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 연 수 명 : 학생의 참여를...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 연 수 명 : 학생의 참여를...

Date post: 31-Aug-2019
Category:
Upload: others
View: 2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76
연 수 명 :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연수목적 : 문화예술분야 예술강사의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강화 및 교수학습능력 향상 도모 시 : 2007. 4. 21(토) - 2007. 4. 22(일) 16시간 소 : 국립중앙박물관교육관 제 1강의실 연수대상 : 우리 원 '07년 예술강사 지원사업 활동 강사 중 기본연수 90시수 이상 이수자 중 희망자 용 : 문화예술교육 교수법 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워크숍 운영 기존 수업사례, 관련 교수방법 등 토론․컨설팅 기회 마련 참여인원 : 40여명
Transcript

areE AcademyProfessional Development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아카데미 시범사업

연수과정 1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연 수 명 :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연수목적 : 문화예술분야 예술강사의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강화 및 교수학습능력 향상 도모 일 시 : 2007. 4. 21(토) - 2007. 4. 22(일) 16시간 장 소 : 국립중앙박물관교육관 제 1강의실 연수대상 : 우리 원 '07년 예술강사 지원사업 활동 강사 중 기본연수 90시수 이상 이수자 중 희망자 내 용 : 문화예술교육 교수법 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워크숍 운영

기존 수업사례, 관련 교수방법 등 토론․컨설팅 기회 마련 참여인원 : 40여명

■ 연수 내용

연수주제 연수시간 연수내용 시간 강사 비고

수업설계와 준비

교육과정별

수업계획 개발

9:30-10:30 ○학교교육과정과 시스템의 이해 1 이명자

10:30-11:30 ○예술교육의 수업설계와 준비 1 신기현

11:30-12:30 ○교육과정별 수업계획 내용 1 백 령

12:30-13:30 ※중식(개별 식사)

13:30-14:30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1 백령․신기현

14:30-15:30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모둠활동) 1 백령․신기현

15:30-17:30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 2 백령․신기현

17:30-18:30 ○문화예술교육의 기대효과 1 백령․이명자

교수학습

원리와 전략

9:30-11:30 ○상호작용 촉진 교수법:촉진자로서의 교수자 역할 2

심미자

11:30-12:30 ○마이크로티칭 실습 & 피드백

412:30-13:30 ※중식(개별 식사)

13:30-16:30 ○마이크로티칭 실습 & 피드백

16:30-17:30 ○교사역량 강화를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 1

17:30-18:30 ○질의 & 응답:교수법에 대한 궁금증 해결 1

16

■ 강사진 소개

∙백 령 뉴욕시 공립학교 미술교사, 뉴욕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학과 박사 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박물관․미술관학과 겸임교수

∙신기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현) 동덕여자대학교 교양교직학부 교수

∙심미자 교육학 박사(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현) 연세대학교 교육개발센터 교육자료개발부장

∙이명자 현) 서울하계중학교 교무부장(영화분야 예술강사 전담교사)

목 차

학교 교육과정과 시스템의 이해 ················································································

이명자 /서울하계중학교 교사

교육과정별 수업계획안 개발 방안 ············································································

백 령 /중앙대학교 박물관․미술관학과 겸임교수

예술교육의 설계 및 준비 ···························································································

신기현 /동덕여자대학교 교양교직학부 교수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 ··················································································

백 령 /신기현

문화예술교육의 기대 효과 1 - 4 ·············································································

백 령 /이명자

교수학습 원리와 전략 ·································································································

심미자 /연세대학교 교육개발센터 교육자료개발부장

학교 교육과정과 시스템의 이해

이 명 자(서울하계중학교 교사)

강의목표

○학교교육과정을 알게 하고, 학교시스템을 이해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을 적용

하는데 도움을 준다

강의개요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계획과 중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내

용을 알게 하고 학교 현장의 시스템을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이

학교현장에 잘 적용 될 수 있도록 한다.

○세부내용

-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계획

- 중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 학교 시스템의 이해

참고자료

○교직실무편람(수정본),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06.9

○장학자료,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실천중심’,(서울 북부교육청,

2003)

강사소개_이명자

○서울하계중학교 교사 / ※ 추후작성

학교 교육과정과 시스템의 이해7

학교 교육과정과 시스템의 이해

1. 학교 교육 과정의 편성 ․ 운영 계획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학교 교육과정의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ㆍ도교육

청에서는 지역의 특수성을 살린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지침을 만들어 학교에 제시하면, 학교에서는 국가수준과 시

ㆍ도수준의 교육과정 지침을 바탕으로 학교장이 자율성과 창의성을 살려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하는 3단계

의 체계를 가지고 있다.

가. 학교 교육 과정의 편성 방향

(1) 본교육 과정은 중학교 교육 목적 및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편성된 국가 수준의 제7차 교육 과

정(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1997.12.30,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과정정책과-9243, 2006. 6.22)을

본교의 실정에 맞게 재편성한 교육 과정이다.

(2) 본교육 과정은 서울시 교육청 및 북부 교육청의 기본 방향을 반영하여 편성한 것이다.

(3) 본 교육 과정은 본교가 속한 지역사회의 특성,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의견 수렴, 학교의 제반 실태를 고

려하여 편성한 것이다.

나. 학교 교육 과정 편성․운영 방침

(1) 편제와 시간 배당

(가) 편제

1) 교육과정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일부로서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으로 편성한다.

2) 교과는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영어)의 10개 교과로

한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8

3) 재량 활동은 교과 재량 활동과 창의적 재량 활동으로 한다.

4) 특별 활동은 자치 활동, 적응 활동, 계발 활동, 봉사 활동, 행사 활동으로 한다.

(나) 교육 과정 시간 배당 기준

1) 다음 표에 제시된 수업 시수는 교육부 고시에 의한 33주를 기준으로 한 연간 최소 수업 시간 수이다.

2) 1시간의 수업은 45분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특별한 경우에 한하여 학교장의 판단에 따라 최소한

의 범위 내에서 조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3) 사회과의 2, 3학년 국사 영역은 2학년에 연간 34시간, 3학년에 연간 68시간을 배당한다.

4) 특별 활동에 배당된 68시간에는 ‘행사 활동’에 사용되는 시간이 제외된다. 이에 따라 행사 활동은

별도의 시간을 확보한다.

(다) 2007학년도 교육 과정 시간 배당표

학년

교과1 학 년 2 학 년 3 학 년

국 어 170(5) 136(4) 136(4)

도 덕 68(2) 68(2) 34(1)

사 회 102(3) 102(3) 136(4)

수 학 136(4) 136(4) 102(3)

과 학 102(3) 136(4) 136(4)

기술․가정 68(2) 102(3) 102(3)

체 육 102(3) 102(3) 68(2)

음 악 68(2) 34(1) 34(1)

미 술 34(1) 34(1) 68(2)

외국어(영어) 102(3) 102(3) 136(4)

재량

활동

교 과

재량활동

선택

과목

한 문 34(1) 34(1) 34(1)

컴퓨터 34(1)

일본어 34(1) 34(1)

심화․보충 학습 ․ ․ ․

창 의 적

재량활동

범교과 학습34(1) 34(1) 34(1)

자기 주도적 학습

특별활동

자치, 적응, 계발, 봉사, 행사 활동 68(2) 68(2) 68(2)

연간 수업 시수 1,122(33) 1,122(33) 1,122(33)

※ ( ) 안의 수는 주당 수업 시간수로 환산한 수치임

학교 교육과정과 시스템의 이해9

(2) 수업 일수와 수업 시수

(가) 수업 일수와 실 수업 시수의 확보

1) 수업일수는 연간 205일 전후로 한다. 여기에는 정기고사 일수가 포함된다.

2) 교과,재량 활동, 특별 활동에 사용 연간 수업 시간 수는 1,122시간 이상으로 한다.

3)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의 연간 실 수업 시수는 32주(176일)를 기준으로 1,056시간 이상으로

한다.

4) 실 수업 시수는 176일(32주)을 기준으로 1,056시간 이상으로 한다.

가) 실 수업 시수는 ‘서울특별시 중학교 교육 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있는 개념으로서 교과, 재량

활동 및 수업 시간표상에 제시된 특별 활동에 투입한 수업 시수를 의미한다.

나) 형성 평가, 수행 평가 등 수업 활동의 일환으로 수업 시간 중에 실시되는 평가와 수준별 교육 과

정을 위한 성취도 평가는 실 수업 시수에 포함되나, 그 외의 각종평가 및 정기고사는 실 수업 시

수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다) 실 수업 시수에는 국민 공통 기본 교과와 재량 활동과 관련하여 학교의 계획 하에 이루어진 체험

학습 시간을 포함한다.

라) 학급별로 각 교과와 재량 활동 및 특별 활동 영역을 모두 이수하고 학급별 실 수업 시수가 총

1,056시간 이상이면 수업 시수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인정한다.

(나) 수업 일수와 실 수업 시수의 운영

1) 요일 별 수업 일수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행사 활동을 안배하며 월별, 학기별로 점검하여 탄력적으

로 조정, 운영한다.

2) 주간 또는 일일수업 시간 수를 과다하게 편성, 운영함으로써 학생의 학습과 교사의 수업에 과중한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한다.

3) 주간 수업 시간표를 작성하여 운영하되, 계절, 기후, 학교 실정, 행사 활동 등을 감안하여 조정, 운

영할 수 있다.

4) 주간 수업 시간표를 작성함에 있어 교과와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의 특성에 따라 수업시간을 연속적

으로 편성, 운영할 수 있다.

5) 수업 시수 도중에 실시되는 민방위 훈련, 영어듣기 능력평가, 각종 경시대회, 국가 또는 교육청 주

관의 학력평가 등의 시수는 수업한 것으로 간주한다.

6) 출장, 연수 등으로 결강 시간에 동일 교과목 교사가 교과지도를 할 경우, 결강에 대비하여 교과 담

당 교사가 사전에 제작한 학습 자료를 가지고 동일 또는 타 교과 교사가 지도하는 경우는 수업한

것으로 간주한다.

7) 고등학교 입학 전형 후 특별 면학지도 프로그램에 의거 운영되는 날은 수업 일로 간주한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10

2. 중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가. 창의적 재량 활동1)

창의적 재량 활동은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나뉘며, 연간 34시간(주당 1시간)이 배정되어

있다. 실 수업 시수는 32시간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1)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법

(가) 창의적 재량 활동은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에 연간 실 수업 시수로 32시간 이상을 배정하

되,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적절히 분할하거나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나) 창의적 재량 활동으로서 지역 사회에서 제공하는 인적(강사)․물적(시설)자원, 교육프로그램(강좌)

을 채택하고자 할 경우 강사의 자격, 프로그램의 내용, 시설의 안정, 수익자가 부담해야 할 비용 등

을 검토하여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실시한다.

(다) 지도 자료는 학교에서 자체 개발한 자료나 인정 도서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창의성이나 문제 해결

력이 신장되도록 최대한 반영되어야 한다.

(라) 교사의 지도를 원칙으로 하되, 일부 특수한 활동 주제와 관련된 분야에 한하여 학부모, 지역 사회

인사의 도움을 받아 운영할 수 있다.

(마) 학습 집단은 학교의 실정에 따라 학년, 학급, 소집단 등으로 다양하게 편성할 수 있다.

(바) 자기 주도적 학습은 학생의 자기 결정권과 주도권을 확대하고 활동 영역에서 자기 주도성을 기를 수

있게 한다.

(2) 창의적 재량활동의 의의와 목표

교육과정 운영의 분권화, 자율화, 지역화 및 내용의 적정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의 한 영역으로

재량활동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가)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ㆍ흥미ㆍ적성과 학교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나) 학교의 독특한 문화에 따른 특색있는 학교로 바꾸어 가기 위한 것이다.

(다)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교육내용에 대한 학생의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라) 교과서 중심 체제에서 벗어나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고, 학생의 직접적인 활동이 이

1) 장학자료,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실천 중심」, (서울: 북부교육청, 2003), P17~18

학교 교육과정과 시스템의 이해11

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서울시 교육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량활동 교육 목표는 다음과 같다.

(가) 다양한 현장 학습의 장을 활용하여 기존 교육과정의 틀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교육경험을 제도적으로

보장해 주어 창의적 학습태도를 형성하게 한다.

(나) 다양한 문화 체험, 다양한 정보 매체의 활용, 그리고 다양한 주제의 범 교과학습을 통해 관심 분야

를 넓히고, 평생 스스로 학습 해 나갈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를 형성하게 한다.

(다) 여러가지 형태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제공함으로써 자연과 사회의 제반 현상을 스스로 탐구해 나가는

능력을 기르며, 학습 집단내의 상호작용을 체험함으로써 협동심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도록 한다.

(3) 창의적 재량활동의 평가

재량활동의 평가는 활동 과정을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되, 문제 파악력, 문제해결력 등과 같은 자기주

도적 학습 능력과 협동성과 과제 집중력과 같은 활동, 태도 등을 서술식으로 평가한다.

(4) 창의적 재량활동의 지도상의 유의점

(가) 가능한 한 학습자가 조사, 관찰, 실험, 토론, 견학 등 직접 체험 활동을 적극적 이고 능동적으로 전

개하도록 한다.

(나) 소집단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인 활동에서 얻기 어려운 협동심,

공동체의식을 갖도록 한다.

(다) 활동 과정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여 참여의식을 높이고 소속감을 가지게 한다.

(라) 창의적 경험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도록 하고, 광범위한 자료와 다양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마)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특수한 전문 분야 프로그램을 운영할 경우 강사료 지급 및 관련 교재 개발 ․

인쇄를 위해 학교 자체 예산을 편성 할 수 있다.

나. 제7차 교육과정의 문화예술분야 재량활동 편재

제7차 교육과정 하에서는 재량활동 시간을 통해서도 문화예술교육을 내실 있게 실시할 수 있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12

〔표 1〕 제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재량활동 편제

영역 내 용 시 간

교 과

재량활동

국민공통 기본교과의 심화 보충 0~68시간

선택과목 학습 34~102시간

창의적 재량활동

범교과 학습

34시간 이상

자기 주도적 학습

계 136시간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재량활동은 ‘교과 재량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나뉜다. 교과 재량활동

은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심화 보충을 위한 학습과 선택과목의 학습을 위한 것이며, 창의적 재량활동은

학교의 독특한 교육적 필요, 학생의 요구 등에 따른 ‘범 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것이다.

창의적 재량활동을 살펴보면 ‘창의적 재량활동 중 범 교과 학습은 민주시민 교육, 인성 교육, 환경 교

육, 경제 교육, 에너지 교육, 근로정신 함양 교육, 보건 교육, 안전 교육, 성교육, 소비자 교육, 진로 교

육, 통일 교육, 한국 문화 정체성 교육, 국제 이해 교육, 해양 교육, 정보화 및 정보윤리교육 등 다양한

주제를 학교 재량으로 선택하여 편성한다’로 되어있어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 중 범 교과학습시간을 통해

문화예술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편성되어 있다.

