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은...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은...

Date post: 29-Aug-2019
Category:
Upload: others
View: 0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59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Transcript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심리학 사학 논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구인가

- 사회 계에 근∙회피 목표 행복 -

2013 2월

울 학 학원

심리학과 사회심리 공

박 슬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구인가

- 사회 계에 근∙회피 목표 행복 -

지도 수 인 철

이 논 심리학 사 학 논 출함.

2012 10월

울 학 학원

심리학과 사회심리 공

박 슬

박슬 심리학 사 학 논 인준함.

2012 12월

원 장 (인)

부 원장 (인)

원 (인)

i

사 역에 근 (approach goal) 피 (avoidance

goal)는 행복에 한 향 미 다. 람직한 결과 하는 것에

는 근 는 행복에 향 미 지만,

결과 피하는 것에 는 피 는 행복에 향

다(Elliot et al., 2006). 러한 한 특징 하 는 한

타 (significant others)에 해 수 다는 것 다. 그러

연 에 는 근 피 사 결과(social outcome) 계는

다 지만 타 에 해 도 는 근 피 , 행복

계에 해 심 보 연 는 거 없었다. 본 연 는 사람들 행복하게

만드는 타 근 도하는 사람 고, 아가 행복한 계란 근

가 도 는 계 고 한다. 해 가지 연 수행한

결과, 사람들 신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릴 근 피

보다 많 (연 1), 신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릴 상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릴 보다 근

많 다(연 2). 또한 근 피 보다 많

릴수 계 만 도가 았고, 는 7개월 후 계 만 도에도

향 주었다(연 3). 본 연 통해 사람들 행복하게 하는 타

근 도하는 사람 할 수 뿐만 아니라, 행복한

계에 사람들 근 많 린다는 것 할 수 었다.

주 어: 근 , 피 , 행복, 한 타 , 계 만 도

학 : 2011-20122

ii

.................................................................................. 1

연 1 .............................................................................. 12

............................................................................................... 13

결과 ................................................................................. 16

연 2 .............................................................................. 21

............................................................................................... 22

결과 ................................................................................. 24

연 3 .............................................................................. 27

............................................................................................... 28

결과 ................................................................................. 30

합 .......................................................................... 35

참고 헌 ........................................................................... 43

................................................................................. 49

Abstract ........................................................................... 52

iii

[ 1] Elliot et al.(2006)에 근∙ 피 에 사 한 척도 .....7

[ 2] 연 1B에 사 한 ........................................... 16

[ 3] 연 2에 사 한 ............................................ 23

[ 4] 연 3에 사 한 .............................................. 29

[ 5] 연 3에 연애 변 과 가 연애만 도 하는

귀계수 .................................................................................. 31

[ 6] 연 3에 T1 연애만 도 가 T2 연애만 도 하는

귀계수 .................................................................................. 33

그림 차

[그림 1] 연 1A에 타 특 에 도 ...................... 18

[그림 2] 연 1B에 타 특 에 도 ...................... 20

[그림 3] 연 2에 타 특 에 도......................... 25

1

사람들 누 행복해지 원한다. 행복 극 어야

할 가 여겨지 , 생 행복 찾아가는 여 에 비 도 한다.

행복 얻 해 사람들 행복 가 수 는 사 경 건

갖 라고, 다양한 통해 행복한 삶 살 해 한다.

많 연 들 또한 행복에 한 꾸 한 심 행복 본질

알아내 한 울 고 다. 지 지 진 행복 건 크게

가지 누어 볼 수 다. , 득, 건강과 같 건 다.

득 경우, 수 지는 득 가할수 행복도 함께 가한다.

는 개 시키 한 한 득 드시 필 하

다. 그러 득 수 에 다다 행복 상 아지지

않 , 지 질주 는 행복 어뜨릴 수 다(Diener &

Biswas-Diener, 2009). 째 , 개 격과 같 질 건 역시

행복과 다. 신경 향 사람들 삶 만 도가 낮고,

행복하 , 많 경험하는 것 타났다. 향 고

상냥한 사람들 많 경험하 다(DeNeve & Cooper, 1998).

마지막 개 내 건도 사람들 행복 는 한 건 다.

감사 느 는 것 행복과 다. 매 매주

감사한 사람들 짜 는 상 사건

사람들보다 행복감 경험하 다(Emmons & McCullough, 2003).

또한 삶에 해 생각하는 사람들 그 지 않 사람들보다

행복한 것 타났다(Daukantaitė & Zukauskiene, 2012). 처럼 개

행복 건과 내 건, 질 등 다양한 다.

행 연 에 , 개 하는 (goal)도 행복에 한

2

향 미 다. 에 해 능숙하다고 느 고 신감 갖는 것 체가

행복 진시킬 수 다(Carver & Scheier, 1999). 또한 는 그 내 에

라 내재 (intrinsic goal) 재 (extrinsic goal) 누어질

수 다. 내재 는 아 수 (self-acceptance)

감(affiliation) , 재 는 공

등 다. 내재 경우 어 하는 그 내 에 지만,

재 는 그 에 다. 라 내재 하는

사람들 행복감 경험하지만, 재 에 는

사람들 낮 행복감 경험한다(Schmuck, Kasser, & Ryan, 2000).

특 질주 가진 사람들 미 많 (wealth)

갖 고 다 하 라도 낮 행복감 경험하는 것 다(Diener &

Biswas-Diener, 2009).

또한 는 특 한 상 결과 하는 는가

피하는 것에 는가에 라 근 (approach goal) 피

(avoidance goal) 는 , 근 피 각각 행복과

한 다(Elliot, et al., 1997; Elliot, et al., 2006; Elliot, Thrash,

& Murayama, 2011). 가 계에 근 가진 사람

계 것 시키는 맞 고 거움 얻 해

할 것 다. 그러 피 가진 사람 갈등 키지 않고,

결과 아가지 않는 것에 맞 것 다. 행 연 에 ,

근 많 하는 사람들 행복하고, 사건 많

경험하 , 움 경험한다. 피 하는 사람들

행복하 , 사건 많 경험하고, 움 많 경험한다.

3

근 는 행복과 상 계가 피 는 행복과

계에 다.

그런 한 특징 하 는 한 타 (significant

others)에 해 수 다는 다. 한 타 단순 타

지하는 에만 향 는 것 아니라, 스스 지하고

평가하는 므 우리가 그들에 해 가지게 는 도 한

갖게 다. Fitzsimons Bargh(2003) 연 에 , 사람들

직 동료 린 경우보다 실험 보 많

돕겠다고 답하 , 3 행동 해하 는 많 하 다.

한 사람 릴 사람들 취, 도움, 해 같

도하는 행동 많 하는 것 다. 또한 한 타 리게 하

, 주어진 과 에 하는 도, 근하는 도가 달라질 수

실 하는 것에도 향 수 다(Shah, 2003a). 특

러한 과는 한 타 과 가 운 계라고 생각할수 강하게

타 다. 는 미 는 타 심리 재만 도 수

, 비 식 식 지각과 행동 수 다.

가 타 에 해 도 수 다 , 체 타 에 해 근

피 가 도 수 것 다. 그 다 에게 근

하는 사람과 에게 피 하는 사람 사 에는 어 차 가

? 근 가 행복과 상 계가 지만 피 가

행복과 계에 다는 고 해보 , 에게 근

하는 사람 에게 행복 주는 사람 것 고 피 하는

사람 행복하지 않게 하는 사람 것 다. 어 에게 근

4

하는 계는 행복하게 만드는 계 것 라고도 가 해 볼 수

것 다. 본 연 에 는 러한 가 탕 , 사람들 행복하게

하는 타 과 근 , 피 계 고 한다.

