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 CHERIC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 CHERIC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Date post: 07-Aug-2020
Category:
Upload: others
View: 1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10
494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Global Megatrends; Future Promising Industry & Technology 우상선 | Sang Sun Woo Hyosung R&DB Labs, 74 Simin-daero, Dongan-gu, Anyang-si, Gyeonggi-do 14080, Korea E-mail: [email protected] 우상선 1972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공학과 (학사) 1988 미국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섬유고분자 (박사) 1974-1985 동양나이론(현 효성그룹) 중앙연구소 선임연구원 1988-1991 3M Company, OH & SP(Occupational Health & Safety Products) Div., Research Center, St. Paul, Minnesota, USA : Research Scientist(수석연구원) 1991-1997 삼성그룹 제일모직 화성연구소장(상무) 1997-2001 삼성종합화학 연구소장 겸 삼성화학소그룹 종합연구소장(전무) 삼성화학소그룹 전자정보재료 개발 및 사업담당 겸(97~99) 2001-2003 삼성종합화학(현 한화Total) 대산 Complex 공장장(전무) 2003-2009 제일모직 케미칼사업 부문장(부문 CEO, 부사장) 2009-2011 제일모직 부사장 경영고문 2011-현재 기술원 원() 1. 서론 차세대 유망산업·기술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megatrends를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는 수요의 트렌드와 기술의 발전이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미래의 paradigm을 창출하기 때문이다. 본 내용에서는 향후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10megatrends에 대해 면밀하게 살펴보고, 이에 따라서 산업과 기 술이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지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미래 10megatrends는 인구 구조 변화, 거대 도시화, 신흥국 경제 부상, 미래 infra, 환경, 에너지, 정보통신, healthcare, mobility, 구매 구조의 변화로써 아래 본문에서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인구 구조 변화 세계 인구는 사람들의 건강이 좋아지고 평균 수명이 늘어, 2011697천만 명에서 연평균 1% 수준으로 증 가하여 2025년에 794천만 명이 될 전망이다. 특히,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 비중이 20117.7%에서 202510.6%로 급속히 증가하며, 일본, 미국 등 선진국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한국도 2025년에는 전체 인구의 약 20% 정도가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될 전망이다. Big consumer로 분류되는 15~34세의 Y세대는 2025년에 세계 인구의 30% 비중인 238천만 명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중 아시아가 세계의 59.7%로 중국, 인도의 Y 세대가 세계의 35.3%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그림 1). 1,2 한국의 고령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요양 중심의 정책 틀에서 벗어나, 사회의 지속적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복지, 직업 등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미래 인구 구조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2.2 거대 도시화 향후 2025년 세계 top 20 megacity 중에서 50%는 현재 지속 발전 중인 중국, 인도, 러시아, 멕시코, 브라질 특별기고
Transcript
Page 1: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 CHERIC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498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6. 2030년

494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Global Megatrends; Future Promising Industry & Technology

우상선 | Sang Sun Woo

Hyosung R&DB Labs, 74 Simin-daero, Dongan-gu, Anyang-si, Gyeonggi-do 14080, Korea

E-mail: [email protected]

우상선1972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공학과 (학사)1988 미국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섬유고분자 (박사)1974-1985 동양나이론(현 효성그룹) 중앙연구소 선임연구원1988-1991 3M Company, OH & SP(Occupational Health & Safety Products) Div., Research Center, St. Paul,

Minnesota, USA : Research Scientist(수석연구원) 1991-1997 삼성그룹 제일모직 화성연구소장(상무)1997-2001 삼성종합화학 연구소장 겸 삼성화학소그룹 종합연구소장(전무) 삼성화학소그룹 전자정보재료 개발 및

사업담당 겸(’97~’99)2001-2003 삼성종합화학(현 한화Total) 대산 Complex 공장장(전무)2003-2009 제일모직 케미칼사업 부문장(부문 CEO, 부사장)2009-2011 제일모직 부사장 경영고문2011-현재 효성기술원 원장(사장)

1. 서론

차세대 유망산업·기술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megatrends를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는 수요의

트렌드와 기술의 발전이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미래의 paradigm을 창출하기 때문이다. 본 내용에서는 향후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10대 megatrends에 대해 면밀하게 살펴보고, 이에 따라서 산업과 기

