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전기자동차 메카, 산업화로 이어져야pdf.jejuilbo.net/2016/04/01/20160401-15.pdf ·...

전기자동차 메카, 산업화로 이어져야pdf.jejuilbo.net/2016/04/01/20160401-15.pdf ·...

Date post: 08-Jul-2020
Category:
Upload: others
View: 1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1
15 2016년 4월 1일 금요일 제21391호 오피니언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10년 사이에 갑절 이상 늘었 다. 호남지방통계청이 지난달 30일 발표한 ‘관광 1번지 제주를 읽다’ 자료에 의하면 2005년 제주를 찾은 관광 객은 502만275명. 지난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1366 만4395명으로 10년 동안 172.2% 늘었다. 이 가운데 내 국인 관광객은 지난해 1104만135명으로 2005년보다 137.8% 증가했다. 또 이 기간 외국인 관광객은 592.9% 의 기록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가운데 중국인은 223만7363명으로 전체 외국인 관광객의 85.3%를 차 지했다. 반면 2005년 외국인 관광객의 39.3%를 점유했 던 일본인 관광객은 지난해 2.2%로 떨어졌다. 그런데 이처럼 관광객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로 발생 한 수익은 여전히 일부 대형업체의 수중에 떨어지고 있 다. 영세업체들은 말 그대로 ‘강 건너 잔치 구경’이다. 실제 2014년 기준 제주도내 관광숙박업 사업체 수는 2328곳에 이르고 있지만, 이 가운데 5.5%(129곳)에 불 과한 호텔 및 휴양콘도업의 매출액이 관광숙박업 전체 매출액 7748억원의 79.3%(6150억원)를 차지해 사실 상 이익을 독식했다. 음식점 또한 예외가 아니다. 2014년 기준 4명 이하 종 사자(업주 포함)의 음식점 평균 매출액은 5700만원으 로 2005년에 비해 10.2% 증가하는데 그쳤다. 반면 전체 음식점 가운데 0.4%(34곳)에 불과한 20인 이상 종사자를 거느린 대형 음식점 매출액은 2005년 10억2000만원에서 2004년 28억200만원으로 174.7% 증가했다. 4명 이하 음식점 매출액 증가율과 비교했을 때 17배 차이가 나는 것이다. 이는 비단 숙박업과 음식업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이 즐기는 쇼핑의 경우 외국인 면세점이 말 그대로 ‘대세’다. 규모가 작은 토착 업체들 은 자신의 가게 앞을 지나가는 많은 손님들을 바라만 보고 있다. 관광 수입이 지역에 환원되기보다 대기업 또는 대형 업체에 집중되면서 제주 사회에 또 하나의 ‘그늘’이 생 기고 있다. 제주 관광이 오늘에 이른 데는 제주도민들 이 절대적 역할을 했다. 제주는 2002년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2007년 세계 자연유산 등재, 2010년에는 세계 지질공원 인증 등 세 계에서 유일한 유네스코 자연 과학 분야에서 3관왕을 달성한 아름다운 섬이다. 이는 곧 청정 자연을 지켜온 제주도민들의 희생과 노력의 결과물이다. 이는 곧 관광 으로 창출된 이익 또한 제주 사회에 환원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정부인 제주도는 관련 업계 및 학계 등과 머리를 맞대 제주 관광의 파급효과가 제주 사회에 골고루 돌 아갈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실행해야 한다. 제주 관광은 제주도민들과 함께 가야한다. 올해로 68주년을 맞는 제주4·3사건 국가추념식이 오 는 3일 오전 10시 제주시 봉개동 거친오름 들녘에 마련 된 4·3 평화공원에서 거행될 예정이다. 국가추념식이면서도 대통령은 올해도 참석하지 못 한다. 대신 황교안 국무총리가 참석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3월 30일부터 4월 5일까지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와 한·미·일 정상회 담 참석을 위해 출국한 상태여서 사실상 4·3 추념식 참 석은 어렵다. 4·3 추념식에 대통령이 참석했던 것은 2006년 노무 현 대통령 때에 한 번뿐이었다. 그 이후 10년이라는 세 월이 지나면서 이명박 전 대통령과 지금의 박근혜 대통 령을 거치면서 대통령이 추념식에 참석한 적은 없었다. 박 대통령은 2012년 대통령 후보자 시절에 4·3 평화공 원을 찾아 영령들의 영혼을 위로한 적이 있었다. 당시 박 대통령은 희생자와 피해자의 아픔을 함께 하는 일에 적극 노력하겠다는 공약을 밝혀 도민들의 기대가 컸었다. 그러기에 희생자와 그 가족들 그리고 제주도민들은 매년 열리는 4·3 추념식에 대통령의 참 석을 간곡히 요청해 왔다. 그럼에도 올해 역시 대통령의 참석은 성사되지 못했 다. 명색이 국가추념식이면서도 대통령의 참석은 매번 도민들의 희망사항으로만 남게 된 셈이다. 이처럼 희생자 가족들이 대통령의 참석을 요구하는 것은 그 상징하는 바가 크기 때문이다. 더구나 정부는 4·3 위령제를 국가추념식으로 지정해 놓고도 아직도 보수단체에 휘둘려 4·3 흔들기에 동조 하는 듯한 입장을 보이고 있기에 대통령의 참석은 더욱 중요할 수밖에 없다. 대통령의 참석은 아직도 이데올로 기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4·3의 완전한 갈등 해소 는 물론이지만 화해와 상생의 시금석이 될 수 있어서 이다. 전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분단국가로서 한반도 평 화를 위해 우방국가들과의 연대를 강화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한 나라의 대표인 대통령은 국민들의 아 픈 가슴을 쓸어주고 눈물을 닦아주는 일에도 결코 소 홀해서는 안 된다. 