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S CRIPTA SCRIPTA · SCRIPTA Volume 2, September 2010 The Hunmin jeongeum Society Contents The...

S CRIPTA SCRIPTA · SCRIPTA Volume 2, September 2010 The Hunmin jeongeum Society Contents The...

Date post: 18-Feb-2019
Category:
Upload: lethuy
View: 216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50
SCRIPTA Volume 2September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Writing Systems The Hunmin jeongeum Society S
Transcript

SCRIPTAVolume 2September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Writing Systems

The Hunmin jeongeum Society

S Robert RamseyUniversity of MarylandThe Korean Writing System in the World of the 21st Century

Hyeon‐hie LeeSeoul National University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John Whitman Miyoung Oh Jinho Park Valerio Luigi Alberizzi Masayuki Tsukimoto Teiji Kosukegawa Tomokazu TakadaCornell UniversityToward an International Vocabulary for Research on Vernacular Readings of Chinese Texts (漢文訓讀 Hanwen Xundu)

Juwon KimSeoul National UniversityAn Examination of Chinese Character Transcriptions of Jurchen and Manchu Personal Names as Reflected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Yushu GongPeking UniversityNumerical Signs The Sumerian and Chinese Cases

SeungJae LeeSeoul National UniversityOn the Reconstruction of the Fragmented Documents Excavated from Seokga Pagoda 釋迦塔

SC

RIP

TAV

olu

me 2

Septem

ber 2

010

Th

e Hu

nm

in jeo

ngeu

m So

ciety

SCRIPTA Volume 2 September 2010

The Hunmin jeongeum Society

Contents

The Korean Writing System in the World of the 21st CenturyS Robert Ramsey 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Hyeon‐hie Lee 15

Toward an International Vocabulary for Research on Vernacular Readings of Chinese Texts (漢文訓讀 Hanwen Xundu)

John Whitman Miyoung Oh Jinho Park Valerio Luigi Alberizzi Masayuki Tsukimoto Teiji Kosukegawa and Tomokazu Takada61

An Examination of Chinese Character Transcriptions of Jurchen and Manchu Personal Names as Reflected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Juwon Kim 85

Numerical Signs The Sumerian and Chinese CasesYushu Gong 115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Fragmented Documents Excavated from Seokga Pagoda 釋迦塔

SeungJae Lee 133

Mission Statement of the Hunmin jeongeum Society

Writing systems have been central to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human cultures Hunmin jeongeum or Hangeul has been recognized as a truly creative highly scientific writing system by the international linguistics community It was invented in the spirit of love and compassion for humanity by King Sejong in the fifteenth century Continuing in the original spirit of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 we hereby launch the Hunmin jeongeum Society We will undertake various activities in support of research on Hunmin jeongeum and other writing systems and reach out to illiterate peoples to help them adopt a writing system appropriate to their own language

The Hunmin jeongeum Society has two major objectives Firstly the society will stimulate worldwide research on human writing systems including Hunmin jeongeum Secondly the society will make every effort to accelerate the study of endangered languages lacking an alphabet and to offer their native speakers a writing system that is tailored to the needs of their languages

In this new century on the well-laid foundation of past research the Hunmin jeongeum Society will strive to share the cultural heritage of Korea with the world and to make a greate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linguistics through promotion of the study of the worldrsquos many languages and writing systems

October 9 (Hangeul Day) 2007

PUBLISHER

DooHyun Paek President of the Hunmin

jeongeum Socie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DITORS

John Huehnergard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SeungJae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Editorial Board

James P Allen Brown UniversityChul-Hyun Bae Seoul National UniversityChinggeltei (清格尔泰) Inner Mongolia UniversityFlorian Coulmas German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Zev Handel University of WashingtonJuha Janhunen University of HelsinkiYoung-Key Kim-Renaud George Washington UniversityKi-Moon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Ling Li (李零) Peking UniversityKatsuya Onishi (大西克也) University of TokyoAsko Parpola University of HelsinkiBarry B Powell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S Robert Ramsey University of MarylandDenise Schmandt-Besserat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J Marshall Unger Ohio State UniversityJohn Whitman Cornell University

Submission Guidelines

SCRIPTA the official journal of the Hunmin jeongeum Society is a refereed journal published annually in September SCRIPTA welcomes submissions from scholars of various disciplines whose work especially pertains to writing systems Submissions should not substantially duplicate work that any of the authors have published elsewhere

ContentsTopics of interes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organization of a writing system usage of a lesser-known writing system history of letters and characters deciphering an unknown writing system inscriptions or documents on a writing system promotion of an alphabet codification or digitization of a writing system design of letters and characters

Submission AddressAll submissions are to be sent by email to scripta08gmailcom

FormatAll submissions must be in doc or hwp format along with pdf format and sent as e-mail attachment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any included image files be submitted at their original resolution All manuscripts should contain an abstract several keywords footnotes and references References should have the format ldquoAuthor (year) Title of Article Book Name City Publisherrdquo

Evaluation ProceduresSubmissions that pass the first editorial review will be anonymously evaluated by two peer reviewers Reviews are graded into four categories accept in its present form accept with mandatory revision reconsider after revision and reject

Copyright copy 2010 by the Hunmin jeongeum SocietyPrinted in Seoul KoreaISSN 2092-7215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Hyeon‐hie Lee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presents a brief sketch of the content and background of Hunmin jeongeum research Pre-1940 and post-1940 research are divided and considered separately

Keywords Hunmin jeongeum Pre-1940 and post-1940 research

1 Hunmin jeongeum as a Writing System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the term lsquohunmin jeongeumrsquo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訓民正音) has two meanings One meaning refers to the Korean alphabet (known originally by that name and hereafter simply as lsquoJeongeumrsquo)1 the other refers to the most commonly used primary document related to the alphabet the text Hunmin jeongeum including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訓民正音 解例)2 This paper briefly sketches the history of research on Jeongeum limiting its discussion to research and studies of the script itself as a writing system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research on Jeongeum has obtained more precision owing to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1 There are instances where the term lsquohunmin jeongeumrsquo could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lsquohangeulrsquo For the sake of consistency the frequently used shortened name for the script lsquoJeongeumrsquo will be used hereafter2 Where possible English translations of Hunmin jeongeum sections and terminology therein follow Ledyard (1965)

SCRIPTA Volume 2 (September 2010) 15-59copy 2010 The Hunmin jeongeum Society

16 SCRIPTA VOLUME 2 (2010)

jeongeum in 19403 It is necessary therefore that a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Jeongeum research be divided into research done before 1940 and that conducted afterward While there have actually been a number of studies on Jeongeum conducted outside Korea due to space and time constraints a history of such research will regrettably be omitted from this paper4

2 Pre‐1940 Jeongeum Research

After Jeongeum was invented in 1443 by King Sejong (perhaps in collabor-ation with others) the mos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origins of the script was recorded in Hunmin jeongeum published in 1446 Hunmin jeongeum consists of a preface titled ldquoYeeuirdquo (Examples and their Implications 例義) believed to be written personally by King Sejong and a commentary titled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hereafter simply ldquoHaeryerdquo) written by what later came to be called the lsquoEonmun palyursquo (the Eight Scholars of the Vernacular Language 諺文八儒)5 ldquoYeeuirsquos prefacerdquo was written presumably by King Sejong and ldquothe preface to Haeryerdquo by Jeong In-ji (鄭麟趾) an official in the Office of Protocol ldquoHaeryerdquo consists of six sections five ldquoExplanationsrdquo (o‐hae 五解) and a glossary titled ldquoYongja-ryerdquo (Examples of the Use of the Letters 用字例) The five Explanations in order are 1) ldquoJeja-haerdquo (Explanation of the Design of the Letters 制字解) 2) ldquoCho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Initial Phonemes 初聲解) 3) ldquoJung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Medial Phonemes 中聲解) 4) ldquoJong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Final Phonemes 終聲解) and 5) ldquoHapja-haerdquo (Explanation for the Combining of the Letters 合字解) Hunmin jeongeum was structured such that ldquoYeeuirdquo was intended to be the main

3 Recently another copy of Hunmin jeongeum was discovered in Daegu but it is difficult to go into detail about this copy as it has not been made public4 For further research on Jeongeum done in the foreign countries please see to M Kim et al eds (1997) K Lee (2000) J Kim (2004) etc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done in several cultural areas please especially refer to M Kim et al eds (1997) And for research conducted in North Korea see H Lee (1992) and P Ahn (19932007) 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vey a concise summary of this topic specific researchers will be named only where absolutely necessary5 The lsquoEonmun palyursquo as listed in the preface of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were Jeong In-ji Choi Hang Bak Paeng-nyeon Sin Suk-ju Seong Sam-mun Gang Heui-an Yi Gae and Yi Seon-ro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7

text with ldquoHaeryerdquo as its commentary From the 16th century to 1940 consulting Hunmin jeongeum was utterly

impossible Therefore scholars studying Jeongeum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were able only to consult King Sejongrsquos and Jeong In-jirsquos prefaces as they had also been recorded in the Sejong Sillok (Veritable Records of the Sejong Court)6

During the remainder of the Joseon Dynasty the most pressing Jeongeum‐related issues revolved around the proper transcrip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the proper transcription of indigenous words Sino‐Korean words and other foreign vocabulary Also Jeongeumrsquos origins then as toda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With the 1894 Gabo Reforms Jeongeum came to be known officially as kukmun (the national script 國文) Afterward great interest was directed toward the use of kukmun and hanja (Chinese characters as used in Korea) the creation of a standard unified Jeongeum orthography and identifying the phonemic properties of the obsolete vowel lsquoㆍrsquo known as the lsquoarae arsquo or lsquolow arsquo because it was located in the lowest position of the Korean alphabet chart or ldquoBanjeol-pyordquo (a paradigm of the Korean alphabet arranged as a syllabary and a primary method for teaching it 反切表)

In addition lsquohannara-malrsquo (language of the Great Han Empire) was shortened to lsquohanmalrsquo during this period and lsquohannara-geulrsquo (writing of the Great Han Empire) to simply lsquohangeulrsquo7 as is still widely used8 Controversy over the use and validity of ldquoSinjeong kukmunrdquo (the newly rectified national orthography 新訂國文) which Ji Seok-yeong (池錫永) presented in a memorial to the King to execute in 1907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Korean Script (國文硏究所) where ten themes concerning characteristics of Jeongeum and its use were dealt with in much depth Regretfully the recommendations in the final report submitt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學部) in 1909 were not

6 Scholars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could make easy reference to the ldquoYeeuirdquo and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as these could be found in the Gukjo bogam (Precious Mirror for Succeeding Reigns 國朝寶鑑) and Yeolseong eoje (A Collection of Various Kingsrsquo Writings 列聖御製)7 The abbreviation was conducted by Ju Si-gyeong (周時經) or Choi Nam-seon (崔南善) having come into close relation with him 8 The term lsquohangeulrsquo was ambiguous during this period In South Korea today however it refers only to the Korean script

18 SCRIPTA VOLUME 2 (2010)

realizedImportant discussions and research on Jeongeum continued into the

colonial period during which the Joseon‐eo hakhoi (Korean Language Society 朝鮮語學會) led by pupils of Ju Si-gyeong reformed Jeongeum orthography once again with their Standardization of Korean Orthography (한글맞춤법) in 1933 There were also a number of controversies during this period prior to 1940 including the orthographic theories of Bak Seung-bin (朴勝彬) and his followers amid which active study was carried out in 1930s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3 Post‐1940 Jeongeum Research9

Before the 1940s Jeongeum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proper use of the alphabetrsquos letters With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jeongeum in 1940 research on Jeongeum broadened After 1940 research covered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Jeongeumrsquos origins the possible existence of a native writing system prior to Jeongeum the principles behind Jeongeumrsquos letter designs the motives for and academic background behind its invention the correct number of letters the nature of Jeongeum as a featural writing system the connection between Jeongeum and chaja pyogi (the Korean transcription system to use Chinese characters 借字表記) calligraphic styles the globalization of Jeongeum and the aesthetic usefulness of Jeongeum Studies on Jeongeum have been broad and deep so much so that now there may be few unexplored areas for research

Though there have been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of Jeongeum ranging from the simple records to logical scientific explanations the theory that the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something (the pictographic theory 象形說) has become an established theory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Another major topic of debate has been whether Korea ever had a native script before Jeongeum Given the announcement of the scriptrsquos invention in the Sejong Sillok or the contents of Hunmin jeongeum nowadays nobody doubts that the script was either the personal invention of King Sejong or that Sejong invented Jeongeum with the help of several

9 The organization of this chapter has mostly followed H Lee (1990)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9

supporters Now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nts of unofficial chronicles like Hwandan gogi (桓檀古記) Dangun gogi (檀君古記) or Dangun segi (檀君世 紀) some scholars hold the opinion that there existed an indigenous Korean script before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t was identical to Jeongeum

When considering the place of Jeongeum in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that its invention was accomplished by combining Korean features with both non-Chinese and Chinese-inspired features is worth repeated recognition Since the invention of Jeongeum was based on a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it was possible to invent a new phonetic script appropriate for transcribing the sounds of Korea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scholars attempting to explain Jeongeumrsquos foundations A widely accepted theory is that both the initials (初聲) and the medials (中聲)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some scholars claim the initials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sounds of Sino‐Korean borrowings and the medials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Still others claim that the medials and the initials were both created by analyzing the readings of Sino‐Korean characters as recorded in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Although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it is now widely accepted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the articulatory organs (the primary pictographic explanation) some scholars believe certain aspects of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factors as well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developed from gugyeol10 (口訣字起源說) or been an imitation of the ldquoOld Sealrdquo (古篆起源說) or been influenced by Taiji thought (太極思想起源說) or that they imitate the hPags‐pa script (八思巴文字起源說)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ories which attempt to explain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by some mechanism other than the widely accepted pictographic principle alone While some scholars assert that the shape of both the initials and medials were affected by these other influences other scholars claim only a small number of the initials or the medials were affected by them Another interesting theory is that the letter shapes originated from musicological symbols composed of simple strokes (劃) used in the ligature score of the Korean lute or geomungo (玄琴合字譜)

10 Gugyeol is a system developed in Korea for glossing annotating and punctuating Classical Chinese texts with vernacular Korean elements

20 SCRIPTA VOLUME 2 (2010)

The reason for such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for the letter shapes is the ambiguity of a passage i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describing the letter shapes which reads ldquoThe letters while depicting outlines imitate the Old Seal (xiang xing er zi fang gu zhuan 象形而字倣古篆) This passag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11

In the case of the initials the basic letters were patterned on the articulatory organs and others were created through systematic stroke addition (加畫) while still other letters have irregular forms (異體字) The medials were created by abstracting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of Heaven (天) Earth (地) and Man (人) ldquoJeja-haerdquo explains that the first set of medials (初出字 ㅗ ㅏ ㅜ ㅓ) and the second set of medials (再出字 ㅛ ㅑ ㅠ ㅕ) were formed from the basic letters but scholars have interpreted this in somewhat different ways Opinions are split on interpreting the stroke addition principle the number of initial basic letters and the objects supposedly being depicted using the pictographic method An alternate though steadily growing interpretation of what the most basic letter shapes depict assuming the pictographic method was indeed used is that the letter shapes were not patterned after the articulatory organs but the figures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起一成文圖)12

There are also those who opine that the basic medial letter shapes were patterned on articulatory organs or the ones relating them to figures seen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or ldquoheturdquo (河圖) However the common view accepted in the academic world now is that the basic medial letters were created using the pictographic principle by abstracting the objects of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The problem is that lsquoㅛ ㅑ ㅠ and ㅕrsquo were included in the 11 medials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13

Discussions on the motives for and purpose of Jeongeumrsquos invention can be easily found in many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but the points that scholars emphasize differ from one another to varying degrees It is generally asserted that Jeongeum was invented in order to transcribe the Korean vernacular However some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 main

11 See H Lee (1990) for the various interpretations12 The phrase ldquoqihengchengwenturdquo is found in the Tongzhi (通志) and means roughly ldquoThe diagrams (tu 圖) in which completed characters (wen 文) arise from a single line (heng 一)rdquo13 Again see H Lee (1990) for these various interpretations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1

purpose was to note the prope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only later was its use expanded into recording the native language

Also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Jeongeum was invented either for the sake of educating the people instructing the people in public policy or as part of the national power establishment policy Jeongeumrsquos invention has also been interpreted as a method of efficiently ruling the people whose self‐consciousness had been upgraded But when considering the cultural milieu in which Jeongeum was invented it has been understood by most scholars in Korea that Jeongeum was invented for transcribing the native tongue first and secondarily for recording Sino‐Korean and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Since various documents use Jeongeum differently to transcribe Chinese characters it has been posited that there was a period in which the reade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script therefore the intended purpose for Jeongeumrsquos invention was to us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in tandem and eventually script use in the Joseon Dynasty exhibited a dual structure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Another interpretation based o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is that the purpose of inventing Jeongeum was to gradually replace the transcription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transcribe the vernacular (借字表 記)

Neo‐Confucianism divination phonology scriptology and musicology have all been posited as being part of the academic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of Jeongeum The connection between Xinglidaquan (性理大全) and ldquoliushuluerdquo (六書略) by Zhengqiao (鄭樵) (especially ldquoqihengchengwenturdquo) recorded in Tongzhi (通志)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fluence of the hPags‐pa alphabet invented in the Yua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Mengguyunlue (蒙古韻略)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view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explanations referring to divination science and Neo‐Confucianism found in the ldquoJeja-haerdquo were added simply as an attempt to appear abstruse and profound However today divination and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generally to be an essential part of Jeongeumrsquos invention

Another long-debated issue has been whether the initials originally numbered 16 or 17 and whether or not to include certain letters among the original 28 (or 27 by some counts)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s

22 SCRIPTA VOLUME 2 (2010)

research into the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as phonograms for transcribing Korean has progressed it has been further recognize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overlap between this system and the use of Jeongeum Also the tripartite division of syllables using Jeonge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Sampson (1985) expressed his view that Jeongeum was a featural writing system many scholars within Korea have up to the present time expressed continually and actively both consenting and opposing opinions

4 Closing

Jeongeum research thus far has characteristics of both narrow focused study and more comprehensive study the former type based largely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itself and the latter typ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Jeongeum with other writing systems The two approaches allow for both a concentrated analys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unmin jeongeum as well as a comprehensiv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in which Jeongeum is considered the outcome of the eastward advance of alphabetic writing

Selected References

1 Studies in Korea

Ahn Pyong-hi (1993) ldquo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Research by Foreign Scholars and 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문화체육부 학술회의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in Studies on Hunmin jeongeum (SNU Press 2007)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에 재수록됨)]

Kang Sin-hang (강신항) (1987) Hunmin jeongeum Yeongu (훈민정음연구) Seonggyungwan University Press (성균관대학교출판부)

Kim Jung-dae (김정대) (2004) ldquo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angeul by Foreign Scholars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43

Kim Min-soo (김민수) (1980) Singukeohaksa (신국어학사) Rev ed (전정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SCRIPTA Volume 2 September 2010

The Hunmin jeongeum Society

Contents

The Korean Writing System in the World of the 21st CenturyS Robert Ramsey 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Hyeon‐hie Lee 15

Toward an International Vocabulary for Research on Vernacular Readings of Chinese Texts (漢文訓讀 Hanwen Xundu)

John Whitman Miyoung Oh Jinho Park Valerio Luigi Alberizzi Masayuki Tsukimoto Teiji Kosukegawa and Tomokazu Takada61

An Examination of Chinese Character Transcriptions of Jurchen and Manchu Personal Names as Reflected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Juwon Kim 85

Numerical Signs The Sumerian and Chinese CasesYushu Gong 115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Fragmented Documents Excavated from Seokga Pagoda 釋迦塔

SeungJae Lee 133

Mission Statement of the Hunmin jeongeum Society

Writing systems have been central to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human cultures Hunmin jeongeum or Hangeul has been recognized as a truly creative highly scientific writing system by the international linguistics community It was invented in the spirit of love and compassion for humanity by King Sejong in the fifteenth century Continuing in the original spirit of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 we hereby launch the Hunmin jeongeum Society We will undertake various activities in support of research on Hunmin jeongeum and other writing systems and reach out to illiterate peoples to help them adopt a writing system appropriate to their own language

The Hunmin jeongeum Society has two major objectives Firstly the society will stimulate worldwide research on human writing systems including Hunmin jeongeum Secondly the society will make every effort to accelerate the study of endangered languages lacking an alphabet and to offer their native speakers a writing system that is tailored to the needs of their languages

In this new century on the well-laid foundation of past research the Hunmin jeongeum Society will strive to share the cultural heritage of Korea with the world and to make a greate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linguistics through promotion of the study of the worldrsquos many languages and writing systems

October 9 (Hangeul Day) 2007

PUBLISHER

DooHyun Paek President of the Hunmin

jeongeum Socie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DITORS

John Huehnergard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SeungJae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Editorial Board

James P Allen Brown UniversityChul-Hyun Bae Seoul National UniversityChinggeltei (清格尔泰) Inner Mongolia UniversityFlorian Coulmas German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Zev Handel University of WashingtonJuha Janhunen University of HelsinkiYoung-Key Kim-Renaud George Washington UniversityKi-Moon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Ling Li (李零) Peking UniversityKatsuya Onishi (大西克也) University of TokyoAsko Parpola University of HelsinkiBarry B Powell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S Robert Ramsey University of MarylandDenise Schmandt-Besserat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J Marshall Unger Ohio State UniversityJohn Whitman Cornell University

Submission Guidelines

SCRIPTA the official journal of the Hunmin jeongeum Society is a refereed journal published annually in September SCRIPTA welcomes submissions from scholars of various disciplines whose work especially pertains to writing systems Submissions should not substantially duplicate work that any of the authors have published elsewhere

ContentsTopics of interes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organization of a writing system usage of a lesser-known writing system history of letters and characters deciphering an unknown writing system inscriptions or documents on a writing system promotion of an alphabet codification or digitization of a writing system design of letters and characters

Submission AddressAll submissions are to be sent by email to scripta08gmailcom

FormatAll submissions must be in doc or hwp format along with pdf format and sent as e-mail attachment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any included image files be submitted at their original resolution All manuscripts should contain an abstract several keywords footnotes and references References should have the format ldquoAuthor (year) Title of Article Book Name City Publisherrdquo

Evaluation ProceduresSubmissions that pass the first editorial review will be anonymously evaluated by two peer reviewers Reviews are graded into four categories accept in its present form accept with mandatory revision reconsider after revision and reject

Copyright copy 2010 by the Hunmin jeongeum SocietyPrinted in Seoul KoreaISSN 2092-7215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Hyeon‐hie Lee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presents a brief sketch of the content and background of Hunmin jeongeum research Pre-1940 and post-1940 research are divided and considered separately

Keywords Hunmin jeongeum Pre-1940 and post-1940 research

1 Hunmin jeongeum as a Writing System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the term lsquohunmin jeongeumrsquo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訓民正音) has two meanings One meaning refers to the Korean alphabet (known originally by that name and hereafter simply as lsquoJeongeumrsquo)1 the other refers to the most commonly used primary document related to the alphabet the text Hunmin jeongeum including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訓民正音 解例)2 This paper briefly sketches the history of research on Jeongeum limiting its discussion to research and studies of the script itself as a writing system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research on Jeongeum has obtained more precision owing to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1 There are instances where the term lsquohunmin jeongeumrsquo could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lsquohangeulrsquo For the sake of consistency the frequently used shortened name for the script lsquoJeongeumrsquo will be used hereafter2 Where possible English translations of Hunmin jeongeum sections and terminology therein follow Ledyard (1965)

SCRIPTA Volume 2 (September 2010) 15-59copy 2010 The Hunmin jeongeum Society

16 SCRIPTA VOLUME 2 (2010)

jeongeum in 19403 It is necessary therefore that a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Jeongeum research be divided into research done before 1940 and that conducted afterward While there have actually been a number of studies on Jeongeum conducted outside Korea due to space and time constraints a history of such research will regrettably be omitted from this paper4

2 Pre‐1940 Jeongeum Research

After Jeongeum was invented in 1443 by King Sejong (perhaps in collabor-ation with others) the mos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origins of the script was recorded in Hunmin jeongeum published in 1446 Hunmin jeongeum consists of a preface titled ldquoYeeuirdquo (Examples and their Implications 例義) believed to be written personally by King Sejong and a commentary titled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hereafter simply ldquoHaeryerdquo) written by what later came to be called the lsquoEonmun palyursquo (the Eight Scholars of the Vernacular Language 諺文八儒)5 ldquoYeeuirsquos prefacerdquo was written presumably by King Sejong and ldquothe preface to Haeryerdquo by Jeong In-ji (鄭麟趾) an official in the Office of Protocol ldquoHaeryerdquo consists of six sections five ldquoExplanationsrdquo (o‐hae 五解) and a glossary titled ldquoYongja-ryerdquo (Examples of the Use of the Letters 用字例) The five Explanations in order are 1) ldquoJeja-haerdquo (Explanation of the Design of the Letters 制字解) 2) ldquoCho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Initial Phonemes 初聲解) 3) ldquoJung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Medial Phonemes 中聲解) 4) ldquoJong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Final Phonemes 終聲解) and 5) ldquoHapja-haerdquo (Explanation for the Combining of the Letters 合字解) Hunmin jeongeum was structured such that ldquoYeeuirdquo was intended to be the main

3 Recently another copy of Hunmin jeongeum was discovered in Daegu but it is difficult to go into detail about this copy as it has not been made public4 For further research on Jeongeum done in the foreign countries please see to M Kim et al eds (1997) K Lee (2000) J Kim (2004) etc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done in several cultural areas please especially refer to M Kim et al eds (1997) And for research conducted in North Korea see H Lee (1992) and P Ahn (19932007) 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vey a concise summary of this topic specific researchers will be named only where absolutely necessary5 The lsquoEonmun palyursquo as listed in the preface of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were Jeong In-ji Choi Hang Bak Paeng-nyeon Sin Suk-ju Seong Sam-mun Gang Heui-an Yi Gae and Yi Seon-ro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7

text with ldquoHaeryerdquo as its commentary From the 16th century to 1940 consulting Hunmin jeongeum was utterly

impossible Therefore scholars studying Jeongeum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were able only to consult King Sejongrsquos and Jeong In-jirsquos prefaces as they had also been recorded in the Sejong Sillok (Veritable Records of the Sejong Court)6

