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 및 … Environmental manag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 및 … Environmental management...

Date post: 26-Jan-2020
Category:
Upload: others
View: 2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43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use (ISO 14001:2015) Contents Foreword Introduction 1 Scope 2 Normative references 3 Terms and definitions 3.1 Terms related to organization and leadership 3.2 Terms related to planning 3.3 Terms related to support and operation 3.4 Terms related to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ment 4 Context of the organization 4.1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and its context 4.2 Understanding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interested parties 4.3 Determining the scop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4.4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5 Leadership 5.1 Leadership and commitment 5.2 Environmental policy 5.3 Organizational roles,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6 Planning 6.1 Actions to address risks and opportunities 6.1.1 General 6.1.2 Environmental aspects 6.1.3 Compliance obligations 6.1.4 Planning action 6.2 Environmental objectives and planning to achieve them 6.2.1 Environmental objectives 6.2.2 Planning actions to achieve environmental objectives 7 Support 7.1 Resources 7.2 Competence 7.3 Awareness 7.4 Communication 7.4.1 General 7.4.2 Internal communication 7.4.3 External communication 7.5 Documented information 7.5.1 General 7.5.2 Creating and updating 7.5.3 Control of documented information Operation 8.1 Operational planning and control 8.2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9 Performance evaluation 9.1 Monitoring, measurement, analysis and evaluation 9.1.1 General 9.1.2 Evaluation of compliance 9.2 Internal audit 9.2.1 General 9.2.2 Internal audit programme 9.3 Management review 10 Improvement 10.1 General 10.2 Nonconformity and corrective action 10.3 Continual improvement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 및 KS I ISO 14001:2015 1 적용범위 2 인용표준 3 용어와 정의 3.1 조직 리더십 관련 용어 3.2 기획 관련 용어 3.3 지원 운용 관련 용어 3.4 성과평가 개선 관련 용어 4 조직 상황 4.1 조직과 조직 상황의 이해 4.2 이해관계자의 니즈(needs)기대 이해 4.3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결정 4.4 환경경영시스템 5 리더십 5.1 리더십과 의지표명 5.2 환경방침 5.3 조직의 역할, 책임 권한 6 기획 6.1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는 조치 6.1.1 일반사항 6.1.2 환경측면 6.1.3 준수의무사항 6.1.4 조치 계획 6.2 환경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획 6.2.1 환경목표 6.2.2 환경목표 달성을 위한 조치 기획 7 지원(support) 7.1 자원(resource) 7.2 역량(competence) 7.3 인식 7.4 의사소통 7.4.1 일반사항 7.4.2 내부 의사소통 7.4.3 외부 의사소통 7.5 문서화된 정보 7.5.1 일반사항 7.5.2 작성(creating) 갱신 7.5.3 문서화된 정보의 관리 8 운용 8.1 운용기획 관리(control) 8.2 비상사태 대비 대응 9 성과평가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평가 . 9.1.1 일반사항 9.1.2 준수평가 9.2 내부심사 9.2.1 일반사항 9.2.2 내부심사 프로그램 9.3 경영검토
Transcript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use (ISO 14001:2015) Contents Foreword Introduction 1 Scope 2 Normative references 3 Terms and definitions 3.1 Terms related to organization and leadership 3.2 Terms related to planning 3.3 Terms related to support and operation 3.4 Terms related to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ment 4 Context of the organization 4.1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and its context 4.2 Understanding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interested parties 4.3 Determining the scop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4.4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5 Leadership 5.1 Leadership and commitment 5.2 Environmental policy 5.3 Organizational roles,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6 Planning 6.1 Actions to address risks and opportunities 6.1.1 General 6.1.2 Environmental aspects 6.1.3 Compliance obligations 6.1.4 Planning action 6.2 Environmental objectives and planning to achieve them 6.2.1 Environmental objectives 6.2.2 Planning actions to achieve environmental objectives 7 Support 7.1 Resources 7.2 Competence 7.3 Awareness 7.4 Communication 7.4.1 General 7.4.2 Internal communication 7.4.3 External communication 7.5 Documented information 7.5.1 General 7.5.2 Creating and updating 7.5.3 Control of documented information Operation 8.1 Operational planning and control 8.2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9 Performance evaluation 9.1 Monitoring, measurement, analysis and evaluation 9.1.1 General 9.1.2 Evaluation of compliance 9.2 Internal audit 9.2.1 General 9.2.2 Internal audit programme 9.3 Management review 10 Improvement 10.1 General 10.2 Nonconformity and corrective action 10.3 Continual improvement

환경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및 사

KS I ISO 14001:2015 목 차 머 리 말 개 요 1 적용범위 2 인용표준 3 용어와 정의 3.1 조직 및 리더십 관련 용어 3.2 기획 관련 용어 3.3 지원 및 운용 관련 용어 3.4 성과평가 및 개선 관련 용어 4 조직 상황 4.1 조직과 조직 상황의 이해 4.2 이해관계자의 니즈(needs)와 기대 이해 4.3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결정 4.4 환경경영시스템 5 리더십 5.1 리더십과 의지표명 5.2 환경방침 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6 기획 6.1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는 조치 6.1.1 일반사항 6.1.2 환경측면 6.1.3 준수의무사항 6.1.4 조치 계획 6.2 환경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획 6.2.1 환경목표 6.2.2 환경목표 달성을 위한 조치 기획 7 지원(support) 7.1 자원(resource) 7.2 역량(competence) 7.3 인식 7.4 의사소통 7.4.1 일반사항 7.4.2 내부 의사소통 7.4.3 외부 의사소통 7.5 문서화된 정보 7.5.1 일반사항 7.5.2 작성(creating) 및 갱신 7.5.3 문서화된 정보의 관리 8 운용 8.1 운용기획 및 관리(control) 8.2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9 성과평가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 9.1.1 일반사항 9.1.2 준수평가 9.2 내부심사 9.2.1 일반사항 9.2.2 내부심사 프로그램 9.3 경영검토

Annex A (informative) Guidance on the use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Annex B (informative) Correspondence between ISO 14001:2015 and ISO 14001:2004 Bibliography Alphabetical index of terms Foreword ISO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 a worldwide federation of national standards bodies (ISO member bodies). The work of preparing International Standards is normally carried out through ISO technical committees. Each member body interested in a subject for which a technical committee has been established has the right to be represented on that committe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in liaison with ISO, also take part in the work. ISO collaborates closely with the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on all matters of electrotechnical standardization. The procedures used to develop this document and those intended for its further maintenance are described in the ISO/IEC Directives, Part 1. In particular the different approval criteria needed for the different types of ISO documents should be noted. This document was drafted in accordance with the editorial rules of the ISO/IEC Directives, Part 2 (see www.iso.org/directives). Attention is drawn to the possibility that some of the elements of this document may be the subject of patent rights. ISO shall not be held responsible for identifying any or all such patent rights. Details of any patent rights identified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document will be in the Introduction and/or on the ISO list of patent declarations received (see www.iso.org/patents). Any trade name used in this document is information given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and does not constitute an endorsement. For an explanation on the meaning of ISO specific terms and expressions related to conformity assessment, as well as information about ISO’s adherence 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principles in the 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see the following URL: www.iso.org/iso/foreword.html. The committee responsible for this document is Technical Committee ISO/TC 207, Environmental management, Subcommittee SC 1,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This third edition cancels and replaces the second edition (ISO

10 개선 10.1 일반사항 10.2 부적합 및 시정조치 10.3 지속적 개선 부속서 A (참고) 이 표준의 사용을 위한 지침 A.6.1.2 환경측면 A.6.1.3 준수의무사항 A.6.1.4 조치 계획 부속서 B (참고) KS I ISO 14001:2015와 KS I ISO 14001:2009와의 관계 참고문헌

용어 색인 (가나다순)

머 리 말 ISO (국제표준화 기구)는 국가별 국가표준화 기관 (ISO 회원기관)의 연합체이다. 표준 제정 작업은 일반적으로 ISO 기술위원회 (technical committee)에서 담당한다. 국가별 기술위원회가 다루는 주제에 관심 있는 각 국가 회원기관은 기술위원회에 대해 그 나라를 대표할 권리를 갖는다. ISO와 연계하여 정부 및 비정부 국제조직 또한 그 작업에 참여한다. ISO는 전기기술표준과 관련된 모든 작업에 대하여는 IEC (국제전기기술위원회)와 긴밀히 협력한다. 이 문서를 개발하고 향후 문서의 유지관리를 위해 사용된 절차는 ISO/IEC Directives — Part 1에 기술되어 있다. 특히 ISO 문서의 형식별로 요구되는 승인기준이 다르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 문서는 ISO/IEC Directives — Part 2에 정해진 작성 원칙에 따라 작성된 것이다 (www.iso.org/directives 참조). 비고 ISO 문서의 형식은 IS, TS, TR 등이 있으며, 국제표준으로 채택되기 위한 승인 기준이 서로 다르다. 이 문서의 일부 내용은 특허권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ISO는 그러한 특허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파악해야 하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이 문서의 개발 과정에서 파악된 특허권에 대한 세부사항은 개요 부분 및/또는 ISO 보유 특허권 목록 (www.iso.org/patents 참조)에 표기될 것이다. 이 문서에서 사용된 상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정보이며, 이의 사용을 공인하는 것은 아니다. ISO의 특정 용어와 적합성평가와 관련한 표현의 의미에 대한 설명뿐만 아니라 ISO가 기술적 무역장벽 (TBT)에 대한 세계무역기구 (WTO) 원칙을 준수하는 것에 대한 정보는 다음 URL www.iso.org/iso/foreword.html을 참조할 수 있다. KS I ISO 14001은 국제표준 ISO 14001을 한국 환경경영 및 온실가스 전문위원회 (ISO/TC207/SC1 Korean National

14001:2004), which has been technically revised. It also incorporates the Technical Corrigendum ISO 14001:2004/Cor.1:2009. Introduction 0.1 Background Achieving a balance between the environment, society and the economy is considered essential to meet the needs of the present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of future generations to meet their needs.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goal is achieved by balancing the three pillars of sustainability. Societal expecta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have evolved with increasingly stringent legislation, growing pressures on the environment from pollution, inefficient use of resources, improper waste management, climate change, degradation of ecosystems and loss of biodiversity. This has led organizations to adopt a systematic approach to environmental management by implemen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with the aim of contributing to the environmental pillar of sustainability. 0.2 Aim of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purpose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is to provide organizations with a framework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respond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balance with socio-economic needs. It specifies requirements that enable an organization to achieve the intended outcomes it sets for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 systematic approach to environmental management can provide top management with information to build success over the long term and create options for contributing to sustainable development by: — protecting the environment by preventing or mitigating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 mitigating the potential adverse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organization; — assisting the organization in the fulfilment of compliance obligations; — enhanc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 controlling or influencing the way the organization’s

Mirror Committee)에서 한국산업표준으로 채택한 것이다. KS I ISO 14001의 제3판은 기술적으로 개정되어 제2판 (KS I ISO 14001:2009)을 폐지하고 이를 대체한다.

개 요 이 표준은 2015년 제3판으로 발행된 ISO 14001,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use를 기초로 기술적 내용 및 대응국제표준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작성한 한국산업표준이다. 0.1 배경 미래 세대의 니즈 (needs)를 충족시키는 능력 (ability)을 손상시키지 (compromising) 않고 현재 세대의 니즈 (needs)를 충족시키기 위해, 환경, 사회 및 경제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여겨진다. 지속 가능한 발전의 목표는 지속가능성의 세 가지 분야 (pillar) 사이의 균형을 만족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지속 가능한 발전, 투명성 그리고 책무에 대한 사회적 기대는 보다 더 엄격한 법률, 오염으로 인해 환경에 미치는 압력의 증가, 자원의 비효율적 사용, 폐기물의 부적절한 관리, 기후변화, 생태계의 파괴 및 생물다양성의 훼손과 함께 진화하여 왔다. 비고 지속가능성의 세 가지 분야(pillar)는 환경, 사회, 경제를 의미한다. 이러한 점이 조직으로 하여금, 지속가능성의 환경 분야 (pillar)에 기여할 목적으로, 환경경영시스템을 실행함으로써 체계적으로 환경경영에 접근하도록 이끌고 있다. 0.2 환경경영시스템의 목표(aim) 이 표준의 목적은 조직에게 환경을 보호하고, 사회경제적 니즈 (needs)와 균형 있게 변화하는 환경여건에 대응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표준은 조직이 환경경영시스템을 통해 의도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환경경영에 대한 체계적 접근은 최고경영자에게 장기적인 성공 달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선택사항(option)을 만들 수 있다. 그 수단은 다음과 같다. — 환경적 악영향을 예방하거나 완화함으로써 환경을 보호 — 환경여건이 조직에 미치는 잠재적 악영향을 완화 — 조직의 준수의무사항을 충족하도록 지원 — 환경성과의 증진 — 의도한 바와 다르게 환경영향이 전과정 (life cycle)의 다른 단계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과정

products and services are designed, manufactured, distributed, consumed and disposed by using a life cycle perspective that can prevent environmental impacts from being unintentionally shifted elsewhere within the life cycle; — achieving financial and operational benefits that can result from implementing environmentally sound alternatives that strengthen the organization’s market position; — communica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relevant interested parties. This International Standard, like other International Standards, is not intended to increase or change an organization’s legal requirements. 0.3 Success factors The success of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depends on commitment from all levels and functions of the organization, led by top management. Organizations can leverage opportunities to prevent or mitigate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and enhance beneficial environmental impacts, particularly those with strategic and competitive implications. Top management can effectively address its risks and opportunities by integra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into the organization’s business processes, strategic direction and decision making, aligning them with other business priorities, and incorporating environmental governance into its overall management system. Demonstration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can be used to assure interested parties that an effe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s in place. Adoption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however, will not in itself guarantee optimal environmental outcomes. Application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can differ from one organization to another have different compliance obligations, commitments in their environmental policy, environmental technologies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goals, yet both can conform to the requirement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he level of detail and complexity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will vary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organization, the scope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ts compliance obligations, and the nature of its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including its environmental aspects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impacts. 0.4 Plan-Do-Check-Act model The basis for the approach underlying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s founded on the concept of Plan-Do-Check-Act (PDCA). The PDCA model provides an iterative process used by organizations to achieve continual improvement. It can be applied to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to each of its individual elements. It can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 Plan: establish environmental objectives and processes necessary to deliver results in accordance with the organization’s environmental policy. — Do: implement the processes as planned. — Check: monitor and measure processes against the environmental policy, including its commitments,

관점을 활용하여 조직의 제품 및 서비스가 설계, 제조, 유통, 폐기되는 방식을 관리하거나 영향을 미치도록 함 — 조직의 시장내 지위를 강화할 수 있는 환경적으로 건전한 대안을 실행함으로써 재정 및 운용 편익 달성 — 이해관계자와 환경정보에 대한 의사 소통 다른 표준과 같이 이 표준은 조직의 법규 요구사항을 가중 또는 변경시키도록 의도한 것은 아니다. 0.3 성공요인 환경경영시스템의 성공은 최고경영자의 주도 하에 조직의 모든 계층 (level)과 부서 (function)에서 실행되는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 특히, 전략 및 경쟁 측면에서 환경적 악영향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고 유익한 환경영향을 증진시키기 위해, 조직은 기회 (opportunity)를 지렛대 (leverage)로 활용할 수 있다. 최고경영자는 환경경영을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략적 방향 및 의사결정에 통합시키고, 다른 비즈니스 우선순위와 조율하여, 환경 거버넌스를 조직 전체의 경영시스템에 통합시킴으로써, 조직의 리스크와 기회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다. 이해관계자에게 효과적인 환경경영시스템이 운용되고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이 표준이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표준의 채택 자체가 최적의 환경적 결과를 보증하는 것은 아니다. 이 표준의 적용은 조직의 상황에 따라 조직마다 다를 수 있다. 두 조직이 유사한 활동을 수행하더라도, 서로 다른 준수의무사항, 환경방침에 드러난 의지, 환경기술 및 환경성과 목표를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조직 모두는 이 표준의 요구사항에 부합할 수 있다. 환경경영시스템의 상세함과 복잡함의 수준은 조직의 환경측면 및 관련 환경영향을 포함하여 조직의 상황,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조직의 준수의무사항 및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 특성에 따라 다를 것이다. 0.4 계획-실행-점검-조치 (PDCA) 모델 환경경영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기본 접근방법은 계획-실행-점검-조치 (PDCA) 개념에서 찾아 볼 수 있다. PDCA 모델은 조직이 지속적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반복적인 (iterative)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이 모델은 환경경영시스템과 환경경영시스템의 개별 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이 모델을 간략하게 설명할 수 있다. — 계획 (Plan): 조직의 환경방침과 일치하는 결과를 만들어 내는 (deliver) 데 필요한 환경목표와 프로세스를 수립 — 실행 (Do): 계획에 따라 프로세스를 실행 — 점검 (Check): 조직의 의지, 환경목표 및 운용기준을

environmental objectives and operating criteria, and report the results. — Act: take actions to continually improve. Figure 1 shows how the framework introduced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could be integrated into a PDCA model, which can help new and existing user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 systems approach.