일본 측에 종군위안부에 대한 사과 를 요구하는 우리 국가가 자기 동족 가슴을 향해 겨눈 총칼에 희생된 수만명의 국민들의 아픔을 외면하는 것 은 국가의 도리가 아니다. 68돌을 맞는 제주4·3사건의 추념식을 바라보는 심 정들은 대부분 착잡할 것이다. 4·3은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언제 다시 불을 지를지 모 를 보수단체들의 희생자 재심사 요구, 피해자와 유가족 들에 대한 후유증 치료, 교과서 왜곡 등이 그것들이다. 또 실제 피해자이면서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지원책 등은 제주도민 모두가 함께 가지고 가야할 우리만의 숙제들인 것이다. 사설 관광객 증가가 만능이 아니다 대통령 불참으로 아쉬운 4·3 국가추념식 지난달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3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는 ‘전기차 다보스 포럼’, ‘전기차 올림픽’의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기에 충분했다. 역대 최다 참가 기업 145개, 전시부스 355개는 그 규모를 말해준다. 내용 면에 있어서도 24개국에서 전문가와 기업 대 표들이 참석해 전기자동차 관련 정책과 산업, 기술 등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가 이 루어졌다. 참가국들 간 연대를 위한 협의체도 발 족했다. 엑스포의 영속성과 국제화를 위 한 진일보한 성과물이 아닐 수 없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 속도는 가파르다. LG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 ‘대 중화 시동 건 전기차’에 따르면 전기자동 차가 전 세계적으로 2013년 약 20만대에 불과했으나 2014년에는 30만대를 넘어섰 다. 지난해는 100%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 하며 60만대 이상으로 확대됐다. 향후 5 년간 세계 전기차 시장은 30~50%의 성장 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보고서도 있다. 배터리 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그에 따 른 가격 인하, 국가 및 지자체 단위의 보조 금 지급 등 전기차 확산을 위한 긍정적 환 경 등에 힘입어 전기차 급증세가 이어질 것임은 분명해 보인다. 특히 제주도가 강 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카본 프리 아일랜 드(Carbon Free Island)’ 정책은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 전기차의 선진지는 단연 코 제주도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에서 운 행 중인 전기차의 40%(2366대), 충전기 의 45%(2516개)가 제주에 집중돼 있다. 제주도는 2030년까지 ‘탄소 없는 섬’을 표방하면서 도내 운행 차량을 100% 전기 차로 채운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는 해안 둘레를 도는 일주도로 길이가 총 176㎞여서 한 번 충전으로 곳 곳을 돌아다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발 1100m의 도로에다 폭우, 폭설, 강풍, 지독 한 안개 등 전기차 활성화를 위한 테스트 베드로서도 완벽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제주도가 ‘바람으로 가는 전기자동차’ 시대를 실현한다는 것은 큰 의미를 갖는 다. 제주도에 있어 자연보전과 친환경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전기자동차는 교통 분야에서 친환경의 상징이다. 청정 환경을 지향하는 제주도 의 의지와도 맞아떨어진다. 이 같은 계획이 실천되면 제주도는 세 계에서 처음으로 전기자동차의 천국이 되는 셈이다. 이쯤되면 제주도는 가히 전 기자동차 혁명의 근원지에 다름 아니다. 대한민국의 1%로 치부되는 제주도가 전기차 분야에서 전국 시장의 절대 강자 로 나선 것은 유례없는 기회이다. 문제는 단순한 전기차 보급 확대가 아닌 산업화 로 연결시켜야 한다는데 있다. 산·학·연·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전 기차 시장의 주도권이 확보돼야 제주도가 명실상부한 ‘전기차의 글로벌 메카’가 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도민의 협조가 절 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에서 제주도의 ‘탄 소없는 섬’ 정책은 실패할 수도 있음을 명 심해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원희룡 도정이 전기차 정책과 전력저장장치, 그리고 스마트그리 드를 새로운 녹색산업 생태계인 그린 빅 뱅 모델로 제시한 것은 기대감을 갖게 하 고 있다. 전기차 100% 달성과 연관 산업 육성 정책이 상호 연동되어야 그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충전 스테이션과 신재 생 에너지, 전기차 글로벌 플랫폼 구축, 전 기차 관련 청년 창업과 마을기업 설립 등 의 새로운 비즈니스가 등장해야 한다. 전 기자동차의 생산·판매에 따른 인위적인 걸림돌들도 당연히 철폐돼야 한다. 그래 야 전기차가 제주도의 차세대 성장 동력 이 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천문학적인 생산시설이 수반되지 않아 중소기업도 생산에 참여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다 할 제조 업이 전무한 제주도로서는 분명 호재다. 전기자동차의 무한 질주, 그 시발점은 제 주도여야 한다. 전기자동차 메카, 산업화로 이어져야 ※ 본란 칼럼은 본지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제주칼럼 김화경 제주국제대학교 호텔경영학과 교수 제주만평 김경호 화백
Transcript
Page 1: 전기자동차 메카, 산업화로 이어져야pdf.jejuilbo.net/2016/04/01/20160401-15.pdf · 2016-03-31 · 오피니언 2016년 4월 1일 금요일 제21391호 15 제주를 찾은