학교 교육과정과 시스템의 이해13

3. 학교 시스템의 이해

가. 학기별 학사 일정표(예시)

2007 학사일정표 1학기

일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월일

1 목 삼일절 일 화 중간고사 2 금 일 수중국자매학교전지훈련 1

2 금 개학식,입학식 월 교생실습 수 중간고사 3 토영어경시대회자치, 적응 월 목 (8/1-10) 2

3 토 상견례,자치,적응 화 목 일 화 기말고사 1 금 3

4 일 수 금 개교기념일 월 수업연구 수 기말고사 2 토 4

5 월 부,교과별협의 목 토 어린이날 화 합창대회(3) 목 기말고사 3 일 5

6 화 진단평가(1) 금 일 수 현충일 금 기말고사 4 월 6

7 수 토 과학의 날 월 재량휴업일 목 독후감발표대회 토 학급자치의 날 화 7

8 목 일 화 금 일 수 8

9 금 월 수 수련회 토 토요휴업일7 월 목 9

10 토 토요휴업일1 화 목 수련회 일 화 금 10

11 일 수 금 수련회 월 수 토 토요휴업일11 11

12 월 목 컴퓨터경진대회 토 토요휴업일5 화 목 일 12

13 화 정부회장선거 금 일 수 정보바다탐구대회 금 월 13

14 수 토 토요휴업일3 월 교내육상대회 목 영어듣기평가 토 토요휴업일9 화 14

15 목 일 화스승의날(재량휴업일) 금 일 수 광복절 15

16 금학부모의날,학부모총회,학운위학부모위원선출

월 수 사이버독서퀴즈대회

토 계발활동 월 목 16

17 토정부회장임명자치, 계발 화 하계소식지 발간 목 수업연구 일 화 제헌절 금 17

18 일 수 금 월 교과협의 수 토 18

19 월 학년협의 목 토 계발활동 화 목 일 19

20 화 금 수업연구 일 수 금 월 20

21 수 토신체검사자치, 적응 월 목 토 계발활동 화 21

22 목 환경미화 일 화 백일장,사생대회 금 일 수 개학식 22

23 금 간부수련회 월 수 소변검사 토 토요휴업일8 월 방학식 목 23

24 토 토요휴업일2 화 과학경시대회 목 석가탄신일 일 화 해외문화체험 금 24

25 일 수 금 월 수 (24-27) 토 토요휴업일12 25

26 월 목 토 토요휴업일6 화 목 일 26

27 화 금 일 수 금 월 27

28 수 토 토요휴업일4 월 목 토 토요휴업일10 화 정부회장 선거 28

29 목 표준화검사 일 화 금 일 수 29

30 금 월 중간고사 1 수 토 전일제봉사 월 목 탐구보고서 대회 30

31 토봉사교육,교내외봉사 목 화 금 31

일수 24일 23일 20일 23일 17일 8일(115)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14

2학기

일9 월 10 월 11 월 12 월 1 월 2 월

1 토 계발활동 월 목 학예발표회 토 자치, 적응 화 신정 금 1

2 일 화 중간고사 1 금 일 수 토 2

3 월 수 개천절 토 논술경시대회,알뜰시장

월 부별협의 목 일 3

4 화 영어말하기대회 목 중간고사 2 일 화 금 월 하계소식지발간 4

5 수 금 중간고사 3 월 학년협의 수 토 화 5

6 목 환경미화 토 계발활동 화 목 일 수 설날연휴 6

7 금 간부수련회 일 수 수업연구 금 월 목 설날 7

8 토 토요휴업일13 월 목 토 토요휴업일19 화 금 설날연휴 8

9 일 화 금 일 수 토 토요휴업일23 9

10 월 독서퀴즈대회 수 토 토요휴업일17 월 기말고사 1(1,2) 목 일 10

11 화 목 일 화 기말고사 2(1,2) 금 월 개학식 11

12 수 금 월 기말고사 1(3) 수 기말고사 3(1,2) 토 토요휴업일21 화 졸업식 12

13 목 수업연구 토 토요휴업일15 화 기말고사 2(3) 목 기말고사 4(1,2) 일 수 종업식 13

14 금 문화체험의날 일 수 기말고사 3(3) 금 월 목 교복물려주기 14

15 토 계발활동 월 목 대입수능일 토 화 금 (13-20) 15

16 일 화 학업성취도평가 금 기말고사 4(3) 일 수 토 16

17 월 교과협의 수 토 진로체험의 날 월 목 일 17

18 화 목 디카사진공모전 일 화 금 월 18

19 수 금 월 교과협의 수 선거일 토 화 19

20 목 토 계발활동 화 목 예비사정회 일 수 20

21 금 일 수 금 3학년협의 월 목 21

22 토 토요휴업일14 월 목 토 토요휴업일20 화 금 신학기준비직원회

22

23 일 화 금 일 수 토 토요휴업일24 23

24 월 추석연휴 수 토 토요휴업일18 월 목 일 24

25 화 추석 목 일 화 성탄절 금 월 25

26 수 추석연휴 금체육대회,작품전시회 월 수 토 토요휴업일22 화 26

27 목 재량휴업일 토 토요휴업일16 화 목 사정회방학전 직원회

일 수 27

28 금 일 수 금 월 목 28

29 토 교내외봉사 및평가

월 목 토 학생회장단 선거 화 금 29

30 일 화 하계소식지 발간 금 일 수 30

31 수 영어듣기평가 월 방학식 목 31

일수 19일 24일 23일 22일 0일 2일(90) 205일

학교 교육과정과 시스템의 이해15

나. 교무업무 분장(예시)

부 서 계 업 무

교무부

(14)

1. 부장 업무총괄

2. 기획 1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공문, 졸업사무, 학급편성, 제규정,

각종 회의록 작성

3. 기획 2 행사, 주간․월중계획,가정통신문,신입생업무,학부모회

4.교무업무지원 교무업무시스템지원, NEIS 권한관리, 생활기록부자료관리,

5. 학적 11학년(입․퇴학,전출,휴학,복학생처리, 학생부, 졸업대장, 학적사항보고, 각종 증명서

및 추천서), 입학업무

6. 학적 2 2학년(〃), 진급업무

7. 학적 3 3학년(〃), 졸업업무

8. 고사 1 고사계획수립 운영, 수행평가, 고사원안, 결시생 성적 및 내신성적업무

9. 고사 2 〃

10. 수업 1 시간표운영, 일과진행, 결․보강운영,

11. 수업 2 시간표운영, 일과진행, 결․보강운영,

12. 시상 시상관련(대장정리 및 보관), 행사계획

13. 기록 교무일지,학생출결 사항 수업시간 누계 및 연간수업시수 조정

14. 방송 방송관련 업무(일과진행, 타종)

연구부

(5)

1. 부장 업무총괄

2. 기획교육계획서 작성, 종합장학 및 학교 평가, 포상관련, 자율장학관련, 교생업무, 기타공문관리

3.수업방법개선수업방법 개선관련, 각종 협의회, 각종 연구대회 관련, 교실수업개선 관련, 현장 교육개혁, 학교혁신

4. 연수 교직원 자체연수, 각종 연수관련 홍보, 공문 처리 및 연수대상자 선정

5. 자료홈페이지 교육자료 탑재 관리, 공개수업관련, 연구시범학교 관련, 외부 도서, 잡지 및교육자료 관리, 교사용 서장 관리

생활지도부

(7)

1. 부장 업무총괄

2. 기획공문, 운영계획수립,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운영,학급회운영, 학생증 발급, 환경조사

서, 비상연락망, 교사순시계획 및 운영

3. 교내지도 1등하교지도, 1학년(생활지도 및 사안조사, 선․효행 학생, 징계학생처리, 용의복장지

도, 신입생 명찰, 벌점제도운영),

4. 교내지도 2 등하교지도, 2학년(〃), 안전교육, 교외지도

5. 교내지도 3 등하교지도, 3학년(〃), 금연교육

6. 선도 등하교지도, 학생선도부 조직 운영

7. 학생회등하교지도, 학생회 조직 및 운영, 정부회장 선거 및 임명

임원수련회, 불우이웃돕기

교육정보부

(5)

1. 부장 업무총괄

2. 기획 공문, 학내망 및 인터넷관리, S/W지원, 메신저,시스템CD관리

3. 교단선진화 멀티기기관리, H/W고장수리, 멀티기자재 관리 ,

4. 성적처리 성적전산처리, 수행평가, 입학․졸업과 관련한 전산업무

5. 홈페이지 홈페이지 관리, 컴퓨터실 관리, 교육활동 자료입력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16

부 서 계 업 무

학년부

(6)

1. 부장 업무총괄

2. 기획공문, 3학년 진학 및 진로지도, 소풍, 통합교과운영,

출석부 관리, 수련회, 청소상황점검

3. 1학년계교과서 관련업무(수령 및 배부-서무실협조), 소풍, 통합교과운영, 출석부 관리, 수련

회, 청소상황점검

4. 2학년계 주5일 수업제 운영, 소풍, 통합교과운영, 출석부 관리, 수련회, 청소상황점검

5. 기초학력 부진아 지도, 특별보충과정, 단계형수준별 수업

6. 청소 (*비담임), 교내 청소구역 설정, 청소도구 배부,

진로상담부

(5)

1. 부장 업무총괄

2. 기획공문, 운영계획수립, 신입생상담안내, 불우학생파악지도, ,표준화검사, 어머니회, 동창

회, 교사․학부모대상 성희롱예방교육

3. 상담(*비담임), 상담활동 운영, 심성수련, 사이버상담,

요선도학생지도

4. 진로지도진로지도계획 수립 및 추진, 진학 및 직업관련 정보제공,

진로체험의 날 운영

5. 특수및장학 특수교육업무, 장학생 선발․관리, 소년․소녀가장지원,

특별활동부

(5)

1. 부장 업무총괄

2. 기획 공문, 운영계획수립, 명예교사, 평생교육, 등용제,

3. 특기․적성 특기적성교육 계획 수립 및 추진, 방과후, 방학중 교육활동

4. 계발활동 계발활동 조직 및 운영

5. 환경미화 환경미화 및 교내 게시, 전시회, 사생대회

언어교육부

(5)

1. 부장 업무총괄

2. 기획 공문, 운영계획수립, 각종 대회 및 행사 지원

3. 국어교육 소식지, 독서지도, 백일장,

4. 영어교육 영어교육프로그램 개발, 영어평가 및 각종대회, 오분생활영어

5. 도서 도서실운영계획수립, 도서대출 및 열람, 도서관련 업무

예체능부

(6)

1. 부장 업무총괄

2. 기획 공문, 운영계획수립,

3. 육성종목 특기생지도, 육성종목을 통한 특기신장교육, 체육진흥위원회 조직 및 관리

4. 교구및시설관리 교구 및 시설관리, 학교급식, 행사

5. 급식 중식지원 (합창대회, 청소년육성단체)

6. 보건 보건업무, 성교육, 학생 성희롱예방교육

과학교육부

(5)

1. 부장 업무총괄

2. 기획 공문, 운영계획수립,

3. 실험실습 실험실습운영계획 수립, 실험실운영, 환경교육, 에너지절약

4. 행사 과학수학영재반, 과학자료전, 과학의 달 행사, 과학경시 및 경진대회

5. 물품관리 과학기자재 관리, 과학교구현황 관리 및 물품구입

사회교육부

(4)

1. 부장 업무총괄

2. 기획 공문, 민족공동체의식 함양, 통일안보, 양성평등

3. 경제 바자회, 교복물려주기, 해외문화체험체험․교환학습

4. 봉사활동 봉사활동 계획수립, 조기청소, 봉사활동 관련 업무

학교 교육과정과 시스템의 이해17

다. 기 타

(1) 수업에 대한 준비

(가) 출근 : 20 ~ 30분전

시간표 확인 및 일정 확인

(나) 자료준비

1) 기자재 수리가 필요 할 때 : 담당교사와 협의

→ 수리요구서 결재 → 행정실 → 최소 1주일 전

2) 유인물의 등사가 필요 할 때 : 등사요구서를 결재(전결)

→ 등사실에 맡김 → 최소 2 ~ 3일전

3) 물품구입이 필요 할 때 : 담당교사와 협의

→ 물품구입서 결재(전자결재 씨스템)→ 행정실에서 인수

(2) ‘2007학년도 예술 강사 지원 학교운영 안내’

→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학교 협조사항

교육과정별 수업계획안 개발 방안

백 령(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박물관․미술관학과 겸임교수)

강의목표

○예술 강사와 문화예술교육 인력들에게 현행 교과과정에서 차별화된 학습과정

을 설계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사례를 제시하여 이들의 수업설계에 도움을 주

고자 한다.

강의내용

○교육과정별 차별화된 수업계획안을 설계하는 방안과 사례 제시

○주요내용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개별 활동 이해

-문화예술프로그램 개발 방안

-교수-학습 계획안 사례제시

키워드

재량활동 / 특별활동 / 학습안 / 동기부여

강사소개_ 백 령

뉴욕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학과 석사(MA)․박사(Ed.D)과정을 졸업하였으

며, 뉴욕시 공립학교 미술교사, 베이릿지 성 패트릭스 초중고교 미술교사, 특

별활동 지도교사 재직, 뉴욕메트로폴리탄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교육,도서

관 소속 학교교과연계 교육프로그램 기획/운영부 등에서 활동하였으며, 2001

년부터 국내 문화예술교육 및 박물관․미술관 교육 관련 강의, 연구h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 경희대학교 문화예술연구소 연구위원 및 중앙대학교 예술

대학원 박물관․미술관학과 겸임교수에서 활동 중이며 저서로는『박물관․미술

관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현재』등이 있다.

교육과정별 수업계획안 개발 방안21

교육과정별 수업계획안 개발 방안

1)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개별 활동 이해

현행 교육과정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기 가능한 활동은 교과 활동, 재량활동, 특별활동 중 계발활동, 특기

적성 교육, 동아리 활동이며 이외에 현장체험활동이 있다. 이들에 대한 개괄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학습 계획

안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교과 활동” 중 음악, 미술, 체육(무용), 국어 (문학)등이 문화예술교육과 전목 되어 이해 될 수 있다. 이

중 음악, 미술은 그 자체로서 예술교과라 할 수 있으나 미술교과는 미디어, 만화 애니메이숀과 음악교과는

국악과, 체육교과는 그 내용 일부가 무용과, 국어 교과는 그 일부가 연극과 연계될 수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수업시수의 과소, 지식중심의 편향적 입시제도, 예술교과를 예능으로 인식하는 편견과 과도한

사교육에 밀려 그 특성을 살려내지 못하고 있다. 교과 활동은 학급담임 교사와 예술 전문 강사(미술교과,

음악교과)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 “재량학습”은 현행 7차 교육 과정에서 개설된 것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교과의 심화, 보충학습의 역할을 하

고 있다. 재량학습은 ‘교과 재량학습’과 ‘창의적 재량학습’으로 구분된다. ‘교과재량학습’은 중등학교의 선택

과목 학습과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심화⋅보충 학습을 위한 것이며, ‘창의적 재량 활동’은 학교의 독특한

교육적 필요, 학생의 요구 등에 따른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것이다.

① 재량학습 현황

정보화, 세계화 시대의 교육은 전통적인 교육 제도의 운용과 교육 내용에 있어서 혁신적인 변화를 요구

하며, 무엇보다도 개성 있고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이상으로 삼는다. 이러한 시대적인 변화에 대비하여

재량 활동은 학습자와 지역 사회의 요구, 학교의 상황과 학교장 및 교사의 교육관에 따라 학교 나름의

특색 있는 교육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교육 과정 결정 및 운영의 자율화를 꾀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재량학습은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고 범교과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22

한 창의적 재량학습에 중점을 두어 학교에서 학습내용을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즉,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고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및 학생의 선택권 부여를 보

장하기 위하여,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기간에 해당하는 1∼10학년에 걸쳐 재량학습이 신설․확대 되면

서 초등의 경우 주당 2시간으로 확정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확대는 학교간

의 의미 있는 특성을 살려 국가적 차원에서 교육과정의 획일화를 피할 수 있게 하고 학생의 교과목 선택

기회 제공은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에 따른 학습기회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2)

초등학교의 재량학습은 연간 68시간 즉 주2시간씩 학년 별로 배당되어 있으며(1학년은 60시간), 학교의

실정에 따라 융통성 있게 배정 할 수 있으나 교과의 심화․보충 학습보다는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

력을 촉진시키기 위한 창의적 재량 활동에 중점을 두도록 되어 있다.

② 초등학교에서 재량학습의 특성

첫째, 정보통신교육을 대부분의 학교에서 학년 상관없이 주 1시간씩 하고 있다. 정보화 시대에 맞추어서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맞는 정보화 소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주 2시간 중에서 나머지 1시간은 창의적 재량학습으로 학년별로 활동영역을 정해서 운영하고 있

다. 창의적인 교육활동과 다양한 체험학습을 통해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시킨다는 목적을

가지고 학생들의 요구, 흥미, 적성을 반영한 범교과적인 학습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다.

셋째, 재량학습을 학년단위로 운영하고 있다. 학년 단위로 하는 것은 학년별 특성이나 교사들의 협동을

통한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교재계발 등의 장점이 있다. 교사가 자기가 가지고 있는 특기를 살려

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기에 학급단위의 운영 역시 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 “특기적성 학습”은 교과와 상호보완적 관련하여 학습자들의 심신을 조화롭게 발달시키기 위한 교과외의 활

동이다. 학습자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신을 발견하고 완성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고자 한다. 특기적성 학습활동 운영 지침에 보면, ‘특기․적성 학습활동이라 함은 학생들의 특기와 적성

을 기르기 위해 희망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수익자 부담으로 별도의 강사를 채용하여 방과 후에 실

시하는 교수․학습활동을 말 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초등학교의 특기적성 학습은 3학년의 경우 연간 34

시간 즉 주1시간씩, 4학년, 5학년, 6학년은 연간 68시간이 배당되어 있다.

① 특기적성 학습 현황

방과 후 교육은 1996학년도 9월부터 교육수요자인 학생, 학부모의 사교육비를 줄이고 학원 밖의 과외를

학교 안으로 끌어들여 학교 시설을 지역 사회에 개방하여 활용한다는 목적 아래 일선 학교 현장에서 방

과 후 과외 정책이 시달되어 실행된 후, 그 동안 학교 급별이나 학교마다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다양

2) 유광찬, 장미옥(2002)재량학습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Vol.15, No. 2. 239-282.

