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농업 부문 영향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농업 부문 영향은...

Date post: 27-Jul-2020
Category:
Upload: others
View: 1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1
22 2020년 7월 15일 수요일 제483호 기획 코로나19 여파 국내외 거시경제지표 하방 리스크 확대 코로나 19 글로벌 확산 이후 실물 경기 위축과 금융시장 불확실성 심 화 등 세계 및 국내 경제의 하방 리스 크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연초 보다 하향조정 됐다. Global Insight는 한국 경제성장률 을 (’19.12.) 1.55%→(’20.1.) 1.56→(’ 20.2.) 1.49→ (’20.3.) 0.21→(’20.4.) △ 0.06→(’20.5.) △0.94로 하향 조정함.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9.12.) 2.56% → (’20.1.) 2.53 → (’20.2.) 2.46 → (’20.3.) 0.68 → (’20.4.) △3.02→(’ 20.5.) △5.49로 하향 조정함. IMF(’20.4.)는 중국경제성장률을 3.6%→1.2, 미국 2.0→△5.9, EU지역 1.3→△7.5, 일본 0.7→△5.2, 신흥국 4.4→△1.0, 한국 2.2→△1.2로 하향 조정함. 최근 금융시장 불확실성 심화와 유 가 하락세 지속 세계경제 불황 위험 전망으로 안전 자산인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 하여 달러 강세 지속, 원화 약세로 환 율이 상승했다. 경기침체 극복을 위해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지속적으로 하락시키고 있으며(최근 0.5%), 양적완화(QE) 및 채권시장 안정대책 등으로 5년 국고 채 금리는 1.21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국제유가는 미국 원유재고 증가, 공급과잉 구조 지속으로 OPEC+ 감 산 합의에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 감소폭(세계에너지기구(IEA) 의 세계 석유 수요 전망 하향 조정) 상 쇄 부족 우려, 서부텍사스유(WTI) 5 월물 만기 시점이 다가오면서 발생한 매도 포지션 증가 등으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부정적 영향 농업부문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여 이동 제 한, 국가 간 입국 제한 등의 조치가 강화돼 사회경제적 위축 상황이 발 생, 경기침체가 초래함으로써 농업 부문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 경기침체,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농산물 소비가 많은 외식산업이 극 심히 위축되고, 농업생산도 외국인 노동력의 확보가 어려운 여건이다. 코로나19로 인한 농업·농촌부문 영향을 총량적으로 파악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농업부문 파급 (세계경제 위축) 코로나19 장기화 에 따른 세계 경제성장률의 하락으 로 국산 농산물의 해외시장 소비가 위축되며, 이로 인한 수출량 감소 및 총수요 감소가 국산 농산물의 가격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한국경제 위축) 경제성장률 하락 영향으로 가처분소득이 감소하며, 국내 농산물 수요 감소로 이어져 가 격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GDP 디플레이터 하락 또한 국내 명목 경제성장률을 하락시켜 국내 가처분 소득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환율 상승) 원화가치가 하락하면 수출입 양측 모두에서 가격 변동 요 인으로 작용했다. 수출 측면에서는 국산 농산물의 가 격경쟁력이 높아져 해외 수출수요가 증가하고 수입 측면에서는 수입가격 상승으로 대체관계인 국산 농산물의 수요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외국산 농산물 수요(수입) 감소가 국내 시장 총공급량을 감소시켜 가격이 상승하 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제유가 하락) 비료, 농약, 광열비 등 농업투입재 가격 하락이 구입가격 지수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내외 코로나19 확산 상황 가정해 시나리오 상정 유럽과 미국 등 코로나19의 글로 벌 확산 이후, World Bank, Global Insight, IMF에서 최근 발표한 거시 경제지표 전망치를 준용하여 시나리 오를 설정했다. 코로나19가 국내는 6월 말 이후 안 정화되는 반면, 국외 확산은 지속되 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상황을 시나 리오1, 국내 및 국외 확산이 연간 계 속 지속되는 부정적인 상황을 시나 리오2로 설정했다. 세계 경제성장률은 Global Insight 의 최근 전망치(’20.5.15.)인 Δ5.49% 로 설정했다. 한국 경제성장률은 World Bank(Δ 2.59%) 전망치를 시나리오2로, 가장 긍정적인 Global Insight(Δ0.94%) 전 망치를 시나리오1로 설정했다. 국내 거시경제 지표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 GDP디플레이터 변화율, 이 자율은 Global Insight의 최근 전망 치(’20.5.15.)를 설정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0.63%, GDP 디플레이터 변화율, 1.60%, 이자율 1.35%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 이후 국제 유가의 급락과 환율의 급등을 반영 하기 위해 최근(3.9.~) 평균과 올해 (1.1.~) 평균을 범위로 설정하였음. 환율 : (3.9. 이전) 1,180.9원/달 러 → (3.9. 이후) 1,225.9, 국제유가: (3.9. 이전) 53.3달러/배럴 → (3.9. 이 후) 21.7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업부문 영 향분석 코로나19 영향으로 미국의 육류 공 급망에 차질이 생기면서 육류 교역가 격이 상승하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수입단가 는 베이스라인 대비 각각 3.0%, 8.5%, 2.6% 상승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 이전인 1~2월과 확산 이후인 3~4월의 전 년 동월 대비 수입가격 변화율을 비 교하면, 쇠고기(냉동)는 4.3%에서 7.1%로, 쇠고기(냉장)는 1.8%에서 4.4%로 확대되었으며, 돼지고기는 13.9%에서 22.4%, 닭고기는 10.6% 에서 13.2%로 확대됐다. 코로나19 확산 직후, 사회적 거리 두기 운동 등으로 외식수요는 감소하 였으나 외출 자제로 가정 소비가 증 가하고 있다. 특히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등 육류 수요가 크게 증가하 였으며, 이를 반영하고자 육류 수요 는 베이스라인 대비 0.5%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환율상승, 수출 확대 가능성 미미 이론적으로는 환율 상승효과로 수 출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코 로나19 확산으로 인한 해외수출 항 공편의 중단·감축 운행과 해외 유통 매장 방문객 감소로 수출 확대 가능 성이 미미하다. 코로나19의 국내 및 국외 확산이 지속됨에 따라 물류교역이 제한될 것으로 가정하여 국산 농산물 수출 량은 베이스라인과 동일한 수준으로 가정한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농업 부문 영향은 무엇인가 코로나 여파 국내 농업부문에 미친 영향 추정 韓 농업부문 생산액 베이스라인 대비 1% 감소 거시경제지표 변동에 따른 파급 영향 경로 거시경제지표 세계경제 위축 한국경제 위축 환율상승 국제유가 가처분 소득 감소 국산 가격 경쟁력 강화 외국산 수입 가격 상승 외국산 수유 감소 해외시장 수요감소 국내 수요감소 해외시장 수요증가 국산 대체 수요증가 수입량 감소 총수요 판매가격 총공급 구매가격 농촌경제연구원이 발간한 농정포 커스의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 업부문 영향 분석’을 통해 △코로 나19가 우리나라 농업부문에 미 친 영향 △한국 농업부문 생산액 의 변화 등 코로나19 확산으로 농 업 분야에서의 변화들을 분석해봤 다. 본지는 농촌경제연구원의 분 석보고서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사 태로 농업 부문의 수요 및 공급의 변화와 향후 포스트 코로나의 변 화는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지에 대해 上, 下로 나눠 정리해봤다.
Transcript
Page 1: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농업 부문 영향은 무엇인가pdf.kamnews.co.kr/483/48322.pdf · 2020-07-17 · 22 교 제483호 기획 코로나19 여파 국내외 거시경제지표