근∙ 피 행복

는 사람들 상 생 에 하는 하 다. 는

특 한 동 갖는 것에 시 , 하는 본

하 는 근- 피 누어 하는 것 다. 동 (motivation)는

특 한 행동 시키고 는 경향에 탕 것 (Elliot, Gable,

& Mapes, 2006), 어 상 결과 하는 게 하는

행동 도하 도 하 , 피하는 는 행동

도하 도 한다. 많 연 에 는 동 근 차원과 피 차원

누어 해 는 , 컨 Gray(1987) 등 행동 시스 (BAS:

Behavioral Activation System)과 행동 억 시스 (BIS: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시하 , Carver Scheier(1990)는

(self-regulation theory)에 경과 신 는

향 움직 는 피드 과 시키는 향 움직 는

피드 별하여 동 하 다. 또한 Higgins(1998)는

(regulatory focus theory)에 태 결과

아가는 것에 맞 근(promotion) 태 결과

피하는 것에 피(prevention) 태 하 다.

동 근- 피 동 별한 역, 학업

역 등에 어 연 었 뿐만 아니라(Elliot & Sheldon, 1998; Elliot,

5

Sheldon, & Church, 1997), 근에는 사 계 역에 도 다루어지고

다(Elliot, et al., 2006; Gable, 2006). 특 동 는 체

수 는 , 사 계에 근 동 는 사 근

(approach social goal) , 피 동 는 사 피 (avoidance

social goal) 타 다(Gable, 2006). 사 계에 근 란

계에 얻 수 는 거움, , 과 같 경험 하는

것에 는 미하 , 피 란 , 갈등과 같

경험 피하는 것에 는 미한다. 가 계에 ,

사 게 지내 해 하는 것 근 에 해당할 것 고,

말다 하지 않 해 하는 것 피 에 해당할 것 다.

사 역에 근 피 는 사 계 그에

사 결과 한 다. Elliot과 동료들 2006 연 에

, 근 가 사람들 계 만 도가 고

계에 사건 많 경험하 , 움과 계에 해 운 사건

경험한다. 피 가 사람들 움 많 경험하고,

계에 해 운 사건 많 경험하 , 그 사건 향 많 는

것 타났다. 또한 Gable(2006) 근 동 는 사

삶 만 , 태도 는 상 지만 움과는 상

다. 피 동 는 움과 태도, 계

안 과 상 었다. 러한 연 들 근 가 피

보다 람직한 사 결과(social outcome) 어

보여 다.

그 다 근 피 는 행복과 어 ? 근

6

는 결과 직 한다는 에 , 피 는

결과 피하 고 한다는 에 행복과

수 다. 그러 근 는 재 상태에 상태 아가고

하는 , 피 는 재 상태에 지 않 상태 가지 않

한 고 해본다 근 가 행복 하는 직

다고 할 수 것 다(Tamir & Diener, 2008). 실

연 에 근 는 행복과 상 , 피 는 행복과

상 는 것 보 다. 근 는 행복과 큰

뿐 아니라, 근 많 리는 것 행복 단

변 에 향 주었다. 그러 피 많 생각하는

사람들 행복 시간 후 감 한 것 타났다(Elliot et al., 2006).

또한 사람들에게 지 4개월 간 행복 고하게 한 경우, 근

많 생각하는 사람들 행복 수 피 많 생각하는 사람들

행복 수 보다 것 타났다(Elliot, Sheldon, & Church, 1997).

사람들에게 상 생 에 하는 개 게 한

경우에도 피 많 생각한 사람들 행복 수 낮고, 스트 스

도가 것 타났다. 또 스트 스 수 피 행복 수

매개하는 었다(Elliot, Thrash, & Murayama, 2011).

7

1. Elliot et al.(2006)에 근∙ 피 에 사 한 척도

1 는 계 게 하 고 한다.

2 는 계에 과 해 한다.

3 는 가 운 계에 감과 함 해 한다.

4 는 재미 고 미 는 경험 공 하 해 한다.

5 는 갈등 생 는 것 피하 해 한다.

6 는 계 해 수 는 상 에 어지 해

한다.

7 는 에 해 처해지거 신 당하거 상처 지 않

해 한다.

8 는 가 운 계에 어 지 않도 한다.

약하 는 근 피 눠질 수 , 근

는 행복과 , 피 는 행복과 다.

그러 연 에 는 근 피 가 어 과

는지 알아보는 었다. 1에 할 수 는

것처럼, 행 연 에 는 주 계에 근 (1~4 항 )

피 (5~8 항 ) 하여 연 에 사 하 다. 는 근 피

할 , 체 상에 한 하 보다는 사람들

가지고 는 한 것 라 할 수 다. 그러 는

계에 한 경향 타 도 하지만 체

계 특 에 라 다 게 수 다. 근 맨틱한 계에 는

사람들 상 상 에 한 근 , 피 , 계 만 도

계 한 연 (Impett et al., 2010)가 었 , 특 한 사

8

계에 타 는 근 피 다룬 연 는 아직 지 하지

않다. 연 계뿐만 아니라 , 등 다양한 사 계에 는

사람에 해 도 근 피 행복 계 살펴볼 수

것 다. 통해 체 사 계에 근 피

리는 것 그 계에 느 수 는 행복과 어 한 는지

검 해 볼 수 것 다.

한 타 에 한 도

타 재는 신 평가하고 단하는 한 향

미 다(see Freud, 1958; Sullivan, 1953). 러한 “내 청 ”(inner

audience, Horney, 1992; Moretti & Higgins, 1999b) 심리 재는

사 행동, 단, 경험에 향 주 , 우리 격, 특질, 향 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 우리에 해 가지고 다고 생각 는 , ,

, 에도 향 미 다 (Moretti & Higgins, 1999a). 또한 한

타 (significant others) 향 식하거 도하지 않 경우에도

동 어 게 , 한 타 재는 스스 단할

에도 향 다(Baldwin, Carrell, & Lopez, 1990; Andersen, et al.,

1996; Baldwin, 1992, 1994). 들어, 신 알지 못하는 사 에 찡그린

학과 사진에 었 학원생들 신 아 어

평가하 다. 또한 미 는 타 에 한 특 한 생각 다

사람 식하는 향 뿐만 아니라 그들에 한 행동에도 향

수 다(Andersen, Reznik, & Manzella, 1996). 한 , 신에게

특 한 미가 는 사람과 닮 사람 볼 , 그 미가 엇 지에 라

9

상에 한 동 여 내 달라질 수 다는 연 가 다.

한 타 재는 단순 타 지하는 에만 향 는

것 아니라, 스스 지하고 평가하는 다. 라 미

는 타 우리가 그들에 해 가지게 는 도 한

다. 단순 타 재 시키는 것만 도 어내거

행동 하게 할 수 다(Bargh, Gollwitzer, Lee-Chai,

Barndollar, & Trötschel, 2001; Chartrand & Bargh, 1996; Fitzsimons &

Bargh, 2003). 컨 Shah(2003a)에 , 아 지 리게 하는 것

주어진 과 에 하는 도, 근하는 도, 에 향

수 다고 한다. 특 사람들 신 아 지 가 다고 생각하고,

아 지가 신 하 원한다고 생각할 러한 과가

강하게 타 다. Shah 또 다 연 에 , 한 타 리게

하는 것 평가하는 것에도 향 수 다(Shah, 2003b). 가

사람들에게 한 사람 리게 한 후, 달 가

평가하게 하고 실 하는 도 하 , 한

타 리게 한 건에 하게 생각하고 실

과 에 많 시간 들 는 것 타났다. 연 들 주

한 타 과 주어진 과 (task) 계 다루었는 , 특 한

과 계뿐만 아니라 사 계에 한 타 과 계

역시 생각해 볼 수 다. 한 타 재가 근 피

는 사 계에 에 어 한 향 주는지 할 수

것 다.

