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4 }M3 hê ©é É K$Æ è äófinteraction.hallym.ac.kr/pdf/2013/2013_14.pdf · 2014. 4. 19. · 50...

4 }M3 hê ©é É K$Æ è äófinteraction.hallym.ac.kr/pdf/2013/2013_14.pdf · 2014. 4. 19. · 50...

Date post: 11-Sep-2020
Category:
Upload: others
View: 1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37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49 한국방송학보 275, 2013, 4985 http://www.kabs.or.kr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건강의식 , 정보신뢰 , 자율성욕구의 역할 * 3)4)5)6) 노기영**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최정화***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부교수 권명순****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부교수 이 연구는 인터넷 건강정보의 추구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자율성욕구, 건강의식, 보신뢰가 기술수용모델의 선행변인으로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먼저 기술수용모델의 핵심변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사 용용이성이 인터넷 건강정보추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과정에서의 기술수용모델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의 자기결정성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자율성욕구는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사용용이성과 정적 인 관계를 보였으며 건강정보 활용경험을 매개로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건강정보의 품질을 반영하는 이용자들의 정보에 대 * 이 논문은 2012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 행된 연구임(NRF2012-S1A3A2033480) ** [email protected],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Transcript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49

    한국방송학보

    27권 5호, 2013년, 49∼85http://www.kabs.or.kr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건강의식, 정보신뢰, 자율성욕구의 역할*3)4)5)6)

    노기영**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최정화***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부교수

    권명순****한림대학교 간호학부 부교수

    이 연구는 인터넷 건강정보의 추구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자율성욕구, 건강의식, 정

    보신뢰가 기술수용모델의 선행변인으로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먼저 기술수용모델의 핵심변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사

    용용이성이 인터넷 건강정보추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과정에서의 기술수용모델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의 자기결정성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자율성욕구는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사용용이성과 정적

    인 관계를 보였으며 건강정보 활용경험을 매개로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건강정보의 품질을 반영하는 이용자들의 정보에 대

    * 이 논문은 2012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

    행된 연구임(NRF‐2012-S1A3A2033480)** [email protected],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 50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한 신뢰의 경우 인터넷 건강정보의 유용성인식과 정보활용 경험으로 가는 경로구조

    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건강에 대한 신념변인인 건강의식은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그리고 정보활용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자

    율성욕구, 정보신뢰, 건강의식이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정보 수용모델에서 선행 경

    로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검증함으로써 인터넷 건강정보의 추구에 대한 이

    론적 설명력을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주제어 인터넷 건강정보, 기술수용모델, 자율성욕구, 정보신뢰, 건강의식, 구

    조방정식

    1. 문제의 제기

    건강과 질병이 걱정되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질병에 관해서 또는 치료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지 정보를 찾아보려고 한다. 진료를 받은 사람들은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잘 이해하고 확인하기 위해 건강정보를

    추구하게 된다. 최근에는 질병예방이나 건강증진을 위해 건강정보를 추

    구하는 경향이 높아지는데 이 과정에서 신문이나 잡지, TV, 인터넷과

    같은 대중매체를 가장 먼저 이용하게 된다. 그중에서도 인터넷은 일상

    생활에서 건강정보를 추구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부정확한

    정보가 문제가 되기도 하지만 건강소비자들은 인터넷의 확산과 함께 건

    강정보를 보다 쉽게 그리고 광범위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정

    병원의 진료비가 비싼 편인지 적정한지, 또 어느 병원에서 수술을 잘 하

    는지, 혹은 부당청구를 많이 하는 곳인지, 아니면 항생제와 주사제 처방

    률은 얼마나 되는지, 비만의 위험요인은 무엇인지, 어떻게 비만예방을

    할 수 있는지 등에 관한 정보가 인터넷에서 제공되고 있다.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51

    있는데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의 양이 증가해서 중요성이 커졌으며 한

    편에서는 건강의료 소비자의 관점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Dutta-

    Bergman, 2002). 건강증진을 위한 소비자 운동은 의료진들이 필요로

    하는 전문적 의료정보 측면보다 의료 소비자들의 정보 활용과 건강정보

    에 대한 알권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커진 주요인은 소비자들에게 거의 무제한적인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

    게 된 인터넷매체의 확산 때문이다. 비전문가인 건강소비자들도 누구나

    쉽게 다양한 건강정보와 의료정보를 추구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해 얻게 된 건강 정보를 활용해서 진료 중 의사에게 문

    의하거나 자신이 찾은 정보에 근거하여 치료나 약물처방을 요구하는 경

    우도 늘고 있다. 건강정보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사람들은 음주나 흡

    연과 같은 불건강 행위를 하지 않는 경향이 강하고 질병 관련 지식을 높

    여 건강행위 이행 수준도 높다(송은경, 2012). 위버는(Weaver et al.,

    2010) 인터넷에서 질병정보와 건강관리 정보를 추구하는 과정을 분석

    하면서 이들 정보에 따라 사람들의 건강상태도 상이하며 그에 따른 동

    기도 다르다는 점을 밝혔다. 건강정보 추구는 예방서비스에 대한 이용

    이나, 의료진에 대한 만족도, 건강지각 등 다양한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

    치게 된다. 심지어는 건강정보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개인은 지역공동

    체 네트워크에서 건강정보의 정보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Dasu & Dutta, 2009).

    이 연구는 건강상태나 건강행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인터

    넷 건강정보를 추구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기

    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의 핵심변인 지각된 유용

    성과 사용용이성이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

    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터넷 건강정보의 추구와 지

    속적인 이용의도에 대한 결정요인들의 관계를 인터넷 건강정보 수용과

  • 52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정에 통합하여 구조적 모델을 설정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결정요인의 구조를 정교화하기

    위해 기술수용모델을 확장하고자 한다. 기술수용모델이 제시된 이후 많

    은 연구들은 기술수용모델에서 제시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인식에 영

    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의 규명에 집중해 왔다. 건강정보 추구 및 이용의

    도에 대한 결정변수인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어떤 외생요인에 의해 추

    가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지를 밝혀냄으로써 건강정보의 추구에 대한 수

    용모델을 정교화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건강의식, 자율성욕구, 정보신

    뢰의 선행변인이 어떠한 경로로 인터넷 정보추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기존 대다수 건강정보 추구행위에 대한 연구는 질병이나 건강위험

    에 따른 환자들의 건강정보의 추구와 활용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지각된

    위험요인에 대한 정보추구의 반응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질병이나 건강위험 요인 대신에 건강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건강유지와

    관리를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건강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

    도인지를 개념화하고 있는 건강의식(health consciousness)이 건강정

    보 추구를 위한 인터넷의 이용의도에 대한 경로를 파악하고자 한다. 더

    나은 삶과 건강증진을 위해 건강정보를 추구하는 과정은 질병에 대한

    위험인식이나 외부로부터 오는 사회적 압력이나 영향뿐만 아니라 건강

    소비자의 내재적 동기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내재적 동기

    를 유발하는 자율성에 대한 기본심리욕구와 함께 인터넷 정보의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변인인 정보신뢰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인터넷 정보추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53

    그림 1.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 연구모형

    2. 이론적 논의와 연구모형

    인터넷 건강정보의 수용에 대해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선행

    변인으로 정보신뢰, 건강의식, 자율성욕구가 정보활용을 매개로 인터넷

    건강정보의 유용성과 사용성인식에 어떠한 경로를 형성해서 인터넷 건

    강정보 추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지 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

    하였다.

