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Date post: 29-Aug-2019
Category:
Upload: others
View: 8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37
유용 버섯자원의 활용을 위한 인공자실체 대량증식 연구 (I) 생물자원연구부 김창무, 이원호, 이인경, 우은주 Massive cultivation of mushrooms for applic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I) Changmu Kim, Won Ho Lee, In-Kyoung Lee, Eun Ju Woo Biologic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국립생물자원관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Transcript
Page 1: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유용 버섯자원의 활용을 한 인공자실체

량증식 연구 (I)

생물자원연구부

김창무, 이원호, 이인경, 우은주

Massive cultivation of mushrooms for

applic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I)

Changmu Kim, Won Ho Lee, In-Kyoung Lee, Eun Ju Woo

Biologic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국립생물자원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Page 2: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i -

요 약 문

1. 제목

유용 버섯자원의 활용을 한 인공자실체 량증식 연구(I)

2. 연구목

가. 체계 인 유용물질 탐색 연구를 한 인공자실체 량증식 기법 개발

나.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인 버섯의 인공배양체로부터 생리활성물질 탐색

3. 연구내용 방법

가. 연구내용

1) 야생버섯 자실체의 량증식 기법 탐색

2) 량 증식 목재부후균의 활용성 탐색을 한 활성 검증

나. 단계별 세부 연구방법

1) 야생버섯 자실체의 량증식 기법 탐색

가) 목재부후균 10균주의 인공자실체 형성 여부 검정

나) 유용물질탐색 가능 목재부후균 5균주의 인공자실체 량 증식

2) 량 증식 목재부후균의 활용성 탐색을 한 활성 검증

가) 량증식 목재부후균 5균ㅓ 한 물질추출 활성검증

항산화(anti-oxidant activity), 항비만, 항균활성 평가

4. 연구결과

가.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결과

1) 새로운 야생버섯 균주 확보

2) 버섯 인공배양체로부터 생리활성 물질 탐색

3) 체계 인 생리활성 물질 탐색 연구를 한 버섯자실체 량 증식 기법

개발

5. 연구결과의 활용에 한 건 의

가. 활용계획 기 효과

1) 국가생물자원배양센터(미생물자원과)를 통한 새로운 야생버섯 균주 분양

2) 체계 인 량증식법 개발로 버섯 활용 증 (연구재료 식품 등)

Page 3: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ii -

목 차

요약문 ····················································································································· i

목차 ························································································································ ii

표 목차 ·············································································································· iii

그림 목차 ·········································································································· iv

Abstract ················································································································ v

I. 서론 ··················································································································· 1

II. 연구방법 ·········································································································· 4

1. 목재부후균 균주의 종균 형성 ································································· 4

가. 목재부후균 균주의 선별 종원 제조 ········································ 4

나. 목재부후균의 량증식 실험 ······························································ 5

2. 인공자실체의 활성검증 ············································································· 6

가. 인공자실체로부터 천연물 추출 ·························································· 6

나. 인공자실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분석 ············································ 7

다. 인공자실체 추출물의 항비만활성 분석 ·········································· 10

라. 인공자실체 추출물의 항균활성 분석 ·············································· 11

III. 연구결과 ······································································································· 12

1. 목재부후균 종원 형성 량증식 ················································· 12

가. 목재부후균 종원 형성 결과 ·························································· 12

나. 인공자실체 량증식 결과 ································································ 14

2. 추출물의 활성검증 ················································································· 16

가. 인공자실체로부터 천연물 추출 결과 ·············································· 16

나.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분석결과 ························································ 17

다. 추출물의 항비만활성 분석결과 ························································ 19

라. 추출물의 항균활성 분석결과 ···························································· 21

IV. 고찰 ·············································································································· 24

V. 참고문헌 ······································································································ 28

Page 4: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iii -

표 목 차

표 1. 종원 제작을 해 이용된 균주 종원 제작 결과 ··············· 13

표 2. 량 인공 증식된 버섯 황 ······························································· 15

표 3. 버섯추출물의 감압농축 결과 ······························································· 17

표 4. 버섯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결과 ························································· 18

Page 5: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iv -

그 림 목 차

그림 1. 인공자실체 련 연구를 한 네트워크 ········································· 3

그림 2. 종원 제작 과정 ················································································· 4

그림 3. 지재배 모습과 지재배 기단계 모습 ····································· 5

그림 4. 감압농축 메탄올 버섯추출물 보 모습 ··································· 6

그림 5. 메탄올 추출물의 분배추출 과정 ······················································· 7

그림 6. ABTS radical cation 소거 활성 평가 방법 ·································· 7

그림 7. DPPH radical 소거활성 평가 방법 ·················································· 8

그림 8. Iron chelation 활성 측정 방법 ························································· 9

그림 9. 철 착화합물 형성 활성에 따른 CAS 용액의 색깔 변화 ············ 9

그림 10. Reducing power activity 평가방법 ············································· 10

그림 11. 톱밥배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종원 ··········································· 12

그림 12. 자실체 형성된 모습 ········································································· 14

그림 13. 수확된 인공자실체 ··········································································· 16

그림 14. 분배추출 과정 분배추출물의 모습 ········································· 17

그림 15. Pancreatic lipase 해 활성분석 결과 ········································ 20

그림 16. 지방분화 억제 활성분석 결과 ······················································· 21

그림 17.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에 한 항균 활성 ·········· 22

Page 6: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v -

A bstract

The methanolic extracts of dried mushroom were analyzed for

antioxidant activity, antifungal activ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anti-obesity activity. For this analysis, 5 mushroom strains such as

Hericium erinaceum, Pleurotus salmoneostramineus, Agrocybe aegerita,

were massive cultured using oak sawdust. The ethyl acetate extract and

butanolic extract obtained through the distribute extraction of A. aegerita

were significantly high activity on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test.

Also these two extracts showed high activity on reducing power test. P.

salmoneostramineus(NASS02510)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y activity. Oddly, the antifungal activity

test by the paper disk method in all the samples showed antifungal

activity on Magnaporthe grisea. Especially the ethyl acetate extract and

butanol extract of P. salmoneostramineus and H. erinaceum(FMRI7135)

showed the strongest antifungal activity on M. grisea. Through the

analysis such as antioxidant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besity

activity, showed once again that mushrooms have a variety of bioactive

molecules.