교육과정별 수업계획안 개발 방안23

한 강좌가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1999학년도부터는 방과 후 특기․적성 개발 활동으로 개칭하고 각

학교에 특활부장을 두고 본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즉 특기․적성 학습활동은 정규 수업시간 이외의 시간에 이루어지는 수요자 중심의 선택적 교육활동으

로, 학생 개개인의 적성, 수준, 특기 등을 고려하며, 학교와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

한 교육활동이다. 이런 교육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취미, 특기 신장을 위한 교육

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의 방과 후 특기․적성 교육은 학생의 수요조사에 근거하여 학교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부

서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참여도도 높고 대부분의 학교에 정착되어 있다.3)

② 초등학교에서 특기․적성 학습 활동의 특성

첫째, 교실 사용은 유효 교실이나 특별실, 저학년 교실을 이용하여 오후에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강사는 전문 강사나 교원자격 소지자, 예체능 전문가 등이 대부분이다. 문화관광부는 1999년부터

국악 강사풀제를 시작으로 강사풀제를 도입하여 일선 학교에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004

년 국악, 연극, 영화로 2005년 국악, 연극, 영화, 애니메이션, 만화로 확대되어 진행하고 있다.

셋째, 수강기간은 보통 3개월 단위로 재신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일부 학교에서는 1개월 단

위 또는 학기별로 신청을 받는 경우도 있다.

넷째, 수강료는 수익자 부담으로 하며, 과목별 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 “특별활동”은제 7차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의 개성과 소질을 계발, 신장하

고 건전한 취미를 가지게 하여 자아실현을 도우며, 여가를 잘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별 활동의 교육 과정은 자치 활동, 적응 활동, 계발 활동, 봉사 활동, 행사 활동의 5개 영역으로 구성 되

어 있다.4)

① 특별활동 현황

초등학교의 특별 활동에서는 학생의 기본적인 생활습관과 자율적인 생활태도의 형성에 중점을 두고 있

다. 각 학년별로 배당 된 연간 수업시간 수에서 특별 활동의 각 영역별로의 시간 배정은 학생의 요구와

지역 및 학교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학교에서 재량으로 배정할 수 있다.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특별활동

의 각 영역별 활동에 필요한 시간은 교육 과정시간 배당 기준에 배당 된 최소 시간을 기준으로 학교 재량

으로 해당 학교에서 배정하도록 재량권을 부여 한 것이다. 학교의 필요, 학생의 희망, 요구 등에 따른

학습자중심의 교육을 다양하게 운영 할 수 있으며 활동 영역, 활동 주제, 활동 내용이나 운영방식 등에

3) 서울시교육청(2004). 학교평가보고서.

4) 초․중등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인적 자원부 2004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24

따라 통합하거나 분할하는 등 융통성 있고 탄력적으로 운영 할 수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적은 시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과 활동에 비해 소홀히 운영되는 경향이 있다.

지속적인 심화 과정의 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에 특별활동 자체를 단순한 취미 활동과 비슷한 수준의 내용

을 반복 경험하는 것으로 오임 함으로써 그 교육적 취지를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② 교육현장에서 계발활동과 행사 활동

계발 활동은 흥미, 취미, 적성이 비슷한 학생들로 구성된 집단에 자발적인 참여로 즐거움 속에서 삶의 질

서를 배우며 협동심을 기르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여 자신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 계발하고, 신장하고 자아실현의 기초를 다고 여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생화 습관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표 중 ‘즐거움 속에서 삶의 질서를 배우며’, ‘자아실현의 기초를 닦고 여

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생활습관을 현성한다는 점은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취지를 실천 할 수 있는 여

지를 보여 준다. 계발 활동은 학교에 따라 정일제, 격주제, 전일제, 학기제로 시행하기도 하나 학교 밖으

로 그 활동의 범위가 넓혀짐에 따라 전일제를 시행하는 학교가 증가 하고 있다. 또한 일부 계발 활동은

동아리 활동으로 연장 되어 학생자치 활동을 통해 심화 되는 경우도 중 고등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다.

행사 활동은 첫째 교내․외에서 실시되는 여러 행사의 의의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학교와 지역 사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기르고, 둘째 학예와 체육 등 행사 활동을 통하여 평

소의 학습 성과를 창의적으로 발표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협동 및 봉사의 정신과 연대의식을 높이며,

셋째, 학교 밖의 자연과 문화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견문을 높이고 풍부한 감성을 지니며, 넷째, 각종 수

련 활동에 참여하여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이루며 다른 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수용함을 목적으로 한

다. 이중 셋째와 다섯째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목적과 일치 하며 다른 세 목표도 일부 문화예술교육의

관점을 내포한다 할 수 있다.

특별 활동 중 계발 활동이 그 교육과정상의 목표 및 활동 영역에 있어서는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제대

로 마련하고 있으나 그 실행에 있어 다음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현실적으로 학교 내 지원에 한정 된 채 실행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것은 결국 프로그램이 부실하

게 되는 원인을 제공 한다. 둘째,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담당교사에게 맡겨지고 있

기 때문에 전문성 없이 부실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셋째, 특별 활동 운영 지침에서 학년 간 연속

성이나 활동의 심화에 대한 내용이 없어 대부분의 활동이 일회성의 경험으로 끝나버리는 것이 문제이다.

▶ “현장 체험 학습”은 학습의 장을 학습 자료가 있는 현장으로 옮겨서 학습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수

업 방법의 하나이다. 현장체험학습은 교실에서 교과서 위주의 추상적 지식학습에서 벗어나 현장에서 관찰,

조사, 수집, 견학, 탐방, 실습, 수련, 노작, 봉사, 환경보호 등의 활동을 직접 체험하여 구체적, 경험적 지

식을 얻은 학습의 과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초등학생의 경우 일 년에 두 번 봄, 가을에 현장 체험 학습의

기회를 갖고 있다. 대부분의 학교는 수학여행, 소풍을 현장 체험학습으로 대체하고 있다.

교육과정별 수업계획안 개발 방안25

2) 문화예술프로그램 개발 방안

문화예술교육은 무엇을 가르치느냐의 과목, 어떻게 가르치느냐, 누가 가르치느냐, 누구를 가르치느냐의 교육

의 유형과 구조를 초월한 철학적이며 개념적 의미를 가져야 한다. 이는 사물이나 사건을 바라보는 것, 본 것을

생각하며 본질을 파악하고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사물과 인간에 대해 사유하고 본모습을 이해하며 존재의 진실

성을 깨닫고 무한의 세계를 상상하고 표현하는 기회의 제공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인간의 사고력, 창의력과 소재

가 혼합된 표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은 문화예술교육의 맥락뿐 아니라 교육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

화예술교육은 이러한 범주 속에서 다시 각기 다른 표현 방식이나 유형의 역할과 교육적 가치로 구분되어 연구되

어져야 한다.

효과적이고 영향력 있는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기 위해 교사와 교육계는 이 시대의 문화․예술현상

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교육이 지향하는 목표와 다양성 있는 활동, 교육의 유형과 요소들-예술적 요소(활동 중

심), 주체적 요소(대상 중심), 교육학적 요소(동기 부여)-을 이해하고 연구하여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이 이루고

자하는 목표를 정립하기위해 우리 시대의 철학과 교육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활동의 조사와 분석, 대상의 연구

와 동기 부여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새롭게 느끼게 된 것은 현장감, 생동감과 다양성이다.

물론 교육의 3요소를 ‘무엇을’, ‘누구에게’, ‘어떻게’ 라고 할 때 참관한 프로그램은 ‘누구에게’ 라는 대상 중심의

교육이고 대상들의 삶과 환경이 교육의 중심에 서 있다. 참여자가 스스로를 이해하고 표현하고 이웃의 모습을

알고자하며 함께하는 공동체를 이루고자 하는 노력의 과정인 것이다. 완성된 모습이 아닌 과정을 통해 성숙하고

변하는 활동과 참여자들의 심중하고 집중된 태도, 각 환경에서만 느끼는 현장감, 이를 반영하는 생동감 있는 활

동과 그곳에서 느껴지는 활력, 에너지는 학교 수업에만 익숙해있던 참관자에게 새로운 것이었다. 참여자 이해 역

시 프로그램 기획에 있어 중요하다. 지역의 주민은 누구이며, 이들의 성향, 관심꺼리는 무엇인가를 이해해야 지

역에서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쟁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느냐에 대한 범위의 확대와 모든 교육 활동은 통합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다는 생각

을 한 번 더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찰흙으로 거리를 만드는 작업이 단순하게 미술의 영역이 아닌 다양한 영역

과 연계되어 있으며 활동하는 이들은 의식적으로 무의식적으로 다양한 활동을 연계하고 통합하여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해석에 대한 다양한 접근 역시 즐거운 발견이었다. 미술품을 체험하며 하는 해석, 연극놀이를 통한 해석

등 다양한 접근 방법에 대한 생각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어떻게 하느냐 하는 동기부여에 대한 여러 가지의 해결책을 찾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참여자들이 집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26

중하고 활동에 몰입하게 하는 다양한 활동을 보는 것도 새로운 배움의 기회가 되는 것 같다. 작가들과의 공동 작

업, 스스로 할 것을 찾게 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은 운영자들의 장시간에 걸친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다.

교육이란 인간 행동을 기대되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계획이며 유목적인 활동이다. 교육의 참여자의 다양한 욕

구와 성향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여러 발달 영역에 접합하게 내 ․외적 조건을 구성하여 제공하는 활동

이다. 따라서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학습 참여자의 내․외부적 변화를 위한 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목표에 적합

한 전략과 도구를 적절하게 배열하여 효과적이며 효율적이 활동의 결과를 기대 할 수 있는 것이다. 교육 현장에

서 학습 참여자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발달에 적합한 목표 설정과 목표에 적합한 내용

을 선정하고 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평가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최대의 학습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 과정에 포함 되는 여러 구성 요소, 즉 수업목표, 내용,

방법, 활동 시간, 자료와 매체의 배열, 평가 등을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활동이 교수-학습 계획이다. 교수-학습계

획은 수업을 설계하는, 즉 계획하고 준비하는 활동을 의미 한다. 학교에서 교사의 일차적 역할이 가르치는 일이

라고 한다면 교사의 교수-학습계획 활동은 가르치는 일에 있어 신중하고도 세밀하게 진행되어야 하는 활동이다.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고민하고 생각하고 의사결정 함으로써 보다 질 좋은 교육을 실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능률적이고 효과적이며 학생들의 참여에 동기부여를 위한 교수-학습 계획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게일리

스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어떠한 목표가 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어떠한 구체적인 내용이 학습되어야 하는가? 셋째, 학습자에 의

한 어떠한 학습 활동이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게 할 것인가? 넷째, 교사는 적절한 학습 활동을 어떻게 조직하고

이끌어 갈 것인가? 다섯째, 목표를 달성하는 데는 어떠한 구체적인 방법을 동원 할 수 있는가? 여섯째, 학습자

에게 학습활동을 보다 의미 있게 하기 위해 어떠한 자료와 지원이 필요 한가? 일곱째,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

었는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평가 도구로서의 어떠한 것이 적절 한가?

(1) 교수-학습 계획의 요소구성과 설계

교수-학습계획을 설계하기 전 교사는 본인의 교육 환경과 시수, 활동 영역 등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인력의 경우 본인이 본인의 활동이 위에서 언급한 교과 활동, 재량활동, 특

기적성 활동, 특별활동 중 어느 것이며 이의 한계와 기능성, 시수의 배치 등은 물론 본인이 학습 하는 공

간의 크기, 공간의 시설 등의 이해를 기반으로 학습 설계를 시작 하여야 한다. 1학기를 기준으로 가능한

시수와 이 중 연계 가능한 기간 등에 대해 학교 담당교사와 논의 하여야 한다.

교육과정별 수업계획안 개발 방안27

① 수업목표의 설정

수업목표는 학습 참여자들이 최종적으로 습득해야 할 성취 감성과 행동이며 평가 의 항목이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수업 목표의 설정은 교육 과정에 있어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영역이다. 1학

기 수업을 준비 하는 교사는 1학기의 본인의 수업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대 목표를 설정 하여야 하며 이

를 이루기 위한 연속성 있는 단계별 개별 수업의 목표를 설정하여야 한다.

수업 목표는 교수-학습과정의 구체적인 방향과 내용을 뚜렷하게 제시 할 수 있다. 학습 목표는 학습 참

여자, 수행용어의 사용, 수행조건, 목표달성 기준 등이 명시 되어야 하며 목표는 개별 영역별로 분류되어

야 한다.

② 수업 내용의 선정

수업내용은 설정 된 수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에게 학습시키고자 하는 구체적인

활동과 경험으로서 학습자가 학습 할 내용을 의미 한다. 수업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수

업목표가 지식, 기능, 태도 등에서 어떤 유형인지에 따라 다양한 내용으로 선정될 수 있으므로 수업목표

와의 일관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변화하는 교육적 패러다임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는 탐구와 발전에 의한 학습이 되도록 수업내용을 선정 하야한다.

③ 수업내용의 조직의 원리

- 계속성의 원리: 학습 내용을 반복 하면서 축척된 지식을 기반으로 확장하는 종적 관계와 관련 있는 원리

- 계열성의 원리: 수업의 질적인 심화성과 양적인 확대성의 원리로 선습을 기초로 다음의 학습량이 보다

많아지고 수준이 높아지도록 조직하는 원리

- 범위의 원리: 수업의 목적에 타당하면서 풍부하고 다양하게 조직하는 원리

- 통합성의 원리: 수업내용 조직에 있어 횡적 관계를 강조하는 수업으로 상호 연결하여 통합하는 전인적

인 학습을 촉진하고자 하는 원리

④ 학습지도안 작성

- 단원명

- 단원 설정의 이유

- 단원의 목표

- 단원의 지도계획

⑤ 단위 시간의 학습지도안

⑥ 평가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28

3) 교수-학습 계획안 사례

학습 참여자 : 초등학교 5,6 학년 (개별 학급 25-30명)

교 육 과 정 : 교과 활동

교 육 장 소 : 미술실

교 육 시 수 : 주 1회 (1교시 45분) 20주 (총 22주/ 연간)

20주의 (1교시 45분 기준) 미술 장르의 교수-학습계획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단원 명나와 내 가족의

이해

자연 환경과

건축의 전통 및

생화 문화 이해

우리 마을: 과거와

현재우리 가족의 음식

우리 전통과

관습을 통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

참여자의 인지력

발달

자아 발견과

자화상적 표현자연과 개인 가정/이웃/ 공동체 문화와 음식 사회와 융합

감성적 발달 가치의 공유 자연 환경의 변화시간의 흐름과

지역의 변화

대중 문화(퓨전)과

전통 문화

일생의 삶과

통과의례

타아의 이해가족의 구조와

감성의 이해자연과의 관계 이해

사회와 지역의

지형도 변화기여와 향상 타인의 존중

단원에서 학습되는

쟁점

가족과 연계되는

자아 정체성자연과 문화

사회 문화 환경의

변화음식속의 전통

일생의 삶과 통과

의례와 사회 구성원

미술 제작활동 앗셈블라지 소규모 조각 사진 조각 영상물

학습되는

시각예술의 언어

앗셈블라지

상징

자화상

자연

공간의 개념

개념미술

촉각적 체험

건축, 지도,

도시계획,

시각적 이야기

팝아트

입체 디자인

앗셈블라지

다큐멘테이숀

시각적 이야기

자화상

감상되는 미술사의

인물조셉 콘웰 로버트 스미슨

버니스 아벳

워커 에반스클라세 올덴버그 백남준

감상되는 현대

작가

루이스 브르죠아

아넷 멧신저

찰스 시몬스

크리스토

프랑크 로이 라이트

로버트 아담스

펠릭스 곤자레스

토레스

웨인 타보

도날드 설튼

요조 하마구치

메리 루서

빌 바이올라

교육과정별 수업계획안 개발 방안29

① 수업목표의 설정

20주의 수업 대 목표: 미술 제작과 성찰을 통한 자아와 타아를 이해하는 기회제공

5개 단위 수업으로 전체 목표를 달성하고자 20주의 수업을 4 개별 수업으로 구성 된 5개의 단위 수업으

로 구성

단위 1 : 나와 내 가족의 이해

단위 2 : 자연 환경과 건축의 전통 및 생화 문화 이해

단위 3 : 우리 마을: 과거와 현재

단위 4 : 우리 가족의 음식

단위 5 : 우리 전통과 관습을 통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

② 수업 내용의 선정

미술장르의 수업으로 대 목표를 미술제작 및 감상과 성찰을 통한 자아와 타아의 정체성 이해를 다문화적

맥락에서 구성 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미술 제작과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작업에 대해 성찰하는 기회

를 가지고 이와 연계된 참고 작가의 소개가 수업의 구성 요소이다. 이를 위해 교사는 개별 단원을 위한

자료 수집과 분석 을 통해 학습참여자들과 공유할 정보를 재구성하고 참여자들이 감상할 작가의 작품을

해석하고 학생들에게 소개하는 다양한 방법을 연구 하였다.