    1) 기술수용모델과 건강정보 추구

    뉴미디어와 정보의 채택 및 실행의 과정에서 사용자 측면의 요인을 분

    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석틀이 기술수용모델이다(Davis, Bagozzi, &

    Warshaw, 1989). 기술수용모델은 상대적으로 매우 단순한 모델임에

    도 불구하고 뉴미디어와 정보의 수용을 상당부분 설명할 수 있다는 점

    에서 연구모델로서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Yousafzai, Foxall, &

  • 54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Pallister, 2007; King & He, 2006). 이 모델에 의하면 기술수용에 대한

    사람들의 행동 의도는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과 지각된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에 의해 결정되고 행위의도에 대한 외

    부적 변수들의 영향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의해 매개된다

    (Venkatesh & Morris, 2000). 사람들은 새로운 기술과 정보를 탐색하

    고 이용하는 것이 자신에게 유용할 것이라고 인식할수록, 그리고 자신

    이 큰 노력 없이도 그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고 지각할수록 새로운 기술

    과 정보를 수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Davis 1989).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은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개인의 신

    체적, 정신적 수고가 적게 들 것이라고 믿는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보시스템의 사용을 하기 위해 물리적이고 정신적인 노력이 별로 안

    들 것이라는 지각을 의미한다(Yi, Jackson, Park, & Probst, 2006).

    반면 지각된 유용성’은 “특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자신의 업무 성

    과를 향상시켜 줄 것이라고 믿는 정도”를 말한다(Davis, Bagozzi, &

    Warshaw, 1989, p. 985). 즉, 특정 기술을 사용함으로서 업무의 효율

    성과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신념인 것이다. 지각된 유용성이 새로

    운 정보기술에 대한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정보기술의 수용이

    자신의 목표성과를 향상시킨다고 믿게 되면 사람들은 그 행동에 대해

    어떠한 감정을 가지는가에 크게 관계없이 행동을 실행할 의도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기존 기술수용모델이 기술에 대한 판단만을 고려하는 것을 보완

    하기 위해 사회적인 영향과 채택촉진 관련 변수들을 추가하거나

    (Venkatesh & Davis, 2000), 시스템 요인, 기술요인, 수용자 요인, 사

    회적 요인, 이용요인, 채택요인 등의 상호중첩적인 작용관계를 모델로

    제시하려는 시도가 기술수용의 확장모델이다. 많은 연구들이 기술수용

    모델을 기반으로 다양한 외생변수를 확장하거나 새로운 기술이나 정보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55

    서비스에 적용을 함으로써 모형을 일반화하였다(손승혜 외, 2011;

    Karahanna, Straub, & Chervany, 1999;Lucas & Spitler, 1999;

    Venkatesh & Morris, 2000]). 기술수용모델은 뉴미디어의 단순한 수용

    과정뿐만 아니라 특정한 정보추구를 위한 미디어의 이용의도에도 적용

    되어 왔다.

    기술수용모델 연구의 메타분석 결과는 TAM 핵심변인인 유용성인

    식과 사용용이성인식은 매우 신뢰도가 높아 단순한 기술수용뿐만 아니

    라 다양한 환경에서 행동적의도와 같은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King & He, 2006). 정보의 추구과정이 그러한 사례 중

    하나다. 쉬의 연구는 TAM을 웹기반 정보의 활용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인터넷 행위를 평가하는 영역으로 확장시켰다(Shih, H., 2003). 이 연

    구는 TAM에 대한 검증을 정보추구 상황에서 검증하였는데 특히 정보

    욕구가 TAM변인인 유용성인식과 사용용이성인식 그리고 정보추구를

    위한 인터넷사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기술수용모델을 건강정보의 추구과정에 직접 적용하여 연구한 경

    우도 상당수 있다. 리양 등(Liang, Xue, & Chase, 2011)은 신경장애자

    들의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에 TAM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는데 유용

    성인식과 사용용이성인식이 증가할 때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의도가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 여성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연구결과 역시 TAM의 핵심변인인 유용성인식이 건강정보

    를 추구하기 위해 이동전화의 이용의도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Lim et al., 2011). 건강정보 웹을 추구하는 수용과정에 TAM

    을 적용한 연구에서도 유용성은 사용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정보추구와 사용용이성을 분석한 연구들로는 대학생들의 경우

    일상적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을 기반의 소셜미디어를 이용

    하는데 이러한 이용동기의 주된 요인은 이용 편의성으로 확인되었다(김

  • 56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수정, 2012). 이와 같은 정보이용의 편리성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건강정보 소비자의 중요한 정보추구 및 정보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채영문, 2007).

    지금까지의 논의를 토대로 기술수용모델 변인인 유용성과 사용용

    이성이 인터넷 정보추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가설

    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인터넷 건강정보의 유용성은 건강정보 추구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

    칠 것이다.

    가설 2: 인터넷 건강정보의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인터넷 건강정보의 사용용이성은 건강정보 추구에 정적으로 영향

    을 미칠 것이다.

    2) 자기결정성과 자율성욕구

    자기결정성은 개인의 행동조절 유형을 자율성(autonomy)의 정도를 가

    지고 구분되며, 내재적 동기의 결정요인이다. 자율적인 행동을 하는 자

    기결정성이 증가함에 따라 동기의 수준이 결정된다는 것이다(Ryan &

    Deci, 2000). 자기결정성은 사람들이 건강과 관련된 행위를 새롭게 시

    작하거나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동기를 확보하는 과정을 강조한다.

    특히 자율성의 개발이 동기의 내재화와 통합과정에 필수적이다. 바로

    이 내재화와 통합과정을 통해서 사람들은 건강과 관련된 행위를 유지하

    고 조절하게 된다(Ryan, Patrick, Deci, & Williams, 2008).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행동은 자율성 혹은 자기결정적

    기능을 나타내는 정도에 따라 조절되며, 그 조절의 수준에 따라 내재동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57

    기와 외재동기로 유형화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행동의 원인이 자기결

    정적일수록 내재적인 동기가 유발되는 것이다. 또한 자기결정성에 영향

    을 미치는 기본심리욕구로 자율성 외에 유능성(competence)과 관계성

    (relatedness)에 대한 만족경험을 강조하고, 이들 심리적 욕구 충족은

    자기결정성을 통한 내재동기의 발생을 자극하게 된다고 주장한다(Deci

    & Ryan, 1985; 2000).

    내재적 동기는 일정한 보상을 위해서가 아니라 활동 그 자체가 목

    적이 되는 행동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내재적 동기이론은 인

    간이 외적 자극에 대해서 단순히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존재가 아니라

    내적 과정을 통해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데 있다. 이러한 자발

    적 행위자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은 일정한 목표를 위협을 느끼게 하는

    대상으로 보지 않고 하나의 도전으로 보고 있다.