Figure 1 — Relationship between PDCA and the framework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0.5 Content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his International Standard conforms to ISO’s requirements for management system standards. These requirements include a high level structure, identical core text, and common terms with core definitions, designed to benefit users implementing multiple ISO management system standards. This International Standard does not include requirements specific to other management systems, such as those for quality,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energy or financial management. However, this International Standard enables an organization to use a common approach and risk-based thinking to integrate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with the requirements of other management systems. This International Standard contains the requirements used to assess conformity. An organization that wishes to demonstrate conformity with this International Standard can do so by: — making a self-determination and self-declaration, or — seeking confirmation of its conformance by parties having an interest in the organization, such as customers, or — seeking confirmation of its self-declaration by a party external to the organization, or — seeking certification/registration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by an external organization. Annex A provides explanatory information to prevent misinterpreta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Annex B shows broad technical correspondence between the previous edition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and this edition. Implementation guidance on environmental

포함하여 환경방침에 대한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및 측정하고, 그 결과를 보고 — 조치 (Act): 지속적 개선을 위한 조치를 취함 그림 1은 이 표준의 신규 또는 기존 사용자들이 시스템 접근방법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 표준에서 소개된 틀 (framework)이 PDCA 모델과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1—PDCA와이표준의틀(framework) 간의 관계 0.5 이 표준의 내용 이 표준은 ISO의 경영시스템표준 (MSS) 요구사항을 준수한다. 이 요구사항은, 여러 ISO 경영시스템 표준 (MSS)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상위 문서 구조 (high level structure), 동일한 핵심문구, 공통 용어 및 핵심 용어정의를 포함한다. 이 표준은 품질, 안전보건, 에너지, 재무경영과 같은 다른 경영시스템의 특정 요구사항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표준은 조직이 환경경영시스템을 다른 경영시스템 요구사항들과 통합할 수 있도록 동일한 접근방법과 리스크 기반의 사고방식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 표준은 적합성평가에 사용된 요구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조직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이 표준에의 적합성을 입증할 수 있다. — 자기주장 (self-determination) 및 자기선언 — 고객 등 조직의 이해관계자에 의해 조직의 적합성에 대한 확인을 추구 — 조직 외부의 당사자에 의해 자기선언의 확인을 모색 — 외부 조직에 의한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 인증/등록 추진 부속서 A는 이 표준의 요구사항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방지하기 위해 해설정보를 제공한다. 부속서 B는 이 표준의 이전 판과 본 개정판 간의 기술적인 연관성을 보여준다. 환경경영시스템 실행지침은 KS I ISO 14004에 포함되어 있다.

management systems is included in ISO 14004.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he following verbal forms are used: — “shall” indicates a requirement; — “should” indicates a recommendation; — “may” indicates a permission; — “can” indicates a possibility or a capability. Information marked as “NOTE” is intended to assist the understanding or use of the document. “Notes to entry” used in Clause 3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supplements the terminological data and can contain provisions relating to the use of a term. The terms and definitions in Clause 3 are arranged in conceptual order, with an alphabetical index provided at the end of the docu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use 1 Scope This International Standard specifies the requirements for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at an organization can use to enhance its environmental performance. This International Standard is intended for use by an organization seeking to manage its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in a systematic manner that contributes to the environmental pillar of sustainability. This International Standard helps an organization achieve the intended outcomes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which provide value for the environment, the organization itself and interested parties. Consistent with the organization’s environmental policy, the intended outcomes of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clude: — enhancement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 fulfilment of compliance obligations; — achievement of environmental objectives. This International Standard is applicable to any organization, regardless of size, type and nature, and applies to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its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that the organization determines it can either control or influence considering a life cycle perspective. This International Standard does not state specific environmental performance criteria. This International Standard can be used in whole or in part to systematically improve environmental management. Claims of conformity to this International Standard, however, are not acceptable unless all its requirements are incorporated into an organization’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fulfilled without exclusion.

이 표준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동사 형태가 사용된다. — “하여야 한다 (shall)”는 요구사항을 의미한다. — “하여야 할 것이다/하는 것이 좋다 (should)”는 권고사항을 의미한다. — “해도 된다 (may)”는 허용을 의미한다. — “할 수 있다 (can)”는 가능성 또는 능력을 의미한다. “비고”로 표시된 정보는 문서의 이해나 사용을 돕고자 하는 것이다. 3절에서 사용하는 “비고”는 용어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용어 사용과 관련된 조항을 포함할 수 있다. 3절의 용어와 정의는 개념상의 순서에 따라 배열되었으며, 가나다순으로 배열된 용어 색인 목록은 이 문서의 마지막에 있다.

환경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및 사용지침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use

1 적용범위 이 표준은 조직이 환경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이 표준은 조직이 지속가능성의 환경 분야 (environmental pillar)에 기여하는 환경책임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이 표준은 조직이 환경경영시스템의 의도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것은 환경, 조직자체 및 조직의 이해관계자에게 가치를 제공한다. 조직의 환경방침과 일관되게 환경경영시스템의 의도한 결과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된다. — 환경성과의 향상 — 준수의무사항의 충족 — 환경목표의 달성 이 표준은 조직의 규모나 형태, 성격 (nature)에 상관없이 모든 조직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전과정의 관점에서 조직이 관리할 수 있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정한 (determine)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의 환경측면에 적용할 수 있다. 이 표준은 구체적인 환경성과기준 (environmental performance criteria)을 명시하지 않는다. 체계적인 환경경영 개선을 위해 이 표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이 표준의 모든 요구사항이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에 통합 (incorporated)되지 않거나 예외 없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이 표준에 대한 적합성 선언은 인정될 수 없다.

2 Normative references There are no normative references. 3 Terms and definitions For the purposes of this document, the following terms and definitions apply. 3.1 Terms related to organization and leadership 3.1.1 management system set of interrelated or interacting elements of an organization (3.1.4) to establish policies and objectives (3.2.5) and processes (3.3.5) to achieve those objectives Note 1 to entry: A management system can address a single discipline or several disciplines (e.g. quality, environment,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energy, financial management). Note 2 to entry: The system elements include the organization’s structure, roles and responsibilities, planning and oper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ment. Note 3 to entry: The scope of a management system can include the whole of the organization, specific and identified functions of the organization, specific and identified sections of the organization, or one or more functions across a group of organizations. 3.1.2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part of the management system (3.1.1) used to manage environmental aspects (3.2.2), fulfil compliance obligations (3.2.9), and address risks and opportunities (3.2.11) 3.1.3 environmental policy intentions and direction of an organization (3.1.4) related to environmental performance (3.4.11), as formally expressed by its top management (3.1.5) 3.1.4 organization person or group of people that has its own functions with responsibilities, authorities and relationships to achieve its objectives (3.2.5) Note 1 to entry: The concept of organization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sole-trader, company, corporation, firm, enterprise, authority, partnership, charity or institution, or part or combination thereof, whether incorporated or not, public or private. 3.1.5 top management person or group of people who directs and controls an organization (3.1.4) at the highest level Note 1 to entry: Top management has the power to delegate authority and provide resources within the organization. Note 2 to entry: If the scope of the management system (3.1.1)

2 인용표준 인용표준은 없다. 3 용어와 정의 [참고] 이 표준의 용어와 정의는 경영시스템표준 (MSS) 간의 용어 일치를 위해 KS Q ISO 9000:2015의 용어를 최대한 적용하였다. 이 표준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의 용어와 정의를 적용한다. 3.1 조직 및 리더십 관련 용어 3.1.1 경영시스템 (management system) 방침과 목표 (3.2.5)를 수립하고, 그 목표의 달성을 위한 프로세스 (3.3.5)를 수립하는, 조 직(3.1.4)의 상호 관련되거나 상호작용하는 조직 요소의 집합 비고 1 경영시스템은 하나 또는 다수의 분야를 다룰 수 있다(예: 품질, 환경, 산업안전보건, 에너지, 재무 경영). 비고 2 시스템 요소에는 조직구조, 역할 및 책임, 기획 및 운용, 성과평가 및 개선이 포함된다. 비고 3 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에는 조직 전체, 조직의 특정한 그리고 파악된 기능, 조직의 특정한 그리고 파악된 부문, 또는 조직 그룹 전체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3.1.2 환경경영시스템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환경측면 (3.2.2)을 관리하고, 준수의무사항 (3.2.9)을 충족하며, 리스크 및 기회 (3.2.11)를 다루기 위한 경영시스템 (3.1.1)의 일부 3.1.3 환경방침 (environmental policy) 최고경영자 (3.1.5)에 의해 공식적으로 제시된 환경성과 (3.4.11)와 관련된 조직 (3.1.4)의 의도 및 방향 3.1.4 조직 (organization) 조직의 목표 (3.2.5) 달성에 책임, 권한 및 관계가 있는 자체의 기능을 가진 사람 또는 사람의 집단 비고 조직의 개념은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개인사업자, 회사, 법인, 상사, 기업, 당국, 파트너십, 협회, 자선단체 또는 기구, 혹은 이들이 통합이든 아니든 공적이든 사적이든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 3.1.5 최고경영자 (top management) 최고의 계층에서 조직 (3.1.4)을 지휘하고 관리하는 사람 또는 그룹 비고 1 최고경영자는 조직 내에서 권한을 위임하고

covers only part of an organization, then top management refers to those who direct and control that part of the organization. 3.1.6 interested party person or organization (3.1.4) that can affect, be affected by, or perceive itself to be affected by a decision or activity EXAMPLE Customers, communities, suppliers, regulator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vestors and employees. Note 1 to entry: To “perceive itself to be affected” means the perception has been made known to the organization. 3.2 Terms related to planning 3.2.1 Environment surroundings in which an organization (3.1.4) operates, including air, water, land, natural resources, flora, fauna, humans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Note 1 to entry: Surroundings can extend from within an organization to the local, regional and global system. Note 2 to entry: Surroundings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biodiversity, ecosystems, climate or other characteristics. 3.2.2 environmental aspect element of an organization’s (3.1.4) activities or products or services that interacts or can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3.2.1) Note 1 to entry: An environmental aspect can cause (an) environmental impact(s) (3.2.4). A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 is one that has or can have one or more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s). Note 2 to entry: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are determined by the organization applying one or more criteria. 3.2.3 environmental condition state or characteristic of the environment (3.2.1) as determined at a certain point in time 3.2.4 environmental impact change to the environment (3.2.1), whether adverse or beneficial, wholly or partially resulting from an organization’s (3.1.4) environmental aspects (3.2.2) 3.2.5 objective result to be achieved Note 1 to entry: An objective can be strategic, tactical, or operational. Note 2 to entry: Objectives can relate to different disciplines (such as financial, health and safety, and environmental goals) and can apply at different levels (such as strategic, organization-wide, project, product, service and process

자원을 제공할 힘을 갖는다. 비고 2 경영시스템 (3.1.1)의 적용범위가 단지 조직의 일부만을 포함하는 경우, 조직의 그 일부분을 지휘하고 관리하는 사람들을 최고경영자라고 부를 수 있다. 3.1.6 이해관계자 (interested party) 의사결정 또는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자신이 영향을 받는다는 인식을 할 수 있는 사람 또는 조직 (3.1.4) 보기 고객, 공동체, 공급자, 규제당국, 민간단체 (NGO), 투자자 및 종업원 비고 “그들 자신이 영향을 받는다고 인식한다”는 것은 이러한 인식이 조직에게 알려진 것을 의미한다. 3.2 기획 관련 용어 3.2.1 환경 (environment) 조직 (3.1.4)이 운용되는 주변여건 (공기, 물, 토양, 천연자원, 식물군(群), 동물군, 인간 및 이들 요소 간의 상호관계를 포함) 비고 1 주변여건이란 조직 (3.16) 내부에서부터 국지적 (local), 지역적 (regional), 전 지구적인 시스템까지 확대될 수 있다. 비고 2 주변여건은 생물다양성, 생태계, 기후 또는 기타 특성으로 표현될 수 있다. 3.2.2 환경측면 (environmental aspect) 환경 (3.2.1)과 상호작용하거나 상호작용할 수 있는 조직 (3.1.4)의 활동 또는 제품 또는 서비스 요소 비고 1 환경측면은 환경영향 (3.2.4)을 야기할 수 있다. 중대한 환경측면이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대한 환경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수 있는 측면을 말한다. 비고 2 중대한 환경측면은 조직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결정한다. 3.2.3 환경여건 (environmental condition) 어떤 시점에서 결정된 환경 (3.2.1)의 상태 또는 특성 3.2.4 환경영향 (environmental impact) 조 직(3.1.4)의 환경측면 (3.2.2)에 의해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환경 (3.2.1)에 좋은 영향을 미치거나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환경 변화 3.2.5 목표 (objective) 달성되어야 할 결과 비고 1 목표는 전략적, 전술적 또는 운용적일 수 있다. 비고 2 목표는 다른 분야 (재무, 산업안전보건, 그리고 환경목표)와 관련될 수 있고, 상이한 계층[전략적, 조직 전반, 프로젝트, 제품, 서비스 그리고 프로세스 (3.3.5)]에 적용될 수 있다.

(3.3.5)). Note 3 to entry: An objective can be expressed in other ways, e.g. as an intended outcome, a purpose, an operational criterion, as an environmental objective (3.2.6), or by the use of other words with similar meaning (e.g. aim, goal, or target). 3.2.6 environmental objective objective (3.2.5) set by the organization (3.1.4) consistent with its environmental policy (3.1.3) 3.2.7 prevention of pollution use of processes (3.3.5), practices, techniques, materials, products, services or energy to avoid, reduce or control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the creation, emission or discharge of any type of pollutant or waste, in order to reduce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3.2.4) Note 1 to entry: Prevention of pollution can include source reduction or elimination; process, product or service changes; efficient use of resources; material and energy substitution; reuse; recovery; recycling, reclamation; or treatment. 3.2.8 requirement need or expectation that is stated, generally implied or obligatory Note 1 to entry: “Generally implied” means that it is custom or common practice for the organization (3.1.4) and interested parties (3.1.6) that the need or expectation under consideration is implied. Note 2 to entry: A specified requirement is one that is stated, for example in documented information (3.3.2). Note 3 to entry: Requirements other than legal requirements become obligatory when the organization decides to comply with them. 3.2.9 compliance obligations (preferred term) legal requirements and other requirements (admitted term) legal requirements (3.2.8) that an organization (3.1.4) has to comply with and other requirements that an organization has to or chooses to comply with Note 1 to entry: Compliance obligations are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3.1.2). Note 2 to entry: Compliance obligations can arise from mandatory requirements, such as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or voluntary commitments, such as organizational and industry standards, contractual relationships, codes of practice and agreements with community groups o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3.2.10 risk effect of uncertainty Note 1 to entry: An effect is a deviation from the expected —

비고 3 목표는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도된 결과, 목적(purpose), 운용기준 또는 환경목표 (3.2.6), 또는 비슷한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 (예: 영어의 경우 aim, goal, target)의 사용으로 표현될 수 있다. 3.2.6 환경목표 (environmental objective) 환경방침 (3.1.3)과 일관성이 있게 조직 (3.1.14)이 설정한 목표 (3.2.5) 3.2.7 오염예방 (prevention of pollution) 부정적 환경적 영향 (3.2.4)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형태의 오염물질 또는 폐기물의 발생, 방출 또는 배출의 회피, 저감 또는 관리(분리 또는 조합하여)를 위한 프로세스(3.3.5), 관행, 기술, 재료, 제품, 서비스 또는 에너지의 사용 비고 오염예방에는 발생원의 감소 또는 제거, 프로세스, 제품 또는 서비스의 변경,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재료 및 에너지의 대체, 재사용, 회수, 재활용, 재생이용 및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3.2.8 요구사항 (requirement) 명시적이거나 일반적으로 묵시적이거나 또는 의무적인 니즈 (needs) 또는 기대 비고 1 “일반적으로 묵시적”은 조직 (3.1.4) 및 이해관계자 (3.1.6)의 요구 또는 기대가 묵시적으로 고려되는 관습 또는 일상적인 관행을 의미한다. 비고 2 명시적 요구사항은, 예를 들면 문서화된 정보 (3.3.2)에 명시된 것을 말한다. 비고 3 법규 요구사항 이외의 사항은 조직이 준수하기로 결정한 경우에 의무적인 요구사항이 된다. 비고 4 KS Q ISO 9000:2015 참조 비고 5 ISO 14001:2015에서는 “need”로 표현되어 있으나, 문맥상 “니즈 (needs)”로 번역함. 3.2.9 준수의무사항 (compliance obligations, 표준용어) 법적 요구사항 및 그 밖의 요구사항 (legal requiremetns and other requirements, 허용용어) 조직 (3.1.4)이 준수해야 하는 법적 요구사항 (3.2.8)과 조직이 준수해야 하거나 준수하기로 선택한 그 밖의 요구사항 비고 1 준수의무사항은 환경경영시스템 (3.1.2)과 관련이 있다. 비고 2 준수의무사항은 적용 가능한 법규나 규제에 따른 의무 요구사항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거나, 또는 회사 및 산업 표준, 계약 관계, 실행 규칙 (code of practice) 그리고 지역사회 그룹이나 NGO와의 합의 등 자발적인 서약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3.2.10 리스크 (risk) 불확실성의 영향 (effect) 비고 1 영향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예상한

positive or negative. Note 2 to entry: Uncertainty is the state, even partial, of deficiency of information related to, understanding or knowledge of, an event, its consequence, or likelihood. Note 3 to entry: Risk is often characterized by reference to potential “events” (as defined in ISO Guide 73:2009, 3.5.1.3) and “consequences” (as defined in ISO Guide 73:2009, 3.6.1.3), or a combination of these. Note 4 to entry: Risk is often expressed in terms of a combination of the consequences of an event (including changes in circumstances) and the associated “likelihood” (as defined in ISO Guide 73:2009, 3.6.1.1) of occurrence. 3.2.11 risks and opportunities potential adverse effects (threats) and potential beneficial effects (opportunities) 3.3 Terms related to support and operation 3.3.1 competence ability to apply knowledge and skills to achieve intended results 3.3.2 documented information information required to be controlled and maintained by an organization (3.1.4) and the medium on which it is contained Note 1 to entry: Documented information can be in any format and media, and from any source. Note 2 to entry: Documented information can refer to: —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3.1.2), including related processes (3.3.5); — information created in order for the organization to operate (can be referred to as documentation); — evidence of results achieved (can be referred to as records). 3.3.3 life cycle consecutive and interlinked stages of a product (or service) system, from raw material acquisition or generation from natural resources to final disposal Note 1 to entry: The life cycle stages include acquisition of raw materials, design, production, transportation/delivery, use, end-of-life treatment and final disposal. [SOURCE: ISO 14044:2006, 3.1, modified ― The words “(or service)” have been added to the definition and Note 1 to entry has been added.] 3.3.4 outsource (verb) make an arrangement where an external organization (3.1.4) performs part of an organization’s function or process (3.3.5) Note 1 to entry: An external organization is outside the scope of the management system (3.1.1), although the outsourced function or process is within the scope. 3.3.5 process

