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Date post: 31-May-2020
Category:
Upload: others
View: 2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95
균형손상 균형손상 균형손상 균형손상 노인에서 노인에서 노인에서 노인에서 발목관절 발목관절 발목관절 발목관절 전략 전략 전략 전략 운동의 운동의 운동의 운동의 균형증진 균형증진 균형증진 균형증진 효과 효과 효과 효과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Transcript
Page 1: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균형손상균형손상균형손상균형손상 노인에서노인에서노인에서노인에서 발목관절발목관절발목관절발목관절 전략전략전략전략 운동의운동의운동의운동의

균형증진균형증진균형증진균형증진 효과효과효과효과

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 대학원대학원대학원대학원

재재재재 활활활활 학학학학 과과과과

이이이이 정정정정 원원원원

Page 2: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균형손상균형손상균형손상균형손상 노인에서노인에서노인에서노인에서 발목관절발목관절발목관절발목관절 전략전략전략전략 운동의운동의운동의운동의

균형증진균형증진균형증진균형증진 효과효과효과효과

지도지도지도지도 권권권권 오오오오 윤윤윤윤 교수교수교수교수

이이이이 논문을논문을논문을논문을 박사박사박사박사 학위논문으로학위논문으로학위논문으로학위논문으로 제출함제출함제출함제출함

2006200620062006년년년년 1 1 1 12222월월월월 일일일일

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 대학원대학원대학원대학원

재재재재 활활활활 학학학학 과과과과

이이이이 정정정정 원원원원

Page 3: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이정원이정원이정원이정원의의의의 박사박사박사박사 학위논문을학위논문을학위논문을학위논문을 인준함인준함인준함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 대학원대학원대학원대학원

2006200620062006년년년년 11112222월월월월 일일일일

Page 4: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감사의감사의감사의감사의 글글글글

‘거지가 마당에 들어서면서 밥 주시오’ 라고 말하지 ‘글 주시오’ 라고 말하지

않는다며 학교에 보내지 않아서 글을 못 배우셨다는 존경하고 사랑하는 아버님

이종열 옹, 어머님 이상순 여사께 이 논문을 바칩니다.

제 논문을 위해 처음부터 끝까지 세심하게 지도해주신 권오윤 교수님, 한결같

이 인생의 안내자가 되어 주시는 이충휘 교수님, 잔잔한 미소로 이끌어 주신 조상

현 교수님, 아낌없이 응원과 격려를 해준 전혜선 교수님, 친근함과 이해심으로 도

와준 류승현 교수님 감사합니다.

온유함과 걱정스러움으로 응원해 주신 정보인 교수님, 정민예 교수님, 유은영

교수님 감사합니다. 김영수 교수님, 이재호 교수님 그립습니다. 그리고 정원미, 신

헌석, 이향숙, 이성아, 박수현 교수님 고맙습니다. 서로 격려하며 도와준 오덕원

선생, 신화경 선생 고맙습니다. 내 일처럼 도와준 오재섭, 황수진, 이정훈 선생 고

맙습니다. 그리고 이정아, 유원규 선생과 대학원생들에게 고마움을 표합니다. 이병

규 선생님 고맙습니다. 어려울 때마다 힘이 되어주신 김경희 선생님과 여름 내내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사랑하는 어르신들께 머리 숙여 감사를 드리며, 늘

행복 하시길 빕니다.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힘이 되는 이학원, 이재원, 이영원 형님들, 누님, 매형,

형수님들 고맙습니다. 마지막으로 묵묵히 격려해주신 장인, 장모님 감사합니다. 유

창은, 손진, 유진영 고맙다. 사랑하는 아내 유혜영, 큰딸 주희, 둘째 다혜, 막내 다

영이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2006년 12월

이 정 원 드림

Page 5: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i -

차 례

그림 차례································································································ⅳ

표 차례···································································································ⅵ

국문 요약································································································ⅸ

제1장 서론·······························································································1

제2장 연구 방법 ·······················································································5

2.1 연구 대상 ························································································5

2.2 실험 기기 ························································································7

2.2.1 동작분석 자료 수집 및 분석 시스템 ···············································7

2.2.2 정적 균형능력 측정계 ··································································7

2.2.3 근전도 신호 수집 및 분석 시스템 ··················································7

2.2.4 근력 측정계················································································8

2.2.5 관절 측각계················································································8

2.3 실험 장치 ························································································9

2.4 실험 과정 ······················································································10

2.5 측정 방법 ······················································································11

2.5.1 동요 시 발목관절 각도 변화 ·······················································11

2.5.2 동요 시 근 수축개시 시간차 ·······················································12

2.5.3 정적 균형능력 측정 ···································································14

2.5.4 기능적 팔 뻗기 검사 ··································································15

2.6 치료 방법······················································································16

Page 6: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ii -

2.6.1 발목관절 근력강화 운동 ·····························································16

2.6.2 발목관절 전략촉진 운동 ·····························································17

2.7 분석 방법······················································································20

제3장 결과·····························································································21

3.1 정적 균형능력 측정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21

3.2 치료 전 근력, 기능적 팔 뻗기, 수동가동범위······································22

3.3 평가시점에 따른 근력, 기능적 팔 뻗기, 수동가동범위 ··························23

3.4 기능적 팔 뻗기 ·············································································24

3.5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근력 ···························································26

3.6 발목관절의 발바닥쪽 굽힘 근력 ························································28

3.7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 ···············································30

3.8 발목관절의 발바닥쪽 굽힘 수동가동범위 ············································32

3.9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발등쪽 굽힘 각도 ·······································34

3.10 동요 시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각도 ·································35

3.11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 ·····················37

3.12 동요 시 평가시점과 집단 간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38

3.13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근 수축개시 시간차···································40

3.14 동요 시 평가시점과 집단 간 근 수축개시 시간차 ······························41

3.15 자세에 따른 정적 균형능력 ····························································43

3.16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의 정적 균형능력············44

3.17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좌ᆞ우 방향의 동요 ·45

3.18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전ᆞ후 방향의 동요 ·47

Page 7: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iii -

3.19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의 정적 균형능력············49

3.20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좌ᆞ우 방향의 동요 ·50

3.21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전ᆞ후 방향의 동요 ·52

3.22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의 정적

균형능력······················································································54

3.23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

좌ᆞ우 방향의 동요·······································································55

3.24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

전ᆞ후 방향의 동요·······································································57

제4장 고찰····························································································· 59

제5장 결론····························································································· 65

참고문헌 ································································································ 66

영문 요약······························································································· 80

Page 8: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iv -

그림 차례

그림 1. 실험 장치의 모식도········································································9

그림 2. 동요 시 발목관절 등쪽 굽힘 각도 측정 ···········································11

그림 3. 예기치 않은 동요(unexpected perturbation) 유발 장치 ···················13

그림 4. 근 수축개시 시간 분석과정 ···························································14

그림 5. 정적 균형능력 측정: 압력 중심의 이동 궤적 ····································15

그림 6. 발목관절 근육의 근력강화 운동 ·····················································17

그림 7. 불안정 판 위에서 하는 발목관절 전략촉진 운동 ·······························19

그림 8. 쿠션 볼 위에서 하는 발목관절 전략촉진 운동 ··································19

그림 9.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기능적 팔 뻗기 비교 ································25

그림 10.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근력 비교 ···········27

그림 11.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발목관절의 발바닥쪽 굽힘 근력 비교 ········29

그림 12.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 비교················31

그림 13.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발바닥쪽 굽힘 수동가동범위 비교·············33

그림 14.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발목관절 발등쪽 굽힘 각도 비교 ··36

그림 15.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근 수축개시 시간 비교················39

그림 16.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근 수축개시 시간차 비교·············42

그림 17.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좌ᆞ우 방향의 동요 비교 ·········································46

그림 18.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전ᆞ후 방향의 동요 비교 ·········································48

Page 9: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v -

그림 19.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좌ᆞ우 방향의 동요 비교 ·········································51

그림 20.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전ᆞ후 방향의 동요 비교 ·········································53

그림 21.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좌ᆞ우 방향의 동요 비교 ·········································56

그림 22.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전ᆞ후 방향의 동요 비교 ·········································58

Page 10: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vi -

표 차례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

표 2. 정적 균형능력 측정계의 자세에 따른 검사-재검사 신뢰도 ···················21

표 3. 치료 전 집단 간의 근력, 기능적 팔 뻗기, 수동가동범위 비교················22

표 4. 평가시점에 따른 근력, 기능적 팔 뻗기, 수동가동범위 비교···················23

표 5. 평가 시점과 집단 간 기능적 팔 뻗기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24

표 6. 집단 간 기능적 팔 뻗기의 최소 유의 차 검정 ·····································24

표 7.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근력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26

표 8. 집단 간 발등쪽 굽힘 근력의 최소 유의 차 검정 ··································26

표 9.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바닥쪽 굽힘 근력의 반복측정 분산분석···············28

표 10. 집단 간 발바닥쪽 굽힘 근력의 최소 유의 차 검정 ·····························28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최소 유의 차 검정 ····················30

표 13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바닥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32

표 14. 집단 간 발바닥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최소 유의 차 검정 ·················32

표 15.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발등쪽 굽힘 각도 비교·······························34

표 16. 동요 시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각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35

표 17. 동요 시 집단 간 발등쪽 굽힘 각도의 최소 유의 차 검정 ····················35

표 18.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 비교 ··············37

표 19. 평가시점과 집단 간 내측 비복근 수축개시 시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8

표 20. 집단 간 내측 비복근 수축개시 시간의 최소 유의 차 검정···················38

Page 11: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vii -

표 21. 동요 시 평가시점과 집단 간 근 수축개시 시간차 비교 ·······················40

표 22. 평가시점과 집단 간 근 수축개시 시간차의 반복측정 분산분석·············41

표 23. 집단 간 전경골근과 내측 비복근 수축개시 시간차의 최소 유의 차 검정····41

표 24. 자세에 따른 정적 균형능력 비교 ·····················································43

표 25.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의 정적 균형능력 비교 ····44

표 26.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좌ᆞ우 방향

동요의 반복측정 분산분석······························································45

표 27.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집단 간 좌ᆞ우 방향

동요의 최소 유의 차 검정·································································46

표 28.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전ᆞ후 방향

동요의 반복측정 분산분석······························································47

표 29.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집단 간 전ᆞ후 방향

동요의 최소 유의 차 검정·································································48

표 30.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의 정적 균형능력 비교 ····49

표 31.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좌ᆞ우 방향

동요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50

표 32.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집단 간 좌ᆞ우 방향

동요의 최소 유의 차 검정·································································51

표 33.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전ᆞ후 방향

동요의 반복측정 분산분석······························································52

표 34.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집단 간 전ᆞ후 방향

동요의 최소 유의 차 검정 ······························································ 53

Page 12: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viii -

표 35.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의 정적

균형능력 비교 ··············································································54

표 36.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

좌ᆞ우 방향 동요의 반복측정 분산분석············································55

표 37.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

전ᆞ후 방향 동요의 반복측정 분산분석············································57

Page 13: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ix -

국문국문국문국문 요약요약요약요약

균형손상균형손상균형손상균형손상 노인에서노인에서노인에서노인에서 발목관절발목관절발목관절발목관절 전략전략전략전략 운동의운동의운동의운동의

균형증진균형증진균형증진균형증진 효과효과효과효과

본 연구에서는 발목관절 전략운동이 균형손상 노인에서 정적 균형능력과 동요

시 근 수축개시 시간 및 근 수축개시 시간차, 그리고 기능적 팔 뻗기 등

균형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 59명(남자 5명, 여자 54명)이었고, 발목전략

운동군, 발목 근력강화 운동군, 대조군에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치료 전 평가, 8주 운동 후 평가, 5주 후 추적 평가 순서로 수행되었다. 균형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예기치 않은 동요(perturbation) 시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각도의 변화,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 전경골근과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차를 측정하였고, 정적 균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 가지

측정자세에서 COP의 좌ᆞ우, 전ᆞ후 방향의 평균 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발목관절의 근력과 수동가동범위 그리고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시점과 집단 간 균형증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 (one-way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은 최소 유의 차 검정방법을 사용하였다. 치료는 50분씩 주 3회 8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발목전략 운동군에는 네 가지 발목관절 전략촉진 운동을 실시

하였으며, 근력강화 운동군에는 탄력 고무 띠를 이용한 발목관절의 점진적 저항

운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능적 팔 뻗기는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근력과 수동가동범위는

Page 14: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x -

치료 후 평가시점에서 치료 전보다 발등쪽 굽힘과 발바닥쪽 굽힘에서 두 운동군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동요 시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각도는 발목전략 운동군에서 발목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동요 시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 및 전경골근과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차에서, 발목전략 운동군이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눈을 뜨고 서있는 자세와 눈을 감고 서있는 자세에서 모두

전ᆞ후 방향의 동요는 발목전략 운동군에서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균형손상 노인에서 8주 동안의 발목전략 운동과 근력강화 운동이

균형능력을 증진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발목전략 운동이 발목 근력강화

운동보다 균형증진에 더 효과적이었다.

핵심되는 말 : 근 수축개시 시간, 균형, 노인, 동요, 발목전략 운동.

Page 15: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1 -

제제제제1111장장장장 서론서론서론서론

노인에서 넘어짐을 예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노인에 있어서 넘어짐은 사

고관련 손상의 첫 번째 원인이며 사고관련 사망의 두 번째 원인이다(Bonnie,

Fulco, and Liverman 1999). 65세 이상 노인에서는 3분의 일, 80세 이상에서는

절반이 일년 내에 적어도 한번 이상 넘어진다(Campbell et al. 1981). 미국에서

는 넘어진 노인 중의 10~11%가 부상을 당하며 년간 3천 여건의 고관절 골절상

이 발생되어 관련 의료비용이 10억 달러에 달한다(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3).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에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

나 흐트러진 균형을 회복하는 능력은 다양한 감각기능, 운동기능, 인지기능, 정신

사회 기능 그리고 환경적 요소와 관련이 있다(Gehlsen, and Whaley 1990;

Nevitt et al. 1989; Tinetti 2003).