    기본 심리 욕구는 인간의 보편적인 속성으로, 획득되기보다는 타

    고나는 필수조건이며, 이러한 욕구의 충족을 통해서 개인의 건설적인

    사회성 발달과 개인 내적인 주관적 안녕감과 같은 성장하고 통합하는

    자연적 성향을 촉진할 수 있다(Ryan & Deci, 2002). 이들 변수들은 개

    인의 행복감(Personal Well-being)과 사회 발전에 도움을 주게 된다.

    자기결정성 이론의 중요한 변수들은 자기결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인간의 본원적인 감정이라 할 수 있다(Ryan & Deci, 2000).

    자기결정성이론의 핵심개념인 기본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에 대한

    욕구는 자신의 행동적 원인을 자신 스스로에게 있는 것으로 보고(Deci

    & Ryan, 2002), 자신이 자율적으로 행동한다고 지각되었을 때 경험하

    기 때문에 자신의 관심과 통합된 가치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Ryan & La Guardia, 2000). 자율성은 외부영향력에 대해 저항을 의미

    하는 반응적(reactvie) 자율성과 반향적(reflective) 자율성으로 구분된

    다. 반향적인 자율성이 높은 사람은 전문가의 조언을 기꺼이 따르는 반

  • 58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면 반응적 자율성이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영향을 받지 않으려고

    한다(Koestner et al., 1999). 따라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요구받거나 강

    요된 행동과 가치도 자율적으로 행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다른 사람의

    지시와 의견에 따른다고 해서 자율성을 경험할 수 없는 것이 아니다.

    외부로부터의 통제나 압력 없이 자신의 행동을 주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유에 대한 욕구를 나타내는데, 개인이 행동의 주체가 되어 의

    사결정권을 갖고 활동이나 직무에 대하여 가치를 인식할 때 자율적이라

    고 느끼게 된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관심, 통합된 가치, 희망에 따라 행

    동할 때 가장 자율적으로 된다(Deci & Ryan, 2000). 따라서 건강정보

    의 추구과정에서도 자율성의 욕구가 강한 경우 사람들은 질병에 대한

    위험인식이나 외부적인 사회적 영향 때문이 아니라 자신들의 건강에 대

    한 관심, 그리고 건강에 대한 통합된 가치와 건강증진을 위한 희망에 따

    라 행동 할 때 더욱 적극적으로 건강정보를 추구하게 되는 것이다.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과정에서 자율성이 더욱 중요한 요인은 인터

    넷이라는 매체이용의 능동적인 성격 때문이다.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내재적 동기연구에서 이용용이성, 즐거움 및 유용성의 내외재적

    동기와 인터넷 이용과의 관련성이 분석되었다(이종호 외, 2002). 내재

    적 동기 변인이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배재권·권두순, 2011).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의 추구

    와 수집은 이용자측면에서 기존의 미디어이용과 달리 능동적 과정으로

    인터넷은 능동형 개인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체다. 자율성에

    대한 욕구가 높은 사람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를

    활용하게 될 것으로 추론되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4: 자율성욕구는 인터넷 건강정보 활용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자율성욕구는 인터넷 건강정보의 사용용이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59

    것이다.

    3) 정보신뢰와 정보활용

    건강정보를 추구할 때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신뢰는 매우 중요하다. 신

    뢰성은 정보원에 대한 믿음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발화자가 특정주제에 대해 진실을 알 수 있

    는 능력이나 자질을 의미하는 전문성(expertise)과 발화자가 그 주제에

    대해 진실을 말하고자 하는 동기가 있다고 지각하는 진실성(trustwor-

    thiness)을 들 수 있다(Hovland, Janis, & Kelley, 1953). 진실성이란

    정보원과 수신자 사이의 지각된 동일성(similarity)이다. 전문성과 진실

    성 이 두 요소는 제공되는 건강정보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는데 인터넷

    건강정보의 경우에도 동일한 긴장관계를 형성한다. 가바리노와 존슨

    (Garbarino & Johnson, 2003) 역시 신뢰를 조직에 의해 제공된 서비

    스 품질과 신뢰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확신이라고 정의내리고 있는데 전

    문성과 수신자들의 동일성개념과 같은 맥락을 갖고 있다.

    치라부리와 나자렛(Chiravuri & Nazareth, 2001)은 인터넷을 이

    용한 상거래와 신뢰에 관한 연구에서 기술수용 모델을 확장하여 신뢰의

    개념을 도입한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신뢰는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정보의 질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인터넷 건강정보도 전문가가 정보를 제공했을 경우, 정보원 및 건

    강정보에 대해 더 신뢰하고, 만족하며, 제안된 행동을 따르려는 의지도

    상대적으로 강하게 된다(조수영, 2011). 신뢰는 유용성인식에 직접적

    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타오(Tao, 2008)는 인터넷 정보에 대한

    이용의도를 예측하는 데 정보의 질적 수준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기

    술수용모델에 근거해서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정보의 질적 수준

  • 60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은 정보의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구조를 확인하였다. 인터넷 건

    강정보의 질적 수준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신뢰할 수 있는 정

    보인가의 여부라 할 수 있다. 위와 첸(Wu & Chen, 2005)의 연구에서

    도 신뢰는 온라인 텍스트를 사용의도에 대한 유용성인식에 긍정적인 효

    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건강정보연구의 경우 암 관련 인터넷 정

    보에 대한 연구에서 유용성요인이 건강정보 추구를 위한 인터넷사용과

    정에서 신뢰와 같은 선행변인들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는 인터넷 정보의 신뢰성이 높을수록 그에 대한 유용성도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Feng & Yang, 2007).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 찾은 건강 정보를 활용해서 진료 중 의사

    에게 문의하거나 자신이 찾은 정보에 근거하여 치료나 약물을 처방하기

    를 요구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신윤주, 2007). 정보활용은 다양한 형태

    를 띠게 되는데 실용성이나 편의성과 같은 요인들이 정보활용의 형태와

    상관성을 갖는다(이복자·명승환·권용민, 2011).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활용경험은 기술수용모델의 변인인 유용성인식과 사용용이성 인

    식에 영향을 미쳐 인터넷 건강정보의 추구과정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칠 수 있다. 정보활용의 개념은 단순한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이용경

    험 혹은 이전경험을 넘어서 인터넷 건강정보를 통해서 얻게 된 지식을

    진료과정이나 건강증진 활동 속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한 경험을 측정하

    기 때문에 이전경험보다 유용성인식에서 보다 강한 관계성을 내포할 수

    있다. 이는 정보의 활용의 정도가 건강소비자의 이용측면에서의 능동성

    과 다양성을 확대하여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터넷 건강정보의 활용경험의 정도는 인터넷 정보 수용과정

    에서 사용방법의 용이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TV

    수용연구(이종윤·최영, 2012)에서 선행변수로 스마트폰에 대한 이용

    과 활용경험이 이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사용의 용이성에 영향을 미친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61

    다는 연구결과는 건강정보의 활용경험과 사용용이성의 관계에도 적용

    할 수 있다. 인터넷 정보의 추구행위를 통해 획득한 지식을 다양한 건

    강활동에서 활용했던 경험은 인터넷 정보의 추구를 위한 방법에 대해

    활용경험이 적은 사람들 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지각할 가능성이 높다

    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인터넷 건강정

    보에 대한 신뢰와 건강정보의 유용성 및 정보활용에 관한 가설을 설정

    하였다.

