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Date post: 31-Aug-2019
Category:
Upload: others
View: 6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130
교육학 석사학위 청구논문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a of the 7th Curriculum 2008년 8월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 전공 교육학 석사학위 청구논문
Transcript
Page 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교육학 석사학 청구논문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 과 개선 방안

P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a of the 7th Curriculum

2008년 8월

인하 학교 교육 학원

생물교육 공

이 은 혜

교육학 석사학 청구논문

Page 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 과 개선 방안

P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a of the 7th Curriculum

2008년 8월

지도교수 배 성 호

이 논문을 석사학 논문으로 제출함

인하 학교 교육 학원

생물교육 공

이 은 혜

문 사학 문 로 제출함.

Page 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본 문 혜 사학 문 로 준함.

2008 8월

주심 인

부심 인

원 인

Page 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국문 록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은 2000년 3월 1일 등학교 1,2학년을 시작으로 2002년에

는 등학교 5,6학년, 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까지 제 7차 교육과정에 용

되고 있다. 그리고 1995년부터 시행되어온 6차 교육과정은 2004년 2월 28일 고등

학교 3학년을 마지막으로 마치게 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을 용해오는 동안 교육

과정 용 과정상의 문제 이 무엇인지에 한 실증 연구가 수행됨과 동시에,

한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이 의도한 목표를 도달하기에는 재의 교육 여건이

무나 열악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비 이 제기되었다. 이 시 에서 그동안 축

된 실증 연구 결과와 제기된 비 의 소리를 심층 으로 검토하여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해야 할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실하다고 할 수 있

다. 이러한 에서 본 연구는 행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문제를 드러내고 이를

해결하기 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 다.

Ⅱ,Ⅲ장에서는 이 논문의 이론 배경으로 과학교육 과정의 배경과 변천, 성격,

특성을 제시하 고 한 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과 반 인 개요등을 제시 하

다.

Ⅳ장에서는 행 과학과 교육과정의 운 실태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내

용을 보면 우선 목표에서 과학과 목표가 3~10학년을 상으로 단일 목표로 제시

되어 있으며,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 신장 등의 요한 능력이 목표에서 제외되어

있고, 목표와 목표 사이에도 연계성이나 조화가 부족한 이 발견되며, 목표가 지

나치게 추상 으로 진술되어서 목표 달성을 한 구체 교수 행동 결정에도 어

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한 개선방안을 제시하 다.

내용 면에서는 ‘과학’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이 학년에 계없이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4 역의 배경 학문에 따라 균등 배분되고 있으며, 제공하고 있는 내

용이 지나치게 잘게 나 어진 주제로 되어 있고, 내용이 복되어 제시되거나 내

용간의 연계가 부족한 사례도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 수 이나 학습량의 성

Page 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측면에서도 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나친 나선형 교육과정을 탈피하여

내용 복을 피하고, 학년의 특성에 맞는 내용을 구성함으로써 공별 내용 균등

배분을 피하며, 주제를 통폐합하여 은 주제를 심도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내용

을 구성해야 한다. 한 지나치게 어려운 내용은 수 을 조정해야 할 것이다.

교수학습 방법 면에서는 과학과 목표를 효과 으로 달성하는 데 필요한 교수 역

량 미흡, 교수 학습 자료의 빈곤, 탐구 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여건의 불비

등이 문제 으로 지 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 실질 인 도움을 수 있도

록 능력 있는 교사의 양성, 직 연수의 실시, 교육 환경의 개선 등 교육과정 외

인 소 트웨어 하드웨어 환경 개선이 시 하게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평가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능력을 제 로 악하기에는 재의 평가

기 이 모호하고, 평가에 한 자율권이 소하며, 참고할만한 평가 자료가 부족하

며, 특히 수행 평가를 실시하기에는 시간이 무 부족하다는 등의 문제 이 지

되었다. 이를 개선할 수 있도록 수행 평가 방안의 개선, 다양한 평가 자료의 개발,

다양한 평가 방법의 활용 하는 개선안을 제시하 다.

Page 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목 1

2. 연구 방법 내용 2

Ⅱ. 이론 배경 4

1. 과학과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4

2. 과학교육과정의 변천 10

3. 과학과 교육 과정 개정의 21

4. 과학의 성격과 특성 25

Ⅲ. 제 7차 교육 과정 30

1. 제 7차 교육 개정의 배경과 경과 30

2. 제 7차 교육 개정의 기본 방향과 특징 40

3.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요 50

Ⅳ. 제 7차 교육과정의 문제 개선 방안 91

1. 목표 92

2. 내용체계 95

3. 교수 학습방법 103

4. 평가 111

Ⅴ. 결론 117

Ⅵ. 참고문헌 119

ABSTRACT

Page 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표 목 차

<표 1> 학교 일반 과학과 교수 요목 약 600 교시 11

<표 2>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20

<표 3>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의 경과 34

<표 4> 제 7차 교육과정 추진과정 35

<표 5> 교육 과정개정업무 처리 흐름도 36

<표 6>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43

<표 7> 보통 교과 45

<표 8> 문 교과 47

<표 9>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각 단계별 주제의 성격, 크기 수 51

<표 10> 학년에 따른 탐구 유형의 심화 발 55

<표 11>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지식 체계 58

<표 12> 과학 태도 체크리스트 87

<표 13> 과학과 신․구 교육 과정의 비교 90

<표 14> 과학교사들이 재 필요로 하고, 미래에 필요로 하는 교과내용’에

한설문 98

<표 15> 등 과학 수업에서 활용이 어려운 교수․학습 방법과 그이유106

<표 16> 주로 활용하는 평가 방법 112

Page 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제 7차 교육과정은 2000년 를 주도해갈 능력과 교양을 갖춘 새로운 가치 창조