③ 수업내용의 조직의 원리

위에서 언급 한 계속성, 계열성, 범위, 통합성의 원리를 기반으로 개별 활동이 다음 활동과 연계되나 일

대일 반복이 아닌 변화, 확대, 구체화 등으로 심화되고 통합되도록 조직 하였다.

교육의 목표는 창작, 성찰, 감상을 통한 자아개발과 타인에 대한 이해에 있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달성하

기 위해서는 대상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대상에 대한 연구는 그들에게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및 정보를 전제로, 대상이 되는 이들

의 문화와 정서, 지적수준에 적합한 학습기회 제공-예를 들자면 시각적 상징 표현을 위한 새로운 소재의

소개나, 기술 및 매체 활용력 학습-과 동시에 미술작품의 창작은 물론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하는 법을

교육할 수 있는 것이다.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접근 방식 제안을 위해 다음과 같이 주제를 정한 후,

그 주제를 다시 4개의 소단위 학습으로 구성하였다: (1) 학습목표 및 내용 소개와 동기부여 (2) 창작활

동 (3) 자기 작품소개와 친구 작품에 대해 토론하기 (4) 기성 작가들의 작품을 제시한 감상방법으로 해

석, 성찰하기. 기성 작가 작품의 경우, 학생들이 제작한 작품 주제와 유사한 것을 선택한다. 자신의 작품

과 유사한 주제를 다룬 기성작가의 작품을 감상하면서 어린이는 주제에 대한 일종의 공감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학습과정을 4개의 소단위학습과정별로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이 주어진 주제에 대해 생각하고 시각적 답을 찾는 과정이다. 새로운 소재를 소개하거나

제작 기술법 등에 대한 설명을 진행한다. 동시에 자신의 경험을 연상하며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30

는 동기를 부여한다. 둘째, 직접 손으로 창작하는 단계이다. 교사의 세심한 준비와 배려로 모든 학생이

창작활동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는 참여자들이 창작활동에 몰입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동기부여

하고, 학생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의 표현과 개인지도도 병행한다. 셋째, 자신의 작품을 선보이고 동시

에 친구들의 작업결과물을 관찰하고 이야기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자칫 학생들의 잡담 시간으로 변질

될 가능성이 크므로, 교사의 세심하고 치밀한 수업 계획이 필요하다. 모든 학생에게 똑같은 기회를 주고

토론하는 시간을 통해, 어린이들은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평소에 말이 없는 어린

이의 경우, 많은 사람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고 그의 이야기가 다른 친구들에 의해 경청되는 기

회를 가질 수 있다. 어린이들은 같은 반 친구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신의 경험에

관해 이야기 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게 된다.

다음 단계는 창의적인 표현을 주변 친구들에게 보여주고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언어를 통한 배움의 기회

이다. 그리핀(Morwenna Griffths, 1995: 32)은 “다른 이들이 내 이야기를 듣는 것은 들을 가치가 있

기 때문이며, 내 이야기의 가치는 곧 나의 가치이기도 하다”고 말하며 서로의 대화 속에서 창출되는 자기

가치 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일선 교사들이 호소하는 가장 큰 어려움은 어린이들의 관심과 흥미를

끊임없이 불러일으키고 이를 참여로 유도하기 위한 동기 부여에 관한 것이다. 교사의 활동 대부분이 일

정 교육 목표 하에 어린이들에게 동기 부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일 것이다.

수업현장경험을 통해 학생들 주변의 다양한 활동들을 연결시키고 항상 새로운 것에 도전하도록 학생들을

자극하는 것이 하나의 동기부여임을 발견하였다. 교사들은 계획된 경험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과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학생들이 열의를 갖고 참여하도록 다양한 동기 부여 방법을 찾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요구된다.

④ 평가

교사는 학생들의 개별적 활동을 기록, 평가, 분석한다. 평가를 위한 중심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각 단원의 주제를 통해 표현된 인지적 감수성 (2) 자신의 고유한 아이디어를 찾는 것 (3) 주어진 소

재를 적절히 이용하는 것, 소재와 기술에 대한 이해정도와 적용능력 (4) 주제를 표현하는 상징 만들기와

논리성 (5) 예술 요소들을 이용하는 능력 등이다. 학생들의 창작품과 그들의 감상에 대한 해석과 평가는

교사의 기록이자, 다음 학습 계획에 반영된다. 교사는 학생들의 주관적・객관적인 이해를 포함한 깊이 있

는 해석에 도달하도록 끊임없는 활동 패턴과 구조를 유지해야 한다. 학생들은 수업 경험과 활동에서 대

화와 성찰을 통해 얻어진 지식과 이해를 기반으로 해석의 중요성을 알게 되는 것이다.

교사들은 보다 발전적인 학습 준비와 개인역량향상을 위해 학습 평가와 분석을 한다. 교사저널, 수업 연

구서, 에세이와 같은 결과물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결과물은 단순한 수업의 기록 차원을 넘어서 분석

과 해석을 담고 있으며 학습 준비 및 진행과정을 반성하게 한다. 수업 진행과정과 결과물에 대한 사진

역시 교사에게 중요한 자료이다. 다양한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를 살펴 본 결과, 다음의 2가지의 방법들

을 제안한다.

교육과정별 수업계획안 개발 방안31

첫째는 숀(Donal Schon, 1991)의 ‘반영적인 실행’이고, 둘째는 매넌(Max van Manen, 1990)의 ‘활동

적 연구’이다. 숀은 건축가, 심리상담자, 교사들과 같은 전문인의 실전을 관찰한 결과 개별적 평가보다는

관련성을 전제로 전체적이고 결과물 중심적인 관찰, 평가방법을 체계화하였다. 매넌은 이것을 “행동 속의

앎”이라 불렀다. 그의 행동연구는 수업시간 활동에서 차용될 수 있다.

정량평가를 위한 기본 틀과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 될 수 있다. 대부분의 문화예술교육 강사가 정량적

으로 학생들의 활동을 평가 하는 기회는 그리 많지 않으나 교사 본인의 발전을 위한 평가는 도움이 될 수

있다.

영역 평가 기준 소영역 세부지표점수

5 3 1

활동을 위한

행정적 지원

학교의 이해 학교와 담당 활동에 대한 이해

담당교사와의

소통과 공감대업무 관련 교사와의 소통

관련교과 교사와의 협력체계 구축

수업

준비 단계

수업의 설계와

준비

수업의 목표 및 방향 설정

수업 설계의 구체성

자료 준비

수업 진행

교육의 적합성

교육의 주제와 목표설정

교육의 효과와

결과물에 대한 명시

교육 과정의

체계성

학습자의 동기부여 방법

단계별 과정과 목표와의 연계성

후속 활동과의 연계

학습활동의 구조화

수업 내용의 전달

교과/ 주제와의 연계

학습자의 언어/용어

의사 전달

질문에 대한 반응

활동의 전략과 모형 개발

평가

교육적 효과와

결과물

(내부 평가)

목표가 설정한 활동의 완성정도

학습자의 내적 동기부여 정도 ·

학습자 만족도 설문과 내부평가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32

4) 교수-학습 계획안 설계를 위한 제언

모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위의 사례와 같이 설계 될 필요는 없다. 이는 하나의 사례이다. 문화예술교육

교수-학습 계획안 설계는 개별 교사의 전문 영역이 주제적 맥락, 참여자 중심의 활동 등으로 재구성되는 활동이

다. 문화예술의 향유와 체험을 학습의 형태로 구성하여 참여자들에게 제공하는 기회를 설계하는 작업은 교사의

예술 장르에 대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위의 내용을 정리 하여 교수-학습계획안 설계자들

은 본인의 학습 환경과 제한점을 이해하고 현 교육 현장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제안 한다.

첫째, 교육과정(교과 활동, 재량 활동, 특별 활동, 특기적성)의 이해와 본인의 역할 에 대한 이해

둘째, 시수 및 교육과정에 따른 실행 가능한 교육적 주제의 설정

셋째,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교수-학습안 개발을 위한 연구

넷째, 학교교사와의 소통을 통한 본인의 활동에 대한 공감대 형성

다섯째, 학교교사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상호 평가와 수업안 공유 기회 마련

예술교육의 설계 및 준비

신 기 현(동덕여자대학교 교양교직학부 교수)

강의목표

○예술교육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기본 요소가 무엇이며, 각 요소가 의미하

는 바를 이해한다.

○수업계획서를 작성할 때 포함되어야 할 요소와 고려해야 할 사항을 이해한다.

강의개요

○첫째날의 연수는 교육이론과 학교상황을 고려하여 예술교육을 설계하고, 그에

따른 수업계획서를 작성하는 실습이 이루어진다. 학교상황, 교육설계, 교과과

정별 특기사항 등에 대한 강의 후, 연수자들이 실제 예술교육에 사용한 수업

계획서를 함께 검토하여 강의시간에 다루어진 지식을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갖

는다. 이후 소집단으로 나뉘어 주어진 예술교과과정에 적절한 교육설계와 수

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이를 강의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발표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을 통해 교육설계의 안목과 능력을 제고하며, 다른 예술분야 강사와 교육

경험을 교류하는 시간을 갖는다. 마지막 시간은 예술교육에 요구되는 교육평

가, 그리고 예술교육에 대한 기대효과의 문제가 다루어진다.

강의내용

○예술교육의 설계시 고려해야 할 요소

○수업계획서의 구성 요소와 고려사항

키워드

예술교육/수업설계/수업계획서/

강사소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및 동 대학원 석사․박사과정을 졸업하였

으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기획실 연구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책임연구원의 역임하였다. 현재는 동덕여자대학교 교양교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예술교육의 설계 및 준비35

예술교육의 설계 및 준비

Ⅰ. 교육설계의 요소

1. 교육설계와 준비를 위한 전제사항

○ 교수활동의 내재적 가치, 도전과 실험

○ 상황에 따라 학기별로 한두 강좌를 선정하여 집중적인 준비

○ 이전 수업경험의 활용(경험의 계속성)

2. 교육목적의 설정

○ 교육목적은 교재, 교수활동, 학습활동 등 교육의 전체적 요소를 계획하는데 작용

○ 교육목적을 설정하고, 기록해 보는 것은 생각을 정리하고, 명료화하는 데 도움

○ 교육목적은 일련의 주제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배움을 촉진하는 것에 초점

○ 교육목적은 한 학기 전체에 대한 전반적인 목표와 매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 중간기간 전후 등 기간

별 목표를 세우는 것도 필요함

○ 세세한 목표보다는 전체 윤곽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목표, 교육과정에서 수정가능하고, 새로운 목표의

수립을 허용할 수 있는 여지도 필요함

○ 소속 기관 등 교육의 맥락을 고려(전체 교과과정에서 이 강좌의 역할은, 수강하는 학습자의 배경과 관심

사 등)

3. 시간단위에 따른 교육계획

1) 일회의 교육을 위한 단위계획

○ 교육 이전: 교육목적, 교육자료/교육을 위한 설비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36

○ 교육 진행: 도입부, 교수활동, 학습활동, 마무리, 과제

○ 교육 이후: 학습자에 대한 평가, 교육에 대한 평가

2) 한 단원의 교육을 위한 단원계획

○ 단원계획에서는 여러 목표, 내용, 활동들을 하나의 전체로 구조화시켜야 함

○ 단원계획은 몇 일, 몇 주에 걸쳐 이루어지는 교육을 전체적 맥락에서 일관된 흐름으로 조직

○ 단원계획은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지도와 같이 그들이 어디를 거쳐 왔고,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알려주

고, 시간계획을 수립하고, 진척정도를 모니터링하는 데 도움을 줌

3) 한 학기의 교육을 위한 학기계획

○ 예술에 대한 열정과 태도 등 한 번이나 몇 주의 교육으로는 성취할 수 없는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목표

를 성취할 수 있도록 전체의 경험을 주의깊게 조직

○ 너무 많은 것을 다루려고 하지 말고, 핵심적인 것을 충분히 다룰 수 있는 계획이 필요

○ 학교의 연간일정, 즉 학기의 시작과 맺음, 방학, 공휴일, 중요 행사 등 예측할 수 있는 요소, 그리고 교

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

4. 교육소재로서의 예술내용의 선택과 조직

○ 교재와 지도서 등이 있는 경우 이를 중심으로 취사선택하면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교수자가 스스로

예술의 내용을 선택하고 조직해야 함

○ 하나의 완성적인 예술경험을 할 수 있도록 내용을 선택하고 조직

○ 예술의 가치: 예술의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

○ 예술의 구조성: 예술을 구성하는 요소와 각 요소들의 관계로 구성되는 전체

○ 예술의 통합성: 예술의 인지적․정의적․활동적 측면의 통합

○ 예술의 상대성: 횡적 상대성(예술세계의 종류, 장르), 종적 상대성(예술세계에서의 수준의 차이)

5. 교육활동의 선택과 조직

○ 교수자의 교수활동, 학습자의 학습활동, 학습집단의 구성 및 배치, 사진․영상 등의 교육자료와 장비, 평

가 등 실제 교육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여러 요소들을 계획해야 함

○ 교육목적, 예술종류, 교육환경, 참여자의 능력 등에 따라 계획은 달라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다양한 교

육활동의 요소들을 선택하여 조직

○ 교육활동의 계열화, 즉 어떻게 교육활동이 시작되고, 지속되고, 종결될 것인지. 경험이 쌓일수록 얼마나

예술교육의 설계 및 준비37

많은 것을 다루고, 어떤 속도로 다루며, 어떻게 매번의 교육을 시작하고 끝낼 것인지,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어떻게 계획을 수정할 것인지에 대한 감을 터득할 수 있지만, 초보자의 경우에는 좀더 자세하

게 수립해야 함

○ 교육활동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은 교육을 흥미 있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임. 교수자의 교수활동, 학습자

의 학습활동, 교육자료, 집단구성 및 자리의 재배치 등의 요소를 활용하여 흥미의 유발과 지속

○ 학습집단의 집단정체성, 사기를 키울 수 있는 시간과 활동을 도입

○ 언어를 통한 전달(전통적인 강의법)에만 초점을 두지 말고, 학습자들의 참여와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다

양한 교수-학습활동을 고려(학습자가 한 감각기관으로만 주의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의 한계)

○ 필요한 교육매체, 현장학습을 위한 준비, PPT․영상물 등의 교육자료 준비

○ 각 주제별 과제의 종류, 제출기한: 학습자들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숙제를 능동적으로 학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관심과 집중도 쉽게 잃어버림

○ 학습자의 시간을 잡아둘 수 있고, 생산적인 학습활동을 유도하는 매력적인 학습과제 설정

○ 하나의 예술경험의 완성, 교육경험의 완성을 느낄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학

습자에 대한 평가, 교육에 대한 평가, 교수활동에 대한 평가를 적절하게 고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38

Ⅱ. 교육계획서의 작성

1. 교육계획서 작성을 위한 고려사항 및 구성요소

1) 고려사항

○ 기관의 요구사항: 교육목적, 교육일수, 단위시간, 기관의 일정 등

○ 학습자에 대한 정보: 연령(단일, 통합), 예술수준, 학습자 수 등

○ 교육장소와 설비: 좌석, 컴퓨터․빔프로젝터․TV 등의 시설

2) 교육계획서의 구성요소

○ 교육목표, 교육자료, 과제계획, 평가계획

○ 단위별 교육일정, 단위별 예술내용, 단위별 교수활동, 단위별 학습활동

○ 웹 커뮤니티 주소, 교수자 연락처(전화번호, 이메일), 강조하고 싶은 특별한 규칙 등

2. 교육계획서 작성 시 주의사항

○ 계획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중간의 교육평가, 마무리 활동 등을 포함

○ 예술의 주제보다는 교육활동에, 교수활동보다는 학습자들이 해야 할 활동을 강조

○ 학생들의 활동계획은 교육에서 개발, 발전시키려고 하는 기술과 적성을 포함시킴

(learning by doing)

○ 계획을 수립할 때 학습자가 이 교육을 위해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학교과목, 학원, 과외 등)

○ 첫 시간은 전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시간, 다양한 배경의 학습자를 하나의 학습 집단으로 전환시킴(좌

석의 원형배치, 학년별 파악 등), 학습자와의 분위기 완화(첫 시간에 대한 느낌 말하기, 자기소개 등),

교육계획서 소개와 피드백, 수업시간에 지켜야 할 규칙 알리기

○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와 그 결과의 반영: 교육 종결 이후의 평가는 그 교육에 직접 반영할 수 없음.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를 적정시점(중간 전후)에 실시. 평가결과를 학습자와 공유하고 교육의 개선방

안을 설명하고 변화시켜 나감

예술교육의 설계 및 준비39

Ⅲ. 교육의 설계에 관련된 자기점검 평가도구

1. 예술교육의 설계와 준비를 위한 자기점검 리스트

1) 교육목적의 설정

- 교수자 자신은 교육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는가?

