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Date post: 30-Aug-2019
Category:
Upload: others
View: 0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13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2호 2011. 6, 논문 pp. 155~167. 155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송나윤*․노상완**․남경숙*** 1) A Study on the Smart Space by Types of Service Program of Senior Centers in Seoul Na Yoon Song*Sang Wan No**Kyung Sook Nam*** 요약:서울시 노인인구 100만명 시대를 맞이해 액티브 시니어의 복지요구에 맞춘 새로운 개념의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노인주택이나 IT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공간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이 두 가지를 접목한 노인을 위한 스마트 공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 다. 그래서 본 연구는 IT기술을 기반으로 한 노인공간의 스마트화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노인과 관련된 이론적 고찰과 서울시 노인복지시설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종합복지센터의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 구성을 연구하고, 공간별 노인에게 필요한 스마트 기술을 분석하여, 이를 공간에 적용시켰다. 서울시 노인복지시설 6곳을 사례 연구한 결과 노인복지시설의 공간은 크게 상담지도, 의료재활, 사회교육, 복리후생의 4가지 부문으로 나눠졌다. 상담지도 부문에서는 상담 내 용을 자동저장하고 감성 조명 조절, 실내온도 조절 등으로 편안한 상담 분위기를 제공한다. 의료재활 부 문에서는 헬스케어 시스템, 체력단련실에서는 바이오 셔츠 및 패치 시스템, 스마트 러닝머신 등을 제공한 다. 사회교육 부문에서는 디지털 서고, 스마트 가상현실, 디지털 캔버스, 미디어 테이블을 계획한다. 복리 후생 부문에서는 스마트 기술이 적용된 미디어 테이블, 디지털 이모션 체어 등 노인에게 기본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복지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스마트 노인복 지시설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안전, 정보, 편리성을 갖춘 노인종합복지센터 모델디자인 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주제어:노인, 노인종합복지시설, 공간유형, 스마트화 ABSTRACTNowadays, our society shows over a million elderly populations. The necessity of new conceptual infrastructure rebuilding is becoming the main issue of society according to active senior welfare request. While the study on smart spaces based on older people residential areas and IT technology is in progress actively, the study on smart spaces of combining these two aspects leaves much to be desired. So the study aims to “changing to smart” of older people spaces based on IT technolog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we analyzed older people specialties,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s of Seoul welfare facilities of the aged and developed service programs of welfare center for senior citizens based on former analysis results. Following to these results, we *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박사과정(Doctor's Course Student, Department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Hanyang University) **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박사(Doctor, Department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Hanyang University) ***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교수(Professor, Department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Hanyang University), 교신저자(E-mail: [email protected], Tel: 02-2220-1186)
Transcript
Page 1: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2호 2011. 6, 논문 pp. 155~167. 155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한 연구

송나윤*․노상완**․남경숙***1)

A Study on the Smart Space byTypes of Service Program of Senior Centers in Seoul

Na Yoon Song*․Sang Wan No**․Kyung Sook Nam***

요약:서울시 노인인구 100만명 시 를 맞이해 액티 시니어의 복지요구에 맞춘 새로운 개념의 인 라

구축의 필요성이 두되고 있다. 한 노인주택이나 IT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공간에 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이 두 가지를 목한 노인을 한 스마트 공간에 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

다. 그래서 본 연구는 IT기술을 기반으로 한 노인공간의 스마트화를 목 으로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하여 노인과 련된 이론 고찰과 서울시 노인복지시설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종합복지센터의 서비스 로그램에 따른 공간 구성을 연구하고, 공간별 노인에게 필요한 스마트 기술을

분석하여, 이를 공간에 용시켰다. 서울시 노인복지시설 6곳을 사례 연구한 결과 노인복지시설의 공간은

크게 상담지도, 의료재활, 사회교육, 복리후생의 4가지 부문으로 나눠졌다. 상담지도 부문에서는 상담 내

용을 자동 장하고 감성 조명 조 , 실내온도 조 등으로 편안한 상담 분 기를 제공한다. 의료재활 부

문에서는 헬스 어 시스템, 체력단련실에서는 바이오 셔츠 패치 시스템, 스마트 러닝머신 등을 제공한

다. 사회교육 부문에서는 디지털 서고, 스마트 가상 실, 디지털 캔버스, 미디어 테이블을 계획한다. 복리

후생 부문에서는 스마트 기술이 용된 미디어 테이블, 디지털 이모션 체어 등 노인에게 기본 인 환경을

제공한다. 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경제 이고 효율 인 복지체계를 구축하기 하여 스마트 노인복

지시설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안 , 정보, 편리성을 갖춘 노인종합복지센터 모델디자인

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주제어:노인, 노인종합복지시설, 공간유형, 스마트화

ABSTRACT:Nowadays, our society shows over a million elderly populations. The necessity of new conceptual infrastructure rebuilding is becoming the main issue of society according to active senior welfare request. While the study on smart spaces based on older people residential areas and IT technology is in progress actively, the study on smart spaces of combining these two aspects leaves much to be desired. So the study aims to “changing to smart” of older people spaces based on IT technolog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we analyzed older people specialties,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s of Seoul welfare facilities of the aged and developed service programs of welfare center for senior citizens based on former analysis results. Following to these results, we

