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Date post: 07-Apr-2020
Category:
Upload: others
View: 0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20
20 INTERNET & SECURITY FOCUS September 2014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산업팀 선임연구원([email protected])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산업팀 연구원([email protected])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산업팀 팀장([email protected])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FOCUS 2 성기훈*, 유지영**, 임준형*** 전세계적으로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인터넷 주소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기존 인터넷주소 체계인 IPv4의 주소 고갈로 인해 IPv6를 도입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 지만 국가별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IPv6를 도입하고 확산시키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 다. 각국의 정부는 IPv6를 확산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추진하고자 노력하 고 있지만 어떤 기준에 입각하여 정책을 수립해야 하는지 결정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 다. 본 연구에서는 IPv6의 필요성과 도입율에 대해서 살펴보고, 다양한 거시 경제 지표 및 정보통신 지표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IPv6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서론 . IPv6 도입율 현황 1. IPv6 도입율 개념 2. 주요 IPv6 도입율 지표 .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2. 분석 방법 . 연구 결과 1. 데이터 수집 2. 분석 결과 . 결론 및 시사점
Transcript
Page 1: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20 INTERNET & SECURITY FOCUS September 2014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산업팀 선임연구원([email protected])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산업팀 연구원([email protected])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산업팀 팀장([email protected])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FO

CU

S

2

성기훈*, 유지영**, 임준형***

전세계적으로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인터넷 주소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기존 인터넷주소 체계인 IPv4의 주소 고갈로 인해 IPv6를 도입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

지만 국가별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IPv6를 도입하고 확산시키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

다. 각국의 정부는 IPv6를 확산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추진하고자 노력하

고 있지만 어떤 기준에 입각하여 정책을 수립해야 하는지 결정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

다. 본 연구에서는 IPv6의 필요성과 도입율에 대해서 살펴보고, 다양한 거시 경제 지표

및 정보통신 지표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IPv6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Ⅰ. 서론

Ⅱ. IPv6 도입율 현황

1. IPv6 도입율 개념

2. 주요 IPv6 도입율 지표

Ⅲ.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2.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데이터 수집

2.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Page 2: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FOC

US

21

Ⅰ. 서론

정보통신기술 발전의 역사는 인터넷의 발전과 맞물려있다.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인터넷은

거래의 비용 중 정보수집 및 통신과 관련된 비용을 크게 절감시킨다. 이것은 산업이라는 개

념이 생겨난 이후로 인터넷이 가장 최초로 또한 가장 빠르게 전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특별

한 수단이며 도구로 자리매김하게 된 이유를 설명해주는 특징 중 하나이다. 사실 인터넷의

확산은 90년대 초부터 예견된 과정이었지만 인터넷이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에 대한 전망은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한정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하지만 지금은 인터넷을 빼놓

고 그 어떤 것도 상상하기 어렵다.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인터넷 주소 즉 Internet

Address는 인터넷의 핵심 요소이다. 인터넷을 활용하는 통신은 이 인터넷 주소를 반드시 사

용해야만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환경이 확대될수록 인터

넷주소에 대한 수요 역시 늘어나게 된다. 32비트의 IPv4 주소체계에서는 최대 43억 개 정도

의 인터넷 주소를 사용할 수 있지만 2011년 말 사실상 고갈된 상황이다. 이로 인해 128비트

의 IPv6 주소체계로의 전환은 불가피하다. 사실상 무제한에 가까운 주소를 생성해낼 수 있는

IPv6로의 전환은 IPv4 주소 고갈과 더불어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 인터넷 기반 통신 환경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전세계적으로 IPv6 주소체계의 도입과 확산은 중요한 문제이지만 다양

한 이해관계와 비용적인 한계, 이용자들의 인식 수준으로 인해 전문가들의 예상보다 지연되

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민간 분야에서 자발적인 IPv6 도입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국가적으

로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것마저도 참고할 기준이 마땅치 않은 것이 현실이

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IPv6 도입 및 확산을 위한 정책은 대동소이하며, 선진국에서 새로운

시도를 시행하고 그에 대한 성과가 확인되면 후발 국가들이 이를 추진하는 형태의 수동적 접

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국가별로 인터넷 이용 환

경이 상이하고 정보통신 분야에 대한 국가적 의존도, 거시경제 수준 등 다양한 경제, 사회,

문화적 차이로 인해 유사한 형태의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것에 대한 효과성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가에서 IPv6 도입 및 확산에 대한 중요성을 인

식하고 있고 미래 산업 환경의 변화에 대한 선도적 대응을 위해 안정적인 인터넷 환경 구축

의 일환으로 IPv6 확산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Pv6 확산을 위한 정책 수립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별 IPv6 도입율을 살펴보고, 거시경제 지표 및 정보통신 지표 등

Page 3: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22 INTERNET & SECURITY FOCUS September 2014

다양한 지표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정책 수립 시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IPv6 도입율 현황

1. IPv6 도입율 개념

1) IPv6의 필요성

앞서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IPv6는 IPv4 주소체계를 대신하는 새로운 인터넷주소체

계로서, IPv4 주소 고갈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이다. 그

이유는 인터넷 통신 체계에서 IP가 갖고 있는 특수성 때문이다. 인터넷은 좁은 허리 구조

(narrow-waist)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넷에 접속된 모든 장비들이 IP를 중심으로 한 통신

스택의 다양한 프로토콜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위에서 수행되는 모든 응용 애플리케