During the remainder of the Joseon Dynasty the most pressing Jeongeum‐related issues revolved around the proper transcrip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the proper transcription of indigenous words Sino‐Korean words and other foreign vocabulary Also Jeongeumrsquos origins then as toda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With the 1894 Gabo Reforms Jeongeum came to be known officially as kukmun (the national script 國文) Afterward great interest was directed toward the use of kukmun and hanja (Chinese characters as used in Korea) the creation of a standard unified Jeongeum orthography and identifying the phonemic properties of the obsolete vowel lsquoㆍrsquo known as the lsquoarae arsquo or lsquolow arsquo because it was located in the lowest position of the Korean alphabet chart or ldquoBanjeol-pyordquo (a paradigm of the Korean alphabet arranged as a syllabary and a primary method for teaching it 反切表)

In addition lsquohannara-malrsquo (language of the Great Han Empire) was shortened to lsquohanmalrsquo during this period and lsquohannara-geulrsquo (writing of the Great Han Empire) to simply lsquohangeulrsquo7 as is still widely used8 Controversy over the use and validity of ldquoSinjeong kukmunrdquo (the newly rectified national orthography 新訂國文) which Ji Seok-yeong (池錫永) presented in a memorial to the King to execute in 1907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Korean Script (國文硏究所) where ten themes concerning characteristics of Jeongeum and its use were dealt with in much depth Regretfully the recommendations in the final report submitt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學部) in 1909 were not

6 Scholars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could make easy reference to the ldquoYeeuirdquo and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as these could be found in the Gukjo bogam (Precious Mirror for Succeeding Reigns 國朝寶鑑) and Yeolseong eoje (A Collection of Various Kingsrsquo Writings 列聖御製)7 The abbreviation was conducted by Ju Si-gyeong (周時經) or Choi Nam-seon (崔南善) having come into close relation with him 8 The term lsquohangeulrsquo was ambiguous during this period In South Korea today however it refers only to the Korean script

18 SCRIPTA VOLUME 2 (2010)

realizedImportant discussions and research on Jeongeum continued into the

colonial period during which the Joseon‐eo hakhoi (Korean Language Society 朝鮮語學會) led by pupils of Ju Si-gyeong reformed Jeongeum orthography once again with their Standardization of Korean Orthography (한글맞춤법) in 1933 There were also a number of controversies during this period prior to 1940 including the orthographic theories of Bak Seung-bin (朴勝彬) and his followers amid which active study was carried out in 1930s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3 Post‐1940 Jeongeum Research9

Before the 1940s Jeongeum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proper use of the alphabetrsquos letters With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jeongeum in 1940 research on Jeongeum broadened After 1940 research covered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Jeongeumrsquos origins the possible existence of a native writing system prior to Jeongeum the principles behind Jeongeumrsquos letter designs the motives for and academic background behind its invention the correct number of letters the nature of Jeongeum as a featural writing system the connection between Jeongeum and chaja pyogi (the Korean transcription system to use Chinese characters 借字表記) calligraphic styles the globalization of Jeongeum and the aesthetic usefulness of Jeongeum Studies on Jeongeum have been broad and deep so much so that now there may be few unexplored areas for research

Though there have been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of Jeongeum ranging from the simple records to logical scientific explanations the theory that the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something (the pictographic theory 象形說) has become an established theory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Another major topic of debate has been whether Korea ever had a native script before Jeongeum Given the announcement of the scriptrsquos invention in the Sejong Sillok or the contents of Hunmin jeongeum nowadays nobody doubts that the script was either the personal invention of King Sejong or that Sejong invented Jeongeum with the help of several

9 The organization of this chapter has mostly followed H Lee (1990)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9

supporters Now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nts of unofficial chronicles like Hwandan gogi (桓檀古記) Dangun gogi (檀君古記) or Dangun segi (檀君世 紀) some scholars hold the opinion that there existed an indigenous Korean script before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t was identical to Jeongeum

When considering the place of Jeongeum in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that its invention was accomplished by combining Korean features with both non-Chinese and Chinese-inspired features is worth repeated recognition Since the invention of Jeongeum was based on a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it was possible to invent a new phonetic script appropriate for transcribing the sounds of Korea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scholars attempting to explain Jeongeumrsquos foundations A widely accepted theory is that both the initials (初聲) and the medials (中聲)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some scholars claim the initials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sounds of Sino‐Korean borrowings and the medials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Still others claim that the medials and the initials were both created by analyzing the readings of Sino‐Korean characters as recorded in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Although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it is now widely accepted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the articulatory organs (the primary pictographic explanation) some scholars believe certain aspects of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factors as well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developed from gugyeol10 (口訣字起源說) or been an imitation of the ldquoOld Sealrdquo (古篆起源說) or been influenced by Taiji thought (太極思想起源說) or that they imitate the hPags‐pa script (八思巴文字起源說)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ories which attempt to explain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by some mechanism other than the widely accepted pictographic principle alone While some scholars assert that the shape of both the initials and medials were affected by these other influences other scholars claim only a small number of the initials or the medials were affected by them Another interesting theory is that the letter shapes originated from musicological symbols composed of simple strokes (劃) used in the ligature score of the Korean lute or geomungo (玄琴合字譜)

10 Gugyeol is a system developed in Korea for glossing annotating and punctuating Classical Chinese texts with vernacular Korean elements

20 SCRIPTA VOLUME 2 (2010)

The reason for such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for the letter shapes is the ambiguity of a passage i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describing the letter shapes which reads ldquoThe letters while depicting outlines imitate the Old Seal (xiang xing er zi fang gu zhuan 象形而字倣古篆) This passag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11

In the case of the initials the basic letters were patterned on the articulatory organs and others were created through systematic stroke addition (加畫) while still other letters have irregular forms (異體字) The medials were created by abstracting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of Heaven (天) Earth (地) and Man (人) ldquoJeja-haerdquo explains that the first set of medials (初出字 ㅗ ㅏ ㅜ ㅓ) and the second set of medials (再出字 ㅛ ㅑ ㅠ ㅕ) were formed from the basic letters but scholars have interpreted this in somewhat different ways Opinions are split on interpreting the stroke addition principle the number of initial basic letters and the objects supposedly being depicted using the pictographic method An alternate though steadily growing interpretation of what the most basic letter shapes depict assuming the pictographic method was indeed used is that the letter shapes were not patterned after the articulatory organs but the figures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起一成文圖)12

There are also those who opine that the basic medial letter shapes were patterned on articulatory organs or the ones relating them to figures seen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or ldquoheturdquo (河圖) However the common view accepted in the academic world now is that the basic medial letters were created using the pictographic principle by abstracting the objects of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The problem is that lsquoㅛ ㅑ ㅠ and ㅕrsquo were included in the 11 medials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13

Discussions on the motives for and purpose of Jeongeumrsquos invention can be easily found in many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but the points that scholars emphasize differ from one another to varying degrees It is generally asserted that Jeongeum was invented in order to transcribe the Korean vernacular However some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 main

11 See H Lee (1990) for the various interpretations12 The phrase ldquoqihengchengwenturdquo is found in the Tongzhi (通志) and means roughly ldquoThe diagrams (tu 圖) in which completed characters (wen 文) arise from a single line (heng 一)rdquo13 Again see H Lee (1990) for these various interpretations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1

purpose was to note the prope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only later was its use expanded into recording the native language

Also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Jeongeum was invented either for the sake of educating the people instructing the people in public policy or as part of the national power establishment policy Jeongeumrsquos invention has also been interpreted as a method of efficiently ruling the people whose self‐consciousness had been upgraded But when considering the cultural milieu in which Jeongeum was invented it has been understood by most scholars in Korea that Jeongeum was invented for transcribing the native tongue first and secondarily for recording Sino‐Korean and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Since various documents use Jeongeum differently to transcribe Chinese characters it has been posited that there was a period in which the reade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script therefore the intended purpose for Jeongeumrsquos invention was to us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in tandem and eventually script use in the Joseon Dynasty exhibited a dual structure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Another interpretation based o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is that the purpose of inventing Jeongeum was to gradually replace the transcription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transcribe the vernacular (借字表 記)

Neo‐Confucianism divination phonology scriptology and musicology have all been posited as being part of the academic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of Jeongeum The connection between Xinglidaquan (性理大全) and ldquoliushuluerdquo (六書略) by Zhengqiao (鄭樵) (especially ldquoqihengchengwenturdquo) recorded in Tongzhi (通志)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fluence of the hPags‐pa alphabet invented in the Yua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Mengguyunlue (蒙古韻略)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view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explanations referring to divination science and Neo‐Confucianism found in the ldquoJeja-haerdquo were added simply as an attempt to appear abstruse and profound However today divination and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generally to be an essential part of Jeongeumrsquos invention

Another long-debated issue has been whether the initials originally numbered 16 or 17 and whether or not to include certain letters among the original 28 (or 27 by some counts)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s

22 SCRIPTA VOLUME 2 (2010)

research into the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as phonograms for transcribing Korean has progressed it has been further recognize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overlap between this system and the use of Jeongeum Also the tripartite division of syllables using Jeonge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Sampson (1985) expressed his view that Jeongeum was a featural writing system many scholars within Korea have up to the present time expressed continually and actively both consenting and opposing opinions

4 Closing

Jeongeum research thus far has characteristics of both narrow focused study and more comprehensive study the former type based largely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itself and the latter typ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Jeongeum with other writing systems The two approaches allow for both a concentrated analys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unmin jeongeum as well as a comprehensiv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in which Jeongeum is considered the outcome of the eastward advance of alphabetic writing

Selected References

1 Studies in Korea

Ahn Pyong-hi (1993) ldquo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Research by Foreign Scholars and 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문화체육부 학술회의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in Studies on Hunmin jeongeum (SNU Press 2007)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에 재수록됨)]

Kang Sin-hang (강신항) (1987) Hunmin jeongeum Yeongu (훈민정음연구) Seonggyungwan University Press (성균관대학교출판부)

Kim Jung-dae (김정대) (2004) ldquo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angeul by Foreign Scholars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43

Kim Min-soo (김민수) (1980) Singukeohaksa (신국어학사) Rev ed (전정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Mission Statement of the Hunmin jeongeum Society

Writing systems have been central to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human cultures Hunmin jeongeum or Hangeul has been recognized as a truly creative highly scientific writing system by the international linguistics community It was invented in the spirit of love and compassion for humanity by King Sejong in the fifteenth century Continuing in the original spirit of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 we hereby launch the Hunmin jeongeum Society We will undertake various activities in support of research on Hunmin jeongeum and other writing systems and reach out to illiterate peoples to help them adopt a writing system appropriate to their own language

The Hunmin jeongeum Society has two major objectives Firstly the society will stimulate worldwide research on human writing systems including Hunmin jeongeum Secondly the society will make every effort to accelerate the study of endangered languages lacking an alphabet and to offer their native speakers a writing system that is tailored to the needs of their languages

In this new century on the well-laid foundation of past research the Hunmin jeongeum Society will strive to share the cultural heritage of Korea with the world and to make a greate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linguistics through promotion of the study of the worldrsquos many languages and writing systems

October 9 (Hangeul Day) 2007

PUBLISHER

DooHyun Paek President of the Hunmin

jeongeum Socie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DITORS

John Huehnergard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SeungJae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Editorial Board

James P Allen Brown UniversityChul-Hyun Bae Seoul National UniversityChinggeltei (清格尔泰) Inner Mongolia UniversityFlorian Coulmas German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Zev Handel University of WashingtonJuha Janhunen University of HelsinkiYoung-Key Kim-Renaud George Washington UniversityKi-Moon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Ling Li (李零) Peking UniversityKatsuya Onishi (大西克也) University of TokyoAsko Parpola University of HelsinkiBarry B Powell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S Robert Ramsey University of MarylandDenise Schmandt-Besserat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J Marshall Unger Ohio State UniversityJohn Whitman Cornell University

Submission Guidelines

SCRIPTA the official journal of the Hunmin jeongeum Society is a refereed journal published annually in September SCRIPTA welcomes submissions from scholars of various disciplines whose work especially pertains to writing systems Submissions should not substantially duplicate work that any of the authors have published elsewhere

ContentsTopics of interes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organization of a writing system usage of a lesser-known writing system history of letters and characters deciphering an unknown writing system inscriptions or documents on a writing system promotion of an alphabet codification or digitization of a writing system design of letters and characters

Submission AddressAll submissions are to be sent by email to scripta08gmailcom

FormatAll submissions must be in doc or hwp format along with pdf format and sent as e-mail attachment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any included image files be submitted at their original resolution All manuscripts should contain an abstract several keywords footnotes and references References should have the format ldquoAuthor (year) Title of Article Book Name City Publisherrdquo

Evaluation ProceduresSubmissions that pass the first editorial review will be anonymously evaluated by two peer reviewers Reviews are graded into four categories accept in its present form accept with mandatory revision reconsider after revision and reject

Copyright copy 2010 by the Hunmin jeongeum SocietyPrinted in Seoul KoreaISSN 2092-7215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Hyeon‐hie Lee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presents a brief sketch of the content and background of Hunmin jeongeum research Pre-1940 and post-1940 research are divided and considered separately

Keywords Hunmin jeongeum Pre-1940 and post-1940 research

1 Hunmin jeongeum as a Writing System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the term lsquohunmin jeongeumrsquo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訓民正音) has two meanings One meaning refers to the Korean alphabet (known originally by that name and hereafter simply as lsquoJeongeumrsquo)1 the other refers to the most commonly used primary document related to the alphabet the text Hunmin jeongeum including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訓民正音 解例)2 This paper briefly sketches the history of research on Jeongeum limiting its discussion to research and studies of the script itself as a writing system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research on Jeongeum has obtained more precision owing to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1 There are instances where the term lsquohunmin jeongeumrsquo could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lsquohangeulrsquo For the sake of consistency the frequently used shortened name for the script lsquoJeongeumrsquo will be used hereafter2 Where possible English translations of Hunmin jeongeum sections and terminology therein follow Ledyard (1965)

SCRIPTA Volume 2 (September 2010) 15-59copy 2010 The Hunmin jeongeum Society

16 SCRIPTA VOLUME 2 (2010)

jeongeum in 19403 It is necessary therefore that a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Jeongeum research be divided into research done before 1940 and that conducted afterward While there have actually been a number of studies on Jeongeum conducted outside Korea due to space and time constraints a history of such research will regrettably be omitted from this paper4

2 Pre‐1940 Jeongeum Research

After Jeongeum was invented in 1443 by King Sejong (perhaps in collabor-ation with others) the mos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origins of the script was recorded in Hunmin jeongeum published in 1446 Hunmin jeongeum consists of a preface titled ldquoYeeuirdquo (Examples and their Implications 例義) believed to be written personally by King Sejong and a commentary titled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hereafter simply ldquoHaeryerdquo) written by what later came to be called the lsquoEonmun palyursquo (the Eight Scholars of the Vernacular Language 諺文八儒)5 ldquoYeeuirsquos prefacerdquo was written presumably by King Sejong and ldquothe preface to Haeryerdquo by Jeong In-ji (鄭麟趾) an official in the Office of Protocol ldquoHaeryerdquo consists of six sections five ldquoExplanationsrdquo (o‐hae 五解) and a glossary titled ldquoYongja-ryerdquo (Examples of the Use of the Letters 用字例) The five Explanations in order are 1) ldquoJeja-haerdquo (Explanation of the Design of the Letters 制字解) 2) ldquoCho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Initial Phonemes 初聲解) 3) ldquoJung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Medial Phonemes 中聲解) 4) ldquoJong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Final Phonemes 終聲解) and 5) ldquoHapja-haerdquo (Explanation for the Combining of the Letters 合字解) Hunmin jeongeum was structured such that ldquoYeeuirdquo was intended to be the main

3 Recently another copy of Hunmin jeongeum was discovered in Daegu but it is difficult to go into detail about this copy as it has not been made public4 For further research on Jeongeum done in the foreign countries please see to M Kim et al eds (1997) K Lee (2000) J Kim (2004) etc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done in several cultural areas please especially refer to M Kim et al eds (1997) And for research conducted in North Korea see H Lee (1992) and P Ahn (19932007) 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vey a concise summary of this topic specific researchers will be named only where absolutely necessary5 The lsquoEonmun palyursquo as listed in the preface of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were Jeong In-ji Choi Hang Bak Paeng-nyeon Sin Suk-ju Seong Sam-mun Gang Heui-an Yi Gae and Yi Seon-ro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7

text with ldquoHaeryerdquo as its commentary From the 16th century to 1940 consulting Hunmin jeongeum was utterly

impossible Therefore scholars studying Jeongeum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were able only to consult King Sejongrsquos and Jeong In-jirsquos prefaces as they had also been recorded in the Sejong Sillok (Veritable Records of the Sejong Court)6

During the remainder of the Joseon Dynasty the most pressing Jeongeum‐related issues revolved around the proper transcrip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the proper transcription of indigenous words Sino‐Korean words and other foreign vocabulary Also Jeongeumrsquos origins then as toda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With the 1894 Gabo Reforms Jeongeum came to be known officially as kukmun (the national script 國文) Afterward great interest was directed toward the use of kukmun and hanja (Chinese characters as used in Korea) the creation of a standard unified Jeongeum orthography and identifying the phonemic properties of the obsolete vowel lsquoㆍrsquo known as the lsquoarae arsquo or lsquolow arsquo because it was located in the lowest position of the Korean alphabet chart or ldquoBanjeol-pyordquo (a paradigm of the Korean alphabet arranged as a syllabary and a primary method for teaching it 反切表)

In addition lsquohannara-malrsquo (language of the Great Han Empire) was shortened to lsquohanmalrsquo during this period and lsquohannara-geulrsquo (writing of the Great Han Empire) to simply lsquohangeulrsquo7 as is still widely used8 Controversy over the use and validity of ldquoSinjeong kukmunrdquo (the newly rectified national orthography 新訂國文) which Ji Seok-yeong (池錫永) presented in a memorial to the King to execute in 1907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Korean Script (國文硏究所) where ten themes concerning characteristics of Jeongeum and its use were dealt with in much depth Regretfully the recommendations in the final report submitt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學部) in 1909 were not

6 Scholars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could make easy reference to the ldquoYeeuirdquo and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as these could be found in the Gukjo bogam (Precious Mirror for Succeeding Reigns 國朝寶鑑) and Yeolseong eoje (A Collection of Various Kingsrsquo Writings 列聖御製)7 The abbreviation was conducted by Ju Si-gyeong (周時經) or Choi Nam-seon (崔南善) having come into close relation with him 8 The term lsquohangeulrsquo was ambiguous during this period In South Korea today however it refers only to the Korean script

18 SCRIPTA VOLUME 2 (2010)

realizedImportant discussions and research on Jeongeum continued into the

colonial period during which the Joseon‐eo hakhoi (Korean Language Society 朝鮮語學會) led by pupils of Ju Si-gyeong reformed Jeongeum orthography once again with their Standardization of Korean Orthography (한글맞춤법) in 1933 There were also a number of controversies during this period prior to 1940 including the orthographic theories of Bak Seung-bin (朴勝彬) and his followers amid which active study was carried out in 1930s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3 Post‐1940 Jeongeum Research9

Before the 1940s Jeongeum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proper use of the alphabetrsquos letters With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jeongeum in 1940 research on Jeongeum broadened After 1940 research covered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Jeongeumrsquos origins the possible existence of a native writing system prior to Jeongeum the principles behind Jeongeumrsquos letter designs the motives for and academic background behind its invention the correct number of letters the nature of Jeongeum as a featural writing system the connection between Jeongeum and chaja pyogi (the Korean transcription system to use Chinese characters 借字表記) calligraphic styles the globalization of Jeongeum and the aesthetic usefulness of Jeongeum Studies on Jeongeum have been broad and deep so much so that now there may be few unexplored areas for research

Though there have been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of Jeongeum ranging from the simple records to logical scientific explanations the theory that the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something (the pictographic theory 象形說) has become an established theory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Another major topic of debate has been whether Korea ever had a native script before Jeongeum Given the announcement of the scriptrsquos invention in the Sejong Sillok or the contents of Hunmin jeongeum nowadays nobody doubts that the script was either the personal invention of King Sejong or that Sejong invented Jeongeum with the help of several

9 The organization of this chapter has mostly followed H Lee (1990)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9

supporters Now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nts of unofficial chronicles like Hwandan gogi (桓檀古記) Dangun gogi (檀君古記) or Dangun segi (檀君世 紀) some scholars hold the opinion that there existed an indigenous Korean script before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t was identical to Jeongeum

When considering the place of Jeongeum in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that its invention was accomplished by combining Korean features with both non-Chinese and Chinese-inspired features is worth repeated recognition Since the invention of Jeongeum was based on a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it was possible to invent a new phonetic script appropriate for transcribing the sounds of Korea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scholars attempting to explain Jeongeumrsquos foundations A widely accepted theory is that both the initials (初聲) and the medials (中聲)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some scholars claim the initials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sounds of Sino‐Korean borrowings and the medials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Still others claim that the medials and the initials were both created by analyzing the readings of Sino‐Korean characters as recorded in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Although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it is now widely accepted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the articulatory organs (the primary pictographic explanation) some scholars believe certain aspects of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factors as well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developed from gugyeol10 (口訣字起源說) or been an imitation of the ldquoOld Sealrdquo (古篆起源說) or been influenced by Taiji thought (太極思想起源說) or that they imitate the hPags‐pa script (八思巴文字起源說)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ories which attempt to explain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by some mechanism other than the widely accepted pictographic principle alone While some scholars assert that the shape of both the initials and medials were affected by these other influences other scholars claim only a small number of the initials or the medials were affected by them Another interesting theory is that the letter shapes originated from musicological symbols composed of simple strokes (劃) used in the ligature score of the Korean lute or geomungo (玄琴合字譜)

10 Gugyeol is a system developed in Korea for glossing annotating and punctuating Classical Chinese texts with vernacular Korean elements

20 SCRIPTA VOLUME 2 (2010)

The reason for such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for the letter shapes is the ambiguity of a passage i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describing the letter shapes which reads ldquoThe letters while depicting outlines imitate the Old Seal (xiang xing er zi fang gu zhuan 象形而字倣古篆) This passag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11

In the case of the initials the basic letters were patterned on the articulatory organs and others were created through systematic stroke addition (加畫) while still other letters have irregular forms (異體字) The medials were created by abstracting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of Heaven (天) Earth (地) and Man (人) ldquoJeja-haerdquo explains that the first set of medials (初出字 ㅗ ㅏ ㅜ ㅓ) and the second set of medials (再出字 ㅛ ㅑ ㅠ ㅕ) were formed from the basic letters but scholars have interpreted this in somewhat different ways Opinions are split on interpreting the stroke addition principle the number of initial basic letters and the objects supposedly being depicted using the pictographic method An alternate though steadily growing interpretation of what the most basic letter shapes depict assuming the pictographic method was indeed used is that the letter shapes were not patterned after the articulatory organs but the figures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起一成文圖)12

There are also those who opine that the basic medial letter shapes were patterned on articulatory organs or the ones relating them to figures seen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or ldquoheturdquo (河圖) However the common view accepted in the academic world now is that the basic medial letters were created using the pictographic principle by abstracting the objects of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The problem is that lsquoㅛ ㅑ ㅠ and ㅕrsquo were included in the 11 medials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13

Discussions on the motives for and purpose of Jeongeumrsquos invention can be easily found in many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but the points that scholars emphasize differ from one another to varying degrees It is generally asserted that Jeongeum was invented in order to transcribe the Korean vernacular However some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 main

11 See H Lee (1990) for the various interpretations12 The phrase ldquoqihengchengwenturdquo is found in the Tongzhi (通志) and means roughly ldquoThe diagrams (tu 圖) in which completed characters (wen 文) arise from a single line (heng 一)rdquo13 Again see H Lee (1990) for these various interpretations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1

purpose was to note the prope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only later was its use expanded into recording the native language

Also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Jeongeum was invented either for the sake of educating the people instructing the people in public policy or as part of the national power establishment policy Jeongeumrsquos invention has also been interpreted as a method of efficiently ruling the people whose self‐consciousness had been upgraded But when considering the cultural milieu in which Jeongeum was invented it has been understood by most scholars in Korea that Jeongeum was invented for transcribing the native tongue first and secondarily for recording Sino‐Korean and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Since various documents use Jeongeum differently to transcribe Chinese characters it has been posited that there was a period in which the reade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script therefore the intended purpose for Jeongeumrsquos invention was to us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in tandem and eventually script use in the Joseon Dynasty exhibited a dual structure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Another interpretation based o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is that the purpose of inventing Jeongeum was to gradually replace the transcription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transcribe the vernacular (借字表 記)

Neo‐Confucianism divination phonology scriptology and musicology have all been posited as being part of the academic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of Jeongeum The connection between Xinglidaquan (性理大全) and ldquoliushuluerdquo (六書略) by Zhengqiao (鄭樵) (especially ldquoqihengchengwenturdquo) recorded in Tongzhi (通志)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fluence of the hPags‐pa alphabet invented in the Yua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Mengguyunlue (蒙古韻略)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view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explanations referring to divination science and Neo‐Confucianism found in the ldquoJeja-haerdquo were added simply as an attempt to appear abstruse and profound However today divination and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generally to be an essential part of Jeongeumrsquos invention

Another long-debated issue has been whether the initials originally numbered 16 or 17 and whether or not to include certain letters among the original 28 (or 27 by some counts)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s