152016년 4월 1일 금요일 제21391호오피니언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10년 사이에 갑절 이상 늘었

다. 호남지방통계청이 지난달 30일 발표한 ‘관광 1번지

제주를 읽다’ 자료에 의하면 2005년 제주를 찾은 관광

객은 502만275명. 지난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1366

만4395명으로 10년 동안 172.2% 늘었다. 이 가운데 내

국인 관광객은 지난해 1104만135명으로 2005년보다

137.8% 증가했다. 또 이 기간 외국인 관광객은 592.9%

의 기록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가운데 중국인은

223만7363명으로 전체 외국인 관광객의 85.3%를 차

지했다. 반면 2005년 외국인 관광객의 39.3%를 점유했

던 일본인 관광객은 지난해 2.2%로 떨어졌다.

그런데 이처럼 관광객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로 발생

한 수익은 여전히 일부 대형업체의 수중에 떨어지고 있

다. 영세업체들은 말 그대로 ‘강 건너 잔치 구경’이다.

실제 2014년 기준 제주도내 관광숙박업 사업체 수는

2328곳에 이르고 있지만, 이 가운데 5.5%(129곳)에 불

과한 호텔 및 휴양콘도업의 매출액이 관광숙박업 전체

매출액 7748억원의 79.3%(6150억원)를 차지해 사실

상 이익을 독식했다.

음식점 또한 예외가 아니다. 2014년 기준 4명 이하 종

사자(업주 포함)의 음식점 평균 매출액은 5700만원으

로 2005년에 비해 10.2% 증가하는데 그쳤다.

반면 전체 음식점 가운데 0.4%(34곳)에 불과한 20인

이상 종사자를 거느린 대형 음식점 매출액은 2005년

10억2000만원에서 2004년 28억200만원으로 174.7%

증가했다. 4명 이하 음식점 매출액 증가율과 비교했을

때 17배 차이가 나는 것이다.

