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 9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Mokwon/...Week 9 미술표현 지적,...

Post on 18-Sep-2020

1 views 0 download

transcript

Week 9

미술표현

지적, 정서적, 신체적 발달에 따라 인지적, 사회적, 정신적 능력이 발달하면서 자발적인 상징체계를 구축

공통적인 특성이 나타나는 시기

= 표현 발달단계

쟁점? 연속적? 비연속적? 자연발생적? 교육에 의한? 학습속도? 사회-문화적 영향력?

필요성?

학자별 다양한 발단단계 (p.154)

로웬펠드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통한 미술표현능력의 발달

맥피 개인적 특성, 인종, 문화에 따라 미술표현의 발달이 분화 -> 사회 문화적 관점

윌슨 아동은 삶속에서 미술이라는 상징체계를 통해 시각적인 이야기를 전달 -> 사회 문화적 관점

아이즈너 사실적인 재현능력만이 발달의 척도가 아니며 의도에 따라 대상의 재현+상징적 의사소통을 한다

킨들러와 다라스 회화적 표현의 발달은 다양한 레퍼토리를 발달시키는 것

예 1) 로웬펠드

난화기 (2-4)

전도식기 (4-7)

도식기 (7-9)

또래집단기 (9-12)

의사실기 (12-14)

결정기 (~14)

예 1) 로웬펠드 (p.156)

예2) 허위츠 와 데이

조작기 (2-5) 낙서를 통한 시각적 상징체계

만다라형태 (낙서형의 의도적, 독립적 결합)

개인적-정서적 표현

상징기 (6-9) 시각언어(상징체계) 분화= 정교화

단순한 대상의 재현이 아닌 경험과 환경에 의한 대상의 표현

아동화의 색다른 표현은 고민에 의한 논리적인 문제해결책 (예) 투시적 표현, 전개도식 표현

사춘기 전기 (10-13) 개인별 성숙도에 따라 능력과 방법의 다양화

기교적-사실적 표현에 대한 욕구가 강해짐

흥미의 저하

각 단계에서의 교사의 역할??

아동화의 근본 특징

추상적인 표현 특징: 개략적 표현, 기하학적인 형태 표현

미적 질서원칙에 의한 표현 특징: 대칭, 균형, 병렬, 율동, 비례, 공간, 색채, 형태 등

표현주의적 특징 단순성의 법칙(the symplicity principle)

직각성의 실수(the perpendicular error)

의인화 표현(animism)

투시적 표현(transparency representation)

공간의 동시성 표현(mixed)=방위동존화(synchronism)적 표현=focade+profile 혼합)

시 공간의 동시 표현(space & time representation)

전개도식 표현(folding over)

영역불가침의 법칙(the territorial imperative principle)

공간을 채우려는 법칙(the fill-the-format principle)

자의적 변형법칙(the plastic principle)

아동화를 보는 견해

경험론적 견해: “아동은 아는 바를 그린다“

시지각발달론적 관점: “아동은 보는대로 그린다”

정신분석헉적 견해: 심리상태의 투사(심신동형설)

발생반복 이론: “아동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그린다”

종합적인 관점: “아동은 자신의 전체를 표현한다”

공통적 특성

단순->복잡, 상징과 도식->사실과 묘사

공간표현: 열거법-> 중앙원근법/기저선/전개도/공존화->중첩->원근법 기저선

논리적인 공간표현법으로서의 전개도식 표현

시각적 표현 (중첩을 이용한 거리감)

설명적 표현 (투시법)

감정이입을 통한 과장/왜곡된 표현

물활론적 사고

개성과 사회성 발달에 따라 다양함

청소년기에 고정되는 경향

주제: 개인적 영역에서 사회 문화적 영역으로

원색 중심에서 사실적 색채 중심으로

아동화와 원시화의 유사성

선화

우연적 행위에 의함

예술적인 구도를 발견하기 힘들다

다 시점의 공존

입체감, 원근법이 존재하지 않음

투시적 표현을 즐김

미적 인식능력 발달

1: 애호에 따른 인식

2: 미와 사실 추구의 인식

3: 표현의 인식

4: 매체, 형태, 양식의 인식

5: 자율적인 인식

(Par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