- 학습자의 입장에서 교육목적이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진술되어 있는가?

- 단위목적, 단원목적, 학기목적이 구분되고, 서로 연계되어 있는가?

2) 시간단위에 따른 교육계획

- 단위계획, 단원계획, 학기계획이 구분되어 있는가?

- 단위계획, 단원계획, 학기계획이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는가?

- 학교의 중요 행사 등 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고려했는가?

3) 예술내용의 선택과 조직

- 학습자가 하나의 완성된 예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선택․조직되어 있는가?

-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예술의 종류와 수준을 선택하고 있는가?

- 예술의 인지적, 정의적, 활동적 측면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가?

4) 교육활동의 선택과 조직

- 교수활동과 학습활동이 구분되어 계획되고 있는가?

- 다양한 교수활동과 학습활동을 활용하고 있는가?

- 교육활동의 계열화가 잘 이루어져 있는가?

- 학습자들이 수행해야 할 과제에 대한 계획을 갖고 있는가?

- 학습자에 대한, 교수자에 대한, 교육에 대한 평가가 계획되어 있는가?

- 교육자료, 교육장비에 대한 준비와 계획을 갖고 있는가?

- 학습집단의 구성, 자리배치 등에 대한 계획이 고려되고 있는가?

5) 교육계획서의 작성

- 기관 요구사항, 학습자 정보, 교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고 있는가?

- 웹커뮤니티, 교수자 연락처, 특별 규칙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가?

- 교육에 대한 안내, 중간점검, 마무리 활동이 포함되어 있는가?

- 교육계획서의 수정에 대한 대안을 고려하고 있는가?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40

2. 예술교육설계시 교육과정별 고려사항 점검표

구분 고려사항 교과활동 재량활동 특별활동 방과후학교

교육

목적

자율성여부

교육시수

대상학생

교과일부

선택교과

시간

계획

총 교육기간

주당 교육횟수

회당 교육시간

1달/1학기

1회

40/45/50분

1학기/1년

1회

40/45/50분

1학기/1년

1/2회

1/2시간

1학기

1/2회

1/2/3시간

교육

내용

7차교과과정

학교자체개발

전문단체개발

예술강사개발

7차교과과정

교과서/지도서

학교자체개발

전문단체개발

예술강사개발

학교자체개발

전문단체개발

예술강사개발

전문단체개발

예술강사개발

교육

활동

대상학년

집단편성

교육장소

교육시설

초등1-6년, 중학교 1-3년, 고등 1년

동일/복합학년, 고정/이동학급, 강제/선택, 학생수

학교내 고정장소, 외부장소 활용여부

학교내 교육시설, 시설지원 여부, 재료지원 여부

협력

형태

교육목적

시간계획

교육내용

교육활동

교육목적

시간계획

교육내용

교육활동

교육내용

교육활동

교육내용

교육활동

교육활동

예술교육의 설계 및 준비41

3. 하와이 교수활동 평가프로그램 중 계획 영역 평정척

1) 당신이 가르치는 각 교과나 학급의 수업계획을 세운다.

2) 학생을 위한 개별화 교수목표를 세운다

3) 개별화 교수계획을 세운다.

4) 학생이 개별 목표 설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계획한다.

5) 교수를 시도하기 전에 학생의 교수 요구를 진단하는 절차를 계획한다.

6) 학급활동에서 학생의 생각을 활용할 계획을 세운다.

7) 자유 해답식의 질문을 포함하는 교수를 계획한다.

8) 개개 학생의 학문적 요구에 기초하여 학생을 위한 교수 집단 편성을 계획한다.

9) 학생이 준비기술을 습득할 기회를 계획한다.

10) 새로 습득한 기술의 연습기회를 계획한다.

11) 진단된 곤란을 가진 학생에게 적절한 교수전략을 계획한다.

12) 학생이 학문기술을 실생활에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계획한다.

13) 모든 학생의 학습수준에 알맞은 다양한 보조자료의 사용계획을 세운다.

14) 학생의 학습평가가 교수계획의 일부가 되게 한다.

15) 수업의 단원이 끝날 때마다 학생의 교육적 향상을 평가하는 프로그램을 계획한다.

16) 학생이 자신의 학업을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계획한다.

출처: 김승국․김응범(1999). 교수활동 평정척. 서울: 교육과학사. pp. 67-68.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42

4. Assessing My Planning Skills

- Purpose: To help you assess your level of understanding and skill in various aspects of

planning

- Direction: Check the level of understanding or skill you perceive you have for the various

concepts and teaching tasks associated with planning for instruction

Understanding or Skill

Level of Understanding or Skill

High Medium Low

My understanding of

Perspective on planning

Consequences of planning

Planning domains and cycles

Role of instructional objectives

Taxonomie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My ability to

Write instructional objectives

Construct daily lesson plans

Construct unit plans

Construct yearly plans

Make a Gantt chart(timetabling techniques)

Plan for routines

Plan to establish morale and cohesion

Plan to provide variety

출처: Arends, R. I.(1994). Learning to Teach, 3rd. New York: Mcgraw-Hill, Inc. p. 65.

예술교육의 설계 및 준비43

5. 교수활동 능력 평정척

교수활동 능력영역

능력수준

5 4 3 2 1

교수․학습목표의 설정과 그 도달 계획의 수립

교수․학습 과제/경험의 개별화

교수․학습방법의 개별화와 다양화

교수․학습자료의 개별화와 다양화

교실공간의 구성과 배치

학급의 통제

학습곤란 해소

참여의 기회제공

학생의 반응에 대한 교사의 반응

창의적 표현 활동 기회의 제공

학생의 자발성 계발

학급의 사회적 풍토 조성

수업중 학생의 성취/이해 평가

교과내용의 응용 기회 제공

출처: 김승국․김응범(1999). 교수활동 평정척. 서울: 교육과학사. pp. 40.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

백 령․신 기 현

강의개요

○예술교육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기본 요소가 무엇이며, 각 요소가 의미하

는 바를 이해한다.

○수업계획서를 작성할 때 포함되어야 할 요소와 고려해야 할 사항을 이해한다.

강의목표

○첫째날의 연수는 교육이론과 학교상황을 고려하여 예술교육을 설계하고, 그에

따른 수업계획서를 작성하는 실습이 이루어진다. 학교상황, 교육설계, 교과과

정별 특기사항 등에 대한 강의 후, 연수자들이 실제 예술교육에 사용한 수업

계획서를 함께 검토하여 강의시간에 다루어진 지식을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갖

는다. 이후 소집단으로 나뉘어 주어진 예술교과과정에 적절한 교육설계와 수

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이를 강의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발표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을 통해 교육설계의 안목과 능력을 제고하며, 다른 예술분야 강사와 교육

경험을 교류하는 시간을 갖는다. 마지막 시간은 예술교육에 요구되는 교육평

가, 그리고 예술교육에 대한 기대효과의 문제가 다루어진다.

키워드 예술교육/수업설계/수업계획서/

시간 강의주제 세부강의 내용 강의진행방법

1H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연수참여자가 제출한 수업계획안

에 대한 검토

모둠구성/모둠별

검토/전체 토론

1H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교과활동, 재량활동, 특별활동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활동/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2H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 및 수정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소집단 토론/

전체 토론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47

문화예술교육의 기대 효과 1

문화예술교육의 기대 효과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은 예술교육이나 기존의 예술교육이 갖는 장르 중심적 또는 장르 이기주의적 사고를 뛰어

넘는 통합적인 교육 방법을 수용하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의 범주를 미적 교육, 문화다

양성 교육, 여가교육, 매체교육, 문화적 문예교육 등을 병렬적으로 나열하는 교육이 아니라 이러한 교육 영역들

이 특정한 지향, 곧 개인의 미적, 창의적, 성찰적, 소통적 역량들을 북돋워 줌으로써 개인 자신의 발전과 성숙은

물론, 사회의 문화적 성장과 성숙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지향 속에서 유기적으로 연계된 교육으로 규정하

기도 한다.

이러한 교육 활동은 예술에 대한 전제나 이해가 없어서는 성립 될 수 없다. 예술에 대한 이해가 제도적 관점에

서 이루어지면서 실제로 예술을 새롭게 하거나 확장 하려는 차원, 통합적인 차원에서 예술을 이루려는 노력들이

필요하다. 현대 예술이 갖는 새로운 소통방식과 언어 체계의 개발은 이미 사유의 방식으로 세계와 사물,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의 확장으로 이해되고 있다. 더 이상 예술작품은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또 다른 활동으로의 과정과

참여로 이어지는 것이다. 참여자가 주체가 되어 스스로 움직이고 스스로 발견하고 의미를 만들어가는 개념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교육은 더 이상 계몽주의적 관점에서의 가르치는 개념이 아닌 것이다.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은 기능적인 창작개념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를 통해 새로운 예술로 접근하는

동기 부여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교육 활동, 행위 역시 교육 참여자들에게 스스로 사유하고 스스로 무엇인

가를 얻고 찾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의 기대 효과는 단기와 중․장기적인 단계로 구분하여야 하며 또한 미시적인 효과와 개별 교실,

학교에서의 활동을 총괄적으로 바라보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측정되어야 할 것이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48

예술교육은 인간의 창의성 개발을 유도한다. 창의성은 사물에 개한 뛰어난 통찰력 또는 기존의 것과 다른 새로

운 생각과 법칙을 만들어내는 능력이다.

창의성의 구성 요인은 문제의식의 민감성, 사고의 융통성, 사고의 참신성, 정신의 융통성, 종합능력 및 분석

력, 재정 및 재구성력, 개념구조의 복잡성, 평가 능력이며 특성은 감수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과 재구성 능력

이다.

예술교과는 다른 교과와 달리 정형화 된 교육방식이나 정확한 답이 없으며 예술적으로 표현된 개별적인 영역

이 자유롭게 열려져 있으며 개별적으로 표현 된 것을 의미 있게 평가 하여야 한다.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신의 기법으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자신들의 생각과 경험, 감

정, 정서 등을 나름대로 드러내고 소통 하고자 한다. 이러한 예술 활동은 듣거나 보는 등의 오감 체험이 첫 단계

이고 이어 감각을 통해 수용된 내용들은 감지하고 셋째, 상상력을 통해 표출하는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교육의 기대효과는 교육의 목표가 지향하는 이념을 기반으로 한 예술교육은 개별 장르의 체험과 학습

을 통한 사고와 사유, 자기표현과 타아의 표현을 공유하는 등의 소통 기회를 통한 성장과 성숙이라 할 수 있다.

단기적이며 미시적인 문화예술교육의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기대효과 측정을 위해 고려해야 항목

1. 개별 장르의 다양한 체험과 심화된 학습의 기회

2. 문제의식 또는 과제의 분석 능력 함양

3. 통합적이고 다각적이며 종합적인 사고

4. 사고의 표현

5. 표현물의 공유와 사유의 기회

6. 세계, 사물, 인간에 대한 이해와 성장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49

문화예술교육의 기대 효과 2

『문화예술교육 3년』 PT 자료 중 발취

글쓴이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김주호 원장

□ Artistic Learning의 특성

하워드 가드너/하버드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사고력, 창작능력, 분석력과 비평능력을 개발하는 것과 연관성 있다. 그러나 교육적 효과가 높다고 무조건

주장하는 것은 위험하다.

예) 음악은 공간감각을 발달시킨다 / 연극은 언어능력을 발달시킨다. 등은 이론적으로 검증된바 없다.

○ 예술이 교육에 좋다고 애써 증명하려 하지 말라. 그냥 예술을 예술로 이해하고 예술의 신비함을 그대로 받

아 들여라. 예술은 정당화 될 수 있다. 즉, 예술이 그냥 좋다고 말하는 게 오히려 솔직하고 설득력 있다.

예) 이사도라 던컨: 예술에 대해 말할 수 있다면 나는 무용을 할 필요가 없다.

○ 21세기는 과학이 지배하는 사회 즉, 예술교육이 너무 외연적 가치를 강조하면 그것의 본질적 가치라 할 수

있는 내면적 가치를 포기하는 일이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50

□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공통적 인식

○사회적 측면

- 학교의 변화유도 / 사회적 소외에 대한 해독제

○ 예술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킨다.

○ 자기 표현능력을 개발한다.

○ 타자의 존재를 인정하게 한다.

○ 창의성을 개발한다.

○ 태도변화를 유도한다.

○ 소통능력을 개발한다

○ 사고력을 증대시킨다.

○ 기타능력(감상/비평)을 증대시킨다.

□ 무용․연극교육의 효과성

□ 성과측정(evaluation)

○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측정이 어려운 이유는?

- 정의에 대한 합의가 어렵다

- 다양한 철학이 상존

- 내연적/외연적 가치를 계량적으로 판별하기 어렵다

- 표준화되지 않는다

- 교육적 형식성 / 존엄성이 부족하다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51

○ 정량적 측정방식(Quantitative Method of Evaluation)

- 정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계량과 분석

- 정통계적 자료 양산

- 정일반화된(범용적) 결과 측정

- 정계량된 변수를 이용 이론의 검증

○ 정성적 측정방식 (Qualitative Method of Evaluation)

- 정치밀한 관찰 및 분석

- 정인터뷰, 현장기록(문서, 사진, 영상) 등 활용

- 정예술활동에 대한 상세한 기술

- 정피교육자의 경험 청취 및 대화

□ 성과측정의 첫 단계 - 효과성의 검증

○ 학교가 가고 싶어졌다

공부가 잘된다

자신감이 생겼다

○ 다른 아이들과 같이 하는 게 좋다

표현력이 늘었다

집중력이 높아졌다

□ 성과측정의 예시

미술관 교육 후 인지능력 발달 효과 측정

  작품내용 분석능력 관심 표현능력 종합

교육전 53 43 41 34 43

교육후 63 53 50 43 52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52

문화예술교육의 기대 효과 3

문화예술교육 효과 평가에 관한 프랑스 파리 국제심포지엄 참관기

Evaluating the Impact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 European and International

Research Symposium

글쓴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장은 대리

아르떼뉴스레터 78호 http://arte.or.kr

'문화예술교육이 미치는 긍정적 결과들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를 주제로 한 이번 심포지엄은 지난 수십

년 간 유럽 사회에서 전개되어 온 다양한 예술적 체험과 교육활동 효과를 객관화, 계량화 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 대한 토론의 장이었다. 본고에서는, 심포지엄 기간 동안 다루어진 연극, 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대한 토론 중 시각예술교육과 박물관, 미술관교육 부문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프랑스 문화예술교육의 철학

교육 = 학습 + 실행 + 행동변화

기조연설에서 밝힌 프랑스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은 전문 예술가를 길러내는 것이 아니라, 아동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즉, 삶의 본질을 찾아내고 예술에 대한 감각과 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

와주는 개념이다. 또한 동시대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논리적인 비평능력을 길러주는데 목적을 두고 있

다. 이를 통해 프랑스 정부가 지향하는 문화예술교육은 미적 감각을 체화시키며 사회 내에서 적응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강한 신념을 갖고 있다.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53

- 시각예술 분야 교육의 효과성

2007.1.10  / Dominique Chateau(파리1대학), Pierre Gosselin(퀘백대, 캐나다) 외

시각예술 분야의 교육은 크게 두 가지 의미로 논의될 수 있는데, 한 가지는 본질적인 목표를 찾는데 의의를

두는 관점과, 다른 하나는 교육의 타 분야와 개념 속에서 관계를 찾는 것이다.

‘시각예술 교육의 효과성’을 논할 때 대부분의 경우 후자에 무게를 싣는 경우가 많다. 시각예술 교육의 효과

속에는 예술교육이 설정 한 방향성(표현능력, 창의력, 상상력 등의 계발)이 포함된다. 또한 과학과 같은 타

분야와의 연관성 뿐만 아니라 아동의 인지력 등 개념적, 지식적 성장과도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의 평가는 분야별로 한정된 영역 내에서가 아니라 개인의 발전을 위한 총체적인 교육학적 접근에 기반한

예술 장르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

심포지엄 발표자로 나선 Joy Frechtling (Westat,미국)은 예술교육 및 교육 개혁의 복합적 효과성에 대해

소개했다. 1996년 미국 게티센터 부설 교육연구소가 미 전역 35개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TETAC)는

시각예술을 타 교과와 접목한 ‘통합예술교육’ 방법을 채택, 공교육 개혁운동 안에서 통합예술교육을 활용한 효

과성에 관한 것이었다. 4년에 걸쳐 진행 된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논제를 도출해냈다.