자세동요에 따르는 균형의 회복에는 발목관절 전략(ankle strategy)이나 고관

절 전략(hip strategy), 또는 두 전략을 함께 사용해서 서 있는 균형을 유지한다

(Horak, and Nashner 1986). 발목관절 전략은 견고한 지지면에서 적은 동요가

있을 때 일상적으로 사용되며, 제일 먼저 나타나는 자세조절 전략으로써

(Shumway-Cook, and Woollacott 1995), 발목관절의 근육 수축을 통해 똑바로

서기 균형을 일차적으로 회복하는 것을 말한다(Horak, Shupert, and Mirka

1989; Nashner 1976). 20대 여성과 70대 여성의 발목관절 전략을 사용한 균형

회복 능력을 비교해 보면, 노인에 있어서 균형회복 능력이 감소되고 최대근력과

근력생성 반응시간이 지연된다(Mackey, and Robinvitch 2005). 20세부터 70세

의 건강한 113명의 자세동요 때 발목관절 전략을 사용하는 것에는 나이나 성별

Page 16: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2 -

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지만, 관절의 과운동성(hypermobility)이 있으면 발목관절

전략의 사용이 증가하고, 체중이 증가하면 발목관절 전략의 사용이 감소된다

(RØgind et al. 2003).

전ᆞ후 방향으로의 교대적 흔들림에 대한 균형유지는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과 내측 비복근(medial gastrocnemius)의 교대적 활성에 의존되며, 몸

이 수직선을 넘어 전방으로 무너지기 전에 내측 비복근의 활성이 시작되고, 다시

후방으로 몸을 세우기 전에 전경골근의 활성이 시작된다(Almeida, Carvalho, and

Talis 2006). 또한 발목관절 근육에서는 원심성 수축과 구심성 수축이 교대로 일

어나지만, 슬관절과 고관절의 전방에 있는 근육은 협력작용(co-activation)을 하

여 몸의 안정성을 제공한다(Almeida, Carvalho, and Talis 2006). 체성감각 정보

에 장애가 생기면 자세전략(postural strategy)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고관절

전략의 사용이 증가된다(Speers, Kuo, and Horak 2002). Wilson 등(2006)은

실험적으로 요부 신전근을 피로하게 하였더니 고관절 전략의 사용이 증가하는 것

을 보고 신경근(neuromuscular)의 피로가 자세전략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피로는 자세 동요의 증가를 유발하며(Yaggie, and McGregor 2002),

발목관절의 각도 변화가 증가하고 힘의 생성이 늦어지고 힘도 감소됨에 따라 발

목관절 전략만으로 균형을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감소되어 고관절 전략의 사용

이 증가하게 된다(Wilson et al. 2006). 신체를 평편한 바닥에서 움직일 때와 좁

은 빔 위에서 움직일 때에는 역동적으로 다른 자세조절 전략을 사용하며, 뇌에는

무게 중심(center of body mass)의 이동 정도에 따라 발목관절 전략의 사용이

감소되면 고관절 전략의 사용이 증가되고, 고관절 전략의 사용이 감소되면 발목관

절 전략의 사용이 증가하는 가변적인 자세조절 전략 지도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

Page 17: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3 -

다(Horak 1992).

전향적 코호트(prospective cohort) 연구에 의하면, 근육의 약화나 균형능력

의 부족은 가장 확실한 넘어짐의 위험인자이다(Campbell, Borrie, and Spears

1989; Nevitt, Cummings, and Hudes 1991; Tinetti, Speechley, and Ginter

1988). 넘어진 경험이 없는 사람보다 넘어진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발목관절의

유연성 감소, 발바닥 촉각 민감도 감소, 발바닥쪽 굽힘근의 근력 등이 감소되며,

더 심한 모지 외반 기형을 가지고 있다(Menz, Morris, and Lord 2006). 노화로

인해 30세에서 40세 사이에 하지 근력의 40%까지 상실될 수 있지만(Aniansson

et al. 1986), 운동으로 근력이 증가되며(Agre et al. 1988; Fiatarone et al.

1990; Fisher, Pendergast, and Calkins 1991; Krebs, Jette, and Assmann

1998), 하지 근력의 강화는 균형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Imms, and Edholm

1981; Lord, and Castell 1994; Lord et al. 1995). 탄성 고무 띠(Thera Band)

는 근력강화 운동을 위한 저항체로서 유용하며, 노인의 하지 근력 강화 운동에 유

효하다(Gras et al. 2004; Krebs, Jette, and Assmann 1998; Skelton, and

McLaughlin 1996). 또한 하루에 두 번 매일 4주 동안의 운동이 발목관절의 발

등쪽 굽힘 가동범위를 증가시켜 균형능력이 향상 되었다고 보고하였다(Petty et

al. 2000).

균형증진을 위하여 근력강화(Amiridis et al. 2005; Imms, and Edholm 1981;

Lord, and Castell 1994; Lord et al. 1995; Robinovitch et al. 2002), 가동범위

증진(Mills 1994; Petty et al. 2000; Shigematsu et al. 2002), 태극권(Fong,

and Ng 2006; Gatts, and Woollacott 2006; Li et al. 2005; Lin et al. 2006;

Wolf et al. 2006; Wolf et al. 2003), 균형전략 운동(Almeida, Carvalho, and

Page 18: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4 -

Talis 2006; Horak 1992; RØgind et al. 2003; Shumway-Cook, and

Woollacott 1995; Wilson et al. 2006)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발목관절 전략을 촉진하는 접근법에는 몸을 구부리지 않은 채 전ᆞ후ᆞ좌ᆞ우 방

향으로 스스로 흔들림을 만들어 내는 동요(self-initiated sway), 둔부나 어깨에

제공되는 외력에 의한 동요로부터 균형을 회복하는 것(recovery of balance), 선

행적 자세조절이 요구되는 과제를 수행을 하게 하는 것(anticipatory postural

control) 등이 있다(Shumway-Cook, and Woollacott 1995). 지금까지 노인에

있어서 균형 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있었으며 현재도 활발하게 연

구되는 주제이다. 노인에서 가동범위와 유연성의 감소, 근력약화, 적절한 힘의 생

성 및 균형반응의 지연 등 균형유지 능력을 저하시키는 요인들에 복합적으로 효

과적인 운동 방법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근력강화 운동이 균

형능력을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주장도 있으며(Buchner et al. 1997; McMurdo,

and Johnston 1995; Rubenstein et al. 2000), 노인병 관련 학회에서 태극권은

균형훈련의 한 운동으로 권할 만 하지만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American Geriatrics Society, British Geriatrics Society, and American

Academy of Orthopedic Surgeons Panel on Falls Prevention 2001). 또한 발

목관절 전략 운동이 근력강화, 유연성 증진, 균형증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비교 연구가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균형손상이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발목관절 전략 운

동군, 발목관절 근력강화 운동군, 대조군으로 나누어, 8주 동안의 발목관절 전략

운동이 균형조절 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Page 19: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5 -

제제제제2222장장장장 연구연구연구연구 방법방법방법방법

2.1 2.1 2.1 2.1 연구연구연구연구 대상대상대상대상

최근 6개월 동안 일주일에 3회 이상 정기적으로 근력강화 운동이나 자세조절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없고 신경성이나 근육성 질환이 없는 65세 이상

노인 중 한국판 간이 정신기능 검사(K-MMSE)에서 24점 이상이며, 버그균형척

도(Berg Balance Scale) 검사에서 40점 이하 되는(남자 5명, 여자 55명) 60명

을 본 연구 대상자로 포함시켰다. 연구 대상자들을 발목전략 운동군, 근력강화 운

동군, 대조군에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실험 전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대상자들에게 충분한 설명을 한 후 동의한 경우에만 실험에 참여하게 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는 60명이었으나 이 중 1명은 실험기간 중 뇌졸중이 발

생하여 제외되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총 59명이었다.

대상자 전체의 평균 나이는 76.5세, 평균 몸무게는 58.5 ㎏, 평균 키는

148.9 ㎝, 평균 버그균형척도 점수는 38.1점, 평균 정신기능 검사 점수는 25.4점

이었다. 집단 간 동질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표 1).

Page 20: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6 -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59)

특성 발목전략 운동군(n=20)

근력강화 운동군(n=19)

대조군 (n=20)

p† 전체

여자 (명) 18 17 19 54

남자 (명) 2 2 1 5

나이 (세) 76.4(4.5)* 77.9(5.2) 76.2(6.2) 0.921 76.5(5.3)

체중 (㎏) 58.2(9.1) 56.8(7.8) 60.4(8.6) 0.408 58.5(8.3)

키 (㎝) 148.4(8.6) 148.7(8.1) 151.7(8.3) 0.374 148.9(8.3)

K-MMSEa 25.0(1.2) 25.7(1.2) 25.8(1.5) 0.117 25.4(1.3)

BBS b 37.5(1.1) 38.1(1.4) 38.3(1.3) 0.114 38.1(1.4)

a K-MMSE: : : : 한국판 간이 정신기능 검사 점수.

b BBS: 버그균형척도 점수.

*평균(표준편차).

†일요인 분산분석의 유의확률.

Page 21: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7 -

2.2 2.2 2.2 2.2 실험실험실험실험 기기기기기기기기

2.2.1 2.2.1 2.2.1 2.2.1 동작분석동작분석동작분석동작분석 자료자료자료자료 수집수집수집수집 및및및및 분석분석분석분석 시스템시스템시스템시스템

발목관절의 굽힘과 폄에 관한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간 삼차원

동작분석 시스템인 CMS10(Zebris Mdizintechnik, GmbH, Isny, Germany)를 사

용하였다. 표본수집률(sampling rate) 50 ㎐로 각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윈도용

Windata 2.20 프로그램(Zebris Mdizintechnik, GmbH, Isny, Germany)을 이용

하여 각 표식자의 정보를 삼차원상 좌표로 전환한 다음 분석하였다.

2.2.2 2.2.2 2.2.2 2.2.2 정적정적정적정적 균형능력균형능력균형능력균형능력 측정측정측정측정계계계계

정적 균형능력의 측정은 Good Balance(Metitur Ltd., Finland)를 사용하였다.

삼각형의 플랫폼(force platform) 위에서 COP의 이동 길이와 속도 정보를 ㎜,

㎜/s 단위로 측정하였다. 플랫폼에 내장된 트랜지스터 변량 게이지의 아날로그 신

호는 24비트 2채널 AD변환기를 거쳐 50 ㎐ 디지털 신호로 전환되어, 10 m 이내

에서 자료전송이 무선으로 되는 외장형 USB-Bluetooth를 통해 컴퓨터에 저장하

였다. 자료는 소프트웨어 Good Balance 3.06(Metitur Inc., Finland)으로 분석하

였으며 표본수집률은 50 ㎐이었다.

2.2.3 2.2.3 2.2.3 2.2.3 근전도근전도근전도근전도 신호신호신호신호 수집수집수집수집 및및및및 분석분석분석분석 시스템시스템시스템시스템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근과 발바닥쪽 굽힘근의 수축개시 시간 측정을 위해

각각 3개의 EL500(BIOPAC System Inc., CA, USA) 표면근전도 전극을 사용하

였다. MP150시스템으로 들어온 근전도의 아날로그 신호와 스위치의 디지털 신호

Page 22: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8 -

를 Acqknowledge 3.7.3 소프트웨어로 저장한 후 측정된 자료를 MatLab 6.5 프

로그램(Math Works Inc., MA, USA)을 사용하여 근 수축 개시시간을 분석하였다.

근전도 신호는 60 ㎐의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하였으며 표본수집률은 1000

㎐이었다. 스위치 신호의 표본수집률은 50 ㎐이었다.

2.2.4 2.2.4 2.2.4 2.2.4 근력근력근력근력 측정계측정계측정계측정계

발목관절 발등쪽 굽힘 근육과 발바닥쪽 굽힘 근육의 근력 측정은 Commander

Power Track II™(JTECH Medical Co., Ltd., USA)로 측정범위는 약 0.5~250

㎏까지 측정이 가능하고, 40회까지 측정된 자료의 저장이 가능한 디지털 근력계

를 사용하였다. 측정 방법은 바로 누운 자세에서 대상자의 슬관절을 펴고 발목을

중립위 상태에서 4~5초 동안 최대 등척성 수축을 하도록 지시하여 측정하였다

(Bohannon 1999). 측정자료는 2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대상자의 근력으로

정하였다(Gras et al. 2004).

2.2.5 2.2.5 2.2.5 2.2.5 관절관절관절관절 측각계측각계측각계측각계

발목관절 수동가동범위의 측정은 360°측각계(Six-Piece Goniometer set,

C8060, Sammons® Preston, USA)를 사용하였다. 측정방법은 바로 누운 자세에

서 대상자의 발목 밑에 수건을 말아 지지하고 목재 송판(10×25×1 ㎤)을 발바

닥에 대고 발바닥의 회내를 방지 한 다음 가쪽 복사뼈와 경골 골두 선상에 고정

자를 두어 측정하였다(Petty et al. 2000). 측정자료는 2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

을 대상자의 가동범위로 정하였다.

Page 23: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9 -

2.3 2.3 2.3 2.3 실험실험실험실험 장장장장치치치치

실험 장치는 정적 균형측정계, 삼차원동작분석계, 근전도 측정계, 그리고 디지

털 스위치, 안전 멜빵, 무게 공, 위치 표식자를 현수하는 틀(frame)로 구성 된다

(그림 1).