    가설 6: 인터넷 건강정보 신뢰는 인터넷 건강정보 활용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7: 인터넷 건강정보 신뢰는 인터넷 건강정보의 유용성에 정적으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8: 인터넷 건강정보 활용은 인터넷 건강정보의 유용성에 정적으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9: 인터넷 건강정보 활용은 인터넷 건강정보의 사용용이성에 정적으

    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건강의식과 건강정보

    기존의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위 연구는 주로 환자들이 다양한 건강상

    태에 따라 어떻게 건강정보를 추구하고 이용하는지를 다루어왔다. 이들

    연구들은 질병 진단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만성적 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동기를 주로 다루어 왔다(Ayers & Kronenfeld, 2007;

    Huang & Penson, 2008; Josefsson, Murero & Rice, 2006). 그러나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는 건강 위협상황에 대한 반응으로서 추구되는 것

    뿐 만 아니라 긍정적인 건강성과를 증진시키기기 위해서도 추구될 수

  • 62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은 건강한 개인이 긍정적 건강성

    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정보를 추구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지 못했다

    고 할 수 있다. 상당수 개인들은 건강한 생활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보

    (wellness information)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건강증진 정보의 추구과정에는 건강의식이나 건강정향이 중요한 영

    향을 미치게 된다(Dutta-Bergman, 2004; Dutta-Bergman, 2005;

    Verheijden, Jans, & Hildebrandt, 2007).

    건강의식이란 건강에 대한 관심이 특정한 개인의 일상활동에 얼마

    나 통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Jayanti & Burns, 1998). 따

    라서 건강의식을 가지고 있는 개인은 건강 지향적(wellness-oriented)

    이며 운동이나 건강식과 같은 예방조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된다. 소비자들의 예방적 건강행위 과정에서 건강하고자 하는 동기는

    개개인들이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고자 하는 정도로 나타난다(Moorman

    & Matulich, 1993). 건강관리에 대한 동기 즉 건강의식이 높게 되면 그

    만큼 건강과 관련된 정보에 쏟게 되는 관심도 증가하게 된다. 건강정보에

    대한 적극적인 추구를 통해서 개인들은 건강이슈에 적극적이고 능동적

    인 참여를 하게 된다(Karaft & Goodell, 1993).

    특히 건강정보 추구연구들은 건강의식과 매체의 특성과의 상관성

    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다. 건강정보에 관심이 별로 없는 사람들은 방

    송매체나 전문가를 통해 정보를 얻는 반면,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들, 질병이 없는 사람들, 건강정보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인쇄

    매체나 인터넷을 통해 건강정보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배상수·조희

    숙·이혜진, 2010). 건강정보 이용자들을 질병태도와 인터넷에서의 건

    강정보 추구행태에 의해 유형화할 수 있는데 ‘건강정보탐색 형’은 인터

    넷 건강정보 의존과 의사와의 대화에서 활용 및 예방과 치료방법을 판

    단하거나 이용하는 정도가 ‘전통적 건강염려 형’보다 높은 유형이다(이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63

    수영, 2011).

    또한 건강 증진 의지가 높을수록 질병 관련 인터넷 정보 활용 정도

    도 높다. 특히 다른 전통적인 대중매체보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질

    병 관련 정보의 추구행위가 그 이용가능성과 활용성이 크다고 할 수 있

    다(김영은, 2009). 텔레비전과 같은 수동적 매체보다 인터넷이라는 능

    동적인 매체는 수용자들의 정보처리과정에서 높은 관여도를 필요로 하

    기 때문에 건강정보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능동적 채널을 통해 건강

    정보를 습득하고 그 매체를 주요한 정보채널로 인식하기 때문이다(홍석

    민, 2013). 앞서 살핀 논의를 토대로 건강의식과 건강정보의 유용성, 사

    용용이성, 활용정도와의 관계에 대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0: 건강의식은 인터넷 건강정보의 유용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

    이다.

    가설 11: 건강의식은 인터넷 건강정보의 사용용이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

    칠 것이다.

    가설 12: 건강의식은 인터넷 건강정보의 활용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연구방법

    1) 연구설계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그 요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문항과 실행을 위한

    사전 조사와 준비 작업을 거쳐 설문지를 완성하였고 전문조사기관이 보

    유하고 있는 전국 패널을 활용하여 2013년 4월에 10일간에 걸쳐 온라인

  • 64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대상자는 성별, 연령별로 할당하였으며

    서울, 경기/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의 6대 권역에 따른

    시군구 비율을 기준으로 할당표집을 하였다. 지역별로 인터넷 건강정

    보에 상대적으로 소외된 농어촌지역 비율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강제할

    당 방식을 채택하였다. 유효응답자는 1,200명이었다. 응답자의 거주

    지역은 대도시 468명(39%), 중소도시 431명(35.9%), 농어촌 301명

    (25.1%)의 분포를 보였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605명(50.5%), 여자가

    594명(49.4%)이었다. 최종학력은 고졸 이하가 333명 (27.7%), 대졸

    769명 (64.1%), 대학원졸 98명(8.2%)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나이는

    19세부터 59세에 걸쳐 분포했고 평균나이는 38.6세, 연평균소득은

    2,338만 원으로 조사됐다.

    2) 측정

    ① 지각된 유용성

    인터넷 건강정보의 유용성인식은 3개의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유용성

    인식에 대한 문항은 ‘인터넷 건강정보는 보다 쉽게 나의 질병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인터넷 건강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나의 생활을 보

    다 편리하게 해 준다’, ‘인터넷 건강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나의 삶의 질

    을 높여준다’ 등으로 구성되었다. 유용성인식에 대한 신뢰도 α계수는

    .816이었다.

    ② 지각된 사용용이성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인터넷 상에서 건강정보

    를 찾는 것은 많은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되는 쉬운 일이다’, ‘인터넷상

    에서 건강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쉬운 편이다’, ‘인터넷 건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65

    강정보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다’의 3개 문항으로 구성되

    었다.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의 신뢰도 α계수는

    .778로 나타났다.

    ③ 건강정보추구

    인터넷 건강정보추구는 3개의 항목으로 5점 척도방식으로 측정하였다.

    건강정보추구는 ‘나는 건강관리를 위해 인터넷 건강정보를 계속 이용할

    것이다’, ‘향후 질병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때 가능하면 인터넷 건강정보

    를 이용할 것이다’, ‘향후 나의 질병관리를 위해 인터넷을 이용해서 건강

    정보를 찾아볼 것이다’의 3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신뢰도 α계수는

    .836로 나타났다.

    ④ 자율성욕구

    자율성은 대시와 라이언(Deci & Ryan, 2000)의 자기결정성 기본욕구

    중에서 자율성 척도를 선택했으며 역코딩 항목을 제외한 4개의 항목으

    로 측정하였다. 각 항목은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자율성욕구 척도는 ‘나는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

    는지 스스로 자유롭게 결정하고 싶어 한다’, ‘나는 나의 생각이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편이라고 생각한다’, ‘매일 내가 상호작용하는 사람

    들은 나의 감정을 고려해 주는 편이다’, ‘나는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많은

    것을 할 수 있다고 느끼는 편이다’의 4개 문항이 포함되었으며, 신뢰도

    α계수는 .748로 나타났다.