35개 학교에서 관찰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첫째, 통합예술교육을 실행하는 것은 매우 실험적인 일이지만 일단

실행이 되었을 때는 학교에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둘째, 변화의 결과로 나타난 현상들 중에는 예

술을 지도하는 교사의 자신감 및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교안 구성능력 향상을 들 수 있으며 교사들간의 협업이

유연하게 이루어질수록 교육의 내용은 더욱 학생중심, 탐구중심으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통합예술교육이 견고

하게 자리 잡은 학교의 학생일수록 시각예술 교육에 더 큰 성과를 이루었다. 그러나 통합예술교육의 실행과

타 교과 학습간의 연관성을 발견하지는 못했으며, 교사들은 이러한 교육체계가 학생들의 학제 간, 주제간 영

역을 넘나드는 간학문적 사고체계 형성과 창의적 사고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응답했다. 뿐만 아니라 학습

동기부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미쳤다고 답했다.

한편 Rejane Coutinho(상파울로대, 브라질) 교수는 그의 연구를 통해 전시공간 안에서 지식전달 위주로 이

루어지는 전시안내 프로그램(도슨트 프로그램 등)의 부작용을 설명했다. 또한 Elisabete Oliveira(리스본대,

포르투갈) 교수는 '학교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예술교육은 무엇인가' 라는 화두를 던지면서, 시각적 표현수

단을 통한 개인의 성장과 이를 활용한 방법을 소개했는데, 12~18세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 한 결과,

인간은 본능적으로 양질의 예술(작품)을 접하고 감상하고 싶어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한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54

대회의실 세미나 진행 모습

- '문화예술교육 : 목적과 방법은 무엇인가', 교육학적 접근과 교육 정책

07.1.11 / Haward Gardner(하버드대, 미국), Catherine Burke(리스대, 영국) 등

아동의 학습은 예술을 통해 어떻게 향상될 수 있을 것인가?

가장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교육방법은 어떤 것인가?

본 세션은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위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했다.

2007년은 예술의 학습과 교육에 관한 학제 간 연구 ‘Harvard Project Zero’가 40년을 맞는 해로, 이 연구

는 하버드대 교육대학 내 연구진에 의해 진행되었다. ‘Harvard Project Zero’는 1957년 러시아의 스푸트니

크호가 달에 착륙했다는 소식에 미국 내에서 과학과 수학, 기술 등 관련분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던 1967

년, 넬슨 굿맨이 하워드 가드너와 퍼킨스 등의 연구진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연구 조사이다. 이 연구의 기

본 개념은, 다양한 예술 장르에서 측정 가능한 기술과 이해력 계발 정도를 설정하여 예술을 감정이나 신비로

운 것, 분석이 불가능한 모호한 대상, 실험할 수 없는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배제하는 것이다.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40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동일한 주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 둘째, 하워드 가드너

-퍼킨스 체제에서 2000년 스티브 시델(Steve Seidel)로 리더의 교체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 셋째,

교육계에 파장을 불러일으킨 학설을 도출해 내었다는 점, 그리고 예술은 감성이 아닌 지각, 인지 가능한 대상

이라는 점을 밝혀냈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예술의 학습을 타 분야의 학습으로 전이시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55

  

세미나에 참석한 하워드 가드너(Haward Gardner. 가운데)

- 박물관ㆍ미술관교육의 효과

2007.1.11 /  Jacqueline Eidelman(파리5대학), Andrew Newman(뉴캐슬대, 영국) 등

최근 10년간 급속히 성장한 박물관ㆍ미술관(이하 박물관) 교육은 작가, 박물관, 교사와 학생(대상)이 실물을

감상하고 그와 함께 창의적인 해석이 일어나는 역동적 교육공간으로의 개념을 함의한다. Jacqueline

Eidelman의 연구는 학교와 박물관의 협력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과 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논의로, 인지발달론, 예술에 대한 ‘취향’의 형성, 관람습관 그리고 정체성 형성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퐁피두 센터가 어린이들의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운영한 전시안내 프로그램 사례는 인터뷰와 관

찰조사 방법으로 3개월간 진행 한 연구조사이다. 결론적으로, 사회화의 연결고리, 학교의 예술교육과 박물관

전시안내 교육 사이의 조화와 부조화, 전시관람 중의 상호작용, 사고의 정형화, 그리고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사회전반에 스며들어 있는 문화예술의 지식과 일반적인 문화vs박물관 문

화, 자발적인 관람vs전문적인 담론에 대한 요구 등 다양한 상호작용들을 드러냈다.

학생들에게 있어 박물관 관람은 그 자체만으로도 새로운 대상, 작품의 실물을 접한다는 점에서 호기심을 자극

하는 흥미로운 경험이다. 그렇다면 전시 안내 프로그램(도슨트 안내)은 과연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데 어

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스스로 감상하고 의미를 해석할 준비

가 되어 있는데, 주관적이고 지식 위주의 전시설명이나 또는 도슨트가 사용하는 어휘, 이들이 전달하는 지식

등이 이러한 상호작용에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과연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는 측정 가능한 것인가?

어떠한 목적으로 효과를 평가하며, 그 결과는 어떻게 활용되어져야 하는 것인가. ‘평가’의 정의를 어떻게 내리

는가. 그리고 결과의 활용 목적이 무엇인가에 따라 결과와 방향성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대개의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56

경우 평가라는 절차와 형식이 주는 느낌은 감사, 점수, 문책 등 부정적인 개념이 개입되어 있다. 반면 평가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내용을 공유하고, 기획과 진행과정, 그리고 그 결과 안에서 발견하는 현상들에 대해 열

린 시각으로 토론하고 이를 발전의 계기로 받아들인다면 보다 생산적인 절차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평가의 주체는 평가의 대상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실행 목적에 대해 명확한 설정을 선행하여, 필요로 하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화, 체계화 된 평가 지표를 마련하는 것이 관건일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국내 현실에서 가장 적합한 평가방법은 무엇인가. 공적재원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화예술 분야

의 특성을 간과할 수 없기에, 지원의 근거가 되는 교육사업의 평가는 필연적인 과제이다. 교육의 효과 측정

결과가 다시 교육활동으로 환류될 수 있는 정성평가와 객관적 정량평가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극히 원론적인

결론으로 회귀한 것이 다소 허무하다. 하지만, 공통의 주제를 고민하는 다양한 층위의 사람들을 만나고, 문화

예술교육의 진정성에 대한 고민과 열정의 장에서 함께 호흡할 수 있었다는 것은 문화예술교육 분야에 몸담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분명 의미있는 경험이었다.

문화예술교육 효과 평가에 관한 프랑스 파리 국제심포지엄 참관기

Evaluating the Impact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 European and International

Research Symposium

글쓴이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김상희 대리

국제심포지움 출장보고서 참고

1. 프랑스 교육부-문화부 공동개회 파리 국제심포지움

일시 : 2007.1.10 10:00-12:30 AM

강연 : Emmanuel Fraisse 파리3대학, 프랑스 과학위원회 심포지엄 의장

Anne Bamford, 윔블던대학, 영국

프랑스 교육부 및 문화부 각각의 개회사와 브루노 라시네 퐁피두센터 대표의 환영사로 행사는 시작되었고, 오

프닝 세션의 첫 번째 발표자인 엠마누엘 프라이세는 ‘프랑스 과학위원회 심포지엄’을 소개하며, 난해하고, 논

란의 여지가 많은 예술교육의 효과에 대한 문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유럽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학생, 청소년에 대한 예술교육의 효과에 관심이 많음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57

2) 예술의 어느 한 분야도 무시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조사연구가 대단히 복잡할 수밖에 없으며,

3)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고, 이러한 다양한 예술분야를 포괄하는 언어를 정립하는 필요성

반면, 예술교육의 효용이나 심지어 도덕적 가치, 그리고 청소년들의 예술활동을 통한 성장 효과에 대한 합의

(예술교육 효과에 대한 암묵지)를 확인하였다는 것. 그에 따르면, 예술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경향은 두 갈래

로 나뉘는데, 예술활동 그 자체의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효과를 확인하려는 쪽과 예술교육이 청소년 성장발달

에 도움을 주는 보다 외부적이고 광범위한 영향에 관심을 갖는 경향이다. 이는 지역, 민족, 문화 등의 다양성

에 영향을 받는다. 지역이나 학교, 민간 등 예술교육을 지원하는 주체에 따라 그 필요성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우리가 예술교육의 의미나 의의에 대한 근본적인 정의를 내리는 것보다 현실적으로 더 중요하

게 요구받고 있는 것이 아닐까? 이러한 지원주체(혹은 재원)에 따라 예술교육이 학습이나 행동발달에 도움을

주는 포괄적인 효과에 주안점을 두기도 하고 반면, 가시적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별해내고, 시험 등을 통

하여 활동에 대한 점수를 매길 수 있도록 하는 요구를 받기도 하는 것이다. 이 논의는 퐁피두 3일간의 행사

내내 우리가 ‘필요’로 하는 ‘예술교육의 효과측정’의 근본적인 의의에 대한 회의와 고민으로 이어졌다.

한편, 우리나라에도 몇 차례 방문한 적이 있는 앤 뱀포드 전세계적으로 예술교육의 현황이나 효과에 대한 지

속적인 연구조사가 미약함을 지적하며, 그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그녀에 의하면 지난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유네스코는 호주예술위원회 및 세계 문화예술기관 연합(IFACCA)과 함께 세계 아동·청소년 교육에서 예술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정립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여 예술교육의 전인교육(학업수행태도, 생활 등) 효과

등을 밝혀 세계 예술교육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는데, 흥미로운 것은 예술교육의 형태가 각 나라의 문화적, 사

회적 배경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캐나다의 문학교육, 아일랜드의 시, 부탄

의 불교문화 등은 다른 지역보다 강한 예술교육 형태로 볼 수 있다.

2.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와 영향

일시 : 2007.1.11 9:00-12:30 PM

강연 : Pippa Lord/국립교육연구재단NFER, 영국

Shari Tishman/하버드대, 미국 등

예술과 교육의 연계는 아동·청소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NFER의 피파 로드는 영국예술위원회(AEI) 사례를 통하여 예술과 교육의 연계효과를 연구하였다.

청소년, 학교와 교사, 예술가들에 있어 예술이 가져다주는 효과는 무엇일지 고민하였고, 2년(2001-2003)에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58

걸친 각각의 15개 프로젝트를 두고 참가자 전원을 면접하고, 시작 전, 기간 중, 그 이후로 나누어 질의 관찰,

데이터 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이 조사의 목적은 1)예술의 효과와 그 2)핵심요소를 발견하여 3)가치를 확인하고(value added), 4)학교 커

리큘럼에 있어서의 함의를 도출하여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예술은 예술과 그 이상

의 지식과 기술습득, 인격성장, 사회성 향상, 창의력, 예술에 대한 인식변화, 문화사회적 지식 및 사고력 향

상, 소통과 표현 능력 향상 등의 영향이 확인되었으며, 프로젝트의 시간과 양이 많을수록 그 효과가 크며, 이

때의 효과적인 교육은 교사-학생-예술가 세 영역(삼각구도)이 함께 일궈내는 공동의 작업이라는 점을 강조하

고 있다.

또한 4)예술의 효과는 분야마다 다르게 기대할 수 있는데, 시각예술은 창의력과 미적감수성 발달에 효과가 비

교적 크며, 무용은 협동심, 신체 건강, 연극은 영향이 가장 강하면서 범위가 넓고, 음악은 사회문화적 지식향

상에 기여하면서 그 영향의 폭은 비교적 좁은 편으로 나타났다고 전한다.

관련서적 : Harland, J., Lord, P., Stott, A., Kinder, K., Lamont, E. and Ashworth, M.. The

arts-education interface: a mutual learning triangle? Slough: NFER, 2005)

한편, 하버드대학 교수인 샬리 티쉬만은 학생과 교사의 예술에 대한 개념, 그리고 사고방식에 대한 Artful

Thinking Program의 효과를 발표하였다. Artful Thinking Program은 교사가 학생들의 사고력과 학습효

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예술작업을 활용하는 것으로 이는 예술 그 자체의 의미보다는 예술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59

그 효과는 시간에 따른 태도의 변화로 측정하는데,

○ 1단계 : 사고하기

○ 2단계 : 보다 일상적이고 자연스럽게 사고하기(보고-생각하고-궁금해하며)

○ 3단계 : 이를 통하여 학생과 교사의 예술에 대한 생각이나 태도가 변하는 것을 확인하기

(예술적 체험을 하기 전 예술에 대한 나의 생각, 나와의 관계~예술적 체험이후 예술에 대한 나의 생각, 나와

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나누도록 한다).

아주 자연스럽게 일상적인 예술적 사고를 이끌어주는 것이며, 이는 학습자의 능력-감수성-성향의 3 요소가 함

께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지만 그중에서도 감수성의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전한다.

3. “실험”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일시 : 2007.1.12 14:30-18:00 PM

강연 : Lynn A. Waldorf, Waldorf & Associates, 미국

Patricia Cochran, 영국 시카고 예술교육 파트너십CapeUK, 영국 등

우리나라에도 학교-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 사회 취약계층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등 우리 사

회가 필요로 하고, 그 방법과 효과에 대한 검증이 진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이는

예술교육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 자체의 확산을 지원하는 목적이기도 하지만, 처음 시행하는 이 정책에 대한

일련의 실험과 연구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세션은 문화예술교육의 그러한 과정을 미국, 영국,

오스트리아의 사례로 소개하고 있다.

예술가가 학교 예술교육에 참여하기 시작한 것은 오래되었지만, 그들 전문성의 질이나 영향에는 많은 관심을

갖지 못하였다. 린 왈도프는 학교 교육에 참여하는 예술가(예술강사)들의 발전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소개

하였다.

이는 일종의 멘토십프로그램으로 경험이 많은 강사가 신참강사와 짝을 이루어 학교 교사와 함께 수업(5-8학

년 수업을 총15주간 진행) 하도록 하였다. 이 프로그램 결과, 학교에서 이들 예술강사들에게 갖는 높은 교육

적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성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핵심장치는 멘토십, 교사와의 협업, 학생들의 수업평

가였다고 소개하고 있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60

한편, CapeUK에서는 “Beyond drumming and batik" 프로그램을 통하여 인종차별과 갈등이 많은 영국사

회에서 예술교육이 문화다양성과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학교, 청소년 프로그램 등과 연계

하여 인종, 문화다양성 등을 이슈로 하는 작업을 실시하였고, 교사들과 학교 밖의 창조적 파트너들이 협력하

여 어떻게 아이들이 정체성을 찾아가고, 지역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앤 뱀포드와 함께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열린 “국제 학술 심포지엄”에 참가했던 마이클 윔머는 유로시티 문화위

원회가 추진한 “유럽문화정책 연구: 비엔나 문화교육사례 중심”을 소개하였다. 이 연구는 유럽 아동·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 지원 제도마련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여기에는 교육정책과 문화정책의 협력과 실행, 제

도,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청소년들의 인격적, 사회적 발달효과를 등에 대한 양적, 질적인 연구가 포함되

며, 예술교육의 정책적 목적, 방법, 모니터링, 평가, 국제교류와 협력, 향후 전망, 개인과 사회발전 효과 등을

담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기대효과 4 :

영화분야를 중심으로

이 명 자(서울하계중학교 교사)

강의목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한 실제 예를 통해서 예술강사 지원의 효과를 안다.

강의개요

○중학교의 예술강사지원 교육 현황을 소개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실제 사례를 통

해 교육적 효과를 알게 하고 긍지를 갖게 한다.

강의내용

1. 예술강사지원교육의 현황

2. 문화예술교육(영화)의 실제 사례

1) 문화예술교육(영화)의 수업 사례

2) 영화제작 발표회

3) 영화제작 동아리의 활성화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63

문화예술교육의 기대 효과 4 :

영화분야를 중심으로

1)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개별 활동 이해

문화예술교육의 기대 효과 4

1. 서울하계중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교육의 현황

가. 영화 예술 강사 지원사업 교육 현황

1) 교과 : 창의적 재량교과

년도 영역 학년 강사 비고

2004 영화 2 송예영

2005영화 2 송예영

만화ㆍ애니메이션 3 이영미, 김기남, 유재영

2006 영화 2 송예영

2007 영화 2 송예영, 공지원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64

나. 교재 및 기자재 현황

1) 교재 : 본교 자체 제작『중학생이 배우는 영화』, 『만화/애니메이션』

→ 2,3학년 전체 학생에게 배부하여 수업 교재로 활용

2) 기자재 현황 :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원 기자재 및 학교자체 기자재와 전용학습실 확보 등 실시학교 부

담비용 전액 지출, 지원함

다. 학생의 변화

1) 자발적인 동아리 ‘페리도트’ 결성

- 청소년 동아리 연맹 주최 영상 공모 : 우수상수상 등 각종 공모전에 다수 입상

2) 교과와 연계된 관련학교에 진학

- ‘이화여대 부설 미디어고’ 특차 합격(‘06년)

라. 교육적 성과

1) 학교 문화 예술교육의 확대

2) 영상매체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

3)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능력 함양

4) 협동심과 공동체 의식 함양

5) 창의적 재량교과 시간의 효율성 높임

마. 기대 및 지원 효과

예술강사지원사업에서 제공하는 인적지원인 강사풀제와 물적ㆍ시설 지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본교 학생들

에게 영상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계지도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65

2. 문화 예술 교육(영화)의 실제

가. 문화예술교육(영화)의 수업 안 (예시)

(1) 교수-학습 과정안 예시

단원명 7. CF제작(1 - 4) 대상 2학년 차시 13-16/34

학습목표

*CF의 제작과정과 구성요소를 알고 말 할 수 있다.