술이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지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미래 10대 megatrends는 인구 구조 변화, 거대 도시화, 신흥국 경제 부상, 미래 infra, 환경, 에너지, 정보통신,

healthcare, mobility, 구매 구조의 변화로써 아래 본문에서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인구 구조 변화

세계 인구는 사람들의 건강이 좋아지고 평균 수명이 늘어, 2011년 69억 7천만 명에서 연평균 1% 수준으로 증

가하여 2025년에 79억 4천만 명이 될 전망이다. 특히,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 비중이 2011년 7.7%에서 2025년

10.6%로 급속히 증가하며, 일본, 미국 등 선진국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한국도 2025년에는 전체 인구의 약 20%

정도가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될 전망이다. Big consumer로 분류되는 15~34세의 Y세대는 2025년에 세계

인구의 30% 비중인 23억 8천만 명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중 아시아가 세계의 59.7%로 중국, 인도의 Y

세대가 세계의 35.3%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그림 1).1,2 한국의 고령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요양 중심의 정책 틀에서 벗어나, 사회의 지속적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복지, 직업 등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미래 인구 구조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2.2 거대 도시화

향후 2025년 세계 top 20 megacity 중에서 50%는 현재 지속 발전 중인 중국, 인도, 러시아, 멕시코, 브라질

특별기고

Page 2: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 CHERIC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498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6. 2030년

우상선

고분자 과학과 기술 제27권 5호 2016년 10월 495

그림 1. World population breakdown by region and age, 2025.1,2

출처: UN3

그림 2. 세계 Top 20 megacities in 2025.3

등에서 형성될 것이다. 또한 세계 도시 인구의 38%는 BRICs

지역에 거주하며, 특히 중국과 인도의 도시 거주 인구는 약

14억 명 이상이 될 전망이다(그림 2).3

거대 도시화 출현에 따라 도시의 infra, 에너지 등을 효율적

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Smart city”화가 진행될 것으로 그

규모는 2020년까지 1.57조 달러 규모를 형성할 전망이다.

Smart city의 세부 시장별 비중은 교육/행정 20.9%, 에너지

시스템 16.7%, 헬스케어 서비스 15.3%, 치안/재난관리 14.1%,

infra 13.8%, 빌딩관리 시스템 10.2%, 교통 시스템 9.0% 순

으로 전망된다.

Page 3: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 CHERIC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498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6. 2030년

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

496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출처: Frost&Sullivan4

그림 3. The next game changers in 2025.4

세부 시장별로 보면, 교육/행정은 네트워크를 통한 “무인

/원격/양방향”커뮤니케이션 시스템으로써, 교육은 가상 교

실, 원거리 수업, 양방향 학습 시스템 등이 해당되며, 행정은

각종 민원 및 정책을 100% 전산화 하는 것이다. 에너지 시스

템은 수요 및 공급량에 따라 에너지를 수급하는 시스템으로

smart grid, 수요반응 시스템, 지능형 검침시스템 등이 있다.

이 외 네트워크를 통한 양방향 실시간 헬스케어 서비스, 실시

간 통합 관제 시스템을 갖춘 치안/재난관리, 수요 공급에 연

동한 smart water grid 시스템, 조명/공조/급수/난방 등을

통합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 실시간 교통 상황을 반영한 지능

형 통합 교통 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거대 도시화에 따라

건설, infra 구축과 관련된 재료 및 기술의 발달에 관심을 가

져야하며 “공해”, “에너지 절약”에 관한 이슈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3 신흥국 경제 부상

현재까지 BRICs 국가의 고성장으로 세계에서 차지하는

GDP 비율이 기존 27%에서 40%로 급성장하였으나, 최근 유

럽 재정위기 및 미국 경제 침체 등 글로벌 경제 위기가 지속

되면서 고성장이 급격히 둔화되는 모습이다.