것으로부터 벗어난 것이다. 비고 2 불확실성은 사건, 사건의 결과 또는 가능성에 대한 이해 또는 지식에 관련된 정보의 부족, 심지어 부분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비고 3 리스크는 흔히 잠재적인 “사건” (ISO Guide 73:2009, 3.5.1.3)과 “결과” (ISO Guide 73:2009, 3.6.1.3),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특징지어진다. 비고 4 리스크는 사건의 결과 (주변환경의 변화를 포함하는)와 그 사건 결과에 연관된 발생 “가능성” (ISO Guide 73:2009, 3.6.1.1에 정의된 의미로)의 조합으로 종종 표현된다. 3.2.11 리스크와 기회 (risks and opportunities) 잠재적 악영향( 위협)과 잠재적 유익한 결과(기회) 3.3 지원 및 운용 관련 용어 3.3.1 역량 (competence) 의도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는 능력 3.3.2 문서화된 정보 (documented information) 조직 (3.1.4)에 의해 관리되고 유지되도록 요구되는 정보와 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매체 비고 1 문서화된 정보는 어떠한 형태 및 매체일 수 있으며, 어떠한 출처로부터 올 수 있다. 비고 2 문서화된 정보는 다음으로 언급될 수 있다. — 관련 프로세스 (3.3.5)를 포함하는 환경경영시스템 (3.1.2) — 조직에서 운용하기 위해서 만든 정보 (문서화로 언급될 수 있음) — 달성된 결과의 증거 (기록으로 언급될 수 있음) 3.3.3 전과정 (life cycle) 천연자원으로부터 원료의 획득 또는 채취에서 최종 폐기까지의 제품(또는 서비스) 시스템의 연속적이고 상호 연결된 단계 비고 1 전과정 단계에는 원료물질의 채취, 설계, 생산, 운송/배송, 사용, 사용 후 처리 및 최종 폐기가 포함된다. 비고 2 KS I ISO 14025:2007, 3.20 참조 [출처: KS I ISO 14044:2011, 3.1 수정 — 정의에 “(또는 서비스)”를 추가하고, 비고 1을 추가] 3.3.4 외주처리하다 (outsource(verb)) 외부 조직 (3.1.4)이 조직의 기능 또는 프로세스 (3.3.5)의 일부를 수행하도록 하다. 비고 외주처리된 기능 또는 프로세스가 경영시스템 (3.1.1)의 적용범위 내에 있다 하더라도, 외부 조직은 경영시스템 적용범위 밖에 존재한다. 3.3.5

set of interrelated or interacting activities which transforms inputs into outputs Note 1 to entry: A process can be documented or not. 3.4 Terms related to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ment 3.4.1 audit systematic, independent and documented process (3.3.5) for obtaining audit evidence and evaluating it objectively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audit criteria are fulfilled Note 1 to entry: An internal audit is conducted by the organization (3.1.4) itself, or by an external party on its behalf. Note 2 to entry: An audit can be a combined audit (combining two or more disciplines). Note 3 to entry: Independence can be demonstrated by the freedom from responsibility for the activity being audited or freedom from bias and conflict of interest. Note 4 to entry: “Audit evidence” consists of records, statements of fact or other information which are relevant to the audit criteria and are verifiable; and “audit criteria” are the set of policies, procedures or requirements (3.2.8) used as a reference against which audit evidence is compared, as defined in ISO 19011:2011, 3.3 and 3.2 respectively. 3.4.2 conformity fulfilment of a requirement (3.2.8) 3.4.3 nonconformity non-fulfilment of a requirement (3.2.8) Note 1 to entry: Nonconformity relates to requirements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and addit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3.1.2) requirements that an organization (3.1.4) establishes for itself. 3.4.4 corrective action action to eliminate the cause of a nonconformity (3.4.3) and to prevent recurrence Note 1 to entry: There can be more than one cause for a nonconformity. 3.4.5 continual improvement recurring activity to enhance performance (3.4.10) Note 1 to entry: Enhancing performance relates to the us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3.1.2) to enhance environmental performance (3.4.11) consistent with the organization’s (3.1.4) environmental policy (3.1.3). Note 2 to entry: The activity need not take place in all areas simultaneously, or without interruption. 3.4.6 effectiveness extent to which planned activities are realized and planned results achieved

프로세스 (process) 입력을 출력으로 전환하는 상호 관련되거나 상호 작용하는 활동의 집합 비고 프로세스는 문서화될 수도 있고 문서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3.4 성과평가 및 개선 관련 용어 3.4.1 심사 (audit) 심사기준에 충족되는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심사증거를 수집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독립적이며 문서화된 프로세스 (3.3.5) 비고 1 내부 심사는 조직 (3.1.4)이 스스로 수행하거나, 조직을 대신하는 외부 당사자가 수행할 수 있다. 비고 2 심사는 결합심사 (combined audit)(둘 이상의 경영시스템 분야를 결합)가 될 수 있다. 비고 3 독립성은 심사 대상이 되는 활동에 대한 책임으로부터 또는 편견과 이해상충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비고 4 “심사 증거”는 KS Q ISO 19011:2013, 3.3에 정의된 대로 심사기준에 관련되고 검증할 수 있는 기록, 사실의 진술 또는 기타 정보로 구성되며, “심사기준”은 KS Q ISO 19011:2013, 3.2에 정의된 대로 심사 증거를 비교하는 기준으로 사용하는 방침, 절차 또는 요구사항 (3.2.8)의 집합이다. 3.4.2 적합 (conformity) 요구사항 (3.2.8)의 충족 3.4.3 부적합 (nonconformity) 요구사항 (3.2.8)의 불충족 비고 부적합은 이 표준의 요구사항 및 조직 (3.1.4)이 자체적으로 수립한 추가적인 환경경영시스템 (3.1.2) 요구사항과 관련이 있다. 3.4.4 시정조치 (corrective action) 부적합 (3.4.3)의 원인을 제거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 비고 부적합에는 하나 이상의 원인이 있을 수 있다. 3.4.5 지속적 개선 (continual improvement) 성과 (3.4.10)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복하는 활동 비고 1 성과 향상은 조직 (3.1.4)의 환경방침 (3.1.3)과 일관된 환경성과 (3.4.11)의 개선을 위해 환경경영시스템 (3.1.2)을 활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비고 2 활동이 모든 분야에서 동시에, 또는 끊임없이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3.4.6 효과성 (effectiveness) 계획한 활동이 실현되어 계획한 결과가 달성되는 정도

3.4.7 indicator measurable representation of the condition or status of operations, management or conditions [SOURCE: ISO 14031:2013, 3.15] 3.4.8 monitoring determining the status of a system, a process (3.3.5) or an activity Note 1 to entry: To determine the status, there might be a need to check, supervise or critically observe. 3.4.9 measurement process (3.3.5) to determine a value 3.4.10 performance measurable result Note 1 to entry: Performance can relate either to quantitative or qualitative findings. Note 2 to entry: Performance can relate to the management of activities, processes (3.3.5), products (including services), systems or organizations (3.1.4). 3.4.11 environmental performance performance (3.4.10)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 aspects (3.2.2) Note 1 to entry: For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3.1.2), results can be measured against the organization’s (3.1.4) environmental policy (3.1.3), environmental objectives (3.2.6) or other criteria, using indicators (3.4.7).

3.4.7 지표 (indicator) 운용, 경영 또는 여건의 조건 및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대표값 [출처:KS Q ISO 14031:2013, 3.15] 3.4.8 모니터링 (monitoring) 시스템, 프로세스 (3.3.5) 또는 활동의 상태를 규명 (determine)하는 것. 비고 상태를 규명 (determine)하기 위해서는 확인, 감독 또는 심도 있는 관찰이 필요할 수 있다. 3.4.9 측정 (measurement) 하나의 값을 결정하는 프로세스 (3.3.5) 3.4.10 성과 (performance) 측정 가능한 결과 비고 1 성과는 정량적 또는 정성적 발견사항과 관련될 수 있다. 비고 2 성과는 활동, 프로세스 (3.3.5), 제품 (서비스 포함), 시스템 또는 조직 (3.1.4)의 경영에 관련될 수 있다. 3.4.11 환경성과 (environmental performance) 환경측면 (3.2.2)의 관리 (management)와 관련된 성과 (3.4.10) 비고 환경경영시스템 (3.1.2)에 대하여, 결과는 지표 (3.4.7)를 사용하여 조직 (3.1.4)의 환경방침 (3.1.3), 환경목표 (3.2.6) 또는 그 밖의 기준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4 Context of the organization 4.1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and its context The organization shall determine external and internal issues that are relevant to its purpose and that affect its ability to achieve the intended outcomes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Such issues shall include environmental conditions being affected by or capable of affecting the organization. 4.2 Understanding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interested parties The organization shall determine: a) the interested parties that are relevant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b) the relevant needs and expectations (i.e. requirements) of these interested parties; c) which of these needs and expectations become its compliance obligations. 4.3 Determining the scop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organization shall determine the boundaries and applicability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o establish its scope. When determining this scope, the organization shall consider: a) the external and internal issues referred to in 4.1; b) the compliance obligations referred to in 4.2; c) its organizational units, functions and physical boundaries; d) its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e) its authority and ability to exercise control and influence. Once the scope is defined, all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of the organization within that scope need to be included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scope shall be maintained as documented information and be available to interested parties. 4.4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o achieve the intended outcomes, including enhancing its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organization shall establish, implement, maintain and continually improve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processes needed and their intera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he organization shall consider the knowledge gained in 4.1 and 4.2 whe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5 Leadership 5.1 Leadership and commitment Top management shall demonstrate leadership and commitme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by: a) taking accountability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4 조직 상황 4.1 조직과 조직 상황의 이해 조직은 조직의 목적과 관련이 있고, 환경경영시스템의 의도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능력에 영향이 있는 내부 및 외부의 이슈를 규명 (determine) 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슈에는 조직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여건 (environmental condition)이 포함되어야 한다. 4.2 이해관계자의 니즈 (needs)와 기대 이해 조직은 다음을 규명 (determine) 하여야 한다. a)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이 있는 이해관계자 b) 이러한 이해관계자의 니즈 (needs)와 기대 (즉, 요구사항) c) 이러한 니즈 (needs)와 기대에서 비롯된 조직의 준수의무사항 4.3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결정 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를 결정 (establish)하기 위해 환경경영시스템의 경계와 적용가능성을 규명 (determine) 하여야 한다. 적용범위를 결정할 때, 조직은 다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a) 4.1에 언급된 외부 및 내부 이슈 b) 4.2에 언급된 준수의무사항 c) 조직의 부서단위, 기능 및 물리적 경계 d)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 e) 관리와 영향을 행사하기 위한 조직의 권한과 능력 적용범위가 결정 (define) 되면, 이 적용범위 내 조직의 모든 활동, 제품 및 서비스를 환경경영시스템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이 적용범위는 문서화된 정보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해관계자가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4.4 환경경영시스템 의도된 결과(환경성과 향상을 포함하는)를 달성하기 위해, 조직은 이 표준의 요구사항에 따라 필요한 여러 프로세스와 이 프로세스 간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환경경영시스템을 수립, 실행,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조직이 환경경영시스템을 수립하고 유지할 때에는 4.1과 4.2에서 습득한 지식을 고려하여야 한다. 5 리더십 5.1 리더십과 의지표명 최고경영자는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리더십과 의지를 다음을 통해 표명 (demonstrate)하여야 한다. a)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성에 대한 책무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b) ensuring that the environmental policy and environmental objectives are established and are compatible with the strategic direction and the context of the organization; c) ensuring the integration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requirements into the organization’s business processes;d) ensuring that the resources needed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re available; e) communicating the importance of effe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of conforming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requirements; f) ensuring that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chieves its intended outcomes; g) directing and supporting persons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h) promoting continual improvement; i) supporting other relevant management roles to demonstrate their leadership as it applies to their areas of responsibility. NOTE Reference to “business”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can be interpreted broadly to mean those activities that are core to the purposes of the organization’s existence. 5.2 Environmental policy Top management shall establish, implement and maintain an environmental policy that, within the defined scope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 is appropriate to the purpose and context of the organization, including the nature, scale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its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b) provides a framework for setting environmental objectives; c) includes a commitment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including prevention of pollution and other specific commitment(s) relevant to the context of the organization; NOTE Other specific commitment(s) to protect the environment can include sustainable resource use,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and protection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s. d) includes a commitment to fulfil its compliance obligations; e) includes a commitment to continual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o enhance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environmental policy shall: — be maintained as documented information; — be communicated within the organization; — be available to interested parties. 5.3 Organizational roles,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Top management shall ensure that the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for relevant roles are assigned and communicated within the organization. Top management shall assign th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for: a) ensuring that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conforms to the requirement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b) report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environmental

(accountability)를 짐. b) 환경방침과 환경목표가 수립되고, 이들이 조직의 전략방향과 상황에 부합됨을 보장 c)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을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통합함을 보장 d) 환경경영시스템에 필요한 자원이 가용함을 보장 e) 효과적인 환경경영의 중요성과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에 적합함의 중요성을 의사 소통 f) 환경경영시스템이 그 의도한 결과를 달성함을 보장 g)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성에 기여하도록 인원을 지휘하고 지원함. h) 지속적인 개선을 촉진 i) 기타 관련 책임분야에 리더십이 적용될 때, 그들의 리더십을 실증하도록 그 경영자 역할에 대한 지원 [출처: KS Q ISO 9001:2015] 비고 이 표준에서 “비즈니스”라 함은 조직의 존재 목적의 핵심이 되는 활동들을 광범위하게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5.2 환경방침 최고경영자는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 적용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은 환경방침을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a) 조직의 활동, 제품, 서비스의 성격 (nature), 규모 및 환경영향을 포함한, 조직의 목적과 상황에 적절할 것. b) 환경목표를 설정하는 틀을 제공할 것. c) 조직의 상황에 관련이 있는 오염예방과 그 밖의 구체적인 (specific) 의지를 포함한, 환경보호에 대한 의지를 포함할 것. 비고 환경보호를 위한 ‘그 밖의 구체적인 (specific) 의지’에는 지속 가능한 자원 사용, 기후변화의 완화와 적응,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의 보호가 포함될 수 있다. d) 조직의 준수의무사항을 충족한다는 의지를 포함할 것. e) 환경성과의 향상을 위해 환경경영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에 대한 의지를 포함할 것. 환경방침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 문서화된 정보로 유지되어야 함. — 조직 내에서 의사 소통되어야 함. — 이해관계자가 이용 가능해야 함. 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최고경영자는 관련 역할 (relevant roles)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고 조직 내에서 의사 소통됨을 보장하여야 한다. 최고경영자는 다음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여야 한다. a) 환경경영시스템이 이 표준의 요구사항에 적합함을 보장 b) 환경성과를 포함한 환경경영시스템의 성과를

management system, includ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to top management. 6 Planning 6.1 Actions to address risks and opportunities 6.1.1 General The organization shall establish, implement and maintain the process(es) needed to meet the requirements in 6.1.1 to 6.1.4. When planning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organization shall consider: a) the issues referred to in 4.1; b) the requirements referred to in 4.2; c) the scope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determine the risks and opportunities, related to its environmental aspects (see 6.1.2), compliance obligations (see 6.1.3) and other issues and requirements, identified in 4.1 and 4.2, that need to be addressed to: — give assurance that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can achieve its intended outcomes; — prevent or reduce undesired effects, including the potential for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to affect the organization; — achieve continual improv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organization shall determine potential emergency situations, including those that can have an environmental impact. The organization shall maintain documented information of its:— risks and opportunities that need to be addressed; — process(es) needed in 6.1.1 to 6.1.4, to the extent necessary to have confidence they are carried out as planned. 6.1.2 Environmental aspects Within the defined scop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organization shall determine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its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that it can control and those that it can influence, and their associated environmental impacts, considering a life cycle perspective. When determining environmental aspects, the organization shall take into account: a) change, including planned or new developments, and new or modified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b) abnormal conditions and reasonably foreseeable emergency situations. The organization shall determine those aspects that have or can have a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 i.e.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by using established criteria. The organization shall communicate its significant

최고경영자에게 보고 6 기획 6.1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는 조치 6.1.1 일반사항 조직은 6.1.1부터 6.1.4까지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를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환경경영시스템을 기획할 때, 조직은 다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a) 4.1에 언급된 이슈 b) 4.2에 언급된 요구사항 c)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 적용범위 그리고 환경측면 (6.1.2 참조), 준수의무사항 (6.1.3 참조) 그리고 4.1 및 4.2에 명시된 기타 이슈 및 요구사항과 관련된 리스크 및 기회를 규명 (determine) 하여야 한다. 조직은 이를 통해 다음을 다룰 필요가 있다. — 환경경영시스템이 의도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음에 대한 확신을 줌. — 조직에 영향을 주는 외부 환경여건의 잠재가능성을 포함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킴. — 지속적인 개선을 달성함.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내에서 조직은 환경영향이 있을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하는 잠재적인 비상상황을 규명 (determine) 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음 사항에 대해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리스크 및 기회 — 6.1.1부터 6.1.4에서 요구된 (needed) 프로세스 (계획대로 실행되고 있음을 확신하는 데 필요한 수준으로) 6.1.2 환경측면 환경경영시스템의 결정된 (defined) 적용범위 내에서 전과정 관점을 고려하여, 조직이 관리할 수 있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의 환경측면과 그와 연관된 환경영향을 규명 (determine) 하여야 한다. 환경측면을 규명 (determine)할 때 조직은 다음을 반영 (take into account)하여야 한다. a) 계획된 또는 새로 수립된 변경사항, 그리고 신규 또는 수정된 (modified) 활동, 제품 및 서비스 b) 비정상적인 조건 및 합리적으로 예측 가능한 비상상황 조직은 수립된 기준을 활용하여,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가능성이 있는 측면, 즉, 중대한 환경측면을 규명 (determine) 하여야 한다.