*CF제작과정을 알고 스토리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

*CF를 기획하여 스토리보드에 따라 촬영 할 수 있다.

교수학습모형 협동학습

단계 지도내용교수-학습활동

자료 및 수업방식시간(분)교사 학생

도입(준비)

* 학습목표제시* 수업내용 소개

* 수업내용 정리* 교재 43~52쪽내용설명

2

전개(발전)

CF의 종류

* 지난 시간 수업 내용 정리* CF의 종류 설명(PPT 이용) -제품이름홍보, 이미지광고, 제품의 정보제공

* CF의 구성요소 설명 - 카피, 비디오, 오디오

* 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며 궁금한 것들을 질문한다

* PPT(동영상 클립)

20

CF의 제작 과정

* CF의 스토리보드와 완성된 광고를 보여줌으로써 그 차이를 살펴본다.

* CF의 제작과정-오리엔테이션 -프레젠테이션-촬영-편집 (상품선정-컨셉 정하기-종류 정하기-스토리보드)

* 광고를 보면서 차이점을 찾아본다.* 참죽염치약 광고* KTF 굿타임 파티 광고* 스토리보드-오일뱅크 맥도날드 광고를 보고 감상한다

*질문과 대답 *PPT 활용*동영상 클립 감상

23

전개(활동)

스토리보드 만들기 및 촬영, 편집

* CF 만들기 활동 - 학생들의 요구에 맞춰서

수업진행(보조자료)한다* 학생들이 그린 스토리보드 스틸 촬영, 프로젝터를 통해 영사해서 보여준다

* 모둠별 촬영과 편집을 한다.

* 만들고 싶은 광고에 대해 자유롭게 발표하여 결정, 컨셉, 종류 등도 결정(5분)한다

* 개별적으로 스토리보드 그리기 활동(15분)

* 각자의 스토리보드에 대해 발표(5분)한다

* 모둠별 촬영, 편집 실시

* 자유로운 발표와 개별활동

* 스토리보드 위에 상품, 컨셉, 광고의 종류 쓰기

90

전개(발표)

내용 정리 및 시사회

* 수업 내용 정리한다 - CF의 종류와 제작과정* 편집전과 편집후의 완성된 영상 시사하고 평가함

* 인사, 정리한다.

* 수업내용 상기* CF영상을 보고 서로평가 * 인사 * 교과교실을 정리 한다

*질의와 대답

45

교수-학습 과정 안 예시는 영상제작의 세 번째 시도되는 제작 실습수업이다. CF영상 프로그램의 수업

은 맥도날드 광고의 한 장면을 보여 준 뒤 그림이 있는 스토리보드 카드를 모둠별로 나누어 주고 프로덕

션 별로 그것을 스토리보드 판에 순서대로 붙인 뒤 오디오와 비디오 칸에 알맞은 설명을 채우게 하는 것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66

이었다. 동기유발을 위해 광고가 요즘 N세대의 기호 상품과 인기 배우라서 학습자들의 관심을 가질 수

있기에 충분하였다고 생각 되어진다. 교재 45,46쪽을 스토리보드를 각자 작성하게 하여 영화 스토리보

드와 비교해 보게 한다. 이어서 교재 48 ~ 52쪽을 통해 프로덕션별 새로운 CF를 기획하여 제작 할 수

있도록 준비하게 한다.

보조교사는 진행이 어려운 프로덕션을 도우며 광고 상품 정하기부터 아이디어 회의, 스토리보드 구성하

기까지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점검해 주었다. CF의 종류를 PPT자료를 통해 설명형, 유명인사

형, 생활의 단면형, 이미지형, 심볼형, 커머셜형,등의 광고를 보여주며 스토리보드와 실제 촬영한 것과

다른 점을 비교하고 광고를 계속 반복 재생, 화면에 보여주면서 한 모둠에 두 개의 스토리보드를 나누어

주어 완성 하도록 진행함으로써 한 모둠이 둘로 나뉘어 6명이 협동하여 완성하기에 적절하였고 예정된

시간 안에 마치게 할 수 있도록 모둠별 역할 학생을 채근하면서 광고의 요소들을 구분하고 이해 할 수

있도록 지도 하였다. 그런데 프로덕션 당 2개의 기획안 중에서 아주 허술하게 쓰인 것을 한 개를 선정한

후 여럿이 하나를 만들기 위해 구성들 모두 참여하여 구체화시키고 나면 참신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CF가 갖는 놀라운 상상력과 창의력이 두드러진 뜻밖의 결과물을 발견하고 모두 놀라워하였다. 이것이

영화 수업에서 얻는 교육적인 효과인 것 같았다. 특히 CF 시사회에서는 자신들이 만든 영상물을 보는

것을 모두 즐거워하며 프로덕션 별 아쉬운 점, 부족한 부분 등을 지적하게 하고 다른 모둠 작품을 통해

비교 해 보도록 하였다. 그동안 미니제작을 통한 세 번째 작품이라서 인지 제법 평가를 할 줄 아는 안목

도 생긴 것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이것은 다시 반복된 경험에서 오는 교육적 효과였다.

(2) CF종류에 대한 PPT 자료

CF의 종류

n 설명형

n 유명인사형

n 생활의 단면

n 이미지형

n 심볼형

CF의 종류

n 설명형

n 유명인사형

n 생활의 단면

n 이미지형

n 심볼형

n 커머셜송 형

〔그림 1〕CF종류를 설명하는 PPT자료

표현 형식에 따른 설명형, 유명인사형, 생활의 단면형, 이미지형, 심볼형, 커미셜송형 등 CF의 종류를

PPT 자료를 통해 동영상으로 설명하셨다. 설명형 CF는 상품의 특성, 활용 방법을 설명 해 주는 광고로

AIG보험광고, 마샤 요구르트팩 CF를 보여주고, 유명인사형 CF는 모델이나 인기가 많은 가수를 내세운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67

비타 500, 생활단면형 CF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점 강조, 이미지형 CF는

아파트가 등장하는 롯데캐슬 광고, 유한 킴벌리 푸른 숲 광고 등 심볼형 CF는 캥거루의 아웃백스테이

크 광고, 새우깡, 스큐르바와 같은 노래 광고 등을 학습자들이 직접 느끼고 아이디어를 낼 수 있도록 최

대한 도와주었다.

(3) CF제작에 대한 PPT 자료

CF의 구성요소

카피 (Copy)

- 광고문구

오디오(Audio)

- 배경음악,

대사

비디오(Video)

- 화면

CF의 제작과정

순서

-오리엔테이션 프레젠테이션

촬영 편집 녹음

오리엔테이션- 광고할 제품을 정하고

- 제품에 대한 설명

〔그림 2〕CF의 구성요소와 제작과정

CF 보고 스토리보드 만들기엘레베이터에타는 두 여자,한 사람은 맥도날드 후렌치후라이를 들고있다.친구가 먹으려는데 못먹게한다. 자막:혼자먹을까?

배경음악

후렌치후라이를 치울때효과음:띠리링~

멋진남자가엘레베이터를 보고반갑게 다가온다.

엘레베이터를타는 남자를보고 반가워하는 두 여자

엘레베이터에 탄 사람들. 경보음이 울리자 당황해한다.

남자가 앞을보고 서면경보음:띠띠띠~

등을 떠미는손

경보음 계속

엘레베이터밖으로 밀려난 여자.

여자가 내리자경보음 그친다.

여자가 남자에게 후렌치후라이를 건넨다.자막:같이먹을까?

배경음악 다시들리고 멘트가나온다.멘트:환상적인만남!

컬러컵들 가운데에 후렌치후라이가 진열되어 있다.자막:후렌치후라이+시원한컬러컵=2500원

멘트 이어진다.“후렌치후라이

와 시원한 컬러컵이 2500원”

맥도날드 로고가겹쳐진다.

I’m lovin’ it Mcdonald

〔그림 3〕CF보고 스토리보드 만들기 PPT자료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68

CF를 제작 할때 구성요소를 특히 유념하도록 주지시키면서 짧은 문구의 KTF의 ‘굿타임 파티’, 포카리

스웨트의 ‘내 몸에 가까운 물’등을 보여주면서 제작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고 맥도날드 CF와 스토리보드

를 보고 비디오와 오디오에 들어갈 설명을 써보게 연습을 하고 PPT를 통해 CF를 동영상으로 보면서

스토리보드를 만드는 작업을 시작하게 하였다.

〔그림 4〕CF제작에 대한 PPT 설명 자료

(4) CF제작을 위한 회의 및 그 과정

〔그림 5〕모둠과 함께하는 CF제작을 위한 스토리보드 순서 이동하기

〔그림 6〕CF제작을 위한 스토리보드 순서 이동하기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69

〔그림 7〕C제작을 위한 스토리보드 들

〔그림 8〕CF를 촬영한 한 장면

(5) CF촬영 모습과 완성 된 CF의 작품들

〔그림 9〕촬영하는 모습 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70

〔그림 10〕학습자들의 완성 된 CF작품 들

나. 영화 작품 제작 발표회

1) 일시 : 2004. 11.30(화), 2005. 11.29(화) (2회)

2) 장소 : 본교 정보관 2층 어학실, 교과교실1실

3) 교내 영화 작품 발표회 내용

- 창의적 재량교과 시간에 제작 한 작품 중 우수한 작품을 상영하여 학생들의 창의력을 계발함과 동시에

합리적인 비판의식과 분석 능력을 길러 주고자 과정을 공개하고 그 성과를 확인 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에게 칭찬을 함으로써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용기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계기를 마

련하였다.

4) ‘영화 제작 발표회’ 초대장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71

〔그림 11〕영화 제작 발표회 초대장(2005년)

‘영화 제작 발표회’를 개최하기 위하여 영화 강사와 계획안을 만들기 위한 협의를 수시로갖고 준비를 하였

다. 제1, 2회 영화재량교과의 영화작품 제작 발표회 초대장을 영화학회 영화교육 위원회와 그 밖의 영화관

련 교수님과 우리학교와 같이 영화교육을 실시하는 영화전문 담당교사에게 행정실의 협조를 받아 발송하였

다. 본교 교사들에게도 안내하여 동참하도록 하였으며 참가한 2학년은 발표하는 학습자에 한하여 장소 관

계로 제한을 하였다.

(5) ‘영화 작품 제작 발표회’의 진행 사진

〔그림 12〕영화제작과정을 설명하는 강사님과 경청하는 교직원과 학습자들

〔그림 13〕본인 작품을 감상하는 학습자와 작품을 지켜보는 교사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72

〔그림 14〕영화작품발표에 대해 평을 해주시는 교수님

〔그림 15〕작품 제작 발표회를 마치고 담소하는 모습

‘영화 작품 제작 발표회’가 방과 후 3시부터 본교 정보관실 2층 어학실과 교과교실 1 (영화 교과교실)에서

개최 되었다. 1회 때에 변재란교수님, 2회에는 이정국교수님과 몇 분의 외부 교사들과 본교 교장선생님을

비롯하여 영화에 관심있는 선생님들과 작품이 발표되는 학생들이 참석하였다. 2005년 제2회 발표회를 소개

하면 다음과 같다. 전문영화 강사께서 그동안 과정을 설명 한 후 ‘품행제로’한 씬 따라 하기부터 시작하여

두 번째 실습이었던 ‘어린신부’패러디, Cf작품과 단편영화 등 네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2학년 전체의 4월부

터 제작 한 작품에서 11월까지의 작품들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번 발표에서는 영화 동아리 페리도트의 두 번째 단편영화 ‘A Man In Woman' s Dress'가 상영하

여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열정으로 만든 동아리의 작품을 소개하여 좀 더 교과 시간에 만든 작품과의 차별

성이 뚜렷하게 나타났었다.

작품 감상 후 이정국 교수님의 평과 함께 직접 작품을 만든 학습자들과 만남의 시간을 가졌고 이어서 영화

교과교실에서 환담을 나누면서 앞으로 영상매체교육 발전을 위한 계획과 문화예술부분의 학교교육과정의 투

입에 대한 의견들을 나누는 바람직한 시간을 가졌었다.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73

다. 교내 학예 발표회

1) 목적 : 창의적재량 교과의 영상매체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능력을 계발하고 창의력 향상과 동시에

바른 인성함양과 정서순화 및 영화교육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관련된 소질을 계발 시키며

감상과 분석 능력을 길러 주고자 과정을 공개하고 그 성과를 확인 하였다.

2) 운영 방법

(가) 일시: 2006. 11. 2(목) 10:00, 장소: 광운 대학교 대 강당

라. 영화 동아리 활동 활성화

2004학년도 창의적 재량교과로 주1시간씩 영화의 제작 수업을 이론과 실제를 통해 영화에 대해 접해보고

자생적으로 2학년과 3학년을 중심으로 2005학년도에 「페리도트」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어 각종 영화제

에 작품을 출품하는 등 청소년들의 개성과 창의성을 영상매체를 통해 발휘하고 있으며 교과와 동아리활동

을 연계하여 현재까지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1) 영화동아리 페리도트 연간 활동 현황

〔표 1〕 동아리 활동 현황(2006년)

순 일시 활동내용 비고

1 3월 15일 3기 부원 선출 오디션 실시

2 4월~5월작품 제작 : 단편영화<가사동아리 전설>,<유브갓 메일>, <도플갱어> 3팀으로 활동

3 5월 20일 영화감상 <400번의 구타>

4 6월 17일 영화감상 <파이트 클럽>

5 7월~10월 작품제작 : 단편영화 <돌아와요 소희씨> (가제) 현재 제작중 (후반작업)

6 8월 15일~16일 부산국제어린이 영화제 참가<가사동아리 전설>, <유브갓메일> 본선진출

7 9월~10월 작품제작: 뮤직드라마 럼블피쉬의 <I GO> 11월3일 교내 축제에 상영

8 10월 25일2학년(3기)대표 선발대표: 이규리, 부대표: 김소영, 총무: 현상훈 2학년 중심 대표 선출

9 10월 26일 3학년 송별 다과회 동아리 실

10 11월 5일 동아리 경진대회 참가 2학년대표 5명 참가

11 11월 12일 제4회 아시아나 국제단편영화제 관람 2학년 6명 관람

12 11월 29일 제3회 1018영화제 참가<가사동아리전설> 상영, 3학년 5명 참가

13 12월 22일 청소년 아이디어 공모전 입상 - 강해지기 프로젝트(뮤직비디오) 팀대표 김도희 외3명 참가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74

(2) 동아리(페리도트)의 대외활동 참가

〔표 2〕 영화제 및 경진대회에 참가했던 내용(2006년)

순 내 용 주 관 일 시 장 소 비 고

1 부산국제 어린이 영화제 문화관광부8월15~8월 16일

부산 해운데 메가박스관

5명지도교사

2 제6회 동아리 경진대회한국청소년동아리연맹

11월15일 광운 대학교 강당10명지도교사

3 제4회 아시아나 국제단편영화제 (사)아시아나11월9~11월14일

씨네큐브 5명 참가

4문화예술교육박람회(1018 영화제)

문화관광부 11월 29일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10명 지도교사

5제1회 청소년 행복한 희망 세상만들기 아이디어 공모전

한국청소년진흥 센터

12월 22일 한국일보사 5명 공동 공모

동아리 페리도트의 전반기 노력이 영상제작들의 〔표 2〕와 같이 부산 해운대에서의 동아리 작품 ‘가사동아

리의 전설’ ‘유브갓 메일’ 이 상영되어 방학을 이용하여 부산에 회원 5명과 함께 다녀왔으며, 제6회 동아리

경진대회에서 입선과 함께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문화예술교육박람회의 ‘제3회 1018 영화제’에서는 중학교

부문에 뮤직 드라마 'I GO'가 6번째로 상영되어 초ㆍ중ㆍ고학생들과 함께 경쟁하고 다른 많은 작품들과 비

교하면서 성황리에 상영되었다. 또한 한국 청소년 진흥센터에서 주최하는 ‘청소년 행복한 희망 세상 만들

기 아이디어 공모전’에 신청서와 아이디어 제안서를 제출하였다. ‘강해지는 프로젝트’ 왕따 당하는 상황을 설

정하여 강해지기 프로젝트로 하는 뮤직 드라마 영상을 제작한 작품이다. 이는 동아리 학생들의 기발한 창의

성과 아이디어, 상상력, 자신감의 변화이며 청소년으로서의 희망을 표현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부

상으로 상금도 수여 받아 동아리 활동에 활력소가 되는 도움을 주었다.