Page 7: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1 -

Ⅰ. 서 론

버섯은 생태계에서 유기물의 분해자로써 매우 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

으며, 최근에는 버섯이 단순한 생태계의 분해자가 아니라, 식물과의 공생 계

로 인해 산림생태계의 건 성을 좌우하는 핵심요소라는 사실에 한 연구결과

들이 많이 알려지고 있다(Finnlay & Read, 1985; Gilbertson, 1980; Han et al.,

2003; Simard et al., 1997). 한 버섯은 로부터 인간이 식품의 하나로써 섭

취해 왔으며, 버섯이 갖고 있는 맛, 아로마틱 향, 조직감 등으로 인해 요리의

부재료 혹은 주재료도 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Valentao et al., 2005). 한

고 으로 버섯은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의학에서도 많은 분석에 따

른 결과 약용버섯이 항암, 면역증강 등 다양한 역에서 효과가 있음이 밝

지고 있다(Wasser & Weis, 1999; Mau et al., 2001; Wasser, 2002; Zaidman

et al., 2005).

최근 기기분석 등의 발달로 인해 버섯 성분 분석결과 버섯의 함유 양소

들에 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특히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 조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미량원소도 풍부하여 단백질 공 원으로도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박정석, 2008). 한 균사체의 추출물뿐만이 아니라 배

양액도 다양한 약리작용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건강식품이나 의약

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Cha, 2004; Jung et al., 1996; Jung et

al., 1996).

일반 으로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는 많은 버섯들이 항산화활성을 갖고 있

으며, phenolic 성분들이 크게 연 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Barros et al.,

2007). 몇몇 연구는 total phenol과 항산화활성에 한 연 성을 재배 야생

에서 채취된 생버섯과 요리된 버섯을 통해 비교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Elmastas et al., 2007; Mau et al., 2001). Keles et al.(2011)에 따르면 버섯의

메탄올 추출물은 다양한 실험 인 항산화시스템에서 상당한 항산화활성을 가

지고 있으며, 이는 버섯이 천연 항산화제로 쉽게 이용될 수 있고 건강식품이

나 약품산업의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식품 의약품으로써의 가치가 높은 버섯을 최근 환경문제의 유

발원인 오염원의 제거에 활용하고자하는 연구들이 많아지고 있다. 연구의 주

요 트랜드는 오염원을 버섯재배의 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많이 이

루어지고 있는데 그 가 음식폐기물 추출물을 이용한 느타리버섯균의 재배시

도 이다(임정수 et al, 2009). 이처럼 버섯을 활용한 연구가 다양화 되는 이유

Page 8: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2 -

는 그 상품성과 가능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약 1,600여종의 버섯이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지만,

산업화 등에 응용되는 종은 고작 20종 내외이다. 이는 야생에서 채취되는 양

은 한정이 되어 있고,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버섯에 한 생리약학 분석이

미비한 것도 한 원인일 것이다. 더불어 생리활성물질을 연구하고 있는 국내

연구자들이 버섯이 좋은 연구소재임을 알고 있지만, 쉽게 근하지 못하고 있

는 이유도 소재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소

재의 확보를 야생에서 확보하기 어렵다면 인공 재배하여 연구소재로 활용하는

것도 명한 방법일 것이다. 그러나 실 으로 인공 재배되는 종들은 부분

이 식품으로 이용되는 종(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양송이 등)들이다.

버섯의 인공재배를 해서는 종균, 배지재료, 재배시설, 재배기술이 필수

으로 요구되며, 이 에서도 유 으로 형질이 안정하며 잡균에 한 항성

이 강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우량종균의 확보가 최우선 으로 고려 상이다

(Goltapeh & Kapoor, 1989). 생물자원 에서는 우량 종균의 직 개발보다는

추후 우선 연구 상 종이 선발이 되면, 홍보와 연구발표 등을 통해 선발된 종

에 한 가능성 등을 알려 종균생산의 기술력을 갖고 있는 문 연구기 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명하다고 단하고 있다.

버섯의 인공재배는 앞에서 설명했듯이 다양한 제약이 따른다. 가장 일반

인 제약이 문화된 시설과 재배노하우이다. 이는 실 으로 짧은 시간에 해

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해 공동연구 시스템

의 구축이 필수 이라고 하겠다. 한 인공 재배된 버섯으로부터 천연물을 추

출하고 다양한 생리활성을 분석하는 것도 고도의 문지식과 장비가 필수 이

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 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큰

주제로 삼았다. 그 결과 버섯의 재배시설과 재배 기술력이 뛰어난 산림조합

앙회 산림버섯연구소, 버섯유래 천연물의 추출과 활성분석의 오랜 경험을 갖

고 있는 북 학교 윤 식 교수연구 그리고 버섯 균주의 국내 최 보유기

인 농 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석순자 박사연구 과 같이 하나의 공동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림 1에서와 같이 4개 연구 이 공동으로 균주

선별에서부터 인공재배와 천연물의 활성검증까지의 일련의 연구과정을 진행하

다. 향후 본 연구과제가 지속될 경우 올해에 구축된 이 네트워크에 다양한

활성검증이 가능한 연구 을 추가하여 연구 성과물의 활용도를 극 화할 계획

이다.

Page 9: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3 -

그림 1. 인공자실체 련 연구를 한 네트워크

본 연구의 목 은 버섯의 인공재배를 한 품종을 만들거나 품종을 개량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천연물로써 활용도가 높다고 단되지만 야생에서 채

취의 한계 문제로 인해 진행속도가 느린 버섯 천연물 연구를 해 야생의 버

섯을 인공 재배하는 것이 가장 크다. 이러한 시도속에서 인공재배에 한 노

하우와 인공 증식된 버섯의 천연물에 한 생리활성분석을 통해 국내 버섯산

업 발 과 크게는 생물 산업의 발 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Page 10: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4 -

Ⅱ. 연구방법

1. 목재 부후 균 균 주의 종 균 형 성

가. 목재부후균 균주의 선별 종원 제조

야생에서 목재부후균은 죽은 나무 혹은 생나무에 서식하는 종들이 부분

이다. 이러한 목재부후균들은 목재가 서식처이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하게 될

인공배지인 톱밥배지와 가장 잘 어울린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해 생물

자원 이 소장하고 있는 목재부후균 균주 에서 Microporus verricipes

(FGC0040) 등을 포함한 총 4 의 균주, 국립농업과학원 소장 목재부후균 균

주 Hericium erinaceum(NAAS03578) 포함 총 5 의 균주와 산림버섯연구소

소장 H. erinaceum(FMRI7135) 1 포함하여 총 10 의 균주를 실험 상 균

주로 선별하 다.

그림 2. 종원 제작 과정.