향후에는 중국을 제외한 BRICs 국가들의 저 성장이 예상

되며, 이를 post-BRICs 국가들인 동남아(태국, 베트남, 필리

핀, 인도네시아), 중동(터키, 이집트), 중남미(멕시코, 아르헨

티나) 등 신흥국들이 세계 경제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

된다. 이들 국가들은 GDP 성장률이 높고 외국인 직접 투자가

많은 특징을 가지며, 급속한 산업화가 진행 중이다. Post-

BRICs 국가들은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국민 소득이 3천억

달러 수준인 베트남부터 4.8조 달러에 달하는 인도네시아까

지 경제수준, 규모, 인구 등 차이가 많이 나지만, 공통점은 단

순 저가 소비시장에서 벗어나서 진출 기업 확대, 경제민족주의

등으로 경쟁상황은 더욱 격화되고 있다는 것이다(그림 3).4

무엇보다 post-BRICs 국가들은 최근의 경제 성장을 바탕으

로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면서

자국의 특성에 맞는 제조업의 발굴/육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Post- BRICs 국가들의 이런 움직임들은 이들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외국 업체들에게 과거보다 더 다양한 사업 기회

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할 것이다.

2.4 미래 Infra

세계 infra의 총 투자액은 2030년까지 약 41조 달러에 달

할 전망이며, 이를 산업별로 보면 물 산업 55%, 전력 22%, 도

로/철도 19%, 항공/항만 4% 순으로 나타난다. 아시아 지역

을 중심으로 물, 전력 산업 등 infra 투자가 활발하고, 이어서

북미, 유럽에서의 투자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Page 4: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 CHERIC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498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6. 2030년

우상선

고분자 과학과 기술 제27권 5호 2016년 10월 497

그림 4. 세계 infra 총 투자액.5

그림 5. Projected water scarcity in 2025.6

첫째, 물 산업 infra는 향후 물 부족 현상의 대책으로 담수

화, 폐수재활용 기술이 대두되고 있으며, 2025년 담수화 plant

시장은 125억 달러, 폐수재활용 설비 시장은 12억 달러로 전

망된다. 현재 전 세계 16,000개의 담수화 plant가 가동되고

있으며, 2020년 담수 처리에 의한 물의 양은 1,610억 리터로

예상된다.

둘째, 전력 산업 infra 투자액은 2030년까지 약 9조 달러가

될 전망으로, 이를 발전량 기준으로 보면(2030년 기준 총 발

전량 8,824 GW), 석탄 27.1%, 가스 25.8%, 수력 18.3%, 풍력

11.1%, 태양광 7.3%, 원자력 6.2%, 석유 3.2%, 기타 1.0% 순

으로 기존의 화석자원 대신 태양광, 풍력 등의 전력 산업이

대두될 전망이다.

셋째, 도로/철도 infra는 향후 투자액의 66%가 아시아와

미주에서 발생하며, 특히 고속철도는 국가, 도시 뿐만 아니라

대륙을 연결하는 주요 수단으로써 전 세계 연결망은 2012년

기준 42,000 km에서 연 평균 5.9%로 증가하여 2022년에

75,000 km로 구축될 전망이다.

지역별로 보면, 아시아/오세아니아는 물 산업 infra가 39.7%

로 가장 비중이 높고 전력, 도로/철도 순이고, 북미는 전력이

19.3%로 가장 비중이 높다. 또한 유럽은 도로/철도 39.2%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물 산업, 전력 순이고 남미는 항공/항만

30.0%, 전력, 물 산업 순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그림 4).5

Page 5: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 CHERIC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498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6. 2030년

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

498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6. 2030년 전 세계 에너지 불균형 전망.7-9

2.5 환경

세계 주요 환경 issue는 지구 온난화, 자원 고갈, 식량 부

족 등을 들 수 있다.

화석연료의 소비 증가로 온실가스(CO2)가 지속 배출되어

이전 세기(century)에는 지구 전체의 온도가 1℉ 증가되었

으나, 향후에는 6℉가 증가되어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

후 발생 등 전 세계적으로 issue가 될 전망이다.