* 한양 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박사과정(Doctor's Course Student, Department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Hanyang University)

** 한양 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박사(Doctor, Department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Hanyang University)

*** 한양 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교수(Professor, Department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Hanyang University),

교신 자(E-mail: [email protected], Tel: 02-2220-1186)

Page 2: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156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2호 2011. 6

studied space composition, analyzed smart technologies which are needed to the aged by space sand applied to spaces. After studying on 6 placed of welfare facilities of the aged in Seoul, these senior people’s welfare facilities are divided into 4 types in a large scope; Consulting guidance, medical rehabilitation, social education and welfare benefits parts. In consulting guidance, consulting contents are automatically saved and comfortable consulting atmosphere is offered with emotional lighting control by maintaining an optimal indoor temperature. Medical rehabilitation part is offered healthcare system and bio shirt and patch-system, smear running machine are also offered in fitness center. In social education part, a variety of elements such as digital library, smart virtual reality, digital canvas and media table are planned. The welfare benefits system is offered fundamental environment such as media table, digital emotion chair applied smart technology. Nowadays, our society is entering into aging society and our suggestion is needed for building economical and efficient welfare system. So, suggestion of “Smart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design” would contribute to offer model desig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hich can be used safe and convenient in our society.Key Words:Senior citizen, Senior center, Type of multipurpose, Smart space

I.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

최근 경제수 의 향상과 이에 따른 의술의 발

달, 출산의 기피, 생활수 의 향상 등으로 인구

고령화가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2000년 7.1%에서 2019년

에는 14.1%가 될 것으로 망되어1) 가까운 장래

에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특히 서울은

2005년 65세 이상의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7.1%로 이미 고령화에 진입하 으며, 고령사회

로 진입하는 속도가 국에 비해 무려 4년이나

빠른 14년이 소요될 것으로 상하고 있다. 한

최근 서울시 통계를 보면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의 72.1%가 자녀와 따로 살고 싶

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시민들은 향후

늘려야 할 복지서비스로 ‘노인 돌 서비

스’(41.7%)를 제일 많이 꼽아 노인복지 확 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흐름과

고령화에 한 가치 의 변화는 서울시가 짧은

시간 내에 고령화에 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시

해야 함을 말해주고 있다.

고령화에 한 사회 변화에 따라 경제력을

바탕으로 극 이고 독립 인 성향의 소 ‘액티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들은 경제 인 여유와 사회 활동성을

가지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보내려는 노인층으로

여가 사회활동에 한 다양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액티 시니어는 문화, 여가 등 외에

IT환경에도 익숙하기 때문에 IT 분야에 한 복

지환경도 요구하고 있으나 재 이용시설의 제약

이 크다. 따라서 액티 시니어를 한 주거보장

책은 단순한 보호 차원에서 나아가 편리한 주거

환경 다양한 복지서비스의 제공에 한 필요성

이 두되고 있다.

1) 한국의 65세 이상의 노인인구는 2000년 7.2%에서 2010년 9.4%를 나타내고 있으며, 2019년에는 14.1%를 차지하여 고령사회로 진입할 망이

다(서울특별시 9988 어르신 포털, http://9988.seoul.go.kr).

Page 3: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한 연구 157

재 IT기술, 즉 스마트 기술에 한 연구가 활

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는 주거공간에만 용되는 방식으로 연구되고 있

다. 하지만 다양해지는 고령자의 욕구에 따라 IT

기술이 목된 고령자 공간에 한 연구도 시 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종합복지시설에

서 제공하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 필요한 IT기술을

목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노인종합복지시설을

제시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재 성공 으로

운 되고 있는 노인종합복지시설의 공간구성을

서비스 유형별로 분석하고 각 공간에 합한 스마

트 기술을 도출해 이를 용하는 것을 연구한다.

이는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스마트화 방안을 제시

해 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는 우리사회가

경제 이고 효율 인 복지체계를 구축하도록 하

는 데 연구의 석이 될 것이다.

2. 연구의 방법과 범

본 연구는 액티 시니어의 새로운 복지서비

스에 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해 노인종합복

지시설에 용 가능한 스마트 시스템을 제안하

는 연구이다. 따라서 사회 흐름에 따라 서울에

치하고 2000년 이후에 건립된 노인종합복지시

설을 장 답사하여 우리나라 노인종합복지시설

의 황과 실내공간 구성 기본항목을 추출한다.

이때 센터장과 사회복지사와의 인터뷰와 복지센

터 공간에 한 실측, 사진촬 , 도면수집 등을

병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 노인종합복

지 모델 디자인을 개발하기 하여 1) 노인복

지시설의 서울시 사례를 분석하고, 2) 노인복지

시설 유형별 공간 구성 항목과 공간별 합한 스

마트 기술을 연구하며, 3) 분석한 스마트 기술을

토 로 공간별 디자인을 제시한다. 이러한 노인

종합복지 의 공간계획은 앞으로 다가올 고령사

회에 비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수 있는 방향으로 개되어

야 할 것이다.