이션들은 특정 통신 매체나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전우

직, 2013). 이로 인해 IP 중심의 인터넷 체계는 작은 구조적 변화에도 큰 영향을 받는 구조이

며, 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한다면 다른 모든 연결된 프로토콜과 애플리케이션 같은

요소들도 역시 완전히 바뀌어야만 한다. 이것은 인터넷을 활용하는 전산업의 변화를 요구하

는 시나리오로서 사실상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결국 이러한 이유로 인해 IPv4와 구조적으

로 큰 차이가 없는 IPv6의 도입은 어쩌면 유일한 대안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IPv6를 도입

할 수밖에 없는 또 다른 이유는 IPv6의 관리적 장점 때문이다. IPv6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무한대에 가까운 주소 개수와 자동주소설정(auto-configuration) 기능이다. 거의 무한대에

가까운 IPv6의 주소 체계에 의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통신 기기들은 개별적으로 전세계에서

유일한 주소를 갖게 되며, 통신 기기별로 할당되는 IPv6 주소는 네트워크와 시스템에서 자동

적으로 설정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즉, IPv6 주소 체계에서는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이용자,

즉 end-user가 추가적인 비용 없이 end-to-end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end-to-end 관

계는 인터넷 통신을 포함한 모든 거래(transaction) 관계에 있어서 완전한 이상적인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IP 기반의 인터넷 통신이 추구하는 목표이자 최종 종착지이다. 물론 완벽

한 end-to-end는 존재할 수 없지만 모든 통신 기기들이 고유의 식별 정보로 갖게 됨에 따

Page 4: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FOC

US

FOCUS 2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23

라 구조적으로는 end-to-end 연결을 위한 필수요건은 갖출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는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혁신의 기회

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사실 실제 이용자는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할 수 있다. 그간 IPv4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AT 장비 등을 활용하여 사설 IPv4 주소를 활용해 왔고, DHCP

방식 등을 이용하여 주소를 자동할당 받았기 때문이다. 이용자에게 있어서 장점은 IPv4 주소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 투자가 필요한 비용 부분이 절감됨에 따라 서

비스 효용(utility) 증가로 돌아온다는 점이다. IPv6를 통한 서비스는 IPv4에 비해 더 큰 데

이터 패킷 사이즈를 제공하기 때문에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QoS를 보장해주는 효용을 가져

온다. 또한 초기 투자비용을 제외한 운영적 측면에서 관리 비용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 역시

효용 증가로 볼 수 있다.

2) IPv6 도입율 개념

인터넷 기반 통신을 위해서는 라우터, 스위치, 서버, PC와 같은 장비들과 이를 통해 접근

하고자 하는 콘텐츠 등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상호 약속된 통신규약, 즉 IP에 종속되어 구

성되어야 한다. IPv6의 적용은 기존의 IPv4에서만 작동하고 있던 구성 요소들이 IPv6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 [그림 1]은 IPv6가 적용된 유무선 인터넷 망 구조

에 대한 것으로, 명시된 각각의 장비들의 IPv6 지원 여부에 따라 IPv6 전환을 판단할 수 있다.

IPv6 도입율은 앞서 언급한 구성 요소들의 IPv6 지원 수준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이다. 즉,

기존 IPv4 Only 장비를 IPv4와 IPv6 겸용장비 또는 IPv6 Only 장비 등으로 교체하거나 소

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IPv6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IPv6 도입이라고 하며, 도입

율은 전체 구성 요소 대비 IPv6 적용이 진행된 정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IPv6 도입을 표

현할 때 adoption과 deployment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사전적인 의미만으로 두 용어

의 차이를 명확히 구별하기는 어렵지만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adoption은

IPv6를 도입 했는지에 대한 여부, 즉 도입을 했거나 하지 않았거나 둘 중 한 가지 상태에 대

한 결정론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반면에 deployment는 IPv6 도입에 대한 규모 정도, 즉

도입을 많이 했는지 적게 했는지 혹은 IPv6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얼마나 존재하는지

에 대한 상대적인 확산 수준의 의미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표현하고 있는 IPv6 도입율은

후자의 개념을 의미하며 adoption은 IPv6 적용 혹은 채택에 가까운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즉, “IPv6 도입율(deployment)이 0%인 경우에는 IPv6가 적용(adoption)되지 않았다”라고

Page 5: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24 INTERNET & SECURITY FOCUS September 2014

해석할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공식적으로 통용되는 IPv6 도입율에 대한 표현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개념이 절대적이지 않음을 밝힌다.

2. 주요 IPv6 도입율 지표

IPv6 도입율은 측정 구간 및 대상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측정되고 있다. APNIC은 자체 개

발한 스크립트를 Google 광고 등을 이용해 배포하여 IPv6 사용도를 측정하고 있다. APNIC

스크립트에 노출된 이용자들의 로그가 APNIC 서버에 축적되면 이를 분석하여 이용자 구간

의 IPv6 트래픽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IPv6 도입율을 파악한다. Google은 자사의 웹사

이트에 IPv6로 접속하는 비율을 측정하여 국가별 IPv6 도입율을 제공하고 있다. Cisco의 경

우, 국가별 Transit AS 중 IPv6를 Transit하는 AS 번호의 비율과 IPv6 콘텐츠(웹사이트),

이용자 비율 등의 지표들을 종합하여 IPv6 도입율을 측정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IPv6 도입

율 측정 방법이 존재하며 아래 <표 1>에 자세한 내용을 기술해 놓았다. 자세한 내용은 각 기

관별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KISA, 무제한인터넷주소(IPv6) 확산 로드맵, 2014.