세계 경제의 동력원이라고 할 수 있는 석유의 매장량이 한

정되어 있고, 세계에너지위원회에서는 약 50년 후에는 고갈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 놓아 대체 에너지 발굴 등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2025년에는 인구증가, 기후변화 등으로

물 수요가 부족하여 세계 인구의 절반이 1인당 연간 물 사용

량이 1,000 m3가 되지 않는 물 부족 상황에서 생활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전문가들에 따르면 최근 석유 생산량의 정점을

의미하는 피크오일 개념과 비슷한 ‘피크워터’의 개념이 등

장했다. 물 부족은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세계 인구가 2010

년 68억 명에서 2025년 79억 명으로 늘어남에 따라 물 부족

인구는 2010년 24억 명(35%)에서 2025년 54억 명(68%)로 크

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그림 5).6

식량자원 부족은 2020년 세계 인구의 식량 수요 충족을 위

해서 농업 생산량이 연 평균 13% 상승이 요구되나, 현재는

1.7% 수준으로 2020년에 식량 부족이 예상된다. 이에 대응하

기 위해 유전자 조작식품, 영양성분 강화식품, smart 농업 등

생산량 증가를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2.6 에너지

세계 에너지 시장은 글로벌 경제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2012년 5,583 GW에서 연평균 2.8%로 성장하여

2025년 7,992 GW 규모로 전망된다. 이후 2040년까지 연평

균 성장률은 1.8% 수준으로 감소하나 에너지 시장은 지속 성

장하여 2040년 10,428 GW 규모가 예상된다. 특히, 경제성장

으로 생활수준이 급격히 향상되는 중국, 인도를 중심으로 에

너지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 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 의하면 2040년 세계 에너

지 수요 증가분의 60%를 중국과 인도 및 중동 국가들이 차지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별로 에너지 수급

balance 심화 현상이 가속화 될 전망이며, 중국과 인도를 비

롯한 아시아 지역과 유럽에서 에너지 부족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국은 에너지 수요량의 95%

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으로 에너지 부족 국가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그림 6).7,8

에너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국가별로 크게 신규

에너지원 발굴과 smart grid 같은 에너지 정책 측면에서의

개선 노력을 추진 중이다. 2012년 전체 에너지 시장의 32.3%

를 차지하던 석탄은 2025년까지 연평균 1.7%의 낮은 성장률

을 보일 전망이나, 가스, 풍력, 태양광은 각각 2.8%, 8.3%,

13.4%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낼 전망이다. 이러한 성장률 격

차는 2040년까지 지속되어, 에너지원별 시장 점유율이 가스

25.5%, 석탄 25.2%, 수력 17.5%, 풍력 12.7%, 태양광 8.9%,

원자력 6.0%, 석유 2.4%, 기타 1.8% 순으로 구성될 것이다(표 1).9

신규 에너지원의 하나인 셰일가스는 셰일층에 함유된 천

연가스로, 넓은 지역에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가스 추출이 기

술적으로 불가능했었다. 하지만, 1998년 미국에서 수평시추

기술과 수압파쇄기법 등의 기술을 발전시킴으로써 현재는

Page 6: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 CHERIC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498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6. 2030년

우상선

고분자 과학과 기술 제27권 5호 2016년 10월 499

항목 2012 2020 2025 2030 2035 2040CAGR

('12~'25)CAGR

('25~'40)

Coal 1,805 2,096 2,245 2,394 2,504 2,631 1.7 1.1

Gas 1,462 1,883 2,095 2,278 2,475 2,659 2.8 1.6

Hydro 1,085 1,351 1,483 1,612 1,724 1,829 2.4 1.4

Oil 442 371 325 285 267 251 -2.3 -1.7

Nuclear 394 451 489 543 588 624 1.7 1.6

Wind 282 598 798 982 1,154 1,321 8.3 3.4Photovoltaic 98 364 505 647 790 930 13.4 4.2

Others* 15 32 52 83 128 183 10.0 8.8Total 5,583 7,146 7,992 8,824 9,630 10,428 2.8 1.8

*Others : Geothermal, Biofuel, etc.