10

연 연 가

사 계에 근 피 는 지 지 하게

연 어 , 연 들 하는 미 역시 비 하다. 근

많 가지는 것 사건 경험하는 것과 행복에

향 수 다. 피 많 생각하는 사람들

움 많 경험하고, 낮 행복감 느 다고 한다. 그런

지 지 연 에 는 근 피 특 한 계, 특 한

사람에 한 것 아니라 개 차 같 다루었다. 맨틱한 계

심 한 근 연 에 야 특 한 타 에 한 근 피 ,

그리고 그 계 만 도 연 알아보았 뿐 다(Impett et

al., 2010). 그러 연 계 에도 등 다양한 사

계에 근 피 , 행복 계 규 해볼 수 다. 특

근 행복 , 피 행복 다는

연 결과 고 해보 , 체 계에 근 피

하는 타 개 행복과 그 계에 한 만 감에 향

것 라 상해 볼 수 다.

본 연 체 가 다 과 같다. 첫째, 사람들 신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타 릴 는 근 피 보다

많 릴 것 고, 신 행복하지 않게 하는 타 릴 는 피

근 보다 많 릴 것 다. 째, 신 행복하게 하는

타 리는 경우에도, 타 체 특 에 라 리는

내 달라질 것 다. 사람들 신 상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사람 릴 상 행복하게 해 주는 사람 릴 보다

11

근 많 생각할 것 다. 피 는 상

행복하게 하는 사람 릴 신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릴 보다 많 것 다. 째, 근 많 도하는

사람 신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뿐만 아니라, 근 가 많

도 는 계는 실 행복한 계 것 다. 신 행복하게 해 주는

타 릴 근 피 보다 많 리는 사람들 그

사람과 계에 느 는 계만 도 역시 것 다.

연 1A 연 1B에 는 사람들 행복하게 만드는 타 과 근

피 계 알아보고 한다. 해 사람들에게

신 행복하게 만드는 타 과 신 행복하지 않게 만드는 타

리게 한 후 그 사람에 한 리게 할 것 다. 연 2에 는

연 1B 동 한 실험 계 통하여 연 1 결과 복 검 하는 한편,

행복하게 하는 사람 안에 도 체 특 에 라 리는

내 달라지는지 하고 하 다. 아 지 어 니 각각

사람 상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지 상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지에 라 리는 내 달라지는지

검 하 다. 연 3에 는 아가 신 행복하게 하는 타 과

계는 신 행복뿐만 아니라 계 만 도 도 보 해

수행 었다. 연 들 상 한 연 통해, 상 에 해

린 근 피 가 계 만 도 는지 하고

하 다.

12

연 1

연 1 사람들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타 과 근∙ 피

계 알아보 하여 수행 었다. 해 참가 들 신 행복하게

하는 사람 신 행하게 하는 사람 리고 그 는

생각하는 과 수행하 다. 연 1A에 는 만 행복한 사람

또는 만 행복하지 않 사람 리게 하고 그 드는

생각 게 하는 과 시하 다. 연 1B에 는 만 행복한 사람

또는 만 행복하지 않 사람 리게 한 후 그 드는

생각 주어진 에 고 게 하 다. 연 통해 사람들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타 릴 는 근 가 지만, 사람들 행하게

만드는 타 릴 는 피 가 수 다는 가

검 하고 한다. 행복하게 하는 타 릴 는 근 피

보다 많 릴 것 상 다. 만 행복하지 않

사람 는 피 근 보다 많 릴 것 다.

연 통해 사람들 행복하게 하는 타 우리에게 근

도하는 사람 지 할 수 것 다.

13

참가

심리학 양 수업 듣는 울 학 학생 294 수업

실험에 참여하 다. 연 1A에는 102 , 연 1B에는 192

참여하 다.

연 1A

실험실에 도착한 참가 들 주어진 건에 라 주 사람

리고 그 사람 드는 생각 게 는 과

수행하 다. 참가 들 만 행복한 사람 건( 하 행복 건) 또는

만 행복하지 않 사람 건( 하 행 건)에 할당 었다. 행복

건에 할당 참가 에게는 만 행복한 사람, 담 없는 사람,

주는 사람 2 리게 하 다. 행 건에 할당 참가 에게는

만 행복하지 않 사람, 담 는 사람, 주는 사람

2 리게 하 다.

행복 건에 할당 참가 들 만 행복한 사람, 담 없는

사람, 주는 사람 리고 그 니 었다. 그 후, 그

사람에 해 생각하 평 에 릿 에 드는 생각 리게 하 다.

참가 들 신 린 사람에 한 생각 ‘하 ’ 생각과 ‘하지 말 ’

생각 누어 었다. , ‘하 ’ 생각 “ 런 행동 해 보 ”, “ 런

담 해 보 ” 같 생각 미하 , ‘하지 말 ’ 생각 “ 런 행동

14

하 안 돼”, “ 런 말 하 안 돼” 같 생각 라고 해 주었다.

‘하 ’ 생각과 ‘하지 말 ’ 생각 각각 항 에 하여 5개 생각 수

도 여 시하 , 항 개수 똑같 지 않아도

5개 상 5개 하 어도 상 없다고 알 주었다.

행복 건에 할당 한 참가 는 신 행복하게 하는 사람 한

리고 같 차에 라 었다. 어 신

행복하게 하는 다 사람 한 리고 그 릿 에

드는 생각 었다. 행복 건에 해당하는 한 참가 는 만

행복한 사람, 담 없는 사람, 주는 사람 2 리고,

각각 사람 드는 생각 었다. 행 건에 할당

참가 는 만 행복하지 않 사람, 담 는 사람, 주는

사람 2 리고 다. 리게 한 타 특 한

든 차는 행복 건 차 동 하 다.

연 1B

연 1B 참가 들 연 1A 참가 들과 마찬가지 주어진

건에 라 주 사람 리고 그 사람에 해 생각했 릿 에

드는 생각 다. 그러 는 생각 게 게 하 연

1A 는 달리 연 1B에 는 시하고 시 에

는 생각 고 게 하는 과 수행하게 하 다. 연 1A

참가 들 리는 내 에 한 지 않는다는 ,

근 피 누어 게 한 특 (demand

characteristics) 할 수 다는 한계 다. 연 1B에 근

15

피 미 하지 않고 주어진 에 타 에

한 고 게 함 연 1A에 사 한계

보 하고 하 다.

연 1B 참가 들 만 행복한 사람 리는 건과 만

행복하지 않 사람 리는 건에 동시에 참여하 다. 한

참가 는 만 행복한 사람 2 , 만 행복하지 않 사람 2 ,

4 사람 리고 각각 사람 릴 릿 에 드는 생각

주어진 에 골랐다. 건 시 는 순 에 한 과 통 하

하여 행복 건- 행 건 순 행 건-행복 건 순 가

시 었다. 순 에 한 미한 과는 타 지 않았 므

후 에 순 는 었다.

행복 건- 행 건 순 에 할당 참가 들 만

행복한 사람, 담 없는 사람, 주는 사람 1 리고 그

사람 니 었다. 그 후, 참가 들 근 10개, 피

10개가 여 는 에 그 사람 릴 생각 는 골랐다.

어 참가 들 만 행복한 사람 1 리고 그

생각 는 골랐다. 만 행복한 사람 2 에 한 과

마 후, 만 행복하지 않 사람 2 순 리고 그

생각 는 고 는 과 수행하 다. 행 건-행복

건 순 에 할당 참가 들 만 행복하지 않 사람 2

린 후 만 행복한 사람 2 다. 다 차는 행복

건- 행 건 순 동 하 다. 연 1B에 참가 들에게 시

연 1A 참가 들 탕 결 었다.