3. 선행연구 분석

재 노인복지시설에 한 연구는 부분 복합

커뮤니티 시설과 유형별 공간 구성에 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IT기술에 한 연구는 부분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에 집 되고 있다. 노인

을 한 스마트 련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부분 주거공간에 국한되어 연구되고 있다. <표

1>은 선행연구 결과를 간략히 요약한 것이다. 노

인이 경제 의존 계층이라는 고정 념이 바 고

있는 사회 흐름에 따라 액티 시니어가 두되

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개인 이고 독립 인

이들이 새로운 생활문화 속에서 노후를 보내고자

하는 욕구를 받아들여 스마트화된 노인종합복지

시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노인종합복지시설 사례 분석

▫ 서울시 사례

⇩스마트 관련 고찰

▫ 서울시 사례의 유형별 공간 구성항목 분석▫ 공간별로 적합한 스마트 기술 연구

⇩스마트화된 공간 제시

▫ 스마트 시스템을 접목한 공간 제시

<그림 1> 연구 차

Page 4: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158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2호 2011. 6

분류자

연도제 목 개 요

노인

복지

시설

김문덕

(2006)

욕구조사를 통한 도시형 노인복지

시설의 방향설계와 공간배치에

한 연구

자율성, 연계성, 개방성, 수익성, 웰빙, 유니버설 디자인의

6가지 키워드를 설정하여 각 층별로 공간을 배치하여 향

후 운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박혜선․

박 기

(2008)

종합사회복지 의 세 간 교류공

간계획에 한 연구

노인복합시설의 복지서비스 질의 향상과 시설복합형태의

방향설정을 해서 이용자들의 상호교류, 특히 사회

의 가족 계 약화로 인해 그 의미를 재조명하는 세 간

교류의 역할에 주목하 다.

지능형

노인

시설

오찬옥

(2008)

노인을 한 지능형 공간환경 연

구: 주거공간의 디지털 시스템화를

한 노인요구 조사를 심으로-

2026년 한국의 ‘ 고령 사회’ 진입을 앞두고 노인요구 조사

를 심으로 노인을 한 지능형 공간환경을 제시하고 있

다.

권오정

(2005)

노년층의 기술수용 성향과 홈오토

메이션 시스템에 한 요구도

노년층의 홈 오토메이션 요구도를 악하기 한 설문조

사를 통해 안 보안 시스템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문화

건강생활지원 시스템이 낮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표 1> 선행연구 분석

Ⅱ. 이론 고찰

1. 노인복지시설의 개요

1) 노인종합복지시설의 개념 정의

노인종합복지시설은 1981년에 제정된 노인복

지법에 규정된 시설로 노인복지법 제36조에서 노

인복지회 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무료 는 렴

한 요 으로 노인2)에 하여 각종 상담에 응하고,

건강의 증진ㆍ교양ㆍ오락ㆍ기타 노인의 복지 증

진에 필요한 편의를 목 으로 하는 시설로 정의되

어 있으며,3) 60세 이상인 자를 상으로 한다. 노

인복지시설은 노인들이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생활을 하기 하여 여가활동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1989년 서울시에

남부와 부 노인종합복지 을 설립하게 되면서

시작되었다. 본격 으로 노인종합복지시설이 건

립되고 운 되기 시작한 것은 90년 반으로 서

울시가 2000년도까지 각 구에 한 개의 노인복지시

설을 건립하기로 하 으나 1997년 IMF 외환 기

로 늦어지게 되었지만 2007년 기 으로 각 구에

한 개 이상씩 건립되어 있다. 노인복지 은 생활

보호노인의 건강, 여가 심의 구민 보호 역할

에서 반 인 생활수 의 향상 등 여러 가지 변

화로 인해 노인의 다양한 욕구를 사회 으로 해결

해주는 역할로 변경되었다. 복지 의 로그램

한 단순히 건강이나 사회복지 차원이 아닌 재가복

지, 노인일자리, 문상담사업, 노인주거개선 등

복합 서비스까지 지원하여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시설 범 이상으로 확 되고 있다. 한 민간복

지서비스 달체계 개선계획의 일환으로 2010년

부터는 노인복지시설에 ‘재가복지 사서비스’를

2) UN은 시간경과 단 인 ‘65세 이상인 자’를 노인으로 규정하고 있고, 한국은 종래 회갑의 습에 의해 60세 이상을 통념으로 인정하 으나

최근은 정년의 연장과 평균수명의 증가 등으로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하여 만 65세부터 지하철, 노인 건강검진 등이 노인복지에 용되고

있다. 노인복지법이나 생활보호법상에서 말하는 노인의 개념은 65세 이상을 말하지만, 국민연 법상의 노령연 여 상자 노인복지시설

을 이용하는 노인의 연령 기 은 60세 이상으로 하고 있다.

3) 노인복지시설의 종류는 노인복지법에서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노인 문기 으로 크게

5가지로 분류한다(노인복지법 제31조 2004. 1. 29 개정).

Page 5: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한 연구 159

분류 서비스 내용

상담지도 전문상담, 건강상담, 전화상담, 이용상담

의료재활물리치료, 운동치료, 양 ․한방치료, 치과진료, 심리치료, 전문목욕서비스, 상담치료

사회교육지적 프로그램, 취미, 여가 프로그램, 정서함양 프로그램, 건강유지 및 증진 프로그램

복리후생경로식당 운영, 이․미용실, 셔틀버스 운행, 일상생활용품 지원

<표 2>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로그램

흡수․통합하여 노인복지시설의 시설 분류를 단

순히 노인여가복지시설이 아닌 재가노인복지시설

로 변경하고자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10). 최근 노인복지시설에 한 근은 모든 학

문에서 노인거주자 측면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는

노인복지정책을 마련하고 개발하는 데 실 으

로 용되고 있는 사항이다.