    ⑤ 정보신뢰

    인터넷 건강정보 신뢰는 존슨과 케이(Johnson & Kaye, 1998)의 미디

    어신뢰 문항을 토대로 인터넷 건강정보에 적용하여 ‘인터넷상에 있는 건

  • 66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강정보는 신뢰할 만하다’, ‘인터넷상에 있는 건강정보는 정확하다’, ‘인터

    넷상에 있는 건강정보는 믿을 만하다’의 3개 문항을 선택하였다. 인터넷

    건강정보에 신뢰변인에 대한 신뢰도 α계수는 .854로 나타났다.

    ⑥ 건강의식

    건강의식(Health Consciousness)은 두타-버그만(Dutta-Bergman,

    2004)의 건강의식 척도 항목 가운데 3개의 문항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건강의식은 ‘건강하게 사는 것은 나에게 매우 중요하다’, ‘적당한 식사와

    운동, 그리고 예방을 하는 것은 나의 건강한 삶을 유지시켜 줄 것이다’,

    ‘나의 건강은 내가 나 자신을 얼마나 잘 돌보느냐에 달려 있다’의 3개 문

    항으로 측정되었다. 건강의식 척도의 신뢰도 α계수는 .795이었다.

    ⑦ 정보활용

    인터넷 정보활용은 라플램(Laflamme, 2003)의 능동적 건강정보 활용

    문항 중에서 ‘내가 찾은 인터넷 건강정보가 의사에게 진찰을 받으러 가

    는데 영향을 준 경험이 있다’, ‘내가 찾은 인터넷 건강정보로 인해 의사

    에게 새로운 질문을 하거나, 다른 의사에게 의견을 물어본 경험이 있다’,

    ‘내가 찾은 인터넷 건강정보들이 질병예방행동을 결정을 할 때 영향을

    준 경험이 있다’의 3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인터넷 정보활용 척도의

    신뢰도 α계수는 .753으로 나타났다.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67

    4. 연구결과

    1) 연구모형 검증에 사용된 잠재변수 개념타당성 검토

    측정도구들의 구성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AMOS 20을 이용하여 확인

    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

    해 사용된 측정변수는 23개였으며 30개의 외생변수와 23개의 내생변

    수를 포함해 총 53개의 변수에 대해 최대우도 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e)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구

    조방정식 모델의 전반적인 적합도를 나타내는 최상의 지수가 무엇인지

    에 대해 연구자들 간의 일관된 견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의 적합도 지수를 함께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

    방정식 모델의 적합도 평가를 위해 절대적합지수(absolute fit index)로

    χ2검정, 표준 χ2, 표준화 잔차평균 자승이중근(SRMR)과 증분적합지수

    (incremental fit index)로는 증분적합지수(IFI), 터커 루이스지수 (TLI),

    비교적합지수(CFI)를 사용했고 마지막으로 모형오류와 간명성을 동시

    에 평가하는 적합도인 근사평균 자승오차인 RMSEA를 제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도 지수는 χ2=705.514 df=188, p.<.00,

    CMIN/DF=3.753, RMR=.028이었으며 증분적합지수인 IFI=.956,

    TLI=.946, CFI=.956으로 수용 가능한 적합도를 보였다. RMSEA지수

    0.48로 나타나 전반적인 모델의 적합도 지수를 평가할 때 이 연구모형

    의 적합도는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으

    로 한 22개의 측정변수를 토대로 한 잠재변인들은 단일 차원성을 확보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조방정식의 모델검증을 위해 유용성, 사용용이성, 건강정보추

    구, 자율성, 건강의식, 정보신뢰, 정보활용 등 7개의 잠재변수에 대해 22

  • 68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구성

    개념변수명

    요인

    적재량추정치 S.E. C.R. 신뢰도

    자율성

    Q20_15 .653 1.000

    .748Q20_8 .670 1.091 .064 17.102***

    Q20_14 .599 .839 .053 15.905***

    Q20_10 .691 1.068 .061 17.382***

    정보신뢰

    Q13_7 .858 1.000

    .854Q13_5 .787 .971 .034 28.989***

    Q13_2 .797 .923 .031 29.351***

    건강의식

    Q5_10 .784 1.000

    .795Q5_9 .794 1.028 .045 23.055***

    Q5_7 .680 .887 .042 21.202***

    정보활용

    Q14_6 .725 1.000

    .753Q14_3 .635 .993 .052 19.061***

    Q14_4 .767 .965 .044 21.943***

    사용

    용이성

    Q14_13 .722 1.000

    .778Q14_5 .727 .949 .043 22.139***

    Q14_11 .753 1.069 .047 22.765***

    유용성

    Q14_17 .778 1.000

    .816Q14_8 .795 1.041 .036 29.158***

    Q14_15 .739 .962 .036 26.711***

    정보추구

    Q14_9 .782 1.000

    .836Q14_16 .799 1.014 .035 29.374***

    Q14_7 .799 1.027 .035 29.386***

    표 1. 측정변수들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69

    비교대상 잠재변수 A.V.E Corr. Corr2 판별타당도

    자율성

    정보신뢰 .373 .819 .105 .011 있음

    건강의식 .373 .704 .276 .076 있음

    정보활용 .373 .561 .189 .036 있음

    사용용이성 .373 .679 .307 .094 있음

    유용성 .373 .729 .226 .051 있음

    정보추구 .373 .760 .248 .062 있음

    표 2. 개념 간 판별타당성 분석결과

    개의 관측변수들의 요인적재량은 모두 0.5이상으로 나타나 집중타당성

    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모든 잠재변수들의 신뢰도

    가 .75 이상으로 나타나 지표들의 분산이 잠재변수의 개념을 적합한 수

    준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판별타당성 분석은 포넬과 락커(Fornell & Larcker, 1981)의 기준

    에 따라, 평균분산추출(average varianc extarcted)값이 각 개념들 간

    의 상관계수의 제곱값을 상회하는지의 여부를 통해 검토하는 방법을 채

    택하였다. 평균분산추출값은 개념에 대해 각각의 변수가 설명할 수 있

    는 분산의 크기를 나타낸 것1)으로 포넬과 락커가 제시한 공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에서 제시된 것처럼 모든 개념들의 쌍에 대한 판별

    타당도에 대한 검사를 통해 모델에 사용된 개념들에 대한 판별타당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1) 평균분산추출과 상관계수의 제곱 값의 비교를 통한 판별타당성 검증은 제약모델과 비제

    약모델에 대한 χ2 차이분석보다 엄격한 방법이다.