[그림 1] 유무선 인터넷망 IPv6 도입 구성 요소

Page 6: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FOC

US

FOCUS 2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25

<표 1> 주요 IPv6 도입율 측정 방법

구분 웹사이트 측정 방법 비고

APNIC

Labs

http://labs.apnic.

net/index.shtml

(이용자) 스크립트를 배포하여 이용자 단말의 IPv6

로그수집

Cisco

Systems

http://6lab.cisco.

com/stats/

(인프라) IPv6 prefix 통계

(인프라) IPv6주소를 전파하는 AS번호 비율

(콘텐츠) Alexa List 중 IPv6 사이트 비율

transit AS,

contents, user

통계를 합산하여

IPv6 도입율 계산

Hurricane

Electric

http://bgp.he.net/

ipv6-progress-

report.cgi

(인프라) BGP테이블내 IPv4와 IPv6의 AS개수 비교

(콘텐츠) 전체 대비 IPv6 지원(AAAA레코드 반환가능한)

TLD DNS 비율

(콘텐츠) Alexa List 중 IPv6 사이트 비율

Akamaihttp://www.

akamai.com/ipv6

(인프라/콘텐츠) 자사망내 트래픽량 측정(초당 IPv6 요청수)

국가별 통계 미제공(대륙별 통계만 제공)

Google

https://www.

google.com/intl/

en/ipv6/statistics.

html

(콘텐츠) 자사의 웹서버에 IPv6으로 접속하는 비율

출처: 각 기관별 웹사이트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별 IPv6 도입율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표를 포합하고 있는 Cisco의 자료를 기준으로 비교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Cisco의 IPv6 도입율은 백본망 구간의 라우팅 정보에 대한 실질적인 IPv6

도입 수준과 트래픽 기반의 콘텐츠 및 이용자의 IPv6 도입 수준을 모두 확인할 수 있기 때문

에 본 연구의 취지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Cisco의 콘텐츠, 이용자 지표는 Google

과 APNIC의 수치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범용성 측면에서도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1) 연구모형

본 연구는 국가별 IPv6 도입율과 거시경제 지표 및 정보통신 지표 간의 비교 분석을 수행

Page 7: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26 INTERNET & SECURITY FOCUS September 2014

하기 위해 아래 도식화된 형태의 연구 모형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IPv6 도입율은

Cisco의 자료를, 국가별 거시경제 지표는 OECD의 OECD Factbook을, 정보통신 지표는

World Economic Forum의 Networked Readiness Index의 자료를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활용 대상 자료에서 기초 데이터를 추출하고 해당 지표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여 상관

계수를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상관계수에 따른 군집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IPv6 확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한다.

2. 분석 방법

1)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에서는 지표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방법론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상관관계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 변수 간의 회귀분석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국

가별 동태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지표들의 특성 상 그 값이 전문가 설문에 의한 척도 및 순

위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귀분석을 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활용하고

있는 지표인 OECD Factbook의 거시경제 지표는 대부분 절대적인 값이기 때문에 회귀분석

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WEF의 지표들은 대부분이 앞서 언급한 전문가 설문에 의한

상대적인 값으로 이루어져 있다. 결국 동일한 기준에서 어떤 요인들이 IPv6 도입율에 영향을

[그림 2] 연구 모형

데이터수집

방법론적용

결과분석

IPv6 도입율(Cisco)

상관관계분석

군집화및

요인도출

거시경제 지표(OECD)정보통신 지표(WEF)

Page 8: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FOC

US

FOCUS 2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27

주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표값들을 정규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

한 과정은 통계적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회귀분석과 같은 여러 변수의 인과 관계를 동시에

살펴보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초적인 수준에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변

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시도로서 그 의미를 갖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지표별 해당 국가의 점수 혹은 값에 의한 국가별 순위를 비교 대상으로 사용하며, 주

요 지표별로 국가별 순위를 정규화하여 기초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Ⅳ. 분석 결과

1. 데이터 수집

1) 국가별 IPv6 도입율 : Cisco IPv6 Deployment

전세계적으로 IPv6 도입은 이제 막 시작된 단계이기 때문에 주요 선진국을 제외한 대부분

의 국가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도입율을 살펴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Pv6 전환

이 시작된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OECD 34개국 외에 경

제 규모, 성장속도, 잠재력 등을 고려하여 중국과 인도, 러시아 등 3개국을 추가하여 총 37개

국을 연구 대상으로 결정하였다. 해당 국가별 IPv6 도입율은 <표 2>와 같다.

Cisco의 IPv6 도입율 순위는 각 국가별 IPv6 deployment 수준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1위

는 가장 많은 IPv6 서비스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벨기에이며, 우리나라는 최하위인 중국과

함께 하위 그룹인 36위에 머물고 있다. 반면 일본은 상위권인 9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유

럽을 중심으로 IPv6 도입율이 높은 편이며 비유럽권으로 미국, 일본 등이 IPv6 도입에 앞장

서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살펴본 Cisco의 IPv6 deployment 지표 산출 방법에 의한 것

으로서, 이용자 비율이 높은 국가일수록 도입율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때문에 이

용자가 거의 없는 국가들이 전반적으로 낮은 순위에 위치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10위권 국

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transit AS와 content 전환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이용자 비율이

9.39%로 높기 때문에 6위라는 높은 순위를 보이고 있다. 미국보다 이용자 비율이 높은 국가

는 1위인 벨기에(28.20%), 2위인 스위스(11.80%), 3위인 독일(10.70%), 4위 룩셈부르크

(10.60%)로서 모두 높은 이용자 비율을 기록하고 있다.