그림 1. 실험 장치의 모식도.

Page 24: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10 -

2.42.42.42.4 실험실험실험실험 과정과정과정과정

본 연구 대상자들은 한국판 간이 정신기능 검사, 버그균형척도 검사를 통하여

대상자 선정 기준을 통과한 60명에 대하여 치료 전 평가를 실시 하였다. 근력검

사, 기능적 팔 뻗기 검사, 관절가동범위 검사, 예기치 않은 동요를 제공하였을 때

내측 비복근의 근 수축 개시시간, 내측 비복근과 전경골근의 근 수축개시 시간차,

발목관절 각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똑바로 선 자세에서 눈을 뜨고(eyes

open), 눈을 감고(eyes closed), 반-일자로 서기(semi-tandem standing) 상태

에서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의 전ᆞ후 방향 동요, 좌ᆞ우 방향 동요의 정

적 균형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를 무작위로 발목관절 전략 운동군, 발목

관절 근력강화 운동군, 대조군에 배정하였다.

발목관절 전략 운동군에는 맨바닥에 서서 하는 운동, 겔 방석에 서서 하는 운

동, 불안정 판 위에 서서 하는 운동, 쿠션 볼 위에 서서 하는 운동을 실시하였다.

근력강화 운동군에는 발목관절 발등쪽 굽힘근과 발바닥쪽 굽힘근의 근력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어떠한 치료도 제공하지 않았다.

8주 동안의 치료 과정을 완료한 59명에게 치료 전 평가와 동일하게 치료 후

평가를 하였으며, 5주 후에는 추적평가를 실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본 실험이 끝나는 날까지 다른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를 허락

하지 않았고 일상적인 활동만을 허용하였다. 또한 알코올 섭취와 약물 복용을 제

한하였다.

Page 25: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11 -

2.2.2.2.5555 측정측정측정측정 방법방법방법방법

2.2.2.2.5555.1 .1 .1 .1 동요동요동요동요 시시시시 발목발목발목발목관절관절관절관절 각도각도각도각도 변화변화변화변화

동작분석기의 삼중 마크(Triple marker MA70)를 대상자의 왼쪽 발목 가쪽

복사뼈 위치에 부착하였다. 측정 감지기의 주 감지부위의 각도는 지면과 직각을

이루게 했다. 각 대상자는 양 발을 15 ㎝ 간격으로 벌리고 똑바로 플랫폼 위에

선 채 시선은 정면을 향하도록 하였다. 이때 체간과 고관절은 움직이지 않도록 교

육하였다(Robinovitch et al. 2002). 또한 고관절 전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양

팔을 신전한 채 손바닥을 펴서 둔부에 붙이고 서 있도록 하였다.

예기하지 않은 동요를 제공 할 때 발목관절 발등쪽 굽힘 각도를 2분 간격으

로 3회 측정하였으며, 근전도 신호와 동기화하여 근 수축개시시간 평가 시 측정

된 각도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그림 2).

그림 2. 동요 시 발목관절 발등쪽 굽힘 각도 측정.

Page 26: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12 -

2.52.52.52.5.2 .2 .2 .2 동요동요동요동요 시시시시 근근근근 수축개시수축개시수축개시수축개시 시간시간시간시간차차차차

표면근전도 신호는 전경골근과 내측 비복근에서 수집하였다. 피부 저항을 감

소시키기 위해 부착부위를 가는 사포로 3~4회 문질러 피부 각질층을 제거하고,

소독용 알코올로 피부 기름기를 제거한 후에 소량의 전해질 겔(electrolyte gel)

이 도포된 두 개의 활성전극(active electrode)을 수직방향으로 피부에 부착하였

다(Lamontage et al 2002). 접지전극(ground electrode)은 활성전극과 삼각형이

되도록 부착하였다.

전경골근의 전극은 슬개골 하단으로부터 가쪽 복사뼈까지 길이의 근위 ⅓ 지

점에서 1 ㎝ 멀리, 내측 비복근의 전극은 경골 골두에서 발뒤꿈치까지 길이의 근

위 ⅓ 지점에서 근육의 위치를 확인 한 후 근복에 표면전극을 부착하였다

(Lamontagne et al. 2002; Zipp 1982). 검사 중 대상자의 안전을 위해서 흉부를

감은 멜빵(harness)을 현수장치 틀에 고정하였다. 실험적 동요를 유발하기 위해

서 가해지는 충격 시점에 대한 디지털 신호를 얻기 위해 패널형 스위치(29×

21.5 ㎠)를 피험자의 견갑골 하단 높이에 위치하도록 끈을 조정하여 고정대에 매

달았다. 동요를 유발하는 충격은 1.8 ㎏ 공(Medi Ball, C5089, Sammns®

Preston, USA)을 사용하였다. 공은 고정대에 설치된 스위치를 기준으로 20 ㎝거

리, 위치 표식자는 60 ㎝거리에 두었으며, 공의 위치는 고정대로부터 50 ㎝거리,

위치 표식자는 30 ㎝거리에 위치하도록 끈의 길이를 조절하였다. 충격량은 공을

위치 표식자 높이까지 후진시켜 1~10초 사이에 무작위로 자유낙하 하는 진자운

동력으로 일정하게 제공되었다(그림 3). 대상자에게 2~3분 간격으로 3회를 측정

한 후, 동요 신호 전 안정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기준(baseline) 근 수축으로 사용

하였다.

Page 27: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13 -

가. 동요 유발을 위한 준비자세.

나. 동요가 가해지는 순간.

그림 3. 예기치 않은 동요(unexpected perturbation) 유발 장치.

근 수축개시 시간차 분석에는 동요 신호 전ᆞ후 1초 동안의 근전도 신호를

텍스트 파일로 전환하여 저장 후 MatLab 6.5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근 수축개

시 시간의 역치는 동요 전 50 ㎳의 평균값 더하기 3배의 표준편차의 값으로 정

하였다(그림 4). 동요 후 역치 이상의 신호가 2 ㎳ 이상 지속되는 첫 번째 신호를

근 수축개시 시간으로 정하였으며, 근 수축개시 시간차는 내측 비복근의 근 수축개

시 시간과 전경골근의 수축개시 시간의 차이로 정하였다.

Page 28: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14 -

스위치

전경골근

내측비복근

가. 근전도 신호.

나. Matlab을 이용한 신호처리.

그림 4. 근 수축개시 시간 분석과정.

2.2.2.2.5555.3 .3 .3 .3 정적정적정적정적 균형능력균형능력균형능력균형능력 측정측정측정측정

균형능력은 길이 800 ㎜, 높이는 100 ㎜의 정삼각형의 플랫폼 위에 15 ㎝

간격으로 부착된 발 모양에 똑바로 서서 측정하였다(Pyöriä et al 2004). 측정하

는 동안에는 말을 하거나 고개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시를 하였다. 측정은 다음의

세 가지 자세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조건 1)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는다.

조건 2)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는다.

조건 3)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는다.

자료의 수집은 한 번의 연습 후, 두 번을 측정하여 압력 중심의 이동 궤적의

90%를 차지하는 정사각형 길이가 작은 것을 균형능력 측정 자료로 정하였다(그

림 5). 측정된 변수는 압력 중심의 좌ᆞ우 방향 움직임(mediolateral movement)

과 전ᆞ후 방향 움직임(anteroposterior movement)에 대한 평균 이동속도를 측정

하였다.

Page 29: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15 -

2.52.52.52.5.4 .4 .4 .4 기능적기능적기능적기능적 팔팔팔팔 뻗기뻗기뻗기뻗기 검사검사검사검사

기능적 팔 뻗기 검사는 어깨 높이 벽에 줄자를 붙여놓는다. 대상자를 벽 옆에

5 ㎝ 거리를 두고 벽면과 평행하게 선 다음, 양쪽 팔꿈치를 편 채 팔을 직각으로

들어서 앞으로 최대한 내밀게 하였다. 슬관절과 고관절은 신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검사 중 발을 움직이면 다시 측정하였다. 거리는 출발 전 중수지관절의

에서부터 중심을 유지하고 최대한 전방으로 내밀고 있는 중수지관절까지의 길이

를 기록하였다. 2번의 연습 후 3번 측정하여 평균값을 대표값으로 정하였다

(Duncan et al. 1990).

그림 5. 정적 균형능력 측정: 압력 중심의 이동 궤적.

Page 30: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16 -

2.2.2.2.6666 치료치료치료치료 방법방법방법방법

2.2.2.2.6666.1 .1 .1 .1 발목관절발목관절발목관절발목관절 근력강화근력강화근력강화근력강화 운동운동운동운동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근과 발바닥쪽 굽힘근의 근력강화를 위한 원심성 수축

및 구심성 수축 저항 운동을 실시하였다. 저항은 길이 200 ㎝, 폭 14 ㎝인

붉은색 탄성 고무 띠(Thera-Bands® C9271-79-01, Sammons

® Preston,

USA)를 사용하였다.

저항 운동은 DeLorme 방법을 적용하여 8주 동안 실시하였다(DeLorme

1945; DeLorme, and Watkins 1948). 고무 띠를 4겹(50 ㎝)으로 접어 10회 반

복할 수 있는 최대 탄성 저항을 10 RM으로 설정하였으며 2주 간격으로 재설정

하였다. 1세트는 10 RM의 ½ 부하에 해당하는 2겹(100 ㎝)으로 접어 10회 반복

하였으며, 2세트는 10 RM의 ¾ 부하에 해당하는 3겹으로 접어 10회를 반복하였

으며, 3세트는 10 RM의 부하인 4겹으로 접어서 10회를 연속으로 시행하였다. 각

세트 사이에는 2분의 휴식 시간을 두었으며, 바닥에 앉은 자세에서 시행했다.

운동 방법은 주동근의 구심성 수축 후 내리는 기간(lowering phase)에 주동근

의 원심성 수축을 하였다. 운동 순서는 양 발에 교대로 발등쪽 굽힘근과 발바닥쪽

굽힘근 순으로 하였다. 운동 시작과 끝에는 각각 5분 동안의 유연체조

(calisthenics exercise)를 하였다. 운동시간은 총 50분이 소요되었다. 근력강화

운동은 일주일에 3회씩, 8주 동안 연구자의 지시감독 하에 실시하였다. 운동은 혼

자 하는 운동과 두 사람이 짝을 이루어 하는 운동으로 구성하여 시행하였다(그림 6).

Page 31: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17 -

가. 혼자 하는 운동. 나. 짝을 이뤄 하는 운동.

그림 6. 발목관절 근육의 근력강화 운동.

2.2.2.2.6666.2 .2 .2 .2 발목관절발목관절발목관절발목관절 전략촉진전략촉진전략촉진전략촉진 운동운동운동운동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발목관절 전략촉진을 위한 운동은 딱딱한 맨바닥에 서서

하는 운동, 겔 방석 위에 서서 하는 운동, 불안정 판 위에 서서 하는 운동, 쿠션

볼 위에 서서 하는 운동 등 네 가지로 구성 되었으며, 모든 운동 시에는 고관절과

슬관절의 움직임을 의식적으로 제한하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발목관절 전략 운동

을 시행하였다. 운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운동 1) 딱딱한 맨바닥에 서서 하는 운동

(1) 천천히 양 발의 발뒤꿈치 들어 올리고 내리는 발목전략 운동

(2) 양 발의 앞쪽을 들어 올리고 내리는 발목전략 운동

(3) 교대로 한 발 서기 발목전략 운동

운동 2) 겔 방석 위에 서서 하는 운동

(1) 전ᆞ후, 좌ᆞ우, 대각선 방향으로 몸을 기울이는 발목전략 운동

(2) 교대로 한 발 서기 발목전략 운동

Page 32: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18 -

운동 3) 불안정 판 위에 서서 하는 운동

(1) 균형을 유지하고 정적으로 서 있는 발목전략 운동

(2) 전ᆞ후, 좌ᆞ우, 그리고 대각선 방향으로 몸을 기울이는 발목전략 운동

운동 4) 쿠션 볼 위에서 하는 운동

(1) 균형을 유지하고 정적으로 서 있는 발목전략 운동

(2) 전ᆞ후, 좌ᆞ우, 대각선 방향으로 몸을 흔드는 발목전략 운동

운동 1)과 2)는 5분씩 2세트를 실시하였고, 1세트는 눈을 뜨고, 2세트는 눈을

감고 하였다. 운동 3)과 4)는 4분씩 2세트를 실시하였고, 눈을 뜨고 안전을 위하

여 한 손으로 계단 난간을 가볍게 잡고 실시하였다. 각 세트 운동 후에는 의자에

앉아 2분 동안 휴식을 하였다. 운동시간은 총 50분이 소요되었다.

운동에 사용된 겔 방석(Pacific Wave Co., Ltd., Japan)은 정사각형(40×40

×5 ㎤)의 크기를 사용하였다. 연구자가 고안한 불안정 판은 직사각형의 케이스

안에 지름 4 ㎝의 속이 스폰지로 차 있는 공 9개를 넣고 발판(40×30×5 ㎤)을

얹었다(그림 7).

쿠션 볼(Disc ‘O’ sit Air Cushion, C 9253-97, Sammons® Preston, USA)은

원형으로 높이가 7 ㎝, 지름이 31 ㎝ 크기를 사용하였다(그림 8).

Page 33: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19 -

가. 불안정 판. 나. 불안정 판에서 하는 전략운동.

그림 7. 불안정 판 위에서 하는 발목관절 전략촉진 운동.

가. 쿠션 볼에서 하는 전방전략. 나. 쿠션 볼에서 하는 후방전략.