16

2. 연 1B에 사 한

근 피

얘 듣 짜 내지 말

고민 야 하 내 얘 만 하지 말

취미 생 함께 하 심한 하지 말

주 사람 안 어 보 행동 하지 말

질 하 에 앉지 말

찬 많 하 게 하지 말

많 웃 거짓말 하지 말

맛 는 식 함께 탁 거 하지 말

담 하 감 야 하지 말

감 많 하 하지 말

결과

연 1A

사람들 행복하게 만드는 타 과 근∙ 피 계

알아보 해 참가 가 사람에 해 린 근 피

개수 각각 합산하여 사 하 다. 타 특 (만

17

행복한 사람 만 행복하지 않 사람) 피험 간 독립변 었다.

결과, 가 과 하는 결과 얻 수 었다. 주

과가 한 것 타났다(F (1, 100) = 48.96, p = .000). 참가 들 피

(M = 2.05, SD = 1.23)보다는 근 (M = 2.96, SD = 1.31) 많

다. 타 특 에 주 과는 하지 않았다(F (1, 100)

= .01, p = .941). 그러 가 과 하게, 타 특 상

한 것 타났다(F (1, 100) = 45.72, p = .000). 만 행복한 사람

는 근 피 보다 많 지만(M 근 = 3.38 vs.

M 피 = 1.63, F (1, 100) = 96.54, p = .000), 만 행복하지 않 사람

경우에는 근 피 차 가 통계 하지 않았다(M 근

= 2.53 vs. M 피 = 2.50, F (1, 100) = .03, p = .869). 상 달리 해 하

다 과 같다. 근 는 만 행복한 사람 릴 많

도 었지만(Mhappy = 3.38 vs. Munhappy = 2.53, F (1, 100) = 11.73, p = .000), 피

는 만 행복하지 않 사람 릴 많 도 었다(Mhappy =

1.63 vs. Munhappy = 2.50, F (1, 100) = 14.63, p = .000). 통해 사람들 행복하게

만드는 타 리는 경우에는 피 보다는 근 가 많

도 지만, 사람들 행하게 만드는 타 릴 는 도 는 근

피 에 차 가 없다는 것 할 수 다.

18

그림 1. 연 1A에 타 특 에 도

연 1B

연 1B 에 도 연 1A에 마찬가지 참가 가

사람에 해 린 근 피 개수 각각 합산하여

사 하 다. 본 연 에 는 한 참가 가 만 행복한 사람

2 , 만 행복하지 않 사람 2 , 4 에 한 므

타 특 피험 내 독립변 었다.

타 생각 는 고 게 한 경우에도 한

타 리는 것 근 도할 수 다는 가 검 었다.

에 주 과가 한 것 타났다(F (1, 183) = 79.01, p

= .000). 참가 들 타 생각할 피 (M =3.68, SD = 2.59)보다는

근 (M = 4.68, SD = 2.25) 많 다. 타 특 에 주

0

0.5

1

1.5

2

2.5

3

3.5

4

행복하게 하는 사람 행복하지 않게 하는 사람

근 피

19

과 역시 할 수 었다(F (1, 183) = 135.04, p = .000). 참가 들 만

행복한 사람 릴 (M = 4.97, SD = 2.45) 만 행복하지 않 사람

(M = 3.37, SD = 2.48)보다 많 다. 그런 가

한 타 특 상 과가 타났다는 다(F (1,

183) = 233.74, p = .000). 만 행복한 사람 는 근

피 보다 많 린 (M 근 = 6.39 vs. M 피 = 3.55, F (1, 183) =

289.77, p = .000) 만 행복하지 않 사람 는 피

근 보다 많 다(M 근 = 2.95 vs. M 피=3.79, F (1, 183) = 25.91,

p = .000). 상 달리 해 하 다 과 같다. 근 는 만

행복한 사람 릴 (Mhappy = 6.39 vs. Munhappy = 2.95, F (1, 183) = 343.58, p

= .000) 많 도 었지만, 피 는 건 간에 차 가

없었다(Mhappy = 3.55 vs. Munhappy = 3.79, F (1, 183) = 1.49, p = .224). 연

1B에 는 연 1A에 마찬가지 만 행복한 사람

근 가 도 수 다는 가 할 수 었다. 만

행복하지 않 사람 는 근 보다는 피 가 많

도 었다.

연 통해 사람들 만 행복한 사람 릴 는 근

피 보다 많 생각하지만, 만 행복하지 않 사람

릴 는 비슷하게 생각하거 , 피 근

보다 많 생각한다는 할 수 었다. 특 사람들 신

행복하게 하는 타 릴 에는 그 생각할 는 는

경우 시 에 고 는 경우 에 게 피

보다는 근 많 다. 행복하게 하는 사람 피

20

보다는 근 많 리게 하는 사람 라는 것 다. 그러

행복하지 않게 하는 사람 근 보다는 피 많

리게 하는 사람 것 다.

그림 2. 연 1B에 타 특 에 도

0

1

2

3

4

5

6

7

8

행복하게 하는 사람 행복하지 않게 하는 사람

근 피

21

연 2

연 2에 는 연 1 결과가 계에 도 복 검 수

는지 하고 한다. 또한 신 행복하게 하는 타 라 하 라도

신 상 행복하게 하는 사람과 상 행복하게 하는

사람 간에 리게 는 에 차 가 는지 검 할 것 다. 같

가 검 하 하여 본 연 에 는 리게 하고

리는 살펴보 고 한다. 는 삶에 큰 향 미 는

사람 , 양 식 가 는 행복과도 한

다(Suldo & Huebner, 2004). 처럼 계는 한 사

계 하 다. 그러 가 행복하게 하는 타 에

해당한다 하 라도, 아 지 계 어 니 계에는 다 차 가

수 다. 사람 비 했 , 상 신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과 상 신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수

다는 것 다. 만 러한 차 가 실 다 , 아 지 어 니

도 는 에도 차 가 것 다.

본 실험에 앞 아 지 어 니에 한 각각 계 특 실

차 보 는지 알아보 하여 비 시험(pilot test) 실시하 다.

독립 참가 66 어 니 아 지 어 사람과

행복한지, 지, 담 없는지 답하 다. 또한 사람 어

사람 본 과 계에 보다 극 다가 는지 평 하 다.

결과, 참가 들 어 니 아 지 보다 행복하 (83.3%

vs. 16.7%), 고(72.7% vs. 23.7%), 담 없다고(90.9% vs. 9.1%)

22

답하 다. 또한 어 니가 아 지보다 본 과 계에 극

다가 다고 답하 다(72.7% vs. 23.7%). 러한 차 는 통계

하 다(zs > 3.5, ps < .001). 통해 는 행복하게 하는

사람 지만, 어 니 계 아 지 계에는 다 차 가

할 수 다. 어 니 아 지 비 했 , 아 지에 비해 상

어 니가 행복하게 해 주는 사람 라는 것 다. 라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어 니 , 상 행복하게

하는 아 지 보다 근 가 많 도 다는 가

워볼 수 다.

참가

심리학 양 수업 듣는 울 학 학생 56 (여 22 )

수업 실험에 참여하 다.

실험실에 도착한 참가 들 신들 차 한 씩

리고 그 드는 생각 시 에 고 게 하는

과 수행하 다. 참가 들 신 한 사람 리도

지시 았다. 그 후, 그 과 계(아 지 어 니) 고, 그

릿 에 드는 생각 시 에 고 는 과

23

수행하 다. 연 1B 마찬가지 연 2에 도 근 10개, 피

10개가 여 는 시하 다. 한 사람에 해

리는 과 마 참가 는 어 다 한 리도 지시

았다. 차 마찬가지 , 참가 들 다 한 사람

리고 그 과 계 었다. 그 후, 그 릿 에

드는 생각 시 에 골랐다.