environmental aspects among the various levels and functions of the organization, as appropriate. The organization shall maintain documented information of its:— environmental aspects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impacts; — criteria used to determine its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NOTE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can result in risks and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either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threats) or beneficial environmental impacts (opportunities). 6.1.3 Compliance obligations The organization shall: a) determine and have access to the compliance obligations related to its environmental aspects; b) determine how these compliance obligations apply to the organization; c) take these compliance obligations into account when establishing, implementing, maintaining and continually improving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organization shall maintain documented information of its compliance obligations. NOTE Compliance obligations can result in risks and opportunities to the organization. 6.1.4 Planning action The organization shall plan: a) to take actions to address its: 1)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2) compliance obligations; 3) risks and opportunities identified in 6.1.1; b) how to: 1) integrate and implement the actions into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processes (see 6.2, Clause 7, Clause 8 and 9.1), or other business processes; 2)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se actions (see 9.1). When planning these actions, the organization shall consider its technological options and its financial, operational and business requirements. 6.2 Environmental objectives and planning to achieve them 6.2.1 Environmental objectives The organization shall establish environmental objectives at

조직은 적절한 수준에서 (as appropriate), 중대한 환경측면을 조직의 다양한 계층과 부서 (function)들과 의사 소통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음을 문서화된 정보로 유지하여야 한다. — 환경측면 및 관련된 환경영향 — 조직의 중대한 환경측면을 규명 (determine)하는 데 사용한 기준 — 중대한 환경측면 비고 중대한 환경측면은 환경 악영향 (위협) 또는 유익한 환경영향 (기회)과 관련된 리스크 및 기회로 귀결될 수 있다. 6.1.3 준수의무사항 조직은 다음을 실행해야 한다. a) 환경측면과 관련된 준수의무사항을 규명 (determine)하고 그것에 접근 (access)할 수 있어야 함. b) 이러한 준수의무사항이 어떻게 조직에 적용되는지를 규명 (determine) 하여야 함. c)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을 수립, 실행, 유지 및 지속적으로 개선할 때, 이러한 준수의무사항을 반영(take into account) 하여야 함. 조직은 조직의 준수의무사항과 관련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비고 준수의무사항은 조직의 리스크 및 기회로 귀결될 수 있다. 6.1.4 조치 계획 조직은 다음을 계획하여야 한다. a) 다음 사항을 다루기 위한 조치 1) 중대한 환경측면 2) 준수의무사항 3) 6.1.1에서 파악된 리스크 및 기회 b) 다음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 상기 조치를 어떻게 환경경영시스템 프로세스 (6.2, 7절, 8절 및 9.1 참조)에 또는 다른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통합하고 실행할 것인가 2) 이러한 조치의 효과성을 어떻게 평가 (9.1 참조)할 것인가 이러한 조치를 계획할 때, 조직은 조직의 기술적 옵션과 조직의 재무적, 운용상 및 사업상 요구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6.2 환경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획 6.2.1 환경목표 조직은 조직의 중대한 환경측면과 이와 관련된

relevant functions and levels, taking into account the organization’s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and associated compliance obligations, and considering its risks and opportunities. The environmental objectives shall be: a) consistent with the environmental policy; b) measurable (if practicable); c) monitored; d) communicated; e) updated as appropriate. The organization shall maintain documented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al objectives. 6.2.2 Planning actions to achieve environmental objectives When planning how to achieve its environmental objectives, the organization shall determine: a) what will be done; b) what resources will be required; c) who will be responsible; d) when it will be completed; e) how the results will be evaluated, including indicators for monitoring progress toward achievement of its measurable environmental objectives (see 9.1.1). The organization shall consider how actions to achieve its environmental objectives can be integrated into the organization’s business processes. 7 Support 7.1 Resources The organization shall determine and provide the resources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maintenance and continual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7.2 Competence The organization shall: a) determine the necessary competence of person(s) doing work under its control that affects its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its ability to fulfil its compliance obligations; b) ensure that these persons are competent on the basis of appropriate education, training or experience; c) determine training needs associated with its environmental aspects and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d) where applicable, take actions to acquire the necessary competence,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ons taken. NOTE Applicable actions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vision of training to, the mentoring of, or the reassignment of currently employed persons; or the hiring or contracting of competent persons. The organization shall retain appropriate documented

준수의무사항 그리고 조직의 리스크와 기회를 고려하여, 관련 부서와 계층에서 환경목표를 수립하여야 한다. 환경목표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a) 환경방침과 일관성이 있음. b) (실행 가능할 경우) 측정 가능하여야 함. c) 모니터링되어야 함. d) 의사 소통되어야 함. e) 해당되는 경우 (as approprate) 최신화되어야 함. 조직은 환경목표에 대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6.2.2 환경목표 달성을 위한 조치 기획 조직의 환경목표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를 기획할 때, 조직은 다음을 규명 (determine) 하여야 한다. a) 무엇을 하여야 하는가 b) 어떤 자원이 필요한가 c) 누가 책임을 질 것인가 d) 언제까지 완료할 것인가 e) 조직의 측정 가능한 환경목표 (9.1.1 참조) 달성에 대한 진척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표를 포함하여, 어떻게 결과를 평가할 것인가 조직은 조직의 환경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을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어떻게 통합할 것인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7 지원 (support) 7.1 자원 (resource) 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의 수립, 실행, 유지와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필요한 자원을 결정하고 제공해야 한다. 7.2 역량 (competence) 조직은 다음을 실행하여야 한다. a) 조직의 환경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와 준수의무사항을 충족시키는 조직의 능력 (a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에 의해 통제되는) 인력에게 필요한 역량 (competence)의 결정 b) 적절한 학력, 교육훈련 또는 경력을 기준으로 해당 인력의 역량이 있음을 보장 c) 환경경영시스템, 환경측면과 관련한 교육훈련 니즈 (needs)를 결정 d) 해당된다면, 필요한 역량 (competence)을 얻기 위한 조치 실행과 실행된 조치의 효과성 평가 비고 해당되는 활동의 예에는 교육훈련의 제공, 멘토링이나, 현재 고용인원의 재배치나 역량이 있는 인원의 고용 (또는 계약)이 포함될 수 있다.

information as evidence of competence. 7.3 Awareness The organization shall ensure that persons doing work under the organization’s control are aware of: a) the environmental policy; b) the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and related actual or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s associated with their work; c) their contribution to the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benefits of enhanced environmental performance; d) the implications of not conforming with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requirements, including not fulfilling the organization’s compliance obligations. 7.4 Communication 7.4.1 General The organization shall establish, implement and maintain the process(es) needed for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s relevant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on what it will communicate; b) when to communicate; c) with whom to communicate; d) how to communicate. When establishing its communication process(es), the organization shall: — take into account its compliance obligations; — ensure that environmental information communicated is consistent with information generated with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is reliable. The organization shall respond to relevant communications on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organization shall retain documented information as evidence of its communications, as appropriate. 7.4.2 Internal communication The organization shall: a) internally communicate information relevant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mong the various levels and functions of the organization, including changes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s appropriate; b) ensure its communication process(es) enable(s) persons doing work under the organization’s control to contribute to continual improvement. 7.4.3 External communication The organization shall externally communicate information relevant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s established by the organization’s communication process(es) and as required by its compliance obligations.

조직은 역량 (competence)의 증거로, 적절히 문서화된 정보를 보유해야 한다. 7.3 인식 조직은 조직의 관리 하에 업무를 수행하는 인원이 다음을 인식하고 있음을 보장해야 한다. a) 환경방침 b) 그들의 업무와 연관된 중대한 환경측면과 관련된 실제 또는 잠재적인 환경영향 c) 향상된 환경성과의 편익을 포함해서,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성에 기여 d) 조직 준수의무사항의 불충족을 포함하여,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의 미준수에 따른 영향 7.4 의사 소통 7.4.1 일반사항 조직은 다음을 포함하는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된 내외부 의사 소통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a) 무엇에 대해 의사 소통할 것인가 b) 언제 의사 소통할 것인가 c) 누구와 의사 소통할 것인가 d) 어떻게 의사 소통할 것인가 의사 소통 프로세스를 수립할 때, 조직은 다음을 실행하여야 한다. — 준수의무사항을 고려 — 의사 소통하는 환경정보가 환경경영시스템 내에서 작성된 정보와 일치하며, 신뢰할 수 있음을 보장 조직은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된 의사 소통에 대해 대응하여야 한다. 조직은 의사 소통의 증거로 문서화된 정보를 적절한 수준에서 (as appropriate) 보유해야 한다. 7.4.2 내부 의사 소통 조직은 다음을 실행하여야 한다. a) 환경경영시스템의 변경을 포함하여, 조직의 다양한 계층과 부서 간에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를 내부적으로 적절한 수준에서 (as appropriate) 의사 소통 b) 조직의 의사 소통 프로세스가 조직의 관리 하에 업무를 수행하는 인원이 지속적인 개선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을 보장 7.4.3 외부 의사 소통 조직은 수립된 조직의 의사 소통 프로세스에 따라, 그리고 준수의무사항에서 요구하는 바 대로,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와 의사 소통하여야 한다.

7.5 Documented information 7.5.1 General The organization’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shall include: a) documented information required by this International Standard; b) documented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organization as being necessary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NOTE The extent of documented information for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can differ from one organization to another due to: — the size of organization and its type of activities, processes, products and services; — the need to demonstrate fulfilment of its compliance obligations; — the complexity of processes and their interactions; — the competence of persons doing work under the organization’s control. 7.5.2 Creating and updating When creating and updating documented information, the organization shall ensure appropriate: a) identification and description (e.g. a title, date, author, or reference number); b) format (e.g. language, software version, graphics) and media (e.g. paper, electronic); c) review and approval for suitability and adequacy. 7.5.3 Control of documented information Documented information required by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by this International Standard shall be controlled to ensure: a) it is available and suitable for use, where and when it is needed; b) it is adequately protected (e.g. from loss of confidentiality, improper use, or loss of integrity). For the control of documented information, the organization shall address the following activities as applicable: — distribution, access, retrieval and use; — storage and preservation, including preservation of legibility; — control of changes (e.g. version control); — retention and disposition. Documented information of external origin determined by the organization to be necessary for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shall be identified, as appropriate, and controlled. NOTE Access can imply a decision regarding the permission to view the documented information only, or the permission and authority to view and change the documented information.

7.5 문서화된 정보 7.5.1 일반사항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하여야 한다. a) 이 표준에서 요구하는 문서화된 정보 b)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성을 위해 조직이 필요하다고 결정한 문서화된 정보 비고 환경경영시스템을 위한 문서화된 정보의 범위는 다음에 의해 조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조직의 규모와 조직의 활동, 프로세스, 제품 및 서비스의 유형 — 조직의 준수의무사항 충족에 대한 증명의 필요성 — 프로세스의 복잡성과 프로세스 간의 상호작용 — 조직의 관리 하에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의 역량 (competence) 7.5.2 작성 (creating) 및 갱신 문서화된 정보를 작성 (creating)하고 갱신할 때, 조직은 다음이 적절함을 보장하여야 한다. a) 문서식별 (identification) 및 그 내용 (description )(예: 제목, 날짜, 작성자, 또는 문서번호) b) 형식 (예: 언어, 소프트웨어 버전, 그래픽) 및 매체 (예: 종이, 전자매체) c) 적절성 (suitability) 및 충족성 (adequacy)을 위한 검토 및 승인 7.5.3 문서화된 정보의 관리 환경경영시스템과 이 표준에서 요구하는 문서화된 정보는 다음을 보장하기 위해 관리되어야 한다. a) 필요한 장소 및 필요한 시기에 사용 가능하고 사용하기에 적절함 b) 충분하게 보호됨 [예: 기밀유지의 실패, 부적절한 사용 또는 완전성 (integrity)의 실패로부터]. 문서화된 정보의 관리를 위해 조직은 적용 가능한 경우 다음을 다루어야 한다. — 배포, 접근, 검색 및 사용 — 가독성 (legibility)의 보존을 포함하는 보관 및 보존 — 변경 관리(예: 버전 관리) — 보유 및 폐기 환경경영시스템의 기획 및 운용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조직이 정한 외부 출처의 문서화된 정보는 적절한 수준에서 (as appropriate) 파악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비고 접근이란 문서화된 정보에 대해 보는 것만 허락하거나, 문서화된 정보를 보고 변경하는 허락 및 권한에 관한 결정을 의미할 수 있다.

8 Operation 8.1 Operational planning and control The organization shall establish, implement, control and maintain the processes needed to meet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requirements, and to implement the actions identified in 6.1 and 6.2, by: — establishing operating criteria for the process(es); — implementing control of the process(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criteria. NOTE Controls can include engineering controls and procedures. Controls can be implemented following a hierarchy (e.g. elimination, substitution, administrative) and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The organization shall control planned changes and review the consequences of unintended changes, taking action to mitigate any adverse effects, as necessary. The organization shall ensure that outsourced processes are controlled or influenced. The type and extent of control or influence to be applied to the process(es) shall be defined with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Consistent with a life cycle perspective, the organization shall: a) establish controls, as appropriate, to ensure that its environmental requirement(s) is (are) addressed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for the product or service, considering each life cycle stage; b) determine its environmental requirement(s) for the procurement of products and services, as appropriate; c) communicate its relevant environmental requirement(s) to external providers, including contractors; d) consider the ne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potential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s associated with the transportation or delivery, use, end-of-life treatment and final disposal of its products and services. The organization shall maintain documented information to the extent necessary to have confidence that the processes have been carried out as planned. 8.2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The organization shall establish, implement and maintain the process(es) needed to prepare for and respond to potential emergency situations identified in 6.1.1. The organization shall: a) prepare to respond by planning actions to prevent or mitigate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from emergency situations; b) respond to actual emergency situations; c) take action to prevent or mitigate the consequences of emergency situations, appropriate to the magnitude of the emergency and the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 d) periodically test the planned response actions, where practicable;

8 운용 8.1 운용기획 및 관리 (control) 조직은 다음을 통하여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6.1 및 6.2에 명시된 조치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를 수립, 실행, 관리 및 유지하여야 한다. — 프로세스를 위한 운용기준 수립 — 운용기준에 부합하는 프로세스 관리를 실행 비고 관리에는 공학적 관리 (engineering control) 및 절차가 포함될 수 있다. 관리는 위계 [hierarchy, 예: 제거, 대체, 운용관리 (administrative)]에 따라 실행될 수 있고, 이 위계의 부분 또는 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조직은 계획된 변경사항을 관리하고, 의도하지 않은 변경사항의 결과를 검토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모든 악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조직은 외주처리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장하여야 한다. 이 프로세스에 적용될 관리나 영향의 유형과 범위는 환경경영시스템 내에 정의되어야 한다. 전과정 관점과 일관되게, 조직은 다음을 수행하여야 한다. a) 조직의 환경 요구사항이 각 전과정 단계를 고려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설계 및 개발 프로세스에서 다루어짐을 보장하기 위해 관리방법 (controls)을 적절한 수준에서 (as appropriate) 수립 b) 제품 및 서비스의 구매에 대한 조직의 환경 요구사항을 적절한 수준에서 (as appropriate) 결정 c) 조직의 관련 환경 요구사항을 계약자를 포함한 외부 공급자와 의사 소통 d) 조직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운송 또는 배송, 사용, 사용 후 처리 및 최종 폐기와 관련된 잠재적인 중대한 환경영향에 대한 정보의 제공 필요성을 고려 조직은 프로세스가 계획된 대로 실행되었음을 확신할 수 있는 범위까지 필요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8.2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조직은 6.1.1에서 파악된 잠재적인 비상상황에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필요한 프로세스를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음을 수행하여야 한다. a) 비상상황으로부터 환경 악영향을 예방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치계획을 통한 대응 준비 b) 실제 비상상황에 대응 c) 비상상황에서 비롯된 결과 (consequence)를 예방 또는 완화하기 위해 비상사태와 잠재적인 환경영향의 크기에 적절한 조치 시행 d) 실제적으로 가능한 경우, 계획된 대응 조치를

e) periodically review and revise the process(es) and planned response actions, in particular after the occurrence of emergency situations or tests; f)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as appropriate, to relevant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persons working under its control. The organization shall maintain documented information to the extent necessary to have confidence that the process(es) is (are) carried out as planned. 9 Performance evaluation 9.1 Monitoring, measurement, analysis and evaluation 9.1.1 General The organization shall monitor, measure, analyse and evaluate its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organization shall determine: a) what needs to be monitored and measured; b) the methods for monitoring, measurement, analysis and evaluation, as applicable, to ensure valid results; c) the criteria against which the organization will evaluate its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appropriate indicators; d) when the monitoring and measuring shall be performed; e) when the results from monitoring and measurement shall be analysed and evaluated. The organization shall ensure that calibrated or verified monitoring and measurement equipment is used and maintained, as appropriate. The organization shall evaluate its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organization shall communicate relevant environmental performance information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as identified in its communication process(es) and as required by its compliance obligations. The organization shall retain appropriate documented information as evidence of the monitoring, measurement, analysis and evaluation results. 9.1.2 Evaluation of compliance The organization shall establish, implement and maintain the process(es) needed to evaluate fulfillment of its compliance obligations. The organization shall: a) determine the frequency that compliance will be evaluated; b) evaluate compliance and take action if needed; c) maintai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its compliance status. The organization shall retain documented information as evidence of the compliance evaluation result(s).