그림 8. 쿠션 볼 위에서 하는 발목관절 전략촉진 운동.

Page 34: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20 -

2.2.2.2.7777 분석분석분석분석 방법방법방법방법

연구 대상자의 집단 간 일반적 특성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요인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하였다. 정적 균형능력 측정계의 검사-재검사 신뢰

도는 세 가지 측정자세에서 급간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를 구하였으며, ICC(3.1)을 사용하였다. 각 반복시점이 되는

치료 전 평가, 치료 후 평가, 추적 평가는 주요 변수인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과

발바닥쪽 굽힘 각도, 기능적 팔 뻗기 검사,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과 발바닥쪽

굽힘 근력, 동요 시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 전경골근과 내측 비복근의 수

축개시 시간차,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각도변화, 정적 균형능력(COP의 좌ᆞ우

동요, 전ᆞ후 동요)에 대한 평가시점과 집단 간 일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one-

way repeated ANOVA)을 하였다. 사후 유의성 검정은 최소 유의 차(LSD: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검정을 사용하였다. 이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해

상용 통계 프로그램인 윈도용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1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α=0.05로 하였다.

Page 35: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21 -

제제제제3333장장장장 결과결과결과결과

3.1 3.1 3.1 3.1 정적정적정적정적 균형균형균형균형능력능력능력능력 측정계의측정계의측정계의측정계의 검사검사검사검사----재검사재검사재검사재검사 신뢰도신뢰도신뢰도신뢰도

정적 균형능력을 측정하는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눈을 감고

30 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눈을 뜨고 20 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 실시 한 정적 균형능력 측정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급간내

상관계수 0.90 이상으로 세 가지 측정자세 모두 신뢰구간 95%에서 신뢰도가

높았다(표 2).

표 2. 정적 균형능력 측정계의 자세에 따른 검사-재검사 신뢰도

자세 ICCs(3,1)d 95% 신뢰구간 p

EOa 0.97 0.91~0.99 0.000

ECb 0.95 0.86~0.98 0.001

STc 0.90 0.70~0.97 0.004

a EO: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b EC: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c ST: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d ICCs(3,1): 이요인분산분석 혼합모형 일치도(two-way mixed model consistency).

Page 36: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22 -

3.2 3.2 3.2 3.2 치료치료치료치료 전전전전 근력근력근력근력, , , , 기능적기능적기능적기능적 팔팔팔팔 뻗기뻗기뻗기뻗기, , , , 수동가동범위수동가동범위수동가동범위수동가동범위

치료 전 평가시점에서 근력은 왼쪽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근력보다 발바닥

쪽 굽힘 근력이 평균 1.3 ㎏ 컸으며, 기능적 팔 뻗기는 평균 14.3 ㎝이었고, 수동

가동범위는 왼쪽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각도가 평균 13.0°이었고 발바닥쪽 굽

힘 각도는 평균 33.7°이었다. 세 집단 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3).

표 3. 치료 전 집단 간의 근력, 기능적 팔 뻗기, 수동가동범위 비교 (N=59)

특성 발목전략

운동군(n=20) 근력강화

운동군(n=19) 대조군 (n=20)

p† 전체

LDF(㎏) a 5.0(0.8)

* 5.5(0.9) 5.5(1.1) 0.170 5.3(0.9)

LPF(㎏) b 7.0(1.1) 6.8(0.7) 7.2(0.9) 0.552 7.0(0.9)

FRT(㎝) c 14.4(2.3) 14.5(2.6) 14.0(2.5) 0.813 14.3(2.4)

LPDF(˚) d 12.9(1.1) 13.1(0.6) 13.0(0.9) 0.831 13.0(0.9)

LPPF(˚) e 33.8(0.9) 33.5(1.0) 34.0(1.4) 0.429 33.7(1.2)

a LDF: 왼발 등쪽 굽힘근 근력.

b LPF: 왼발 발바닥쪽 굽힘근 근력.

c FRT: 기능적 팔 뻗기.

dLPDF: 왼쪽 발등쪽 굽힘 수동관절가동범위.

e LPPF: 왼쪽 발바닥쪽 수동관절가동범위.

* 평균(표준편차).

†일요인 분산분석의 유의확률.

Page 37: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23 -

3.3 3.3 3.3 3.3 평가시점에평가시점에평가시점에평가시점에 따른따른따른따른 근력근력근력근력, , , , 기능적기능적기능적기능적 팔팔팔팔 뻗기뻗기뻗기뻗기, , , , 수동가동범위수동가동범위수동가동범위수동가동범위

왼쪽 발목관절의 근력은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평균 0.8 ㎏ 증가되었으며, 기

능적 팔 뻗기는 평균 2.4 ㎝ 증가하였다. 왼쪽 발목관절의 수동가동범위는 발등

쪽 굽힘 각도가 평균 0.8° 증가하였으며, 발바닥쪽 굽힘 각도는 평균 1.5° 증가하

였다(표 4).

표 4. 평가시점에 따른 근력, 기능적 팔 뻗기, 수동가동범위 비교 (N=59)

특성 치료 전 치료 후 추적

LDF(㎏) a 5.3(0.9)

* 6.1(1.1) 5.9(1.2)

LPF(㎏) b 7.0(0.9) 7.8(1.2) 7.7(1.1)

FRT(㎝) c 14.3(2.4) 16.7(3.1) 16.5(2.9)

LPDF(˚) d 13.0(0.9) 13.8(0.9) 13.6(0.9)

LPPF(˚) e 33.7(1.2) 35.2(1.5) 34.9(1.4)

a LDF: 왼발 등쪽 굽힘근 근력.

b LPF: 왼발 발바닥쪽 굽힘근 근력.

c FRT: 기능적 팔 뻗기.

dLPDF: 왼쪽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

e LPPF: 왼쪽 발바닥쪽 수동가동범위.

* 평균(표준편차).

Page 38: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24 -

3.43.43.43.4기능적기능적기능적기능적 팔팔팔팔 뻗기뻗기뻗기뻗기

기능적 팔 뻗기는 평가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집단 간

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평가시점과 집단 간에 상호작용이 있었다

(p<0.001)(표 5).

표 5. 평가시점과 집단 간 기능적 팔 뻗기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단위: ㎝)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a 201.3 2 100.6 99.381 0.000

집단 간b 242.1 2 121.0 7.153 0.002

평가시점×집단 간 84.4 4 21.1 20.833 0.000

a치료 전, 8주 치료 후, 5주 후 추적.

b발목전략 운동군, 근력강화 운동군, 대조군.

기능적 팔 뻗기에 대한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는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

화 운동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6).

표 6. 집단 간 기능적 팔 뻗기의 최소 유의 차 검정 (단위: ㎝)

대응 집단 평균차 표준오차 p

근력강화 운동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0.43 0.76 0.566

대조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2.22 0.75 0.004

대조군 대 근력강화 운동군 -2.66 0.76 0.001

Page 39: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25 -

0

5

10

15

20

치치 전

8주 치치 후

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

기기 기기기기 기기기기 기기

팔팔 팔팔 뻗뻗 뻗뻗

기기 기기(c

m)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기능적 팔 뻗기를 비교해보면,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에서 치료 전과 후, 치료 전과 추적 평가시점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그림 9).

***p<0.001.

그림 9.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기능적 팔 뻗기 비교.

Page 40: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26 -

3.5 3.5 3.5 3.5 발목관절의발목관절의발목관절의발목관절의 발등쪽발등쪽발등쪽발등쪽 굽힘굽힘굽힘굽힘 근력근력근력근력

왼쪽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근력은 평가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p<0.001), 집단 간에도 차이가 있었으며(p<0.05), 평가시점과 집단 간에 상호

작용이 있었다(p<0.001)(표 7).

표 7.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근력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단위: ㎏)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19.1 2 9.6 66.150 0.000

집단 간 23.8 2 11.8 4.469 0.016

평가시점×집단 간 10.6 4 2.6 18.312 0.000

왼쪽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근력에 대한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는 근력강화

운동군이 발목전략 운동군과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근력이 증가하였으나

(p<0.05)(p<0.01), 발목전략 운동군과 대조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8).

표 8. 집단 간 발등쪽 굽힘 근력의 최소 유의 차 검정 (단위: ㎏)

대응 집단 평균차 표준오차 P

근력강화 운동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0.71 0.30 0.022

대조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0.13 0.29 0.656

대조군 대 근력강화 운동군 -0.84 0.30 0.007

Page 41: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27 -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왼쪽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근력을 비교해보면,

발목전략 운동군은 치료 전과 후, 치료 전과 추적 평가시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p<0.01), 근력강화 운동군은 치료 전과 후, 치료 전과 추적

평가시점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그림 10).

**p<0.01, *** p<0.001.

그림 10.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근력 비교.

0

2

4

6

8

치치 전

8주 치치 후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

******

발발 발발발발 발발발발 발발

굽굽 굽굽굽굽 굽굽

근근 근근근근 근근

(kg)

Page 42: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28 -

3.6 3.6 3.6 3.6 발목관절의발목관절의발목관절의발목관절의 발바닥쪽발바닥쪽발바닥쪽발바닥쪽 굽힘굽힘굽힘굽힘 근력근력근력근력

왼쪽 발목관절의 발바닥쪽 굽힘 근력은 평가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

으며(p<0.001),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평가시점과 집단 간에 상호작용이

있었다(p<0.001)(표 9).

표 9.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바닥쪽 굽힘 근력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단위: ㎏)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22.5 2 11.3 68.458 0.000

집단 간 12.3 2 6.2 2.286 0.111

평가시점×집단 간 15.1 4 3.7 22.864 0.000

왼쪽 발목관절의 발바닥쪽 굽힘 근력에 대한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는 근력강

화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근력이 증가하였으나(p<0.05), 발목전략 운동

군은 근력강화 운동군이나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10).

표 10. 집단 간 발바닥쪽 굽힘 근력의 최소 유의 차 검정 (단위: ㎏)

대응 집단 평균차 표준오차 p

근력강화 운동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0.32 0.30 0.291

대조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0.33 0.29 0.283

대조군 대 근력강화 운동군 -0.65 0.30 0.037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왼쪽 발목관절의 발바닥쪽 굽힘 근력을 비교해보면,

Page 43: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29 -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에서 치료전과 후, 치료 전과 추적 평가시점에

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p<0.001)(그림 11).

*p<0.05, *** p<0.001.

그림 11.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발목관절의 발바닥쪽 굽힘 근력 비교.

0

2

4

6

8

10

치치 전

8주 치치 후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

******

발발 발발발발 발발

발발 발발발발 발발

굽굽 굽굽굽굽 굽굽

근근 근근근근 근근

(kg)

Page 44: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30 -

3.7 3.7 3.7 3.7 발목관절의발목관절의발목관절의발목관절의 발등쪽발등쪽발등쪽발등쪽 굽힘굽힘굽힘굽힘 수동가동범위수동가동범위수동가동범위수동가동범위

왼쪽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는 평가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평가시점과 집

단 간에 상호작용이 있었다(p<0.001)(표 11).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단위: °)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16.3 2 8.1 31.025 0.000

집단 간 15.4 2 7.7 4.845 0.011

평가시점×집단 간 11.6 4 2.9 11.054 0.000

왼쪽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에 대한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는

발목전략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수동가동범위가 증가하였으나(p<0.01),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 근력강화 운동군과 대조군 간에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표 12).

표 12.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최소 유의 차 검정 (단위: °)

대응 집단 평균차 표준오차 p

근력강화 운동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0.33 0.23 0.169

대조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0.72 0.23 0.003

대조군 대 근력강화 운동군 -0.39 0.23 0.099

Page 45: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31 -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왼쪽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를 비교해

보면, 발목전략 운동군은 치료 전과 후, 치료 전과 추적 평가시점 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근력강화 운동군은 치료 전과 후 평가시점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그림 12).

**

p<0.01, *** p<0.001.

그림 12.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 비교.

0

5

10

15

20

치치 전8주 치치 후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

**

발발 발발발발 발발발발 발발

굽굽 굽굽굽굽 굽굽

각각 각각각각 각각

(o)

Page 46: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32 -

3.8 3.8 3.8 3.8 발목관절의발목관절의발목관절의발목관절의 발바닥쪽발바닥쪽발바닥쪽발바닥쪽 굽힘굽힘굽힘굽힘 수동가동범위수동가동범위수동가동범위수동가동범위

왼쪽 발목관절의 발바닥쪽 굽힘 수동가동범위는 평가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

가 있었고(p<0.001),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평가시점

과 집단 간에 상호작용이 있었다(p<0.001)(표 13).

표 13.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바닥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단위: °)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75.4 2 37.7 94.320 0.000

집단 간 79.1 2 39.5 14.291 0.000

평가시점×집단 간 48.1 4 12.0 30.053 0.000

왼쪽 발목관절의 발바닥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에 대한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

는 발목전략 운동군이 근력강화 운동군과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수동가동범위가

증가하였다(p<0.01)(p<0.001)(표 14).

표 14. 집단 간 발바닥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최소 유의 차 검정 (단위: °)

대응 집단 평균차 표준오차 p

근력강화 운동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1.04 0.31 0.001

대조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1.60 0.30 0.000

대조군 대 근력강화 운동군 -0.56 0.31 0.075

Page 47: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33 -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왼쪽 발목관절의 발바닥쪽 굽힘 수동가동범위를 비

교해보면, 발목전략 운동군은 치료 전과 후, 치료 전과 추적 평가시점 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근력강화 운동군은 치료 전과 후, 치료 후와 추

적 평가시점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p<0.05)(그림 13).

*p<0.05, *** p<0.001.

그림 13.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발바닥쪽 굽힘 수동가동범위 비교.