표 1. 전 세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9

단위 : GW

새로운 에너지원으로써 적용되고 있으며, 향후 천연가스 생

산량의 5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셰일가스 매

장량은 2012년 19만 bcm(billion cubic meter)이며, 북미

31.5%, 중남미 20.0% 아프리카 17.0%, 아시아 16.3%, 기타

15.2% 순이다. 셰일가스 매장량이 가장 높은 북미지역은

2020년까지 가스 화력 발전소 500개를 신규 설치하여 셰일

가스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풍력과 태양광으로 대표되는 신재생 에너지는 환경 친화

적인 요소와 기술발전에 따른 전력 생산단가의 하락으로 신

규 에너지원으로써 중요도가 상승하고 있다. 전 세계 풍력 에

너지 시장은 2012년 282 GW에서 연평균 8.3%로 성장하여

2025년 798 GW로 성장할 전망이며, 지역별로는 유럽 39.4%,

중국 30.0%, 북미 22.3%, 인도 6.0%, 기타 2.3% 순으로 점유

하고 있다. 또한, 세계 태양광 시장은 2012년 98 GW에서

2025년 505 GW로 성장할 전망이며, 연평균 성장률이 13.4%

로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 태양광 시장은 유럽이

56.3%로 가장 비중이 높으며 북미 13.0%, 중국 10.7%, 인도

4.5%, 기타 15.5% 순이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은

국가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은 유럽과 중국의 강세가 두드러

진다.

신규 에너지원 발굴과 함께 각 국가는 smart grid, 연료/

수소전지 등과 같은 첨단기술을 에너지 정책에 활용하고 있

다. 영국은 2011년 3월 모든 가정 및 소규모 기업에 스마트

계량기를 설치하는 중장기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15~20% 에너지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본은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 통합브랜드인 Ene-

farm 정책을 추진하고, 수소사회 진입을 목표로 수소관련 인

프라 구축 및 제도를 개선하고 있다. 미국은 Department of

Energy(DOE) 주도로 신재생 에너지, 에너지 효율 및 smart

grid 연구 개발에 약 19억 달러의 예산을 투입하여 적극 육성

하고 있다.

2.7 정보통신

통신기기 보급 확대와 네트워크 infra 증가로 정보통신 사

회로의 변화가 가속되고 있으며, 네트워크와 연계된 관련 산

업이 부상하고 있다. 특히,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기

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통신기기들이 연결됨으로써 smart

city, smart work, smart home으로 대변되는 connected living

이 개인 생활과 업무환경 및 도시 전체 인프라를 변화시킬

전망이다. 세계 connected living 시장은 2012년 2,277억달

러에서 연평균 15.7%로 성장하여 2020년 7,318억달러가 될 전

망이다. 이를 분야별로 보면, smart city 53.6%, smart work

31.2%, smart home 15.2% 순으로 나타나지만, 궁극적으로

는 가정, 직장, 이동 장소 등 모든 위치에서 실시간(real-time)

으로 구동하고 확인이 가능한 “wireless intelligence” 플랫폼이

구축될 것이다(그림 7).10

이와 같이, 급변하는 정보통신 사회에서 인공지능(AI),

big data, 가상현실, wearable technology, 3D 프린터, smart

healthcare 등의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 프로 바

둑기사 이세돌과 Google의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인 알파

고의 대결로 화제가 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

술은 인간의 인지능력, 학습능력 및 이해능력을 실현하는 기

술을 총칭하는 것으로, 2015년 2억 달러 규모에서 2024년 11

조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 60%로 전망되고 있다.11

이러한 인

공지능을 활용하면, 인간의 육체적 한계를 극복하고 노동력

을 대체할 수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인공지능과 로봇기술

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발표하였으며, 이에 따

르면 2020년에는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이 콘크리트공, 청원

경찰 등 단순 반복적이고 감정에 기초하지 않는 업무들을 대

체할 것으로 예측했다.12

또한, 기존데이터를 통합/수집,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로

사용하는 기술인 big data가 마케팅, 보안, 기상, 의료,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됨으로써 2018년까지 연평균 26.4%

로 성장하여 415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가상현실 디바이스 시장은 디바이스 가격 하락에 힘입

어 2014년 7천만 달러에서 2018년 4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13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산업들이 융합

Page 7: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 CHERIC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498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6. 2030년

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

500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7. Wireless intelligence 전망.10

그림 8. 인공지능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12

(convergence)하여 새로운 기술, 새로운 산업, 새로운 제품

을 등장시키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앞서 언급된 big

data와 가상현실 기술의 융합으로 만들어진 wearable technology

제품이다. 또한 의료 산업과 정보통신 산업의 융합은 네트워

크를 통한 원격의료 및 건강 모니터링으로 대표되는 smart

healthcare 시장을 창출하였다.