주기적으로 연습 (test) e) 특히, 비상사태 발생 또는 연습 (test) 실시 이후, 주기적으로 대응 프로세스와 계획된 대응조치를 검토하고 개정 f)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과 관련된 타당한 정보와 교육훈련을 조직의 관리 하에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을 포함한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적절한 수준에서 (as appropriate) 제공 조직은 프로세스가 계획된 대로 실행됨을 확신할 수 있는 범위까지 필요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9 성과평가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9.1.1 일반사항 조직은 조직의 환경성과를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음을 결정하여야 한다. a) 무엇을 모니터링하고 측정할 필요가 있는가 b) 유효한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방법 c) 조직이 조직의 환경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과 적절한 지표 d) 언제 모니터링 및 측정을 수행할 것인가 e) 언제 모니터링 및 측정 결과를 분석하고 평가할 것인가 조직은 적절한 수준에서 (as appropriate), 교정되거나 검증된 모니터링 및 측정 장비를 사용하고 유지하고 있음을 보장하여야 한다. 조직은 조직의 환경성과와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조직은 관련 환경성과 정보를 조직의 의사 소통 프로세스와 조직의 준수의무사항의 요구에 따라 내부와 외부에 의사 소통하여야 한다. 조직은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결과의 증거로 적절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9.1.2 준수평가 조직은 조직의 준수의무사항을 충족함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를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음을 수행하여야 한다. a) 준수평가의 빈도를 결정 b) 준수평가를 수행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함 c) 조직의 준수 상황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유지 조직은 준수평가 결과의 증거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9.2 Internal audit 9.2.1 General The organization shall conduct internal audits at planned intervals to provi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 conforms to: 1) the organization’s own requirements for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2) the requirement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b) is effectively implemented and maintained. 9.2.2 Internal audit programme The organization shall establish, implement and maintain (an) internal audit programme(s), including the frequency, methods, responsibilities, planning requirements and reporting of its internal audits. When establishing the internal audit programme, the organization shall take into consideration the environmental importance of the processes concerned, changes affecting the organization and the results of previous audits. The organization shall: a) define the audit criteria and scope for each audit; b) select auditors and conduct audits to ensure objectivity and the impartiality of the audit process; c) ensure that the results of the audits are reported to relevant management. The organization shall retain documented information as evidenc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audit programme and the audit results. 9.3 Management review Top management shall review the organization’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t planned intervals, to ensure its continuing suitability, adequacy and effectiveness. The management review shall include consideration of: a) the status of actions from previous management reviews; b) changes in: 1) external and internal issues that are relevant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2)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compliance obligations; 3) its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4) risks and opportunities; c) the extent to which environmental objectives have been achieved; d) information on the organization’s environmental performance, including trends in: 1) nonconformities and corrective actions; 2) monitoring and measurement results;

9.2 내부심사 9.2.1 일반사항 조직은 다음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계획된 주기에 따라 내부심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a) 환경경영시스템이 다음 사항에 적합한지 1)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조직 자체의 요구사항 2) 이 표준의 요구사항 b) 환경경영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유지되는지 9.2.2 내부심사 프로그램 조직은 내부심사의 빈도, 방법, 책임, 계획 요구사항과 보고를 포함하는 내부심사 프로그램을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내부심사 프로그램을 수립할 때 조직은 관련 프로세스의 환경적 중요성, 조직에 영향을 주는 변경사항 및 이전 심사의 결과를 고려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음을 수행하여야 한다. a) 각 심사별 심사기준 및 범위를 결정 b) 심사 프로세스의 객관성과 공평성 (impartiality)을 보장하기 위해 심사원을 선정하고 심사를 수행 c) 심사결과가 관련 경영자에게 보고됨을 보장 조직은 심사프로그램의 실행과 심사결과의 증거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9.3 경영검토 최고경영자는 조직의 지속적인 적절성 (suitability), 충족성 (adequacy) 및 효과성 (effectiveness)을 보장하기 위하여 계획된 주기로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을 검토하여야 한다. 경영검토에는 다음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여야 한다. a) 이전 경영검토에서 취한 조치의 상황 b) 다음의 변경사항 1)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된 외부 및 내부 이슈 2) 준수의무사항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니즈 (needs)와 기대 3) 조직의 중대한 환경측면 4) 리스크와 기회 c) 환경목표의 달성 정도 d) 조직의 환경성과에 대한 정보(다음 항목에서의 경향을 포함한) 1) 부적합 및 시정조치 2) 모니터링 및 측정 결과

3) fulfilment of its compliance obligations; 4) audit results; e) adequacy of resources; f) relevant communication(s) from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complaints; g) opportunities for continual improvement. The outputs of the management review shall include: — conclusions on the continuing suitability, adequacy and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 decisions related to continual improvement opportunities; — decisions related to any need for changes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cluding resources; — actions, if needed, when environmental objectives have not been achieved; — opportunities to improve integration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with other business processes, if needed; — any implications for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 shall retain documented information as evidence of the results of management reviews. 10 Improvement 10.1 General The organization shall determine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see 9.1, 9.2 and 9.3) and implement necessary actions to achieve the intended outcomes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10.2 Nonconformity and corrective action When a nonconformity occurs, the organization shall: a) react to the nonconformity and, as applicable: 1) take action to control and correct it; 2) deal with the consequences, including mitigating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b) evaluate the need for action to eliminate the causes of the nonconformity, in order that it does not recur or occur elsewhere, by: 1) reviewing the nonconformity; 2) determining the causes of the nonconformity; 3) determining if similar nonconformities exist, or could potentially occur; c) implement any action needed; d) review the effectiveness of any corrective action taken; e) make changes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f necessary. Corrective actions shall be appropriate to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s of the nonconformities encountered, includ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The organization shall retain documented information as evidence of:

3) 준수의무사항 충족 4) 심사결과 e) 자원의 충족성 (adequacy) f) 불만을 포함한 이해관계자로부터의 의사 소통 g) 지속적 개선 기회 경영검토의 결과물에는 다음이 포함되어야 한다. — 환경경영시스템의 지속적인 적절성 (suitability), 충족성 (adequacy) 및 효과성 (effectiveness)에 대한 결론 — 지속적 개선 기회와 관련된 의사결정 — 자원을 포함한 환경경영시스템 변경 필요성과 관련된 의사결정 — 환경목표가 달성되지 않은 경우 필요한 조치 — 필요할 경우, 환경경영시스템과 다른 비즈니스 프로세스와의 통합체계 (integration)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 — 조직의 전략적 방향에 대한 영향 (any implications) 조직은 경영검토의 결과의 증거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10 개선 10.1 일반사항 조직은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의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개선의 기회를 규명 (determine) 하고 (9.1, 9.2 및 9.3 참조), 필요한 활동을 실행하여야 한다. 10.2 부적합 및 시정조치 부적합이 발생한 경우, 조직은 다음을 수행하여야 한다. a) 부적합에 대응하여야 하며, 적용 가능한 경우 다음을 수행 1) 부적합을 관리하고 시정하기 위한 조치를 취함 2) 결과 (consequences) 처리 (환경 악영향의 완화를 포함) b) 부적합이 재발하거나 다른 곳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다음을 통해 부적합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조치의 필요성을 평가 1) 부적합을 검토 2) 부적합의 원인을 규명 (determining) 3) 유사한 부적합이 존재하는지, 또는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지를 규명 (determining)

c) 필요한 모든 조치를 실행

d) 취해진 모든 시정조치의 효과성을 검토

e) 필요한 경우 환경경영시스템을 변경

시정조치는 환경영향을 포함하여 발생한 부적합의

영향의 중요성에 적절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음의 증거로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 the nature of the nonconformities and any subsequent actions taken; — the results of any corrective action. 10.3 Continual improvement The organization shall continually improve the suitability, adequacy and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o enhance environmental performance.

한다.

— 부적합의 성격(nature) 및 취해진 모든 후속적인

조치

— 모든 시정조치의 결과 10.3 지속적 개선 조직은 환경성과의 개선을 위해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절성(suitability), 충족성 (adequacy) 및 효과성 (effectiveness)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Annex A (informative) Guidance on the use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A.1 General The explanatory information given in this annex is intended to prevent misinterpretation of the requirements contained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While this information addresses and is consistent with these requirements, it is not intended to add to, subtract from, or in any way modify them. The requirements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need to be viewed from a systems or holistic perspective. The user should not read a particular sentence or clause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in isolation from other clauses. There is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requirements in some clauses and the requirements in other clauses. For example, the organization need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itments in its environmental policy and the requirements that are specified in other clauses. Management of change is an important part of maintain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at ensures the organization can achieve the intended outcomes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on an ongoing basis. Management of change is addressed in various requirement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including — maintain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see 4.4), — environmental aspects (see 6.1.2), — internal communication (see 7.4.2), — operational control (see 8.1), — internal audit programme (see 9.2.2), and — management review (see 9.3). As part of managing change, the organization should address planned and unplanned changes to ensure that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these changes do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nded outcomes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xamples of change include: — planned changes to products, processes, operations, equipment or facilities; — changes in staff or external providers, including contractors;— new information related to environmental aspects, environmental impacts and related technologies; — changes in compliance obligations. A.2 Clarification of structure and terminology The clause structure and some of the terminology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have been changed to improve alignment

부속서 A (참고)

이 표준의 사용을 위한 지침 A.1 일반사항 이 부속서에서 설명하는 정보는 이 표준에 포함된 요구사항의 잘못된 해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이 정보는 요구사항을 다루며, 요구사항과 일관성이 있지만, 요구사항을 추가, 제외 또는 어떤 방식으로 수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 표준의 요구사항은 시스템적 또는 총체적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 이 표준 사용자는 이 표준의 특정 문장이나 조항을 다른 조항과 분리하여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일부 조항에 있는 요구사항과 다른 조항에 있는 요구사항 사이에는 상호연관성이 있다. 예를 들면, 조직은 조직의 환경방침에 제시된 의지 (commitment)와 다른 조항에 규정된 요구사항 사이의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참고] ISO 14001:2015에서 사용한 ‘commitment’를 본 표준에서 부합화하며, 기존 KS I ISO 14001에서 사용하던 용례에 따라 ‘의지’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KS Q ISO 9001:2015에서는 ‘의지표명/실행의지’로 번역하였지만, 두 표준에서 사용된 commitment 번역용어의 의미 차이는 없다. 변경관리는 조직 환경경영시스템을 유지하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조직으로 하여금 환경경영시스템이 의도하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변경관리는 이 표준의 다양한 요구사항에서 다루어지며, 다음을 포함한다. — 환경경영시스템 유지 (4.4 참조) — 환경측면 (6.1.2 참조) — 내부 의사 소통 (7.4.2 참조) — 운용관리 (8.1 참조) — 내부심사 프로그램 (9.2.2 참조) — 경영검토 (9.3 참조) 변경관리의 일환으로, 조직은 계획된 변경 그리고 계획되지 않은 변경을 다루어야 하며, 이는 이 변경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환경경영시스템의 의도된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이 변경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 제품, 프로세스, 운용, 장비 또는 시설의 계획된 변경 — 직원의 변경 또는 계약자를 포함한 외부 공급자의 변경 — 환경측면, 환경영향 및 관련기술에 관한 새로운 정보 — 준수의무사항의 변경 A.2 구조 및 용어에 대한 설명 (clarification) 이 표준의 조항 구조 (clause structure)와 몇몇 용어는 다른 경영시스템 표준과의 일관성 (alignment)을

with other management systems standards. There is, however, no requirement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for its clause structure or terminology to be applied to an organization’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documentation. There is no requirement to replace the terms used by an organization with the terms used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s can choose to use terms that suit their business, e.g. “records”, “documentation”, or “protocols”, rather than “documented information”. A.3 Clarification of concepts In addition to the terms and definitions given in Clause 3, clarification of selected concepts is provided below to prevent misunderstanding. —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he use of the word “any” implies selection or choice. — The words “appropriate” and “applicable” are not interchangeable. “Appropriate” means suitable (for, to) and implies some degree of freedom, while “applicable” means relevant or possible to apply and implies that if it can be done, it needs to be done. — The word “consider” means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topic but it can be excluded; whereas “take into account” means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topic but it cannot be excluded. — “Continual” indicates duration that occurs over a period of time, but with intervals of interruption (unlike “continuous” which indicates duration without interruption). “Continual” is therefore the appropriate word to use when referring to improvement. —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he word “effect” is used to describe the result of a change to the organization. The phrase “environmental impact” refers specifically to the result of a change to the environment. — The word “ensure” means the responsibility can be delegated, but not the accountability. — This International Standard uses the term “interested party”; the term “stakeholder” is a synonym as it represents the same concept. This International Standard uses some new terminology. A brief explanation is given below to aid both new users and those who have used previous edition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 The phrase “compliance obligations” replaces the phrase “legal requirements and other requirements to which the organization subscribes” used in the previous edition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he intent of this new phrase does not differ from that of the previous edition.

제고하기 위하여 변경되었다. 그러나 이 표준의 조항 구조와 용어를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 문서화에 적용하여야 한다는 요구사항이 이 표준에는 없으며, 조직이 사용하는 용어를 이 표준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대체해야 한다는 요구사항도 없다. 예를 들면, “문서화된 정보” 대신에 ‘기록’, ‘문서화’ 또는 ‘프로토콜’과 같이, 조직은 조직의 비즈니스에 맞는 용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A.3 개념에 대한 설명 3절의 “용어와 정의”에 추가하여,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몇 가지 발췌된 개념에 대한 설명을 아래에 제시한다. — 이 표준에서 “어떤 (any)”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선택 또는 선정을 내포한다. — “적절한 (appropriate)”과 “적용 가능한 (applicable)”은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적절한”은 적절함의 의미와 약간의 자유도가 있음을 암시하는 반면, “적용 가능한”은 관계가 있거나 적용이 가능함을 의미하며 할 수 있다면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내포한다. — “고려하다 (consider)”는 해당 주제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있으나 배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반영하다 (take into account)”는 해당 주제에 대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고/있으나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 “지속적인 (continual)”은 어느 기간에 걸쳐 일어나지만 끊어지는 구간이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지속적인 (continual)”은 개선을 언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용어이다. — 이 표준에서 “효과 (effect)”는 조직에 대한 변화의 결과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환경영향(environmental impact)”은 특히 환경에 대한 변화의 결과를 의미한다. — “보장하다 (ensure)”는 책임 (responsibility)은 위임될 수 있지만, 책무 (accountability)는 위임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 이 표준은 “이해관계자 (interested party)”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해당사자 (stakeholder)”는 같은 개념을 나타내는 동의어이다. 이 표준에서는 몇 개의 새로운 용어가 사용된다. 이 표준의 새로운 사용자와 이전 판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간략한 설명을 아래에 제공한다. — “준수의무사항 (compliance obligations)”은 이 표준의 이전 판에서 사용된 “법규 요구사항 및 조직이 동의한 그 밖의 요구사항 (other requirements) / (legal requirements and other requirements to which the organization subscribes)”을 대체한다. 이 새로운 용어의 의미는 이전 판의 의미와 다르지 않다.

— “Documented information” replaces the nouns “documentation”, “documents” and “records” used in previous edition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o distinguish the intent of the generic term “documented informatio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now uses the phrase “retain documented information as evidence of....” to mean records, and “maintain documented information” to mean documentation other than records. The phrase “as evidence of….” is not a requirement to meet legal evidentiary requirements; its intent is only to indicate objective evidence needs to be retained. — The phrase “external provider” means an external supplier organization (including a contractor) that provides a product or a service. — The change from “identify” to “determine” is intended to harmonize with the standardized management system terminology. The word “determine” implies a discovery process that results in knowledge. The intent does not differ from that of previous editions. — The phrase “intended outcome” is what the organization intends to achieve by implementing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minimal intended outcomes include enhancement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fulfilment of compliance obligations and achievement of environmental objectives. Organizations can set additional intended outcomes for their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For example, consistent with their commitment to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 organization may establish an intended outcome to work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 The phrase “person(s) doing work under its control” includes persons working for the organization and those working on its behalf for which the organization has responsibility (e.g. contractors). It replaces the phrase “persons working for it or on its behalf” and “persons working for or on behalf of the organization” used in the previous edition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he intent of this new phrase does not differ from that of the previous edition. — The concept of “target” used in previous edition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is captured within the term “environmental objective”. A.4 Context of the organization A.4.1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and its context The intent of 4.1 is to provide a high-level,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t issues that can affect,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the way the organization manages its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Issues are important topics for the organization, problems for debate and discussion or changing circumstances that affect the organization’s ability to achieve the intended outcomes it sets for its environmental

— “문서화된 정보 (documented information)”는 이 표준의 이전 판에서 사용된 문서화 (documentation), 문서 (document) 및 기록 (record)을 대체한다. 일반적인 용어인 “문서화된 정보”와 의미를 구분하기 위해, 이 표준에서는 기록 (records)을 대체/의미하기 위하여/위해 “∼의 증거로 문서화된 정보를 보유해야 한다.”라는 문구를 사용하고, 기록 (records)이 아닌 문서화 (documentation)를 의미하기 위하여/위해 “문서화된 정보의 유지”라는 문구를 사용한다. “∼의 증거로...”라는 문구는 법적 증거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라는 요구사항은 아니며, 오직 객관적인 증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자 하는 취지이다. — “외부 공급자 (external provider)”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공급조직(계약자 포함)을 의미한다. — “파악하다/식별하다 (identify)”를 “결정하다 (determine)”로 변경한 것은 표준화된 경영시스템 용어와의 조화를 위한 것이다. “결정하다(determine)”는 지식을 얻기 위한 탐구 프로세스를 내포한다. 그 의미는 이전 판의 의미와 다르지 않다. — “의도된 결과 (intended outcome)”는 조직이 환경경영시스템을 실행함으로써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소한의 의도된 결과는 환경성과의 증진, 준수의무사항의 충족 (fulfilment) 그리고 환경목표의 달성을 포함한다. 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하여, 의도된 결과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은 환경보호에 대한 그들의 의지와 일관성을 유지하는 차원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으로 이어지도록 의도된 결과를 수립할 수 있다. — “조직의 관리 하에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 (person(s) doing work under its control)”은 조직에서 일하는 인력과 조직 책임 하에 있는 업무를 대신 수행하는 인력 (예: 계약자)을 포함한다. 이는 이 표준 의 이전 판에서 사용된 “조직에서 근무하거나 조직을 대신해 업무를 수행하는 인원 (persons working for it or on its behalf, and persons working for or on behalf of the organization)”을 대체한다. 이 새로운 문구의 의미는 이전 판의 의미와 다르지 않다. — 이 표준의 이전 판에서 사용된 “세부목표 (target)”의 개념은 용어 “환경목표 (environmental objective)” 안에 포함되었다. A.4 조직의 상황 A.4.1 조직 및 조직의 상황의 이해 4.1에서 의도하는 바는 조직의 환경적 책임을 관리하는 방법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이슈에 대한 높은 수준의 개념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슈란 조직에게 중요한 주제이며, 조직이 설정한 환경경영시스템의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는 조직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논쟁과 토론의 문제이거나 변화하는 환경이다.