자로서 의식있는 한국인을 기르기 해 마련된 것으로, 그 철학이나 교육 방식에

서 기존 교육과정과는 차별화되도록 구안되었다. 그러나 제 7차 교육과정이 추구

하고 있는 이상과 장의 교육 환경 간의 괴리로 인해 제 7차 교육과정의 용

과정에서 여러 사지 어려움에 직면하 으며, 그 동안 각계각층으로부터 많은 비

이 있어왔다. 구체 으로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 용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 과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부터 , ,고등학교 장에 용되어 온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은

심화, 보충형 수 별 교육과정 운 의 한계, 10학년 과학의 이수 단 수 부족, 이

공계 기피 들 교육과정 안 에서 드러난 크고 작은 문제들이 노정되어 왔다, 특히

과학 개념 이해를 해서는 최소 필수 이수 단 를 확보해야 하지만, 그 지 못한

결과로 학습 결손이 되어 결국에는 학생들의 이공계 기피로 연결되었다. 아울

러 최근 20여 년 간 우리의 교육과정은 체로 5-년 주기로 개정되어 왔기 때문

에 시기 으로 볼때 교육계와 학교 장에서는 교육과정 개선에 개한 기 가 고

조되어 있는 실정이다.

둘째, 미래 지식 기반 사회에 비한 과학 인재를 양성해 낼 수 있도록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구성에서 개선이 요구된다. 미래 지식 기반 사회에서 과

학 교육의 방향이나 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간상을 분석한 결과 가장 요한 요

소는 창의 문제 해결력을 가진 인간 양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창의성 신장을 과학 교육의 목표에 포함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요

하다. 창의성 신장은 미래사회 뿐만아니라 사회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요한

Page 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2 -

능력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과학은 창의성 신장을 한 매우 효과 인 학문 분야

이기 때문이다.

셋째, 창의력 신장과 함께 과학 교육 내용으로 실생활 련 주제가 더 많이 도입

되어야 한다. 미국 과학교사 의회인 NATA(1992)에서 강조하는 ‘ 을수록 좋다’

는 주장은 은 주제를 다루어 학생이 깊게 이해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많은 지식을 제공하기 보다는 주요

개념을 심으로 탐구를 통해 깊이 있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 내용을 정교하

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학생들이 학교에서 학습한 것을 실생활 문제 해결

에 용할 수 있도록 내용 구성 방법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한편,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 틀은 개성을 존 하면서 학습자의 요구에 따

라 잠재 능력을 최고로 신장시킬 수 있는 선택 교육과정, 고등학교를 졸업한 사람

이라면 구나 지녀야 항 교양을 함양하기 한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이라는

재의 틀을 근간으로 하되 부분 으로 수정, 보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개선의 필요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 배경과 이론 근거

등을 분석하여 문제 을 찾아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age 1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3 -

2. 연구 방법 내용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의 문제 을 과학교육 과정에 있어서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차원에서 정리하고 각각의 새로운 교육과정의 목표, 내

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에서 고려해야 할 개선 방안들을 제시하 다.

연구 방법에는 제 7차 교육과정의 반 인 특징이 있는 문헌과 과학교육과

정의 실태자료를 살펴보고 여러 논문을 조사정리 하여 연구하 다. 으로

기존 연구 문헌을 분석하여 행 교육과정의 문제 과 운 실태를 고찰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 다.

분석 상은 제7차 교육과정 교육과정 개발 연구 보고서, 교육과정 운

실태 련 연구보고서, 학술지 논문, 학 논문,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련 연구 논문,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외국의 주요 국가의 교육과정

과 교과서 등이다.

분석 내용으로는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과학과 교육과정 편제의 변

화 실태, 목표에 포함되는 내용, 내용 구성 방식과 내용 연계,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식 등이다.

Page 1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4 -

Ⅱ. 이론 배경

1. 과학과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신교육 체제 수립을 한 교육 개 방안에서는 21세기의 미래 사회를 세계화․

정보화 사회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에서 새로운 과학 지식과 기술, 그리

고 세계 시민으로서의 동심과 경쟁력을 갖춘 인간이 요구되고 있다.있다. 이러

한 시 요구를 해결하기 해서 교육과정의 개정이 필요하 다.

1) 학교 과학과 교육 과정 개정의 필요성

과학과 교육 과정은 학교에서 개되고 실 될 과학 교육의 나아갈 바를 나타낸

다. 1945년 이후 우리나라의 교육 과정은 6차례나 개정되었다. 해방 후 각 교과별

로 가르칠 주제를 열거하는 교수 요목이 사용되었으나, 제1차 교육 과정의 시기

(1945~1963)에서는 우리 실정에 알맞은 교육 과정의 체제와 기틀이 마련되었다.