Page 11: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5 -

선별된 균주는 PDA 배지에서 균사가 90mm plate의 3/4 넘게 자랐을 때

균사와 배지를 같이 오려내어 멸균된 참나무톱밥에 종하 다(그림 2). 이때

사용된 톱밥배지는 1,100ml 종균배양병에 톱밥과 겨를 8:2로 혼합하여 65%

수분을 첨가하여 고압 살균하여 비하 다. 오염을 막기 해 clean bench에

서 모든 작업을 진행하 다. 종된 톱밥배지는 25℃ 배양실에서 배양하 다.

나. 목재부후균의 량증식 실험

종원의 제조가 완료된 균주에 해 지재배방법을 이용한 량증식을

시도하 다. 지재배는 1.3kg 단 로 진행하 으며, 종원으로부터 멸균된

약수 로 1~2번 정도씩 지에 종하 다. 이때 모든 과정은 멸균된 시설내

에서 진행하 다. 종이 완료된 톱밥재배 지는 1차 으로 톱밥내에 균사가

원활하게 퍼지도록 하기 해 23℃내외에서 배양하 다. 이때까지는 지를 개

하지 않았다. 균사가 지 체 으로 넓게 퍼지면, 자실체 발생유도를 해

17±2℃, 상 습도 90±5%의 조건에서 배양하 다. 자실체 발생유도가 잘 이루

어진 재배 지는 자실체가 원활하게 자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기 해 열

어주었다.

그림 3. 지재배 모습과 지재배 기단계 모습

인공자실체가 형성된 것들은 지속 으로 성숙된 자실체를 수확하여, 38~

40℃의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보 하 다. 1차 수확이 마무리된 재

배 지는 2차 수확을 해 지의 면에 흠집을 내어, 흠집난 부분으로 버

섯 자실체가 형성되도록 유도하 다. 이 게 형성된 자실체는 동일한 방법으

로 열풍 건조하여 보 하 다. 이때 생산효율분석을 해 총 생체 량과 건조

량 등을 측정하여 기록하 다. 이는 향후 생산성 악에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Page 12: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6 -

2. 인공자실체의 활성 검 증

가. 인공자실체로부터 천연물 추출

1) 버섯의 메탄올 추출

량 증식된 5 의 버섯은 메탄올 추출법을 이용하여 천연물을 추출하

다. 건조된 버섯의 량을 측정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분쇄한다. 분쇄된 버

섯샘 이 충분히 잠길 정도로 메탄올을 넣어,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추출한다.

추출된 버섯은 Whatman No. 4 필터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반복하여

메탄올을 넣어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추출한다. 추출된 버섯은 같은 방법으로

여과과정을 거친다. 여과된 메탄올은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의 무게를 측정하

다. 버섯 메탄올 추출물은 용기에 넣어 다음 단계의 실험 까지 냉장 보 하

다(그림 4).

그림 4. 감압농축 메탄올 버섯추출물 보 모습

2) 메탄올 추출물의 분배추출

5 의 버섯 메탄올 추출물을 농축하여 메탄올을 제거 한 후, 극성이 낮은

용매에서 극성이 높은 용매 순으로 순차 으로 분배 추출하 다. 다시 말해,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을 이용하여 그림 5과 같은 방법으

로 추출하 다.

Page 13: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7 -

그림 5. 메탄올 추출물의 분배추출 과정

나. 인공자실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분석

1) 항산화 활성 평가 방법

가)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ABTS cation radical 소거 활성은 radical 소거 활성이 있는 항산화제에

의해 무색으로 변하는 특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그림 6). 양성 조구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butylated hydroxy anisol), 천연 항산화제인 caffeic

acid와 tocophelol의 유도체인 trolox를 사용하 다(Re et al., 1999; Jung et

al., 2008).

그림 6. ABTS radical cation 소거 활성 평가 방법.

Page 14: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8 -

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앙에 질소를 갖는 합성된 DPPH는 화학 으로 안정화된 free radical로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 자를 내어주면서 radical이 소멸되고 색이

변하는 특성이 있다(그림 7). 양성 조구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

(butylated hydroxyanisol), 천연 항산화제인 caffeic acid와 tocopherol의 유도

체인 trolox를 사용하 다(Blois 1958).

그림 7. DPPH radical 소거활성 평가 방법.

다) Iron chelation activity

Iron chelation 활성은 미생물의 siderophore를 탐색하기 해 사용하는 방

법으로 Schwyn 과 Neilands가 개발한 방법을 사용하 다. 즉 철을 함유한 메

탈 정 시약인 CAS(Chrome azurol S)에 추출물을 반응시켜, 철을 chelation

하는 정도를 640 nm에서 흡 도로 측정하 다. CAS assay는 그림 8과 같이

iron chelator를 함유하는 추출물에서는 CAS 용액의 색이 푸른색에서 핑크색

으로 변한다. 그러므로 핑크색으로 변하는 정도를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여

activity를 측정 하 다. 양성 조구로는 iron chelator로서 잘 알려진 DFO

(defferioxamine)를 사용하 다.

Page 15: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9 -

그림 8. Iron chelation 활성 측정 방법.

그림 9. 철 착화합물 형성 활성에 따른 CAS 용액의 색깔 변화.

라) Reducing power activity

Fe(III)을 Fe(II)로 환원시키는 능력을 측정하는 항산화활성 평가법으로

proton donating에 의한 환원력을 그림 10에 나타낸 방법으로 측정하 다. 700

nm에서 측정한 흡 도 값이 클수록 환원력이 높은 항산화 화합물임을 알 수

있다. 양성 조구로는 iron chelator로서 잘 알려진 DFO (defferioxamine)를

사용하 다.

Page 16: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10 -

그림 10. Reducing power activity 평가방법

다. 인공자실체 추출물의 항비만활성 분석

1) Pancreatic lipase 해 활성

본 시험에서는 lipase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pancreatic lipase를

이용하여 해활성을 측정하 다. Porcine pancreatlic lipase를 0.1 M tris-HCl

buffer에 100 μg/ml의 농도로 비한 후 시료와 10분간 방치하 다. 다음 기

질인 4-nitrophenyl butyrate (4-NPB)를 최종농도 0.5 mM이 되도록 가하여

반응을 시작하 다. 상온에서 15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진행하 으며 생성된

p-nitrophenol의 양을 405 nm에서 흡 도를 측정하여 반응의 해를 정량 으

로 단하 다. 시료는 첨가하고 기질인 4-NPB는 첨가하지 않는 반응액을

조군으로 하여 시료의 pancreatic lipase의 해정도를 단하 다.

2) 지방분화 억제활성

본 시험에서는 지방의 분화모델로 잘 알려진 3T3-L1 지방 구세포를

ATCC (미국)(CL-173)에서 분양받아 사용하 다. 3T3-L1 세포는 2.0 g/L 의

탄산수소나트륨, 10% 소태아 청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항생제(10,000

U/ml) 1%가 보충된 DMEM 배지(Gibco BRL, 미국)를 사용하여 70%의 습도

와 37℃의 온도가 유지되고, 5%의 이산화탄소가 공 되는 세포배양기에서 배

양하 다.