0

5

10

15

20

25

30

35

40

치치 전8주 치치 후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

*** *

발발 발발발발 발발

발발 발발발발 발발

굽굽 굽굽굽굽 굽굽

각각 각각각각 각각

(o )

Page 48: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34 -

3.9 3.9 3.9 3.9 동요동요동요동요 시시시시 평가시점에평가시점에평가시점에평가시점에 따른따른따른따른 발등쪽발등쪽발등쪽발등쪽 굽힘굽힘굽힘굽힘 각도각도각도각도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왼쪽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각도는 발목전략 운동

군이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평균 2.2° 감소 하였고, 추적 평가시점에도 치료 전

보다 평균 1.9° 감소하였다. 근력강화 운동군이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평균 0.2°

감소하였다(표 15).

표 15.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발등쪽 굽힘 각도 비교 (N=59) (단위: °)

특성 치료 전 치료 후 추적

발목전략 운동군(n=20) 3.4(1.2)*

1.2(0.4) 1.5(0.4)

근력강화 운동군(n=19) 2.9(1.2) 2.7(1.3) 2.7(1.0)

대조군(n=20) 3.6(1.7) 3.6(1.6) 3.7(1.6)

*평균(표준편차)

Page 49: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35 -

3.10 3.10 3.10 3.10 동요동요동요동요 시시시시 평가시점과평가시점과평가시점과평가시점과 집단집단집단집단 간간간간 발등쪽발등쪽발등쪽발등쪽 굽힘굽힘굽힘굽힘 각도각도각도각도

동요 시 왼쪽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각도는 평가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0.001). 집단 간에도 유의한 각도 차이가 있었고(p<0.001), 평

가시점에 따른 유의한 각도 차이가 있었다(p<0.001)(표 16).

표 16. 동요 시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각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단위: °)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24.1 1.6a

12.0 49.793 0.000

집단 간 78.0 2 39.0 9.442 0.000

평가시점×집단 간 35.4 3.2a

8.8 36.601 0.000

a Greenhouse-Geisser(ε=0.001).

동요 시 왼쪽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각도에 대한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는

발목전략 운동군이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p<0.05)(표 17).

표 17. 동요 시 집단 간 발등쪽 굽힘 각도의 최소 유의 차 검정 (단위: °)

대응 집단 평균차 표준오차 p

근력강화 운동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0.76 0.37 0.048

대조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1.61 0.37 0.000

대조군 대 근력강화 운동군 0.85 0.37 0.028

Page 50: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36 -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왼쪽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각도를 비교

해보면, 발목전략 운동군에서만 치료 전과 후, 치료 전과 추적 평가시점에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p<0.001)(그림 14).

***

p<0.001.

그림 14.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발목관절 발등쪽 굽힘 각도 비교.

0

1

2

3

4

5

치치 전8주 치치 후

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

동동 동동동동 동동

시시 시시 발발 발발

발발 발발발발 발발

굽굽 굽굽굽굽 굽굽

각각 각각각각 각각

(o)

Page 51: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37 -

3.11 3.11 3.11 3.11 동요동요동요동요 시시시시 평가시점에평가시점에평가시점에평가시점에 따른따른따른따른 내측내측내측내측 비복근의비복근의비복근의비복근의 수축개시수축개시수축개시수축개시 시간시간시간시간

평가시점 및 집단 간 비교를 해보면, 발목전략 운동군은 치료 전보다 치료 후

에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은 평균 13.6 ㎳ 감소하였고 추적 평가시점에서

도 치료 전 보다 평균 11.7 ㎳ 감소하였다. 근력강화 운동군은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평균 11.9 ㎳ 감소하였다(표 18).

표 18.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 비교

(N=59)(단위: ㎳)

특성 치료 전 치료 후 추적

발목전략 운동군(n=20) 107.0(17.1)*

93.4(4.2) 95.3(4.8)

근력강화 운동군(n=19) 114.1(18.3) 102.2(14.5) 105.1(15.3)

대조군(n=20) 108.1(11.3) 109.3(11.1) 111.5(10.4)

*평균(표준편차)

Page 52: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38 -

3.12 3.12 3.12 3.12 동요동요동요동요 시시시시 평가시점과평가시점과평가시점과평가시점과 집단집단집단집단 간간간간 내측내측내측내측 비복근의비복근의비복근의비복근의 수축개시수축개시수축개시수축개시 시간시간시간시간

동요 시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은 평가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

고(p<0.001),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평가시점과 집단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0.001)(표 19).

표 19. 평가시점과 집단 간 내측 비복근 수축개시 시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단위: ms)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2030.4 2 1015.2 32.236 0.000

집단 간 4034.5 2 2017.3 4.774 0.012

평가시점×집단 간 1737.4 4 434.3 13.792 0.000

집단 간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에 대한 사후검정 결과는 발목전략 운

동군이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발목전략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표 20).

표 20. 집단 간 내측 비복근 수축개시 시간의 최소 유의 차 검정 (단위: ms)

대응 집단 평균차 표준오차 p

근력강화 운동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8.6 3.8 0.027

대조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11.1 3.7 0.005

대조군 대 근력강화 운동군 2.4 3.8 0.526

Page 53: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39 -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왼쪽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을 비교

해보면, 발목전략 운동군은 치료 전과 후, 치료 전과 추적 평가시점 간에 모두 유

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p<0.01), 근력강화 운동군은 치료 전과 후 평가시

점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그림 15).

*p<0.05, **p<0.01, ***p<0.001.

그림 15.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근 수축개시 시간 비교.

0

30

60

90

120

치치 전

8주 치치 후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

*

내내 내내내내 내내

비비 비비비비 비비비비 비비

수수 수수수수 수수

수수 수수수수 수수

수수 수수시시 시시

(ms)

Page 54: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40 -

3.13 3.13 3.13 3.13 동요동요동요동요 시시시시 평가시점에평가시점에평가시점에평가시점에 따른따른따른따른 근근근근 수축개시수축개시수축개시수축개시 시간차시간차시간차시간차

동요 시 전경골근과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차는 발목전략 운동군은 치

료 전보다 치료 후에 평균 8.2 ㎳ 감소하였고, 추적 평가시점에서도 치료 전보다

평균 7.2 ㎳ 감소하였다. 근력강화 운동군은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평균 6.9 ㎳

감소하였고, 평가시점에서도 평균 3.7 ㎳ 치료 전보다 감소하였다(표 21).

표 21. 동요 시 평가시점과 집단 간 근 수축개시 시간차 비교 (N=59)(단위:㎳)

특성 치료 전 치료 후 추적

발목전략 운동군(n=20) 20.6(9.4)*

12.4(3.9) 13.4(4.3)

근력강화 운동군(n=19) 22.2(9.7) 15.3(2.8) 18.5(7.5)

대조군(n=20) 20.3(7.8) 21.8(6.9) 22.7(5.7)

*평균(표준편차)

Page 55: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41 -

3.14 3.14 3.14 3.14 동요동요동요동요 시시시시 평가시점과평가시점과평가시점과평가시점과 집단집단집단집단 간간간간 근근근근 수축개시수축개시수축개시수축개시 시간차시간차시간차시간차

동요 시 전경골근과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차는 평가시점에 따라 유의

한 차이가 있었고(p<0.001),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평

가시점과 집단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0.001)(표 22).

표 22. 평가시점과 집단 간 근 수축개시 시간차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단위: ms)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377.7 2 188.9 20.344 0.000

집단 간 1299.1 2 649.5 4.743 0.013

평가시점×집단 간 645.2 4 161.3 17.373 0.000

집단 간 전경골근과 내측 비복근 수축개시 시간차에 대한 사후검정 결과는 발

목전략 운동군이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발목전략 운동

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표 23).

표 23. 집단 간 전경골근과 내측 비복근 수축개시 시간차의 최소 유의 차 검정(단위: ms)

대응 집단 평균차 표준오차 p

근력강화 운동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4.8 2.2 0.030

대조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6.3 2.1 0.005

대조군 대 근력강화 운동군 1.5 2.2 0.498

Page 56: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42 -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왼쪽 전경골근과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차를 비교해보면, 발목전략 운동군에서만 치료 전과 후, 치료 전과 추적 평가

시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그림 16).

***p<0.001.

그림 16. 동요 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근 수축개시 시간차 비교.

0

10

20

30

치치 전8주 치치 후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

근근 근근 수수 수수

수수 수수수수 수수

시시 시시 시시 시시

시시 시시시시 시시

(ms)

Page 57: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43 -

3.15 3.15 3.15 3.15 자세에자세에자세에자세에 따른따른따른따른 정적정적정적정적 균형능력균형능력균형능력균형능력

자세에 따른 균형능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와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좌ᆞ우 방향의 동요보다

전ᆞ후 방향의 동요가 더 증가하였고, 눈을 뜨고 20초 동안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는 좌ᆞ우 방향의 동요가 전ᆞ후 방향의 동요보다 더 증가하였다(표 24).

표 24. 자세에 따른 정적 균형능력 비교 (N=59)(단위: mm/s)

자세 특성 치료 전 평가 치료 후 평가 추적 평가

좌ᆞ우 동요d 5.2(1.6)

* 4.6(1.4) 4.7(1.5)

EOa

전ᆞ후 동요e 6.3(1.9) 5.6(1.8) 5.7(1.8)

좌ᆞ우 동요 6.9(2.7) 6.3(2.0) 6.4(1.8) EC

b

전ᆞ후 동요 10.6(2.8) 9.3(3.2) 9.7(3.3)

좌ᆞ우 동요 14.3(3.9) 12.9(3.9) 13.3(4.0) ST

c

전ᆞ후 동요 13.8(4.0) 12.4(4.7) 12.9(4.7)

a EO: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b EC: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c ST: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d좌ᆞ우 동요: 압력 중심의 좌ᆞ우 방향 평균 이동속도.

e전ᆞ후 동요: 압력 중심의 전ᆞ후 방향 평균 이동속도.

*평균(표준편차).

Page 58: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44 -

3.16 3.16 3.16 3.16 눈을눈을눈을눈을 뜨고뜨고뜨고뜨고 30 30 30 30초초초초 동안동안동안동안 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 서서서서 있기있기있기있기 자세자세자세자세의의의의 정적정적정적정적 균형능력균형능력균형능력균형능력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집단 간 균형능력을 살펴보

면,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에서 대조군보다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에 좌ᆞ우 방향과 전ᆞ후 방향의 압력 중심의 평균 이동속도가 감소하였다(표

25).

표 25. 눈을 뜨고 30 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의 집단 간 정적 균형능력

비교 (N=59)(단위: mm/s)

집단 특성 치료 전 치료 후 추적

좌ᆞ우 동요a 5.3(1.8)

* 4.1(1.4) 4.3(1.3) 발목전략 운동군

(n=20) 전ᆞ후 동요b 6.2(2.0) 4.3(1.1) 4.6(1.2)

좌ᆞ우 동요 4.8(1.9) 4.3(1.5) 4.3(1.6) 근력강화 운동군

(n=19) 전ᆞ후 동요 6.7(1.8) 6.2(1.6) 6.4(1.8)

좌ᆞ우 동요 5.5(1.1) 5.5(0.9) 5.7(0.8) 대조군

(n=20) 전ᆞ후 동요 6.1(2.0) 6.3(2.1) 5.7(0.8)

a좌ᆞ우 동요: 압력 중심의 좌ᆞ우 방향 평균 이동속도.

b전ᆞ후 동요: 압력 중심의 전ᆞ후 방향 평균 이동속도.

*평균(표준편차).

Page 59: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45 -

3.17 3.17 3.17 3.17 눈을눈을눈을눈을 뜨뜨뜨뜨고고고고 30 30 30 30 초초초초 동안동안동안동안 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 서서서서 있기있기있기있기 자세에서자세에서자세에서자세에서 좌좌좌좌ᆞ우우우우

방향방향방향방향의의의의 동요동요동요동요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압력 중심의 좌ᆞ우 방향 평

균 이동속도는 평가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집단 간에도 유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평가시점과 집단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p<0.001)(표 26).

표 26.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좌ᆞ우 방향 동요의 반복

측정 분산분석 (단위: mm/s)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12.4 2 6.2 211.442 0.000

집단 간 43.7 2 21.8 40.007 0.024

평가시점×집단 간 11.8 4 2.9 10.275 0.000

압력 중심의 좌ᆞ우 방향 평균 이동속도에 대한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는 발

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발목전략 운동군

과 근력강화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표 27).

Page 60: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46 -

표 27. 눈을 뜨고 30 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집단 간 좌ᆞ우 방향 동요의

최소 유의 차 검정 (단위: mm/s )

대응 집단 평균차 표준오차 p

근력강화 운동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0.06 0.43 0.895

대조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1.07 0.42 0.014

대조군 대 근력강화 운동군 1.02 0.43 0.022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에서 치료 전과 후, 치료 전과 추적 평가시점

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p<0.05)(그림 17).

*p<0.05, **p<0.01.

그림 17.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좌ᆞ우 방향의 동요 비교.

0

2

4

6

8

치치 전8주 치치 후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

**

압압 압압압압 압압

중중 중중중중 중중

중중 중중 좌좌 좌좌

좌좌 좌좌좌좌 좌좌

방방 방방방방 방방

동동 동동동동 동동

(mm

/s)

Page 61: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47 -

3.18 3.18 3.18 3.18 눈을눈을눈을눈을 뜨고뜨고뜨고뜨고 30 30 30 30 초초초초 동안동안동안동안 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 서서서서 있기있기있기있기 자세에서자세에서자세에서자세에서 전전전전ᆞ후후후후

방향방향방향방향의의의의 동요동요동요동요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압력 중심의 전ᆞ후 방향 평

균 이동속도는 평가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집단 간에도 유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평가시점과 집단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p<0.001)(표 28).