2) 노인복지시설의 서비스 로그램

노인복지회 에서 제공하는 로그램은 지역

별, 운 자별로 특징이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지도 로그램, 의료재활 로

그램, 사회교육 로그램, 복리후생 로그램으로

나 어보기로 한다. 각 로그램별로 이루어지는

활동은 <표 2>와 같다(유은 , 2004).

2. 액티 시니어의 개념

1) 액티 시니어의 등장

시니어에 한 정의는 그 나라의 사회 환경

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며, 한국의 경우는 각종 법

규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노인복지법에서는

65세 이상인 자를 노인으로 규정하며, 고령자 고

용 진법에 의하면 55세 이상인 자를 의미하고 있

다. 이 게 법규에 따라 범 가 상이하게 나타나

기 때문에 노인의 기 을 연령으로 규정하기엔 어

려운 부분이 있다.

한국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기 앞서 ‘액티

시니어’가 등장하면서 실버소비자도 변화하기 시

작했다. 이들은 베이비붐세 의 본격 인 은퇴와

함께 극 이고 능동 인 삶을 추구해 기존의 수

동 인 실버소비자와 다른 층으로, 주로 50~64세

연령층에서 경제력과 건강을 바탕으로 능동 인

삶을 추구하고 소비수 이 높은 세 를 말한다(kt

경제경 연구소, 2010). 이들은 경제력을 바탕으

로 극 이고 독립 인 성향을 띠어 여가, 정보기

술 문화 등에서 소비주체로 부상되고 있으며,

한상공회의소(2006)의 실버산업 성장 망에 따

르면 액티 시니어는 미래 실버시장의 트 드를

이끌어 정보, 여가, 융시장을 심으로 실버산업

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상된다고 말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조만간 다가올 고령화 사회에

노인이 될 미래 노인층을 50~65세 미만으로 삼는

것이 보편타당성을 지닌다고 보고 ‘액티 시니어’

를 미래 실버소비자 층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2) 액티 시니어의 특성

액티 시니어란 독립 이고 극 인 성향을

띠며 경제력을 바탕으로 정보기술 여가생활 등

에 의미있는 가치 소비로 노년기 정체성과 삶의

목 을 추구하는 노인을 지칭한다. 이들은 2014년

체 고령자의 26.8%를 차지할 것이며, 이후 고령

사회인 2018년엔 41.0%를 차지할 것이라고 상

하고 있다(통계청, 2010). 이처럼 액티 시니어

가 부상하면서 이들의 성향에 따라 실버산업의 시

장 규모 한 2010년 43.9조에서 2020년 148.6조로

성장할 것이라고 측하고 있다. 특히 홈 어, IT

Page 6: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160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2호 2011. 6

구분 물리공간 자공간 제3의 공간

공간

지각

만질 수 있는

(tangible) 공간

만질 수 없는

(intangible) 공

만지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공간

공간

형식

유클리드 공간,

실재 인 실

임(real).

논리 공간,

컴퓨터상에서

가상 임(vir-

tual).

지능 공간,

지능 으로 증강

된 실임 (intel-

lectually aug-

mented reality).

공간

구성토지 + 사물 인터넷 + 웹

스마트 네트워크

+지능화된 환경,

사물

가능

형성

공간에서 사물이

심어짐(things

embedded in

space).

컴퓨터에 가상

사물이 심어짐

(things embe-

dded in com-

puter).

컴퓨터가 사물에

심어짐(compu-

ter embedded in

thing).

기반

네트

워크

도로망, 철조망pc와 pc를 연결

하는 인터넷

사물과 사물을 연

결하는 인터넷

<표 3> 스마트 네트워크 공간

기기, 콘텐츠가 심인 정보시장의 경우 40조로

25%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고 망되어 액

티 시니어는 기존의 고령자와는 경제력, 가치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디지털 분야

에서 에 띄게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이들은 인

터넷 쇼핑, SNS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 디지

털기술 활용에 익숙하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정

보화 실태 조사에 따르면 액티 시니어들의 인터

넷 이용률은 50 의 경우 2007년에 46.5%에서

2009년 52.3%로 증가했으며, 60 한 2007년에

17.6%에서 2009년 20.1%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자료: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화 실태조사(2007, 2009)

<그림 2> 액티 시니어의 정보 서비스 이용률

를 들어 이메일, 인터넷 쇼핑, 인터넷 뱅킹,

SNS 서비스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 활용에 큰

어려움이 없다고 말했다. 취미 여가활동이 폭넓

어지면서 디지털 기기에 한 심과 활용이 증가

했으며, 새로운 기기에 해 거부감 없이 극 으

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액티 시니어의 특성

을 받아들여 기존의 공간에 IT 기술, 즉 스마트 기

술을 목한 공간이 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3. 스마트 공간의 이론 고찰

1) IT 기술 기반 스마트 공간

재 우리의 생활은 IT 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새로운 역으로 이동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생활환경의 다양한 가치 과 규범 한 달라지고

있다. IT 기술을 기반으로 용된 공간을 지칭하

는 용어는 미래형 공간, 디지털 공간, 공간 네트워

크, 스마트 공간 등 여러 단어로 정의되고 있다.