3. 연 2에 사 한

근 피

공 하게 하 없 하지 말

맛 는 식 함께 거짓말 하지 말

야 듣 짜 내지 말

건강에 해 여쭤 보 탁 거 하지 말

내 생 에 해 야 하 걱 하게 하지 말

감 많 하 안에만 지 말

안마 해 드리 야 들

리라고 생각하지 말

야 하 싫어하시는 행동 하지 말

많 웃 폰 주 보지 말

집안 도 드리 리지 말

24

참가 들에게 시 연 1A 참가 들

탕 , 계에 상 릴 수 는

가하여 시하 다. 아 지 어 니 린 순 에 과는

타 지 않았 므 후 에 었다.

결과

연 2 참가 가 아 지 어 니 각 사람에 해 린

개수 사 하 , 타 과 계(아 지

어 니)과 계에 ( 근 피 ) 피험 내 독립

변 한 후, 복 변량 수행하 다.

연 1과 마찬가지 주 과 할 수 었다(F (1, 55) =

19.51, p = .000). 참가 들 피 보다는 근

많 다(M 근 = 6.45, SD 근 = 2.78; M 피 = 5.29, SD 피 = 3.33).

타 특 에 주 과는 약하게 타났는 (F (1, 55) = 3.62, p = .062),

참가 들 어 니 아 지 보다 많

다(Mmother = 11.98, SDmother = 5.73; Mfather = 11.50, SDfather = 6.06). 가 한

타 특 과 간에 상 과가 타났다는 다(F (1, 55)

= 5.08, p = .028). 어 니 아 지 경우

근 피 보다 많 다(어 니: M 근 = 6.75 vs. M 피 =

5.23, F (1, 55) = 21.50, p = .000; 아 지: M 근 = 6.14 vs. M 피 = 5.36, F (1, 55) =

7.56, p = .008). 달리 해 해보 , 어 니 는 아 지

25

보다 근 많 다는 것 알 수 다(Mmother =

6.75 vs. Mfather = 6.14, F (1, 55) = 9.51, p = .003). 그러 피 개수는

어 니 건과 아 지 건 간에 차 가 없었다(Mmother = 5.23 vs. Mfather = 5.36, F

(1, 55) = .34, p = .563).

그림 3. 연 2에 타 특 에 도

아 지 어 니 린 피 보다는 근

많 리지만,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에 가 운 어 니 릴

아 지 경우에 비해 근 가 많 도 것 타났다.

러한 결과는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사람 주 안에 도 그 사람들

상 행복하게 하는지 또는 상 행복하게 하는지에

4

4.5

5

5.5

6

6.5

7

7.5

8

아 지 어 니

근 피

26

라 도 는 에 차 가 보여 다. 행복하고

게 만들어주는 사람 수 그 사람에 한 근 가 많 수

는 것 다. 연 2 결과는 근 피 행복 계가 비단

사람들 행복하게 만드는 타 과 행복하지 않게 만드는 타 비한

경우뿐만 아니라 한 타 안에 도 미가 보여 다.

그러 연 2 차에 참가 들에게 신 어

신 행복하게 만드는지 하지 않았 에, 참가 들 개

가 근∙ 피 어 한 는지 는 어 다는

한계가 다. 아 지 행복하다고 느 는 참가 경우

결과 는 아 지 릴 어 니 릴 보다 근

많 리는지 본 연 에 하 는 어 다. 연 2

가 보다 하게 검 하 해 는 신 상

행복하게 하는 사람 릴 상 행복하게 하는 사람

릴 보다 근 많 리는지 할 필 가

것 다. 다만 차 릴 신 하는 사람 리게

다 순 에 과가 타 야 할 것 다. 아 지 하는

사람들 향 크다 린 순 에 향 어야 할

것 러한 향 견 지 않았 므 , 러한 한계는 보 다

할 수 것 다.

27

연 3

연 1과 연 2 통해 사람들 행복하게 하는 타 과 근 가

다는 사실 할 수 었다.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하여 근 리게 만드는 사람 라는 것 다. 그러 ‘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에는 단순 타 에 한 신 생각만 어

뿐 실 계에 한 만 도는 담겨 지 않다. 연 1과 연 2

통해 근 많 도하는 사람 신 행복하게 한다는

할 수 지만, 근 많 도하는 계가 실 행복한

계 지 할 수는 없다는 것 다. 라 연 3에 는 타 과

계에 근 피 리는 것 그 사람 행복하게

하는 사람 미할 뿐만 아니라, 그 사람과 계 역시 행복한

계 미하는지 할 것 다. 행복한 계에 피 보다는 근

가 많 도 다 , 사람들 근 가 많 는 계에

계 만 감 느 것 다. 하 하여 본 연 에 는

트 커플 상 한 연 계 하 다. 연 사람들에게 한

미 갖는 사람 , 연 계는 계에 비해

계 시 과 , 지 등 변 양상 뚜 한 편 다. 라 근 가

실 계 만 도 도 는지, 또 한 시간 경과한 후에도

향 수 는지 하 한 사 계라 할 수 다. 본

연 에 는 에 한 근 피 가 계 만 감과

는지 하고, 7개월 사 통해 가 한

시 에 계 만 도뿐만 아니라 한 시간 경과한 후에도 향

28

수 는지 검 하 다.

참가

울 학 에 고 통하여 집한 학생 136 (68커플)

참가비 10,000원 고 실험에 참가하 다. 참가 들 평균 는

22.55 (SD = 2.80) , 평균 간 13.99개월(약 1

2개월) 었다. 든 참가 는 료 수집 시 에 학생 학원생 었다.

실험실에 도착한 참가 들 다 실험에 척도들과 함께

연애만 도 척도에 답하 다. 척도에 한 답 마 참가 들 연 1,

2에 사 것과 같 식 과 수행하 다. 는 신

리고 근 20개, 피 20개가 여 는

에 그 생각 는 고 는 과 다. 참가 들에게

시 연 1에 사 탕 , 연 계에

상 릴 수 는 가하여 시하 다.

29

4. 연 3에 사 한

근 피

가 하는 야 듣 짜 내지 말

찬 많 하 심한 하지 말

재미 는 함께 보러 가

연락 답 미루지 말

맛 는 식 함께 러 가 거짓말 하지 말

하고 는 고민 야 하 빨리 지 말

취미 생 함께 하 행동 하지 말

가벼운 담 보 다 쳐다보지 말

주 사람 안 어보 지 게 간 하지 말

야 들 질 많 하 비 하는 야 하지 말

감 많 하 큰 리 웃지 말

걸 고 걷 어 리지 말

다 한 야 많 해주 꺼 지 말

가 하는 야 에 많 웃

같 생각에 빠지지 말

야 러 가 상 험담 하지 말

애 많 하 다 에게 지 말

가 아할 만한 해주

가 별 안 아하는 스타 지 말

다 에 만났 하고 싶 야 하

가 말하는 동안에 보내지 말

에게 집 하 걱 하게 하지 말

함께 사진 찍 고집 리지 말

가 하는 말에 공감 많 해주

는 그 내 습 많 보여주지 말

30

1차 사 후 7개월 후 사 실시하 다. 커플들에게 7개월

지 시 에 계 지 하고 는지 여 하고,

지 하고 는 참가 들 상 2차 사 수행하 다. 사 결과, 1차

사(t1)에 참여하 68 커플 에 2차 사(t2) 시 에도 계

하고 는 커플 50 (73.53%) 었 , 결별한 커플

18 (26.47%) 었다. 또한 2차 시 에 사에 참여한 커플 50

31 62% 답 보 다. 2차 사에 참여한 사람들 다시 한

연애만 도 척도에 답하 다.