표 28.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전ᆞ후 방향 동요의 반복

측정 분산분석 (단위: mm/s)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16.6 2 8.3 30.013 0.000

집단 간 65.7 2 32.8 3.782 0.029

평가시점×집단 간 28.0 4 7.0 25.222 0.000

압력 중심의 전ᆞ후 방향 평균 이동속도에 대한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는 발

목전략 운동군이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발목전략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근력강화 운동군은 대조군

보다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29).

Page 62: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48 -

표 29. 눈을 뜨고 30 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집단 간 전ᆞ후 방향 동요의

최소 유의 차 검정 (단위: mm/s )

대응 집단 평균차 표준오차 p

근력강화 운동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1.36 0.54 0.015

대조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1.19 0.54 0.031

대조군 대 근력강화 운동군 0.17 0.54 0.746

발목전략 운동군에서만 치료 전과 후, 치료 전과 추적 평가시점에서 모두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001)(그림 18).

**p<0.01, ***p<0.001.

그림 18. 눈을 뜨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전ᆞ후 방향의 동요 비교.

0

2

4

6

8

치치 전8주 치치 후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압압 압압압압 압압

중중 중중중중 중중

중중 중중 전전 전전

전전 전전전전 전전

방방 방방방방 방방

동동 동동동동 동동

(mm

/s)

Page 63: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49 -

3.19 3.19 3.19 3.19 눈을눈을눈을눈을 감고감고감고감고 30 30 30 30초초초초 동안동안동안동안 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 서서서서 있기있기있기있기 자세자세자세자세의의의의 정적정적정적정적 균형능력균형능력균형능력균형능력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집단 간 균형능력을 살펴보

면,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에서 대조군보다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좌ᆞ우 방향과 전ᆞ후 방향 압력 중심의 평균 이동속도가 모두 감소하였다(표

30).

표 30.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의 정적 균형능력 비교

(N=59)(단위: mm/s)

집단 특성 치료 전 치료 후 추적

좌ᆞ우 동요a 6.1(2.9)

* 5.0(1.3) 5.3(1.3) 발목전략 운동군

(n=20) 전ᆞ후 동요b 10.3(1.9) 7.4(1.4) 7.8(1.4)

좌ᆞ우 동요 7.2(3.4) 6.2(1.5) 6.3(1.4) 근력강화 운동군

(n=19) 전ᆞ후 동요 10.8(2.6) 9.8(2.4) 10.2(2.3)

좌ᆞ우 동요 7.5(1.3) 7.6(1.9) 7.8(1.8) 대조군

(n=20) 전ᆞ후 동요 10.8(3.7) 10.9(4.3) 11.0(4.6)

a좌ᆞ우 동요: 압력 중심의 좌ᆞ우 방향 평균 이동속도.

b전ᆞ후 동요: 압력 중심의 전ᆞ후 방향 평균 이동속도.

*평균(표준편차).

Page 64: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50 -

3.203.203.203.20 눈을눈을눈을눈을 감고감고감고감고 30 30 30 30 초초초초 동안동안동안동안 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 서서서서 있기있기있기있기 자세에서자세에서자세에서자세에서 좌좌좌좌ᆞ우우우우

방향방향방향방향의의의의 동요동요동요동요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압력 중심의 좌ᆞ우 방향 평

균 이동속도는 평가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집단 간에도 유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평가시점과 집단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다

(표 31).

표 31. 눈을 감고 30 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좌ᆞ우 방향 동요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단위: mm/s)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14.3 2 7.1 4.898 0.009

집단 간 138.4 2 69.2 7.559 0.001

평가시점×집단 간 12.1 4 3.0 2.074 0.089

중력 중심의 좌ᆞ우 방향의 평균 이동속도에 대한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는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발목전략

운동군과 대조군 간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표 32).

Page 65: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51 -

표 32. 눈을 감고 30 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집단 간 좌ᆞ우 방향

동요의 최소 유의 차 검정 (단위: mm/s)

대응 집단 평균차 표준오차 p

근력강화 운동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1.05 0.56 0.066

대조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2.15 0.55 0.000

대조군 대 근력강화 운동군 1.09 0.56 0.055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좌ᆞ우 방향 동요를 비교해보면, 발목전략 운동군은 치료 전과 치료 후, 치료전과

추적 평가시점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그림 19).

*p<0.05.

그림 19.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좌ᆞ우 방향의 동요 비교.

0

5

10

치치 전

8주 치치 후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압압 압압압압 압압

중중 중중중중 중중

중중 중중 좌좌 좌좌

좌좌 좌좌좌좌 좌좌

방방 방방방방 방방

동동 동동동동 동동

(mm

/s)

Page 66: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52 -

3.21 3.21 3.21 3.21 눈을눈을눈을눈을 감고감고감고감고 30 30 30 30 초초초초 동안동안동안동안 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 서서서서 있기있기있기있기 자세에서자세에서자세에서자세에서 전전전전ᆞ후후후후

방향방향방향방향의의의의 동요동요동요동요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압력 중심의 전ᆞ후 방향 평

균 이동속도는 평가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집단 간에도 유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평가시점과 집단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p<0.001)(표 33).

표 33.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전ᆞ후 방향 동요의 반복

측정 분산분석 (단위: mm/s)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50.7 2 25.4 23.325 0.000

집단 간 186.6 2 93.3 3.907 0.026

평가시점×집단 간 57.8 4 14.4 13.278 0.000

압력 중심의 전ᆞ후 방향 평균 이동속도에 대한 집단 간 사후검정 결과는 발

목전략 운동군이 근력강화 운동군과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근력강화 운동군과 대조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34).

Page 67: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53 -

표 34. 눈을 감고 30 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집단 간 전ᆞ후 방향

동요의 최소 유의 차 검정 (단위: mm/s)

대응 집단 평균차 표준오차 p

근력강화 운동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1.82 0.90 0.049

대조군 대 발목전략 운동군 2.39 0.89 0.010

대조군 대 근력강화 운동군 0.58 0.90 0.526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좌ᆞ우 방향 동요를 비교해보면, 발목전략 운동군은 치료 전과 후, 치료 전과 추

적 평가시점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그림 20).

***p<0.001.

그림 20. 눈을 감고 30초 동안 정적으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전ᆞ후 방향의 동요 비교.

0

4

8

12

16

치치 전

8주 치치 후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압압 압압압압 압압

중중 중중중중 중중

중중 중중 전전 전전

전전 전전전전 전전

방방 방방방방 방방

동동 동동동동 동동

(mm

/s)

Page 68: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54 -

3.22 3.22 3.22 3.22 눈을눈을눈을눈을 뜨고뜨고뜨고뜨고 20 20 20 20 초초초초 동안동안동안동안 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 반반반반----일자로일자로일자로일자로 서서서서 있기있기있기있기

자세자세자세자세의의의의 정적정적정적정적 균형능력균형능력균형능력균형능력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 집단 간 균형능

력을 살펴보면,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에서 대조군보다 치료 전에 비

해 치료 후에 좌ᆞ우 방향과 전ᆞ후 방향의 압력 중심의 평균 이동속도가 감소하

였다(표 35).

표 35. 눈을 뜨고 20 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의 정적 균형

능력 비교 (N=59)(단위: mm/s)

집단 특성 치료 전 치료 후 추적

좌ᆞ우 동요a 14.3(2.9)

* 11.7(3.6) 12.2(3.7) 발목전략 운동군

(n=20) 전ᆞ후 동요b 13.6(3.8) 10.4(4.1) 10.8(3.8)

좌ᆞ우 동요 14.2(3.5) 12.5(2.5) 12.9(2.7) 근력강화 운동군

(n=19) 전ᆞ후 동요 13.8(3.3) 12.8(4.7) 13.7(4.6)

좌ᆞ우 동요 14.5(5.1) 14.4(4.9) 14.7(5.0) 대조군

(n=20) 전ᆞ후 동요 14.0(4.8) 14.0(4.8) 14.3(5.0)

a좌ᆞ우 동요: 압력 중심의 좌ᆞ우 방향 평균 이동속도.

b전ᆞ후 동요: 압력 중심의 전ᆞ후 방향 평균 이동속도.

*평균(표준편차).

Page 69: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55 -

3.23 3.23 3.23 3.23 눈을눈을눈을눈을 뜨고뜨고뜨고뜨고 20 20 20 20 초초초초 동안동안동안동안 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 반반반반----일자로일자로일자로일자로 서서서서 있기있기있기있기

자세에서자세에서자세에서자세에서 좌좌좌좌ᆞ우우우우 방향방향방향방향의의의의 동요동요동요동요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 압력 중심의 좌

ᆞ우 방향 평균 이동속도는 평가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집

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평가시점과 집단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p<0.05)(표 36).

표 36. 눈을 뜨고 20 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 좌ᆞ우 방향

동요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단위: mm/s)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69.4 2 34.7 10.759 0.000

집단 간 108.2 2 54.1 1.391 0.257

평가시점×집단 간 41.4 4 10.4 3.209 0.016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압력 중심의 좌ᆞ우 방향의 평균 이동속도를 비교해

보면, 발목전략 운동군에서만 치료 전과 후 평가시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그림 21).

Page 70: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56 -

*p<0.05.

그림 21.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좌ᆞ우 방향의 동요 비교.

0

5

10

15

20

치치 전

8주 치치 후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압압 압압압압 압압

중중 중중중중 중중

중중 중중 좌좌 좌좌

좌좌 좌좌좌좌 좌좌

방방 방방방방 방방

동동 동동동동 동동

(mm

/s)

Page 71: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57 -

3.24 3.24 3.24 3.24 눈을눈을눈을눈을 뜨고뜨고뜨고뜨고 20 20 20 20 초초초초 동안동안동안동안 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정적으로 반반반반----일자로일자로일자로일자로 서서서서 있기있기있기있기

자세에서자세에서자세에서자세에서 전전전전ᆞ후후후후 방향방향방향방향의의의의 동요동요동요동요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 압력 중심의 전

ᆞ후 방향 평균 이동속도는 평가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집

단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평가시점과 집단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p<0.001)(표 37).

표 37.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 전ᆞ후 방향

동요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단위: mm/s)

평방합 자유도 평방평균 F p

평가시점 58.7 2 29.4 8.448 0.000

집단 간 204.5 2 102.3 2.037 0.140

평가시점×집단 간 76.9 4 19.2 5.529 0.000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압력 중심의 전ᆞ후 방향의 평균 이동속도를 비교해

보면, 발목전략 운동군에서만 치료 전과 후, 치료 전과 추적 평가시점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그림 22).

Page 72: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58 -

*p<0.05.

그림 22. 눈을 뜨고 20초 동안 정적으로 반-일자로 서 있기 자세에서

평가시점에 따른 집단 간 전ᆞ후 방향의 동요 비교.

0

5

10

15

20

치치 전8주 치치 후5주 후후후

**

발발발발 운운운 근근근근 운운운 대대운압압 압압압압 압압

중중 중중중중 중중

중중 중중 전전 전전

전전 전전전전 전전

방방 방방방방 방방

동동 동동동동 동동

(mm

/s)

Page 73: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59 -

제제제제4444장장장장 고찰고찰고찰고찰

노인에게 규칙적인 운동으로 균형회복 능력을 향상시켜 넘어짐을 예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자세조절은 공간에서 신체의 조절능력을 말하며, 자세조절을

위해 흔히 사용되는 것이 발목관절 전략이다(Shumway-Cook, and Wollacott

1995). 이 연구는 균형손상이 있는 노인에게 8주 동안의 발목관절 전략 운동이

근력강화 운동군과 대조군에 비해 어떤 균형증진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정적 균형능력 검사와 예기치 않은 동요를 주었을 때 발목관절 전략을 이용한

균형회복 능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서, MMSE는 전두엽 기능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고, 경도의 인지장애나 심한 치매를 평가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평가가 빠르고 반복측정이 용이하며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해

주는 임상적 유용성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Folstein, Folstein, and McHugh

1975). 정신기능의 평가기준은 24~30점은 정상, 20~23점은 의심, 19점 이하는

확실한 치매로 판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MMSE점수가 24점 이상인 노인을

대상자로 정하였다(Schoenfelder 2000; Tombaugh, and McIntyre 1992).

기능적 활동의 수행능력을 반영하는 버그균형척도는 14개 항목으로 각 항목은

0~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고 56점이다. 넘어짐에 대한 평가기준은

0~20점은 고위험군, 21~40점은 중간 위험군, 41~56점은 저위험군으로

판정된다(Berg et al. 1992). 본 연구에서는 40점 이하인 노인을 대상으로

정하였으며, 평균 38.1점이었다.

정적 균형능력 측정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눈을 뜨고 30초 동안

Page 74: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60 -

정적으로 서 있기에서 가장 신뢰할 만 하며, 반복측정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얼마나 반복해야 안정적인 결과를 가져 오는지는 알 수 없으며, 두 번째

검사에서 흔들림이 적었다(Sihvonen, and Era 1999). 본 연구의 신뢰도

검사에서 6명을 1주일 간격으로 재검사한 결과 눈을 뜬 자세에서 급간내

상관계수가 r=0.97로 가장 높았고, 눈을 감은 자세에서 r=0.95이었고 반-

일자로 서있는 자세에서 r=0.90이었다.

Bohannon(1999)은 노인의 하지 근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에서

이용한 손으로 잡고 측정하는 근력측정계(hand-held dynamometer)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같은 날에는 급간내 상관계수 r=0.8 이상, 1주일 뒤에는 r=0.7

이상의 신뢰도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회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측정치로 하였다(Gras et al. 2004). 발목관절의 가동범위는 표준형 측각계를

사용하였으며, 구애련과 이충휘(1995)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측정자 간

신뢰도가 우수하며 측정자내 신뢰도는 ICC(2.1)=0.90 이상으로 훌륭하다고

하였다.