3T3-L1 세포는 48 well 배양 시에 배양한 후 confluent(세포가 배양 시

에 가득한 상태)하도록 유지한 후 이틀뒤에 분화를 유도하 다. 지방 분화는

0.5 mM IBMX(3-이소부틸-1-메틸산틴, 3-isobutyl-1-methylxanthine) 1 μM

인슐린, 1 μM 덱사메타손을 함유하는 DMEM 배지로 교환하여 시작하 다.

Page 17: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11 -

이틀 후 1 μM 인슐린을 포함하는 DMEM 배지로 교환하고 이틀 더 배양한

후 DMEM으로 교환하여 3-4일 더 배양하 다.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시

키면 세포질내에 지방이 축 되는 것을 미경으로 찰할 수 있으며 Oil Red

O로 염색하면 지방이 붉게 염색되어 찰이 용이해진다. 한 이를 이소 로

필알코올로 용출시키며 550 nm에서 흡 도를 측정하여 지방의 생성정도를 정

량하 다. 시료의 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하여 지방 분화기간 동안

시료를 처리하 으며 배지를 교환하면서 새로 첨가해주었다.

라. 인공자실체 추출물의 항균활성 분석

항균활성은 식물병원균인(진균류) Fusarium oxysoprium (시들음균),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 Botrytis cinerea (잿빛곰팡이 병원균),

3종과 Bacillus subtilis (고 균), E. coli ( 장균)인 세균 2종에 하여 paper

disc법으로 측정하 다. 시료의 양은 추출물 50 ug이었고, 진균류는 섭씨 27도

에서 2∼3일간 배양하 고, 세균은 27도에서 24 시간 배양하 다.

Page 18: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12 -

Ⅲ. 연구결과

1. 목재 부후 균 종 원 형 성 량증식

가. 목재부후균 종원 형성 결과

종원을 만들기 해 톱밥: 겨(8:2) 배양병에서 략 20일에서 40일까지

배양하여 종원으로 사용 가능한 수 을 얻었다. 10 의 균주가 큰 차이 없

이 종원으로써 활용 가능한 수 에 도달하 다. 그림 11은 제작 완료된

종원의 겉모습과 내부 모습이다. 분홍느타리의 경우는 조그마한 자실체 형태

를 보이기도 하 다.

그림 11. 톱밥배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종원. A: Pycnoporus coccineus(간버

섯), B: Microporus affinis(메꽃버섯부치), C: Wolfiporia cocos(복령), D:

Pleurotus salmoneostramineus(분홍느타리)

표 1은 10 의 균주를 이용한 종원 제작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에

서 볼 수 있듯이 Hericium erinaceum(노루궁뎅이) 균주가 3 으로 가장 많았

다. 한 Pycnoporus coccineus(간버섯)과 같이 일반 으로 표고버섯 농가에

서 해로운 버섯으로 취 받는 종도 종원까지는 형성할 수 있었다.

Page 19: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1

3 -

연번

명종

명균

주번

종일

 종

원량

 

완성

일기

간(일

)색

도특

이사

1Agrocybe

aegerita

NA

AS

011

61‘1

2.0

5.03

‘1

2.05

.30

2896

흰색

++

+ 

2Hericium

erinaceum

FM

RI7

135

‘12

.05.

03

‘12.

05.2

7 25

96흰

색+

++

3Lenzites

betulina

FG

C0

504

‘12

.05.

03

‘12.

05.2

4 22

96흰

색+

++

4Hericium

erinaceum

NA

AS

012

00‘1

2.0

5.03

‘1

2.05

.28

2696

흰색

++

+균

덩이

형성

5Microporus

verricipes

FG

C0

040

‘12

.05.

03

‘12.

05.2

4 22

96흰

색+

++

6Pleurotus

salmoneostramineus

NA

AS

025

10‘1

2.0

5.03

‘1

2.05

.27

2596

분홍

++

자실

체 형

7Schizophyllum

commune

NA

AS

023

17‘1

2.0

5.03

‘1

2.05

.24

2296

흰색

++

+

8Wolfiporia

cocos

FG

C0

392

‘1

2.0

5.03

‘1

2.06

.08

3796

흰색

++

+

9Hericium

erinaceum

NAAS03578

‘12

.05.

03

‘12.

06.0

1 30

96흰

색+

10Pycnoporus

coccineus

FG

C0

355

‘12

.05.

03

‘12.

05.2

2 20

96주

황+

++

 

1.

종원

제작

해 이

용된

제작

Page 20: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14 -

나. 인공자실체 량증식 결과

종원 제작에 성공한 10 에 해서 량증식을 해 온도와 습도가 조

되는 버섯 재배실에서 2달 정도 생육하 다. 그 결과 종원 상태에서 자실

체를 형성하는데 성공한 균주는 5 균주 다. 5균주의 생육과정의 모습은 그림

12와 같으며, 지재배의 면 혹은 윗부분에서 자실체가 잘 생육하 다.

그림 12. 자실체 형성된 모습. A: 버들송이, B: 분홍느타리, C&D: 노루궁뎅이.

간버섯(Pycnoporus coccineus)은 종원의 형태에서 붉은 색깔을 보여,

형 인 간버섯 특유의 색깔을 보 다. 하지만 자실체의 형성에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여, 지속 으로 배양실에서 배양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간버섯

이 표고재배용 원목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에 표고재배를 하고 있는 산림

버섯연구소에서 추후 발생되는 간버섯을 수집하여 천연물 추출과정을 진행할

계획이다. 더불어 참나무 원목에 간버섯 종균을 종하여 원목형태로 재배할

계획도 갖고 있다.

조개껍질버섯(Lenzites betulina)은 지재배시에 코르크질의 조 은 딱딱

한 덩어리형태로 생육하 다. 형 인 조개껍질버섯의 형태를 보이지는 않았

지만 분명히 균사체가 아닌 자실체의 형태 다. 조개껍질버섯도 간버섯과 마

찬가지로 원목에 종원을 종하여 원목재배를 시도해 보는 것이 좋을 것으

로 보여진다.