스마트 공간은 물리공간과 자공간에 이어 제3

의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하원규, 2002). 물리

공간과 자공간은 상호보완 인 공간이며 이 두

공간이 어우러져 창조되는 새로운 공간을 우리는

제3의 공간, 즉 스마트 공간이라고 규정한다(김민

정, 2004). 스마트 공간의 개념은 물리공간의 장

과 자공간의 장 을 연결함과 동시에 각각의 공

간이 가지는 불안정성을 IT기술로 보완하는 공간

으로 양 공간의 융합공간이다. 스마트 기술이

용된 환경은 네트워크 이용환경의 구축과 오토메

이션 시스템의 설치로 공간에서의 정보화, 편리성,

Page 7: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한 연구 161

<그림 3> 스마트 시스템

쾌 성, 오락성 등을 제고하는 환경으로 자동화,

무인화, 고속 통신화의 특성을 지닌다.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가 실세계의 사물과 환경 속에 내

장되고 상호 연결되어 있어 언제, 어디서라도 이

용할 수 있는 인간, 사물, 공간 간 최 의 컴퓨

환경과 네트워크 환경을 말한다. 즉, 스마트 공간

은 언제 어디서나 존재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와 센서 등의 작은 컴퓨터가 내재된 사물들의 연

결과 통합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네트워크에 한

속과정은 우리가 의식할 수 없을 정도로 조용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공간은 사용자가 생활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서비스인 시큐리티 시스템, 실

내환경 조 시스템, 생활 지원 시스템, 컨트롤 시

스템, 문화, 헬스 어 시스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여 삶의 질 향상을 돕는다. 노인공간에서의

스마트화란 스마트 기술이 두되는 사회 흐름

과 보다 좋은 복지서비스를 요구하는 액티 시니

어의 등장에 맞추어 그들에게 스마트화 된 복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조성

하는 것을 말한다.

출처: ETRI(2008)

<그림 4> 홈네트워크 시스템

2) 주거공간에서의 스마트 시스템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를 다양한 분야에 용

하기 시작하면서 표 으로 주거공간에 먼 스

마트 시스템이 반 되었다. 이와 더불어 1999년 4

월 정보통신부가 고속 정보통신 건물 인증제도

를 도입하면서부터 주로 공동주택을 상으로 사

이버 아 트, 지능형 아 트, 스마트 홈4), 디지털

홈5) 등 다양한 종류와 이름의 기 유비쿼터스형

4) 스마트 홈(Smart home)이란 생활환경의 지능화, 환경친화 주거 생활, 삶의 질 신을 추구하는 지능화된 가정 내 생활환경 거주공간을

의미한다(지식경제부 홈페이지, http://www.mke.go.kr).

5) 디지털 홈(Digital home)이란 가정 내의 생활기기 정보가 기기가 유무선 홈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가족 구성원 구나 기기,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생활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주거환경을 의미한다(정보통신부, 2003).

Page 8: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162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2호 2011. 6

시스템 구분 세부 시스템

안 보안 시스템침입/도난 방지 시스템, 주동/ 출입 시스템, 재해감지 시스템, 구 시스템, 지능형 통합

키 시스템, 외출안 시스템, 엘리베이터 안 시스템, 외출안 시스템, CCTV 감시 시스템

환경조 시스템열환경 시스템, 조명제어 시스템, 자동 등 시스템, 냉난방조 시스템, 자동환기 시스템,

공기청정 시스템, 동커튼 시스템

가사생활지원 시스템쓰 기 자동수거 시스템, 요리지원 시스템, 자동조 제어 시스템, 청소 지원시스템,

앙 정수 시스템

건강지원 시스템 자동 수 , 온도조 욕조 시스템, U-health 시스템, 건강 리 체크 시스템

문화생활지원 시스템 홈시어터 시스템, 오디오공유 시스템, 비디오공유 시스템, 이러닝 시스템

주택 리 시스템 에 지 리 시스템, 원격검침 시스템, 통신 시스템

자동제어 시스템 리모트컨트롤 시스템, 음성컨트롤 시스템, 타이머컨트롤 시스템

자료: 한주택공사(2000)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한 설명을 간략하게 재구성 함.

<표 4>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분류

홈이 구 되어 왔다(이유진, 2008). 주거생활의 자

동화, 고기능화, 정보화를 실 하는 수단인 홈 오

토메이션은 정보 가 기기를 운용하는 유비쿼터스

컴퓨 시스템 기반의 주택 구 을 원활히 운용하

기 해 필요한 기술인 실시간 OS (Operating

System), 정보단말, 인터페이스 등의 기반 소 트

웨어 기술과 다양한 응용서비스 시스템 기술로

이루어진다. 이는 하나의 종합시스템이 자동화된

가 기기 정보처리기구를 리하기 때문에 가

정생활의 효율화 첨단화를 도모하고, 가정 내

단말기와 외부 정보통신망과 상호 연계되어 각종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김민정, 2004).

<표 4>와 같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크게 7

가지로 분류되며 안 보안 시스템, 환경조 시스

템, 가사생활지원 시스템, 건강지원 시스템, 문화

생활 시스템, 주택 리 시스템, 자동제어 시스템

으로 나뉜다. 본 논문은 주거공간에서의 스마트

시스템을 분석 응용하여 노인복지시설에 공간

유형별로 합한 스마트 시스템을 용 제시하

고자 한다.