Page 9: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28 INTERNET & SECURITY FOCUS September 2014

<표 2> 국가별 IPv6 도입율(2014.8월 기준)

순위 국가명 IPv6 eployment Prefixes Transit AS Contents Users

1 Belgium 46.72% 40.85% 75.66% 48.74% 28.20%

2 Switzerland 38.41% 50.24% 79.10% 52.32% 11.80%

3 Germany 37.34% 52.72% 82.03% 47.05% 10.70%

4 Luxembourg 35.28% 51.85% 69.25% 54.17% 10.60%

5 Norway 32.21% 53.82% 87.25% 50.70% 3.79%

6 United States 30.92% 38.08% 61.61% 45.61% 9.39%

7 France 30.67% 41.42% 73.57% 49.52% 5.41%

8 Slovenia 30.65% 57.76% 83.57% 52.55% 3.22%

9 Japan 29.42% 47.38% 83.21% 29.22% 4.52%

10 Czech Republic 29.27% 59.01% 61.12% 61.18% 5.69%

11 Netherlands 28.08% 50.20% 83.59% 50.92% 1.80%

12 Sweden 25.88% 56.97% 92.28% 46.70% 0.30%

13 Finland 24.05% 50.62% 84.24% 51.28% 0.31%

14 New Zealand 23.63% 37.44% 76.30% 44.91% 0.82%

15 Greece 23.36% 40.00% 59.71% 52.42% 2.41%

16 Austria 22.88% 56.71% 77.20% 46.46% 0.49%

17 Portugal 22.57% 40.00% 59.82% 49.73% 2.07%

18 Denmark 22.54% 49.06% 81.97% 46.58% 0.16%

19 Estonia 22.42% 45.28% 81.93% 47.69% 0.14%

20 Canada 22.21% 45.30% 74.51% 47.46% 0.48%

21 Australia 21.78% 28.29% 68.73% 45.38% 0.83%

22 India 21.03% 20.43% 77.21% 53.05% 0.10%

23 United Kingdom 20.90% 38.25% 74.84% 44.99% 0.19%

24 Ireland 20.09% 35.59% 65.58% 47.70% 0.51%

25 Spain 18.52% 27.88% 70.41% 50.00% 0.03%

26 Chile 17.91% 18.99% 69.54% 49.57% 0.01%

27 Iceland 17.85% 51.16% 71.40% 0.00% 0.18%

28 Turkey 17.47% 17.09% 67.09% 43.54% 0.02%

29 Hungary 17.41% 36.26% 64.20% 47.15% 0.07%

30 Italy 16.98% 31.02% 65.82% 48.82% 0.01%

31 Slovak Republic 15.66% 47.83% 52.40% 43.05% 0.27%

32 Poland 15.23% 42.17% 49.79% 42.89% 0.32%

33 Russia Federation 13.88% 35.31% 43.86% 33.46% 0.45%

34 Mexico 12.52% 35.37% 47.95% 49.62% 0.01%

35 Israel 12.37% 37.78% 43.59% 42.87% 0.09%

36 Korea 11.58% 19.01% 46.33% 36.20% 0.00%

37 China 5.85% 12.31% 19.26% 3.43% 0.56%

출처: Cisco, http://6lab.cisco.com/stats/index.php

Page 10: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FOC

US

FOCUS 2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29

2) 거시경제 지표 : OECD Factbook

OECD Factbook은 OECD에서 발간하는 통계연보로 경제, 사회, 환경 등 다양한 부문에

대한 지표들을 수록하여 국가 간의 비교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OECD는 2005년 이후로 매

년 OECD Factbook을 발간해오고 있으며, 주요 회원국 및 BRICS 국가의 통계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5월 발간된 OECD Factbook 2014를 기준으로 국가별 거시경

제 지표를 추출 및 가공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OECD Factbook 2014는 인구, 생산, 세계

화, 노동, 과학 기술 등을 포함한 12개의 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범주별로 다양한 지표들

을 국가별로 비교하여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지표들은 1) 국가의 거시

경제 흐름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자주 활용되고, 2) 국가의 경제규모를 반영할 수 있으며, 3)

인터넷 및 정보통신과의 연관성이 높은 것을 기준으로 선별되었으며, 데이터의 변별력이 부

족하거나 세부 데이터 부족으로 활용성이 낮은 지표는 제외하였다. 선택된 주요 지표는 인구

(population), 인구성장률(Population growth rate), 1인당 총생산(GDP per capita), 노동

시간당 총생산(GDP per worked hour), 국제무역수지(International trade in goods and

service), 해외직접투자(FDI), 인플레이션(inflation), 정보통신제품 수출(export of ICT

goods), 조세수입(tax revenue) 등으로, 국가적 차원의 경제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

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표 3> OECD Factbook 2014 주요 거시경제 지표

