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김 소비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김 소비관련 전문가 인터뷰(FGI)를 통해 시대별종류별 김 소비특성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시대별 김 소비특성은 생산 규모 및 소비 특성 기술 수준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김 소비행태 분석을 통해 연령대별 선호도의 차이와 종류별 선호도의 변화를 뚜렷이 확인 할 수 있었고 연령대별 선호 이유와 구매처별 비중 김 정보에 대한 lsquo구전효과rsquo의 중요성 등을 밝혔다 이러한 소비행태의 분석 결과는 김 소비시장의 세분화와 목표시장 및 목표고객 선정 등 STP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 소비패턴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함에 있어 생산 및 가공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즉 소비행태나 소비 여건변화 등 수요측면에서의 분류가 미흡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수요측면에서의 분류를 통해 김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는 김 소비행태 분석이 행단면 조사 결과만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어 김 소비의 장기적인 변화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김 소비행태 조사를 통해 김의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22: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22

참고문헌

강제원 한국산 양식김의 종류 985172한수지985173 제3권 제2호 1970 pp77-92

고남표 외 김의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24호 1980

pp47-58

김덕술 2차 가공김의 생산 및 수요변화 985172목포지방해양수산청 2007 김 양식 연찬회 발표 자료집985173 2007 pp57-65

김봉태이남수 ldquo순서화 로짓모형을 이용한 전복의 소비자 선호 구매횟수 소비의향 분석rdquo

985172해양정책연구985173 제23권 제2호 2008

김성용조성환 ldquo순위화된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매실가공식품 구매의 결정요인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4호 2006

박구병 985172한국어업사985173 부산정음사 1975

박민규 중국 김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에 대한 연구 985172수특과제 최종보고서985173 해양수산부 2006

박종수조광호 ldquo돈육의 소비행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rdquo 985172농업경영정책연구985173 제29권 제2호 2002

송홍인정영균 돌김 양식장의 환경과 생산에 관한 연구 985172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985173 제55호 1999 pp83-97

이계임 등 985172김치 수요의 변화와 전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이계임한혜성손은영 985172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이남수 ldquo양식 넙치의 유통 및 소비구조에 관한 연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37권 제2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

이민규박은영 ldquo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모형을 이용하여rdquo 985172수산경영론집985173 제40권 제3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9

이태식 외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공정 개선시험 985172한국수산학회지985173 제33권 제6호 한국수산학회 2000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4모래섬에서 꿈꾼 녹색 세상」 서울청어람미디어 2006

정근식김 준 985172해조류 양식 어촌의 구조와 변동985173 서울경인문화사 2004

정명생임경희 985172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Page 23: 김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품목의 소비패턴에 관해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을 대상으로

23

정상화 985172한일 김 양식장의 환경특성과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985173 일본 구주대학 박사학위 논문 1986

채용우박성호 ldquo브랜드 쌀 속성에 관한 소비자 선호 및 시장변화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제47권 제3호 2006

홍성걸정명생 985172양식수산물에 대한 소비습관 및 수요분석98517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9

고흥수산사무소 소득원 개발을 위한 전남 고흥해역 해조상 실태조사 해양수산부 2007

농수산물유통공사 985172수산물 핵심전략품목 해외시장정보오징어참치김985173 2009

통계청 어업생산통계시스템(httpfsfipsgokr)

한국무역협회 무역정보네트워크(httpdbkitanet)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85172김 관측월보985173 각 월호

해양수산부 985172어업생산통계연보985173 각 년도

Bae S H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2) 1991 pp153-166

Sloan A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4) 2006 pp22-40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월 26일2010년 3월 10일2010년 5월 21일2010년 6월 8일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