22 SCRIPTA VOLUME 2 (2010)

research into the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as phonograms for transcribing Korean has progressed it has been further recognize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overlap between this system and the use of Jeongeum Also the tripartite division of syllables using Jeonge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Sampson (1985) expressed his view that Jeongeum was a featural writing system many scholars within Korea have up to the present time expressed continually and actively both consenting and opposing opinions

4 Closing

Jeongeum research thus far has characteristics of both narrow focused study and more comprehensive study the former type based largely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itself and the latter typ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Jeongeum with other writing systems The two approaches allow for both a concentrated analys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unmin jeongeum as well as a comprehensiv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in which Jeongeum is considered the outcome of the eastward advance of alphabetic writing

Selected References

1 Studies in Korea

Ahn Pyong-hi (1993) ldquo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Research by Foreign Scholars and 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문화체육부 학술회의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in Studies on Hunmin jeongeum (SNU Press 2007)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에 재수록됨)]

Kang Sin-hang (강신항) (1987) Hunmin jeongeum Yeongu (훈민정음연구) Seonggyungwan University Press (성균관대학교출판부)

Kim Jung-dae (김정대) (2004) ldquo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angeul by Foreign Scholars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43

Kim Min-soo (김민수) (1980) Singukeohaksa (신국어학사) Rev ed (전정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Submission Guidelines

SCRIPTA the official journal of the Hunmin jeongeum Society is a refereed journal published annually in September SCRIPTA welcomes submissions from scholars of various disciplines whose work especially pertains to writing systems Submissions should not substantially duplicate work that any of the authors have published elsewhere

ContentsTopics of interes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organization of a writing system usage of a lesser-known writing system history of letters and characters deciphering an unknown writing system inscriptions or documents on a writing system promotion of an alphabet codification or digitization of a writing system design of letters and characters

Submission AddressAll submissions are to be sent by email to scripta08gmailcom

FormatAll submissions must be in doc or hwp format along with pdf format and sent as e-mail attachment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any included image files be submitted at their original resolution All manuscripts should contain an abstract several keywords footnotes and references References should have the format ldquoAuthor (year) Title of Article Book Name City Publisherrdquo

Evaluation ProceduresSubmissions that pass the first editorial review will be anonymously evaluated by two peer reviewers Reviews are graded into four categories accept in its present form accept with mandatory revision reconsider after revision and reject

Copyright copy 2010 by the Hunmin jeongeum SocietyPrinted in Seoul KoreaISSN 2092-7215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Hyeon‐hie Lee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presents a brief sketch of the content and background of Hunmin jeongeum research Pre-1940 and post-1940 research are divided and considered separately

Keywords Hunmin jeongeum Pre-1940 and post-1940 research

1 Hunmin jeongeum as a Writing System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the term lsquohunmin jeongeumrsquo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訓民正音) has two meanings One meaning refers to the Korean alphabet (known originally by that name and hereafter simply as lsquoJeongeumrsquo)1 the other refers to the most commonly used primary document related to the alphabet the text Hunmin jeongeum including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訓民正音 解例)2 This paper briefly sketches the history of research on Jeongeum limiting its discussion to research and studies of the script itself as a writing system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research on Jeongeum has obtained more precision owing to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1 There are instances where the term lsquohunmin jeongeumrsquo could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lsquohangeulrsquo For the sake of consistency the frequently used shortened name for the script lsquoJeongeumrsquo will be used hereafter2 Where possible English translations of Hunmin jeongeum sections and terminology therein follow Ledyard (1965)

SCRIPTA Volume 2 (September 2010) 15-59copy 2010 The Hunmin jeongeum Society

16 SCRIPTA VOLUME 2 (2010)

jeongeum in 19403 It is necessary therefore that a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Jeongeum research be divided into research done before 1940 and that conducted afterward While there have actually been a number of studies on Jeongeum conducted outside Korea due to space and time constraints a history of such research will regrettably be omitted from this paper4

2 Pre‐1940 Jeongeum Research

After Jeongeum was invented in 1443 by King Sejong (perhaps in collabor-ation with others) the mos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origins of the script was recorded in Hunmin jeongeum published in 1446 Hunmin jeongeum consists of a preface titled ldquoYeeuirdquo (Examples and their Implications 例義) believed to be written personally by King Sejong and a commentary titled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hereafter simply ldquoHaeryerdquo) written by what later came to be called the lsquoEonmun palyursquo (the Eight Scholars of the Vernacular Language 諺文八儒)5 ldquoYeeuirsquos prefacerdquo was written presumably by King Sejong and ldquothe preface to Haeryerdquo by Jeong In-ji (鄭麟趾) an official in the Office of Protocol ldquoHaeryerdquo consists of six sections five ldquoExplanationsrdquo (o‐hae 五解) and a glossary titled ldquoYongja-ryerdquo (Examples of the Use of the Letters 用字例) The five Explanations in order are 1) ldquoJeja-haerdquo (Explanation of the Design of the Letters 制字解) 2) ldquoCho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Initial Phonemes 初聲解) 3) ldquoJung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Medial Phonemes 中聲解) 4) ldquoJong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Final Phonemes 終聲解) and 5) ldquoHapja-haerdquo (Explanation for the Combining of the Letters 合字解) Hunmin jeongeum was structured such that ldquoYeeuirdquo was intended to be the main

3 Recently another copy of Hunmin jeongeum was discovered in Daegu but it is difficult to go into detail about this copy as it has not been made public4 For further research on Jeongeum done in the foreign countries please see to M Kim et al eds (1997) K Lee (2000) J Kim (2004) etc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done in several cultural areas please especially refer to M Kim et al eds (1997) And for research conducted in North Korea see H Lee (1992) and P Ahn (19932007) 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vey a concise summary of this topic specific researchers will be named only where absolutely necessary5 The lsquoEonmun palyursquo as listed in the preface of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were Jeong In-ji Choi Hang Bak Paeng-nyeon Sin Suk-ju Seong Sam-mun Gang Heui-an Yi Gae and Yi Seon-ro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7

text with ldquoHaeryerdquo as its commentary From the 16th century to 1940 consulting Hunmin jeongeum was utterly

impossible Therefore scholars studying Jeongeum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were able only to consult King Sejongrsquos and Jeong In-jirsquos prefaces as they had also been recorded in the Sejong Sillok (Veritable Records of the Sejong Court)6

During the remainder of the Joseon Dynasty the most pressing Jeongeum‐related issues revolved around the proper transcrip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the proper transcription of indigenous words Sino‐Korean words and other foreign vocabulary Also Jeongeumrsquos origins then as toda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With the 1894 Gabo Reforms Jeongeum came to be known officially as kukmun (the national script 國文) Afterward great interest was directed toward the use of kukmun and hanja (Chinese characters as used in Korea) the creation of a standard unified Jeongeum orthography and identifying the phonemic properties of the obsolete vowel lsquoㆍrsquo known as the lsquoarae arsquo or lsquolow arsquo because it was located in the lowest position of the Korean alphabet chart or ldquoBanjeol-pyordquo (a paradigm of the Korean alphabet arranged as a syllabary and a primary method for teaching it 反切表)

In addition lsquohannara-malrsquo (language of the Great Han Empire) was shortened to lsquohanmalrsquo during this period and lsquohannara-geulrsquo (writing of the Great Han Empire) to simply lsquohangeulrsquo7 as is still widely used8 Controversy over the use and validity of ldquoSinjeong kukmunrdquo (the newly rectified national orthography 新訂國文) which Ji Seok-yeong (池錫永) presented in a memorial to the King to execute in 1907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Korean Script (國文硏究所) where ten themes concerning characteristics of Jeongeum and its use were dealt with in much depth Regretfully the recommendations in the final report submitt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學部) in 1909 were not

6 Scholars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could make easy reference to the ldquoYeeuirdquo and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as these could be found in the Gukjo bogam (Precious Mirror for Succeeding Reigns 國朝寶鑑) and Yeolseong eoje (A Collection of Various Kingsrsquo Writings 列聖御製)7 The abbreviation was conducted by Ju Si-gyeong (周時經) or Choi Nam-seon (崔南善) having come into close relation with him 8 The term lsquohangeulrsquo was ambiguous during this period In South Korea today however it refers only to the Korean script

18 SCRIPTA VOLUME 2 (2010)

realizedImportant discussions and research on Jeongeum continued into the

colonial period during which the Joseon‐eo hakhoi (Korean Language Society 朝鮮語學會) led by pupils of Ju Si-gyeong reformed Jeongeum orthography once again with their Standardization of Korean Orthography (한글맞춤법) in 1933 There were also a number of controversies during this period prior to 1940 including the orthographic theories of Bak Seung-bin (朴勝彬) and his followers amid which active study was carried out in 1930s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3 Post‐1940 Jeongeum Research9

Before the 1940s Jeongeum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proper use of the alphabetrsquos letters With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jeongeum in 1940 research on Jeongeum broadened After 1940 research covered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Jeongeumrsquos origins the possible existence of a native writing system prior to Jeongeum the principles behind Jeongeumrsquos letter designs the motives for and academic background behind its invention the correct number of letters the nature of Jeongeum as a featural writing system the connection between Jeongeum and chaja pyogi (the Korean transcription system to use Chinese characters 借字表記) calligraphic styles the globalization of Jeongeum and the aesthetic usefulness of Jeongeum Studies on Jeongeum have been broad and deep so much so that now there may be few unexplored areas for research

Though there have been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of Jeongeum ranging from the simple records to logical scientific explanations the theory that the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something (the pictographic theory 象形說) has become an established theory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Another major topic of debate has been whether Korea ever had a native script before Jeongeum Given the announcement of the scriptrsquos invention in the Sejong Sillok or the contents of Hunmin jeongeum nowadays nobody doubts that the script was either the personal invention of King Sejong or that Sejong invented Jeongeum with the help of several

9 The organization of this chapter has mostly followed H Lee (1990)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9

supporters Now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nts of unofficial chronicles like Hwandan gogi (桓檀古記) Dangun gogi (檀君古記) or Dangun segi (檀君世 紀) some scholars hold the opinion that there existed an indigenous Korean script before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t was identical to Jeongeum

When considering the place of Jeongeum in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that its invention was accomplished by combining Korean features with both non-Chinese and Chinese-inspired features is worth repeated recognition Since the invention of Jeongeum was based on a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it was possible to invent a new phonetic script appropriate for transcribing the sounds of Korea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scholars attempting to explain Jeongeumrsquos foundations A widely accepted theory is that both the initials (初聲) and the medials (中聲)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some scholars claim the initials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sounds of Sino‐Korean borrowings and the medials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Still others claim that the medials and the initials were both created by analyzing the readings of Sino‐Korean characters as recorded in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Although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it is now widely accepted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the articulatory organs (the primary pictographic explanation) some scholars believe certain aspects of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factors as well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developed from gugyeol10 (口訣字起源說) or been an imitation of the ldquoOld Sealrdquo (古篆起源說) or been influenced by Taiji thought (太極思想起源說) or that they imitate the hPags‐pa script (八思巴文字起源說)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ories which attempt to explain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by some mechanism other than the widely accepted pictographic principle alone While some scholars assert that the shape of both the initials and medials were affected by these other influences other scholars claim only a small number of the initials or the medials were affected by them Another interesting theory is that the letter shapes originated from musicological symbols composed of simple strokes (劃) used in the ligature score of the Korean lute or geomungo (玄琴合字譜)

10 Gugyeol is a system developed in Korea for glossing annotating and punctuating Classical Chinese texts with vernacular Korean elements

20 SCRIPTA VOLUME 2 (2010)

The reason for such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for the letter shapes is the ambiguity of a passage i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describing the letter shapes which reads ldquoThe letters while depicting outlines imitate the Old Seal (xiang xing er zi fang gu zhuan 象形而字倣古篆) This passag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11

In the case of the initials the basic letters were patterned on the articulatory organs and others were created through systematic stroke addition (加畫) while still other letters have irregular forms (異體字) The medials were created by abstracting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of Heaven (天) Earth (地) and Man (人) ldquoJeja-haerdquo explains that the first set of medials (初出字 ㅗ ㅏ ㅜ ㅓ) and the second set of medials (再出字 ㅛ ㅑ ㅠ ㅕ) were formed from the basic letters but scholars have interpreted this in somewhat different ways Opinions are split on interpreting the stroke addition principle the number of initial basic letters and the objects supposedly being depicted using the pictographic method An alternate though steadily growing interpretation of what the most basic letter shapes depict assuming the pictographic method was indeed used is that the letter shapes were not patterned after the articulatory organs but the figures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起一成文圖)12

There are also those who opine that the basic medial letter shapes were patterned on articulatory organs or the ones relating them to figures seen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or ldquoheturdquo (河圖) However the common view accepted in the academic world now is that the basic medial letters were created using the pictographic principle by abstracting the objects of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The problem is that lsquoㅛ ㅑ ㅠ and ㅕrsquo were included in the 11 medials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13

Discussions on the motives for and purpose of Jeongeumrsquos invention can be easily found in many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but the points that scholars emphasize differ from one another to varying degrees It is generally asserted that Jeongeum was invented in order to transcribe the Korean vernacular However some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 main

11 See H Lee (1990) for the various interpretations12 The phrase ldquoqihengchengwenturdquo is found in the Tongzhi (通志) and means roughly ldquoThe diagrams (tu 圖) in which completed characters (wen 文) arise from a single line (heng 一)rdquo13 Again see H Lee (1990) for these various interpretations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1

purpose was to note the prope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only later was its use expanded into recording the native language

Also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Jeongeum was invented either for the sake of educating the people instructing the people in public policy or as part of the national power establishment policy Jeongeumrsquos invention has also been interpreted as a method of efficiently ruling the people whose self‐consciousness had been upgraded But when considering the cultural milieu in which Jeongeum was invented it has been understood by most scholars in Korea that Jeongeum was invented for transcribing the native tongue first and secondarily for recording Sino‐Korean and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Since various documents use Jeongeum differently to transcribe Chinese characters it has been posited that there was a period in which the reade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script therefore the intended purpose for Jeongeumrsquos invention was to us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in tandem and eventually script use in the Joseon Dynasty exhibited a dual structure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Another interpretation based o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is that the purpose of inventing Jeongeum was to gradually replace the transcription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transcribe the vernacular (借字表 記)

Neo‐Confucianism divination phonology scriptology and musicology have all been posited as being part of the academic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of Jeongeum The connection between Xinglidaquan (性理大全) and ldquoliushuluerdquo (六書略) by Zhengqiao (鄭樵) (especially ldquoqihengchengwenturdquo) recorded in Tongzhi (通志)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fluence of the hPags‐pa alphabet invented in the Yua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Mengguyunlue (蒙古韻略)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view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explanations referring to divination science and Neo‐Confucianism found in the ldquoJeja-haerdquo were added simply as an attempt to appear abstruse and profound However today divination and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generally to be an essential part of Jeongeumrsquos invention

Another long-debated issue has been whether the initials originally numbered 16 or 17 and whether or not to include certain letters among the original 28 (or 27 by some counts)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s

22 SCRIPTA VOLUME 2 (2010)

research into the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as phonograms for transcribing Korean has progressed it has been further recognize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overlap between this system and the use of Jeongeum Also the tripartite division of syllables using Jeonge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Sampson (1985) expressed his view that Jeongeum was a featural writing system many scholars within Korea have up to the present time expressed continually and actively both consenting and opposing opinions

4 Closing

Jeongeum research thus far has characteristics of both narrow focused study and more comprehensive study the former type based largely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itself and the latter typ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Jeongeum with other writing systems The two approaches allow for both a concentrated analys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unmin jeongeum as well as a comprehensiv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in which Jeongeum is considered the outcome of the eastward advance of alphabetic writing

Selected References

1 Studies in Korea

Ahn Pyong-hi (1993) ldquo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Research by Foreign Scholars and 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문화체육부 학술회의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in Studies on Hunmin jeongeum (SNU Press 2007)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에 재수록됨)]

Kang Sin-hang (강신항) (1987) Hunmin jeongeum Yeongu (훈민정음연구) Seonggyungwan University Press (성균관대학교출판부)

Kim Jung-dae (김정대) (2004) ldquo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angeul by Foreign Scholars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43

Kim Min-soo (김민수) (1980) Singukeohaksa (신국어학사) Rev ed (전정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Hyeon‐hie Lee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presents a brief sketch of the content and background of Hunmin jeongeum research Pre-1940 and post-1940 research are divided and considered separately

Keywords Hunmin jeongeum Pre-1940 and post-1940 research

1 Hunmin jeongeum as a Writing System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the term lsquohunmin jeongeumrsquo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訓民正音) has two meanings One meaning refers to the Korean alphabet (known originally by that name and hereafter simply as lsquoJeongeumrsquo)1 the other refers to the most commonly used primary document related to the alphabet the text Hunmin jeongeum including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訓民正音 解例)2 This paper briefly sketches the history of research on Jeongeum limiting its discussion to research and studies of the script itself as a writing system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research on Jeongeum has obtained more precision owing to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1 There are instances where the term lsquohunmin jeongeumrsquo could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lsquohangeulrsquo For the sake of consistency the frequently used shortened name for the script lsquoJeongeumrsquo will be used hereafter2 Where possible English translations of Hunmin jeongeum sections and terminology therein follow Ledyard (1965)

SCRIPTA Volume 2 (September 2010) 15-59copy 2010 The Hunmin jeongeum Society

16 SCRIPTA VOLUME 2 (2010)

jeongeum in 19403 It is necessary therefore that a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Jeongeum research be divided into research done before 1940 and that conducted afterward While there have actually been a number of studies on Jeongeum conducted outside Korea due to space and time constraints a history of such research will regrettably be omitted from this paper4

2 Pre‐1940 Jeongeum Research

After Jeongeum was invented in 1443 by King Sejong (perhaps in collabor-ation with others) the mos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origins of the script was recorded in Hunmin jeongeum published in 1446 Hunmin jeongeum consists of a preface titled ldquoYeeuirdquo (Examples and their Implications 例義) believed to be written personally by King Sejong and a commentary titled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hereafter simply ldquoHaeryerdquo) written by what later came to be called the lsquoEonmun palyursquo (the Eight Scholars of the Vernacular Language 諺文八儒)5 ldquoYeeuirsquos prefacerdquo was written presumably by King Sejong and ldquothe preface to Haeryerdquo by Jeong In-ji (鄭麟趾) an official in the Office of Protocol ldquoHaeryerdquo consists of six sections five ldquoExplanationsrdquo (o‐hae 五解) and a glossary titled ldquoYongja-ryerdquo (Examples of the Use of the Letters 用字例) The five Explanations in order are 1) ldquoJeja-haerdquo (Explanation of the Design of the Letters 制字解) 2) ldquoCho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Initial Phonemes 初聲解) 3) ldquoJung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Medial Phonemes 中聲解) 4) ldquoJong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Final Phonemes 終聲解) and 5) ldquoHapja-haerdquo (Explanation for the Combining of the Letters 合字解) Hunmin jeongeum was structured such that ldquoYeeuirdquo was intended to be the main

3 Recently another copy of Hunmin jeongeum was discovered in Daegu but it is difficult to go into detail about this copy as it has not been made public4 For further research on Jeongeum done in the foreign countries please see to M Kim et al eds (1997) K Lee (2000) J Kim (2004) etc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done in several cultural areas please especially refer to M Kim et al eds (1997) And for research conducted in North Korea see H Lee (1992) and P Ahn (19932007) 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vey a concise summary of this topic specific researchers will be named only where absolutely necessary5 The lsquoEonmun palyursquo as listed in the preface of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were Jeong In-ji Choi Hang Bak Paeng-nyeon Sin Suk-ju Seong Sam-mun Gang Heui-an Yi Gae and Yi Seon-ro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7

text with ldquoHaeryerdquo as its commentary From the 16th century to 1940 consulting Hunmin jeongeum was utterly

impossible Therefore scholars studying Jeongeum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were able only to consult King Sejongrsquos and Jeong In-jirsquos prefaces as they had also been recorded in the Sejong Sillok (Veritable Records of the Sejong Court)6

During the remainder of the Joseon Dynasty the most pressing Jeongeum‐related issues revolved around the proper transcrip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the proper transcription of indigenous words Sino‐Korean words and other foreign vocabulary Also Jeongeumrsquos origins then as toda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With the 1894 Gabo Reforms Jeongeum came to be known officially as kukmun (the national script 國文) Afterward great interest was directed toward the use of kukmun and hanja (Chinese characters as used in Korea) the creation of a standard unified Jeongeum orthography and identifying the phonemic properties of the obsolete vowel lsquoㆍrsquo known as the lsquoarae arsquo or lsquolow arsquo because it was located in the lowest position of the Korean alphabet chart or ldquoBanjeol-pyordquo (a paradigm of the Korean alphabet arranged as a syllabary and a primary method for teaching it 反切表)

In addition lsquohannara-malrsquo (language of the Great Han Empire) was shortened to lsquohanmalrsquo during this period and lsquohannara-geulrsquo (writing of the Great Han Empire) to simply lsquohangeulrsquo7 as is still widely used8 Controversy over the use and validity of ldquoSinjeong kukmunrdquo (the newly rectified national orthography 新訂國文) which Ji Seok-yeong (池錫永) presented in a memorial to the King to execute in 1907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Korean Script (國文硏究所) where ten themes concerning characteristics of Jeongeum and its use were dealt with in much depth Regretfully the recommendations in the final report submitt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學部) in 1909 were not

6 Scholars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could make easy reference to the ldquoYeeuirdquo and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as these could be found in the Gukjo bogam (Precious Mirror for Succeeding Reigns 國朝寶鑑) and Yeolseong eoje (A Collection of Various Kingsrsquo Writings 列聖御製)7 The abbreviation was conducted by Ju Si-gyeong (周時經) or Choi Nam-seon (崔南善) having come into close relation with him 8 The term lsquohangeulrsquo was ambiguous during this period In South Korea today however it refers only to the Korean script

18 SCRIPTA VOLUME 2 (2010)

realizedImportant discussions and research on Jeongeum continued into the

colonial period during which the Joseon‐eo hakhoi (Korean Language Society 朝鮮語學會) led by pupils of Ju Si-gyeong reformed Jeongeum orthography once again with their Standardization of Korean Orthography (한글맞춤법) in 1933 There were also a number of controversies during this period prior to 1940 including the orthographic theories of Bak Seung-bin (朴勝彬) and his followers amid which active study was carried out in 1930s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3 Post‐1940 Jeongeum Research9

Before the 1940s Jeongeum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proper use of the alphabetrsquos letters With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jeongeum in 1940 research on Jeongeum broadened After 1940 research covered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Jeongeumrsquos origins the possible existence of a native writing system prior to Jeongeum the principles behind Jeongeumrsquos letter designs the motives for and academic background behind its invention the correct number of letters the nature of Jeongeum as a featural writing system the connection between Jeongeum and chaja pyogi (the Korean transcription system to use Chinese characters 借字表記) calligraphic styles the globalization of Jeongeum and the aesthetic usefulness of Jeongeum Studies on Jeongeum have been broad and deep so much so that now there may be few unexplored areas for research

Though there have been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of Jeongeum ranging from the simple records to logical scientific explanations the theory that the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something (the pictographic theory 象形說) has become an established theory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Another major topic of debate has been whether Korea ever had a native script before Jeongeum Given the announcement of the scriptrsquos invention in the Sejong Sillok or the contents of Hunmin jeongeum nowadays nobody doubts that the script was either the personal invention of King Sejong or that Sejong invented Jeongeum with the help of several

9 The organization of this chapter has mostly followed H Lee (1990)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9

supporters Now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nts of unofficial chronicles like Hwandan gogi (桓檀古記) Dangun gogi (檀君古記) or Dangun segi (檀君世 紀) some scholars hold the opinion that there existed an indigenous Korean script before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t was identical to Jeongeum

When considering the place of Jeongeum in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that its invention was accomplished by combining Korean features with both non-Chinese and Chinese-inspired features is worth repeated recognition Since the invention of Jeongeum was based on a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it was possible to invent a new phonetic script appropriate for transcribing the sounds of Korea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scholars attempting to explain Jeongeumrsquos foundations A widely accepted theory is that both the initials (初聲) and the medials (中聲)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some scholars claim the initials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sounds of Sino‐Korean borrowings and the medials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Still others claim that the medials and the initials were both created by analyzing the readings of Sino‐Korean characters as recorded in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Although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it is now widely accepted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the articulatory organs (the primary pictographic explanation) some scholars believe certain aspects of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factors as well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developed from gugyeol10 (口訣字起源說) or been an imitation of the ldquoOld Sealrdquo (古篆起源說) or been influenced by Taiji thought (太極思想起源說) or that they imitate the hPags‐pa script (八思巴文字起源說)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ories which attempt to explain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by some mechanism other than the widely accepted pictographic principle alone While some scholars assert that the shape of both the initials and medials were affected by these other influences other scholars claim only a small number of the initials or the medials were affected by them Another interesting theory is that the letter shapes originated from musicological symbols composed of simple strokes (劃) used in the ligature score of the Korean lute or geomungo (玄琴合字譜)

10 Gugyeol is a system developed in Korea for glossing annotating and punctuating Classical Chinese texts with vernacular Korean elements

20 SCRIPTA VOLUME 2 (2010)

The reason for such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for the letter shapes is the ambiguity of a passage i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describing the letter shapes which reads ldquoThe letters while depicting outlines imitate the Old Seal (xiang xing er zi fang gu zhuan 象形而字倣古篆) This passag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11

In the case of the initials the basic letters were patterned on the articulatory organs and others were created through systematic stroke addition (加畫) while still other letters have irregular forms (異體字) The medials were created by abstracting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of Heaven (天) Earth (地) and Man (人) ldquoJeja-haerdquo explains that the first set of medials (初出字 ㅗ ㅏ ㅜ ㅓ) and the second set of medials (再出字 ㅛ ㅑ ㅠ ㅕ) were formed from the basic letters but scholars have interpreted this in somewhat different ways Opinions are split on interpreting the stroke addition principle the number of initial basic letters and the objects supposedly being depicted using the pictographic method An alternate though steadily growing interpretation of what the most basic letter shapes depict assuming the pictographic method was indeed used is that the letter shapes were not patterned after the articulatory organs but the figures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起一成文圖)12