No. 대분류 지표명

1Population and migration

Population

2 Population growth rate

3Production and productivity

GDP per capita

4 GDP per worked hour

5

Globalization

International trade in goods balance

6 International trade in goods import

7 International trade in goods export

8 International trade in service balance

9 International trade in service import

10 International trade in service export

11 FDI outward

12 FDI Inward

13Prices

Inflation

14 Inflation in nonfood

15 Science and technology export of ICT goods

16 Government tax revenue

출처: OECD, http://www.oecd-ilibrary.org/economics/oecd-factbook_18147364

Page 11: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30 INTERNET & SECURITY FOCUS September 2014

3) 정보통신 지표 : WEF Networked Readiness Index(NRI)

NRI는 ICT의 복잡한 현실을 개념화하여 정책결정자 및 시민사회에 중요한 정책정보를 제

공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이다(차용진, 2012; WEF, 2002). 일반적으로 산업의 발전수준을

평가하는 것은 경쟁력 강화 및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한 대응력을 키우기 위함이다. 대부분의

산업에서 이와 같은 이유를 근거로 평가 체계를 수립하고 장기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고 있

다. ICT 분야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평가 지표들이 개발되어 활용되어 왔지만 자료

수집의 한계 및 객관적 지표의 한계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Economist

Intelligence Unit(EIU)이 발표하는 e-biz 준비도, 국제경영개발원(IMD)에서 발표하는 국

가경쟁력지수 중 ICT 분야에 해당하는 기술 인프라 부문,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디지털

기회지수(DOI) 등 많은 평가 지표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IPv6 도입에 보다 적합한 WEF의

NRI을 선택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NRI는 2002년부터 전세계 국가들의 ICT 발전 수준에

대한 정량적 자료와 전문가 설문을 취합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해오고 있다. 최근 2012년

부터는 관점이 다소 변하였다. 기존에는 국가별 ICT의 접근성(access)에 중심을 두고 자료를

구성하였다면 2012년 이후부터는 ICT의 영향력(impact)을 고려한 정보 제공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NRI는 IPv6 도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정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2014년 국가별 변별력을 확인하기 어려운 지표

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표를 본 연구의 비교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주요 지표들에 대한 내용

은 <표 4>와 같다.

<표 4> Networked Readiness Index 2014

No. 대분류 중분류 지표명

0 Networked Readiness Index

A Environment subindex

A.1 Political and regulatory environment

A.1.1 Effectiveness of law-making bodies

A.1.2 Laws relating to ICTs

A.1.3 Judicial independence

A.1.4 Efficiency of legal system in settling disputes

A.1.5 Efficiency of legal framework in challenging regulations

A.1.6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1.7 Software piracy rate

A.1.8 Number of procedures to enforce a contract

A.2 Business and innovation environment

A.2.1 Availability of latest technologies

A.2.2 Venture capital availability

A.2.3 Total tax rate

Page 12: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FOC

US

FOCUS 2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31

No. 대분류 중분류 지표명

A.2.4 Time required to start a business

A.2.5 Intensity of local competition

A.2.6 Tertiary education enrollment rate

A.2.7 Quality of management schools

A.2.8 Government procurement of advanced technology products

B Readiness subindex

B.3 Infrastructure and digital content

B.3.1 Electricity production

B.3.2 Mobile network coverage rate

B.3.3 International Internet bandwidth

B.3.4 Secure Internet servers

B.3.5 Accessibility of digital content

B.4 Affordability

B.4.1 Prepaid mobile cellular tariffs

B.4.2 Fixed broadband Internet tariffs

B.5 Skills

B.5.1 Quality of the educational system

B.5.2 Quality of math and science education

B.5.3 Secondary enrollment rate

C Usage subindex

C.6 Individual usage

C.6.1 Mobile telephone subscriptions

C.6.2 Internet users

C.6.3 Households with a personal computer

C.6.4 Households with Internet access

C.6.5 Fixed broadband Internet subscriptions

C.6.6 Mobile broadband Internet subscriptions

C.6.7 Use of virtual social networks

C.7 Business usage

C.7.1 Firm-level technology absorption

C.7.2 Capacity for innovation

C.7.3 PCT patents applications

C.7.4 Business-to-business Internet use

C.7.5 Business-to-consumer Internet use

C.7.6 Extent of staff training

C.8 Government usage

C.8.1 Importance of ICTs to government vision of the future

C.8.2 Government success in ICT promotion

D Impact subindex

D.9 Economic impacts

D.9.1 Impact of ICTs on new services and products

D.9.2 PCT ICT patent applications

D.9.3 Impact of ICTs on new organizational models

D.9.4 Share of workforce employed in knowledge-intensive activities

D.10 Social impacts

D.10.1 Impact of ICTs on access to basic services

D.10.2 Internet access in schools

D.10.3 ICT use and government efficiency

출처: World Economic Forum, http://www.weforum.org/issues/global-information-technology

Page 13: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32 INTERNET & SECURITY FOCUS September 2014

2. 분석 결과

1) OECD Factbook

유의 수준 내(p<0.05)에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 지표는 GDP per capita,

GDP per worked hour, FDI outward, Inflation, Tax revenue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DP per capita와 GDP per worked hour는 각각 0.638, 0.669의 높은 상관관계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과학에서 0.6 이상의 상관관계는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의미하

기 때문에 IPv6 도입율과 생산성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다음으

로 inflation과 tax revenue가 각각 -0.458과 0.444의 상관관계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inflation의 경우, 다른 상관계수와는 달리 음의 관계, 즉 국가별 inflation이 낮을수록 IPv6

도입율이 높을 것이라는 관계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 높은 세금을 징수할수록 IPv6

의 도입이 잘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약한 수준이지만 FDI outward 역