Page 21: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15 -

Strain No.Common

name

Totol

weight

(g)

Dry

weight

(g)

Individual

weight

(g)

BE

(%)

NAAS03578 노루궁뎅이 19,860 2,140 206.8 15.9

NAAS01200 노루궁뎅이 14,340 1,560 149.3 11.4

FMRI7135 노루궁뎅이 12,890 1,130 134.2 10.3

NAAS02510 분홍느타리 13,730 1,500 143.0 11.0

NAAS01161 버들송이 8,840 880 92.1 7.1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은 일반 으로 야생에서는 참나무 등의

활엽수에 많이 자생하는 종이다. 본 실험에서 자실체의 형태를 지재배에서

는 보이지 않았지만, 종균의 형성에서 보여진 가능성은 높다고 보여진다. 따라

서 향후 치마버섯도 원목 재배의 시도를 통해 자실체 형성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복령(Wolfiporia cocos)은 소나무뿌리에 기생하는 균으로 이번에 시도한

참나무톱밥 지재배에서의 자실체 혹은 균덩이 형성이 되지 않았다. 이는 일

반 인 복령의 생육환경과 인공 인 생육환경의 차이가 무 큰 이유인 것으

로 단된다.

표 2. 량 인공 증식된 버섯 황

량 증식된 버섯 5균주에 한 결과를 보면 표 2와 같다. 노루궁뎅이 3균

주의 인공자실체 형성이 가장 잘 이루어졌다. 건조 의 량을 보면 노루궁뎅

이 NAAS03578 균주가 총 19,860g으로 가장 많은 양을 보 다. 반면 버들송

이 균주는 8,840g의 자실체를 생산하 다. 생산된 버섯은 3차에 걸쳐 수확과정

을 걸쳤다. 버섯의 생육특성상 한 순간에 체 으로 자실체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1차 수확 후에 면에 자실체가 생육하기 좋도록 구멍을 뚫어주어 자

실체 그 구멍을 통해 지 밖으로 자랄 수 있게 하 다.

재배된 버섯은 수확후 바로 40도 미만 온도로 열풍건조하여 버섯의 손상

을 최 한 여 건조하 다(그림 13). 건조된 버섯은 하여 냉장고(4℃)에

보 하 다.

Page 22: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16 -

그림 13. 수확된 인공자실체. A: 분홍느타리, B: 버들송이, C & D: 노루궁뎅이

2. 추 출 물의 활성 검 증

가. 인공자실체로부터 천연물 추출 결과

열풍 건조된 버섯은 추출물의 수율계산을 해 메탄올 추출 바로 에 최

종 으로 량을 측정하 다. 믹서기를 이용해 잘게 쇄된 버섯에 메탄올 용

액을 첨가하여 2회에 걸쳐 추출 진행한 결과에 따른 추출물의 양은 표 3과 같

다. 이때 추출물의 양을 추출 시료의 양으로 나 어 수율을 계산한 결과

노루궁뎅이(FMRI7135) 균주의 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노루궁뎅이

균주 NAAS01200의 수율이 FMRI7135 균주 수율의 반수 으로 나타났다.

같은 종일 지라도 균주에 따른 수율의 차이기 극명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

다. 추출물의 수율은 추후 천연물을 활용한 제품 등의 개발에서는 매우 요

한 고려 상 의 하나이다. 같은 양의 건조 버섯에서 많은 양의 추출물을 얻

을 수 있는 것이 훨씬 경제 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히 추출물의 양이 많

다고 해서 그 버섯 균주가 우수하다고 볼 수는 없다.

Page 23: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17 -

Strain No. SpeciesDried

Weight(g)

Extracted

Weight(g)Yield(%)†

NAAS03578 H. erinaceum 2,140 803.750 37.5

NAAS01200 H. erinaceum 1,560 286.080 18.3

FMRI7135 H. erinaceum 870 335.959 38.6

NAAS02510 P. salmoneostramineus 1.500 339.290 22.6

NAAS01161 A. aegerita 680 193.560 28.5

표 3. 버섯추출물의 감압농축 결과

†Yield(%) = extracted weight / dried weight *100

메탄올 추출물 일부는 극성이 다른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분배추출을 실

시하 다. 분배추출은 hexane을 시작으로 butanol 까지 4개의 유기용매를 순

차 으로 이용하여 진행하 다. 마지막으로 물의 추출물까지 총 6가지(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 methanol)의 추출물을 최종 으로

확보하 다(그림 14). 확보된 분배추출물은 빛이 차단된 냉장고 보 하 다.

그림 14. 분배추출 과정 분배추출물의 모습

나.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분석결과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들송이(N1161) 시료

의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이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test에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 Reducing power 분석에

서도 가장 강한 활성을 보 는데, 이는 양성 조구와도 유사한 정도의 활성도

Page 24: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18 -

No. MeOH extracts

Partition(10 mg/ml)

ABTS (%)

DPPH (%)

Iron chelation

(%)

Reducing power

(Abs700nm)

1

N1200

43 6 30 0.216

2 Hexane 29 11 0 0.099

3 Chloroform 22 9 0 0.200

4 Ethyl acetate 34 10 6 0.253

5 Butanol 26 10 4 0.210

6 water 21 5 0 0.200

7

N2510

52 26 0 0.340

8 Hexane 17 4 0 0.061

9 Chloroform 23 7 1 0.092

10 Ethyl acetate 60 20 43 0.330

11 Butanol 59 31 2 0.466

12 water 46 31 1 0.426

13

N1161

81 28 0 0.397

14 Hexane 27 10 0 0.067

15 Chloroform 24 7 0 0.073

16 Ethyl acetate 89 42 19 0.450

17 Butanol 92 50 5 0.509

18 water 55 23 4 0.389

이다. 버들송이 다음으로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인 버섯은 분홍느타리(N2510)

로 양성 조구의 반정도 수 의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특이하게도 물추출물

의 활성도가 상 으로 높은 것으로 보여 진다. 이것은 일반 으로 식용버섯

이 조리될 때는 물을 이용하게 되는데, 물에 의해 유용한 추출물이 많이 추출

된다는 것은 기능성 식용버섯으로 가장 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해도 과

언이 아닐 것이다.

표 4. 버섯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결과

Page 25: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19 -

19

N3578

41 7 3 0.236

20 Hexane 25 8 0 0.103

21 Chloroform 18 6 0 0.108

22 Ethyl acetate 29 10 29 0.198

23 Butanol 3 0 6 0.044

24 water 8 0 7 0.095

25

F7135

55 17 0 0.307

26 Hexane 39 9 0 0.090

27 Chloroform 21 6 0 0.085

28 Ethyl acetate 33 9 2 0.203

29 Butanol 26 9 6 0.186

30 water 8 7 1 0.236

BHA 93 90

Trolox 94 90

DFO 100 0.415

다. 추출물의 항비만활성 분석결과

1) Pancreatic lipase 해 활성

5종의 버섯 추출물에 하여 100 µg/ml의 농도에서 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그림 15에서 보이듯이 control과 비슷한 수 의 해활

성을 나타내었으며, 노루궁뎅이(FMRI7135)버섯의 해활성이 가장 미약하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5종의 버섯 추출물은 Pancreatic lipase

해 활성이 미비하여 panceratic lipase 해를 통한 항비만활성은 이용하기 어

렵다고 생각된다(그림 15).