There are also those who opine that the basic medial letter shapes were patterned on articulatory organs or the ones relating them to figures seen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or ldquoheturdquo (河圖) However the common view accepted in the academic world now is that the basic medial letters were created using the pictographic principle by abstracting the objects of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The problem is that lsquoㅛ ㅑ ㅠ and ㅕrsquo were included in the 11 medials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13

Discussions on the motives for and purpose of Jeongeumrsquos invention can be easily found in many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but the points that scholars emphasize differ from one another to varying degrees It is generally asserted that Jeongeum was invented in order to transcribe the Korean vernacular However some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 main

11 See H Lee (1990) for the various interpretations12 The phrase ldquoqihengchengwenturdquo is found in the Tongzhi (通志) and means roughly ldquoThe diagrams (tu 圖) in which completed characters (wen 文) arise from a single line (heng 一)rdquo13 Again see H Lee (1990) for these various interpretations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1

purpose was to note the prope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only later was its use expanded into recording the native language

Also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Jeongeum was invented either for the sake of educating the people instructing the people in public policy or as part of the national power establishment policy Jeongeumrsquos invention has also been interpreted as a method of efficiently ruling the people whose self‐consciousness had been upgraded But when considering the cultural milieu in which Jeongeum was invented it has been understood by most scholars in Korea that Jeongeum was invented for transcribing the native tongue first and secondarily for recording Sino‐Korean and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Since various documents use Jeongeum differently to transcribe Chinese characters it has been posited that there was a period in which the reade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script therefore the intended purpose for Jeongeumrsquos invention was to us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in tandem and eventually script use in the Joseon Dynasty exhibited a dual structure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Another interpretation based o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is that the purpose of inventing Jeongeum was to gradually replace the transcription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transcribe the vernacular (借字表 記)

Neo‐Confucianism divination phonology scriptology and musicology have all been posited as being part of the academic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of Jeongeum The connection between Xinglidaquan (性理大全) and ldquoliushuluerdquo (六書略) by Zhengqiao (鄭樵) (especially ldquoqihengchengwenturdquo) recorded in Tongzhi (通志)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fluence of the hPags‐pa alphabet invented in the Yua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Mengguyunlue (蒙古韻略)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view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explanations referring to divination science and Neo‐Confucianism found in the ldquoJeja-haerdquo were added simply as an attempt to appear abstruse and profound However today divination and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generally to be an essential part of Jeongeumrsquos invention

Another long-debated issue has been whether the initials originally numbered 16 or 17 and whether or not to include certain letters among the original 28 (or 27 by some counts)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s

22 SCRIPTA VOLUME 2 (2010)

research into the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as phonograms for transcribing Korean has progressed it has been further recognize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overlap between this system and the use of Jeongeum Also the tripartite division of syllables using Jeonge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Sampson (1985) expressed his view that Jeongeum was a featural writing system many scholars within Korea have up to the present time expressed continually and actively both consenting and opposing opinions

4 Closing

Jeongeum research thus far has characteristics of both narrow focused study and more comprehensive study the former type based largely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itself and the latter typ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Jeongeum with other writing systems The two approaches allow for both a concentrated analys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unmin jeongeum as well as a comprehensiv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in which Jeongeum is considered the outcome of the eastward advance of alphabetic writing

Selected References

1 Studies in Korea

Ahn Pyong-hi (1993) ldquo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Research by Foreign Scholars and 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문화체육부 학술회의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in Studies on Hunmin jeongeum (SNU Press 2007)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에 재수록됨)]

Kang Sin-hang (강신항) (1987) Hunmin jeongeum Yeongu (훈민정음연구) Seonggyungwan University Press (성균관대학교출판부)

Kim Jung-dae (김정대) (2004) ldquo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angeul by Foreign Scholars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43

Kim Min-soo (김민수) (1980) Singukeohaksa (신국어학사) Rev ed (전정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16 SCRIPTA VOLUME 2 (2010)

jeongeum in 19403 It is necessary therefore that a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Jeongeum research be divided into research done before 1940 and that conducted afterward While there have actually been a number of studies on Jeongeum conducted outside Korea due to space and time constraints a history of such research will regrettably be omitted from this paper4

2 Pre‐1940 Jeongeum Research

After Jeongeum was invented in 1443 by King Sejong (perhaps in collabor-ation with others) the mos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origins of the script was recorded in Hunmin jeongeum published in 1446 Hunmin jeongeum consists of a preface titled ldquoYeeuirdquo (Examples and their Implications 例義) believed to be written personally by King Sejong and a commentary titled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hereafter simply ldquoHaeryerdquo) written by what later came to be called the lsquoEonmun palyursquo (the Eight Scholars of the Vernacular Language 諺文八儒)5 ldquoYeeuirsquos prefacerdquo was written presumably by King Sejong and ldquothe preface to Haeryerdquo by Jeong In-ji (鄭麟趾) an official in the Office of Protocol ldquoHaeryerdquo consists of six sections five ldquoExplanationsrdquo (o‐hae 五解) and a glossary titled ldquoYongja-ryerdquo (Examples of the Use of the Letters 用字例) The five Explanations in order are 1) ldquoJeja-haerdquo (Explanation of the Design of the Letters 制字解) 2) ldquoCho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Initial Phonemes 初聲解) 3) ldquoJung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Medial Phonemes 中聲解) 4) ldquoJongseong-haerdquo (Explanation of the Final Phonemes 終聲解) and 5) ldquoHapja-haerdquo (Explanation for the Combining of the Letters 合字解) Hunmin jeongeum was structured such that ldquoYeeuirdquo was intended to be the main

3 Recently another copy of Hunmin jeongeum was discovered in Daegu but it is difficult to go into detail about this copy as it has not been made public4 For further research on Jeongeum done in the foreign countries please see to M Kim et al eds (1997) K Lee (2000) J Kim (2004) etc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done in several cultural areas please especially refer to M Kim et al eds (1997) And for research conducted in North Korea see H Lee (1992) and P Ahn (19932007) 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vey a concise summary of this topic specific researchers will be named only where absolutely necessary5 The lsquoEonmun palyursquo as listed in the preface of ldquoHunmin jeongeum haeryerdquo were Jeong In-ji Choi Hang Bak Paeng-nyeon Sin Suk-ju Seong Sam-mun Gang Heui-an Yi Gae and Yi Seon-ro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7

text with ldquoHaeryerdquo as its commentary From the 16th century to 1940 consulting Hunmin jeongeum was utterly

impossible Therefore scholars studying Jeongeum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were able only to consult King Sejongrsquos and Jeong In-jirsquos prefaces as they had also been recorded in the Sejong Sillok (Veritable Records of the Sejong Court)6

During the remainder of the Joseon Dynasty the most pressing Jeongeum‐related issues revolved around the proper transcrip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the proper transcription of indigenous words Sino‐Korean words and other foreign vocabulary Also Jeongeumrsquos origins then as toda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With the 1894 Gabo Reforms Jeongeum came to be known officially as kukmun (the national script 國文) Afterward great interest was directed toward the use of kukmun and hanja (Chinese characters as used in Korea) the creation of a standard unified Jeongeum orthography and identifying the phonemic properties of the obsolete vowel lsquoㆍrsquo known as the lsquoarae arsquo or lsquolow arsquo because it was located in the lowest position of the Korean alphabet chart or ldquoBanjeol-pyordquo (a paradigm of the Korean alphabet arranged as a syllabary and a primary method for teaching it 反切表)

In addition lsquohannara-malrsquo (language of the Great Han Empire) was shortened to lsquohanmalrsquo during this period and lsquohannara-geulrsquo (writing of the Great Han Empire) to simply lsquohangeulrsquo7 as is still widely used8 Controversy over the use and validity of ldquoSinjeong kukmunrdquo (the newly rectified national orthography 新訂國文) which Ji Seok-yeong (池錫永) presented in a memorial to the King to execute in 1907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Korean Script (國文硏究所) where ten themes concerning characteristics of Jeongeum and its use were dealt with in much depth Regretfully the recommendations in the final report submitt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學部) in 1909 were not

6 Scholars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could make easy reference to the ldquoYeeuirdquo and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as these could be found in the Gukjo bogam (Precious Mirror for Succeeding Reigns 國朝寶鑑) and Yeolseong eoje (A Collection of Various Kingsrsquo Writings 列聖御製)7 The abbreviation was conducted by Ju Si-gyeong (周時經) or Choi Nam-seon (崔南善) having come into close relation with him 8 The term lsquohangeulrsquo was ambiguous during this period In South Korea today however it refers only to the Korean script

18 SCRIPTA VOLUME 2 (2010)

realizedImportant discussions and research on Jeongeum continued into the

colonial period during which the Joseon‐eo hakhoi (Korean Language Society 朝鮮語學會) led by pupils of Ju Si-gyeong reformed Jeongeum orthography once again with their Standardization of Korean Orthography (한글맞춤법) in 1933 There were also a number of controversies during this period prior to 1940 including the orthographic theories of Bak Seung-bin (朴勝彬) and his followers amid which active study was carried out in 1930s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3 Post‐1940 Jeongeum Research9

Before the 1940s Jeongeum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proper use of the alphabetrsquos letters With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jeongeum in 1940 research on Jeongeum broadened After 1940 research covered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Jeongeumrsquos origins the possible existence of a native writing system prior to Jeongeum the principles behind Jeongeumrsquos letter designs the motives for and academic background behind its invention the correct number of letters the nature of Jeongeum as a featural writing system the connection between Jeongeum and chaja pyogi (the Korean transcription system to use Chinese characters 借字表記) calligraphic styles the globalization of Jeongeum and the aesthetic usefulness of Jeongeum Studies on Jeongeum have been broad and deep so much so that now there may be few unexplored areas for research

Though there have been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of Jeongeum ranging from the simple records to logical scientific explanations the theory that the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something (the pictographic theory 象形說) has become an established theory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Another major topic of debate has been whether Korea ever had a native script before Jeongeum Given the announcement of the scriptrsquos invention in the Sejong Sillok or the contents of Hunmin jeongeum nowadays nobody doubts that the script was either the personal invention of King Sejong or that Sejong invented Jeongeum with the help of several

9 The organization of this chapter has mostly followed H Lee (1990)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9

supporters Now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nts of unofficial chronicles like Hwandan gogi (桓檀古記) Dangun gogi (檀君古記) or Dangun segi (檀君世 紀) some scholars hold the opinion that there existed an indigenous Korean script before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t was identical to Jeongeum

When considering the place of Jeongeum in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that its invention was accomplished by combining Korean features with both non-Chinese and Chinese-inspired features is worth repeated recognition Since the invention of Jeongeum was based on a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it was possible to invent a new phonetic script appropriate for transcribing the sounds of Korea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scholars attempting to explain Jeongeumrsquos foundations A widely accepted theory is that both the initials (初聲) and the medials (中聲)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some scholars claim the initials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sounds of Sino‐Korean borrowings and the medials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Still others claim that the medials and the initials were both created by analyzing the readings of Sino‐Korean characters as recorded in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Although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it is now widely accepted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the articulatory organs (the primary pictographic explanation) some scholars believe certain aspects of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factors as well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developed from gugyeol10 (口訣字起源說) or been an imitation of the ldquoOld Sealrdquo (古篆起源說) or been influenced by Taiji thought (太極思想起源說) or that they imitate the hPags‐pa script (八思巴文字起源說)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ories which attempt to explain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by some mechanism other than the widely accepted pictographic principle alone While some scholars assert that the shape of both the initials and medials were affected by these other influences other scholars claim only a small number of the initials or the medials were affected by them Another interesting theory is that the letter shapes originated from musicological symbols composed of simple strokes (劃) used in the ligature score of the Korean lute or geomungo (玄琴合字譜)

10 Gugyeol is a system developed in Korea for glossing annotating and punctuating Classical Chinese texts with vernacular Korean elements

20 SCRIPTA VOLUME 2 (2010)

The reason for such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for the letter shapes is the ambiguity of a passage i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describing the letter shapes which reads ldquoThe letters while depicting outlines imitate the Old Seal (xiang xing er zi fang gu zhuan 象形而字倣古篆) This passag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11

In the case of the initials the basic letters were patterned on the articulatory organs and others were created through systematic stroke addition (加畫) while still other letters have irregular forms (異體字) The medials were created by abstracting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of Heaven (天) Earth (地) and Man (人) ldquoJeja-haerdquo explains that the first set of medials (初出字 ㅗ ㅏ ㅜ ㅓ) and the second set of medials (再出字 ㅛ ㅑ ㅠ ㅕ) were formed from the basic letters but scholars have interpreted this in somewhat different ways Opinions are split on interpreting the stroke addition principle the number of initial basic letters and the objects supposedly being depicted using the pictographic method An alternate though steadily growing interpretation of what the most basic letter shapes depict assuming the pictographic method was indeed used is that the letter shapes were not patterned after the articulatory organs but the figures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起一成文圖)12

There are also those who opine that the basic medial letter shapes were patterned on articulatory organs or the ones relating them to figures seen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or ldquoheturdquo (河圖) However the common view accepted in the academic world now is that the basic medial letters were created using the pictographic principle by abstracting the objects of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The problem is that lsquoㅛ ㅑ ㅠ and ㅕrsquo were included in the 11 medials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13

Discussions on the motives for and purpose of Jeongeumrsquos invention can be easily found in many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but the points that scholars emphasize differ from one another to varying degrees It is generally asserted that Jeongeum was invented in order to transcribe the Korean vernacular However some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 main

11 See H Lee (1990) for the various interpretations12 The phrase ldquoqihengchengwenturdquo is found in the Tongzhi (通志) and means roughly ldquoThe diagrams (tu 圖) in which completed characters (wen 文) arise from a single line (heng 一)rdquo13 Again see H Lee (1990) for these various interpretations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1

purpose was to note the prope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only later was its use expanded into recording the native language

Also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Jeongeum was invented either for the sake of educating the people instructing the people in public policy or as part of the national power establishment policy Jeongeumrsquos invention has also been interpreted as a method of efficiently ruling the people whose self‐consciousness had been upgraded But when considering the cultural milieu in which Jeongeum was invented it has been understood by most scholars in Korea that Jeongeum was invented for transcribing the native tongue first and secondarily for recording Sino‐Korean and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Since various documents use Jeongeum differently to transcribe Chinese characters it has been posited that there was a period in which the reade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script therefore the intended purpose for Jeongeumrsquos invention was to us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in tandem and eventually script use in the Joseon Dynasty exhibited a dual structure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Another interpretation based o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is that the purpose of inventing Jeongeum was to gradually replace the transcription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transcribe the vernacular (借字表 記)

Neo‐Confucianism divination phonology scriptology and musicology have all been posited as being part of the academic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of Jeongeum The connection between Xinglidaquan (性理大全) and ldquoliushuluerdquo (六書略) by Zhengqiao (鄭樵) (especially ldquoqihengchengwenturdquo) recorded in Tongzhi (通志)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fluence of the hPags‐pa alphabet invented in the Yua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Mengguyunlue (蒙古韻略)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view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explanations referring to divination science and Neo‐Confucianism found in the ldquoJeja-haerdquo were added simply as an attempt to appear abstruse and profound However today divination and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generally to be an essential part of Jeongeumrsquos invention

Another long-debated issue has been whether the initials originally numbered 16 or 17 and whether or not to include certain letters among the original 28 (or 27 by some counts)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s

22 SCRIPTA VOLUME 2 (2010)

research into the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as phonograms for transcribing Korean has progressed it has been further recognize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overlap between this system and the use of Jeongeum Also the tripartite division of syllables using Jeonge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Sampson (1985) expressed his view that Jeongeum was a featural writing system many scholars within Korea have up to the present time expressed continually and actively both consenting and opposing opinions

4 Closing

Jeongeum research thus far has characteristics of both narrow focused study and more comprehensive study the former type based largely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itself and the latter typ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Jeongeum with other writing systems The two approaches allow for both a concentrated analys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unmin jeongeum as well as a comprehensiv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in which Jeongeum is considered the outcome of the eastward advance of alphabetic writing

Selected References

1 Studies in Korea

Ahn Pyong-hi (1993) ldquo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Research by Foreign Scholars and 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문화체육부 학술회의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in Studies on Hunmin jeongeum (SNU Press 2007)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에 재수록됨)]

Kang Sin-hang (강신항) (1987) Hunmin jeongeum Yeongu (훈민정음연구) Seonggyungwan University Press (성균관대학교출판부)

Kim Jung-dae (김정대) (2004) ldquo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angeul by Foreign Scholars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43

Kim Min-soo (김민수) (1980) Singukeohaksa (신국어학사) Rev ed (전정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7

text with ldquoHaeryerdquo as its commentary From the 16th century to 1940 consulting Hunmin jeongeum was utterly

impossible Therefore scholars studying Jeongeum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were able only to consult King Sejongrsquos and Jeong In-jirsquos prefaces as they had also been recorded in the Sejong Sillok (Veritable Records of the Sejong Court)6

During the remainder of the Joseon Dynasty the most pressing Jeongeum‐related issues revolved around the proper transcrip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the proper transcription of indigenous words Sino‐Korean words and other foreign vocabulary Also Jeongeumrsquos origins then as toda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With the 1894 Gabo Reforms Jeongeum came to be known officially as kukmun (the national script 國文) Afterward great interest was directed toward the use of kukmun and hanja (Chinese characters as used in Korea) the creation of a standard unified Jeongeum orthography and identifying the phonemic properties of the obsolete vowel lsquoㆍrsquo known as the lsquoarae arsquo or lsquolow arsquo because it was located in the lowest position of the Korean alphabet chart or ldquoBanjeol-pyordquo (a paradigm of the Korean alphabet arranged as a syllabary and a primary method for teaching it 反切表)

In addition lsquohannara-malrsquo (language of the Great Han Empire) was shortened to lsquohanmalrsquo during this period and lsquohannara-geulrsquo (writing of the Great Han Empire) to simply lsquohangeulrsquo7 as is still widely used8 Controversy over the use and validity of ldquoSinjeong kukmunrdquo (the newly rectified national orthography 新訂國文) which Ji Seok-yeong (池錫永) presented in a memorial to the King to execute in 1907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Korean Script (國文硏究所) where ten themes concerning characteristics of Jeongeum and its use were dealt with in much depth Regretfully the recommendations in the final report submitt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學部) in 1909 were not

6 Scholars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could make easy reference to the ldquoYeeuirdquo and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as these could be found in the Gukjo bogam (Precious Mirror for Succeeding Reigns 國朝寶鑑) and Yeolseong eoje (A Collection of Various Kingsrsquo Writings 列聖御製)7 The abbreviation was conducted by Ju Si-gyeong (周時經) or Choi Nam-seon (崔南善) having come into close relation with him 8 The term lsquohangeulrsquo was ambiguous during this period In South Korea today however it refers only to the Korean script

18 SCRIPTA VOLUME 2 (2010)

realizedImportant discussions and research on Jeongeum continued into the

colonial period during which the Joseon‐eo hakhoi (Korean Language Society 朝鮮語學會) led by pupils of Ju Si-gyeong reformed Jeongeum orthography once again with their Standardization of Korean Orthography (한글맞춤법) in 1933 There were also a number of controversies during this period prior to 1940 including the orthographic theories of Bak Seung-bin (朴勝彬) and his followers amid which active study was carried out in 1930s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3 Post‐1940 Jeongeum Research9

Before the 1940s Jeongeum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proper use of the alphabetrsquos letters With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jeongeum in 1940 research on Jeongeum broadened After 1940 research covered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Jeongeumrsquos origins the possible existence of a native writing system prior to Jeongeum the principles behind Jeongeumrsquos letter designs the motives for and academic background behind its invention the correct number of letters the nature of Jeongeum as a featural writing system the connection between Jeongeum and chaja pyogi (the Korean transcription system to use Chinese characters 借字表記) calligraphic styles the globalization of Jeongeum and the aesthetic usefulness of Jeongeum Studies on Jeongeum have been broad and deep so much so that now there may be few unexplored areas for research

Though there have been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of Jeongeum ranging from the simple records to logical scientific explanations the theory that the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something (the pictographic theory 象形說) has become an established theory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Another major topic of debate has been whether Korea ever had a native script before Jeongeum Given the announcement of the scriptrsquos invention in the Sejong Sillok or the contents of Hunmin jeongeum nowadays nobody doubts that the script was either the personal invention of King Sejong or that Sejong invented Jeongeum with the help of several

9 The organization of this chapter has mostly followed H Lee (1990)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9

supporters Now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nts of unofficial chronicles like Hwandan gogi (桓檀古記) Dangun gogi (檀君古記) or Dangun segi (檀君世 紀) some scholars hold the opinion that there existed an indigenous Korean script before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t was identical to Jeongeum

When considering the place of Jeongeum in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that its invention was accomplished by combining Korean features with both non-Chinese and Chinese-inspired features is worth repeated recognition Since the invention of Jeongeum was based on a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it was possible to invent a new phonetic script appropriate for transcribing the sounds of Korea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scholars attempting to explain Jeongeumrsquos foundations A widely accepted theory is that both the initials (初聲) and the medials (中聲)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some scholars claim the initials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sounds of Sino‐Korean borrowings and the medials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Still others claim that the medials and the initials were both created by analyzing the readings of Sino‐Korean characters as recorded in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Although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it is now widely accepted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the articulatory organs (the primary pictographic explanation) some scholars believe certain aspects of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factors as well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developed from gugyeol10 (口訣字起源說) or been an imitation of the ldquoOld Sealrdquo (古篆起源說) or been influenced by Taiji thought (太極思想起源說) or that they imitate the hPags‐pa script (八思巴文字起源說)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ories which attempt to explain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by some mechanism other than the widely accepted pictographic principle alone While some scholars assert that the shape of both the initials and medials were affected by these other influences other scholars claim only a small number of the initials or the medials were affected by them Another interesting theory is that the letter shapes originated from musicological symbols composed of simple strokes (劃) used in the ligature score of the Korean lute or geomungo (玄琴合字譜)

10 Gugyeol is a system developed in Korea for glossing annotating and punctuating Classical Chinese texts with vernacular Korean elements

20 SCRIPTA VOLUME 2 (2010)

The reason for such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for the letter shapes is the ambiguity of a passage i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describing the letter shapes which reads ldquoThe letters while depicting outlines imitate the Old Seal (xiang xing er zi fang gu zhuan 象形而字倣古篆) This passag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11

In the case of the initials the basic letters were patterned on the articulatory organs and others were created through systematic stroke addition (加畫) while still other letters have irregular forms (異體字) The medials were created by abstracting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of Heaven (天) Earth (地) and Man (人) ldquoJeja-haerdquo explains that the first set of medials (初出字 ㅗ ㅏ ㅜ ㅓ) and the second set of medials (再出字 ㅛ ㅑ ㅠ ㅕ) were formed from the basic letters but scholars have interpreted this in somewhat different ways Opinions are split on interpreting the stroke addition principle the number of initial basic letters and the objects supposedly being depicted using the pictographic method An alternate though steadily growing interpretation of what the most basic letter shapes depict assuming the pictographic method was indeed used is that the letter shapes were not patterned after the articulatory organs but the figures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起一成文圖)12

There are also those who opine that the basic medial letter shapes were patterned on articulatory organs or the ones relating them to figures seen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or ldquoheturdquo (河圖) However the common view accepted in the academic world now is that the basic medial letters were created using the pictographic principle by abstracting the objects of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The problem is that lsquoㅛ ㅑ ㅠ and ㅕrsquo were included in the 11 medials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13

Discussions on the motives for and purpose of Jeongeumrsquos invention can be easily found in many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but the points that scholars emphasize differ from one another to varying degrees It is generally asserted that Jeongeum was invented in order to transcribe the Korean vernacular However some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 main

11 See H Lee (1990) for the various interpretations12 The phrase ldquoqihengchengwenturdquo is found in the Tongzhi (通志) and means roughly ldquoThe diagrams (tu 圖) in which completed characters (wen 文) arise from a single line (heng 一)rdquo13 Again see H Lee (1990) for these various interpretations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1

purpose was to note the prope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only later was its use expanded into recording the native language

Also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Jeongeum was invented either for the sake of educating the people instructing the people in public policy or as part of the national power establishment policy Jeongeumrsquos invention has also been interpreted as a method of efficiently ruling the people whose self‐consciousness had been upgraded But when considering the cultural milieu in which Jeongeum was invented it has been understood by most scholars in Korea that Jeongeum was invented for transcribing the native tongue first and secondarily for recording Sino‐Korean and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Since various documents use Jeongeum differently to transcribe Chinese characters it has been posited that there was a period in which the reade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script therefore the intended purpose for Jeongeumrsquos invention was to us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in tandem and eventually script use in the Joseon Dynasty exhibited a dual structure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Another interpretation based o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is that the purpose of inventing Jeongeum was to gradually replace the transcription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transcribe the vernacular (借字表 記)

Neo‐Confucianism divination phonology scriptology and musicology have all been posited as being part of the academic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of Jeongeum The connection between Xinglidaquan (性理大全) and ldquoliushuluerdquo (六書略) by Zhengqiao (鄭樵) (especially ldquoqihengchengwenturdquo) recorded in Tongzhi (通志)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fluence of the hPags‐pa alphabet invented in the Yua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Mengguyunlue (蒙古韻略)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view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explanations referring to divination science and Neo‐Confucianism found in the ldquoJeja-haerdquo were added simply as an attempt to appear abstruse and profound However today divination and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generally to be an essential part of Jeongeumrsquos invention

Another long-debated issue has been whether the initials originally numbered 16 or 17 and whether or not to include certain letters among the original 28 (or 27 by some counts)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s