Ⅲ. 노인복지시설의 사례연구 스마트 용

1. 사례연구

1) 조사 상

서울시 노인복지시설은 총 26개이며, 사례조사

명칭 이미지설립연도

구성(지하/지상)

연면(m²)

서 2009 -/5층 4,999

도 2000 1층/4층 2,757

동 문 2003 2층/4층 2,396

방배 2009 1층/5층 3,124

노원 2004 -/3층 1,032

강남 20051층/6층

(4~6층)1,884

<그림 5> 서울시 노인복지시설의 분석 상 개요

Page 9: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한 연구 163

상은 서울시 노인복지시설 26개 2000년 이후

에 건립된 노인복지시설 6개를 선정하 으며 <그

림 5>는 선정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개요를 간략

히 나타낸 도표이다.

2) 노인종합복지시설의 공간 구성항목 분석

국내 6곳의 노인복지시설은 <표 5>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크게 4가지 부문으로 나뉘어져 공간을

구성하고 있었으며, 상담지도, 의료재활, 사회교

육, 복리후생 부문으로 나뉘어졌다. 다양한 부문으

로 공간을 구성하고 있었으나 부분 사회교육 부

문의 공간 구성이 가장 많이 차지했으며, 시설

소 노후화, 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등으로 양

질의 서비스 제공에 한계가 있었다. 한 기존의

노인복지시설을 통해 서비스를 지속 으로 확 하

공간구성 서 도 동

방배

노원

강남

상담지도

상담실 ⦁ ⦁ ⦁ ⦁ ⦁ ⦁

의료재활

진료실 - - - - ⦁ -

물리치료실 - ⦁ ⦁ - -

건강 리실 ⦁ ⦁ ⦁ ⦁ - ⦁

사회교육

강당 ⦁ ⦁ ⦁ ⦁ ⦁ -

취미교실 ⦁ ⦁ - ⦁ - ⦁학습교실 ⦁ ⦁ ⦁ ⦁ ⦁ ⦁

서 ㆍ공 실 ⦁ - - ⦁ - -

산화 교실 ⦁ ⦁ ⦁ ⦁ ⦁ ⦁자도서 ⦁ ⦁ - ⦁ - -

탁구․당구장 - ⦁ - ⦁ - -

복리후생

식당 ⦁ ⦁ - ⦁ ⦁ ⦁이ㆍ미용실 ⦁ ⦁ ⦁ ⦁ - -

목욕실 - - - ⦁ ⦁ -

세탁실 - ⦁ ⦁ - - -

<표 5> 국내시설 사례의 서비스 로그램별 공간 구성항목

고 있으나 증하는 노인과 신 노년층의 다양한

욕구 충족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Ⅳ.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스마트화 계획

사례연구인 6곳의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로그램별 공간 구성항목 분석결과를 토 로 각

공간의 역할 목 에 따라 노인에게 필요한 스

마트 시스템을 용 제안하 다. 스마트 시스

템은 공간의 역할 목 에 따라 주거공간에

용된 기존의 홈 네트워크 유비쿼터스 기술을

응용하 다. 한 스마트 시스템의 합성, 우수

성, 효율성, 편리성을 모두 고려하여 공간과

히 복합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스마트 시스템이 용된 노인복지시설의 공간

계획에서는 공간의 역할에 따라 노인이 원하고 행

동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편리 서비스 등을 제공

하는 데 역 을 둔다. 용될 스마트 시스템들은

노인종합복지시설에 안 , 정보, 편리의 개념이

충족된다는 제하에 진행되어야 한다. 각 공간

항목별로 그 공간의 역할 목 에 따라 필요한

스마트 기술 요소를 가지고 계획되며, 이용노인이

원하는 복지 환경에 만족하는 새로운 개념의 노인

종합복지시설을 계획한다. 사례를 통해 나타난 4

가지 부문에서 표 인 공간 항목을 선정하여 각

공간에 합한 스마트 시스템을 목하여 노인종

합복지시설의 공간을 계획한다.

1. 상담지도 부문

상담지도 부문은 노인을 상으로 상담을 해주

는 장소로 고민이나 고령자 취업알선 등 라이

어를 돕는다. 국내 사례의 상담지도 부문의 공간

구성항목에는 상담실이 나타났으며, 이는 6곳의

Page 10: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164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2호 2011. 6

모든 사례에서 구성요소로 나타났다. 이에 노인이

상담하기 편하도록 제공되는 스마트 시스템을

상 제안해보면 <그림 6>과 같다.

구분 상담지도 부문의 스마트화 시

상담실

A.감성 조명 시스템 CCTV 시스템

B. 이력카드 발 시스템 DB서버

C. 디지털 이모션 체어

<그림 6> 상담지도 부문의 스마트화

상담실은 이용노인이 상담하기 편안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많은 상담자들의 상담내용을 정확

히 기억해 낼 수 없기 때문에 이력카드 발 시스

템과 DB 서버를 통해 자동으로 장하고 항목에

맞는 상담내용을 추출한다. 한 디지털 이모션

체어를 통해 상담자의 바이오 리듬을 체크하여 상

담을 받는 이용노인의 그 날 상태에 따라 상담실

의 온도, 조도 등을 조 하며 감성 조명 시스템을

통해 상담자에게 맞춤형으로 최 화된 상담실 환

경을 조성한다.