management system. Examples of internal and external issues which can be relevant to the context of the organization include: a) environmental conditions related to climate, air quality, water quality, land use, existing contamination, natural resource availability and biodiversity, that can either affect the organization’s purpose, or be affected by its environmental aspects; b) the external cultural, social, political, legal, regulatory, financial, technological, economic, natural and competitive circumstances, whether international, national, regional or local; c)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r conditions of the organization, such as its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strategic direction, culture and capabilities (i.e. people, knowledge, processes, systems). An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an organization is used to establish, implement, maintain and continually improve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see 4.4). The internal and external issues that are determined in 4.1 can result in risks and opportunities to the organization or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see 6.1.1 to 6.1.3). The organization determines those that need to be addressed and managed (see 6.1.4, 6.2, Clause 7, Clause 8 and 9.1). A.4.2 Understanding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interested parties An organization is expected to gain a general (i.e. high-level, not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expressed needs and expectations of those internal and external interested parties that have been determined by the organization to be relevant. The organization considers the knowledge gained when determining which of these needs and expectations it has to or it chooses to comply with, i.e. its compliance obligations (see 6.1.1). In the case of an interested party perceiving itself to be affected by the organization’s decisions or activities related to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organization considers the relevant needs and expectations that are made known or have been disclosed by the interested party to the organization. Interested party requirements are not necessarily requirements of the organization. Some interested party requirements reflect needs and expectations that are mandatory because they have been incorporated into laws, regulations, permits and licences by governmental or even court decision. The organization may decide to voluntarily agree to or adopt other requirements of interested parties (e.g. entering into a contractual relationship, subscribing to a voluntary initiative). Once the organization adopts them, they become organizational requirements (i.e. compliance obligations) and are taken into account when plann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see 4.4). A more detailed-level analysis of its compliance obligations is performed in 6.1.3. A.4.3 Determining the scop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scop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s intended

조직의 상황과 관련이 있는 내부 및 외부 이슈의 사례는 다음을 포함한다. a) 조직의 목적에 영향을 줄 수 있거나, 조직의 환경측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기후, 대기질, 수질, 토지 사용, 오염의 존재, 천연자원의 가용성 및 생태다양성과 관련된 환경여건 b) 국제적, 국가적, 지역적 (regional) 또는 국지적 (local)이든 외부의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법적, 규제적, 재정적, 기술적, 경제적, 자연적 및 경쟁적 (competitive) 상황 c)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 전략적 방향, 문화 및 역량과 같은 조직의 내부 특성이나 여건 (예: 인원, 지식, 프로세스, 시스템) 조직의 상황을 이해하는 것은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을 수립, 실행, 유지 및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활용된다 (4.4 참조). 4.1에서 결정된 내부 및 외부 이슈들은 조직 또는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리스크와 기회로 귀결될 수 있다 (6.1.1부터 6.1.3까지 참조). 조직은 다루고 관리하여야 할 것들을 결정한다 (6.1.4, 6.2, 7절, 8절, 9.1 참조). A.4.2 이해관계자의 수요 및 기대의 이해 조직은 조직과 관련이 있다고 결정한 내부 및 외부 이해관계자가 표명한 니즈와 기대에 대한 개괄적인 (예: 상위 수준의, 구체적이지 않은) 이해가 요구된다. 조직은 조직이 준수해야 하거나 준수하기로 선택한 니즈와 기대를 결정할 때 얻은 지식을 고려한다 (예: 준수의무사항). 환경성과와 관련된 조직의 결정이나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이해관계자가 인지하고 있는 경우, 조직은 조직에게 알려지거나 해당 이해관계자가 조직에게 공개한 관련 니즈와 기대를 고려한다. 이해관계자 요구사항이 조직의 필수적인 요구사항은 아니다. 어떤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은 정부 또는 법원의 결정에 의한 법률, 규제, 허가, 라이선스로 통합되기 때문에 의무적인 니즈와 기대를 반영할 수 있다. 조직은 이해관계자의 다른 요구사항에 자발적으로 동의할 것인지 또는 받아들일 것인지를 결정해도 된다 (계약관계 체결, 자발적 협약서명). 조직이 받아들이기로 결정한 경우, 이것은 조직의 요구사항 (예: 준수의무사항)이 되고, 환경경영시스템을 기획할 때 이것을 반영 (take into account) 해도 된다 (4.4 참조). 조직의 준수의무사항에 관한 더 자세한 수준의 분석은 6.1.3에서 수행된다. A.4.3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규명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를 규명하는 것은, 특히,

to clarify the physical and organizational boundaries to which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pplies, especially if the organization is a part of a larger organization. An organization has the freedom and flexibility to define its boundaries. It may choose to implement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hroughout the entire organization, or only in (a) specific part(s) of the organization, as long as the top management for that (those) part(s) has authority to establish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 setting the scope, the credibility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depends upon the choice of organizational boundaries. The organization considers the extent of control or influence that it can exert over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considering a life cycle perspective. Scoping should not be used to exclude activities, products, services, or facilities that have or can have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or to evade its compliance obligations. The scope is a factual and representative statement of the organization’s operations included within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boundaries that should not mislead interested parties. Once the organization asserts it conforms to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he requirement to make the scope statement available to interested parties applies. A.4.4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organization retains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to decide how it fulfils the requirement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including the level of detail and extent to which it: a) establishes one or more processes to have confidence that it (they) is (are) controlled, carried out as planned and achieve the desired results; b) integrate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requirements into its various business processes, such as design and development, procurement, human resources, sales and marketing; c) incorporates issues associated with the context of the organization (see 4.1) and interested party requirements (see 4.2) within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is implemented for (a) specific part(s) of an organization, policies, processes and documented information developed by other parts of the organization can be us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provided they are applicable to that (those) specific part(s). For information on maintain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s part of management of change, see Clause A.1. A.5 Leadership A.5.1 Leadership and commitment To demonstrate leadership and commitment, there are specific responsibilitie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 which top management should be personally involved or which top management should direct. Top management may delegate responsibility for these actions to others, but it retains accountability for ensuring the actions are performed.

대상 조직이 더 큰 조직의 일부분일 때 환경경영시스템이 적용되는 물리적 및 조직적 경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조직은 시스템경계를 자유롭고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조직은, 이 표준을 조직 전체에 걸쳐 실행하거나 또는, 해당 부분의 최고경영자가 환경경영시스템 수립에 대한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 조직의 특정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실행해도 된다. 적용범위를 설정할 때, 환경경영시스템의 신뢰성은 조직 경계의 선택 (choice)에 달려 있다. 조직은 전과정 관점을 고려하여 조직이 활동,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 (발휘) 할 수 있는 관리 범위 또는 영향을 고려한다. 적용범위의 설정은 중대한 환경측면을 갖거나 가질 수 있는 활동, 제품, 서비스 또는 설비를 제외하거나 조직의 준수 의무사항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적용범위는 이해관계자가 오해하지 않도록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 경계 내에 포함된 조직의 운용에 대한 사실적이고 대표적인 표명 (statement)이다. 조직이 이 표준에 부합함을 주장할 때, 이해관계자가 적용범위의 표명 (statement)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요구사항이 적용된다. A.4.4 환경경영시스템 조직은 다음에 대한 상세함의 수준과 범위를 포함하여, 이 표준의 요구사항을 어떻게 충족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권한과 책무를 갖는다. a) 관리되고, 계획된 대로 실행되며,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는 것에 확신을 주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수립 b)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을 설계 및 개발, 구매, 인적자원, 영업 및 마케팅과 같은 조직의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통합 c)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에 조직의 상황과 관련된 이슈와 (4.1 참조)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 (4.2)을 반영 만약 이 표준을 조직의 특정 부분에 적용할 경우, 조직의 다른 부분에서 개발된 방침과 프로세스 및 문서화된 정보가, 해당 특정 부분에 적용 가능하다면, 이 표준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변경 관리의 부분으로 환경경영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정보는 A.1을 참조한다. A.5 리더십 A.5.1 리더십 및 의지 리더십과 의지를 표명 (demonstrate)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가 직접 관여하거나 지시하는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한 구체적인 (specific) 책임이 있다. 최고경영자는 이러한 조치의 책임을 다른 인원에게 위임할 수 있으나, 이 조치가 수행됨을 보장해야 하는 책무를 갖는다.

A.5.2 Environmental policy An environmental policy is a set of principles stated as commitments in which top management outlines the intentions of the organization to support and enhance its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environmental policy enables the organization to set its environmental objectives (see 6.2), take actions to achieve the intended outcomes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achieve continual improvement (see Clause 10). Three basic commitments for the environmental policy are specified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o: a) protect the environment; b) fulfil the organization’s compliance obligations; c) continually improve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o enhance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se commitments are then reflected in the processes an organization establishes to address specific requirements in this International Standard, to ensure a robust, credible and reliabl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commitment to protect the environment is intended to not only prevent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through prevention of pollution, but to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 from harm and degradation arising from the organization’s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The specific commitment(s) an organization pursues should be relevant to the context of the organization, including the local or regional environmental conditions. These commitments can address, for example, waterquality, recycling, or air quality, and can also include commitments related to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protection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s, and restoration. While all the commitments are important, some interested parties are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organization’s commitment to fulfil its compliance obligations, particularly applicable legal requirements. This International Standard specifies a number of interconnected requirements related to this commitment. These include the need to: — determine compliance obligations; — ensure operations a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se compliance obligations; — evaluate fulfilment of the compliance obligations; — correct nonconformities. A.5.3 Organizational roles,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Those involved in the organization’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should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ir role, responsibility(ies) and authority(ies) for conforming to the requirement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and achieving the intended outcomes. The specific roles and responsibilities identified in 5.3 may be assigned to an individual,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management representative”, shared by several individuals, or assigned to a member of top management. A.6 Planning

A.5.2 환경방침 환경방침은 최고경영자가 환경성과를 지원하고 향상시키겠다는 조직의 의도를 보여주는 의지로써 언급된 원칙들이다. 환경방침은 조직이 환경목표를 수립하고 (6.2 참조), 환경경영시스템의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며, 지속적인 개선을 달성하는 것을 (10절 참조) 가능하게 한다. 환경방침의 세 가지 기본적인 의지를 이 표준에서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a) 환경 보호 b) 조직의 준수의무사항 충족 c) 환경성과 향상을 위해 환경경영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 이 표준의 특정 요구사항을 다루고, 확고하고 신뢰할 (credible and reliable) 만한 환경경영시스템을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의지를 조직이 수립한 프로세스에 반영하여야 한다. 환경보호에 대한 의지는 오염예방을 통해 환경 악영향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로부터 발생하는 유해화 (harm) 및 악화 (degradation)로부터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조직이 추구하는 특정 의지는 국지적 또는 지역적 환경여건을 포함한, 조직의 상황과 관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지는 예를 들어 수질, 재활용 또는 대기 질을 다룰 수도 있고,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의 보호, 복원과 관련될 수 있다. 이 모든 의지가 중요하지만, 어떤 이해관계자는 준수의무사항, 특히, 적용 가능한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조직의 의지에 특별히 관심을 가진다. 이 표준은 이러한 의지와 관련하여 많은 상호 연계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준수의무사항 결정 준수의무사항과 일관되게 운용됨을 보장 준수의무사항의 충족성을 평가 부적합의 시정

A.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에 관련된 인원들은 이 표준의 요구사항에 적합하고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그들의 역할, 책임 및 권한을 명확하게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5.3에 언급된 특정 역할과 책임은 때로는 “경영대리인”이라 불리는 개인에게 주어질 수도 있고, 여러 인원에게 배분할 수도 있으며, 최고경영진 중 한 명에게 부여될 수도 있을 것이다. A.6 기획

A.6.1 Actions to address risks and opportunities A.6.1.1 General The overall intent of the process(es) established in 6.1.1 is to ensure that the organization is able to achieve the intended outcomes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o prevent or reduce undesired effects, and to achieve continual improvement. The organization can ensure this by determining its risks and opportunities that need to be addressed and planning action to address them. These risks and opportunities can be related to environmental aspects, compliance obligations, other issues or other needs and expectations of interested parties. Environmental aspects (see 6.1.2) can create risks and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beneficial environmental impacts, and other effects on the organization. The risks and opportunities related to environmental aspects can be determined as part of the significance evaluation or determined separately. Compliance obligations (see 6.1.3) can create risks and opportunities, such as failing to comply (which can damage the organization’s reputation or result in legal action) or performing beyond its compliance obligations (which can enhance the organization’s reputation). The organization can also have risks and opportunities related to other issues, inclu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r needs and expectations of interested parties, which can affect the organization’s ability to achieve the intended outcomes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g. a) environmental spillage due to literacy or language barriers among workers who cannot understand local work procedures; b) increased flooding due to climate change that could affect the organizations premises; c) lack of available resources to maintain an effe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due to economic constraints; d) introducing new technology financed by governmental grants, which could improve air quality; e) water scarcity during periods of drought that could affect the organization’s ability to operate its emission control equipment. Emergency situations are unplanned or unexpected events that need the urgent application of specific competencies, resources or processes to prevent or mitigate their actual or potential consequences. Emergency situations can result in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or other effects on the organization. When determining potential emergency situations (e.g. fire, chemical spill, severe weather), the organization should consider: — the nature of onsite hazards (e.g. flammable liquids, storage tanks, compressed gasses); — the most likely type and scale of an emergency situation; — the potential for emergency situations at a nearby facility (e.g. plant, road, railway line).

A.6.1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는 조치 A.6.1.1 일반사항 6.1.1에서 수립하는 프로세스의 전반적인 의도는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이 의도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며, 지속적인 개선을 달성함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조직은 조직이 다룰 필요가 있는 리스크와 기회를 결정하고, 이를 위한 조치를 계획하는 것으로써 이를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크와 기회는 환경측면, 준수의무사항, 기타 이슈 또는 이해관계자의 니즈 및 기대와 관련될 수 있다. 환경측면 (6.1.2 참조)은 환경 악영향, 유익한 환경영향, 조직에 대한 기타 다른 영향과 관련되어 리스크와 기회를 생성시킬 수 있다. 환경측면과 관련된 리스크와 기회는 중대성 평가의 부분으로 또는 이와는 별개로 결정될 수 있다. 준수의무사항 (6.1.3 참조)은 리스크나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다 – 리스크의 예는 미준수 (failing to comply) (조직의 명성에 해를 끼치거나 법적 처분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에 해당하며, 기회의 예는 초과준수 (조직의 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준수요구사항 이상으로 실행하는 것)에 해당한다. 조직은, 환경여건 또는 이해관계자의 니즈 (needs)와 기대를 포함하여 또 다른 이슈와 관련된 리스크와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슈들은 환경경영시스템이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는 조직의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 이슈의 예는 다음과 같다. a) 작업절차를 이해할 수 없는 작업자들 간의 글 읽고 쓰는 능력 또는 언어 장벽으로 인한 환경누출 b) 조직의 부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 증가 c) 경제적 제약조건으로 인해 효과적인 환경경영시스템의 유지에 이용 가능한 자원 부족 d) 대기질 개선을 위해 정부가 재정지원 한 신기술 도입 e) 조직의 배출물 관리장비 운용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뭄기간의 물 부족 비상상황은 비상상황의 실질적 또는 잠재적 결과를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특정 자격을 가진 인원, 자원 또는 프로세스의 긴급한 적용을 필요로 하는 계획되지 않거나 예상하지 못한 사건을 말한다. 비상상황은 조직에게 환경 악영향이나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다. 잠재적인 비상상황 (예: 화재, 화학물질 유출, 혹한)을 결정할 때 조직은 다음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현장의 위험 특성 (예: 인화성 액체, 저장탱크, 압축가스) — 비상상황의 가장 가능한 유형 및 규모 — 인근 시설 (예: 공장, 도로, 철로)의 비상상황의 잠재 가능성

Although risks and opportunities need to be determined and addressed, there is no requirement for formal risk management or a documented risk management process. It is up to the organization to select the method it will use to determine its risks and opportunities. The method may involve a simple qualitative process or a full quantitative assessment depending on the context in which the organization operates. The risks and opportunities identified (see 6.1.1 to 6.1.3) are inputs for planning actions (see 6.1.4) and for establishing the environmental objectives (see 6.2). A.6.1.2 Environmental aspects An organization determines its environmental aspects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impacts, and determines those that are significant and, therefore, need to be addressed by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Changes to the environment, either adverse or beneficial, that result wholly or partially from environmental aspects are called environmental impacts. The environmental impact can occur at local, regional and global scales, and also can be direct, indirect or cumulative by na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spects and environmental impacts is one of cause and effect. When determining environmental aspects, the organization considers a life cycle perspective. This does not require a detailed life cycle assessment; thinking carefully about the life cycle stages that can be controlled or influenced by the organization is sufficient. Typical stages of a product (or service) life cycle include raw material acquisition, design, production, transportation/delivery, use, end-oflife treatment and final disposal. The life cycle stages that are applicable will vary depending on the activity, product or service. An organization needs to determine the environmental aspects within the scope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t takes into account the inputs and outputs (both intended and unintended) that are associated with its current and relevant past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planned or new developments; and new or modified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The method used should consider normal and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shut-down and start-up conditions, as well as the reasonably foreseeable emergency situations identified in 6.1.1. Attention should be paid to prior occurrences of emergency situations. For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aspects as part of managing change, see Clause A.1. An organization does not have to consider each product, component or raw material individually to determine and evaluate their environmental aspects; it may group or categorize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when they have common characteristics. When determining its environmental aspects, the organization can consider: a) emissions to air; b) releases to water; c) releases to land; d) use of raw materials and natural resources;

리스크와 기회를 결정하고 다룰 필요는 있으나, 공식적인 리스크 관리 또는 문서화된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요구사항은 없다. 조직의 리스크 및 기회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조직이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조직의 운용 상황에 따라 단순한 정성적 프로세스 또는 완전한 정량적 평가가 될 수도 있다. 파악된 리스크 및 기회 (6.1.1부터 6.1.3까지 참조)는 조치 계획 (6.1.4 참조) 및 환경목표 수립 (6.2)을 위한 입력이 된다. A.6.1.2 환경측면 조직은 조직의 환경측면과 이에 관련된 환경영향을

규명하고,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에서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는 중대한 환경측면과 환경영향을 결정한다.