Page 26: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20 -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Control N3578 N1161 N1200 N2510 F7135

그림 15. Pancreatic lipase 해 활성분석 결과

2) 지방분화 억제활성

지방의 분화를 유도하면서 시료를 100 µ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고 생

성되는 지방에 미치는 향을 측정한 결과 분홍느타리(N2510)을 처리한 경우

가장 뛰어난 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노루궁뎅이(N1200)를 처리한 군에서도

지방의 축 이 해됨을 확인하 다(그림 16). 따라서 이들 분획은 지방 생성

을 효과 으로 억제함으로써, 비만의 방 는 치료에 유용하게 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Page 27: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21 -

0

20

40

60

80

100

120

Control N3578 N1161 N1200 N2510 F7135

그림 16. 지방분화 억제 활성분석 결과

라. 추출물의 항균활성 분석결과

항균활성을 보기 해 실시한 paper disk법의 결과에 따르면, 특이하게도

모든 시료에서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에 한 항균 활성을 나타

내었고, 특히 분홍느타리(N2510) 노루궁뎅이(F7135)의 ethyl acetate,

butanol 층에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그림 17, 표 5). 반면에 푸사

리움병을 일으키는 Fusarium oxysporium, 잿빛곰팡이병을 유발하는 Botrytis

cinerea, 비병원성의 고 균인 Bacillus subtilis, 장균인 Escherichia coli 등

에서는 해당 병원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즉 항균 활성

을 보이지 않았다.

번 실험에서는 주입하는 추출물의 양을 하나의 용량(50 ug)으로 진행하

으나, 향후 추가 인 실험을 통해서는 주입하는 추출물의 양도 달리해보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Page 28: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22 -

No. Strain Partition

(1mg/ml)

Fo1

(mm)

Mg2

(mm)

Bc3

(mm)

E. coli

(mm)

B. sub4

(mm)

1

N1200

Hexane - 23.9 - - -

2 Chloroform - 26.2 - - -

3 Ethyl acetate - 28.2 - - -

4 Butanol - 24.3 - - -

5 water - 23.3 - - -

그림 17.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에 한 항균 활성

분배추출물을 이용한 실험이었는데, 일반 으로 ethyl acetate와 butanol

추출물이 5개 샘 모두에서 다른 분배추출물보다는 높은 활성이 있음 알 수

있었다. 이는 ethyl acetate와 butanol 분배추출물이 향후 항균활성에 한 연

구에서 우선 집 으로 연구해야 하는 상임을 말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 벼도열병균에 한 높은 활성이 있는 분배추출물에 해서는 추출물내

특정 성분이 활성을 억제하는지 등에 한 추가 인 연구가 필요하다.

표 5. 버섯 추출물의 항균활성

Page 29: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23 -

6

N1161

Hexane - 21.9 - - -

7 Chloroform - 24.7 - - -

8 Ethyl acetate - 27.3 - - -

9 Butanol - 28.3 - - -

10 water - 25.6 - - -

11

N2510

Hexane - 21.3 - - -

12 Chloroform - 18.9 - - -

13 Ethyl acetate - 29.5 - - -

14 Butanol - 28.2 - - -

15 water - 23.8 - - -

16

N3578

Hexane - 23.2 - - -

17 Chloroform - 22.4 - - -

18 Ethyl acetate - 27.7 - - -

19 Butanol - 32.6 - - -

20 water - 23.3 - - -

21

F7135

Hexane - 21.3 - - -

22 Chloroform - 17.4 - - -

23 Ethyl acetate - 28.4 - - -

24 Butanol - 29.0 - - -

25 water - 24.1 - - -

* 1; Fusarium oxysoprium, 2; Magnaporthe grisea, 3; Botrytis cinerea, 4;Bacillus

subtilis

Page 30: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24 -

Ⅳ. 고 찰

자생 고등균류(버섯)의 산업 이용률을 보면 체 1,600여종에서 20여종

으로 겨우 1% 정도이다. 이는 식품자원과 각종 약용자원으로써 가치를 인정

받고 있는 상황으로 볼 때 무나 낮은 수 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버섯

자원에 한 활용도가 낮은 이유는 버섯자원의 유용성을 탐색하기 해서 필

수 인 자실체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야생에서 채취할 수 있는 양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 추출물을 얻기 해서는 최소한 건조 량 1kg 정도는 확보

가 되어야 원활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 의 해결책으로 야생에서 채

취한 버섯으로부터 분리배양을 통해 균주를 확보를 하고, 이 균주를 이용한

인공재배를 통해 버섯 양을 확보하는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천연물을 얻기

해 인공재배를 시도하기에는 일반 으로 어려움이 따르는데, 이러한 문제

으로는 경제 , 시설 측면과 자실체의 형성에 한 노하우가 있는가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 의 해결은 국가기 에서 인공재배를 통해 얻어진 버섯

으로부터 추출물을 확보하고, 학계나 산업계 연구자들이 이를 활용하여 유용

성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생물 산업에 직 으로 이용되게 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이러한 로세스를 해 네트워크 구축에 노력하 다. 그 결과 버섯재

배시설과 노하우가 뛰어난 산림조합 앙회 산림버섯연구소와 버섯추출물에

한 오랜 연구경험을 갖고 있는 북 학교 윤 식 교수 등과의 력체계를

확립하 다. 이는 향후 연구에 가속도를 주어, 실질 인 활용도를 높일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총 10균주에 한 종원 생성 실험은 모두 성공 이었으나,

자실체의 형성을 해 진행한 참나무톱밥배지를 이용한 지재배에서는 5 균

주 만이 성공하 다. 5 균주는 노루궁뎅이 3주, 분홍느타리 1주, 버들송이 1주

다. 3종의 균주를 이용한 노루궁뎅이버섯 생산은 모두 자실체가 형성되었으

며 균주에 따라 자실체의 모양 수량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인공재배를 통해 약 10~20kg 내외를 확보하 으며, 이를 건조한 결과

1~2kg의 샘 을 확보할 수 있었다. 생산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균주는 노루

궁뎅이(NAAS03578)이었으며, 같은 종이라도 균주에 따른 생산량에는 차이가

있었다. 추후 배지의 재료 용기에 따른 추가 실험을 통해 최 의 생육조건

을 잡는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 분홍느타리와 버들송이에서 자실

체가 잘 발생하 으나 하나의 생육실에서 여러 종의 버섯을 혼합 생산함에 따

른 최 의 조건을 제시하지 못하 기에 추후에 추가 인 실험을 통해 생육 최

Page 31: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25 -

조건의 확립이 필요하다. 이번에 자실체를 형성하지 못했지만, 유용물질에

한 기 감이 큰 간버섯과 조개껍질버섯에 한 연구는 향후 계속해서 진행

할 계획이다.