시 IPv6 도입율과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 지표들은 대체적으로 유럽 선진국형 경제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것으로 보인다. 높은 생산성에 기초하여 정부는 조세수입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물가를 안정화시킨다. 그리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제조기반을 해외로 이전시켜 지속

적인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를 수행한다. OECD 회원국 중 유럽 국가의 비율이 높기 때

문에 일부 상관관계 분석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전체적으로 이러한 경향성

자체는 뚜렷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본 지표 중 국제무역수지 관련 지표들은 IPv6 도입율과 상관

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이 국제 무역에 영향을 주고 있을 것이라는 예상

과는 다르게 아직까지는 큰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물론 ICT가 가져온 생산

성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인터넷의 역할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국가별로 상이한 산업·경제

구조, 주요 무역 거래 국가 및 인접 국가와의 관계 등으로 인해 인터넷의 영향력이 아직까지

는 확인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직접적으로 ICT와 관련된 지표(export of ICT

goods) 역시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어려운 수준의 관계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많은 정보통신

제품들이 인건비가 저렴한 개발도상국가나 중국 등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특정 제품군들은

일부 국가 혹은 기업들이 독과점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

된다.

Page 14: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FOC

US

FOCUS 2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33

<표 5> OECD Factbook 2014 분석 결과

No. 대분류 지표명 상관계수

1Population and migration

Population -0.242

2 Population growth rate 0.100

3Production and productivity

GDP per capita 0.638*

4 GDP per worked hour 0.669*

5

Globalization

International trade in goods balance 0.056

6 International trade in goods import -0.017

7 International trade in goods export 0.002

8 International trade in service balance 0.216

9 International trade in service import 0.154

10 International trade in service export 0.209

11 FDI outward 0.331*

12 FDI Inward 0.141

13Prices

Inflation -0.458*

14 Inflation in nonfood -0.215

15 Science and technology export of ICT goods -0.114

16 Government tax revenue 0.444*

* 유의수준 p<0.05 이내

2) Networked Readiness Index

IPv6 도입율과 NRI는 다양한 지표에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6 이상

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지표로는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과 software piracy

rate, availability of latest technologies, extent of staff training으로 각각의 상관계수

는 0.648, 0.640, 0.633, 0.619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부분의 지표에서 0.4~0.6 사이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RI의 종합지표 역시 0.505로 유의미한 상관관계

를 보여주고 있다.

OECD 거시경제 지표에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 Tax 부분은 NRI에서 오히

려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표의 값이 각각 GDP 대비 비율, 전체 수익

(profit) 대비 비율이고, 전체 tax의 규모를 산정하는 방법이 다소 상이하여 국가별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NRI 지표들의 전체적인 분석과정에서 정부의 ICT에 대한

적극성은 IPv6 도입율과 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 중요성에 대한 정부의 인지

수준, 효율적인 사용 등과 IPv6 도입율은 무관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오히려 규제와 법률

체계의 효율성이 IPv6 도입율과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분류 관점에서 IPv6 도입율과의 상관관계는 각각 환경 지표 0.499, 준비 지표 0.481,

사용도 지표 0.497, 영향도 지표 0.419 정도로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분류 관점

Page 15: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34 INTERNET & SECURITY FOCUS September 2014

에서는 정치/규제 환경 지표 0.569, 사업 혁신 환경 지표 0.374, 인프라 및 디지털 콘텐츠

0.542, 기술력 0.594, 개인사용도 0.500, 기업사용도 0.570, 경제적 영향도 0.504 등의 상

관관계가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ICT의 기반과 관련된 환경 지표와 기업 중심의 수용력에

있어서 IPv6 도입율과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 중 지적 재산권 보호 수준과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에 대한 부분은 일관성을

찾아보기 어렵다. 두 지표는 상호 간에 매우 밀접한 연관성(0.806)을 보인다. 하지만 상식적

인 수준에서 두 지표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거나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

이는 NRI 조사 시 지적 재산권 보호 수준에 대한 항목이 전문가 설문조사에 의한 것으로 실

제 현상과 괴리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 다른 특이점으로 모바일 단말 이용자 지표와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지표, 요금제 지표 역시 IPv6 도입율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개인 이용자 중심의 환경은 IPv6 도입율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보여준다.