22

2020년 7월 15일 수요일

제483호

기획

코로나19 여파 국내외 거시경제지표 하방 리스크 확대

코로나 19 글로벌 확산 이후 실물

경기 위축과 금융시장 불확실성 심

화 등 세계 및 국내 경제의 하방 리스

크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연초 보다 하향조정

됐다.

Global Insight는 한국 경제성장률

을 (’19.12.) 1.55%→(’20.1.) 1.56→(’

20.2.) 1.49→ (’20.3.) 0.21→(’20.4.) △

0.06→(’20.5.) △0.94로 하향 조정함.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9.12.)

2.56% → (’20.1.) 2.53 → (’20.2.) 2.46

→ (’20.3.) 0.68 → (’20.4.) △3.02→(’

20.5.) △5.49로 하향 조정함.

IMF(’20.4.)는 중국경제성장률을

3.6%→1.2, 미국 2.0→△5.9, EU지역

1.3→△7.5, 일본 0.7→△5.2, 신흥국

4.4→△1.0, 한국 2.2→△1.2로 하향

조정함.

최근 금융시장 불확실성 심화와 유가 하락세 지속

세계경제 불황 위험 전망으로 안전

자산인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

하여 달러 강세 지속, 원화 약세로 환

율이 상승했다.

경기침체 극복을 위해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지속적으로 하락시키고

있으며(최근 0.5%), 양적완화(QE) 및

채권시장 안정대책 등으로 5년 국고

채 금리는 1.21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국제유가는 미국 원유재고 증가,

공급과잉 구조 지속으로 OPEC+ 감

산 합의에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 감소폭(세계에너지기구(IEA)

의 세계 석유 수요 전망 하향 조정) 상

쇄 부족 우려, 서부텍사스유(WTI) 5

월물 만기 시점이 다가오면서 발생한

매도 포지션 증가 등으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부정적 영향 농업부문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여 이동 제

한, 국가 간 입국 제한 등의 조치가

강화돼 사회경제적 위축 상황이 발

생, 경기침체가 초래함으로써 농업

부문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

경기침체,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농산물 소비가 많은 외식산업이 극

심히 위축되고, 농업생산도 외국인

노동력의 확보가 어려운 여건이다.