일반 으로 가장 쉽게 근할 수 있는 생리활성 측면의 유용물질 탐색이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분석이다. 반면 최근 다이어트와 같은 식이조 을 한

보조제로 많은 식물 등이 이용되면서 항비만활성에 한 심이 높아지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의 세 가지 활성 즉 항산화활성, 항비만활성, 항균활성

분석을 시도하 다. 향후 다양한 유용물질탐색을 해서는 스크린 방법의 다

양화가 필수 일 것으로 보인다.

항산화제는 인체내 free radical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데,

free radical은 체내의 지질, 단백질, DNA 등 거의 모든 부분에 피해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lliwell & Gutteridge, 1984; Chang & Hayes,

1978). free radical에 의한 산화스트 스는 결과 으로 암, 신경계질환, 비만,

노화 등에 연 되어 있다(Valko, et al., 2007; Valko et al., 2006; Moreira et

al., 2008; Barja, 2004; Halliwell, 1996).

Wani et al.(2010)은 버섯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활성 실험결과

600ug/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 으며, 농도가 낮아질수록 활성이 낮

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한 종별 활성을 보면, Sarcoscyphae coccinea가 가

장 높은 활성을 보 고 Cantharellus cibarius, Bovista plumbea, Coprinus

comatus의 순으로 활성을 보 다. 타이완의 Mau et al(2002)은 약용버섯으로

이용되고 있는 Ganoderma lucidum, Ganoderma tsugae, Trametes versicolr

를 갖고 항산화 활성 분석을 실시하 다. 그 결과 G. lucidum과 G. tsugae가

항산화활성, reducing power, scavenging과 chelating abilities, 그리고 total

phenol content 등에서 높은 활성을 보 다. Hericium erinaceus(노루궁뎅이)

은 인체에 생리 인 요한 기능 등이 알려지고 있는데, 항산화 활성, 액내

glucose level 감소, 액내 지질 level 조정 등이다(Wang et al., 2005). 한

H. erinaceus 유래 polysaccharide는 궤양, 식도암, 간염, 피부암의 세포활동

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Mizuno, 1999; Mizuno et al., 1992).

다섯 균주의 버섯추출물에 하여 항비만 활성을 측정한 결과 5주의 모든

버섯 추출물들이 pancreatic lipase 해활성을 통한 지방 흡수 억제효능에서

는 미비한 결과를 보 다. 노루궁뎅이(N1200), 분홍느타리(N2510)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를 통한 지방 축 억제효능이 있음을 확인하 다. 따라서 이들은

비만의 방 치료에 효능이 있을 것으로 기 된다. 버섯 추출물의 항비만

Page 32: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26 -

활성에 한 연구는 많지 않은데, 최근 Ganoderma lucidum의 분말 5%를 먹

인 마우스 군에서 조군에 비해 한 체 감량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Amin et al., 2012). 한 항비만 라 아제(anti-obesity lipase) 억제제개발을

해 13종 버섯( , Cordyceps militaris, Hericium erinaceum, Ganoderma

lucidum, Inonotus obliquus, Agaricus blazei, Lentinus edodes 등) 메탄올

추출물을 통해 리 아제 억제활성을 본 결과에 따르면, Phellinus linteus 가

13종 에서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보 다는 보고가 있다(Lee et al., 2010). 이

번 실험에서 항비만 활성을 해서 메탄올 추출물만을 이용하 다. 향후 유기

용매의 극성차이에 의한 분획추출물을 갖고 실험을 진행하여, 항비만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규명하고 물질의 구조와 작용기작을 밝 야 할 것이다.

Magnaporthe grisea(벼도열병)은 벼 생산에 가장 치명 인 향을 미치

는 식물병원성 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 으로 약 85개국에서 출 하고

있다(Couch et al., 2005). 매년 벼도열병(M. grisea)으로 인해 6천 만명이 먹

을 수 있는 양의 이 손실되고 있다는 보고도 있을 정도로 국제 으로 농

업에 이슈화가 되는 병원성 균류이다. 재 병원균에 항성을 지닌 종자

의 품종개량을 통한 극복 노력을 많이 하고 있지만, 유 자변형(GMO) 등의

문제로 인해 쉽지만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병원성 균류의 억제를 해 생

물방제 개념이 재 지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화학 약물로 인해 환

경오염과 처리한 약물이 농작물에 잔류하는 문제 등에 한 안으로 세계

으로 심이 높은 분야이다. 국내 연구진이 최근 벼도열병 방제를 해 홍

조류인 참빗가지(Odonthalia corymbifera)에서 분리한 bromophenols를 이용하

여 glyoxylate cycle의 핵심 효소인 isocitrate lyase의 억제활성이 있음을 보고

한 바 있다(Lee et al., 2007).

본 연구결과에서 벼도열병(M. grisea)에 해 모든 샘 의 추출물이 항균

활성을 보인다는 것은 놀라운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버섯 추출물이 벼

도열병의 방제를 해 이용 될 수 있는 새로운 생물농약으로써의 가능성을 보

여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추가 으로 농도별 항균활성 등에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지며, 어떤 물질이 항균활성에 직 으로 향을 미치는

지에 한 것도 향후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생물자원의 활용이라는 주제에 해 막연한 의지와 생각만 존재한 것이

사실이다. 과연 어떠한 생물이 생물산업의 자원으로써 이용될 수 있을 지에

한 고려는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고민에서 가장 생물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은 생물 분류군이 균류, 즉 버섯이라고 생각된다. 버섯의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가치는 이미 잘 알려진 상태이고, 한 약품의 원료로써

Page 33: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27 -

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버섯은 인공재배라는 과정

을 걸쳐야만이 활용가능한 수 의 생물량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에서 단

지 식용버섯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떠나서 다양한 버섯종에 한 인공재배 가

능성에 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향후 이를 활용한 유용성의 탐색에 한

근이 훨씬 쉬워질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사업을 통해 확보된 연구 네트

워크를 더욱 확 하고 발 시켜, 우리나라 자생 버섯 균주를 활용한 실질 인

생물자원화를 이루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Page 34: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28 -

V . 참 고 문헌

박정석. 2008. 버섯의 식품 가치. 농 진흥청 농업기술정보

임정수, 이소진, 이은 . 2009. 음식폐기물 추출물을 이용한 느타리버섯균의 최

성장조건.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85-89.