근 수축 개시 시간차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주로 DiFabio(1987)의 방법이

사용된다. 근전도 신호를 전파정류(full-wave rectification) 과정을 거친 후

안정된 0.5초 동안의 신호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다음, 평균에 2배의

표준편차를 더하여 역치로 설정하는 방법(권오윤과 고은경 2002)과 Matlab

연산에 의해 계산된 값에 의해 자동으로 근 수축 시간을 구하는 방법(정이정 등,

2003)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Matlab 프로그램으로 역치선(threshold line)을

구한 다음 시각적인 검사를 더 해서 역치값을 결정하였다. 역치선 이상의 신호 중

2 ㎳ 이상 지속되는 첫 번째 신호를 역치값으로 기록하였다.

Page 75: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61 -

발목관절의 등쪽 굽힘 각도는 실시간 삼치원 동작분석 시스템인 CMS10을

사용하였다. 류승현(1995)은 허리중심에 부하를 주어 균형이 뒤로 이동하게 하여

표면 근전도로 근육들의 동원 형태를 측정한 결과 체중의 1.5%의 부하를

적용하였을 때 발목관절 전략이 현저하였으며 전경골근이 먼저 수축하였다고

하였다. Fong과 Ng(2006)는 태극권 운동군과 태극권 운동을 하지 않은 군의

동요에 3 ㎏의 공을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균형이 손상된 노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보다 가벼운 1.8 ㎏의 공을 사용하였으며, 예기치 않은 동요에

사용된 충격에너지는 20 ㎝ 높이에서 1.8 ㎏의 공을 자유낙하 시키는 단진자

운동에너지 이였으며, 등의 흉추 10번 높이에 충격을 주었다. 실험 중에 균형을

잃어 넘어지거나 발을 떼어 옮기는 경우는 없었다.

발목관절 전략에는 적절한 관절 가동범위와 근력을 필요로 하며(Shumway-

Cook, and Wollacott 1995), 하지에서는 전형적으로 구심성과 원심성의 근육

활동이 기능적으로 요구된다(Kaminski, Perrin, and Gansneder 1999). 또한

이동(locomotion)과 같은 기능적인 과제의 수행능력에는 발등쪽 굽힘근과

발바닥쪽 굽힘근의 근력약화와 관련이 깊다(Lamontagne et al. 2002). 본

연구에서는 발목전략 운동군에 난이도가 다른 네 가지 발목전략 촉진운동을 8주

동안 적용한 결과 운동 후에 근력과 가동범위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 그

효과는 5주 후 추적평가 때까지 유지되었다. 근력강화를 위하여 탄성 고무 띠를

이용한(Carter et al. 2002) 근력강화 운동군에서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근력과

가동범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Gras 등(2004)의 연구에 의하면 8주 동안

가정에서 주 5회 실시하는 신장 운동군과 주 3회 실시하는 근력강화 운동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음을 보고한 반면에 Sohng 등(2003)의 연구에서는 8주

Page 76: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62 -

동안의 주 4회, 1회에 40분 실시하는 넘어짐 예방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발목관절의 근력과 가동범위의 유의한 증가를 보고하였다. 운동 전과 비교해서

근력은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과 발바닥쪽 굽힘에 있어서 모두 발목전략

운동군보다 근력강화 운동군에서 각각 평균 0.71 ㎏과 0.32 ㎏ 많이 증가

하였으나, 발목관절 수동가동범위에서는 발목전략 운동군이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각각 평균 0.33°와 1.04° 많이 증가하였다.

Duncan 등(1990)은 기능적 팔 뻗기 검사에서 15.0~17.5 ㎝ 이하이면

기능적 균형에 제한이 생긴다고 주장하였으며, 본 연구 대상자의 치료 전 기능적

팔 뻗기는 평균 14.3 ㎝로 균형손상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발목전략 운동군은

평균 2.2 ㎝, 근력강화 운동군은 2.6 ㎝ 대조군보다 각각 증가하였으며, Li

등(2004)의 연구와 비교하면 태극권 운동 3개월 후에 평균 0.58 ㎝ 증가하였으며,

6개월 후에는 평균 1.28 ㎝ 증가를 보고하여 본 연구에서 더 많이 증가하였다.

운동 후 기능적 팔 뻗기의 증가는 여러 연구에서 보고(Campbell et al. 1999;

Hauer et al. 2001; Sattin et al. 2005; Shigematsu, 2002; Wolf et al. 2006;

Wolf et al. 2003)하고 있으며, 기능적 팔 뻗기의 향상은 발목관절 전략에서

우세하게 작용하는 전ᆞ후 방향의 조절 능력의 향상을 반영한다(Winter et al.

1998).

정적으로 서 있는(quiet stance) 동안 몸의 흔들림(sway)은 젊은이에 비해

노인에서 많으며, 넘어진 경험이 있는 노인에서 더 많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Woollacott, Shumway-Cook, and Nashner 1986). 연령이 증가하면

넘어짐이 증가하고(Lord and Castell 1994; Tinetti 2003; Wolfson et al. 1995),

균형이 흐트러졌을 때 반응하는 시간이나 근육의 힘을 생성하는 속도(Lord, and

Page 77: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63 -

Castell 1994; Thelen et al. 1996; Woollacott, Shumway-Cook, and Nashner

1986)의 지연을 가져온다. Shumway-Cook과 Olmscheid(1990)는 건강인에서

전방으로 상실된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발목전략에 의한 비복근의 반사적

수축활동은 90 ㎳ 후에 시작된다고 하였으며, Mackey와 Robinovitch (2006)는

25명의 젊은 여성(19~36세)과 25명의 건강한 할머니(66~90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근 수축개시는 젊은 여성이 평균 73 ㎳이었으며, 건강한 할머니가 평균

98 ㎳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등 뒤에서 전방으로 동요(posteroanterior

perturbation)를 제공하였을 때,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은 치료 전에는

평균 109.6 ㎳이었으며, 치료 후에는 평균 101.6 ㎳, 추적평가 시 평균 103.9

㎳로 감소하였으나 건강한 노인에 비해 근 수축개시 시간이 늦었다. 발목전략

운동군이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평균 8.6 ㎳ 더 근 수축개시 시간이 빨라졌다.

또한 전경골근과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차는 치료 전 평균 21.0

㎳이었으며, 치료 후에는 평균 17.5 ㎳로 수축개시 시간차가 감소하였다. 또한

발목전략 운동군에서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평균 4.8 ㎳ 더 수축개시 시간차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동요 시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각도를 치료 전 평균

3.3°에서 치료 후 평균 2.5°로 감소시켰으며, 발목전략 운동군이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평균 0.7° 더 감소된 것은 발목전략 운동이 근력강화 운동보다

균형회복 능력 향상에 보다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자세에 따른 정적 균형능력은 눈을 뜬 자세와 눈을 감은 자세에서는 좌ᆞ우

방향 동요보다 전ᆞ후 방향 동요가 더 증가하였으며, 반-일자로 서있는

자세에서는 좌ᆞ우 방향 동요가 전ᆞ후 방향 동요보다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ajala 등(2004)의 연구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집단 간 정적

Page 78: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64 -

균형능력은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에서 대조군보다 좌ᆞ우 방향

동요와 전ᆞ후 방향 동요에서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의 평균 이동속도가

감소하였으며, 발목전략 운동군이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더 많이 감소하였다.

이것은 동요 시 흐트러진 균형을 회복하려는 내측 비복근의 근 수축개시 시간 및

전경골근과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차의 단축 그리고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각도의 감소에 기인한 결과로 생각되며, 발목전략 운동이 근력강화 운동보다

균형증진 효과가 더 양호하였다. 또한 눈을 뜬 자세 보다 눈을 감은 자세에서

좌ᆞ우 방향 및 전ᆞ후 방향의 동요가 더 증가하였으며, Era 등(1997)의 75세의

덴마크 노인(391명), 스웨덴 노인(145명), 핀란드 노인(22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 같은 결과를 보였으며, 남자보다 여자에서 모든 동요가 더

감소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59명 중 남자가 단지 5명이었기 때문에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할 수는 없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균형 증진효과를 실험적 동요에 의하여 평가한

결과이므로 실제적인 생활 환경에서 넘어짐이나 동적 균형능력의 평가가

부족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치료방법으로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추적평가의

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치료 효과의 지속 여부를 단정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그균형척도 점수, 한국판 간이 정신기능 검사 점수, 성별에

따른 집단 간 균형증진 효과를 알아보지 못하였기 때문에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age 79: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65 -

제제제제5555장장장장 결론결론결론결론

본 연구는 균형손상 노인 59명을 대상으로 발목관절 전략 운동이 정적 균형 및

동요 시 균형회복 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발목전략 운동군, 발목

근력강화 운동군, 대조군으로 나누어 치료 전 평가, 8주 운동 후 평가, 5주 후

추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치료는 8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으며, 발목전략

운동군에는 네 가지 난이도가 다른 발목관절 전략촉진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근력강화 운동군에는 탄력 고무 띠를 이용한 발목관절의 원심성 및 구심성의

점진적 저항 운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능적 팔 뻗기는 발목전략 운동군과

근력강화 운동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근력과 수동가동

범위는 치료 전보다 치료 후 평가시점에서 발등쪽 굽힘과 발바닥쪽 굽힘에서 두

운동군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동요 시 발목관절의

발등쪽 굽힘 각도는 발목전략 운동군에서 발목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동요 시 내측 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 및 전경골근과

내측비복근의 수축개시 시간차에서, 발목전략 운동군이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눈을 뜬 자세와 눈을 감은 자세에서 전ᆞ후

방향의 동요는 발목전략 운동군에서 근력강화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따라서 균형손상 노인에서 8주 동안의 발목전략 운동과 발목 근력강화

운동이 균형능력을 증진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발목전략 운동이 발목

근력강화 운동보다 균형증진에 더 효과적이었다. 앞으로 균형능력 증진 운동에는

발목관절 전략 운동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Page 80: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66 -

참고문헌참고문헌참고문헌참고문헌

구애련, 이충휘. 1995. “주관절 가동범위 측정법에 대한 동시타당도와 신뢰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2): 46-55.

권오윤, 고은경. 2002. “고관절 신전시 요통환자와 정상인의 슬괵근, 대둔근,

요추기립근의 근 수축 개시시간 비교”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9(2): 33-42.

류승현. 1995. “Backward Sway 동안의 자세움직임 형태에 대한 근전도와

생체역학적 분석”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2): 1-8.

정이정, 조상현, 이정훈, 이상헌. 2003. “최대등척성 수축시 표면근전도에서 근

수축 개시점 결정을 위한 기법들의 신뢰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0(1):

51-62.

Agre JC, Pierce LE, Raab DM, McAdams M, and Smith EL. 1988. “Light

resistance and stretching exercise in elderly women: Effect upon

strength” . Arch Phys Med Rehabil, 69: 273-276.

Almeida GL, Carvalho RL, and Talis VL. 2006. “Postural strategy to keep

balance on the seesaw” . Gait Posture, 23: 17-21.

Page 81: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67 -

American Geriatrics Society, British Geriatrics Society, and American Academy

of Orthopedic Surgeons Panel on Falls Prevention. 2001.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rsons” . J Am Geriatr Soc, 49:664-672.

Amiridis I, Arabatzi F, Violaris P, Stavropoulos E, and Hatzitaki V. 2005.

“Static balance improvement in elderly after dorsiflexors electro-

stimulation training” . Eur J Appl Physiol, 94(4): 4240433.

Aniansson A, Hedberg M, Henning GB, and Grimby G. 1986. “Muscle

morphology, enzymatic activity and muscle strength in the elderly men: A

follow-up study” . Muscle Nerve, 9: 585-591.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JI, and Maki B. 1992.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Validation of an instrument” . Can J Pub Health, 2: S7-11.

Bohannon RW. 1999.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the lower limbs by

hand-held dynamometer: A standard protocol” . Aging, 11(5): 287-293.

Bonnie RJ, Fulco CE, and Liverman CT. 1999. Reducing the burden of injury:

Advancing prevention and treatment. Committee on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Division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institute of

medicine. 1st ed.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Page 82: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68 -

Buchner DM, Cress ME, de Lateur BJ, Esselman PC, Margherita AJ, Price R,

and Wagner EH. 1997. “The effect of strength and endurance training on

gait, balance, fall risk, and health services use in community-living older

adults” .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2: 218-224.

Campbell AJ, Borrie MJ, and Spears GF. 1989. “Risk factors for falls in a

community based prospective study of people 70 years and older” .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44: M112-117.

Campbell AJ, Reinken J, Allan BC, Martinez GS. 1981. “Falls in old age: A study

of frequency and related clinical factors” . Age Ageing, 10(4): 264-270.

Campbell AJ, Robertson MC, Gardner MM, Norton RN, and Buchner DM.

1999. “Psychotropic medication withdrawal and a home-based exercise

program to prevent fall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J Am Geriatr

Soc, 47:850-853.

Carter ND, Khan KM, Mckay HA, Petit MA, Waterman C, Heinonen A,

Janssen PA, Donaldson MG, Mallinson A, Riddell L, Kruse K, Prior J, and

Flicker L. 2002. “Community-based exercise program reduces risk

factors for falls in 65- to 75-year-old women with osteoporos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CMAJ, 167(9): 997-1004.

Page 83: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69 -

DeLorme TL. 1945. “Restoration of muscle power by heavy resistance

exercise” .... J Bone Joint Surg Am, 27: 645-656.