세계 각국은 정보통신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

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의 big data R&D initiative,

유럽의 euro cloud project 및 일본의 active Japan ICT 전략

등이 대표적이며, 한국도 2014년 5월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연차별로 실행 계획을 마련하

여 추진 중에 있다.

2.8 Healthcare

최근 healthcare 산업은 다양한 사회적, 기술적 환경 변화

에 따라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인구 고령

화, 정부 정책, 기술 발전 등의 환경적 요인을 바탕으로 글로

벌 healthcare 산업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세계 healthcare 산업은 2010년 7.3조 달러에서 연평균

Page 8: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 CHERIC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498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6. 2030년

우상선

고분자 과학과 기술 제27권 5호 2016년 10월 501

그림 9. Healthcare paradigm의 변화.8

그림 10. 세계 친환경 자동차 시장 현황 및 전망.14

5.9%로 성장하여 2020년에는 12.9조 달러를 형성할 전망이며,

이는 세계 GDP의 12% 수준이다. 분야별로는 의료 및 서비

스 분야가 83.6%, 제약 및 바이오 11.7%, 의료기기 4.7% 순

으로 구성된다. 세계 인구의 고령화, 의료비 증가 및 wellness

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healthcare 산업의 paradigm이 질병

의 사후 치료에서 사전 예방(예측, 진단, 모니터링 등)으로

shift할 전망이다(그림 9).8

주요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원격진료 디바이스/소프트웨

어, 기능성 식품, 의료 시스템 등의 유관 산업이 발전할 전망

이다. 원격진료 디바이스 중의 하나인 wearable 디바이스 세

계 시장은 2015년 33억 달러에서 연평균 17.7%로 성장하여

2020년 78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또한 기능성 식품시장은

2013년 1,600억 달러에서 연평균 7% 성장하여 2020년 2,100

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이 외에도, 의료용 로봇, smart

pill, 유전 진단 기술과 sensored drug 등의 산업도 활발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2.9 Mobility

세계 자동차 시장 규모는 2012년 10억 2천만대에서 연평

균 3.7%로 성장하여 2020년 13억 4천만대로 증가할 전망이

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31.9%, 북미 24.0%, 서유럽 17.0, 동유

럽 8.8%, 남미 6.3%, 기타 12% 순이며, 특히 아시아 지역의

연평균 성장률이 7.0%로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자동차 산업은 온실가스 감축과 연비 규제에 따라 변화를 거

듭하고 있다. 친환경 자동차로 대표되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는 현재 전체 자동차의 1% 미만이지만, 환경에 대한

Page 9: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 CHERIC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498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6. 2030년

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

502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11.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컨셉트카 인트라도의 효성의 탄소섬유 차체.15

그림 12. 세계 retail 시장 현황.4

인식 변화, 정부 정책 등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

다. 세계 전기차 시장은 2012년 19만 대에 불과하였으나, 매

년 50%로 급격히 성장하여 2022년에는 1,300만 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이를 타입별로 보면, 순수 전기차 50%, 하이브리

드 48%, 기타 2% 순으로 보인다(그림 10).14

자동차 소재 산업도 차체 경량화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과

연비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5톤 자

동차를 10% 경량화하면, CO2는 2.5~8.8% 절감되고, 연비 성

능은 3.8% 개선된다. 이러한 이유로 자동차 경량화를 위해

기존 철을 대체하는 플라스틱, 탄소섬유복합재료, Al/Mg

등의 신소재 및 구조 혁신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 자동차 한

대당 플라스틱 비중은 약 12%이나, 2035년에는 약 20%로 높

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선진국 대비 다소 늦은 1990

년대 말부터 개발이 시작되었으나, 기술 발전은 급격히 이루

어지고 있다. 최근, 세계 최대 복합재료 전시회인 JEC에서 현

대차는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컨셉트카 인트라도를 공개했으

며 여기에는 현대차의 동력 시스템과 효성의 소재(탄소섬유)

기술이 만들어낸 제품이다. 인트라도는 그 기술력을 인정받

아 JEC Europe 2015 Innovation Awards를 수상했으며, 이는

국내 소재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 볼 수 있다(그림 11).15

2.10 구매 구조의 변화

세계 retail 시장은 2011년 11.8조 달러에서 연평균 4.9%

로 성장하여 2025년에는 23조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지역별

로는 중국 31.7%, 미국 24.3%, 인도 10.1%, 일본 7.3%, 브라

질 6.1%, 기타 20.5% 순이다. 특히, 중국, 인도, 브라질을 중

심으로 BRICs 국가의 시장 점유율이 2011년 37%에서 2025

년 49%로 대폭 급증할 전망이다.