2. 의료재활 부문

의료재활 부문은 노인의 건강을 한 부문으로

진료실, 물리치료실, 건강 리실의 3개로 나눠지

며 부분의 사례에서 건강 리실 구성항목이 있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표 4>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분류

건강지원 시스템의 세부 시스템들을 응용하여 이

용노인에게 더 합하도록 시스템화하 다.

구분 의료재활 부문의 스마트화 예시

건강관리실

B. 스마트 처방

A. 헬스 어 시스템

<그림 7> 의료재활 부문의 스마트화

건강 리실에서는 노인에게 첨단 스마트 시스

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용노인은 건강한 노년

생활을 추구하기 때문에 건강에 심이 많으며

이에 합한 스마트 시스템을 응용 용하고

자 하 다. 헬스 어 시스템을 통해 노인의 신체

를 측정하여 건강정보를 악하고 열화상 카메라

를 통해 신체 온도 상태를 확인한다. 이를 통

해 측정한 건강정보에 따라 처방하여 노인의 건

강을 리해 다.

3. 사회교육 부문

사회교육 부문은 노인이 취미활동이나 문화생

활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문으로 크게 학

습 교육실과 취미 교육실, 산 교육실, 강당으로

나 수 있다.

사회교육 서비스 부문의 스마트 시스템은 <표

4>의 문화생활지원 시스템을 응용하 다. 여기에

환경조 시스템을 목시켜 이용노인의 사회교

육 서비스 공간 환경이 더욱 쾌 해질 수 있도록

하 다.

Page 11: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한 연구 165

구분 사회교육 부문의 스마트화 예시

전자 도서관

B. 스마트 북

A. 디지털 서고

취미 교육실

B. 디지털 캔버스

A. 스마트 가상 실

C. 미디어 테이블

<그림 8> 사회교육 부문의 스마트화

먼 자도서 에 이용노인의 개인 심사에

맞춰 정보가 자동으로 나타나는 디지털 서고, 시

력이 감퇴하는 노인의 상황에 맞추어 스마트 북

시스템을 용한다.

취미교실 학습교실에서는 노인의 감성 증진

을 한 디지털 캔버스, 미디어 테이블을 용하

고,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해 풀스크린으로

취미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상담지도, 의료재활, 사회교육 부문에 공통 으

로 감성조명시스템, 기 력 차단 스 치, 월 패

드 시스템, 자동환기 시스템 등 최 화된 실내환

경을 제공하는 스마트 기술을 용한다.

4. 복리후생 부문

복리후생 부문은 식당, 이·미용실, 목욕실 등 노

인에게 제공되는 기본 인 복지공간을 말한다. 이

는 <표 4>의 가사생활지원 시스템을 노인에게

합하도록 응용하고 여기에 환경조 시스템을

목하 다.

구분 복리후생 부문의 스마트화 예시

식당 및

카페 테리아

A. 디지털 액자

B. 미디어 테이블

C. 디지털 이모션 체어

<그림 9> 복리후생 부문의 스마트화

표 으로 식당에 스마트화를 용해보면, 디

지털 액자, 미디어 테이블 등의 시스템을 통해 스

마트화된 식당 카페테리아를 계획하고, 디지털

이모션 체어를 통해 노인의 몸 상태에 맞는 음식

차를 제공한다.

Ⅴ. 결론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시설에 스마트 기술을

용하여 노인복지시설의 스마트화를 제안하고자

하 으며, 부문을 나 어 공간별로 필요한 스마트

시스템을 제안하 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노인복지시설 6곳을 사례 연구한

결과 노인복지시설의 공간은 크게 4가지 부문으로

나 어졌으며 순서 로 정리하면 상담지도 부문,

의료재활 부문, 사회교육 부문, 복리후생 부문이다.

다양한 부문으로 공간을 구성하고 있었으나 시설

소, 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등의 문제가 있었다.

신 노년층이 발생함에 따라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

Page 12: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166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2호 2011. 6

키기 해 단순히 화려한 시설만이 아닌 공간별로

노인에게 필요한 스마트 기술이 요구되었다.

둘째, 상담지도 부문으로 상담실은 이력 카드

CCTV를 통해 상담 내용을 자동으로 장하고,

디지털 이모션 체어를 통해 상담자의 컨디션을

악하여 감성 조명 조 , 실내온도 조 등을 통해

상담자에게 편안한 상담 분 기를 제공한다.

셋째, 의료재활 부문으로 건강 리실에서는 헬

스 어 시스템을 통해 노인 각 개인마다 신체를

측정하여 건강정보를 악하고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신체온도 상태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측

정한 건강정보에 따라 처방하여 노인의 건강을

리해 다.

넷째, 사회교육 부문으로 디지털 서고를 통해

개인 심사에 맞는 정보를 제공받아 3D 상이

모니터에 펼쳐지는 스마트 북을 할 수 있다. 노

인의 감성 증진을 돕는 스마트 가상 실, 디지털

캔버스, 미디어 테이블을 통해 술 감성 증진

외에 다양한 재미도 제공한다.