이는 비단 숙박업과 음식업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이 즐기는 쇼핑의 경우 외국인

면세점이 말 그대로 ‘대세’다. 규모가 작은 토착 업체들

은 자신의 가게 앞을 지나가는 많은 손님들을 바라만

보고 있다.

관광 수입이 지역에 환원되기보다 대기업 또는 대형

업체에 집중되면서 제주 사회에 또 하나의 ‘그늘’이 생

기고 있다. 제주 관광이 오늘에 이른 데는 제주도민들

이 절대적 역할을 했다.

제주는 2002년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2007년 세계

자연유산 등재, 2010년에는 세계 지질공원 인증 등 세

계에서 유일한 유네스코 자연 과학 분야에서 3관왕을

달성한 아름다운 섬이다. 이는 곧 청정 자연을 지켜온

제주도민들의 희생과 노력의 결과물이다. 이는 곧 관광

으로 창출된 이익 또한 제주 사회에 환원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정부인 제주도는 관련 업계 및 학계 등과 머리를

맞대 제주 관광의 파급효과가 제주 사회에 골고루 돌

아갈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실행해야

한다. 제주 관광은 제주도민들과 함께 가야한다.

올해로 68주년을 맞는 제주4·3사건 국가추념식이 오

는 3일 오전 10시 제주시 봉개동 거친오름 들녘에 마련

된 4·3 평화공원에서 거행될 예정이다.

국가추념식이면서도 대통령은 올해도 참석하지 못

한다. 대신 황교안 국무총리가 참석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3월 30일부터 4월 5일까지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와 한·미·일 정상회

담 참석을 위해 출국한 상태여서 사실상 4·3 추념식 참

석은 어렵다.

4·3 추념식에 대통령이 참석했던 것은 2006년 노무

현 대통령 때에 한 번뿐이었다. 그 이후 10년이라는 세

월이 지나면서 이명박 전 대통령과 지금의 박근혜 대통

령을 거치면서 대통령이 추념식에 참석한 적은 없었다.

박 대통령은 2012년 대통령 후보자 시절에 4·3 평화공

원을 찾아 영령들의 영혼을 위로한 적이 있었다.

당시 박 대통령은 희생자와 피해자의 아픔을 함께

하는 일에 적극 노력하겠다는 공약을 밝혀 도민들의

기대가 컸었다. 그러기에 희생자와 그 가족들 그리고

제주도민들은 매년 열리는 4·3 추념식에 대통령의 참

석을 간곡히 요청해 왔다.

그럼에도 올해 역시 대통령의 참석은 성사되지 못했

다. 명색이 국가추념식이면서도 대통령의 참석은 매번

도민들의 희망사항으로만 남게 된 셈이다.

이처럼 희생자 가족들이 대통령의 참석을 요구하는

것은 그 상징하는 바가 크기 때문이다.

더구나 정부는 4·3 위령제를 국가추념식으로 지정해

놓고도 아직도 보수단체에 휘둘려 4·3 흔들기에 동조

하는 듯한 입장을 보이고 있기에 대통령의 참석은 더욱

중요할 수밖에 없다. 대통령의 참석은 아직도 이데올로

기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4·3의 완전한 갈등 해소

는 물론이지만 화해와 상생의 시금석이 될 수 있어서

이다.

전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분단국가로서 한반도 평

화를 위해 우방국가들과의 연대를 강화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한 나라의 대표인 대통령은 국민들의 아

픈 가슴을 쓸어주고 눈물을 닦아주는 일에도 결코 소

홀해서는 안 된다. 일본 측에 종군위안부에 대한 사과

를 요구하는 우리 국가가 자기 동족 가슴을 향해 겨눈

총칼에 희생된 수만명의 국민들의 아픔을 외면하는 것

은 국가의 도리가 아니다.

68돌을 맞는 제주4·3사건의 추념식을 바라보는 심

정들은 대부분 착잡할 것이다. 4·3은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언제 다시 불을 지를지 모

를 보수단체들의 희생자 재심사 요구, 피해자와 유가족

들에 대한 후유증 치료, 교과서 왜곡 등이 그것들이다.

또 실제 피해자이면서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지원책 등은 제주도민 모두가 함께 가지고 가야할

우리만의 숙제들인 것이다.