22 SCRIPTA VOLUME 2 (2010)

research into the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as phonograms for transcribing Korean has progressed it has been further recognize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overlap between this system and the use of Jeongeum Also the tripartite division of syllables using Jeonge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Sampson (1985) expressed his view that Jeongeum was a featural writing system many scholars within Korea have up to the present time expressed continually and actively both consenting and opposing opinions

4 Closing

Jeongeum research thus far has characteristics of both narrow focused study and more comprehensive study the former type based largely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itself and the latter typ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Jeongeum with other writing systems The two approaches allow for both a concentrated analys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unmin jeongeum as well as a comprehensiv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in which Jeongeum is considered the outcome of the eastward advance of alphabetic writing

Selected References

1 Studies in Korea

Ahn Pyong-hi (1993) ldquo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Research by Foreign Scholars and 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문화체육부 학술회의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in Studies on Hunmin jeongeum (SNU Press 2007)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에 재수록됨)]

Kang Sin-hang (강신항) (1987) Hunmin jeongeum Yeongu (훈민정음연구) Seonggyungwan University Press (성균관대학교출판부)

Kim Jung-dae (김정대) (2004) ldquo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angeul by Foreign Scholars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43

Kim Min-soo (김민수) (1980) Singukeohaksa (신국어학사) Rev ed (전정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18 SCRIPTA VOLUME 2 (2010)

realizedImportant discussions and research on Jeongeum continued into the

colonial period during which the Joseon‐eo hakhoi (Korean Language Society 朝鮮語學會) led by pupils of Ju Si-gyeong reformed Jeongeum orthography once again with their Standardization of Korean Orthography (한글맞춤법) in 1933 There were also a number of controversies during this period prior to 1940 including the orthographic theories of Bak Seung-bin (朴勝彬) and his followers amid which active study was carried out in 1930s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3 Post‐1940 Jeongeum Research9

Before the 1940s Jeongeum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proper use of the alphabetrsquos letters With the discovery of a copy of Hunmin jeongeum in 1940 research on Jeongeum broadened After 1940 research covered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Jeongeumrsquos origins the possible existence of a native writing system prior to Jeongeum the principles behind Jeongeumrsquos letter designs the motives for and academic background behind its invention the correct number of letters the nature of Jeongeum as a featural writing system the connection between Jeongeum and chaja pyogi (the Korean transcription system to use Chinese characters 借字表記) calligraphic styles the globalization of Jeongeum and the aesthetic usefulness of Jeongeum Studies on Jeongeum have been broad and deep so much so that now there may be few unexplored areas for research

Though there have been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of Jeongeum ranging from the simple records to logical scientific explanations the theory that the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something (the pictographic theory 象形說) has become an established theory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Another major topic of debate has been whether Korea ever had a native script before Jeongeum Given the announcement of the scriptrsquos invention in the Sejong Sillok or the contents of Hunmin jeongeum nowadays nobody doubts that the script was either the personal invention of King Sejong or that Sejong invented Jeongeum with the help of several

9 The organization of this chapter has mostly followed H Lee (1990)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9

supporters Now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nts of unofficial chronicles like Hwandan gogi (桓檀古記) Dangun gogi (檀君古記) or Dangun segi (檀君世 紀) some scholars hold the opinion that there existed an indigenous Korean script before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t was identical to Jeongeum

When considering the place of Jeongeum in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that its invention was accomplished by combining Korean features with both non-Chinese and Chinese-inspired features is worth repeated recognition Since the invention of Jeongeum was based on a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it was possible to invent a new phonetic script appropriate for transcribing the sounds of Korea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scholars attempting to explain Jeongeumrsquos foundations A widely accepted theory is that both the initials (初聲) and the medials (中聲)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some scholars claim the initials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sounds of Sino‐Korean borrowings and the medials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Still others claim that the medials and the initials were both created by analyzing the readings of Sino‐Korean characters as recorded in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Although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it is now widely accepted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the articulatory organs (the primary pictographic explanation) some scholars believe certain aspects of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factors as well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developed from gugyeol10 (口訣字起源說) or been an imitation of the ldquoOld Sealrdquo (古篆起源說) or been influenced by Taiji thought (太極思想起源說) or that they imitate the hPags‐pa script (八思巴文字起源說)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ories which attempt to explain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by some mechanism other than the widely accepted pictographic principle alone While some scholars assert that the shape of both the initials and medials were affected by these other influences other scholars claim only a small number of the initials or the medials were affected by them Another interesting theory is that the letter shapes originated from musicological symbols composed of simple strokes (劃) used in the ligature score of the Korean lute or geomungo (玄琴合字譜)

10 Gugyeol is a system developed in Korea for glossing annotating and punctuating Classical Chinese texts with vernacular Korean elements

20 SCRIPTA VOLUME 2 (2010)

The reason for such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for the letter shapes is the ambiguity of a passage i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describing the letter shapes which reads ldquoThe letters while depicting outlines imitate the Old Seal (xiang xing er zi fang gu zhuan 象形而字倣古篆) This passag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11

In the case of the initials the basic letters were patterned on the articulatory organs and others were created through systematic stroke addition (加畫) while still other letters have irregular forms (異體字) The medials were created by abstracting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of Heaven (天) Earth (地) and Man (人) ldquoJeja-haerdquo explains that the first set of medials (初出字 ㅗ ㅏ ㅜ ㅓ) and the second set of medials (再出字 ㅛ ㅑ ㅠ ㅕ) were formed from the basic letters but scholars have interpreted this in somewhat different ways Opinions are split on interpreting the stroke addition principle the number of initial basic letters and the objects supposedly being depicted using the pictographic method An alternate though steadily growing interpretation of what the most basic letter shapes depict assuming the pictographic method was indeed used is that the letter shapes were not patterned after the articulatory organs but the figures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起一成文圖)12

There are also those who opine that the basic medial letter shapes were patterned on articulatory organs or the ones relating them to figures seen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or ldquoheturdquo (河圖) However the common view accepted in the academic world now is that the basic medial letters were created using the pictographic principle by abstracting the objects of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The problem is that lsquoㅛ ㅑ ㅠ and ㅕrsquo were included in the 11 medials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13

Discussions on the motives for and purpose of Jeongeumrsquos invention can be easily found in many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but the points that scholars emphasize differ from one another to varying degrees It is generally asserted that Jeongeum was invented in order to transcribe the Korean vernacular However some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 main

11 See H Lee (1990) for the various interpretations12 The phrase ldquoqihengchengwenturdquo is found in the Tongzhi (通志) and means roughly ldquoThe diagrams (tu 圖) in which completed characters (wen 文) arise from a single line (heng 一)rdquo13 Again see H Lee (1990) for these various interpretations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1

purpose was to note the prope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only later was its use expanded into recording the native language

Also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Jeongeum was invented either for the sake of educating the people instructing the people in public policy or as part of the national power establishment policy Jeongeumrsquos invention has also been interpreted as a method of efficiently ruling the people whose self‐consciousness had been upgraded But when considering the cultural milieu in which Jeongeum was invented it has been understood by most scholars in Korea that Jeongeum was invented for transcribing the native tongue first and secondarily for recording Sino‐Korean and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Since various documents use Jeongeum differently to transcribe Chinese characters it has been posited that there was a period in which the reade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script therefore the intended purpose for Jeongeumrsquos invention was to us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in tandem and eventually script use in the Joseon Dynasty exhibited a dual structure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Another interpretation based o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is that the purpose of inventing Jeongeum was to gradually replace the transcription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transcribe the vernacular (借字表 記)

Neo‐Confucianism divination phonology scriptology and musicology have all been posited as being part of the academic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of Jeongeum The connection between Xinglidaquan (性理大全) and ldquoliushuluerdquo (六書略) by Zhengqiao (鄭樵) (especially ldquoqihengchengwenturdquo) recorded in Tongzhi (通志)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fluence of the hPags‐pa alphabet invented in the Yua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Mengguyunlue (蒙古韻略)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view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explanations referring to divination science and Neo‐Confucianism found in the ldquoJeja-haerdquo were added simply as an attempt to appear abstruse and profound However today divination and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generally to be an essential part of Jeongeumrsquos invention

Another long-debated issue has been whether the initials originally numbered 16 or 17 and whether or not to include certain letters among the original 28 (or 27 by some counts)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s

22 SCRIPTA VOLUME 2 (2010)

research into the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as phonograms for transcribing Korean has progressed it has been further recognize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overlap between this system and the use of Jeongeum Also the tripartite division of syllables using Jeonge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Sampson (1985) expressed his view that Jeongeum was a featural writing system many scholars within Korea have up to the present time expressed continually and actively both consenting and opposing opinions

4 Closing

Jeongeum research thus far has characteristics of both narrow focused study and more comprehensive study the former type based largely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itself and the latter typ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Jeongeum with other writing systems The two approaches allow for both a concentrated analys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unmin jeongeum as well as a comprehensiv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in which Jeongeum is considered the outcome of the eastward advance of alphabetic writing

Selected References

1 Studies in Korea

Ahn Pyong-hi (1993) ldquo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Research by Foreign Scholars and 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문화체육부 학술회의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in Studies on Hunmin jeongeum (SNU Press 2007)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에 재수록됨)]

Kang Sin-hang (강신항) (1987) Hunmin jeongeum Yeongu (훈민정음연구) Seonggyungwan University Press (성균관대학교출판부)

Kim Jung-dae (김정대) (2004) ldquo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angeul by Foreign Scholars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43

Kim Min-soo (김민수) (1980) Singukeohaksa (신국어학사) Rev ed (전정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19

supporters Now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nts of unofficial chronicles like Hwandan gogi (桓檀古記) Dangun gogi (檀君古記) or Dangun segi (檀君世 紀) some scholars hold the opinion that there existed an indigenous Korean script before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t was identical to Jeongeum

When considering the place of Jeongeum in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that its invention was accomplished by combining Korean features with both non-Chinese and Chinese-inspired features is worth repeated recognition Since the invention of Jeongeum was based on a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it was possible to invent a new phonetic script appropriate for transcribing the sounds of Korea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scholars attempting to explain Jeongeumrsquos foundations A widely accepted theory is that both the initials (初聲) and the medials (中聲)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some scholars claim the initials were created by analyzing the sounds of Sino‐Korean borrowings and the medials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Still others claim that the medials and the initials were both created by analyzing the readings of Sino‐Korean characters as recorded in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Although since the discovery of Hunmin jeongeum it is now widely accepted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are graphic depictions of the articulatory organs (the primary pictographic explanation) some scholars believe certain aspects of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factors as well That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may have developed from gugyeol10 (口訣字起源說) or been an imitation of the ldquoOld Sealrdquo (古篆起源說) or been influenced by Taiji thought (太極思想起源說) or that they imitate the hPags‐pa script (八思巴文字起源說)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ories which attempt to explain Jeongeumrsquos letter shapes by some mechanism other than the widely accepted pictographic principle alone While some scholars assert that the shape of both the initials and medials were affected by these other influences other scholars claim only a small number of the initials or the medials were affected by them Another interesting theory is that the letter shapes originated from musicological symbols composed of simple strokes (劃) used in the ligature score of the Korean lute or geomungo (玄琴合字譜)

10 Gugyeol is a system developed in Korea for glossing annotating and punctuating Classical Chinese texts with vernacular Korean elements

20 SCRIPTA VOLUME 2 (2010)

The reason for such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for the letter shapes is the ambiguity of a passage i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describing the letter shapes which reads ldquoThe letters while depicting outlines imitate the Old Seal (xiang xing er zi fang gu zhuan 象形而字倣古篆) This passag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11

In the case of the initials the basic letters were patterned on the articulatory organs and others were created through systematic stroke addition (加畫) while still other letters have irregular forms (異體字) The medials were created by abstracting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of Heaven (天) Earth (地) and Man (人) ldquoJeja-haerdquo explains that the first set of medials (初出字 ㅗ ㅏ ㅜ ㅓ) and the second set of medials (再出字 ㅛ ㅑ ㅠ ㅕ) were formed from the basic letters but scholars have interpreted this in somewhat different ways Opinions are split on interpreting the stroke addition principle the number of initial basic letters and the objects supposedly being depicted using the pictographic method An alternate though steadily growing interpretation of what the most basic letter shapes depict assuming the pictographic method was indeed used is that the letter shapes were not patterned after the articulatory organs but the figures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起一成文圖)12

There are also those who opine that the basic medial letter shapes were patterned on articulatory organs or the ones relating them to figures seen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or ldquoheturdquo (河圖) However the common view accepted in the academic world now is that the basic medial letters were created using the pictographic principle by abstracting the objects of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The problem is that lsquoㅛ ㅑ ㅠ and ㅕrsquo were included in the 11 medials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13

Discussions on the motives for and purpose of Jeongeumrsquos invention can be easily found in many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but the points that scholars emphasize differ from one another to varying degrees It is generally asserted that Jeongeum was invented in order to transcribe the Korean vernacular However some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 main

11 See H Lee (1990) for the various interpretations12 The phrase ldquoqihengchengwenturdquo is found in the Tongzhi (通志) and means roughly ldquoThe diagrams (tu 圖) in which completed characters (wen 文) arise from a single line (heng 一)rdquo13 Again see H Lee (1990) for these various interpretations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1

purpose was to note the prope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only later was its use expanded into recording the native language

Also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Jeongeum was invented either for the sake of educating the people instructing the people in public policy or as part of the national power establishment policy Jeongeumrsquos invention has also been interpreted as a method of efficiently ruling the people whose self‐consciousness had been upgraded But when considering the cultural milieu in which Jeongeum was invented it has been understood by most scholars in Korea that Jeongeum was invented for transcribing the native tongue first and secondarily for recording Sino‐Korean and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Since various documents use Jeongeum differently to transcribe Chinese characters it has been posited that there was a period in which the reade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script therefore the intended purpose for Jeongeumrsquos invention was to us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in tandem and eventually script use in the Joseon Dynasty exhibited a dual structure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Another interpretation based o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is that the purpose of inventing Jeongeum was to gradually replace the transcription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transcribe the vernacular (借字表 記)

Neo‐Confucianism divination phonology scriptology and musicology have all been posited as being part of the academic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of Jeongeum The connection between Xinglidaquan (性理大全) and ldquoliushuluerdquo (六書略) by Zhengqiao (鄭樵) (especially ldquoqihengchengwenturdquo) recorded in Tongzhi (通志)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fluence of the hPags‐pa alphabet invented in the Yua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Mengguyunlue (蒙古韻略)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view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explanations referring to divination science and Neo‐Confucianism found in the ldquoJeja-haerdquo were added simply as an attempt to appear abstruse and profound However today divination and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generally to be an essential part of Jeongeumrsquos invention

Another long-debated issue has been whether the initials originally numbered 16 or 17 and whether or not to include certain letters among the original 28 (or 27 by some counts)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s

22 SCRIPTA VOLUME 2 (2010)

research into the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as phonograms for transcribing Korean has progressed it has been further recognize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overlap between this system and the use of Jeongeum Also the tripartite division of syllables using Jeonge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Sampson (1985) expressed his view that Jeongeum was a featural writing system many scholars within Korea have up to the present time expressed continually and actively both consenting and opposing opinions

4 Closing

Jeongeum research thus far has characteristics of both narrow focused study and more comprehensive study the former type based largely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itself and the latter typ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Jeongeum with other writing systems The two approaches allow for both a concentrated analys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unmin jeongeum as well as a comprehensiv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in which Jeongeum is considered the outcome of the eastward advance of alphabetic writing

Selected References

1 Studies in Korea

Ahn Pyong-hi (1993) ldquo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Research by Foreign Scholars and 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문화체육부 학술회의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in Studies on Hunmin jeongeum (SNU Press 2007)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에 재수록됨)]

Kang Sin-hang (강신항) (1987) Hunmin jeongeum Yeongu (훈민정음연구) Seonggyungwan University Press (성균관대학교출판부)

Kim Jung-dae (김정대) (2004) ldquo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angeul by Foreign Scholars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43

Kim Min-soo (김민수) (1980) Singukeohaksa (신국어학사) Rev ed (전정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20 SCRIPTA VOLUME 2 (2010)

The reason for such diverse theories on the origin for the letter shapes is the ambiguity of a passage i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describing the letter shapes which reads ldquoThe letters while depicting outlines imitate the Old Seal (xiang xing er zi fang gu zhuan 象形而字倣古篆) This passag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11

In the case of the initials the basic letters were patterned on the articulatory organs and others were created through systematic stroke addition (加畫) while still other letters have irregular forms (異體字) The medials were created by abstracting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of Heaven (天) Earth (地) and Man (人) ldquoJeja-haerdquo explains that the first set of medials (初出字 ㅗ ㅏ ㅜ ㅓ) and the second set of medials (再出字 ㅛ ㅑ ㅠ ㅕ) were formed from the basic letters but scholars have interpreted this in somewhat different ways Opinions are split on interpreting the stroke addition principle the number of initial basic letters and the objects supposedly being depicted using the pictographic method An alternate though steadily growing interpretation of what the most basic letter shapes depict assuming the pictographic method was indeed used is that the letter shapes were not patterned after the articulatory organs but the figures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起一成文圖)12

There are also those who opine that the basic medial letter shapes were patterned on articulatory organs or the ones relating them to figures seen in ldquoqihengchengwenturdquo or ldquoheturdquo (河圖) However the common view accepted in the academic world now is that the basic medial letters were created using the pictographic principle by abstracting the objects of the Three Great Absolutes (三才) The problem is that lsquoㅛ ㅑ ㅠ and ㅕrsquo were included in the 11 medials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13

Discussions on the motives for and purpose of Jeongeumrsquos invention can be easily found in many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but the points that scholars emphasize differ from one another to varying degrees It is generally asserted that Jeongeum was invented in order to transcribe the Korean vernacular However some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 main

11 See H Lee (1990) for the various interpretations12 The phrase ldquoqihengchengwenturdquo is found in the Tongzhi (通志) and means roughly ldquoThe diagrams (tu 圖) in which completed characters (wen 文) arise from a single line (heng 一)rdquo13 Again see H Lee (1990) for these various interpretations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1

purpose was to note the prope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only later was its use expanded into recording the native language

Also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Jeongeum was invented either for the sake of educating the people instructing the people in public policy or as part of the national power establishment policy Jeongeumrsquos invention has also been interpreted as a method of efficiently ruling the people whose self‐consciousness had been upgraded But when considering the cultural milieu in which Jeongeum was invented it has been understood by most scholars in Korea that Jeongeum was invented for transcribing the native tongue first and secondarily for recording Sino‐Korean and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Since various documents use Jeongeum differently to transcribe Chinese characters it has been posited that there was a period in which the reade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script therefore the intended purpose for Jeongeumrsquos invention was to us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in tandem and eventually script use in the Joseon Dynasty exhibited a dual structure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Another interpretation based o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is that the purpose of inventing Jeongeum was to gradually replace the transcription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transcribe the vernacular (借字表 記)

Neo‐Confucianism divination phonology scriptology and musicology have all been posited as being part of the academic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of Jeongeum The connection between Xinglidaquan (性理大全) and ldquoliushuluerdquo (六書略) by Zhengqiao (鄭樵) (especially ldquoqihengchengwenturdquo) recorded in Tongzhi (通志)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fluence of the hPags‐pa alphabet invented in the Yua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Mengguyunlue (蒙古韻略)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view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explanations referring to divination science and Neo‐Confucianism found in the ldquoJeja-haerdquo were added simply as an attempt to appear abstruse and profound However today divination and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generally to be an essential part of Jeongeumrsquos invention

Another long-debated issue has been whether the initials originally numbered 16 or 17 and whether or not to include certain letters among the original 28 (or 27 by some counts)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s

22 SCRIPTA VOLUME 2 (2010)

research into the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as phonograms for transcribing Korean has progressed it has been further recognize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overlap between this system and the use of Jeongeum Also the tripartite division of syllables using Jeonge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Sampson (1985) expressed his view that Jeongeum was a featural writing system many scholars within Korea have up to the present time expressed continually and actively both consenting and opposing opinions

4 Closing

Jeongeum research thus far has characteristics of both narrow focused study and more comprehensive study the former type based largely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itself and the latter typ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Jeongeum with other writing systems The two approaches allow for both a concentrated analys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unmin jeongeum as well as a comprehensiv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in which Jeongeum is considered the outcome of the eastward advance of alphabetic writing

Selected References

1 Studies in Korea

Ahn Pyong-hi (1993) ldquo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Research by Foreign Scholars and 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문화체육부 학술회의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in Studies on Hunmin jeongeum (SNU Press 2007)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에 재수록됨)]

Kang Sin-hang (강신항) (1987) Hunmin jeongeum Yeongu (훈민정음연구) Seonggyungwan University Press (성균관대학교출판부)

Kim Jung-dae (김정대) (2004) ldquo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angeul by Foreign Scholars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43

Kim Min-soo (김민수) (1980) Singukeohaksa (신국어학사) Rev ed (전정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1

purpose was to note the prope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only later was its use expanded into recording the native language

Also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Jeongeum was invented either for the sake of educating the people instructing the people in public policy or as part of the national power establishment policy Jeongeumrsquos invention has also been interpreted as a method of efficiently ruling the people whose self‐consciousness had been upgraded But when considering the cultural milieu in which Jeongeum was invented it has been understood by most scholars in Korea that Jeongeum was invented for transcribing the native tongue first and secondarily for recording Sino‐Korean and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Since various documents use Jeongeum differently to transcribe Chinese characters it has been posited that there was a period in which the reade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script therefore the intended purpose for Jeongeumrsquos invention was to us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in tandem and eventually script use in the Joseon Dynasty exhibited a dual structure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Jeongeum Another interpretation based on ldquoJeong In-jirsquos prefacerdquo is that the purpose of inventing Jeongeum was to gradually replace the transcription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transcribe the vernacular (借字表 記)

Neo‐Confucianism divination phonology scriptology and musicology have all been posited as being part of the academic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of Jeongeum The connection between Xinglidaquan (性理大全) and ldquoliushuluerdquo (六書略) by Zhengqiao (鄭樵) (especially ldquoqihengchengwenturdquo) recorded in Tongzhi (通志)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influence of the hPags‐pa alphabet invented in the Yua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Mengguyunlue (蒙古韻略) has also received much attention

The view has also been expressed that explanations referring to divination science and Neo‐Confucianism found in the ldquoJeja-haerdquo were added simply as an attempt to appear abstruse and profound However today divination and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generally to be an essential part of Jeongeumrsquos invention

Another long-debated issue has been whether the initials originally numbered 16 or 17 and whether or not to include certain letters among the original 28 (or 27 by some counts) has been thoroughly examined As

22 SCRIPTA VOLUME 2 (2010)

research into the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as phonograms for transcribing Korean has progressed it has been further recognize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overlap between this system and the use of Jeongeum Also the tripartite division of syllables using Jeonge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Sampson (1985) expressed his view that Jeongeum was a featural writing system many scholars within Korea have up to the present time expressed continually and actively both consenting and opposing opinions

4 Closing

Jeongeum research thus far has characteristics of both narrow focused study and more comprehensive study the former type based largely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itself and the latter typ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Jeongeum with other writing systems The two approaches allow for both a concentrated analys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unmin jeongeum as well as a comprehensiv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in which Jeongeum is considered the outcome of the eastward advance of alphabetic writing

Selected References

1 Studies in Korea

Ahn Pyong-hi (1993) ldquo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Research by Foreign Scholars and 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문화체육부 학술회의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in Studies on Hunmin jeongeum (SNU Press 2007)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에 재수록됨)]

Kang Sin-hang (강신항) (1987) Hunmin jeongeum Yeongu (훈민정음연구) Seonggyungwan University Press (성균관대학교출판부)

Kim Jung-dae (김정대) (2004) ldquo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angeul by Foreign Scholars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43

Kim Min-soo (김민수) (1980) Singukeohaksa (신국어학사) Rev ed (전정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22 SCRIPTA VOLUME 2 (2010)

research into the system of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as phonograms for transcribing Korean has progressed it has been further recognize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overlap between this system and the use of Jeongeum Also the tripartite division of syllables using Jeonge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Sampson (1985) expressed his view that Jeongeum was a featural writing system many scholars within Korea have up to the present time expressed continually and actively both consenting and opposing opinions

4 Closing

Jeongeum research thus far has characteristics of both narrow focused study and more comprehensive study the former type based largely on the document Hunmin jeongeum itself and the latter typ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Jeongeum with other writing systems The two approaches allow for both a concentrated analys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Hunmin jeongeum as well as a comprehensive 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in which Jeongeum is considered the outcome of the eastward advance of alphabetic writing

Selected References

1 Studies in Korea

Ahn Pyong-hi (1993) ldquo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Research by Foreign Scholars and Research on Hunmin jeongeum in North Korea (문화체육부 학술회의 외국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in Studies on Hunmin jeongeum (SNU Press 2007) (≪훈민정음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에 재수록됨)]

Kang Sin-hang (강신항) (1987) Hunmin jeongeum Yeongu (훈민정음연구) Seonggyungwan University Press (성균관대학교출판부)

Kim Jung-dae (김정대) (2004) ldquo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angeul by Foreign Scholars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43

Kim Min-soo (김민수) (1980) Singukeohaksa (신국어학사) Rev ed (전정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3

Iljogak (일조각)Kim Min-soo Jong-seon Hong Il-yeong Jo Hyang-geun Song Ho-cheol

Choi Chang-soo Ko eds (김민수 middot 홍종선 middot 조일영 middot 송향근 middot 최호철 middot 고창수 편) (1997) The Studies of Hangeul by the Foreigners (외국인의 한글 연구) Taehaksa (태학사)

Lee Hyeon-hie (이현희) (1990) ldquoHunmin jeongeum (훈민정음)rdquo Gukeo Yeongu Eodikkaji Wattna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Donga Press (동아출판 사)

(1992) ldquo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283

Lee Ki-Moon (이기문) (1997) ldquoThe Stream of History of Letters in Northeast Asia (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The Characters of Asia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Taehaksa (태학사)