환경측면으로부터 전체 또는 일부분의 불리한 또는

유익한 환경변화를 환경영향이라고 한다. 환경영향은

국지적, 지역적 및 세계적인 규모로 발생할 수 있으며,

특성상 직접적, 간접적이거나 누적될 수 있다.

환경측면과 환경영향은 인과관계가 있다.

조직은 환경측면을 결정할 때 전과정 관점을 고려한다.

이것은 상세한 전과정 평가를 요구하지는 않으며,

조직이 관리할 수 있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과정

단계를 주의 깊게 고려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제품

(또는 서비스)의 일반적인 전과정 단계에는 원료물질

채취, 설계, 생산, 운송/배송, 사용, 사용 후 처리 및

최종 폐기가 포함된다. 적용 가능한 전과정 단계는

활동, 제품 및 서비스에 따라 다르다.

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 적용범위 내에서 환경측면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조직의 현재 및 관련된 과거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 계획된 또는 새로운 개발, 신규

또는 수정된 활동,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투입물과

산출물(의도된 또는 의도하지 않은)을 반영한다. 사용된

방법론은 6.1.1에서 파악된 합리적으로 예측 가능한

비상상황뿐 아니라 정상 그리고 비정상운용조건,

작업중단 및 작업재개 조건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전에 발생한 비상상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변경사항 관리의 일부분으로써 환경측면에 대한 정보는

A.1을 참조할 수 있다.

조직은 환경측면을 규명하고 평가하기 위해 개별 제품,

부품 또는 원료물질을 각각 고려할 필요는 없다. 조직은

공통된 특성을 갖고 있는 활동, 제품 및 서비스를

그룹화하거나 분류해도 된다.

환경측면을 규명할 때, 조직은 다음을 고려할 수 있다.

a) 대기 배출

b) 수계 배출

c) 토양 배출

d) 원료물질 및 천연자원 사용

e) use of energy; f) energy emitted (e.g. heat, radiation, vibration (noise), light); g) generation of waste and/or by-products; h) use of space. In addition to the environmental aspects that it can control directly, an organization determines whether there are environmental aspects that it can influence. These can be related to products and services used by the organization which are provided by others, as well as products and services that it provides to others, including those associated with (an) outsourced process(es). With respect to those an organization provides to others, it can have limited influence on the use and end-of-life treatment of the products and services. In all circumstances, however, it is the organization that determines the extent of control it is able to exercise, the environmental aspects it can influence, and the extent to which it chooses to exercise such influenc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environmental aspects related to the organization’s activities, products and services, such as: — design and development of its facilities, processes, products and services; — acquisition of raw materials, including extraction; — operational or manufacturing processes, including warehousing; —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organizational assets and infrastructure; —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practices of external providers; — product transportation and service delivery, including packaging; — storage, use and end-of-life treatment of products; — waste management, including reuse, refurbishing, recycling and disposal. There is no single method for determining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however, the method and criteria used should provide consistent results. The organization set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its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Environmental criteria are the primary and minimum criteria for assessing environmental aspects. Criteria can relate to the environmental aspect (e.g. type, size, frequency) or the environmental impact (e.g. scale, severity, duration, exposure). Other criteria may also be used. An environmental aspect might not be significant when only considering environmental criteria. It can, however, reach or exceed the threshold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when other criteria are considered. These other criteria can include organizational issues, such as legal requirements or interested party concerns. These other criteria are not intended to be used to downgrade an aspect that is significant based on its environmental impact. A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 can result in one or more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s, and can therefore result in risks and opportunities that need to be addressed to ensure the organization can achieve the intended outcomes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6.1.3 Compliance obligations

e) 에너지 사용

f) 에너지 발생[예: 열, 방사선, 진동(소음), 빛]

g) 폐기물 및/또는 부산물 발생

h) 공간 사용

조직은 직접 관리할 수 있는 환경측면에 추가하여

조직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측면이 있는지를

규명한다. 여기에는 외주처리된 프로세스와 관련한 것을

포함하여, 조직이 공급하는 제품 및 서비스뿐 아니라

외부에서 공급되어 조직이 사용하는 제품 및 서비스가

포함된다. 조직이 다른 곳에 공급하는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사용 및 폐기 처리에 대한

조직의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그러나 모든 상황에서,

조직이 행사(exercise)할 수 있는 관리의 범위, 조직이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측면, 그리고 이러한

영향력을 행사(exercise)하는 범위를 결정하는 것은

결국 조직이다.

다음과 같은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환경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 조직의 시설, 프로세스, 제품 및 서비스의 설계 및

개발

— 채취를 포함하는 원료물질의 획득

— 창고 보관을 포함하는 운용 또는 제조 프로세스

— 설비 운전 및 유지, 조직의 자산 및 기반구조

— 외부 공급자의 환경성과 및 관행

— 포장을 포함하는 제품 운송 및 서비스 제공

— 제품의 보관, 사용 및 사용 후 처리

— 재사용, 정비, 재활용 및 폐기를 포함하는 폐기물

관리

중대한 환경측면을 규명하는 방법이 하나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한 방법과 기준이 일관성이 있는 결과를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조직은 중대한 환경측면을

결정하는 기준을 설정한다. 환경기준은 환경측면을

평가하는 최우선적이며 최소한의 기준이다. 기준은

환경측면(예: 유형, 규모, 빈도) 및 환경영향(예: 규모,

심각성, 기간, 노출)과 연계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기준이 사용될 수도 있다. 환경측면은 환경기준만을

고려했을 때에는 중대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다른

기준까지 고려하면 중대성을 결정하는

임계점(threshold)에 다다르거나 초과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기준에는 법적 요구사항이나 이해관계자의

관심사항 등과 같은 조직의 이슈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기준은 환경영향을 기준으로 했을 때

중대한 측면을 저평가(downgrade)하기 위해 사용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중대한 환경측면은 하나 이상의 중대한 환경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이 환경경영시스템을 통해

의도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리스크와 기회로 귀결될 수

있다.

A.6.1.3 준수 의무사항

The organization determines, at a sufficiently detailed level, the compliance obligations it identified in 4.2 that are applicable to its environmental aspects, and how they apply to the organization. Compliance obligations include legal requirements that an organization has to comply with and other requirements that the organization has to or chooses to comply with. Mandatory legal requirements related to an organization’s environmental aspects can include, if applicable: a) requirements from governmental entities or other relevant authorities; b) international, national and local laws and regulations; c) requirements specified in permits, licenses or other forms of authorization; d) orders, rules or guidance from regulatory agencies; e) judgements of courts or administrative tribunals. Compliance obligations also include other interested party requirements related to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which the organization has to or chooses to adopt. These can include, if applicable: — agreements with community groups o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 agreements with public authorities or customers; — organizational requirements; — voluntary principles or codes of practice; — voluntary labelling or environmental commitments; — obligations arising under contractual arrangements with the organization; — relevant organizational or industry standards. A.6.1.4 Planning action The organization plans, at a high level, the actions that have to be taken with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o address its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its compliance obligations, and the risks and opportunities identified in 6.1.1 that are a priority for the organization to achieve the intended outcomes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actions planned may include establishing environmental objectives (see 6.2) or may be incorporated into other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processes, either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Some actions may be addressed through other management systems, such as those related to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or business continuity, or through other 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risk, financial human resource management. When considering its technological options, an organization should consider the use of best-available techniques, where economically viable, cost-effective and judged appropriate. This is not intended to imply that organizations are obliged to use environmental cost-accounting methodologies. A.6.2 Environmental objectives and planning to achieve them Top management may establish environmental objectives at the strategic level, the tactical level or the operational level. The strategic level includes the highest level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environmental objectives can be applicable to the whole

조직은 조직의 환경측면에 적용 가능한 4.2에서 파악한 준수의무사항과 그들이 어떻게 조직에게 적용되는지를 충분히 상세한 수준에서 규명한다. 준수의무사항은 조직이 충족해야 할 법적 요구사항을 포함하고, 조직이 준수해야 하거나 준수하기로 결정한 그 밖의 요구사항도 포함한다. 조직의 환경측면과 관련된 의무적인 법적 요구사항에는, 적용 가능한 경우,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a) 정부 부처 또는 관련 행정기관의 요구사항 b) 국제, 국가, 지방 법률과 규제 c) 승인, 면허 또는 다른 형태의 허가에서 규정한 요구사항 d) 규제 당국의 명령, 규칙, 지침 e) 법원이나 행정심판의 판결 준수의무사항에는 또한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하여 조직이 준수해야 하거나 준수하기로 결정한 다른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도 포함된다. 여기에는 적용 가능한 경우,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 지역단체나 NGO와의 협약 — 공공기관 또는 고객과의 협약 — 조직 요구사항 — 자발적 원칙 또는 실행규칙 (code of practice) — 자발적 라벨링 또는 환경선언 — 조직과의 계약관계에서 발생하는 의무사항 — 관련 내규 또는 산업표준 A.6.1.4 조치 계획 조직은 6.1.1-환경경영시스템이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는 데 우선시되어야 하는-에서 파악한 조직의 중대한 환경측면, 준수의무사항, 그리고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기 위해 환경경영시스템 내에서 취해져야 할 조치를 상위 수준 (high level)에서 계획한다. 계획된 조치는 환경목표의 수립 (6.2 참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환경경영시스템 프로세스와 개별 또는 조합되어 통합될 수도 있다. 어떤 조치는 안전보건이나 비즈니스 연속성 (business continuity)과 같은 다른 경영시스템을 통해서 또는 리스크, 재무 또는 인적자원 (human resource)경영과 관련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통해 다루어질 수도 있다. 기술적 선택사항을 고려할 때, 조직은 경제적으로 실행가능하고 비용효과적이며 적절하다고 판단된 경우, 최적가용기술 (best-available techniques)을 사용할 것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조직이 환경원가회계 (environmental cost-accounting) 기법을 활용하도록 의무화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A.6.2 환경목표 및 환경목표 달성을 위한 기획 최고경영자는 전략적, 전술적 및 운용 수준에서 환경목표를 수립해도 된다. 전략적 수준은 조직의 최고 수준을 포함하고 환경목표는 조직 전체에 적용될 수

organization. The tactical and operational levels can include environmental objectives for specific units or functions within the organization and should be compatible with its strategic direction. Environmental objectives should be communicated to persons working under the organization’s control who have the ability to influence the achievement of environmental objectives. The requirement to “take into account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does not mean that an environmental objective has to be established for each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 however, these have a high priority when establishing environmental objectives. “Consistent with the environmental policy” means that the environmental objectives are broadly aligned and harmonized with the commitments made by top management in the environmental policy, including the commitment to continual improvement. Indicators are selected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measurable environmental objectives. “Measurable” means it is possible to use either quantitative or qualitative methods in relation to a specified scale to determine if the environmental objective has been achieved. By specifying “if practicable”, it is acknowledged that there can be situations when it is not feasible to measure an environmental objective, however, it is important that the organization is a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 environmental objective has been achieved. For additional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indicators, see ISO 14031. A.7 Support A.7.1 Resources Resources are needed for the effective functioning and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to enhance environmental performance. Top management should ensure that those with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responsibilities are supported with the necessary resources. Internal resources may be supplemented by (an) external provider(s). Resources can include human resources, natural resources, infrastructure, technology and financial resources. Examples of human resources include specialized skills and knowledge. Examples of infrastructure resources include the organization’s buildings, equipment, underground tanks and drainage system. A.7.2 Competence The competency requirement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apply to persons working under the organization’s control who affect its environmental performance, including persons: a) whose work has the potential to cause a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 b) who are assigned responsibilities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ose who: 1) determine and evaluate environmental impacts or compliance obligations; 2)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an environmental objective;3)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있다. 전술적 또는 운용 수준에서는 조직 내 특정 단위조직이나 부서를 위한 환경목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략적 방향과 일치하여야 할 것이다. 환경목표는 조직의 관리 하에서 환경목표의 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인원들과 의사 소통되어야 할 것이다. “중대한 환경측면을 반영하라”는 요구사항은 환경목표를 각각의 중대한 환경측면 별로 수립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환경목표를 수립할 때 중대한 환경측면을 우선시 해야 한다. “환경방침과 일관성이 있다”는 것은 환경목표가 최고경영자가 정한 지속적 개선에 대한 의지를 포함한 환경방침의 의지와 광범위하게 일관되고 조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지표는 측정 가능한 환경목표의 달성을 평가하기 위해 선택된다. “측정 가능한”이란, 환경목표 달성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명시된 척도 (scale)에 의한 정량적 또는 정성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행 가능한 경우”라고 언급한 것은 환경목표를 측정하는 것이 실행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나, 조직이 환경목표가 달성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지는 중요하다. 환경지표에 대한 추가 정보는 KS Q ISO 14031에 있다. A.7 지원 A.7.1 자원 자원은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적인 기능과 개선, 환경성과의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최고경영자는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책임을 가진 인원에게 필요한 자원이 지원됨을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내부 자원은 외부 공급자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이 자원에는 인적자원, 천연자원, 기반구조, 기술 및 재정적 자원이 포함될 수 있다. 인적자원의 예로는 전문 기량이나 지식이 포함되며, 기반구조의 예로는 조직 소유의 건물, 장비, 지하저장소와 배수 시스템이 포함된다. A.7.2 적격성 이 표준에서의 적격성 요구사항은 조직관리 하에서, 환경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원들에게 적용되며, 다음과 같은 인원을 포함한다. a) 중대한 환경영향을 일으키는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작업을 하는 인원 b) 다음을 포함한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책임이 부여된 인원 1) 환경영향 또는 준수의무사항의 결정과 평가 2) 환경목표 달성에 기여

4) perform internal audits; 5) perform evaluations of compliance. A.7.3 Awareness Awareness of the environmental policy should not be taken to mean that the commitments need to be memorized or that persons doing work under the organization’s control have a copy of the documented environmental policy. Rather, these persons should be aware of its existence, its purpose and their role in achieving the commitments, including how their work can affect the organization’s ability to fulfil its compliance obligations. A.7.4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llows the organization to provide and obtain information relevant to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its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environmental performance, compliance oblig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continual improvement. Communication is a two-way process, in and out of the organization. When establishing its communication process(es), the internal organizational structure should be considered to ensure communication with the most appropriate levels and functions. A single approach can be adequate to meet the needs of many different interested parties, or multiple approaches might be necessary to address specific needs of individual interested parties.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organization can contain requests from interested parties for specif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its environmental aspects, or can contain general impressions or views on the way the organization carries out that management. These impressions or views can be positive or negative. In the latter case (e.g. complaints), it is important that a prompt and clear answer is provided by the organization. A subsequent analysis of these complaints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detecting improvement opportunities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should: a) be transparent, i.e. the organization is open in the way it derives what it has reported on; b) be appropriate, so that information meets the needs of relevant interested parties, enabling them to participate; c) be truthful and not misleading to those who rely on the information reported; d) be factual, accurate and able to be trusted; e) not exclude relevant information; f) be understandable to interested parties. For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as part of managing change, see Clause A.1. For additional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see ISO 14063.

3) 비상상황에 대응 4) 내부심사 수행 5) 준수평가 수행 A.7.3 인식 환경방침을 인식하는 것은 의지 (commitment)를 암기하거나 조직 관리하에 업무를 수행하는 인원이 문서화된 환경방침을 지니고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들의 업무가 준수의무사항을 충족시키는 조직의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포함하여, 이들이 환경방침의 존재와 목적, 의지 (commitment)를 달성하는 데 있어 역할을 인지하여야 할 것이다. A.7.4 의사 소통 의사 소통을 통해 조직은 중대한 환경측면, 환경성과, 의무준수사항과 지속적 개선을 위한 권고사항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얻을 수 있다. 의사 소통은 조직 내외부에서의 양뱡향 프로세스이다. 의사 소통 프로세스를 수립할 때, 조직은 가장 적절한 계층과 부서와 의사 소통됨을 보장하기 위해 내부 조직구조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서로 다른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니즈 (needs)를 충족시키기 위해 하나의 접근법이 고려되거나, 또는 개별 이해관계자의 특정 니즈 (needs)를 다루기 위해 복수의 접근법이 필요할 수도 있다. 조직이 입수한 정보에는 조직의 환경측면의 관리와 관련된 특정 정보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요청이 포함될 수 있거나, 조직이 환경측면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impressions)이나 견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이나 견해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예: 불만) 조직은 신속하고 명확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불만에 대한 후속적인 분석은 환경경영시스템의 개선기회를 파악하는데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의사 소통은 다음과 같아야 할 것이다. a) 투명해야 함. 즉, 조직이 보고한 정보의 작성방식은 공개적이어야 함. b) 적절해야 하며, 정보가 관련 이해관계자의 니즈 (needs)를 충족시켜서, 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함. c) 진실되고 보고된 정보에 의존하는 사람을 오도하지 않아야 함. d) 사실에 근거하여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어야 함. e) 관련 정보를 제외하지 말아야 함. f) 이해관계자가 이해 가능해야 함. 변경사항 관리의 일부분으로써 의사 소통에 대한 정보는 A.1을 참조할 수 있다. 의사 소통에 관해서는 KS I ISO 14063을 참조할 수 있다.