  • 70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비교대상 잠재변수 A.V.E Corr. Corr2 판별타당도

    정보신뢰

    건강의식 .819 .704 .038 .001 있음

    정보활용 .819 .561 .370 .137 있음

    사용용이성 .819 .679 .338 .114 있음

    유용성 .819 .729 .483 .233 있음

    정보추구 .819 .760 .409 .167 있음

    건강의식

    정보활용 .704 .561 .107 .011 있음

    사용용이성 .704 .679 .336 .113 있음

    유용성 .704 .729 .292 .085 있음

    정보추구 .704 .760 .341 .116 있음

    정보활용

    사용용이성 .561 .679 .421 .177 있음

    유용성 .561 .729 .517 .267 있음

    정보추구 .561 .760 .471 .222 있음

    사용용이성유용성 .679 .729 .607 .368 있음

    정보추구 .679 .760 .622 .387 있음

    유용성 정보추구 .729 .760 .799 .638 있음

    2) 구조방정식 모형검증과 가설검증 결과

    7개의 잠재변수들의 단일차원성,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 검사를 통해

    타당성의 확보를 확인한 이후 자율성, 건강의식, 정보변인이 기술수용

    모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측정변수는 22개이며,

    표본의 크기는 1,200이고 추정될 미지수의 개수는 오차변수를 포함하

    여 55개로 최대우도 추정법을 이용하여 모델을 검증하였다. 최종 구조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71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2=737.851 df=194, p.<.00, CMIN/DF=

    3.803, RMR=.029이었으며 증분적합지수인 IFI=.954, TLI=.945,

    CFI=.954으로 수용가능 수준의 범위에 있었다. RMSEA지수 역시

    .048로 나타나 전반적인 모델의 적합도 지수를 평가할 때 현재 연구모

    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적인 연구가설에 대한 통계적 검증결과 12개의 가설 모두 채

    택되었다. 먼저 정보수용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이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가설화하

    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분석결과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지각

    된 유용성은 지속적인 인터넷 정보추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나 은 지지되었다(β=.864 t=18.388, p<.00). 인

    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사용용이성도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유용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도 채택되었다

    (β=.363 t=7.980, p<.00). 또한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사용용이

    성이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했

    던 가설 3도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어 채택되었다(β

    =.132, t=3.382, p<.00). 인터넷 정보추구 행위에 대한 기술수용모

    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유용성인식과 사용용이성인식 모두 정보추구 행

    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인식에도 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로 자율성욕구가 인터넷 정보활용과 사용용이성에 미치는 영

    향을 살펴보기 위해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의 검증을 시도하였다. 자기결

    정성을 구성하는 핵심변인인 자율성욕구는 인터넷 정보활용에 정적으

    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는 채택되었다(β=.161 t=4.174,

    p<.00). 평소에 가지고 있는 자율성욕구는 인터넷 건강정보를 진료과

    정이나 질병 예방행동을 할 때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 72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가설 경로 경로계수β 추정치 S.E. C.R. 검정

    H1 유용성 → 정보추구 .864 .926 .050 18.388*** 채택

    H2 사용용이성 → 유용성 .363 .366 .046 7.980*** 채택

    H3 사용용이성 → 정보추구 .132 .143 .042 3.382*** 채택

    H4 자율성 → 정보활용 .161 .132 .032 4.174*** 채택

    H5 자율성 → 사용용이성 .173 .128 .026 4.861*** 채택

    H6 정보신뢰 → 정보활용 .453 .494 .038 12.956*** 채택

    H7 정보신뢰 → 유용성 .208 .206 .028 7.299*** 채택

    H8 정보활용 → 유용성 .385 .349 .041 8.572*** 채택

    H9 정보활용 → 사용용이성 .551 .495 .035 14.337*** 채택

    H10 건강의식 → 유용성 .134 .124 .027 4.683*** 채택

    H11 건강의식 → 사용용이성 .272 .250 .032 7.896*** 채택

    H12 건강의식 → 정보활용 .117 .120 .038 3.176** 채택

    * 경로계수: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 추정치: Regression Weighs

    ** p< .01 *** p< .001

    표 3.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변수간의 가설검증 결과

    는 것이다. 또한 자율성욕구는 정보 수용모델에서 정보추구에 대한 선

    행변인인 사용용이성에도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

    인되어 도 지지되었다(β=.173 t=4.861, p<.00).

    셋째로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신뢰는 인터넷 건강정보 활용에 정

    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은 채택되었

    다(β=.453 t=12.956, p<.00).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해 정확성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획득한 인터넷 건강정보를 진료과정이나 질병 예

    방행동을 하거나 결정할 때 더 많이 정보를 활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

    한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신뢰는 인터넷 건강정보의 유용성에도 정적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73

    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도 지지되었다(β=.208

    t=7.299, p<.00). 한편 인터넷 정보의 활용에 대한 경험의 정도는

    인터넷 정보의 유용성(β=.385 t=8.572, p<.00)과 사용용이성

    (β=.551 t=14.337, p<.00)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

    인되어 과 도 검증되었다.

    넷째로 건강에 대한 중요성, 신념, 관심을 의미하는 건강의식이

    정보 수용모델의 선행변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그리고 정

    보의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가설화하고 검증하였다. 먼저

    사용자들의 건강의식은 인터넷 건강정보의 유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도 채택되었다(β=.134 t=4.683,

    p<.00). 또한 건강의식이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사용용이성에도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도 지지되었다(β=.272

    t=7.896, p<.00). 건강이나 건강예방행위의 중요성이나 건강에 대한

    신념과 관심이 높을수록 인터넷 건강정보가 더욱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그러한 정보를 추구하고 획득하기 위한 사용방법에 대해서도 어

    렵지 않다고 여긴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강의식은 인터넷 건강정보활용에도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도 채택되었다(β=.117 t=3.176,

    p<.01). 건강과 건강예방 행위가 중요하다고 느끼고 건강에 대한 신념

    이 강할수록 인터넷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활용하여 진료과정이나 건강

    예방활동을 결정할 때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74  

    한국방송학보

    (2013) 2

    7권 5호

    그림 2.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 구조방정식모형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75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건강상태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인터넷 건강정보의 추

    구행위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터넷 건강정보의 추구와 이

    용의도에 대한 결정요인들에 대한 영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수용

    모델에 따라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과정을 구조방정식을 통해서 검증하

    였다. 건강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건강유지와 관리를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건강에 대한 관심을 개념화한 건강의식과 행위의 내재

    적 동기를 유발하는 자율성욕구와 함께 인터넷 건강정보의 품질의 측면

    에서 정보신뢰가 건강정보 추구를 위한 인터넷의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첫째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분석결과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모두 지속적인 인터넷 건강 정보추구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수용모델의 핵심변인인 유

    용성과 사용용이성인식 모두 정보추구 행위에 대한 유의미한 효과를 갖

    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정보 추구과정에서 기술수용모델의 적용성을 확

    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두 요인이 갖는 효과의 크기를 비교할 때 사용용

    이성은 유용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확인

    되었다. 비록 사용용이성의 경우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어

    도 효과계수가 매우 낮게 나타나 기술수용모델 연구에서 자주 확인되는

    사용용이성의 이중적 성격이 건강정보 추구모델에서도 일정 정도 반영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기술수용모델에 근거한 연구를 면밀히 살펴보면 사용용

    이성은 정보나 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

    구도 있지만 연구결과가 모두 일치하고 있지 않다. 그래픽 소프트웨어

    (Davis, 1989), 스프레드 쉬트(Mathieson, 1991), 이메일(Straub et al.,

  • 76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1995) 연구 등에서는 사용용이성이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술이나 정보의 사용목적과 관련이 있다(Gefen &

    Straub, 2000). 즉 정보나 기술의 수용이 그 자체가 목적이라기보다는

    목적달성을 위한 도구의 역할을 할 경우 사용용이성은 기술수용에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정보의 수용이 도구적 역할을 할 경우 수용의 결