(2000) ldquoThe Studies on Hangeul by European Scholars in 19th Century (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학술원논문집(인문 middot 사회과학편)] 39

Lee SeungJae (이승재) (1989) ldquoChajapyogi Yeonguwa Hunmin jeong-eumeui Munjaronjeok Yeongue Daehayeo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19

Song Ki-joong Hyeon-hie Lee Jae-young Jung Yoon-hee Chang Jae-young Han Munhwan Hwang eds (송기중 middot 이현희 middot 정재영 middot 장윤희 middot 한재 영 middot 황문환 편) (2003) Hangukeui Munjawa Munjayeongu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Jipmoon Press (집문당)

2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ies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24 SCRIPTA VOLUME 2 (2010)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lphabetrdquo Oriens 10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5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edia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라는 이름으 로 번역됨]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26 SCRIPTA VOLUME 2 (2010)

Appendix

Bibliography14

강귀수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그 어문정책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8 19-26 (1981) ldquo전통과 훈민정음의 연구과제rdquo ≪공주사대 논문집≫ 19 27‐33 강규선 (1985) ldquo훈민정음과 성리학 운학과의 관계rdquo ≪어문논총≫ 4 청주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1986) ldquo훈민정음 창제배경rdquo ≪인문과학논총≫ 5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9 (1999)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연구rdquo ≪인문과학논총≫ 19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47‐77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소고rdquo ≪어문논총≫ 15 동서어문학회 1‐35 (2001)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강규선ㆍ황경수 (2006) ≪훈민정음 연구≫ 청운강길운 (1971) ldquo최만리의 반대상소의 동기에 대하여rdquo ≪운현≫ 3 덕성여대 7‐12 (1972)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당초 목적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55 56 57

1‐21 (1992)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 형설출판사 강동일 역 (1995) ≪문자의 역사≫ 새날 강만길 (1977) ldquo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창작과 비평≫ 122 713‐723 강신항 (1963) ldquo훈민정음해례 이론과 성리대전과의 관련성rdquo ≪국어국문학≫ 26 177‐

185 (1967) ldquo한국어학사(상)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87‐

569 (1974) ≪훈민정음≫ 신구문고 1 신구문화사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의 일면rdquo ≪언어학≫ 2 57‐63 (1979a)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373‐387 (1979b) ≪국어학사≫ 보성문화사 [개정판 1986 개정증보판 1988] (1980) ldquo세종대 언어관의 성립rdquo ≪동양학≫ 10 (1981) ldquo朝鮮初期受到宋代文字論的影響rdquo ≪國際漢學會議論文集≫ 505‐514 (1984) ldquo세종조의 어문정책rdquo ≪세종조문화연구(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59 (1987)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증보판 1990 1999 2003

14 Entries published in Korean are arranged in Korean alphabetical order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7

1990년 증보판이 일본 大修館書店에서 菅野裕臣에 의해 ≪ハングルの成立と歷 史≫로 번역됨]

(1993) ldquolsquo한글갈rsquo의 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33 100‐113 (199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7) ldquoThe Vowel System of the Korean Alphabet and Korean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7‐129

(2001) ldquo한국한자음(고려역음)의 한 모습rdquo ≪국어학≫ 38 3‐25 (2003) ldquolsquo正音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연구≫ 1 (2006a) ldquo훈민정음과 중세국어 음운체계rdquo 임용기 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2006b) ldquo역학과 훈민정음해례 이론rdquo ≪태동고전연구≫ 22강옥미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rdquo 제46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어학회강창석 (1989) ldquo훈민정음의 제작과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울산어문논집≫ 5 21‐

49 (1995a) ldquo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95b) ldquo한글과 한글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5 165‐

197 (1996) ldquo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rdquo ≪새국어생활≫ 62 19‐35 (2000) ldquo글자이름 lsquo한글rsquo에 대하여rdquo ≪개신어문연구≫ 17 충북대 (2005) ldquo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5 243‐274강호천 (1986)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음운학적 배경 I 중국 몽고운학을 중심으로rdquo ≪어문

논총≫ 5 청주대 국어국문학과고영근 (1982) ldquo한글의 유래에 대하여rdquo ≪백석 조문제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31‐42 (1987) ldquo서평 훈민정음연구 (강신항 저)rdquo ≪국어생활≫ 10 (1994) ≪통일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2003) ldquo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이종일ㆍ최남선 소작설과 관련하여rdquo ≪새국

어 생활≫ 131 (2008) ≪민족어와 수호와 발전≫ 제이앤씨고재휴 (1938) ldquo諺文의 기원설과 몽고어학운동의 개황rdquo ≪정음≫ 23공재석 (1967) ldquo한글 古篆起源說에 대한 한 고찰rdquo ≪중국학보≫ 7 45‐54 (1968) ldquo한글 古篆起源說의 근거가 되는 起一成文說rdquo ≪우리문화≫ 2 우리문화

연구회 81‐92 구결학회 편 (1997)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국립국어원 편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ute of the Korean Languge)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28 SCRIPTA VOLUME 2 (2010)

(2008)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written plainly so as to be understood by everyone Hunmin jeongeum)≫

국어연구회 편 (199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 학과지성사

권덕규 (1922) ldquo조선어문의 연원과 그 성립rdquo ≪동명≫ 1 (1923)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7) ldquo정음 이전의 조선글rdquo ≪한글동인지≫ 1 (1928) ldquo잘못 고증된 정음 창조자rdquo ≪한글동인지≫ 4 권성기 (1982) ldquo훈민정음 자형에 관한 일고찰rdquo ≪한성어문학≫ 1 235‐249 권영달 (1940) ldquo조선어문의 합리성rdquo ≪정음≫ 36권재선 (1983) ldquo한글의 기원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추강 황희영 박사 송수기

념논총)≫ 집문당 197‐226 (1987) ≪국어학 발전사 고전국어학편≫ 고시출판사 (1988)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89) ≪간추린 국어학 발전사≫ 우골탑 (1992a) ≪한글연구≫ 1 2 우골탑 (1992b)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1994a) ≪바로잡은 한글 국문자론≫ 우골탑 (1994b) ldquo가림토에 대한 고찰rdquo ≪한글≫ 224 (1995) ≪깁고 고친 훈민정음 해석연구≫ 우골탑 (1996a) ≪국문자론≫ 우골탑 (1996b)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rdquo ≪한글사랑≫ 2 한글사 (1997) ldquo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rdquo ≪한글≫ 235 (1998) ≪누구나 알 수 있는 훈민정음 글월의 구성 분석적 이해≫ 우골탑 (1999) ≪훈민정음 표기법과 음운 중세 음운론≫ 우골탑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권종성 (1987) ≪문자학개요≫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김경탁 (1961)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rdquo ≪원광문화≫ 3 원광대학교 (1965) ldquo「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rdquo ≪중국학보≫ 4 [김경탁

(1977 186‐203)에 재록됨] (1977) ≪중국철학개론≫ 범학도서 김경한 (1961) ldquo세종 시대의 문화의식rdquo ≪성균≫ 3 성균관대학교김광수 (2008)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김광익 (1962) ldquo훈민정음의 자모수와 자모 차례의 변천rdquo ≪말과 글≫ 1김광해 (1989) ldquo훈민정음과 108rdquo ≪주시경학보≫ 4 주시경연구소 158‐162 (199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rdquo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29

태학사 27‐36 (1991) ldquo훈민정음과 불교rdquo ≪인문학보≫ 12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 (2000) ldquo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rdquo ≪새국어소식≫ 27 국립국어연구원 김규철 (1975) ldquo훈민정음 연구 초성자 제정과정을 중심으로rdquo ≪논문집≫ 13 육군사관

학교김남돈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관한 국어학사적 고찰rdquo ≪한국초등교육≫

41 서울교육대학교 27‐52 김동언 (1985) ldquo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rdquo ≪한글≫ 189 123‐145 김동욱 (1957) ldquo정음청 시말rdquo ≪서울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 109‐126 김동춘 (2002) ≪훈민정음에 숨겨진 인류 역사의 비밀≫ 세상의 창김두식 (2008) ≪한글 글꼴의 역사≫ 시간의 물레김명호 (2005) ≪한글을 만든 원리 누구나 아는 한글 아무나 모르는 음양오행≫ 학고재김무림 (1992) ldquo훈민정음의 후음 고찰rdquo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

교육학회 31‐58 김무식 (1992a)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rsquo에 대한 일고찰rdquo ≪어문학≫ 53 (1992b) ldquo중세국어 후음 lsquooo ㆆ ㆅrsquo에 대한 연구rdquo ≪문학과 언어≫ 13 (1993) ldquo훈민정음의 음운체계연구rdquo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과 하향적 음 분석 방법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199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성학 술어의 특징과 의미rdquo ≪수련어문론집≫ 24

신라대 국어교육과 1‐16 김문길 (1992) ≪일본고대문자연구≫ 형설출판사 (1994) ldquo일본 神代文字에 관한 연구 長尾神社 浮刻文字를 중심으로rdquo ≪日本學≫

13김미라 (1994) ldquo훈민정음 종성 규정 고rdquo ≪홍익어문≫ 13 홍익대 사범대학 홍익어문연

구회 327‐336 김민수 (1955) ldquo한글 반포의 시기 세종25년 12월을 주장함rdquo ≪국어국문학≫ 14

59‐69 (1957a) ≪주해훈민정음≫ 통문관 (1957b) ldquo훈민정음 해제rdquo ≪한글≫ 121 (1969)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시말 세종의 국권확립책을 중심으로 하여rdquo ≪김재원 박

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775‐795 (1973)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0) ≪신국어학사≫ 전정판 일조각 (1985a) ldquo중모음 lsquorsquo에 대하여rdquo ≪인문론집≫ 30 고려대 1‐18 (1985b) ldquo훈민정음(해례)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19‐

45 (1987) ≪국어학사의 기본이해≫ 집문당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30 SCRIPTA VOLUME 2 (2010)

(1994) ldquo훈민정음 반포와 팔종성의 문제rdquo ≪어문연구≫ 81 82 (1999) ldquo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

회 (2007) ≪현대어문정책론 그 실태와 개선안≫ 한국문화사 (2008) ldquo한글 연구와 우리 문자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민수 성광수 심재기 편 (1984) ≪국어와 민족문화 국어학입문≫ 집문당 김민수 홍종선 조일영 송향근 최호철 고창수 (1997) ≪외국인의 한글 연구≫ 태학사 김병운 (2008) ldquo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표기법중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봉태 (2000)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한글과 산스크리트 문자≫ 대문사 (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 티벳 파스파 문자≫ 삼

우사 김상돈 (1997) ldquo훈민정음의 삼분적 요소에 대하여rdquo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김상태 (2005a) ldquo15세기 국어의 자소체계 연구 훈민정음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학≫

26 (2005b) ldquo중세국어 자절(字節) 구조 연구rdquo ≪인문과학논집≫ 31 청주대 학술

연구소 (2008) ldquo중세국어 형태자소적 표기법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

문집 김석득 (1971)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분석 이원론적인 변별적 자질론 및 언어 철

학적 이해rdquo ≪한글학회 50돌 기념논문집≫ 291‐310 (1975) ≪한국어연구사(상)≫ 대학문고 4 연세대 출판부 (1978) ldquo훈민정음 참 이치와 생성의 힘rdquo ≪세종문화≫ 13 (1983)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4) ldquo훈민정음(해례)의 각자병서와 15세기 형태 자질과의 관계 15세기

된소리 음소의 기능 부담량 측정을 위하여rdquo ≪동방학지≫ 42 연세대 1‐32 (1999) ldquo훈민정음과 세종대왕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ldquo훈민정음과 우리글자살이의 역사rdquo ≪한인교육연구≫ 17 재미한인학교

협의회 김석연 (1993) ldquo정음 사상의 재조명과 부흥rdquo ≪한글≫ 219 (1997) ldquo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 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시대는 훈민정음의 재조명과 부흥책을 촉구한다rdquo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석연 송용일 (2000)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과 조음기관의 상형관계rdquo ≪한국어정보학≫

2 국어정보학회 34‐56 김석환 (1973) ≪한글문견≫ 한맥 (1978) ≪현토주해 훈민정음≫ 보령 활문당 (1979) ≪한글의 자음명칭과 밑뿌리(起源)에 대하여≫ 한맥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1

(1995)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 (1997) ≪훈민정음연구≫ 한신문화사 (2010) ≪훈민정음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김선기 (1965) ldquo문자 정책론rdquo ≪한글≫ 134 20‐32 (1969) ldquo한글의 새로운 기원설rdquo ≪명지대 논문집≫ 3 11‐81 김성대 (1999) ≪(역해) 훈민정음≫ 하나물 김성렬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음절 인식에 대하여rdquo ≪중한인문과학연구≫ 1 국학자

료원 김세환 (2002) ≪기하학적으로 분석한 訓民正音≫ 학문사 (2008) ldquo중국문자의 수용과 훈민정음rdquo ≪중국학≫ 30김슬옹 (1993) ldquo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rdquo

≪한글 새소식≫ 255 (2001) ldquo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rdquo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2005a) ldquo조선왕조실록의 한글(훈민정음)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rdquo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b)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6) ldquolsquo훈민정음rsquo의 명칭 맥락과 의미rdquo ≪한글≫ 272 (2007a) ldquo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rdquo ≪사회언어학≫ 151 (2007b) ldquo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어의 역사와 문

화≫ 박이정 (2007c) ldquolsquo훈민정음rsquo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1 (2007d)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아이세움 (2008a) ldquo한글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rdquo ≪사회언어학≫ 161 (2009a) ldquo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rdquo ≪UB 한국학

연구≫ 창간호 (2009b)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김승곤 (1989) ldquo세종어제 lsquo훈민정음rsquo의 ldquoㄱ ㅋ ㆁrdquo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rdquo ≪한글

새소식≫ 201 (1998)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rdquo ≪세종문화사대계 1 어학 문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김승일 역 (1996) ≪세계의 문자≫ 범우사 김영국 (1981) ldquo훈민정음의 자모체계에 대하여 복합자형의 생성과 그 음가를 중심으로rdquo

≪경기어문학≫ 2 경기대 209‐226 (1996)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성조설(聲調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동악어문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32 SCRIPTA VOLUME 2 (2010)

논집≫ 31 동국대 동악어문학회 (1997)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 체계와 방점rdquo ≪동악어문논집≫ 32 동국

대 동악어문학회 김영덕 (1956) ldquo훈민정음 序文考rdquo ≪호서문학≫ 3김영만 (1987) ldquo훈민정음 자형의 원형과 생성체계 연구rdquo ≪장태진박사 회갑기념 국어국

문학논총≫ 삼영사 43‐70 김영배 (2000) ldquo연구 자료의 영인 훈민정음의 경우rdquo ≪새국어생활≫ 103 161‐169 김영송 (198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81‐112 김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신흥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22 113‐142 김영신 (1974) ldquo고등학교 고전 교재에 대한 어학적 고찰rdquo ≪한글≫ 154 김영욱 (2007) ≪한글≫ 루덴스 (2008) ldquo한글의 역사와 기능 한글 창제에 관한 쟁점 한글의 근대적 부활 한글의

미래를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김영환 (1987) ldquolt해례gt의 중세적 언어관rdquo ≪한글≫ 198 131‐158 (2005) ldquo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 한글 창제를 중심으로rdquo ≪민족문화논총≫

31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김영황 (1965) ldquo훈민정음의 음운리론rdquo ≪조선어학≫ 1김영황 권승모 편 (1996)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김완진 (1964) ldquo중세국어 이중모음의 음운론적 해석rdquo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4 49‐66 (1972) ldquo세종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훈민정음을 위요한 수삼의 문제rdquo ≪성곡논

총≫ 3 성곡학술문화재단 185‐215 (1975) ldquo훈민정음의 자음자와 가획의 원리rdquo ≪어문연구≫ 7 8 186‐194 (1983a) ldquo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rdquo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353‐366 (1983b)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제단계rdquo 제1차 KOREA학 국제교류세미나논문집

25‐31 [논문집이 중국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1986년에 출간됨]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rdquo ≪한국문화≫ 5 서울대 1‐19 (1996) ≪음소와 문자≫ 신구문화사 (1998) ldquo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아

시아의 문자와 문맹≫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009) ldquo문면해독과 한자의 다의성rdquo ≪국어학≫ 54 김용경 (1996)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이원적 언어관rdquo ≪한말연구≫ 2 도서출판 박이정 김웅배 (2000)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중국 운학의 창조적 내용rdquo ≪목포어문학≫ 2 225‐

234 김 원 (2000) ldquo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rdquo ≪한글 새소식≫ 33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3

김유범 (2008) ldquo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재인식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김윤경 (1929) ldquo한글의 기원rdquo ≪별건곤≫ 47 (1931) ldquo훈민정음 창작에 관한 이설rdquo ≪연희≫ 7 연희전문학교 (1931‐1933) ldquo조선문자의 역사적 고찰rdquo ≪동광≫ 17 21‐27 ≪동광≫ 19

25‐33 (1932) ldquo한글 기원 제설rdquo ≪한글≫ 5 훈민정음반포기념호 201‐205 (1934) ldquo훈민정음 제정의 고심rdquo ≪중앙≫ 211 (1935)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rdquo ≪한글≫ 38 2‐4 (1938) ≪조선문자급어학사≫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46)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 94김익수 (1986) ldquo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 연구rdquo ≪경기어문학≫ 7

271‐295 김정대 (2004) ldquo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rdquo ≪국어학≫ 43 329‐383 (2008) ldquo한글은 자질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문자 공방론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김정수 (1987) ldquo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rdquo ≪한글≫ 200 (1990) ≪한글의 역사와 미래≫ 교양 한국문화사‐3 열화당 [J R P King에

의해 2005년에 Global Oriental 출판사에서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로 번역되어 나옴]

(1993) ldquo훈민정음 ldquoordquo의 소릿값rdquo ≪한국언어문화≫ 11 한국언어문화학회 5‐ 26

김종규 (1989) ldquo중세국어 모음의 연결제약과 음운현상rdquo 국어연구 90 국어연구회 김종명 (2006) ldquo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rdquo ≪동양철학사상사≫ 61 김종택 (1975) ldquo한글의 문자론적 위상 그 개선점을 중심으로rdquo ≪강복수 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김민수 외 편 (1984 269‐277)에 재수록됨] (1985) ldquo한글은 문자구실을 어떻게 해왔나rdquo ≪멱남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9‐868 (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김종택 이문규 (1999) ldquo15세기 국어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

집≫ 창간호 김종훈 외 (1986) ≪국어학사 논고≫ 집문당 김주원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뒷면 글 내용과 그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45

177‐212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rdquo ≪새국어생활≫ 163 (2008) ldquo≪훈민정음≫ 소개와 그 의미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 문화유산으로rdquo 국

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34 SCRIPTA VOLUME 2 (2010)

김주필 (1991)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언어 내적 배경과 기반rdquo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 개≫ 민음사

(1999) ldquo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rdquo ≪국제고려학회 논문집≫ 창간호 (2001) ldquo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rdquo ≪국어학≫ 38 26‐54 (2004) ldquo차자표기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재고rdquo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5) ldquo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이론rdquo ≪인문연구≫ 48김진규 (1991) ldquo훈몽자회의 引 凡例 소고 훈민정음 해례와 훈몽자회 범례의 음rdquo ≪공주

대 논문집≫ 29 (2006) ldquo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나라사랑≫ 111김진우 (19801988) ldquoOn the Origin and Structure of the Korean Scriptrdquo

Sojourns in Language II Tower Press 721‐734 김차균 (1985) ldquo훈민정음 해례의 모음체계rdquo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139‐153 (1988) ldquo훈민정음의 성조rdquo ≪어연총서≫ 1 전남대 어학연구소 한신문화사김창근 (1978) ldquo한글과 훈민정음(訓民正音)rdquo ≪부산교육≫ 191 부산시 교육국 김창주 (1992) ldquo중국 운서가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연구rdquo ≪논문집≫ 29 예산농업

전문대학김천명 (1960) ldquo訓民正音考 훈민정음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한 이유rdquo ≪어문론집≫

1 중앙대 국어국문학회김형규 (1947) ldquo훈민정음과 그 전의 우리 문자rdquo ≪한글≫ 121 통권 99호 2‐11 (1949) ldquo우리 글자론 (文字論)rdquo ≪한글≫ 108 (1955) ldquo한글의 본질rdquo ≪한글≫ 114 11‐15 남경완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를 통해서 살펴본 핸드폰 한글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남광우 (1989) ldquo훈민정음의 재조명rdquo ≪수여성기열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7) ldquo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정신의 재조명 현 어문 어문교육정책 비판과

그 대안 제시rdquo ≪어문연구≫ 94 남권희 (2009) ldquo새로 발견된 lt훈민정음gt 소개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남성우 (1979) ldquo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창제에 미친 영향rdquo ≪중국연구≫ 4 한국

외국어대 159‐187 남종희 (1996) ldquo한글 이중자음의 합자에 대한 연구rdquo ≪논문집≫ 17 경성대 남풍현 (1978) ldquo훈민정음과 차자표기법과의 관계rdquo ≪국문학론집≫ 9 단국대 3‐26 (1980) ldquo훈민정음의 당초목적과 그 의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65‐372 (1997)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목적rdquo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동악어문학회 (1980) ≪훈민정음≫ 이우출판사려증동 (2001) ≪배달글자≫ 한국학술정보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5

렴광호 (1997) ldquo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중국 조선어문≫ 4렴종률 (1963) ldquo우리의 고유 문자 lsquo훈민정음rsquo의 창제rdquo ≪조선어학≫ 4 (1994) ldquo훈민정음은 독창적인 글자리론에 기초하여 만든 가장 과학적인 글자rdquo

≪조선어문≫ 93렴종률 김영황 (1982) ≪훈민정음≫에 대하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류 렬 (1947a) ≪원본 훈민정음 풀이≫ 조선어학회 (1947b) ≪원본 풀이한 훈민정음≫ 보신각 (1950)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및 유래rdquo ≪홍익≫ 1 홍익대학교 (1961) ldquo훈민정음에 반영된 주체적 입장과 주체적 태도rdquo ≪말과 글≫ 1 (1963) ldquo민족문자 lsquo훈민정음rsquo 창제의 문자사적 의의rdquo ≪조선어학≫ 4 (1992) ≪조선말 력사≫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4) ldquo우리 민족은 고조선시기부터 고유한 문자를 가진 슬기로운 민족rdquo ≪중국

조선어문≫ 1 리득춘 (1989) ldquo훈민정음 기원의 이설 하도기원론rdquo ≪중국 조선어문≫ 5 (1993) ≪한조 언어문자 관계사≫ 서광학술자료사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리론적 기초와 중국음운학rdquo ≪조선어 한자어음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5) ldquo訓民正音與中國文化rdquo ≪中外語言文化比較硏究≫ 1 中國 中外語言文化

比較學會 (1999) ldquo훈민정음 창제설과 비창제설rdquo ≪중국 조선어문≫ 2 (2000) ldquo訓民正音與中國音韻學rdquo ≪韓國學論文集≫ 8 北京大 韓國學硏究中心 (2008) ldquo새 천년 중국에서의 한글의 생명력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리의도 (1984) ldquo훈민정음의 중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rdquo ≪한글≫ 186 151‐172 리태극 (1978) ldquo세종대왕과 정음반포rdquo ≪세종문화≫ 12문화재관리국 (1999) ≪한국의 세계 유산≫ 문화재청 (2007) ≪훈민정음 언해본 이본 조사 및 정본 제작 연구≫ 문화체육부 (1993) ≪외국 학자가 본 훈민정음과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 문화체육부ㆍ

국어학회 문효근 (1981) ldquo훈민정음의 음절 생성 규정의 이해rdquo ≪국어교육논총≫ 1 연세대 교육

대학원 (1986) ldquo훈민정음의 lsquo終聲復用初聲rsquo의 이해 lt종성해gt와의 관련에서rdquo ≪한글≫

193 139‐162 (1987) ldquo훈민정음의 ldquoo聲淡而虛rdquo는 기(氣)의 있음rdquo ≪한글≫ 196 355‐376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rdquo ≪세종학 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ldquo≪훈민정음≫의 형체학적 풀이 ldquordquo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rdquo ≪동방학

지≫ 10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85‐238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36 SCRIPTA VOLUME 2 (2010)

박동규 (2001) ldquo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rdquo ≪한글≫ 253 103‐133 박동근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예악과 정음ㆍ정성 사상과의 관계rdquo ≪한중음운학논

총≫ 1 서광학술자료사 박병채 (1967) ldquo한국문자 발달사rdquo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413‐485 (1974) ldquo한글과 일본의 신대문자rdquo ≪유네스코 뉴스≫ 169 (1995) ≪역해 훈민정음≫ 박영사 (1985) ldquo문자발달사상에서 본 한글rdquo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32‐40 박병천 (2000)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 훈민정음 동국정운 월인천강지곡≫ 일지

사 (2005) ldquo한글 출판서체의 변천과정과 현대적 형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

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1‐25 박병호 (1996) ldquo훈민정음 체계의 형성과 성격rdquo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선우 (2008) ldquo음성부호로서의 훈민정음 훈민정음과 일반적 음성부호의 비교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박성종 (2002) ldquo문자 연구 50년rdqu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연구 50

년≫ 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285‐325 박승도 (1936) ldquo訓民正音重刊跋rdquo ≪정음≫ 16박승빈 (1934) ldquo훈민정음원서의 고구rdquo ≪정음≫ 4 22‐25 박양춘 (1994) ≪한글을 세계문자로 만들자≫ 지식산업사 (1998) ldquo외국에서 본 한글rdquo ≪한글 새소식≫ 313 12‐15박영순 (2008) ldquo한글과 한국어 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박영진 (2005)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rdquo ≪한글 새소식≫ 395