코로나19로 인한 농업·농촌부문

영향을 총량적으로 파악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농업부문 파급

(세계경제 위축) 코로나19 장기화

에 따른 세계 경제성장률의 하락으

로 국산 농산물의 해외시장 소비가

위축되며, 이로 인한 수출량 감소 및

총수요 감소가 국산 농산물의 가격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한국경제 위축) 경제성장률 하락

영향으로 가처분소득이 감소하며,

국내 농산물 수요 감소로 이어져 가

격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GDP 디플레이터 하락 또한 국내

명목 경제성장률을 하락시켜 국내

가처분 소득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환율 상승) 원화가치가 하락하면

수출입 양측 모두에서 가격 변동 요

인으로 작용했다.

수출 측면에서는 국산 농산물의 가

격경쟁력이 높아져 해외 수출수요가

증가하고 수입 측면에서는 수입가격

상승으로 대체관계인 국산 농산물의

수요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외국산

농산물 수요(수입) 감소가 국내 시장

총공급량을 감소시켜 가격이 상승하

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제유가 하락) 비료, 농약, 광열비

등 농업투입재 가격 하락이 구입가격

지수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내외 코로나19 확산 상황 가정해 시나리오 상정

유럽과 미국 등 코로나19의 글로

벌 확산 이후, World Bank, Global

Insight, IMF에서 최근 발표한 거시

경제지표 전망치를 준용하여 시나리

오를 설정했다.

코로나19가 국내는 6월 말 이후 안

정화되는 반면, 국외 확산은 지속되

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상황을 시나

리오1, 국내 및 국외 확산이 연간 계

속 지속되는 부정적인 상황을 시나

리오2로 설정했다.

세계 경제성장률은 Global Insight

의 최근 전망치(’20.5.15.)인 Δ5.49%

로 설정했다.

한국 경제성장률은 World Bank(Δ

2.59%) 전망치를 시나리오2로, 가장

긍정적인 Global Insight(Δ0.94%) 전

망치를 시나리오1로 설정했다.

국내 거시경제 지표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 GDP디플레이터 변화율, 이

자율은 Global Insight의 최근 전망

치(’20.5.15.)를 설정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0.63%, GDP

디플레이터 변화율, 1.60%, 이자율

1.35%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 이후 국제

유가의 급락과 환율의 급등을 반영

하기 위해 최근(3.9.~) 평균과 올해

(1.1.~) 평균을 범위로 설정하였음.

환율 : (3.9. 이전) 1,180.9원/달

러 → (3.9. 이후) 1,225.9, 국제유가:

(3.9. 이전) 53.3달러/배럴 → (3.9. 이

후) 21.7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코로나19 영향으로 미국의 육류 공

급망에 차질이 생기면서 육류 교역가

격이 상승하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수입단가

는 베이스라인 대비 각각 3.0%, 8.5%,

2.6% 상승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 이전인

1~2월과 확산 이후인 3~4월의 전

년 동월 대비 수입가격 변화율을 비

교하면, 쇠고기(냉동)는 4.3%에서

7.1%로, 쇠고기(냉장)는 1.8%에서

4.4%로 확대되었으며, 돼지고기는

13.9%에서 22.4%, 닭고기는 10.6%

에서 13.2%로 확대됐다.

코로나19 확산 직후, 사회적 거리

두기 운동 등으로 외식수요는 감소하

였으나 외출 자제로 가정 소비가 증

가하고 있다. 특히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등 육류 수요가 크게 증가하

였으며, 이를 반영하고자 육류 수요

는 베이스라인 대비 0.5%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환율상승, 수출 확대 가능성 미미

이론적으로는 환율 상승효과로 수

출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코

로나19 확산으로 인한 해외수출 항

공편의 중단·감축 운행과 해외 유통

매장 방문객 감소로 수출 확대 가능

성이 미미하다.

코로나19의 국내 및 국외 확산이

지속됨에 따라 물류교역이 제한될

것으로 가정하여 국산 농산물 수출

량은 베이스라인과 동일한 수준으로

가정한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농업 부문 영향은 무엇인가코로나 여파 국내 농업부문에 미친 영향 추정

韓 농업부문 생산액 베이스라인 대비 1% 감소거시경제지표 변동에 따른 파급 영향 경로

거시경제지표

세계경제 위축

한국경제 위축

환율상승

국제유가

가처분 소득감소

국산 가격경쟁력 강화

외국산 수입가격 상승 외국산

수유 감소

해외시장수요감소

국내수요감소

해외시장수요증가

국산 대체수요증가

수입량감소

총수요

판매가격

총공급

구매가격

농촌경제연구원이 발간한 농정포

커스의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

업부문 영향 분석’을 통해 △코로

나19가 우리나라 농업부문에 미

친 영향 △한국 농업부문 생산액

의 변화 등 코로나19 확산으로 농

업 분야에서의 변화들을 분석해봤

다. 본지는 농촌경제연구원의 분

석보고서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사

태로 농업 부문의 수요 및 공급의

변화와 향후 포스트 코로나의 변

화는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지에

대해 上, 下로 나눠 정리해봤다.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