Amin R, Islam MZ. Sen M, Eva SN, Jesmin S, Nahar S. 2012.

Anti-obesity effect of mushroom (Ganoderma lucidum) on

experimentally induced obese rats. Anwer Khan Modern Medical

College J. 3: 11-14.

Barja G. 2004. Free radicals and aging. Trends Neurosci. 27: 595-600.

Barros L, Ferreira MJ, Queiro's B, Ferreira ICFR, Baptista P. 2007. Total

phenols, ascorbic acid, β-carotene and lycopene in Portuguese wild

edible mushroom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ood Chem. 103:

413-41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Cha WS. 2004. A study on the mycelial growth of Agrocybe aegerita in

flask culture. J. Life Sci. 14: 560-566.

Chang ST, Hayes TH. 1978. Health benefits of mushrooms. American

Academic Press of Nutrition. p 137-143.

Couch BC, Fudal I, Lebrun MH, Tharreau D, Valent B, van Kim P,

Notteghem JL, Kohn LM. 2005. Origins of host-specific populations of

the blasst pathogen Magnaporthe oryzae in crop domestication with

subsequent expansion of pandemic clones on rice and weeds of rice.

Genetics. 170: 613-630.

Elmastas M, Isildak O, Turkekul I, Temur N. 2007.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unds in wild edible mushrooms. J. Food

Compost. Anal. 20: 337-345.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 33-50.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84. Oxygen toxicity, oxygen radicals,

transition metals and disease. Biochem. J. 219: 1-14

Finnlay RD, Read DJ. 1985.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vegetative

mycelium of ectomycorrhizal plants: translocation of C-labeled carbon

Page 35: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29 -

between plants interconnected by a common mycelium. New Phytol.

103: 143-156.

Gilbertson RL. 1980. Wood-Rotting fungi of North America. Mycologia 72:

1-49.

Goltapeh EM, Kapoor JM. 1989. New substrates for spawn production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Lange)Singer. Mushroom Sci. 12:

281-285

Han SY, Shon MY, Lee SW. 2003.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ycelial

Flammulina velutipes cultured in liquid grain media. Kor. J. Food Nutr.

8: 50-56.

Jung GT, Ju IO, Kang KH, Park IW, Hong JS. 1996. Production of

Pleurotus spp. mycelium using rancid frying oils. Kor. J. Bio. 11:

527-576.

Jung GT, Kim KY, Choi JS, Hong JS, Kim KJ. 1996. The production of

mushroom mycelium using rancid oil of fried chicken. Kor. J. Mycol.

24: 305-309.

Jung JY, Lee IK, Seok SJ, Lee HJ, Kim YH, Yun BS. 2008. Antioxidant

polyphenols from the mycelial culture of the medicinal fungi Inonotus

xeranticus and Phellinus linteus. J. Appl. Microbio. 104: 1824-1832.

Keles A, Koca I, Genccelep H. 2011. Antioxidant properties of wild edible

mushrooms. J. Food Pro. Tech. 2: 6.

Lee H-S, Lee T-H, Lee JH, Chae C-S, Chung S-C, Shin D-S, SHin J, Oh

K-B. 2007. Inhibition of the pathogenicity of Magnaporthe grisea by

Bromophenols, isocitrate lyase inhibitors, from the red alga Odonthalia

corymbifera. J. Agric. Food Chem. 55: 6923-6928.

Lee J-K, Jang J-H, Lee J-T, Lee J-S. 2010. Extraction and charactristics

of anti-obesity lipase inhibitor from Phellinus linteus. Mycobiology 38:

52-57.

Mau JL, Chao GR, Wu KT. 2001. Antioxidant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veral ear mushrooms. J. Agric. Food Chem. 49:

5461-5467.

Mau J-L, Lin H-C, Chen C-C. 2001. Non-volatile components of several

medicinal mushrooms. Food Res. Int. 34: 521-526.

Mizuno T, Wasa T, Ito H, Suzuki T, Ukai N. 1992. Antitumor-active

Page 36: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30 -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the fruiting body of Hericium erinaceus:

an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 called Yamabushitake or Houton.

Biosci. Biotech. & Biochem. 56: 347-348.

Mizuno T. 1999. Bioactive substances in Hericium erinaceus (Bull.: Fr.)

Pers. (Yamabushitake), and its medicinal utilization. Int. J. Med. Mush.

1: 105-119.

Moreira PI, Santos MS, Oliveira CR, Shenk JC, Nunomura A, Smith MA,

Zhu X, Perry G. 2008. Alzheimer disease and the role of free radicals

in the pathogenesis of the disease. CNS Neurol. Disord. Drug Targets.

7: 3-1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cal Biol. Med. 26: 1231-1237.

Simard SW, Perry DA, Jones MD, Myrold DP, Durall DM, Molina R. 1997.

Net transfer of carbon between ectomycorrhizal tree species in the

field. Nature 388: 579-582.

Valentao P, Lopes G, Valente M, Barbosa P, Andrade PB et al. 2005.

Quantitation of Nine organic acids in wild mushrooms. J. Agric. Food

Chem. 53: 3626-3630.

Valko M, Rhodes CJ, Moncol J, Izakovic M, Mazur M. 2006. Free radicals,

metals and antioxidants in oxidative stress-induced cancer. Chem. Biol.

Interact. 160: 1-40.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Wang JC, Hu SH, Wang JT, Chen KS, Chia YC. 2005. Hypoglycemic

effect of extract of Hericium erinaceus. J. Sci. Food & Agri. 85:

641-646.

Wani AH, Boda RH, Taskeen-un-Nisa, Peer LA. 2010.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ushrooms growing in Kashmir Valley. Mycopath. 8:

71-75.

Wasser SP, Weis AL. 1999. Medicinal properties of substances occurring in

higher Basidiomycetes mushrooms: current perspective. Int. J. Med.

Mushrooms. 1: 31-62.

Page 37: 국립생물자원관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9/004/001/5585134.pdf ·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중에 우리는 공동연구 시스템의 구축을 하나의

- 31 -

Wasser SP. 2002. Medicinal mushrooms as a source of antitumor and

immunomodulating polysaccharides. Appl. Microbiol. Biotechnol. 60:

258-274.

Zaidman BZ, Yassin M, Mahajna J, Wasser SP. 2005. Medicinal mushroom

modulators of molecular targets as cancer therapeutics. Appl. Microbiol.

Biotechnol. 67: 453-468.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