연애 만 도 항 Roach, Frazier Sharon (1981) 결 만 도

항 48 항 연 고 하여 택한 37 항 커플에 맞게

수 하여 사 하 다. 한 역 각 항에 한 하지

않는다(1) 한다(7) 7 척도 루어 다(t1: α=.93;

t2: α=.96).

결과

1차 시 근 가 많 도 는 계가 행복한 계 지 하

하여, 생각할 근 피 보다 많 리는

것 연애 만 도 는지 하 다. 근 에 피

뺀 값 독립 변 사 하 , 값 클수 근

피 보다 많 택하 미한다(M = 4.68, SD = 4.12; Min = -10,

Max = 15). 귀 결과 근 피 보다 많 택할수

31

연애만 도가 것 타났다, β = .203, t (134) = 2.41, p = .018. 피

보다는 근 많 하는 계에 사람들

만 감 느 다는 것 다.

연애만 도 변 사 에 뿐만 아니라 연 계

수 는 여러 통 한 후에도 가 연애 만 도에 향

수 는지 알아보 하여 귀 수행하 다( 5). 그 결과 별,

, 차 , 연애 간 등 연애 어 는 향 통 한

후에도 근 가 피 보다 많 수 계만 도가 것

타났다, β = .204, t (130) = 2.42, p = .017.

5. 연 3에 연애 변 과 가 연애만 도 하는 귀계수

연애 만 도

.211*

차 .054

별 .137

연애 간 -.158

( 근 - 피 ) .204*

R2 .088*

* p < .05

같 결과는 연 계에 계 만 도에 향 수

것 여겨지는 차 , 별, 연애 간과 같 보다도 그 사람과

계에 어 리는지가 계 만 도에 한 향 미

32

수 미한다. 피 보다는 근 많 리는

계가 만 스럽고 행복한 계라 할 수 다. 하여 근

많 도하는 사람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뿐만 아니라, 그

사람과 계도 행복한 것 만드는 사람 것 다.

2차 시 1차 시 근 피 차 연애만 도 간

계 통해 계만 도 사 에 미한 향 할 수

었다. 그 다 계에 미 는 근 피 향 시

것 , 아니 시간 에도 향 미 수 ? 하

하여 1차 실험에 참여하 트 커플 상 7개월 후

사 실시하 다. 2차 사 시 에 연애 지 하고 었 50커플

상 2차 사에 한 참여 독 한 결과, 31 커플 실험에

참여하 다. 가 수 개월 후 계 만 도에 미 는 향 하

하여, 7개월 후 연애 만 도 변 고 계 귀

실시하 다.

1차 시 연애 만 도 통 한 후에도 가 2차 시 연애

만 도에 향 주는지 알아보 하여 첫 째 단계에는 1차

시 연애 만 도, 째 단계에는 근 피 차

변수 었다. 결과, 1차 시 에 근 가 피 보다 많았

사람들 연애 만 도 통 한 후에도 7개월 연애만 도가

것 타났다, β = .335, t (51) = 2.58, p = .013.

33

6. 연 3에 T1 연애만 도 가 T2 연애만 도 하는

귀계수

T2 연애만 도

Step 1 T1 연애만 도 .290*

R2 .084*

Step 2 T1 연애만 도 .209

( 근 - 피 ) .335*

R2 .190**

** p < .01, * p < .05

통해 근 피 는 시 연애 만 도뿐만

아니라 7개월 지 후 연애 만 도에도 향 주는 것 타났다.

특 향 시 연애 만 도 통 한 후에도 게

타났는 , 는 타 에 해 근 피 생각하는지는 그

린 시 계에도 향 미 지만, 수 개월 지 후

계에 지도 한 향 수 보여 다.

그러 가 결과, 근 피 가 2차 시

여 하지는 못하 다. 가 계 질 계 만 감에 한

향 수 는 하 , 가 계 질 결 하는 한

아니 에 계 지 여 지 하 는 어

것 다. 는 계에 향 수 는 수많 하 뿐 므

계 든 할 수 는 아니라는 것 다. 본 연

34

는 계 든 결 할 수 는 는 는 것

아니라, 계 질에 향 수 는 한 하 가

는 다.

지 누 가 릴 피 보다는 근 많

린다 그 계는 행복한 계 할 가능 지만,

누 가에 해 근 보다는 피 많 린다 그 계는

행복하지 않 계가 가능 것 다. 라 타 릴

피 보다는 근 많 리는 것 그 사람과 계

행복한 계 만들 수 는 한 수 다. 연 3 결과는

타 에 해 근 갖는 것 그 사람과 계 행복한 계

시키는 한 역할 한다는 미 도 해할 수 것 다.

35

어 생각하고, 어 하는지는 행복에 매우

하다. 는 사 계에 도 마찬가지 다. 타 과 계에 도 그

사람 릴 어 리는지, 그 내 엇 지는

그 사람과 계에 한 향 미 다. 본 연 사람들

행복하게 하는 타 과 근∙ 피 계 한 것에

었다. 해 신 행복하게 하는 타 릴 근

피 어 가 많 도 는지 검 하 다. 또한 신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또는 상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도하는

내 달라지는지 하여 사람들 행복하게 하는 타 근

도한다는 가 보다 강하게 뒷 하고 하 다. 어, 근

피 계 만 도 계 검 하여 행복한 계란 근

가 많 도 는 계라는 가 지지하고 하 다. 그 결과, 앞

가 한 것처럼 만 행복한 사람 릴 는 피 보다는 근

많 리 (연 1), 신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릴 상 행복하게 하는 사람 릴 보다 근

많 다(연 2). 또한 근 피 보다 많

릴수 계 만 도가 았고, 는 7개월 후 계 만 도에도

향 주었다(연 3).

연 1 사람들 행복하게 하는 타 과 근 피

계 알아보 해 수행 었다. 사람들에게 만 행복한 사람

리고 그 릿 에 드는 생각 게 했 , 근

36

피 보다 많 다. 그러 만 행복하지 않

사람 린 경우에는 피 근 보다 많 거 ,

린 근 피 개수 차 가 없었다. 러한 결과는

타 리고 게 한 연 1A 시 에 고 게

한 연 1B에 게 타났다. 연 1 결과는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피 보다는 근 게 하는 사람 라는 연

가 하게 뒷 해 다.

연 2는 신 행복하게 하는 타 과 상 행복하게

하는 타 비하여 행복 계 보다 하게 살펴보았다.

신 행복하게 하는 사람과 행복하지 않게 하는 사람 비하 연

1과는 달리, 연 2에 는 신 행복하게 하는 타 주에 지만

상 그 도에 차 가 수 는 리고 그 에 해

는 각각 고 게 하 다. 그 결과, 어 니 릴

아 지 릴 근 피 보다 많 다.

는 연 1 결과 하는 것 , 아 지 어 니

행복하게 하는 사람 에 피 보다는 근 많

리는 것 보 다. 그러 어 니 리는 경우 아 지 릴

보다 근 많 다. 러한 차 는 사람들 어 니가

아 지보다 신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라고 여 는 것에 한다.

신 행복하게 만들고, 게 만드는 사람 릴

상 신 행복하게 하는 사람 릴 보다 근

많 린다는 것 다.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특징에 한 에 한 연 1과

37

연 2에 한 아가, 연 3에 는 행복하게 만드는 계

특징 고 하 다. 근 많 도하는 사람 신

행복하게 만드는 사람 뿐만 아니라, 근 가 많 도 는 계는 그

계에 해 만 할 수 고 행복감 많 느 수 는 계라는 것 다.

하 해 연애 커플 상 수행한 연 에 , 상 에

해 피 보다는 근 많 릴수 연애 만 도가

다는 결과 할 수 었다. 뿐만 아니라 7개월 사 수행한

결과, 1차 시 에 피 보다 근 가 많았 사람들 7개월 지

후 연애 만 도도 았 , 는 1차 시 연애 만 도 통 한

에도 미하 다. 러한 결과는 근 많 하는 계가

행복한 계라는 가 뒷 하는 것 , 타 에 해 리는

향 수 개월 후에도 미 수 것 보여 다. 재 타 에 해

리는 는 지 계 만 감에 향 뿐만 아니라 앞

계에도 향 미 다는 것 다.