8‐12 박종국 (1976) ≪주해 훈민정음≫ 정음사 (1983a) ldquo훈민정음 lsquo예의rsquo에 관한 연구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rdquo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b) ldquo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rdquo ≪문호≫ 8 건국대학

교 (1984)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훈민정음 종합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박종덕 (2006a)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lsquo발견rsquo에 대한 반론

의 입장에서rdquo ≪한국어학≫ 31 (2006b) ldquo문화콘텐츠로서의 훈민정음의 활용 방안rdquo ≪한민족 문화연구≫ 18박종희 (1994) ldquo중세국어의 이중모음 표기 문제rdquo ≪원광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

281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7

박지홍 (1960) ldquo한국문자사의 소고rdquo ≪건대학보≫ 9 건국대학교 (1979a) ldquo한문본 훈민정음의 번역에 대하여rdquo ≪한글≫ 164 61‐86 (1979b)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1) ldquo어제훈민정음의 연구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rdquo ≪한글≫ 173

174 483‐513 (1983)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연구 어제 훈민정음편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

대학교 217‐244 (1984)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 주석≫ 과학사 (1986a) ldquo훈민정음 제정의 연구 자모차례의 세움과 그 제정rdquo ≪한글≫ 191

105‐119 (1986b) ldquo원본 훈민정음의 짜임 연구 예의와 꼬리말의 내용 견줌rdquo ≪석당논총≫

12 동아대 145‐156 (1987) ldquo훈민정음을 다시 살핀다 번역을 중심으로rdquo ≪한글≫ 196 341‐353 (1988)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역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

신문화사 239‐260 (1989) ldquo훈민정음 제정에 따른 정음 맞춤법의 성립rdquo ≪한글 새소식≫ 204 (1992) ldquo초창기 lsquo한글rsquo에 실린 글에 대한 평가와 검토 lsquo훈민정음 연구rsquo 분야에 대

하여rdquo ≪한글≫ 216 (1998) ldquo≪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나는 수수께끼 하나rdquo ≪한글 새소식≫ 308 (1999a) ldquolt원본 훈민정음gt의 월점에 대한 연구rdquo ≪부산한글≫ 18 (1999b) ldquo훈민정음을 만든 원리rdquo ≪한글 새소식≫ 322 (1999c)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ldquo훈민정음의 연구(1)rdquo ≪한겨례말연구≫ I 부산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 (2008) ldquo정음 반포를 앞둔 집현전의 움직임과 세종의 처리(1 2 3)rdquo ≪한글 새

소식≫ 431 434 436박창원 (1990) ldquo병서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국어 자음군 연구rdquo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ldquo훈민정음 제자의 lsquo理rsquo에 대한 고찰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안

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문학과 지성사 613‐641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8) ldquo한국인의 문자생활사rdquo ≪동양학≫ 28 (2000) ldquo문자의 수용과 변용 그리고 창제rdquo ≪인문학논총≫ 2 이화여대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박형우 (2009) ldquo훈민정음 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의 의미rdquo ≪한민족어문학≫ 53박흥호 (1994) ldquolsquo한글의 과학성rsquo 정밀 분석 한글 왜 과학적인가rdquo ≪과학동아≫ 910반재원 (2001) ≪한글과 천문≫ 한배달 (2002)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도서출판 한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38 SCRIPTA VOLUME 2 (2010)

배달 (2005) ldquo새로 밝혀지는 훈민정음 창제 기원과 중국어 표기의 예rdquo ≪ICMIP 2005

논문자료집≫ 국어정보학회반재원 허정윤 (2007) ≪한글 창제원리와 옛글자 살려 쓰기 한글 세계 공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역락 방용식 (1994) ldquo한글의 전신인 加臨多文에 대한 소고rdquo ≪대전보건전문대 논문집≫ 15 방종현 (1935) ldquo훈민정음rdquo ≪한글≫ 20 (1945) ldquo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rdquo ≪민중조선≫ 1 (1946a) ≪해석 원본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1946b) ldquo訓民正音史略rdquo ≪한글≫ 97 (1947) ldquo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rdquo ≪국학≫ 2 (1948)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63) ≪일사국어학논집≫ 민중서관 방진수 (1949) ≪조선문자발전사≫ 대양프린트사배대온 (2000)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하여rdquo ≪경상어문≫ 5 6 11‐23 배영환 (1999) ldquo훈민정음 제자의 원리에 대하여rdquo ≪청계논총≫ 1 29‐60 배현숙 (1991) ldquo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rdquo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배희임 (1999) ldquo훈민정음과 가림토문에 관한 소고rdquo ≪배재논총≫ 3 7‐20 백두현 (2001) ldquo조선시대 한글 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rdquo ≪진단학보≫ 92 (2009) ldquolsquo훈민정음rsquo 해례본의 구조 연구rdquo ≪국어학≫ 54비위더 (Bi Yude) (2008) ldquo한글의 결합특성에 의한 활용어의 환원분석rdquo 제2회 한국어

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병국 (1964)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lsquo제자해rsquo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집≫ 8

경북대 13‐32 (1973) ldquo중국운학이 훈민정음 제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rdquo ≪교육연구지≫

15 경북대 25‐52 (1975) ≪신강 훈민정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992) ≪신강 훈민정음≫ 학문사 서상덕 (1953) ≪審究解釋 訓民正音≫ 일광출판사서재극 (1991) ldquo훈민정음의 lsquo母字之音rsquo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4) ldquo≪훈민정음≫의 한자 사성권표rdquo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서정범 (1989) ldquo훈민정음의 창제와 한자음 개신rdquo ≪어문연구≫ 174 (1999) ldquo훈민정음의 정(正)의 참뜻rdquo ≪세종성왕육백돌≫ 세종대왕기념사업회서정수 (2004) ldquo소리와 글자의 관련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ㆍ한국어정보학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39

석금호 (2008a) ldquo사회적 현상이 한글 디자인에 끼친 영향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 회 논문집

(2008b) ldquo근대 한글 활자 디자인의 흐름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성낙수 (2006) ldquo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rdquo ≪나라사랑≫ 111성원경 (1969a) ldquo切韻指掌圖與訓民正音(韓字) 別字解例之理論關係攷 以五音與五聲配合

上之差異爲根據rdquo ≪反攻≫ 323 臺北 國立編譯館 1‐6 (1969b) ≪十五世紀韓國字音與中國聲韻之關係≫ 서울 槿域書齋 (1970) ldquo훈민정음 제자이론과 중국운서와의 관계rdquo ≪학술지≫ 11 건국대 131‐

147 (1974) ldquo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rdquo ≪문리논총≫ 3 (1985) ldquo숙종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고찰rdquo ≪멱남 김일근박사회갑기념 어문학

논총≫ 851‐858 (1993)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 있어서의 문제점 소고rdquo ≪인문과학논총≫ 25 건국

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 (1998) ≪세종문화사대계 I 어학ㆍ문학≫ (1999) ≪세종성왕 육백돌≫ (2003) ≪훈민정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한글문헌자료 2 소재구 (2000) ldquo한글 문화사론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송기중 (1988) ldquo한자 주변의 문자들rdquo ≪정신문화≫ 34 1‐47 (1991) ldquo세계의 문자와 한글rdquo ≪언어≫ 161 153‐187 (1996) ldquo세계의 여러 문자와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65‐83 (1997a) ldquo돌궐문자의 표기체계와 동북아세아 문자사의 전통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동북아시아 역사상의 제문자와 한글의 기원rdquo ≪진단학보≫ 84 (1998) ldquoWriting Systems of Northeast Asia and the Origin of the

Korean Alphabet Hanrsquogŭlrdquo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1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ldquoAncient Indian Phonetics and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s in 15th Centuryrdquo Korea in Search of a Global Role eds by Sushila Narsimhan and Do Young Kim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Delhi

(2009) ldquo팍바 (ʼPhags-pa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국어학≫ 54송기중 이현희 정재영 장윤희 한재영 황문환 편 (2003)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송 민 (1995) ldquo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rdquo ≪어문학논총≫ 1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

구소 27‐44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40 SCRIPTA VOLUME 2 (2010)

송철의 (2008a)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적인 한글 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송호수 (1984) ldquo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rdquo ≪월간광장≫ 125호 세계교수평화협의 회 147‐156 127호 96‐107

시정곤 (2007) ldquo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rdquo ≪우리어문연구≫ 28신경철 (1998) ldquo훈민정음의 모음자와 모음체계 신고rdquo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신명균 (1928) ≪문자 중의 패왕(覇王) 한글≫ 별건곤신상순 역 (2000) ≪세계의 문자 체계≫ 한국문화사 신상순 이돈주 이환묵 편 (1988) ≪훈민정음의 이해≫ 전남대어연총서 1 한신문화사

[1990년에 Language Research Chonnam National University의 번역에 의해 Hanshin Publishing에서 Understanding Humin-jongum으로 번역되어 나옴]

신용권 (2009) ldquo훈민정음을 사용한 한어음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 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신지연 (2000) ldquolt훈민정음gt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rdquo ≪언어≫ 253 신창순 (1975) ldquo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문자론적 고찰rdquo ≪국어국문학≫ 12 부산대 5‐

17 (1990) ldquo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rdquo ≪정신문화연구≫ 131 213‐229 (1994) ldquo훈민정음의 기능적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신태현 (1940) ldquo훈민정음 잡고 제자원리와 모음조화rdquo ≪정음≫ 36심소희 (1996a) ldquo한글음성문자 (The Korean Phonetic Alphabet)의 재고찰rdquo ≪말

소리≫ 31 32 (1996b) ldquo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rdquo ≪한글≫ 234 (1999) ldquo동아시아 지역의 언어관 정음 사상의 연구rdquo ≪중국언어연구≫ 10심재금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심재기 (1974) ldquo최만리의 언문관계반대상소문추의rdquo ≪우리문화≫ 5 (198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람의 말과 글≫ 지학사 (1987) ldquoFormation of Korean Alphabetrdquo ≪어학연구≫ 233 527‐537 안국승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실상rdquo ≪경기향토사학≫ 5 359‐415 안대회 김성규 (2000) ldquo이사질이 제시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1)rdquo ≪문헌과 해석≫ 12 안명철 (2004) ldquo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rdquo ≪어문연구≫ 323 43‐60 (2005) ldquo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rdquo ≪국어학≫ 45 213‐241 안병희 (1970) ldquo숙종의 훈문정음후서rdquo ≪낙산어문≫ 2 서울대 10‐12 (1972) ldquo해제 세종어제훈민정음rdquo 국어학회 편 ≪국어학자료선집≫ II 일조각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1

(1976) ldquo훈민정음의 이본rdquo ≪진단학보≫ 42 191‐195 (1977)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9) ldquo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고찰rdquo ≪규장각≫ 3 (1985) ldquo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rdquo ≪동방학

지≫ 46 47 48 연세대 793‐821 (1986)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927‐936 (1990a)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rdquo ≪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국어학

논문집≫ 태학사 135‐145 (199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두어 문제rdquo ≪국어국문학논총 (이우성 선생 정년퇴임

기념)≫ 여강출판사 (1992a) ldquo월인천강지곡 해제rdquo 문화재관리국 (1992b)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7a) ldquo훈민정음해례본과 그 복제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84 (1997b) ldquo訓民正音序의 lsquo便於日用rsquo에 대하여rdquo ≪어문학논총≫ 태학사 (1997c) ldquo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9‐105

(2000) ldquo한글의 창제와 보급rdquo ≪겨레의 글 한글≫ 국립중앙박물관 (2002) ldquo훈민정음(해례본) 삼제rdquo ≪진단학보≫ 93 (2003) ldquo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1 3‐24 (2004)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그 협찬자rdquo ≪국어학≫ 44 3‐38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안주호 이태승 (2009)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회 2009 전국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안춘근 (1983) ldquo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학적 고찰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

문당 295‐306 안 확 (1926a) ldquo언문의 출처rdquo ≪동광≫ 6 65‐67 (1926b) ldquo언문 발생 전후의 기록법rdquo ≪신민≫ 13양주동 (1940) ldquo신발견 훈민정음에 대하여rdquo ≪정음≫ 36여찬영 (1987) ldquo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rdquo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효성여대 출

판부 연호탁 (1998) ldquo한글의 기원에 관한 고찰rdquo ≪논문집≫ 26 관동대 (2000) ldquo훈민정음 제자 기원 재론 lsquo古篆rsquo의 정체 파악을 중심으로rdquo ≪사회언어

학≫ 82오 만 (Oh Man) (1997a) ldquoOn the Origin of lsquoHun Min Jeong Uemrsquo Focused

on Denying and Commending on the Origin of Japanese lsquoJin Dairsquo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42 SCRIPTA VOLUME 2 (2010)

Lettersrdquo Korean Language 22 (1997b) ldquo훈민정음 기원설 일본 lsquo神代文字起源說rsquo을 비판 부정한다rdquo ≪배달

말≫ 22 오정란 (1994) ldquo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rdquo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3

광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9‐24 (2004) ldquo훈민정음 再出字와 相合字의 거리와 재음절화rdquo ≪한국어학≫ 22와타나베 다카코 (2002) ldquo훈민정음 연구사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rdquo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ldquo한국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rdquo ≪국어교육≫ 96 우메다 히로유키 (1997)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rdquo ≪한글 새소식≫ 297 (2005)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의의와 현대 일본 사회에서의 사용 실태rdquo 제2회 한

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일본에서의 lsquo한글rsquo 연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 원응국 (1962) ldquo훈민정음에 대한 어음론적 고찰rdquo ≪조선어학≫ 1 (1963) ldquo훈민정음의 철자 원칙rdquo ≪조선어학≫ 4유목상 (1983) ldquo훈민정음 자모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당 319‐331 유미림 (2005) ldquo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rdquo ≪동양정치사상사≫ 41 한국 동양정치

사상학회유정기 (1968)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rdquo ≪동양문화≫ 6 7 영남대 179‐197 (1970) ldquo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고rdquo ≪현대교육≫ 32 (1979) ≪國字問題論集≫ 대구 상지사 유정렬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동기고rdquo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정숙 (2008) ldquo한글 옛 글자꼴의 변천 및 조형성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유창균 (1963) ldquo훈민정음 중성체계 구성의 근거rdquo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5) ldquo중성체계 구성의 근거를 재론함rdquo ≪국어국문학≫ 30 51‐83 (1966) ldquolsquo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진단학보≫ 29 30 371‐390 (1974) ≪훈민정음≫ 형설출판사 (1977)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字와의 상관성 훈민정음기원의 측면rdquo ≪석계 조인제

박사 환력기념논총≫ 95‐116 (1978) ldquo조선시대 세종조 언어정책의 역사적 성격rdquo (日文) ≪동양학보≫ 59권

3호 4호 1‐27 444‐470 (1996)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9)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 집문당 (2008) ldquo몽고운략과 동국정운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3

윤국한 (2005) ldquo훈민정음 친제설에 대하여 문법교과서의 진술을 중심으로rdquo ≪한국어문 교육≫ 14

윤덕중 반재원 (1983)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윤장규 (1997) ldquo훈민정음의 치음 lsquoㅈrsquo에 대한 두 과제rdquo ≪성균어문연구≫ 32 73‐82 윤정하 (1938) ldquo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rdquo ≪정음≫ 22이가원 (1994)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열상고전연구≫ 7 이강로 (1973) ldquo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이학관계의 연구 15세기 전반기의 吏文을 중심으

로rdquo ≪논문집≫ 8 인천교대 이강희 (2007) ldquo八思巴字와 訓民正音의 공통특징 편찬배경과 표음문자 중심으로rdquo ≪중

국어문학논집≫ 43이관규 (2008) ldquo한글과 국어교육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이광호 (198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의 문자체계에 대한 해석rdquo ≪어문학논총≫ 8 (1988) ldquo훈민정음 lsquo신제28자rsquo의 성격에 대한 연구rdquo ≪배달말≫ 13 47‐66 (1991) ldquo문자 훈민정음의 논리성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2a)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에 대하여rdquo ≪한국어문학연구≫ 4

한국외국어대 (1992b) ldquo훈민정음 제자의 논리성rdquo ≪정신문화연구≫ 48 (1996) ldquo외국인이 보는 한글은rdquo ≪계간 한글 사랑≫ 1996년 가을호 한글사 (1999) ldquo훈민정음 lsquo新制二十八字rsquo의 lsquo新制rsquordquo ≪문헌과 해석≫ 9 (2006) ldquo훈민정음 해례본에서 lsquo本文(例義)rsquo과 lsquo解例rsquo의 내용 관계 검토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이극로 (1936)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신동아≫ 54 (1942) ldquo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rdquo ≪半島史話와 樂土滿洲≫ 만주 신경 만선학해

사이근규 (1987) ldquo정음 창제와 문헌 표기의 정립에 대하여rdquo ≪언어≫ 8 충남대 103‐122 이근수 (1976) ldquo국어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문제rdquo ≪어문론집≫ 17 고려

대 137‐166 (1977a) ldquo몽고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월암박성의박사 환갑기념논총≫

569‐586 (1977b) ldquo북방민족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rdquo ≪한성여대 논문집≫ 1 (1979) ≪조선조의 어문정책 연구≫ 개문사 [개정판 홍익대 출판부 1987] (1981) ldquo조선조의 문자창제와 그 문제점rdquo ≪홍익≫ 23 홍익대 88‐99 (1983) ldquo훈민정음창제와 그 정책rdquo ≪한국어 계통론 훈민정음 연구≫ 집문당

333‐355 (1984a) ldquo한글과 일본 신대문자rdquo ≪홍대논총≫ 16 홍익대 363‐398 (1984b) ldquo한글은 세종 때 창제되었다rdquo ≪광장≫ 2 (1986) ldquo고유한 고대문자 사용설에 대하여rdquo ≪국어생활≫ 6 국어연구소 8‐19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44 SCRIPTA VOLUME 2 (2010)

(1988) ldquo한글 창제 과연 단군인가rdquo ≪동양문학≫ 2 동양문학사 (1992)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학연구100년사(II)≫ 일조각 (1994) ldquo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rdquo ≪인문과학≫ 1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83‐102 (1995)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7)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조선왕조rdquo ≪인문과학≫ 4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5‐20 이기문 (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1970)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2a) ≪개정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b) ≪국어음운사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년에 탑출판사에서 재간

됨] (1974a)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rdquo ≪국어학≫ 2 1‐15 (1974b) ldquo訓民正音創制の背景と意義rdquo ≪アジア公論≫ 35 (1974c) ldquo한글의 창제rdquo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6) ldquo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rdquo ≪진단학보≫ 42 187‐190 (198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기반rdquo ≪동양학≫ 10 단국대 388‐396 (1981) ldquo동아세아 문자사의 흐름rdquo ≪동아연구≫ 1 서강대 (1992) ldquo훈민정음 친제론rdquo ≪한국문화≫ 13 1‐18 (1995) ldquo훈민정음의 창제rdquo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5a)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996b) ldquo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rdquo ≪새국어생활≫ 62 3‐18 (1997a) ldquo동북 아시아 문자사의 흐름rdquo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b) ldquoThe Inventor of 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30 (1998) ldquo한글rdquo ≪한국사시민강좌≫ 23 (2000) ldquo19세기 서구 학자들의 한글 연구rdquo ≪학술원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39 107‐156 (2005a) ldquo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rdquo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3‐39 (2005b) ldquo우리나라 문자사의 흐름rdquo ≪구결연구≫ 14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재조명rdquo ≪한국어연구≫ 5 (2009) ldquoReflections on the Invention of Humin jeongeumrdquo Scripta 1

The Humin jeongeum Society이기문 편 (1977) ≪국어학논문선 7 (문자)≫ 민중서관 이기성 (2008) ldquo한글 음절 1만 1172개의 글꼴 디자인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5

논문집 이남덕 (1973) ldquo「훈민정음」과 lt方格規矩四神鏡gt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이정호

「해설 역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에 붙임rdquo ≪국어국문학≫ 62 63 221‐239

이돈주 (1988a) ldquo「훈민정음」의 해설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40

(1988b) ldquo「훈민정음」의 중국음운학적 배경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237

(1990) ldquo訓民正音の創制と中國音韻學理論の受容rdquo ≪朝鮮語敎育≫ 4 近畿大學 (2002) ldquo신숙주와 훈민정음rdquo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립국어연구원 이동림 (1963) ldquo훈민정음의 제자상 형성문제rdquo ≪무애 양주동박사 화탄기념논문집≫ 탐

구당 331‐336 (1966) ldquo국문자 책정의 역사적 조건rdquo ≪명지어문학≫ 3 51‐56 (1973) ldquo언문자모 lsquo俗所謂反切二十七字rsquo 책정근거 훈민정음 제정은 lsquo禮部韻略rsquo

속음 정리로부터rdquo ≪양주동박사 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13‐144 (1974) ldquo훈민정음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反切二十七字와 상관해서rdquo

≪국어국문학≫ 64 59‐62 (1975) ldquo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언문자모 27자」는 최초 원안이다rdquo

≪국어국문학논집≫ 9 10 동국대 [이기문 편 (1977 180‐200)에 재수록됨] (1979)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21 (1980a) ldquo언문과 훈민정음 관계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rdquo ≪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 485‐498 (1980b) ldquo훈민정음 전탁자는 왜 만들지 않았는가rdquo ≪경기어문학≫ 1 70‐74 (1993a) ldquo국문자모의 두 가지 서열에 대한 해명rdquo ≪한국음운학논총≫ Ⅰ 박이정 (1993b) ldquo≪동국정운≫ 초성자모 ldquo23자rdquo의 책정과 그 해석rdquo ≪국어학≫ 23이동준 (1971) ldquo세종대왕의 정음 창제와 철학 정신rdquo ≪세종문화≫ 47 48 49이동화 (2006)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이병근 (1988) ldquo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

사 59‐80 이병기 (1928)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반포≫ 별건곤 (1932) ldquo한글의 경과rdquo ≪한글≫ 6이병운 (1989)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제자원리rdquo ≪부산한글≫ 8이상규 (2008) ldquo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rdquo ≪어문학≫ 100 (2010) ldquo훈민정음의 첩운(疊韻) 권점 분석rdquo ≪최명옥 선생 정년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이상백 (1957)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의 해설≫ 통문관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46 SCRIPTA VOLUME 2 (2010)

이상억 (1990) ldquo성조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2002) ldquo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서예의 관점에서rdquo 고영근 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제자원리 lsquo훈민정음rsquo 제대로 이해하기 (Hunmin

jeongeum Introduction and Meaning Mankindrsquos Cultral Heritage Beyond the Republic of Korea)rdquo 국립국어원 편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이상혁 (1998) ldquo언문과 국어의식 중세와 실학 시대의 lsquo훈민정음rsquo과 lsquo언문rsquo 개념의 비교를 중심으로rdquo ≪국어국문학≫ 121

(1999a) ldquo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문자 의식을 중심으로rdquo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b) ldquo문자 통용과 관련된 문자 의식의 통시적 변천 양상rdquo ≪한국어학≫ 10 (2000) ldquo훈민정음해례 lt용자례gt 분석rdquo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1999a)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도서출판 역락 (1999b)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3)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과 15세기 국어관rdquo 이광정 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2004)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6) ldquo훈민정음 언문 반절 그리고 한글의 역사적 의미 우리글 명칭 의미의

어휘적 함의를 중심으로rdquo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008a)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정치사적 시론 문자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이석주 (1994) ldquo문자의 발달과 한글rdquo ≪한성어문학≫ 13 이성구 (1983) ldquo훈민정음과 태극사상rdquo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88‐202 (1984) ldquo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원리를 중심으로rdquo ≪논문

집≫ 8 명지실업전문대학 (1985) ≪훈민정음연구≫ 동문사 (1986a) ldquo훈민정음 해례의 lsquo聲 音 字rsquo의 의미rdquo ≪봉죽헌 박붕배 박사 회갑기념논

문집≫ 배영사 (1986b)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河圖 原理와 중성rdquo ≪국어국문학≫ 95 (1987a) ldquo훈민정음 초성체계와 오행rdquo ≪한실 이상보 박사 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7b) ldquo≪훈민정음해례≫의 河圖 이론과 중성rdquo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7

(1993) ldquo≪훈민정음해례≫에 나타난 lsquo天rsquo과 lsquo地rsquo의 의미rdquo ≪논문집≫ 17 명지 실업전문대학

(1994a)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논문집≫ 18 명지실업전문대학 1‐18

(1994b) ldquo≪훈민정음해례≫의 取象과 取義rdquo ≪국어학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8) ≪훈민정음연구≫ 애플기획 이성연 (1980)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rdquo ≪한국언어문학≫ 19 한국언어문학회

197‐210 (198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한글≫ 185 145‐170 이성일 (1994) ldquo≪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 문효근

선생님께rdquo ≪인문과학≫ 71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1‐208 이숭녕 (1949) ≪조선어음운론연구 제1집 ldquoㆍrdquo음고≫ 조선문화총서 7 을유문화사 (1956) ldquo국어학사(2‐6)rdquo ≪사상계≫ 4권 6호‐12호 (통권 36‐41) 238‐254

170‐185 207‐218 181‐194 140‐154 (1958) ldquo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특히 운서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rdquo ≪아세아연구≫ 12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9‐83 (1959) ldquo언어학에서 본 한글의 우수성rdquo ≪지방행정≫ 874 (1966) ldquo한글 제정의 시대환경rdquo ≪교육평론≫ 96 교육평론사 (1969) ldquo훈민정음rdquo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72) ≪국어학연구≫ 형설출판사 (1974)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제정rdquo ≪어문연구≫ 10 (1976) ≪혁신국어학사≫ 박영문고 101 (1979) ldquo한글 제정의 배경과 해석rdquo ≪수도교육≫ 49 서울시 교육연구원 (1981) ≪세종대왕의 학문과 사상 학자들과 그 업적≫ 아세아문화사 (1982) ldquo世宗大王의 言語政策과 그 業績rdquo ≪아세아公論≫ 118 (1986) ldquo「말」과 「말」의 의미식별에 대하여 「나랏 말미‐‐‐」의 해석을 머금고rdquo