DeLorme TL, and Watkins AL. 1948. “Technics of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 . Arch Phys Med, 29: 263-279.

DiFabio RP. 1987. “Reliability of computerized surface electromyography

for determining the on set of muscle activity” . Phys Ther, 67(1): 43-

48.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and Studenski S. 1990.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 J Gerontol, 45: 192-197

Era P, Avlund K, Jokela J, Gause-Nilsson, Heikkinen E, Steen B, and Schroll

M. 1997. “Postural balance and self-reported functional ability in 75-

year-old men and women: A cross-national comparative study” . J Am

Geriatr Soc, 45: 21-29.

Fiatarone MA, Marks EC, Ryan ND, Meredith CN, Lipsitz LA, and Evans WJ.

1990. “High-intensity strength training in nonagenarians” . JAMA,

263:3029-3034.

Page 84: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70 -

Fisher NM, Pendergast DR, and Calkins E. 1991. “Muscle rehabilitation in

impaired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 Arch Phys Med Rehabil, 72:

181-185.

Folstein MF, Folstein SE, and McHugh P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 J Psychiatr Res, 12: 189-198.

Fong S-M, and NG GY. 2006. “The effects on sensorymotor performance

and balance with Tai Chi training” . Arch Phys Med Rehabil, 87: 82-87.

Gatts SK and Woollacott MH. 2006. “How Tai Chi improves balance:

Biomechanics of recovery to a walking slip in impaired seniors” . Gait

Posture, In press.

Gehlsen GM, and Whaley MH. 1990. “Falls on the elderly: Part II, balance,

strength, and flexibility” . Arch Phys Med Rehab, 71: 739-741.

Gras LZ, Levangie PK, Goodwin-Segal M, and Lawrence DA. 2004. “A

comparision of hip versus ankle exercises in elders and the influence on

balance and gait” . J Geriatr Phys Ther, 27(2): 39-46.

Page 85: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71 -

Hauer K, Rost B, Rütschle K, Opitz H, Specht N, Bärtsch P, Oster P, and

Schlierf G. 2001. “Exercise training for rehabilitation and secondary

prevention of falls in geriatric patients with a history of injurious falls”. J

Am Geriatr Soc, 49: 10-20.

Horak FB. 1992. “Effects of neurological disorders on postural movement

strategies in the elderly” . In Falls, balance and gait disorders in the

elderly, by Vellas B, Toupet M, Rubenstein L, Albarede JL, and Christen

Y. 1st ed. Paris: Elsevier.

Horak FB, and Nashner LM. 1986. “Central programming of postural

movements: Adaptation to altered support-surface configurations” . J

Neurophysiol, 55(6): 1369-1381.

Horak FB, Shupert CL, and Mirka A. 1989. “Components of postural

dyscontrol in the elderly: A review” . Neurobiol Aging, 10: 727-738.

Imms FJ, and Edholm OG. 1981. “ Studies of gait and mobility in the elderly” .

Age Ageing, 10: 147-156.

Page 86: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72 -

Kaminski TW, Perrin DH, and Gansneder BM. 1999. “Eversion strength

analysis of uninjured and functionally unstable ankles” . J Athl Train,

34(3): 239-245.

Krebs DE, Jette AM, and Assmann SF. 1998. “Moderate exercise improves

gait stability in disabled elders” . Arch Phys Med Rehabil, 79: 1489-1495.

Lamontagne A, Malouin F, Richards CL, and Dumas F. 2002. “Mechanisms of

disturbed motor control in ankle weakness during gait after stroke” . Gait

Posture, 15: 244-255.

Li F, Harmer P, Fisher KJ, and McAuley E. 2004. “Tai Chi: Improving

functional balance and predicting subsequent falls in older persons” . Med

Sci Sports Exerc, 36(12): 2046-2052.

Li F, Harmer P, Fisher KJ, McAuley E, Chaumeton N, Eckstrom E, and

Wilson NL. 2005. “Tai Chi and fall reductions in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60: 187-194.

Lin MR, Hwang HF, Wang YW, Chang SH, and Wolf SL. 2006. “Community-

Based Tai Chi and its effect on injurious falls, balance, gait, and fear of

falling in older people” . Phys Ther, 86: 1189-1201.

Page 87: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73 -

Lord SR, and Castell S. 1994.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older persons:

Effect on balance, strength, neuromuscular control, and reaction time” .

Arch Phys Med Rehabil, 75: 648-652.

Lord SR, Ward JA, Williams P, and Strudwick M. 1995. “The effect of a 12-

month exercise trial on balance, strength and falls in older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J Am Geriatr Soc, 43:1198-1206.

Mackey DC, and Robinovitch SN. 2005. “Postural steadiness during quiet

stance dose not associate with ability to recover balance in older women” .

Clin Biomech, 20: 776-783.

Mackey DC, and Robinovitch SN. 2006. “Mechanisms underlying age-related

differences in ability to recover balance with the ankle strategy” . Gait

Posture, 23: 59-68.

McMurdo ME, and Johnston R. 1995.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home exercise programme for elderly people with poor mobility” . Age

Ageing, 24: 425-428.

Menz HB, Morris ME, and Lord SR. 2006. “Foot and ankle risk factors for falls in

older people: A prospective study”.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61: 866-870.

Page 88: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74 -

Mills EM. 1994. “The effect of 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o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among sedentary elderly persons” . Nurs

Res, 43(4): 207-211.

Nashner LM, 1976. “Adapting reflexes controlling the human posture” . Exp

Brain Res, 26: 59-72.

Nevitt MC, Cummings SR, and Hudes ES. 1991. “Risk factors for injurious

falls: a prospective study” .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44: M164-170.

Nevitt MC, Cummings SR, Kidd S, and Black D. 1989. “Risk factors for

recurrent nonsyncopal falls: a prospective study” . J Am Med Assoc, 261:

2663-2668.

Pajala S, Era P, Koskenvno M, Kaprio J, Tolvanen A, Heikkinen E, Tiainen K,

and Rantanen T. 2004. “Contribution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to postural balance in older female twins” . J Appl Physiol, 96: 308-315.

Petty JF, Mercer VS, Gross MT, and Riegger-Krugh C. 2000. “Relationship

between maximum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nd maximum

posterior horizontal excursion in standing” . Issues on Aging, 23: 7-14.

Page 89: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75 -

Pyöriä O, Era P, and Talvitie U. 2004. “Relationships between standing

balance and symmetry measurements in patients following recent

strokes(≤3 weeks) or older strokes(≥6 months)” . Phys Ther, 84(2):

128-136.

Robinovitch SN, Heller B, Lui A, and Cortez J. 2002. “Effect of strength and

speed of torque development on balance recovery with the ankle

strategy” . J Neurophysiol, 88: 613-620.

RØgind H, Lykkegaard JJ, Bliddal H, and Danneskiold-SamsØe B. 2003.

“Postural sway in normal subjects aged 20-70 years” . Clin Physiol Func

Im, 23: 171-176.

Rubenstein LZ, Josephson KR, Trueblood PR, Loy S, Harker JO, Pietruszka

FM, and Robbins AS. 2000. “Effects of a group exercise program on

strength, mobility, and falls among fall-prone elderly men” .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5(6): 317-321.

Sattin RW, Easley KA, Wolf SL, Chen Y, and Kutner MH. 2005. “Reduction in

fear of falling through intense Tai Chi exercise training in older,

transitionally frail adults” . J Am Geriatr Soc, 53(7): 1168-1178.

Page 90: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76 -

Schoenfelder DP. 2000. “A fall prevention program for elderly individuals:

Exercise in long-term care settings” . J Gerontol Nurs, 26(3):43-51.

Shigematsu R, Chang M, Yabushita N, Sakai T, Nakagaichi M, Nho H, and

Tanaka K. 2002. “Dance-based aerobic exercise may improve indices of

falling risk in older women” . Age Aging, 31:261-266.

Shumway-Cook A, and Olmscheid R. 1990. “A systems analysis of postural

dyscontrol in traumatically brain-injured patients” . J Head Trauma

Rehabil, 5(4): 51-62.

Shumway-Cook A, and Wollacott M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1st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Sihvonen S, and Era P. 1999. “Test-retest reliability of easy and more

demanding balance tests in young, middle-aged and older subjects” . 5th

world congress on physical activity, aging, and sports, Olando, USA,

August 10-14.

Skelton DA, and McLaughlin A. 1996. “Training functional ability in old age” .

Physiotherapy, 82: 159-167.

Page 91: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77 -

Sohng KY, Moon JS, Song HH, Lee KS, and Kim YS. 2003.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for fall risk factor reduct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Korea” . Yonsei Med J, 44(5): 883-891.

Speers RA, Kuo AD, and Horak FB. 2002. “Contributions of altered sensation

and feedback responses to changes in coordination of postural control due

to aging” . Gait Posture, 16(1): 20-30.

Thelen DG, Ashton-Miller JA, Schultz AB, and Alexander NB. 1996. “Do

neural factors underlie age differences in rapid ankle torque

development?” . J Am Geriatr Soc, 44: 804-808.

Tinetti ME. 2003. “Clinical practice: Preventing falls in elderly person” . N

Engl J Med, 348: 42-49.

Tinetti ME, Speechley M, Ginter SF. 1988.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 living in the community” . N Engl J Med, 319: 1701-

1707.

Tombaugh TN, and McIntyre. 1992. “The Mini-Mental-State Examination:

A comprehensive review” . J Am Geriatr Soc, 40: 922-935.

Page 92: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78 -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3. Public Health Service.

Healthy people 2000: National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objectiv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Wilson EL, Madigan ML, Davidson BS, and Nussbaum MA. 2006. “Postural

strategy changes with fatigue of the lumbar extensor muscles” . Gait

Posture, 23: 348-354.

Winter DA, Patla AE, Prince F, Ishac M, and Giclo-Perezak K. 1998.

“Stiffness control of balance in quiet standing” . J Neurophysiol, 80:

1211-1221.

Wolf SL, O’Grady M, Easley KA, Guo Y, Kressig RW, and Kutner M. 2006.

“The influence of intense Tai Chi training on physical performance and

hemodynamic outcomes in transitionally frail, older adults” .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61: 184-189.

Wolf SL, Sattin RW, Kutner M, O’Grady M, Greenspan A, and Gregor RJ.

2003. “Intense Tai Chi exercise training and fall occurrences in older,

transitionally frail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J Am Geriatr

Soc, 51: 1693-1701.

Page 93: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79 -

Wolfson L, Judge J, Whipple R, and King M. 1995. “Strength is a major factor

in balance, gait, and the occurrence of falls” .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0: 64-67.

Woollacott MH, Shumway-Cook A, and Nashner LM. 1986. “Aging and

postural control: Change in sensory organization and muscular

coordination” . Int J Aging Hum Dev, 23: 97-114.

Yaggie JA, and McGregor SJ. 2002. “Effects of isokinetic ankle fatigue on

the maintenance of balance and postural limits” . Arch Phys Med Rehab,

83(2): 224-228.

Zipp P. 1982. “Recommendations for the standardization of lead positions in

surface electromyography” . Eur J Appl Physiol, 50:40-54.

Page 94: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80 -

ABSTRACTABSTRACTABSTRACTABSTRACT

Effect of AnklEffect of AnklEffect of AnklEffect of Ankle Strategy Exercise on Improvement of e Strategy Exercise on Improvement of e Strategy Exercise on Improvement of e Strategy Exercise on Improvement of BBBBalance in alance in alance in alance in

Elderly Elderly Elderly Elderly wwwwith ith ith ith ImpairedImpairedImpairedImpaired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Lee Jeong-Weon

Dept. of Rehabilitation Therapy

(Physical Therapy Major)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kle strategy

facilitating exercise on postural control in a static and perturbed stance, and during

arm reaching task. A swing pendulum ball was used to produce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head, neck, and trunk (HAT segment) as it gently pushed the upper back (T10

level) without eliciting a stepping response. Fifty-nine subjects (mean age=76.5

years, mean height=148.9 ㎝, mean weight=58.5 ㎏) who did not participate in any

form of exercise for the past six month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ree groups:

ankle strategy exercise (ASE) group,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SE) group, or

control (CON) group. Two exercise groups participated in 50 minutes 3 days a week

for 8 weeks. The dependant variables were passive joint range of motion (PROM),

muscle strength, functional reach test (FRT), static balance test measured by mean

Page 95: 효과 - Yonsei University · 2019-06-28 · 표 11. 평가시점과 집단 간 발등쪽 굽힘 수동가동범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30 표 12. 집단 간 발등쪽

- 81 -

center of pressure (COP) velocity in the anteroposterior (AP) and mediolateral (ML)

direction, and dynamic balance test measured by onset time (OT), delta-onset time

(D-OT), change of ankle dorsiflexion angle after perturbation. Outcome data were

collected at the pre-exercise, post-exercise, and follow-up.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

and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used as a post hoc test. The PROM and

muscle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in post-exercise compared to pre-exercise

(p<0.05). FRT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both in the ASE group and SE group

compared to the CON group after exercise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FRT difference between ASE group and SE group. Ankle dorsiflexion

angle with perturb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SE group compared to the

SE group (p<0.05). Postural tests with the eye open (EO) and eye closed (EC)

conditions showed mean COP velocity in AP direc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SE group compared to SE group (p<0.05). The OT in medial gastrocnemius and

D-OT in tibialis anterior and medial gastrocnemiu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SE group compared to the SE group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th ASE and SE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ostural control in the elderly with impaired balance after on 8-week exercise

program. Additionally, ASE was more effective than SE in enhancement of balance

function.

Key Words : Ankle strategy exercise, Balance, Elderly, Onset time, Perturbation.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