근 행복 계에 한

그 다 근 도하는 사람 행복하게 하는 사람

것 ? 우 근 피 미 에 한 답 해

볼 수 것 다. 근 는 람직하고 결과 아가는 것에

는 지만, 피 는 결과 피하는 것에

는 다. 재 상태 다 , 근 는 재 상태

것 만들고 하는 므 근 하는 것

재 상태 시키는 도움 것 다. 피 는

38

재 상태 상태 만들지 않 하는 것 므 , 피

하는 것 재 상태 것 만들지는 않 것 다.

계에 는 만 감 행복에 큰 향 다는 고 해 볼 근

함 계 지 하게 는 것 연 신

행복하게 만들 수 것 다.

째, 사 상 에 근 가 , 피 가

다는 그 원 해 볼 수 다. 근

동 가진 사람들 는 상 (affiliation situation)에

많 경험하지만 타 과 계 맺는 것에 실 할 는

게 경험한다. 피 동 가진 사람들 거 당하는 것

워할 많 경험하고, 거 당하지 않았

게 경험한다(Nikitin & Freund, 2008). 타 과 계 맺는 사

상 에 , 근 동 가진 사람들 많 경험하지만

피 동 가진 사람들 많 경험할 것 라고 상할

수 다. 또한 근 많 하는 사람들 사건 경험

많 하지만 피 많 하는 사람들 사건 경험

많 한다는 연 고 해보 (Elliot et al, 2006), 사 상 에 근

하는 사람들 상 많 경험할 것

피 하는 사람들 상 많 경험할

것 다. 그런 가 삶 만 도에 미 는 향에는 큰

차 가 다. 울 학 행복 연 에 진행 연 에 ,

학생(PA: .534 vs. NA: -.217, p<.001), 학생(PA: .488 vs. NA: -.067, p<.001),

(PA: .482 vs. NA: -.209, p<.001) 등 다양한 집단에 삶 만 도에

39

미 는 향 향 보다 훨씬 큰 것

타났다. 경험하는 것 같 강도 경험하는

것보다 행복에 큰 향 미 는 것 다. 라 근 하는

사람 에게 큰 경험 하게 하므 , 피 하는

사람보다 행복하게 할 수 다.

마지막 근 갖는 것 (autonomy)과

(freedom) 시키므 행복과 계 수 지만

피 하는 것 해 수 에

행복과 계 보 수 다. 결 (self-determination

theory)에 , 본 어야 하는 하

심리 에 필수 다(Ryan & Deci, 2000).

라 행복에 매우 한 , 심리 행복(Psychological

Well-being) 한 도 하다(Ryff & Keyes, 1995). 그런 피

는 특 한 결과 피하는 것에 신 심리

억 하게 고, 는 해하여 행복 감 시킬 수 다.

근 는 시킬 수 에 행복에

향 것 다. 라 피 도하는 사람보다는 근

도하는 사람 행복하게 만드는 것 다.

한계 후 연 안

본 연 는 사람들 행복하게 하는 타 과 근 , 피

계 , 가지 한계 지닌다. 첫째, 본 연 통해 는

행복 사 과 계 단하 어 다. 근 도하는

40

사람 신 행복하게 하는 사람 여러 실험 통해 복 검 었지만,

본 연 료 는 행복 간 후 계 악하 어 다.

특 한 타 만 행복하 에 근 하게 는

것 지, 근 하 에 그 사람 만 행복한 것 지

알 수 없다는 것 다. 연 3에 7개월 시간 고 단 연

실시하 , 시 값만 가지고는 역시 과 계 하게

단하 어 다. 보다 실생 에 함 갖는 결과 도 하 해 는

행복감, 계 만 도 등 변 여러 하여 그

커니 할 필 가 것 다.

째, 하는 사 한 체에 한계가 다. 연

1A에 는 참가 들에게 는 게 게 하 고, 그 다

연 들에 는 타 생각 는 주어진 에 고 게

하 다. 가지 한 한계 지니고 다. 타 리고

생각 는 게 게 한 내 한하지 않았다는

에 는 가 다. 그러 근 피 미 하고,

그 미에 라 누어 게 한 참가 들에게

특 (demand characteristics) 할 여지가 었다. 한편 주어진

시하고 그 타 릴 생각 는 고 게 한

경우에는 연 가 할 가능 낮 수 었 , 내

주어진 것 한할 수 에 없다는 한계가 다.

또 연 1B에 시한 연 1A 참가 들 실

린 것에 탕 고 만들어진 것 는 하지만 사 내

주 계 에 편 어 다는 한계 역시 재한다.

41

타 릴 그 사람과 계에 한 릴 수도

지만 생 삶 에 한 등 다양한 내 릴 수

다. 후 연 에 타 과 계 직 는

뿐만 아니라, 신 행복하게 만드는 타 삶 에 한 등

보다 역 도 도할 수 는지 해 볼 수 것 다.

후 연 에 는 근 피 는 다양한

변수 계 할 수 것 다. 본 연 에 는 개 차 변

고 하지 않고, 신 행복하게 만드는 타 릴 도 는 근

피 하 다. 그러 사람들 행복하게 만드는 타 과

근 , 피 계는 개 격, 경험, 상 등 다양한 에

해 다 게 타 수 것 다. 들어, Gable(2006)에

사 는 (hope for affiliation) 거 에 한

움(fear for rejection)과 한 , 러한 동 에 라

사 계에 한 역시 달라질 수 다고 한다. 라

가 강한 사람 피 보다는 근 할 가능 고,

거 에 한 움 강한 사람 피 많 할 가능

다. 또한 신 상(trauma) 경험 등 개개 특수한 경험에

라 도 행복 계가 달라질 수 것 다. 계에

신 상 경험하 사람들 러한 경험 없는 사람들에 비해

결과 피하는 것에 가 가능 다. 해

사 계에 근 많 갖게 하는 사람 계에

행복감 느 지 못할 수 것 다.

마지막 실 근 많 하는 동 계

42

변 시킬 수 는지 해 볼 필 가 다. 연 3 결과에 피

보다 근 많 생각하는 것 7개월 후 계 만 도에도

향 주었다. 그러 는 단순 린 것 뿐 실 그

수행해보았는지 할 수는 없다. 가 과 같 행복한 계가

근 가 많 도 는 계라 , 실 근 간

수행하는 것 특 한 계 질 수 는지 검 해 볼 수

것 다. 또한 계 특 에 라 계 질 해 필 한

내 다 지- 들 , 행복하게 하는 타 과 계 질 는

는 근 가 필 한지 또는 행복하지 않게 하는 타 과 계

질 는 는 피 가 필 한지- 할 수 것 다.

43

참고 헌

Andersen, S. M., Reznik, I., & Manzella, L. M. (1996). Eliciting facial

affect, motivation, and expectancies in transference: Significant-

other representations in social rel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6), 1108-1129.

Baldwin, M. W. (1992). Relational schemas and the processing of social

inform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2(3), 461-484.

Baldwin, M. W. (1994). Primed Relational Schemas as a Source of Self-

Evaluative Reaction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3(4), 380-403.

Baldwin, M. W., Carrell, S. E., & Lopez, D. F. (1990). Priming relationship

schemas: My advisor and the pope are watching me from the back

of my mind.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6(5),

435-454.

Bargh, J. A., Gollwitzer, P. M., Lee-Chai, A., Barndollar, K., & Trötschel,

R. (2001). The automated will: Nonconscious activation and

pursuit of behavioral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6), 1014-1027.