<표 6> Networked Readiness Index 2014 분석 결과

No. 대분류 중분류 지표명 상관계수

0 Networked Readiness Index 0.505*

A Environment subindex 0.499*

A.1 Political and regulatory environment 0.569*

A.1.1 Effectiveness of law-making bodies 0.463*

A.1.2 Laws relating to ICTs 0.467*

A.1.3 Judicial independence 0.456*

A.1.4 Efficiency of legal system in settling disputes 0.474*

A.1.5 Efficiency of legal framework in challenging regulations 0.471*

A.1.6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0.648*

A.1.7 Software piracy rate 0.640*

A.1.8 Number of procedures to enforce a contract 0.518*

A.2 Business and innovation environment 0.374*

A.2.1 Availability of latest technologies 0.633*

A.2.2 Venture capital availability 0.348*

A.2.3 Total tax rate 0.060

A.2.4 Time required to start a business 0.075

A.2.5 Intensity of local competition 0.370*

A.2.6 Tertiary education enrollment rate 0.030

A.2.7 Quality of management schools 0.434*

A.2.8 Government procurement of advanced technology products 0.239

B Readiness subindex 0.481*

B.3 Infrastructure and digital content 0.542*

B.3.1 Electricity production 0.406*

Page 16: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FOC

US

FOCUS 2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35

No. 대분류 중분류 지표명 상관계수

B.3.2 Mobile network coverage rate 0.127

B.3.3 International Internet bandwidth 0.555*

B.3.4 Secure Internet servers 0.473*

B.3.5 Accessibility of digital content 0.490*

B.4 Affordability -0.105

B.4.1 Prepaid mobile cellular tariffs -0.213

B.4.2 Fixed broadband Internet tariffs 0.017

B.5 Skills 0.594*

B.5.1 Quality of the educational system 0.577*

B.5.2 Quality of math and science education 0.501*

B.5.3 Secondary enrollment rate 0.322

C Usage subindex 0.497*

C.6 Individual usage 0.500*

C.6.1 Mobile telephone subscriptions 0.096

C.6.2 Internet users 0.499*

C.6.3 Households with a personal computer 0.454*

C.6.4 Households with Internet access 0.439*

C.6.5 Fixed broadband Internet subscriptions 0.554*

C.6.6 Mobile broadband Internet subscriptions 0.202

C.6.7 Use of virtual social networks 0.398*

C.7 Business usage 0.570*

C.7.1 Firm-level technology absorption 0.478*

C.7.2 Capacity for innovation 0.581*

C.7.3 PCT patents applications 0.515*

C.7.4 Business-to-business Internet use 0.561*

C.7.5 Business-to-consumer Internet use 0.445*

C.7.6 Extent of staff training 0.619*

C.8 Government usage 0.325

C.8.1 Importance of ICTs to government vision of the future 0.251

C.8.2 Government success in ICT promotion 0.294

D Impact subindex 0.419*

D.9 Economic impacts 0.504*

D.9.1 Impact of ICTs on new services and products 0.404*

D.9.2 PCT ICT patent applications 0.441*

D.9.3 Impact of ICTs on new organizational models 0.326*

D.9.4Share of workforce employed in knowledge-intensive

activities0.557*

D.10 Social impacts 0.313

D.10.1 Impact of ICTs on access to basic services 0.453*

D.10.2 Internet access in schools 0.383*

D.10.3 ICT use and government efficiency 0.288

* 유의수준 p<0.05 이내

Page 17: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36 INTERNET & SECURITY FOCUS September 2014

3) 군집 분석

분석된 지표들을 고상관관계군(상관계수 0.6 이상), 중상관관계(상관계수 0.4~0.6) 저상

관관계군(0.4 이하)로 분류하면 <표 7>과 같다.

<표 7> 지표별 군집 분석

분류군 지표 종류 지표 상관계수 값

고상관관계

(r≥0.6)

OECDGDP per capita 0.638*

GDP per worked hour 0.669*

NRI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0.648*

Software piracy rate 0.640*

Availability of latest technologies 0.633*

Extent of staff training 0.619*

중상관관계

(0.4<r<0.6)

OECDInflation -0.458*

tax revenue 0.444*

NRI

Effectiveness of law-making bodies 0.463*

Laws relating to ICTs 0.467*

Judicial independence 0.456*

Efficiency of legal system in settling disputes 0.474*

Efficiency of legal framework in challenging regulations 0.471*

Number of procedures to enforce a contract 0.518*

Quality of management schools 0.434*

Electricity production 0.406*

International Internet bandwidth 0.555*

Secure Internet servers 0.473*

Accessibility of digital content 0.490*

Quality of the educational system 0.577*

Quality of math and science education 0.501*

Internet users 0.499*

Households with a personal computer 0.454*

Households with Internet access 0.439*

Fixed broadband Internet subscriptions 0.554*

Firm-level technology absorption 0.478*

Capacity for innovation 0.581*

PCT patents applications 0.515*

Business-to-business Internet use* 0.561*

Business-to-consumer Internet use 0.445*

Impact of ICTs on new services and products 0.404*

PCT ICT patent applications 0.441*

Share of workforce employed in knowledge-intensive activities 0.557*

Impact of ICTs on access to basic services 0.453*

저상관관계

(r≤0.4)

OECD FDI outward 0.331*

NRI

Venture capital availability 0.348*

(r≤0.4) 0.370*

Use of virtual social networks 0.398*

Impact of ICTs on new organizational models 0.326*

Internet access in schools 0.383*

* 유의수준 p<0.05 이내

Page 18: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FOC

US

FOCUS 2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37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고상관관계군은 선진국형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높은 생산성과 첨

단 기술의 가용성, 인력 개발 수준은 선진국을 분류하는 기준에 가깝다. 물론 본 연구에서 선

택한 국가들이 기본적으로 경제 상위국인 OECD 국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세계 국

가들을 기준으로 볼 때 상대적으로 선진국에 가깝다고 볼 수 있지만 IPv6 도입율에 대한 비

교 분석을 수행하는 본 연구에 있어서 OECD 국가들 사이에서도 그 정도의 차이가 상이하기

에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원 자료의 문제

로 인해 지적 재산권 보호 및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율과 같은 지표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중상관관계군에는 총 28개의 다양한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다. 혁신 수용 수준(0.581), 교

육 시스템 수준(0.577), B2B에서 인터넷 사용 수준(0.561) 등 중상관계수군의 평균 상관계

수(0.485)보다 높은 수준의 관계성을 보인 지표들은 ICT 분야에서의 잠재력 및 경쟁력이

IPv6 도입과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IPv6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

는 국제 인터넷 대역폭(0.555)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지식집약적 활동에 참여하

는 인력 비율 역시 높은 상관성(0.557)을 보임에 따라 인터넷 기반의 지적 활동이 IPv6 도입

율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다.