사설

관광객 증가가 만능이 아니다

대통령 불참으로 아쉬운 4·3 국가추념식

지난달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3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는 ‘전기차

다보스 포럼’, ‘전기차 올림픽’의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기에 충분했다.

역대 최다 참가 기업 145개, 전시부스

355개는 그 규모를 말해준다. 내용 면에

있어서도 24개국에서 전문가와 기업 대

표들이 참석해 전기자동차 관련 정책과

산업, 기술 등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가 이

루어졌다.

참가국들 간 연대를 위한 협의체도 발

족했다. 엑스포의 영속성과 국제화를 위

한 진일보한 성과물이 아닐 수 없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 속도는 가파르다.

LG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 ‘대

중화 시동 건 전기차’에 따르면 전기자동

차가 전 세계적으로 2013년 약 20만대에

불과했으나 2014년에는 30만대를 넘어섰

다.

지난해는 100%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

하며 60만대 이상으로 확대됐다. 향후 5

년간 세계 전기차 시장은 30~50%의 성장

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보고서도 있다.

배터리 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그에 따

른 가격 인하, 국가 및 지자체 단위의 보조

금 지급 등 전기차 확산을 위한 긍정적 환

경 등에 힘입어 전기차 급증세가 이어질

것임은 분명해 보인다. 특히 제주도가 강

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카본 프리 아일랜

드(Carbon Free Island)’ 정책은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 전기차의 선진지는 단연

코 제주도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에서 운

행 중인 전기차의 40%(2366대), 충전기

의 45%(2516개)가 제주에 집중돼 있다.

제주도는 2030년까지 ‘탄소 없는 섬’을

표방하면서 도내 운행 차량을 100% 전기

차로 채운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는 해안 둘레를 도는 일주도로

길이가 총 176㎞여서 한 번 충전으로 곳

곳을 돌아다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발

1100m의 도로에다 폭우, 폭설, 강풍, 지독

한 안개 등 전기차 활성화를 위한 테스트

베드로서도 완벽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제주도가 ‘바람으로 가는 전기자동차’

시대를 실현한다는 것은 큰 의미를 갖는

다. 제주도에 있어 자연보전과 친환경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전기자동차는 교통 분야에서 친환경의

상징이다. 청정 환경을 지향하는 제주도

의 의지와도 맞아떨어진다.

이 같은 계획이 실천되면 제주도는 세

계에서 처음으로 전기자동차의 천국이

되는 셈이다. 이쯤되면 제주도는 가히 전

기자동차 혁명의 근원지에 다름 아니다.

대한민국의 1%로 치부되는 제주도가

전기차 분야에서 전국 시장의 절대 강자

로 나선 것은 유례없는 기회이다. 문제는

단순한 전기차 보급 확대가 아닌 산업화

로 연결시켜야 한다는데 있다.

산·학·연·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전

기차 시장의 주도권이 확보돼야 제주도가

명실상부한 ‘전기차의 글로벌 메카’가 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도민의 협조가 절

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에서 제주도의 ‘탄

소없는 섬’ 정책은 실패할 수도 있음을 명

심해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원희룡 도정이 전기차

정책과 전력저장장치, 그리고 스마트그리

드를 새로운 녹색산업 생태계인 그린 빅

뱅 모델로 제시한 것은 기대감을 갖게 하

고 있다. 전기차 100% 달성과 연관 산업

육성 정책이 상호 연동되어야 그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충전 스테이션과 신재

생 에너지, 전기차 글로벌 플랫폼 구축, 전

기차 관련 청년 창업과 마을기업 설립 등

의 새로운 비즈니스가 등장해야 한다. 전

기자동차의 생산·판매에 따른 인위적인

걸림돌들도 당연히 철폐돼야 한다. 그래

야 전기차가 제주도의 차세대 성장 동력

이 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천문학적인 생산시설이

수반되지 않아 중소기업도 생산에 참여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다 할 제조

업이 전무한 제주도로서는 분명 호재다.

전기자동차의 무한 질주, 그 시발점은 제

주도여야 한다.

전기자동차 메카, 산업화로 이어져야

※ 본란 칼럼은 본지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제주칼럼

김화경

제주국제대학교

호텔경영학과 교수

제주만평

김경호 화백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