Carver, C. S., & Scheier, M. F. (1990). Origins and function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control-process view. Psychological

Review, 97(1), 19-35.

44

Carver, C. S., & Scheier, M. F. (1999). Themes and issues in the self-

regulation of behavior. Paper presented at the Symposium 4: Les

niveaux de contrôle cognitif des actions en sport: l'exemple des

sports.

Chartrand, T. L., & Bargh, J. A. (1996). Automatic activation of

impression formation and memorization goals: Nonconscious goal

priming reproduces effects of explicit task instruc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3), 464-478.

Daukantaitė, D., & Zukauskiene, R. (2012). Optimism and Subjective

Well-Being: Affectivity Plays a Secondary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Global Life Satisfaction in the

Middle-Aged Women. Longitudinal and Cross-Cultural Finding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3(1), 1-16.

DeNeve, K. M., & Cooper, H. (1998). The happy personality: A meta-

analysis of 137 personality traits and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124(2), 197-229.

Diener, E., & Biswas-Diener, R. (2009). Will Money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A Literature Review and Guide to Needed Research.

In E. Diener (Ed.), The Science of Well-Being (Vol. 37, pp. 119-

154): Springer Netherlands.

Elliot, A. J., Gable, S. L., & Mapes, R. R. (2006).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in the Social Domai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2(3), 378-391.

45

Elliot, A. J., & Sheldon, K. M. (1998). Avoidance personal goals and the

personality–illness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5), 1282-1299.

Elliot, A. J., Sheldon, K. M., & Church, M. A. (1997). Avoidance Personal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3(9), 915-927.

Elliot, A. J., Thrash, T. M., & Murayama, K. (2011). A Longitudinal

Analysis of Self-Regulation and Well-Being: Avoidance Personal

Goals, Avoidance Coping, Stress Generation, and Subjective Well-

Being. Journal of Personality, 79(3), 643-674.

Emmons, R. A., & McCullough, M. E. (2003).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2), 377-389.

Fitzsimons, G. M., & Bargh, J. A. (2003). Thinking of you: nonconscious

pursuit of interpersonal goals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partn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1),

148-164.

Freud , S. (1958). The dynamics of transference. In J. Strachey (Ed. and

Trans.),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 12, pp. 97-108). London: Hogarth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12)

46

Gable, S. L. (2006). Approach and Avoidance Social Motives and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74(1), 175-222.

Gray, J. A. (1987). The psychology of fear and stress (2nd ed.): New

York, NY, 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Higgins, E. T. (1998).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al Principle. In P. Z. Mark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Volume 30, pp. 1-46):

Academic Press.

Horney , K. (1946). Our inner conflicts: A constructive theory of neurosis.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Impett, E. A., Gordon, A. M., Kogan, A., Oveis, C., Gable, S. L., & Keltner,

D. (2010). Moving toward more perfect unions: Daily and long-

term consequences of approach and avoidance goals in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9(6),

948-963.

Moretti, M. M., & Higgins, E. T. (1999a). Internal Representations of

Others in Self-Regulation: A New Look at a Classic Issue. Social

Cognition, 17(2), 186-208.

Moretti, M. M., & Higgins, E. T. (1999b). Own versus other standpoints in

self-regulation: Developmental antecedents and functional

consequence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Review of General

Psychology, 3(3), 188-223.

Nikitin, J., & Freund, A. M. (2008). The Role of Social Approach and

47

Avoidance Motives for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 Applied Psychology, 57, 90-111.

Roach, A. J., Frazier, L. P., & Sharon, R. B. (1981).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3(3), 537-546.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

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

Schmuck, P., Kasser, T., & Ryan, R. M. (2000).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Their structure and relationship to well-being in German

and US college stud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50(2), 225-

241.

Shah, J. (2003a). Automatic for the people: How representations of

significant others implicitly affect goal pursui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4), 661-681.

Shah, J. (2003b). The Motivational Looking Glass: How Significant Others

Implicitly Affect Goal Apprais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3), 424-439.

Suldo, S., & Huebner, E. S. (2004). The Role of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tive Parenting Dimensions and

48

Adolescent Problem Behavior. Social Indicators Research, 66(1-

2), 165-195.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NY, US: W W Norton & Co.

Tamir, M., & Diener, E. (2008). Well-Being Approach–Avoidance Goals

and Well-Being: One Size Does Not Fit All. Handbook of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415.

49

[ 1] 연 3에 사 연애만 도 항 .......................... 50

50

1. 연 3에 사 연애만 도 항

다 들 여러 연 계 에 한 질 들 니다. 시 항

고 여러 연 계에 해 생각하는 것과 하는 도에 시해

주십시 .

1 2 3 4 5 6 7

하지 않 보통 함

1 는 연 계에 내 가 내게 엇 하는지 알고 다.

2 내 는 편하게 해주 고 한다.

3 는 연애에 해 만과 걱 많다.

4 는 내 신뢰하지 않는다.

5 사람과 연애 하지 않았 라 내 생 공허했 것 다.

6 재 연애는 한다.

7 는 내 연애가 하다.

8 는 주 싸운다.

9 는 연애에 가 고 짜 다.

10 는 지 과 같 연애가 원 계 었 겠다.

11 내 연애는 앞 도 아질 것 다.

12 는 연애 해보 는 에 지쳤다.

13 내 연애는 생각했 것만큼 겁고 행복하다.

14 다 어 보다도 내 연애가 내게 행복 다.

15 연애 하 할수 어 워진다.

16 내 에 신경질 다.

17 내 는 내 견 듣는 편 다.

18 지 지 내 연애는 공 었다.

51

19 내 는 신과 동등하게 여 다.

20 내 는 내가 다할 수 도 격 해 다.

21 내 연애 미래는 망 다.

22 는 내 에게 진심 심 가진다.

23 는 사 가 다.

24 내 는 만 시간 허락하지 않는다.

25 내 는 당하게 한다.

26 내 연애는 내가 연애 에 웠 들 달 하는 도움 주고 다.

27 취미가 다 에 들다.

28 내 는 생철학 다 다.

29 내 는 취미 생 함께 다.

30 내 는 어 행동 람직한지에 하여 견 한다.

31 는 가 지 사귀지 않았 았 걸 하는 생각 한다.

32 재 내 연애는 행하다.

33 내 는 해주지 않는다.

34 내 는 내 마 알아차린다.

35 내 는 내 말에 귀 울 지 않는다.

36 내 는 겨 누는 편 다.

37 는 내 연애에 만 한다.

52

Abstract

Who Makes Me Happy - Approach∙Avoidance Goals and Happiness in

Social Relationships-

Seulgi Park

Department of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Approach and avoidance goals in the social domai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appiness. Approach goals focus on pursuing desirable

outcomes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but avoidance goals

focus on avoiding negative consequences and have a negative impact on

happiness (Elliot et al., 2006).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of these

goals is that they can be elicited by significant others. Although existing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oach and

avoidance goals and social outcome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oach and avoidance goals

and happiness. The current study proposes that the people who make

one happy are those who elicit approach goals and that satisfying

relationships are those in which approach goals are elicited. Three

studi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se hypotheses. In study 1, people

thought of more approach goals than avoidance goals when asked to

53

think about someone that makes them happy. In study 2, people thought

of more approach goals after thinking about someone who makes them

happy than after thinking about someone who makes them relatively

less happy. Finally, in study 3, the number of approach goals listed

above the number of avoidance goals positively predicted concurr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well as relationship satisfaction 7 months

later. The present research shows that people who make one happy are

those who cause one to think of more approach goals and that satisfying

relationships are those in which one thinks more in terms of approach

goals.

Keywords : approach goal, avoidance goal, happiness, significant oth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Student Number : 2011-20122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