(3) 영화제작을 위한 스토리보드 작업의 예

〔그림 16〕 동아리 작품을 위한 스토리보드작업 들

연수참여자 수업계획안 공유 및 토론,

교육과정별․모둠별 수업계획안 개발, 모둠별 수업계획안 발표․평가75

(4) 영화제 참가에 관련된 내용 모음

〔그림 17〕동아리의 각종활동 참가했던 대외 안내 표지 들

〔그림 18〕부산국제어린이 영화제의 동아리 작품 소개 내용

(5) 동아리학생들의 촬영하는 모습 들

〔그림 19〕동아리들의 영화 촬영 장면 들〔그림 20〕영화 동아리들의 협동하는 모습 들

〔그림 21〕촬영 후 편집하는 모습과 프리미어 작업 창

교수학습 원리와 전략

심 미 자(연세대학교)

강의․워크숍 목표

•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교수자의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학습자를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방법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 마이크로 티칭을 통해 자신의 교수법에 대해 성찰할 수 있다.

• 교수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 티칭 포트폴리오를 강의 경험에 활용할 수 있다.

강의․워크숍 개요

문화예술분야의 전문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교수학습 원리와 수업 상황에 효과

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전략을 학습하여 수업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자의 역할과

학습자 참여 유도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수자들

이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 마이크로 티칭 실습을 통해 동료들과 경험을 공유

하고, 실습에 대한 피드백과 토의를 거쳐 보다 효과적인 교수법을 모색한다.

나아가 교수자의 전문성 향상과 강의 능력 강화를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활

용법에 대해 학습한다.

키워드 촉진자로서의 교수자 역할/학습자 참여 유도 /마이크로 티칭/

티칭 포트폴리오

강사소개_심미자

교육학 박사이며 세부전공으로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전공하였다. 현재 연

세대학교 교육개발센터 교육자료개발부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0000년부터 예

술강사 지원사업내 동계, 하계 연수에서 교수법 관련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수정 예정)

교수학습 원리와 전략79

교수학습 원리와 전략

Ⅰ. 상호작용 촉진 교수법

1. 교수자의 교육적 역할 네 가지

1) 설계자(교수설계 개발)

: 수업목적 설정하기, 수업 설계하기, 수업자료 제작 및 활용하기, 수업 평가하기

2) 내용전문가(교수방법 개발)

: 학습이론 알기, 학습과정 이해하기, 강의내용 및 관련 지식 알기, 교수방법 적용하기

3) 강의자(표현능력, 전달기술 개발)

: 표현능력 기르기, 동기 부여하기, 열의 보이기, 질문하고 질문받기

4) 상담가(상담기술 개발)

: 학생에 대해 이해하기, 대화하기, 상담하기

2. 훌륭한 교수자란?

<훌륭한 교수자와 열등한 교수자 비교>

훌륭한 교수자 열등한 교수자

•학생들이 할 수 있다고 믿고 열심히 하도록 자유를 허용한다. •학생들의 능력을 의심한다.

•가장 적게 가르치려 한다. •다 가르치려 한다.

•학생들이 최대한 수업에 참여하도록 유도 한다. •학생들에게 지식을 쏟아 넣으려 한다.

•긴 것을 짧게, 지루한 것을 흥미있게,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막연

한 것을 분명하게, 무관한 것을 연관되게 가르친다.•그 반대로 가르친다.

•모형이나 실험을 통해 실제적인 것을 보여주려 한다. •말로 모든 것을 제시하려 한다.

•학생들의 영감을 불러일으킨다. •학생들의 영감을 무시한다.

•학생들의 개인차를 인정한다. •학생들이 완벽하지 못함을 불안해 한다.

•교사와 학생의 정서적인 태도를 중시한다. •강의기법에 의존해서 잘 가르치려 한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80

3. 커뮤니케이션 스킬: 수업은 곧 의사소통 과정이다.

1) 커뮤니케이션 과정

수업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는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교수

자가 언제나 발신자가 되는 것은 아니며 학습자가 언제나 수신자가 되는 것도 아니

다. 특히, 교수자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보이지 않는 심리적인

잡음에 대해 항상 염두해 두고 있어야 한다.

잡음

메시지-피드백

메시지-피드백

채 널

채 널

수신자

발신자

수신자

발신자발신자

수신자

발신자

수신자잡음

메시지-피드백

메시지-피드백

채 널

채 널

수신자

발신자

수신자

발신자발신자

수신자

발신자

수신자

2) 언어적 표현 & 비언어적 표현

• 언어적 표현: 발음, 목소리 크기, 말의 속도, 억양

• 비언어적 표현: 아이 컨택, 몸짓, 공간 연출

4. 학습자 동기유발전략: ARCS 모델

1) Attention: 학습자에게 내외적인 자극을 제공해 동기를 유발한다.

• 감각적 주의집중: 멀티미디어 자료, 도형, 그래프 등과 같은 구체적인 자료 제시를 통해 오감을 자극한다.

• 인지적 주의집중: 모순되는 과거 경험, 역설적 사례, 대립되는 원리나 사실, 예기치 못한 의견 등 수업

내용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인지적인 갈등을 통해 호기심을 자극한다.

• 변화를 통한 주의집중: 다양한 목소리, 수업방법의 변화 시도로 집중을 유발한다.

교수학습 원리와 전략81

2) Relevance: 학습내용이 학생의 학습목적과 관련이 있도록 한다.

• 목적 지향성: 학생들의 현재 혹은 미래의 목적과 수업을 연관시킨다.

• 동기와 연결: 학생들의 기초적인 욕구를 수업에서 충족시킨다.

• 친밀성 향상: 학생들의 선행경험과 연관 지어 수업을 친밀하게 느끼도록 한다.

3) Confidence: 내용을 학습한 후에 학생들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게 한다.

• 성공적인 학습요건: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명확히 제시한다.

• 긍정적인 결과 기대: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적절한 난이도와 도전감을 제공한다.

• 개인적인 책임감 향상: 학습활동과 관련하여 가능한 한 학생들에게 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선택

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한다.

4) Satisfaction: 성취한 학습 결과를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도록 한다.

• 내적 강화: 학습과제에 대한 성취감과 숙달했다는 성공의 기쁨을 통해 새로운 도전을 유발한다.

• 외적 보상: 학생들의 성취에 대한 다양한 보상 제도를 활용한다.

• 공평성: 수업의 과정과 결과가 모든 학생에게 공평하게 적용되었다고 인식하게 한다.

5. 효과적인 질의 & 응답 기법

1) 질문의 다양한 기법

• 전체 질문

• 직접 질문

• 반대 질문

• 중계 질문

• 되받기 질문

2) 학생들의 질문과 대답에 효과적으로 반응하기

• 학생들에게 질문하고 피드백을 제시할 때 이름을 불러준다.

• 학생들이 적절한 대답을 했을 경우, 긍정적인 피드백과 칭찬을 해 준다.

• 학생들이 대답을 잘 못했을 때는 격려를 해 준다.

• 학생들이 교수자의 기대에 반하는 대답을 할 경우에는 초점을 좁혀서 다시 질문한다.

• 학생들이 질문을 파악하지 못하고 엉뚱한 대답을 했을 경우, 순발력을 발휘하여 교수자의 탓으로 돌린다.

• 학생들이 대답을 했을 때, 그에 대해 다른 학생들이 반응을 보이게 한다.

• 학생이 한 질문에 대해 다른 학생이 대답하게 함으로써 수업 참여를 유도한다.

• 수업에서 논의할 만한 핵심적인 질문이 제기되면 그룹별로 토의를 통하여 질문에 대해 논의하는 기회를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82

가진다.

• 학생들이 질문에 대해 침묵할 때에는 유사한 사례와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학생들의 상황과 관련지

어 다시 질문한다.

• 인내력을 가지고 학생들이 대답할 때까지 기다려 준다.

3) 피해야 할 질문

• 단답형 질문

• Yes or No 질문

• 애매모호한 질문

• 편향된 질문

• 대답을 유도하는 질문

6. 상황에 따른 교수자의 대처법

학생들의 비언어 메시지 학생들의 심리 상태 교수자의 대처법

고개를 끄덕이고 있다. 납득 또는 이해하고 있다 계획대로 수업을 진행한다.

하품을 하거나 졸고 있다.수업에 관심이 없고, 지루해 하고 있

다.

• 설명하는 리듬을 변화시킨다.

• 그 학생에게 다가간다.

• 유머/일화로 분위기 조절한다.

• 졸고 있는 학생의 주변 학생에게 질문한다.

• 휴식 시간을 앞당긴다.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다. 의문을 가지고 있다.

• 다른 관점에서 설명한다.

•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한다.

• 역으로 질문을 던져 학생의 질문을 유발한다.

물건으로 장난치고 있다. 따분해 하고 있다.

• 화제를 전환한다.

• 학생들과 관련 있는 질문한다.

• 개인적인 경험을 이야기 한다.

창밖을 보고 있다.흥미가 없으며 수업이 빨리 끝나기를 원

한다.

• 그 학생에게 다가간다.

• “그러면 마지막...”라고 하며 수업이 끝나감을

알려준다.

잡담을 하고 있다. 수업에 관심이 없다.

• 잡담하는 학생을 이야기에 등 장시킨다.

• 잡담하는 학생뒤에 가서 선다.

• 휴식이 필요한지 물어 본다.

교수학습 원리와 전략83

Ⅱ. 마이크로 티칭

1. 마이크로 티칭의 목적

교수자가 학생들에게 가르치고자 계획한 내용의 일부를 동료 교수자나 전문가들에게 보여주고 피드백 받

음으로써 교수자에게 자신감을 제공한다.

2. 마이크로 티칭 진행 절차

1) 유사한 과정에 있는 교수자 6~10명 정도 참여

2) 참여자 중 한 사람은 교수자 역할, 나머지는 학습자 역할 수행

3) 시나리오 10분 정도 구성, 수업진행

4) 수업 진행자가 자신의 수업에 대해 1~2분 코멘트

5) 참여자 모두가 수업에 대해 좋았던 점과 개선할 점 토의

6) 촬영된 테이프를 통해 자기진단 및 전문가 컨설팅

3. 마이크로 티칭의 장점

1) 자신의 강의 장면에 대한 자기진단 가능

2) 동일한 상황에 있는 동료 교수자로부터의 피드백

3) 실질적인 강의 연습 기회

4) 학습자의 입장에서 수업 관찰

5) 강의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적극적인 경험

4. 마이크로 티칭에 대한 동료 리뷰 & 자가진단

1) 동료 리뷰

• 발표자에 대한 코멘트: 발표 내용에 대한 요점 2~3 가지

• 수업 구성 및 진행: 수업구성의 체계성, 도입, 수업기술 측면에서 발표자가 유용하게 활용한 예시 또는

주제, 수업 끝내기 등

• 수업자료: 시각적 효과, 액센트 효과, 수업내용 보완 여부 등

• 언어적 & 비언어적 표현: 목소리, 발음, 자세, 몸동작, 아이 컨택 등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84

2) 자기진단

• 자신의 강점

• 가장 시급하게 개선하고 싶은 점

• 비디오 자료 관찰을 통해 발견한 점

4. 마이크로 티칭에서 피드백 주기 & 받기

1) 피드백 주기

• 일반적인 내용보다는 구체적인 내용 제시하기

• 평가하기보다는 있는 그대로 진술하기

• 너무 많은 것을 코멘트 하기보다는 실천 가능한 1~2가지에 초점 두기

• 개인적인 감정, 의도, 동기 등에 대해 추론하지 않기

2) 피드백 받기

• 열린 마음으로 피드백 받아 들이기

• 가능한 한 피드백 내용 기록하기

• 전체 질문 필요할 경우, 구체적인 사례 요구하기

• 피드백 제공자에 따라 내용 판단하기

Ⅲ. 교수자 역량 강화를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

1.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유형

1) 티칭 포트폴리오란 무엇인가?

티칭 포트폴리오는 교수자들이 자신들의 학문적인 노력이나 성과, 교수 능력 등을 문서화할 수 있는 방

법으로 교수자들의 교수 업적에 대한 양적, 질적 성과를 포함하다(Seldin, 1997). 즉, 티칭 포트폴리오

는 교수자의 업적 중 연구보다는 교육과 관련하여 수업 능력을 입증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교수자로

서 무엇을 어떻게 해 왔는지, 무엇을 할 계획인지를 논의하는 도구이며 그에 대한 증거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포트폴리오가 단순히 교수 활동 관련 서류들을 모아 놓은 것이 아니라 문서들

의 집합체 그 이상의 의미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티칭 포트폴리오 작성의 목적에 따라

교수학습 원리와 전략85

자료들을 신중히 검토, 선택, 활용해야 한다.

2) 티칭 포트폴리오의 유형

티칭 포트폴리오는 목적, 증거 자료, 독자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과정 포트폴리오

(process portfolio)는 자신의 업적을 시간 순서에 의해 보여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야에서 개인

의 성장을 평가하는 것으로 주로 특정 스킬이나 지식 발달에 초점을 두는 교수자들이 활용한다. 산출 포

트폴리오(product portfolio)는 희망한 결과를 충족시키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발전시켜온 증거들의

구체적인 집합체로 프로젝트와 유사하다. 이것은 개인적인 특별한 목적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으며 동일

한 기준의 평가가 요구되어질 때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쇼 케이스 포트폴리오(showcase portfolio)는 자신의 업적 중 가장 우수

한 결과물들의 모음이라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구직이나 티칭 어워드 평가에 사용되어진다.

2. 티칭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

1) 교육철학: 교육에 대한 자신의 신념과 가르치는 이유

2) 수업경력과 수업책임: 자신의 교육 경험과 담당 했던 수업

3) 담당과목 개요: 수업목표, 주요 내용

4) 교수방법 및 전략: 담당 교과목 수업 진행을 위해 적용한 교수법 및 전략

5) 교수학습지도안 및 수업자료

6) 수업개선을 위한 노력과 개선 결과

7) 수업에 대한 학생 및 동료들의 평가, 학습 성과물

8) 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아성찰 기록

9) 장단기 목표 설정

10) 부록: 수업관련 연구 실적, 교재개발, 수상 경력 등

3. 티칭 포트폴리오 작성 절차

1) 계획하기: 티칭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기 전에 목적과 독자에 대해 고려한다.

2) 개인적인 교수철학 명확히 하기: 교과목의 내용을 설명하기보다는 학습 목표와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진술한다.

3) 티칭증거자료 수집하기: 증거자료는 가능한 창의적이고 포괄적으로 수집한다.

4) 구성 및 조직하기: 수집한 자료들을 어떠한 순서로 제시할 것인지 결정한다.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수법 워크숍

86

5) 검토 및 피드백 받기: 결과물이 포트폴리오의 작성 목적을 달성하였는지 검토하고 초안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6) 재 작성하기: 다른 사람의 피드백 내용을 기초로 내용을 수정, 보완한다.

4. 티칭 포트폴리오 기대 효과

1) 교수법에 대한 관심 및 교수법 향상

2) 나의 수업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에 대한 정리

3) 나의 수업 효과성에 대한 자료 축적

4) 나만의 교수법을 형성하고 보여줄 수 있는 기회

5) 학생들과의 관계를 돌아볼 수 있는 기회

6) 동일한 교과목에 담당자에게 유용한 정보 제공

7) 수업 활동에 대한 성찰 기회

8) 교수자의 수업개선을 위한 노력의 증빙 자료로 활용

9) 티칭 커뮤니티 활성화 촉진 및 자료 공유

10) 교수자로서의 전문성 향상 및 학교교육 향상에의 기여

5. 훌륭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특징

1) 티칭 포트폴리오 내용을 정기적으로 수정, 보완한다.

2) 구성요소들 간의 연관성이 있어야 한다.

3) 설명적인 기술, 분석, 향후 목표 등을 포함해야 한다.

4) 신뢰할만한 문서와 증거자료가 있어야 한다.

5) 수업개선을 위한 노력의 증거를 제공해야 한다.

6) 자아성찰 기록을 포함해야 한다.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