저상관관계군에 속한 지표들은 다른 지표들에 대한 부수적인 효과 내지는 연계성이 높은

환경 지표에 가깝다. 높은 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가 구축된 국가에서는 상대적으로 정보통

신 분야에 대한 비즈니스가 활성화되어있기 때문에 벤쳐캐피탈(0.348)과 같은 금융 투자가

활발해질 수 있다. 또한 원격 업무, 수평적 조직 등 새로운 조직 모델(0.326)의 등장도 관련

성이 있을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의 확산(0.398), 학교에서의 인터넷 활용(0.386), 지역 경

제 활성화(0.370) 등도 유사한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Ⅴ. 결론 및 시사점

IPv6의 도입은 필수적이지만 그 과정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chicken-

egg 문제 혹은 mexican standoff 라고 불리면서 오랜 기간 동안 정체된 상태에 머물고 있었

던 IPv6의 전환 문제는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가별로 정부주도, 공

공분야 우선 등의 IPv6 도입 및 확산 정책을 추진해왔지만 많은 경제적, 환경적 조건들이 상

Page 19: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38 INTERNET & SECURITY FOCUS September 2014

이함에 따라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별로 IPv6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할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

로 하고 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Pv6 도입율은 1인당 국내총생산, 1인 노동시간당 국내총생산, 지적 재산권 보호 수

준,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 수준, 최신 기술 가용성, 인력 개발 수준 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

인다. 해당 지표들은 선진국형 거시경제 및 정보통신 현황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IPv6 도

입율은 국가별 경제력 및 ICT 인프라 저변 수준에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Pv6 도입율은 인플레이션, 혁신 수용 수준, 교육 시스템 수준, 국제 인터넷 대역폭

수준 등 28개 지표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해당 지표들은 안정적인 경제 환경, ICT 분야에 대

한 잠재적 성장 가능성, 인터넷 기반 산업 환경 조성 수준 등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IPv6

도입율은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확충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Pv6 도입율은 해외 직접 투자, 벤쳐 캐피탈 가용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수

준 등과 약한 연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IPv6 도입율은 국가경쟁력강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일정 수준 이상의 ICT 인프라 확충 및 범국가적 정책 추진도 중요하지만 거시적인

관점에서 국가의 경제 수준 향상과 첨단 산업에 대한 투자, 고급 인력 양성 등에 대한 사회적

저변 확대가 자연스럽게 IPv6 도입율로 연계되고 있다. 이것은 단시간에 해결할 수 있는 사

안이 아니다. 결과적인 접근이지만 IPv6 도입은 글로벌 경제 및 산업 구조의 고도화를 선도

하는 국가를 기점으로 자연스럽게 확산되는 현상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

의 경우, NRI 순위에서 전체 10위를 기록할 정도로 높은 ICT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만 IPv6

도입율 수준에서는 최하위권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는 IPv6 도입율이 단순히 ICT 분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환경에 더욱 연관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IPv6 도입

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와 같은 새로운 정보통신 비즈니스 환경을 선도하는 것이 그

예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기기 간 통신이 주가 되는 사물인터넷에서 IPv6 주소의 활

용이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향후 우리나라의 IPv6 도입율

확대에 있어서 중요한 전략 분야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전문 인력 양성 및 사회

적 인식 제고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 인력 및 일반 국민들의 IPv6

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공감은 정부만이 정책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항이며 가장 효과적이

Page 20: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 2014-10-16 ·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F O C U S 2 IPv6 확산 정책 방안

FOC

US

FOCUS 2 국가별 IPv6 도입율 분석을 통한 IPv6 확산 정책 방안 연구 39

고 효율적인 방안 중 하나이다. 결국 IPv6 도입은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부의 정책 추

진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앞으로도 이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별 IPv6 도입율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확대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정보와 기준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IPv6 도입율 지표 자체의 한계와 비교 대상 지표들이 신뢰성으로 인해 초보적인 수준에서의

접근에 머물고 있다. 또한 상관관계분석 시 변수 간의 종속성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명

확한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어려운 측면도 존재한다. 향후 IPv6 도입율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IPv6 전환이 진전되어 시계열적인 연구가 가능해진다면 구체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제 무역 지표 등과 같은 비ICT 분야가 포함된 비교 대상의 경

우 데이터 가공을 통해 보다 명확한 관계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전우직 (2013). “인터넷의 진화와 ID기반 통신 구조의 잘록한 허리(narrow waist)”. 「Future Internet

Forum newsletter」, 제31호

차용진 (2012), “2012 네트워크 준비지수(NRI)에 대한 검토: 2012 NRI 모형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지

역정보화학회지」, 제15권 제3호.

KISA (2014), 무제한인터넷주소(IPv6) 확산 로드맵.

Akamai, http://www.akamai.com/ipv6 .

APNIC, http://labs.apnic.net/index.shtml .

Cisco, http://6lab.cisco.com/stats/.

Google, https://www.google.com/intl/en/ipv6/statistics.html.

Hurricane Electric, http://bgp.he.net/ipv6-progress-report.cgi.

OECD (2014), OECD Factbook.

World Economic Forum (2002), The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Report 2002.

World Economic Forum (2014), The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Report 2014.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