Page 10: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 기술 - CHERIC특별기고 | 미래 Megatrends와 유망산업·기술498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5, October 2016 그림 6. 2030년

우상선

고분자 과학과 기술 제27권 5호 2016년 10월 503

세계 retail 시장의 이슈는 on-line retail로의 변화이다.

PC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off-line에서 직접 보고 구매하던

방식에서 on-line으로 정보 취합 및 구매하는 방식으로 변화

했다. 향후, on-line retail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25

년에는 전체 시장의 19%(4.3조 달러)를 차지하고, 더욱 확대

될 것으로 전망한다. 지역별로는 미국과 중국이 가장 큰 시장

을 형성하여 2025년 전체시장의 42%를 차지할 전망이다.

3. 결론

미래 사회는 인구 고령화가 가속되어 “healthcare”산업

이 발전하고, 구매력 있는 Y세대의 비중이 커지며 post-BRICs

신흥국 경제권이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거대 도시의

출현으로 도시의 infra, 에너지 등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smart grid”, “smart energy”, “smart security”,

“smart buildings” 등의 산업이 발전할 것이다.

이러한 신흥국 경제 부상과 도시 인구의 증가는 에너지,

물, 식량 등 자원에 대한 수요의 부족을 가속화시켜, 전통 화

석연료인 석탄, 석유와 원자력 에너지가 감소하고 신재생 에

너지(풍력, 태양광), 천연가스 등 친환경 자원이 대체될 것이

며, 물 산업, 농생명 산업이 발전할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과 사물간의 “정보”와

“지식”을 교환하는 쌍방향 소통이 가능해지고, big data, 사

물인터넷, on-line 구매 등 관련 산업이 성장할 것이다.

세계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 정부 정책 등에 힘입어 전기

차 성장이 예상되며,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탄소섬유 복합

재료 등 소재의 비중이 증가하여 미래 신소재 개발이 경량화

기술의 핵심이 될 것이다.

미래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기는 힘들지만, 상기와 같이

미래의 megatrends를 살펴봄으로써 산업과 기술의 패러다

임이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대비를 잘 한다면 개인과 기업의 성장과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기고문이 미래를 준비하는 공학도

와 산/학/연에 종사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

를 기대하면서 마무리하고자 한다.

참고 문헌

1.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0 Revision,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2011.

2. International Data Base World Population by Age and Sex: 2011, U.S. Census Bureau, 2012.

3.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The 2011 Revision,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2012.

4. World’s Top Global Mega Trends To 2025 and Implications to Business, Society and Cultures, Frost&Sullivan, 2015.

5. “Booz Allen Hamilton, Light! Water! Motion!”, Strategy + Business Magazine, Issue 46, 2007.

6. World Water Supply and Demand, International Water Management Institute(IWMI), 2000.

7. BP Energy Outlook 2030, BP Global, 2013.8. Innovating with Mega Trends, Frost&Sullivan, 2015.9. World Energy Outlook, International Energy Agency(IEA),

2014.10. Looking Through the Crystal Ball: Mega Trends that will Shape

the Future of the World, Frost&Sullivan, 2010.11. 인공지능 기술과 산업의 가능성, ETRI, 2015.12. AI·로봇-사람, 협업의 시대가 왔다,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

센터, 2016.13. Virtual Reality Software Revenue Forecasts 2014-2018, KZero

Reports, 2014.14. Market Outlook Of The Electric Vehicle Market And Charging

Infrastructure, Frost&Sullivan, 2014.15. Hyosung to Showcase Tansome at JEC Europe 2015, Business

Korea News, 2015.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