다섯째, 복리후생 부문으로 노인에게 기본 인

환경을 제공한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한 스

마트 기술이 용된 미디어 테이블을 통해 움직임

없이 주문이 가능해지며, 디지털 이모션 체어로

당일의 몸 상태에 맞는 음식 차를 제공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스마트 기술이 주거공간뿐

아닌 노인복지시설에도 용해 스마트화할 수 있

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기존 노인복지

시설의 부문별 공간 구성에 스마트 기술까지 복합

화된 공간 구성을 개발하 다. 고령화 사회 진입

을 앞두고 있는 우리 사회가 경제 이고 효율 인

복지체계를 구축하기 해 스마트화된 복합 노

인복지시설의 디자인 제시는 우리 사회의 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종합복

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사회 욕구를 충족시

키고 안 , 정보, 편리성을 갖춘 노인종합복지시

설 모델디자인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한 세계 인 상 하나인 고령화 사회로 속

히 변화되는 IT시 에 노인의 라이 스타일

을 고려한 노인종합복지시설에 스마트화된 공간

을 제안함으로써 사회복지학, 실내디자인학, 건축

학, IT정보학의 기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문헌─────────

권오정, 2005, “노년층의 기술수용성향과 홈 오토메이션 시

스템에 한 요구도”,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6(6).

기호 , 2008, 「사회 약자를 고려한 홈네트워크 주택유

형 개발」, 국토해양부.

김문덕, 2006, “욕구조사를 통한 도시형 노인종합복지 의

방향설계와 공간배치에 한 연구”, 「건국 학교

조형연구소 논문집」, 14.

김민수ㆍ이성미ㆍ이유진ㆍ이연숙ㆍ이선민, 2006, “노인

주거환경의 개념과 유형화 연구”, 「한국실내디자인

학회 논문집」, 8(1).

김민수·이연숙, 2007, “고령친화 홈네트워크 서비스개발을

한 장년층 소비자선호에 한 연구”, 「한국생

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7(2).

김민정, 2004, “유비쿼터스 환경과 미래 주거의 변화 고찰:

공간 구성 요소 변화를 심으로”, 홍익 학교 석사

학 논문.

김석 , 2001, “서울시 노인종합복지회 공간구성에 한

연구”, 서울시립 학교 석사학 논문.

김희숙, 2006, “노인종합복지 의 로그램개선 방안에

한 연구”, 서울시립 학교 도시과학 학원 석사학

논문.

한상공회의소, 2006, 「실버산업 성장 망」.

한주택공사, 2000, 「수요 응형 인텔리 트 아 트 표

모델 개발(I)」, 건설교통부.

Page 13: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관한 연구 06_10 서울도시연구-송나윤 외.pdf · 브 시니어’가 미래 실버산업의

서울시 노인종합복지시설의 서비스 부문별 공간 스마트화에 한 연구 167

박혜선·박 기, 2008, “종합사회복지 세 간 교류공간

계획에 한 연구”, 「 한건축학회 논문집」, 24(9).

보건복지부, 2010, 「2010년도 사회복지 운 지침」, 22~35.

소 , 1998, “노인종합복지 건축의 공간구성계획에

한 연구”, 홍익 학교 박사학 논문.

___, 2006, “서울시 노인종합복지 의 유형별 공간특성

에 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5(5).

소 · 명 , 1998, “지역 노인복지시설의 유형분류와

기능분석에 한 연구”, 「 한건축학회 논문집」, 5.

손병회·장존찬, 2009, 「유비쿼터스 개론」, 도서출 ITC.

오찬옥, 2008, “노인을 한 지능형 공간환경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7(5).

유은 , 2004, “노인복지회 서비스 로그램과 공간구성에

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3(6): 6.

이용민·권오정, 2010, “국내 미래주택 에서 구 하는 유

비쿼터스 혼 서비스 황 분석: 유비쿼터스 홈 서

비스 요구도 련 연구 결과와 비교를 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9(2).

이유진, 2008, “가족친화형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계획요소

에 한 연구: 맞벌이 주부를 상으로”, 연세 학

교 석사학 논문.

이정미, 2005, “고령사회를 한 네트워크 주거환경계획요

소 탐색 연구”, 연세 학교 석사학 논문.

이효원·박산돌·주석 , 2004, “노인복지회 의 공간구성 황

에 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논문집」, 10(2).

정보통신부, 2003, 「Digital Home 구축기본계획」.

최정원·이형우·안길재·김용성, 2010, “상황인식 기술을

용한 종합 복지센터 공간 계획 연구: 종합 복지센

터 로비 공간 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

문집」, 19(3).

통계청, 2010, 「액티 시니어의 인구변화」.

하원규, 2002, 「유비쿼터스 IT 명과 제3공간」, 자신문사.

ETRI, 2008, 「정보통신기술산업 망」.

kt 경제경 연구소, 2010, 「액티 시니어가 이끄는 실버

시장의 변화와 비」.

http://9988.seoul.go.kr(서울특별시 9988 어르신 포털)

http://www.kisa.or.kr(한국인터넷진흥원)

http://www.mke.go.kr(지식경제부)

원 고 수 일:2010년 10월 5일

1차심사완료일:2010년 11월 14일

2차심사완료일:2011년 3월 22일

최종원고채택일:2011년 6월 21일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