    과나 목표에 대한 기대라는 유용성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사용용이성이

    수용과정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노기영, 2012).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 건강정보를 추구하는 행위의 주요한 목적은 건강

    예방이나 증진이라는 기능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임에도 사용용이

    성이 정보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 건강정

    보 추구과정 자체의 자기목적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건강정보의 검

    색과 이용과정 그 자체의 즐거움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자기결정성을 구성하는 핵심변인인 자율성욕구가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과정에서 갖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질병에 대한 위험요인

    보다는 건강예방과 증진을 위한 정보추구의 과정에서 자율성욕구는 더

    욱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고 특히 인터넷매체 이용의 능

    동적 성격은 건강소비자들의 자율성욕구와 상관성을 가질 것으로 추론

    하였다. 연구결과 자율성욕구는 인터넷 정보활용과 사용용이성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소비자들의 기본심리 욕구인 자율성에

    대한 욕구가 강할수록 인터넷 건강정보를 자신의 진료과정이나 질병 예

    방행동을 결정할 때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인터넷 건강정보를 추구

    하기 위한 사용방법에 대한 지각도 상대적으로 어렵게 느끼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자율성욕구는 자기결정성이론에서 제시된 기본심리 욕구이

    기 때문에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위에 대한 직접적인 내재적 동기라기

    보다는 내재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자기결정성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77

    에 영향을 미치는 자율성욕구가 진료과정과 건강증진 행위에서 건강정

    보의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이 연구를 통해서 경험적으로

    확인되었다.

    셋째로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신뢰가 유용성인식에 영향을 미치

    는 경로구조도 확인되었다. 인터넷 건강정보의 정확성이나 믿음과 같은

    신뢰가 높을수록 인터넷 건강정보를 진료과정이나 질병 예방행동을 결

    정할 때 정보를 활용하는 경향이 더 높으며 결과적으로 정보에 대한 유

    용성인식도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인터넷 건강정보의 질적 수준을 평

    가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바로 해당 건강정보에 대한 신뢰

    성이라고 할 때 정보 신뢰의 정도가 정보의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

    는 것이다.

    넷째로 건강에 대한 중요성, 신념, 관심을 의미하는 건강의식이 정

    보 수용모델의 선행변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그리고 정보활

    용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

    고 건강이 삶의 질을 향상시켜 준다고 확신하며 건강에 관심을 갖고 있

    는 건강의식이 높은 사람들은 인터넷 건강정보를 유용하게 인식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볼 때 건강의식은 인터넷 정보

    의 수용모델의 핵심변인인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모두에 경로구조를 갖

    는 선행변인으로 인터넷 정보의 수용모델의 확장변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존의 건강위험 요인이나 지각과 함께 건강의

    식은 건강정보 추구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외생변인의 하나라는

    점을 이 연구는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건강정보 추구연구들이 질병에 대한 위험요인 중

    심에서 건강소비자들의 건강증진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신념을 의미하

    는 건강의식과 자율성욕구 그리고 정보신뢰를 건강정보 추구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인으로 설정하였고 기술수용모델을 통해서 검증

  • 78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하여 그 설명력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술

    수용모델 연구의 상당수는 외생변인의 역할을 규명하는 연구로 이들 외

    생변인의 선택이 일정한 패턴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 외생변인은

    기술수용의 궁극적인 동인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Legris et al.,

    2003). 이 연구는 인터넷 건강정보추구과정에서의 이용자의 건강에 대

    한 신념측면에서의 건강의식과 이용자의 개성측면의 자율성욕구 그리

    고 건강정보 변인인 신뢰가 인터넷 정보추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동인

    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앞으로 이용자들의 자율성 욕구와 함께 내재적 동

    기(intrinsic regulation)를 유발시키는 유능성과 관계성욕구에 대한 추

    가적인 분석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본적 심리욕구와 연

    결되는 건강정보에 대한 내재적 동기를 개념화하고 측정하여 건강정보

    추구과정을 정교화 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술수용모델과 자기결정성이

    론을 결합한 새로운 이론의 융합과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건강의식과 같은 긍정적 건강성과의 측면에서 건강정보의 추

    구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질병 위험요인중심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질병 위험요인은 건강정보 추구과정에서 가장 중

    요한 변인중의 하나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건강위험요인과 건강의식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

    하다. 이 연구는 인터넷의 건강정보의 추구행위에 대하여 기술수용모델

    을 확장하여 외생변인으로 자율성욕구, 건강의식, 정보신뢰가 건강정보

    추구모델에서 선행 경로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구조적으로 검증

    함으로써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이론적 설명력을 한층 풍부하게 하였다

    는 점에 의의가 있다.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79

    참고문헌

    김수정(2012).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건강정보 요구와 추구행태에

    관한 탐험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권 4호, 239∼260.노기영(2012). 헬스 비디오 게임의 사용자 경험과 기술수용의 확장모델. 한국

    방송학보, 26권 5호, 78∼113.배상수·조희숙·이혜진(2010). 대도시 지역주민들의 건강정보 이용경로 관

    련 요인 분석.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7권 4호, 91∼103.배재권·권두순(2011). 자기결정성 요인이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 수용의도

    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4권 5호, 2745∼2774.손승혜·최윤정·황하성(2011).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 스

    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보, 55권 2호, 227∼251.손연정·송은경(2012).고혈압 환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이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19권 1호, 6∼15.이민규·김영은(2009). 질병 관련 인터넷 정보 이용 효과 연구. 언론과학연구,

    9권 4호, 506∼539.

    이복자·명승환·권용민·박주용(2011). 세대간 정보활용의 행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지역정보학회지, 14권 3호, 55∼85.이수영(2004). 방송·통신 융합과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의 변화-인터넷

    상의 커뮤니케이션 행태를 중심으로. 방송연구, 여름호, 145∼175.이종윤·최영(2012). 스마트TV 채택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6권 4호, 386∼430.

    이종호·신종국·김미혜·공혜경(2002). 인터넷 자기효능감으로 인한 웹쇼핑

    에 대한 태도와 구매행동의도에 관한 연구-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를 중심으로. 마케팅과학연구, 10권, 1∼26.조수영(2011). 인터넷 건강 정보의 정보원 유형과 상업 링크 유무, 질병의 심각

    성에 따른 설득 효과 차이. 한국언론학보, 55권 3호, 123∼152.채영문(2007). 인터넷 건강정보 평가 기준을 위한 건강 소비자의 인터넷 이용

  • 80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행태 분석.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4권 2호, 15∼28.홍석민(2013). 행위단서인 매체에서 암관련 정보추구 유무가 건강행위에 미치

    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9권 1호, 76∼86.

    Ayers. S. L. & Kronenfeld, J. J.(2007). Chronic illness and health-seek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Health (London), 11(3), 327∼347.

    Chiravuri, A. & Nazareth, D.(2001). Consumer trust in electronic commerce: An alternative framework using technology acceptance. Proceedings of the Seventh Americas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781∼783.

    Davis, F. D.(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39.

    Davis, F. D., Bagozzi, R., & Warshaw, P. R.(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Davis, F. D.(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39.

    Deci, E. L. & Ryan, R. M.(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on in human behaviour. New York: Plenum.