≪동천 조건상 선생 고희기념논총≫ 개신어문연구회 221‐238 이승욱 (1972) ldquo국어문자의 연구사rdquo ≪국어국문학≫ 58 59 60 342‐347 이승재 (1989) ldquo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rdquo ≪국어학≫ 19 (1991) ldquo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rdquo ≪언어≫ 161 181‐211 (2001) ldquo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rdquo ≪국어학≫ 38 89-116 (2002) ldquo부호의 자형과 제작원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61‐

78 이영삼 (1938) ldquo조선문자의 유래와 趨向rdquo ≪정음≫ 23이영월 (2005) ldquo훈민정음의 중국 음운학적 조명rdquo ≪중국어문학논집≫ 35 (2008) ldquo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rdquo ≪중국언어연구≫ 27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48 SCRIPTA VOLUME 2 (2010)

이우성 (1976) ldquo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rdquo ≪진단학보≫ 42 182‐186 이유나 (2005) ≪한글의 창시자 세종대왕≫ 한솜이윤재 (1932) ldquo훈민정음의 제정rdquo ≪한글≫ 5이응백 (1988) ldquo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 愚民 耳를 중심으로rdquo ≪어문연구≫ 57

118‐124 (1994)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rdquo ≪어문연구≫ 81 82 (2000) ldquo세종대왕의 국어 표기법 정신rdquo ≪덕성어문학≫ 10 이익섭 (1971) ldquo문자의 기능과 표기법의 이상rdquo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679‐694 (1992) ≪국어표기법연구≫ 한국문화연구총서 28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ldquo문자사에서 본 동양 삼국 문자의 특성rdquo ≪새국어생활≫ 81 이재면 (1977) ldquo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rdquo ≪동국≫ 13 동국대 이정호 (1972a)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rdquo ≪논문집≫ (인문 사회과학 편) 11 충남대

5‐42 (1972b) ldquo訓民正音圖에 대하여rdquo ≪백제연구≫ 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74) ≪역주 주해 훈민정음≫ 아세아문화사 (1975a) ldquo훈민정음의 올바른 字體rdquo ≪논문집≫ 3 국제대학 83‐100 (1975b) ≪훈민정음의 구조원리 그 역학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4) ldquo세종대왕의 철학정신 인간존엄사상과 훈민정음창제원리를 중심으로rdquo

≪세종조 문화연구≫ II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국문 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이종인 역 (1997) ≪문자의 역사≫ 시공사 이주근 (1983) ldquo한글의 생성조직과 뿌리의 논쟁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정음연구≫ 집문

당 357‐369 이준석 (2008) ldquo한글 표기의 국제적 보급과 문자 없는 언어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이중건 (1927)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rdquo ≪한글동인지≫ 1이진호 (1999) ldquo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來母 초성 표기 양상rdquo ≪한국문화≫ 23 이 탁 (1946 1947 1949) ldquo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의 관계rdquo ≪한

글≫ 11권 3 4 5호 및 12권 2호 13권 3 4호 [이탁 (1958 24‐100)에 재수 록]

(1958) ≪국어학논고≫ 정음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이현규 (1976)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rdquo ≪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

대계 3 형설출판사 (1983) ldquo훈민정음해례의 언어학적 연구 형태소표기론rdquo ≪한국어계통론 훈민

정음연구≫ 371‐384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49

이현희 (1990) ldquo훈민정음rdquo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1991)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rdquo ≪어학교육≫ 21 전남대학교 언어

교육원 59‐74 (1992) ldquo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rdquo ≪어학연구≫ 283 (1994) ldquo≪악학궤범≫의 국어학적 고찰rdquo ≪진단학보≫ 77 183‐206 (1996) ldquo국어학사 연구 50년(1945~1995)rdquo ≪광복 50주년 국학의 성과≫

보고논총 9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26‐449 (1997) ldquo훈민정음rdquo ≪새국어생활≫ 74 237‐254 (2002) ldquo신숙주의 국어학적 업적rdquo ≪보한재 신숙주의 역사적 재조명≫ 고령신씨

대종회 고령신씨 문충공파 종약회 7‐22 (2003) ldquo훈민정음 연구사rdquo 송기중 외 편 ≪한국의 문자와 문자연구≫ 집문당

593‐626 이호권 (2008) ldquo한글 문헌 간행의 역사rdquo 제2회 한국 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이환묵 (1987) ldquo훈민정음 모음자의 제자원리rdquo ≪언어≫ 122 347‐357 (1988) ldquo훈민정음의 제자원리rdquo 신상순 외 편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83‐198 이희승 (1937) ldquo문자 이야기rdquo 한글 54 [이희승 ≪국어학논고≫ (1947 150‐161)에

재수록됨] (1946) ldquo문자사상 훈민정음의 지위rdquo ≪한글≫ 94 4‐11 임균택 (1999) ldquo어문사상 철학사적 고찰 왜곡해석된 훈민정음 철학적 조명rdquo ≪대동철

학≫ 6 307‐319 임 영 (1968) ldquo훈민정음창제의 학문적 배경에 관한 연구rdquo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천 (1974) ldquo정음형성의 배경적 제여건에 관하여rdquo ≪사대논문집≫ 5 조선대학교임용기 (1991a) ldquo훈민정음의 삼분법 형성과정rdquo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b) ldquo훈민정음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673‐696 (1992)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rdquo ≪세종학 연구≫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ldquo삼분법의 형성 배경과 ≪훈민정음≫의 성격rdquo ≪한글≫ 233 (1997a)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세종대왕 탄신 600돌 기념≫ 문화체

육부 (1997b) ldquo세종대왕과 훈민정음의 창제rdquo ≪나라사랑≫ 94 (1997c) ldquo삼분법과 훈민정음의 체계rdquo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9a) ldquo이른바 이체자 lsquoㆁ ㄹ ㅿrsquo의 제자방법에 대한 반성rdquo ≪새국어생활≫

94 161‐167 (1999b) ldquo후기 중세국어 치음의 음가 및 그 변화 추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50 SCRIPTA VOLUME 2 (2010)

(2000) ldquo훈민정음rdquo ≪문헌과 해석≫ 12 (2002) ldquo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rdquo ≪애산학보≫ 27 (2005) ldquo한글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30‐42 (2006a) ldquo훈민정음의 구조와 기능의 과학성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06b) ldquo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음양 오행rdquo ≪진리 자유≫ 62 연세대학교 (2008) ldquo세종 및 집현전 학자들의 음운 이론과 훈민정음rdquo ≪한국어학≫ 41 임 표 (1965) ≪훈민정음≫ 사서출판사임홍빈 (1996) ldquo주시경과 lsquo한글rsquo 명칭rdquo ≪한국학논총≫ 2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999) ldquo훈민정음의 명칭에 대한 한 가지 의문rdquo ≪세종성왕 육백돌≫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83‐288 (2005)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한글

심포지엄 한글의 현재 과거 미래≫ 한국언어학회 47‐72 (2006) ldquo한글은 누가 만들었나 한글 창제자와 훈민정음 대표자rdquo ≪이병근 선생

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7) ldquolsquo한글rsquo 명명자와 사료 검증의 문제rdquo ≪어문연구≫ 13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봉선 (2000) ldquo가림토와 한글(2)rdquo ≪인쇄계≫ 통권 313 106‐109 (2001) ldquo한글 문자문화의 발전사(2)rdquo ≪인쇄계≫ 통권 326 153‐157 장영길 (2001) ldquo훈민정음 자소체계와 음성자질체계의 조응관계rdquo ≪동악어문론집≫ 37

1‐22 장태진 (1983a) ldquo세종조 국어문제론의 연구rdquo ≪국어국문학≫ 5 조선대 (1983b) ldquo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rdquo ≪晴風 김판영박사 회갑기념 논

문집≫ 197‐221 (1987) ldquo서구의 초기언어계획기관과 훈민정음관계기관에 대하여rdquo ≪우해 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1988) ldquo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rdquo ≪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 집문당

433‐451장 효 (1963) ldquo훈민정음과 일본 神代文字rdquo ≪한양≫ 23장희구 (2000) ldquo훈민정음 창제의 참뜻(1 2)rdquo ≪한글+한자문화≫ 6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 (1992) ≪훈민정음과 국어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몽수 홍기문 (1949) ≪훈민정음 역해≫ 조선어 문고 제1책 평양 조선 어문 연구회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1

전영숙 (1999)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논문집≫ 22 신흥대학 113‐142 전정례 김형주 (2002)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2008) ldquo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정 광 (1981) ldquoThe Hunmin Chongum and the Cause of King Sejongrsquos

Language Policyrdquo ≪덕성여대 논문집≫ 10 (2002) ldquo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한글 창제의 구조언어학적 이해를 위하여rdquo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a) ldquo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rdquo ≪언어정보≫ 7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6b)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8a) ldquo≪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 훈민정음rdquo 제2차 한국어학회 국제학술

대회 논문집 (2008b) ldquo≪蒙古字韻≫과 八思巴 文字 훈민정음 제정의 이해를 위하여rdquo ≪제1

차 세계 속의 한국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중국 北京中央民族大學 韓國學-朝鮮學 硏究中心

(2008c) ldquo훈민정음 자형의 독창성 ≪蒙古字韻≫의 八思巴 문자와의 비교를 통 하여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a) ldquoThe Vowels of hPrsquoags-pa Script and the Middle Sound Letters of Hunmin-Jeongeum Korean Hangul (論八思巴文字的母音字與訓 民正音的中聲)rdquo The hPrsquoags-pa Script Genealogy Evolution and Influence The 16th World Congress The International Union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pogical Science Kunming China

(2009b) ldquo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와 훈민정음의 중성rdquo ≪국어학≫ 53 (2009c) ≪蒙古字韻 연구≫ 박문사 (2010) ldquo훈민정음 초성 31자와 八思巴字 32자모rdquo ≪역학서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제2회 역학서학회 국제학술회의정달영 (2007) ldquo세종 시대의 어문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목적rdquo ≪한민족 문화연구≫ 22정병우 (1981) ldquo훈민정음 연구rdquo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ldquo훈민정음 연구 제자해 중심으로rdquo ≪국어교육연구≫ 6 광주교육대학 초

등국어교육학회 1‐14 정승혜 (2009) ldquo훈민정음과 일본어 표기rdquo ≪훈민정음을 통한 외국어표기≫ 훈민정음학

회 2009 전국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연찬 (1987) ldquo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rdquo ≪국어학≫ 16 11‐40 정우상 (1991) ldquolt훈민정음gt의 통사구조rdquo ≪국어의 이해와 인식≫ 한국문화사정인승 (1940) ldquo고본 훈민정음의 연구rdquo ≪한글≫ 89 3‐16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 28‐31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52 SCRIPTA VOLUME 2 (2010)

정우영 (2000a)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원본 복원에 대한 연구rdquo ≪동악어문논집≫ 36 107‐135

(2000b) ldquo≪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rdquo ≪불교어문논집≫ 5 25‐58

(2001) ldquo훈민정음 한문본의 낙장 복원에 대한 재론rdquo ≪국어국문학≫ 129 191‐ 227

(2005) ldquo훈민정음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rdquo ≪국어국문학≫ 139 75‐113 정인승 (1940) ldquo古本訓民正音의 연구rdquo ≪한글≫ 82 (1946) ldquo훈민정음의 연혁rdquo ≪한글≫ 98정재도 (1974) ldquo한글 이전의 글자rdquo ≪신문연구≫ 20정 철 (1954) ldquo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9 15 정현필 (2000) ≪우리말 편람 훈민정음≫ 한올출판사 정화순 (1996) ldquo음악에 있어서 훈민정음 성조의 적용 실태 용비어천가에 基하여rdquo ≪청예

논총≫ 10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335‐396 정희선 (1983) ldquo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rdquo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희성 (1989) ldquo수학적 구조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rdquo ≪1989년도 한글날 기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 인지과학회 정보과학회 (1994) ldquo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rdquo ≪한글≫ 224 정희원 (2008) ldquo외래어 표기법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조규태 (1998a)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상상력rdquo ≪인문학연구≫ 4 경상대 인문학연구소

113‐136 (1998b) ldquo여린 비읍(ㅸ)에 대하여rdquo ≪한글≫ 240 241 (2000)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수정판 2007 개정판

2010] 조두상 (1999) ≪문자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ldquo세종임금이 훈민정음 창제 때 참고한 문자 연구 인도글자가 한국글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rdquo ≪인문논총≫ 57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5‐88 조배영 (1994) ≪반 천년을 간직한 훈민정음의 신비≫조영진 (1969) ldquo훈민정음 자형의 기원에 대하여rdquo ≪국어국문학≫ 44 45 195‐207 조오현 (1999) ldquo세계 문자의 종류와 발달 과정rdquo ≪겨레문화≫ 13 한국겨레문화연구원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목적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rdquo 이석규 외 ≪우리말의

텍스트 분석과 현상 연구≫ 역락조철수 (1997) ldquo훈민정음은 히브리문자를 모방했다 한글의 비밀을 밝힌다rdquo ≪신동아≫

452 동아일보사 조태린 (2008) ldquo한글의 개선 활용 수출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진영옥ㆍ안정근 (2001) ldquo악리론으로 본 정음창제와 정음소 분절 알고리즘rdquo ≪음성과학≫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3

82최기호 (1983) ldquo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과 언문반대상소rdquo ≪동방학지≫ 36

37 연세대 531‐557 (2004) ldquo훈민정음 창제와 정의공주의 변음토착 문제rdquo ≪우리의 소리와 말은

어떻게 만났는가 세종 탄신 607돌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국악학회 한국어 정보학회

(2006) ldquo훈민정음 원본의 발견 경위와 언어학적 가치rdquo ≪세종학 연구≫ 14최남선 (1956) ldquo어문 소고rdquo ≪신세계≫ 18 196‐205 최명재 (1994) ldquo훈민정음의 lsquo異於中國rsquo에 관한 고찰rdquo ≪어문연구≫ 81 82 (1997) ≪훈민정음과 최항선생 훈민정음 창제의 주체와 동국정운 및 용비어천가

의 찬술에 관한 연구≫ 정문당 최민홍 (1998) ldquo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rdquo ≪한글 새소식≫ 311 (1999) ldquo한글이 말한 자유 평등 민주 사상rdquo ≪한글 새소식≫ 318 (2002) ldquo세종대왕에 스며든 한철학rdquo ≪한국철학연구≫ 31 해동철학회 167‐

175 최상진 (1994) ldquo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구조 분석rdquo ≪국어국문학≫ 111 (1997) ldquo훈민정음의 언어유기체론에 대하여rdquo ≪논문집≫ 26 경희대학교

79‐96 최석기 (1986) ≪東洲蔓說 及 經解疑節 國文正音 合編≫ 백산자료원최세화 (1997a) ldquo≪훈민정음≫ 낙장의 복원에 대하여rdquo ≪국어학≫ 29 1‐32 (1997b) ldquo훈민정음해례 후서의 번역에 대하여rdquo ≪동국어문학≫ 9 동국대 사범

대학 국어교육과 1‐26 최영선 편저 (2009) ≪한글창제 반대상소의 진실≫ 신정최용기 (2008) ldquo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 진흥 정책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최용호 (2004) ldquo한글과 알파벳 두 문자체계의 기원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rdquo ≪불어불문학

연구≫ 59최장수 (1964) ldquo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일고찰rdquo ≪강원교육≫ 35최정후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최현배 (1927) ldquo우리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rdquo ≪한글동인지≫ 1 (1942) ≪한글갈≫ 정음사 (1961) ≪고친 한글갈≫ 정음사 최형인 이성진 박경환 (1996) ldquo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rdquo ≪새국어생활≫ 62 36‐64 한갑수 (1982) ≪한글 (한국의 글자와 말)≫ 문화공보부 해외공보관한글학회 역 (1997) ≪훈민정음≫ 한글학회 한영균 (2008) ldquo한글과 한글코드의 미래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54 SCRIPTA VOLUME 2 (2010)

한영순 (1963) ldquo훈민정음 창제자들의 음운에 대한 견해rdquo ≪조선어학≫ 4한재영 (1990) ldquo방점의 성격규명을 위하여rdquo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241‐262 한재준 (2008) ldquo미래 한글을 생각함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한태동 (1983) ldquo훈민정음의 음성 구조rdquo ≪537돌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회 자료집≫ 세

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세종대의 음성학 음성 음운 음악의 집대성≫ 연세대학교 출판부 허 웅 (1974)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ldquo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rdquo ≪수도교육≫ 29 서울시 교육

연구원 (1982) ldquo세종조의 언어정책과 그 정신을 오늘에 살리는 길rdquo ≪세종조문화의 재

인식≫ 보고논총rsquo 8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42 (1996) ldquo훈민정음의 형성 원리와 전개 과정rdquo ≪세계의 문자≫ 예술의 전당 (1998) ldquo훈민정음은 제 구실을 다했는가rdquo(1 2) ≪한글 새소식≫ 312 313 허재영 (1993) ldquo훈민정음에 나타난 성운학의 기본 개념rdquo ≪한중음운학논총≫ 1 서광

학술자료사 (2000) ldquo훈민정음 해례 합자해의 lsquo아동변야지언(兒童邊野之言)rsquordquo ≪한말연구≫

6 한말연구학회 217‐225 (2008) ldquo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허춘강 (2000) ldquo성삼문의 훈민정음창제와 문화정책rdquo ≪한국행정사학지≫ 8 한국행정사

학회 119‐136 현용순 (1998) ldquo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rdquo ≪생활문화예술론집≫ 21

201‐212 홍기문 (1940) ldquo훈민정음의 各種本rdquo ≪조광≫ 610 (1941a) ldquo훈민정음과 한자음운 한문반절의 기원과 구성(상 하)rdquo ≪조광≫ 75

66‐71 76 198‐206 (1941b) ldquo36자모의 기원rdquo ≪춘추≫ 27 162‐169 (1946) ≪정음발달사≫ (상 하) 서울신문사 출판국 홍용기 (1998) ldquo훈민정음 초성 표기 한자음 연구rdquo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윤표 (1997) ldquo훈민정음은 왜 창제하였나rdquo ≪함께여는 국어교육≫ 32 (1998) ldquo한글 자형의 변천사rdquo ≪글꼴 1998≫ 한글글꼴개발원 89‐219 (2005a) ldquo훈민정음의 lsquo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rsquo에 대하여rdquo ≪국어학≫

46 (2005b) ldquo국어와 한글rdquo ≪영남국어교육≫ 9 (2008) ldquo한국 어문생활사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

출판 박이정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5

홍이섭 (1971) ≪세종대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홍종선 (2008a) ldquo한글 문화의 세계화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한글과 한글 문화rdquo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

서출판 박이정 홍종선 외 (2008) ≪세계 속의 한글 (Hangeul in the World)≫ 도서출판 박이정황경수 (2005) ldquo훈민정음의 기원설rdquo ≪새국어교육≫ 70 (2006) ldquo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의 역학사상rdquo ≪새국어교육≫ 72황병오 (1994) ldquo훈민정음 lsquo字倣古篆rsquo에 관한 시론rdquo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후쿠이 레이 (2006) ldquo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성격rdquo ≪세종학 연구≫ 14

小倉進平 (1964) ≪增訂補注 朝鮮語學史≫ 東京 刀江書院 梅田博之 (2008) ldquo일본에 있어서의 ldquo한글rdquo 연구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

집 菅野裕臣 (1993) ldquolsquo훈민정음rsquo과 다른 문자 체계의 비교rdquo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

구≫ 문학과지성사 河野六郞 (1947) ldquo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rdquo ≪東洋學報≫ 312 (1989) ldquoハングルとその起源rdquo ≪日本學士院紀要≫ 433 陶山信男 (1981~1982) ldquo訓民正音硏究 (其一~其四)rdquo ≪愛知大學文學論叢≫ 66 67

68 69中村完 (1968) ldquo訓民正音における文化の構造と意識についてrdquo ≪朝鮮學報≫ 47 1‐30 (1995) ≪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 創榮出版 西田龍雄 (1996) ≪世界の文字≫ 大修館書店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音から 文字を 創る≫ 平凡社新書 523 株式會社

平凡社

照那斯图 (2001) ldquolt訓民正音gt的借字方法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照那斯图 (2008) ldquo訓民正音字與八思巴的關係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문자 국제학술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Hunminjeongeum and hPags-pa script)≫ 한국학중앙연구원

照那斯图 宣德五 (2001) ldquo訓民正音和 八思巴字的關係探究rdquo ≪民族語文≫ 第3期 中國 社會科學院 民族硏究所

Bak Giuan (1989)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 (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 정음) 한글학회

Buzo A (1980) An Introduction to Early Writing Systems Transactions of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56 SCRIPTA VOLUME 2 (2010)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Chao Y R (1968) Language and Symbolic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 Sek Yen K (1977) ldquo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aphic Shapes and Articulatory‐Acoustic Correlates in the Korean Consonants of 1446rdquo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Annotated Translation Future Applicability Hwun Min Ceng Um Humanity Books amp AC Press (아세아문화사)

Coulmas F (1989)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Blackwell (2003)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niels P T (2001) ldquoWriting Systemsrdquo The Handbook of Linguistics eds

by M Aronoff and J Rees‐Millers Blackwell DeFrancis J (1989) Visible Speech The Diverse Oneness of Writing Systems

University of Hawaii Press Desgoutte Jean-Paul et al (2000) Lrsquoecriture du Coreen Genese et Avenement

- la Prunrlle du Dragon = 훈민정음 Paris HatmattanDormels R (2006) ldquo홍무정운역훈의 정음연구와 훈민정음 창제에 끼친 영향rdquo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편저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008a) ldquo세종대왕 시대의 언어정책 프로젝트 간의 연관관계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b) ldquo훈민정음과 八思巴文字 사이의 연관관계 홍무정운역훈 분석에 따른

고찰rdquo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국제 학술 Workshop 논문집≫ 한국학중앙 연구원

Diringer D (1948)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Vol I Funk and Wagnalls

Eckardt P A (1928) ldquo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rdquo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uumlr Natur‐ und Voumllkerkunde Ostasiens XXII

Edkins D D J (1897) ldquoKorean Writing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Ⅳ August 1897 301‐307

Gale J S (1892) ldquoThe Inventor of the En‐moun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365‐368

(191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Ⅳ Part Ⅰ 13‐61

Gelb I J (1952)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ope E R (1957) ldquoLetter Shapes in Korean Onmun and Mongol hprsquoags‐pa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7

Alphabetrdquo Oriens 10 Hulbert H B (18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January 1892 1‐9 March 1892 69‐75 (1906)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ravidian Languages of India [1998년에 김정우의 번역으로 경남대출판부에서 ≪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로 간행됨]

Jensen H (1970)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rsquos Efforts to Write Allen and Unwin [First published in German 1958]

Kim‐Cho Sek Yen (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Seoul Asia Culture Press

Kim‐Renaud Young‐Key (1997) ldquoThe Phonological Analysis Reflec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1‐192

ed (1992)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98년에 한은주의 번역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세종대왕 15세기 한국의 빛≫으로 간행됨]

ed (1997)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King J R P (1996) ldquoKorean Writing (Hankul)rdquo The Worldrsquos Writing Systems eds by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trans (2005) Zong-Su Kim The History and Future of Hangeul Korearsquos Indigenous Script Global Oriental

Ledyard G R (1965) ldquo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rdquo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98년에 신구문화사에 서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이라는 제목으로 국립국어연구원총 서‐②로 재간됨]

(1997) ldquoThe International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87

Lee Hyeon-hie (2008) ldquoThe History of the Research into Hunmin jeong-eumrdquo Humin jeongeum and Alphabetic Writing Systems (Proceedings of the SCRIPT 2008) The Hunmin jeongeum Society (훈민정음학회)

Lee Iksop and S R Ramsey (2000) The Korean Langu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Mountford J D (1990) ldquoLanguage and Writing‐Systemsrdquo An Encyclopidia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58 SCRIPTA VOLUME 2 (2010)

of Language ed by N E Collinge Routledge Phil M R (1965) ldquo극동의 Alphabet 훈민정음의 세계성rdquo ≪사상계≫ 136

313‐319 Ramsey S R (1992) ldquoThe Korean Alphabetrdquo King Sejong the Great The

Light of Fifteenth Century Korea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198‐205

(1997) ldquo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rdquo The Korean Alphabet Its History and Struc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1‐143

(2008) ldquoSome Thoughts about Korean before Hangulrdquo 제2회 한국어학 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Reischaur E O and J K Fairbank (1960)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Sampson G (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2000년에 신상순의 번역으로 한국문화사에서 ≪세계의 문자 체계≫로 간행됨]

ldquoSanskrit in Koreanrdquo (1898) The Korean Repository Vol Ⅴ August 1898 301‐304

Sasse W (2005) ldquo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rdquo 제2회 한글문화 정보화 포럼 자료집 한글 인터넷 주소 추진 총연합회

(2008) ldquoSome Notes on European Studies on Hangeulrdquo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proat R (2000) A Computational Theory of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Taylor Insup (1980) ldquoThe Korean Writing System An Alphabet A

Syllabary A Logographyrdquo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eds by P A Kolers and M E Wrolstad and H Bouma Plenum Press 67‐82

Taylor I and D R Olson (1995) Scripts and Literacy Academic Publishers Vos F (1964) ldquoKorean Writing Idu and Hanrsquogulrdquo Papers of the CIC Far

Eastern Language Institute ed by J K Yamagiwa The University of Michigan 29‐34

Yi Ik Seup (1892) ldquoThe Alphabet (PANCHUL)rdquo The Korean Repository Vol Ⅰ October 1892 293‐299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A Survey of the History of Hunmin jeongeum Research 59

Hyeon-hie Lee [Received 30 July 2010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ion received 29 August 2010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ccepted 10 September 2010] lthhleesnuackrgt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