A.7.5 Documented information An organization should create and maintain documented information in a manner sufficient to ensure a suitable, adequate and effe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e primary focus should be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not on a complex documented information control system. In addition to the documented information required in specific clause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an organization may choose to create additional documented information for purposes of transparency, accountability, continuity, consistency, training, or ease in auditing. Documented information originally created for purposes other tha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may be used. The documen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may be integrated with oth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implemented by the organization. It does not have to be in the form of a manual. A.8 Operation A.8.1 Operational planning and control The type and extent of operational control(s) depend on the nature of the operations, the risks and opportunities,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and compliance obligations. An organization has the flexibility to select the type of operational control methods,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that are necessary to make sure the process(es) is (are) effective and achieve(s) the desired results. Such methods can include: a) designing (a) process(es) in such a way as to prevent error and ensure consistent results; b) using technology to control (a) process(es) and prevent adverse results (i.e. engineering controls); c) using competent personnel to ensure the desired results; d) performing (a) process(es) in a specified way; e) monitoring or measuring (a) process(es) to check the results; f) determining the use and amount of documented information necessary. The organization decides the extent of control needed within its own business processes (e.g. procurement process) to control or influence (an) outsourced process(es) or (a) provider(s) of products and services. Its decision should be based upon factors such as: — knowledge, competence and resources, including: — the competence of the external provider to meet the organization’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requirements; — the technical competence of the organization to define appropriate controls or assess the adequacy of controls; — the importance and potential effect the product and service will have on the organization’s ability to achieve the intended outcome of it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 the extent to which control of the process is shared; — the capability of achieving the necessary control through the application of its general procurement process; — improvement opportunities available.

A.7.5 문서화된 정보 조직은 적절하고 효과적인 환경경영시스템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방법으로 문서화된 정보를 작성 및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복잡하게 문서화된 정보관리시스템이 아닌, 환경경영시스템의 실행과 환경성과에 1차적인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 이 표준의 특정 조항에서 요구하는 문서화된 정보에 추가하여, 조직은 투명성과 책무, 연속성, 일관성, 훈련 또는 심사의 편리성을 위해 추가적으로 문서화된 정보를 작성해도 된다. 본래, 환경경영시스템 이외의 목적으로 작성된 문서화된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환경경영시스템과 연관된 문서화된 정보는 조직이 실행하는 다른 정보관리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이것이 반드시 매뉴얼의 형태일 필요는 없다. A.8 운용 A.8.1 운용 기획 및 관리 운용관리의 유형과 범위는 운용의 특성, 리스크 및 기회, 중대한 환경측면 및 준수의무사항에 의존한다. 조직은 프로세스가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필요한 운용관리방법의 유형을 개별 또는 조합하여 선택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a) 오류를 예방하고 일관된 결과를 보장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설계 b)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불리한 결과를 예방하는 기술을 사용 (예: 엔지니어링 관리) c) 바람직한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적격한 인원을 활용 d) 규정된 방식으로 프로세스를 실행 e) 결과를 점검하기 위해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및 측정 f) 필요한 문서화된 정보의 사용과 양을 결정 조직은 외주처리 프로세스 또는 제품 및 서비스의 공급자를 관리하거나 영향을 미치기 위해 조직 자체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예: 구매 프로세스) 내에서 필요한 관리범위를 결정한다. 이러한 결정은 다음과 같은 요소에 근거하여야 할 것이다. — 다음을 포함한 지식, 적격성 및 자원 —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외부 공급자의 적격성 — 적절한 관리 또는 관리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는 조직의 기술적 적격성 — 환경경영시스템의 의도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조직의 능력에 대해 제품 및 서비스가 가지게 될 중요성 또는 잠재적인 영향 — 프로세스 관리가 공유되는 범위

— 조직의 일반적인 구매 프로세스를 통해 필요한 관리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 — 이용 가능한 개선 기회

When a process is outsourced, or when products and services are supplied by (an) external provider(s), the organization’s ability to exert control or influence can vary from direct control to limited or no influence. In some cases, an outsourced process performed onsite might b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an organization; in other cases, an organization’s ability to influence an outsourced process or external supplier might be limited. When determining the type and extent of operational controls related to external providers, including contractors, the organization may consider one or more factors such as: — environmental aspects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impacts; — risks and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the manufacturing of its products or the provision of its services; — the organization’s compliance obligations. For information on operational control as part of managing change, see Clause A.1. For information on life cycle perspective, see A.6.1.2. An outsourced process is one that fulfils all of the following: —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 it is integral to the organization’s functioning; — it is needed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o achieve its intended outcome; — liability for conforming to requirements is retained by the organization; — the organization and the external provider have a relationship where the process is perceived by interested parties as being carried out by the organization. Environmental requirements are the organization’s environmentally-related needs and expectations that it establishes for, and communicates to, its interested parties (e.g. an internal function, such as procurement; a customer; an external provider). Some of the organization’s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s can occur during the transportation, delivery, use, end-of-life treatment or final disposal of its product or service. By providing information, an organization can potentially prevent or mitigate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during these life cycle stages. A.8.2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It is the responsibility of each organization to be prepared and to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in a manner appropriate to its particular needs. For information on determining emergencysituations, see A.6.1.1. When planning its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process(es), the organization should consider: a) the most appropriate method(s) for 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b)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process(es); c) the action(s) required to prevent or mitigate environmental

프로세스를 외주 처리하는 경우, 또는 제품과 서비스를 외부에서 공급받는 경우, 이를 관리하거나 영향력을 행사하는 조직의 능력은 직접적인 관리로부터 부분적인 관리, 또는 더 이상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까지 다양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현장에서 수행된 외주처리 프로세스가 조직의 직접적인 관리하에 있을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에는 조직이 외주 처리한 프로세스 또는 외부 공급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의 능력은 제한될 수도 있다. 계약자를 포함한 외부 공급자와 관련된 운용관리의 유형과 범위를 결정할 때, 조직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할 수 있다. — 환경측면 및 관련 환경영향 — 조직의 제품 생산 또는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리스크와 기회 — 조직의 준수의무사항 변경사항 관리의 일환으로써 운용관리에 대한 정보는 A.1을 참조한다. 전과정 관점에 대한 정보는 A.6.1.2를 참조한다. 외주처리 프로세스는 다음의 모든 사항을 충족하는 프로세스이다. —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내에 있음. — 조직의 기능에 통합됨. — 환경경영시스템이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함. — 요구사항 준수에 대한 책임이 조직에 있음. — 프로세스가 조직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관계자가 인지하고 있다면 조직과 외부공급자는 관계를 가져야 함. 환경 요구사항은 조직의 이해관계자 (예: 구매, 고객, 외부 공급자와 같은 내부 기능)를 위해 수립하고 이해관계자와 의사 소통하는 조직의 환경과 관련된 니즈 (needs)와 기대이다. 조직의 중대한 환경영향의 일부는 조직의 제품 및 서비스의 운송, 배송, 사용, 사용 후 처리 또는 최종 폐기 동안 발생할 수 있다. 조직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전과정 단계에서의 환경 악영향을 잠재적으로 예방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A.8.2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조직의 특정한 필요에 의해 적절한 방식으로 비상상황에 대비하고 대응하는 것은 개별 조직의 책임이다. 비상상황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는 A.6.1.1을 참조한다.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프로세스를 계획할 때, 조직은 다음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a) 비상상황에 대응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 b) 내부 및 외부 의사 소통 프로세스 c) 환경영향을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치

impacts; d) mitigation and response action(s) to be taken for different types of emergency situations; e) the need for post-emergency evaluation to determine and implement corrective actions; f) periodic testing of planned emergency response actions; g) training of emergency response personnel; h) a list of key personnel and aid agencies, including contact details (e.g. fire department, spillage clean-up services); i) evacuation routes and assembly points; j) the possibility of mutual assistance from neighbouring organizations. A.9 Performance evaluation A.9.1 Monitoring, measurement, analysis and evaluation A.9.1.1 General When determining what should be monitored and measured, in addition to progress on environmental objectives, the organization should take into account its significant environmental aspects, compliance obligations and operational controls. The methods used by the organization to monitor and measure, analyse and evaluate should be defined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ensure that: a) the timing of monitoring and measurement is coordinated with the need for analysis and evaluation results; b) the results of monitoring and measurement are reliable, reproducible and traceable; c) the analysis and evaluation are reliable and reproducible, and enable the organization to report trends.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and evaluation results should be reported to those with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to initiate appropriate action. For additional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see ISO 14031. A.9.1.2 Evaluation of compliance The frequency and timing of compliance evaluations can vary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the requirement, variations in operating conditions, changes in compliance obligations and theorganization’s past performance. An organization can use a variety of methods to maintain it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its compliance status, however, all compliance obligations need to be evaluated periodically. If compliance evaluation results indicate a failure to fulfil a legal requirement, the organization needs to determine and implement the actions necessary to achieve compliance. This might require communication with a regulatory agency and agreement on a course of action to fulfil its legal requirements. Where such an agreement is in place, it becomes a compliance obligation. A non-compliance is not necessarily elevated to a

d) 비상상황의 다른 유형을 위해 취해진 완화 및 대응조치 e) 시정조치를 결정하고 실행하기 위한 사후 비상사태 평가를 위한 필요성 f) 계획된 비상사태 대응조치의 주기적인 시험 g) 비상사태 대응인원의 훈련 h) 연락처를 포함한 주요 인원 및 지원기관의 목록 (예: 소방서, 유출물처리서비스) i) 대피경로 및 집결장소 j) 인근 조직으로부터의 상호 협조 가능성 A.9 성과평가 A.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A.9.1.1 일반사항 무엇을 모니터링하고 무엇을 측정할 것인가를 결정하고자 할 때, 조직은 환경목표의 진척상황에 추가하여 조직의 중대한 환경측면, 준수의무사항 및 운용관리를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조직이 모니터링 및 측정, 분석 및 평가에 사용한 방법은 다음을 보장하기 위해 환경경영시스템에서 정의하여야 할 것이다. a) 모니터링 및 측정 시기가 분석 필요성 및 평가 결과에 따라 조정됨. b) 모니터링 및 측정 결과를 신뢰할 수 있으며, 재현 가능하고 추적 가능함. c) 분석 및 평가를 신뢰할 수 있으며, 재현 가능하고, 조직이 경향 보고를 가능케 함. 환경성과 분석 및 평가 결과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책임과 권한이 있는 자에게 보고되어야 할 것이다. 환경성과평가에 대한 추가 정보는 KS Q ISO 14031에 있다. A.9.1.2 준수평가 준수평가의 빈도와 시기는 요구사항의 중요성, 운용조건의 변화, 준수의무사항의 변경사항 및 조직의 이전 성과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조직은 조직의 준수 상태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모든 준수의무사항을 주기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준수평가의 결과가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조직은 법규 준수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결정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때 규제당국과의 의사 소통 및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에 대한 합의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합의가 이루어지면, 이것은 준수해야 하는 요구사항이 된다. 미준수 사항이 파악되어 환경경영시스템 프로세스에

nonconformity if, for example, it is identified and corrected by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processes. Compliance-related nonconformities need to be corrected, even if those nonconformities have not resulted in actual non-compliance with legal requirements. A.9.2 Internal audit Auditors should be independent of the activity being audited, wherever practicable, and should in all cases act in a manner that is free from bias and conflict of interest. Nonconformities identified during internal audits are subject to appropriate corrective action. When considering the results of previous audits, the organization should include: a) previously identified nonconformiti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ons taken; b) results of internal and external audits. For additional information on establishing an internal audit programme, perform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udits and evaluating the competence of audit personnel, see ISO 19011. For information on internal audit programme as part of managing change, see Clause A.1. A.9.3 Management review The management review should be high-level; it does not need to be an exhaustive review of detailed information. The management review topics need not be addressed all at once. The review may take place over a period of time and can be part of regularly scheduled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board or operational meetings; it does not need to be a separate activity. Relevant complaints received from interested parties are reviewed by top management to determine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For information on management review as part of managing change, see Clause A.1. “Suitability” refers to how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fits the organization, its operations, culture and business systems. “Adequacy” refers to whether it meets the requirements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and is implemented appropriately. “Effectiveness” refers to whether it is achieving the desired results. A.10 Improvement A.10.1 General The organization should consider the results from analysis and evaluation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liance, internal audits and management review when taking action to improve. Examples of improvement include corrective action, continual improvement, breakthrough change, innovation and re-organization.

따라 시정된다면, 이를 반드시 부적합으로 평가할 필요는 없다. 만약, 이러한 부적합이 법적 요구사항에 대해 실제 미준수를 초래하지 않았다 할지라도 준수와 관련한 부적합은 시정될 필요가 있다. A.9.2 내부심사 심사원은 가능한 한 심사 대상 활동으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하며, 항상 편견이나 이해상충이 없는 방식으로 행동하여야 할 것이다. 내부심사를 통해 파악된 부적합은 적절하게 시정 조치되어야 한다. 이전의 심사결과를 고려할 때, 조직은 다음을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a) 이전에 파악된 부적합 및 취해진 조치의 효과성 b) 내부 및 외부 심사의 결과 내부 심사 프로그램의 수립, 환경경영시스템 심사 수행 및 심사원의 적격성 평가에 대한 추가 정보는 KS Q ISO 19011을 참조할 수 있다. 변경사항 관리의 일부분으로써 내부 심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A.1에 있다. A.9.3 경영검토 경영검토는 높은 수준 (high-level)에서 실시되어야 하나, 상세한 정보를 철저하게 검토할 필요는 없다. 경영검토 주제를 한 번에 모두 다룰 필요도 없다. 검토를 일정기간 동안 수행할 수도 있으며, 경영진 회의 또는 운용회의와 같이 주기적으로 계획된 경영활동의 일부분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경영검토가 독립적인 활동이 될 필요는 없다. 이해관계자로부터 접수된 관련 불만사항은 개선 기회를 결정하기 위해 최고경영자가 검토한다. 변경사항 관리의 일부분으로써 경영검토에 대한 정보는 A.1에 있다. “적절성 (suitability)”이란 환경경영시스템이 조직, 조직 운용, 문화 및 비즈니스 시스템에 얼마나 맞는지를 의미한다. “충족성 (adequacy)”이란 환경경영시스템이 이 표준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적절하게 실행되고 있는가를 의미한다. “효과성 (effectiveness)”이란 환경경영시스템이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는가를 의미한다. A.10 개선 A.10.1 일반사항 조직은 개선을 위한 조치를 할 때 환경성과의 분석 및 평가, 준수평가, 내부심사 및 경영검토의 결과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개선의 예에는 시정조치, 지속적 개선, 획기적인 변화, 혁신 및 조직개편이 포함된다.

A.10.2 Nonconformity and corrective action One of the key purposes of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s to act as a preventive tool. The concept of preventive action is now captured in 4.1 (i.e.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and its context) and 6.1 (i.e. actions to address risks and opportunities). A.10.3 Continual improvement The rate, extent and timescale of actions that support continual improvement are determined by the organization. Environmental performance can be enhanced by apply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s a whole or improving one or more of its elements.

Annex B (informative) Correspondence between ISO 14001:2015 and ISO 14001:2004 Table B.1 shows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is edition of this International Standard (ISO 14001:2015) and the previous edition (ISO 14001:2004). Table B.1 — Correspondence between ISO 14001:2015 and ISO 14001:2004

A.10.2 부적합 및 시정조치 환경경영시스템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사전예방적인 도구로서의 역할이다. 예방조치의 개념은 4.1 (즉, 조직과 조직의 상황에 대한 이해)과 6. 1 (즉,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는 활동)에 포함되어 있다. A.10.3 지속적 개선 지속적 개선을 지원하는 조치의 속도, 범위 및 일정은 조직에 의해 결정된다. 환경성과는 환경경영시스템 전체를 적용함으로써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를 개선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부속서 B (참고) KS I ISO 14001:2015와 KS I ISO 14001:2009와의 관계 표 B.1은 이 표준의 현재 판 (KS I ISO 14001:2015)과 이전 판 (KS I ISO 14001:2009)과의 관계를 보여준다. 표 B.1—KS I ISO 14001:2015와KS IISO 14001:2009와의관계

표B.2—KS I ISO 14001:2015와KS I ISO 14001:2009와의관계 (계속)

Bibliography [1] ISO 14004,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 General guidelines on principles, systems and support techniques [2] ISO 14006,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 Guidelines for incorporating ecodesign [3] ISO 14031, Environmental management — Enviro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 Guidelines [4] ISO 14044, Environmental management — Life cycle assessment — Requirements and guidelines [5] ISO 14063, Environmental management — Environmental communication — Guidelines and examples [6] ISO 19011, Guidelines for auditing management systems [7] ISO 31000, Risk management — Principles and guidelines [8] ISO 50001, Energy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use [9] ISO Guide 73, Risk management — Vocabulary

Alphabetical index of terms audit 3.4.1 competence 3.3.1 compliance obligations 3.2.9 conformity 3.4.2 continual improvement 3.4.5 corrective action 3.4.4 documented information 3.3.2 effectiveness 3.4.6 environment 3.2.1 environmental aspect 3.2.2 environmental condition 3.2.3 environmental impact 3.2.4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3.1.2

참고문헌 [1] KS I ISO 14004, 환경경영시스템 — 원칙, 시스템 및 지원기법에 대한 일반지침 [2] KS Q ISO 14031, 환경경영 — 환경 성과 평가 — 지침 [3] KS I ISO 14044, 환경경영 — 전과정 평가 — 요구사항 및 지침 [4] KS I ISO 14063, 환경경영 — 환경의사 소통 — 지침 및 사례 [5] KS Q ISO 19011, 경영시스템 심사 가이드라인 [6] ISO 31000, Risk management — Principles and guidelines [7] KS A ISO 50001, 에너지경영시스템 — 사용지침을 포함한 요구사항 [8] ISO Guide 73, Risk management — Vocabulary [9] KS Q ISO 9000:2015, 품질경영시스템 — 기본사항과 용어 [10] KS Q ISO 9001:2015, 품질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2016-

environmental objective 3.2.6 environmental performance 3.4.11 environmental policy 3.1.3 indicator 3.4.7 interested party 3.1.6 legal requirements and other requirements (admitted term for compliance obligations) 3.2.9 life cycle 3.3.3 management system 3.1.1 measurement 3.4.9 monitoring 3.4.8 nonconformity 3.4.3 objective 3.2.5 organization 3.1.4 outsource (verb) 3.3.4 performance 3.4.10 prevention of pollution 3.2.7 process 3.3.5 requirement 3.2.8 risk 3.2.10 risks and opportunities 3.2.11 top management 3.1.5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