    Deci, E. L. & Ryan, R. M.(2002). Self-determination research: Reflections and future directions. In E. L. Deci & R. M. Ryan (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 431∼441).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Deci, E. L., Koestener, R., & Ryan, R. M.(1999). A nieta-anualytic review of experiments examining the effects of extrinsic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25, 627∼668.

    Dutta, K., Sen, S., & Dasu, V. V.(2009). Produc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of microbial cutinases. Process Biochemistry, 44, 127∼134.

    Dutta-Bergman, M. J.(2002). Beyond Demographic Variables: Using Psychographic Research to Narrate the Story of Internet Users’. Studies in Media &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2(3), 1∼10.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81

    Dutta-Bergman, M. J.(2004). Health attitudes, health cognitions, and health behaviors among Internet health information seekers: population-based surve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6(2):e15.

    Dutta-Bergman, M. J.(2005). Developing a profile of consumer intention to seek out additional information beyond a doctor: The role of communicative and motivation variables. Health Communication, 17.

    Feng, H. & Yang, Y.(2007). A Model of Cancer-Related Health Information Seeking on the Internet. China Media Research, 3(3), 14∼24.

    Fornell, C. & Larcker, D.(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Feburary), 39∼50.

    Garbarino, E. & Johnson, M. S.(1999). The Different Roles of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in Custom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63(2), 70∼87.

    Gefen, D., Straub, D., & Boudreau, M.(200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s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4, 1∼78.

    Hovland, C. I., Janis, I. L., & Kelley, H. H.(1953).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New Haven, Corm.: Yale University Press.

    Huang, G. J. & Penson, D. F.(2008). Internet health resources and the cancer patient. Cancer Invest, 26(2), 202∼207.

    James, B. Weaver, III, Darren Mays, Stephanie Sargent Weaver, Gary L. Hopkins, Doğan Eroğlu, & Jay M. Bernhardt.(2010).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Health Indicators, and Health Risk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0(8), 1520∼1525.

    Jayanti, R. K. & Burns, A. C.(1998). The Antecedents of Preventive Health Care Behavior: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6(1), 6∼15.

    Josefsson, U., Murero, M., & Rice, R. E.(2006). Onlin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In M. Murero & R. E. Rice(Eds.), The Internet and Health Care: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 127∼147). Mahwah, NJ: Lawrence Erlbaum.

    Johnson T. J. & Kaye, B. K.(2000). Using is believing: The influence of reliance on the credibility of online political information among

  • 82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7, 865∼879.

    Karahanna, E., Straub, D. W., & Chervany, N. L.(1999).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cross tim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pre-adoption and post-adoption beliefs. MIS Quarterly, 23(2), 183∼213.

    King, W. R., & He, J.(2006). A meta-analysi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 Managemement, 43, 740∼755.

    Kraft, F. B. & Goodell, P. W.(1993). Identifying the Health Conscious Consumer. Journal of Health Care Marketing, 13, 18∼25.

    Mathieson, K.(1991). Predicting user intentions: Compar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 173∼191.

    Moorman, C. & Matulich, E.(1993). A model of consumers’ preventive health behaviors: the role of health motivation and health abil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3), 208∼228.

    Liang, H., Xue, Y., & Chase, S.(2011).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by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due to neurological condi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80(11), 745∼753.

    Lim et al.(2011). A study on Singaporean women’s acceptance of using mobile phones to seek health infor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80(12), 189∼202.

    Laflamme, D. J.(2003). Online Health Information-Seeking: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Literacy Among Low-Income Internet Users in East Baltimore. Doctoral dissertation at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Legris, P., Ingham, J., & Collerette, P.(2003). Why do people use information technology? A critical review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 Management, 40, 191∼204.

    Lucas, H. C. & Spitler, V. K.(1999). Technology use and performance: A field study of broker workstations. Decision Sciences, 30, 291∼311.

    Morahan-Martin, J. M.(2004). How Internet users find, evaluate, and use online health information: a cross-cultural review. Cyberpsychol Behav, 7(5), 497∼510.

    Ryan, R. M. & Deci, E. L.(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83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8∼78.

    Ryan, R. M., Patrick, H., Deci, E. L., & Williams, G. C.(2008). Facilitating health behaviour change and its maintenance: Intervention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European Health Psychologist, 10, 2∼5.

    Ryan, R. M. & La Guardia, J. G.(2000). What is being optimized?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S. H. Qualls & N. Abeles (Eds.), Psychology and the aging revolution: How we adapt to longer life (pp. 145∼17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hih, H.(2003).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f Internet utilization behavior. Information & Management, 41(6), 719∼729.

    Straub, D., Limayem, M., & Karahanna-Evaristo, E.(1995). Measuring System Usage:Implications for IS Theory Testing. Management Science, 41, 1328∼1342.

    Tao, D.(2008). Understanding Intention to Use Electronic Information Resource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MIA Annu Symp Proc.

    Venkatesh, V. & Morris, M. G.(2000). Why Don’t Men Ever Stop to Ask for Directions? Gender, Social Influence, and Their Role in Technology Acceptance and Usage Behavior. MIS Quarterly, 24(1), 115∼139.

    Verheijden, M. W., Jans, M. P., & Hildebrandt, V. H.(2007). Rates and determinants of repeated participation in a Web-based behavior change program for healthy body weight and healthy lifestyle. J Med Internet Res, 9(1):e1.

    Yi, M. Y., Jackson, J. D., Park, J. S., & Probst, J. C.(2006).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by individual professionals: Toward an integrative view. Information & Management, 43, 350∼363.

    Yousafzai, Y., Foxall, R., & Pallister, G.(2007). Technology acceptance: a meta-analysis of the TAM. Journal of Modelling in Management, 2(3), 281∼304.

    Weaver, J. B., Mays, D., Weaver, S. S., Hopkins, G. L., Eroglu, D., & Bernhardt, J. M. (2010).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health indicators, and health risk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0, 1520∼1525.

  • 84  한국방송학보(2013) 27권 5호

    Wu, I. L. & Chen, J. L.(2005). An extension of Trust and TAM model with TPB in the initial adoption of online tax: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ing Studies, 62, 784∼808.

    논문 투고일: 2013. 07. 30

    논문 수정일: 2013. 09. 02

    게재 확정일: 2013. 09. 09

  •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85

    Abstract

    A Test of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n Health Information Seeking on the Internet

    Ghee-Young NohProfessor, School of Communication, Hallym University

    Jounghwa ChoiAssociate Professor, School of Communication, Hallym University

    Myung Soon KwonAssociate Professor, School of Nursing, Hallym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theoretical model that explains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n the Interne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tes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need for autonomy, health

    consciousness, and trust in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s predictors

    to the variables i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he results

    suggest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influence health

    information seeking on the Internet, suggesting the applicability of TAM in

    this context. The need for autonomy was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easy

    of use and also showed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through previous experience of health information use. As for trust

    in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ts paths to perceived usefulness and

    previous experience of health information us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builds upon the extant research by extending TAM with

    integrating the previously unexplored variables, such as need for autonomy,

    health consciousness, and trust in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Keywords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Need for Autonomy, Health Consciousness, Structural Equation Model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1. 문제의 제기2. 이론적 논의와 연구모형3. 연구방법4. 연구결과5. 결론 및 논의참고문헌Abstract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