제2차 교육 과정의 시기(1963~1973)는 국가의 과학 기술 발 을 도모하는 방안으

로서 과학 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에 따라 과학의 기 인 요 내용을 정선하여

지도한 시기 다.

제3차 교육 과정의 시기(1973~1981)는 미국의 과학 교육 개 사상에 크게 향

을 받아 학문 심 는 탐구 심의 과학 교육 이념이 크게 부각된 시기로 이러

한 과학 교육 이념이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에 큰 향을 끼쳤던 시기이다.

각 학교의 과학 내용은 학년별 단원 수는 어들었지만 학습량이 증가되었고,

학습 내용의 수 도 높아졌다. 제4차 교육 과정의 시기(1981~1987)는 학문 심

교육 과정의 향을 많이 받았다. 교육 내용을 지식의 학문성뿐만 아니라 유용성

면에서 합하도록 정선하고, 그 수 을 정하게 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러나 역

Page 1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5 -

시 지나친 학문 심의 교육 사조는 내용이 어렵고, 학습 부담이 많으며, 일상 생

활과 거리가 있어 과학자가 될 몇 사람을 한 과학이라는 비 을 받았다. 따라서,

‘모든 이를 한 과학(Science for all)'이라는 기치 아래 제5차 교육 과정의 시기

(1987~1992)는 1980년 에 미국에서 일기 시작한 과학․기술․사회(STS)의

상호 련 내용을 과학 교육에 반 하자는 움직임에도 향을 받아 교육 장에

서의 실 인 문제와 사회 필요성, 즉 경제 인 발 , 민주화의 정착, 정보화

사회의 도래, 국제 경쟁력 교류의 증 등에 따라 개정이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교육의 동향을 교육 과정에 반 할 만큼 깊이 있는 연구

가 충분하지 못하 다. 따라서, 새로운 사조를 수용하여 제6차 교육 과정의 시기

(1992~1997)는 시 변화에 처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생활인으로서 필요한 과학 탐구 활동을 통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의 이해, 과학

사고력의 신장, 그리고 자기의 생각과 타인의 견해를 비교하여 바르게 단하

고 옳은 것을 받아들이려는 정 인 태도를 길러 주는 데 역 을 두었다.

제6차 교육 과정의 용 단계에서 ‘교육 과정 2000’이라 명명된 제7차 교육 과정

의 개정은 1995. 5. 31. 통령 자문 기 인 교육 개 원회에서 ‘세계화․정보화

시 를 주도하는 신 교육 체제 수립을 한 교육 개 방안’에 의하여 공식 으로

제기되었다. 교육 과정에 한 충분한 평가가 미흡한 실정에서 제7차 교육 과정의

개정이 구체화되었다.

그러나 21세기를 2년여 남겨 두고 있는 이 시기에 21세기를 비하는 우리의 마

음가짐이 새로운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미래 한국의 청사진에서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는 사회 요구에 따라 교육 내용 운 방법의 개선과 검토가 이루어

졌다.

2) 외국의 과학 교육의 동향

사회는 과학의 발달 수 에 의해 국가의 수 을 가늠할 정도로 과학이 차지

하는 비 이 매우 크다. 과학이 발달한 선진국은 사회 복지의 향상은 물론 시민들

이 질 높은 삶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과학 수 이 낮은 국가들은 과학의 발

Page 1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6 -

을 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과학은 학문 내용의 성격상 인문과학이나 사회과학과는 달리 한 국가에서 성공한

과학교육이 다른 국가의 과학 교육에 많은 향을 미치고 있으며, 실제로 과학 교

과의 내용은 지역이나 국가, 민족 는 시 에 따른 차이가 비교 은 교과

의 하나이다. 이에 미국, 국 일본의 과학 교육의 동향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1) 미국의 과학 교육

미국은 다양한 학제를 가지고 있다. 규모 학구에서는 6-3-3제를, ․소규모

학구에서는 6-2-4, 8-4, 6-6, 5-3-4 등 다양한 학제를 채택하고 있어 우리나라와

일률 으로 비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다양한 학제를 가지지만, 학년 심의 교육

과정을 운 함으로써, 학구 학교 간의 이동이 보장될 수 있어 진학 는 학

의 혼란은 거의 없는 것이 장 으로 들 수 있다.

등학교에서는 과학과의 시간이 체 수업 시간의 약 10% 미만이지만, 학교

는 체로 10~15% 정도이다.

과학과 교육 과정은 각 주 는 각 지역구마다 교육 과정이 다를 수 있으며, 학

교마다 동일한 교과목 시간을 운 한다고 볼 수는 없다. 7, 8학년에서는 주로

통합 교과 형태의 과학과 교육 과정이 운 되고 있으며, 10학년 이상에서는 분과

형 교과를 개설하고 있는 것을 특색으로 들 수 있다.

NSTA에서는 등 학교의 과학 과목을 통 인 물리, 화학, 생물과 같은 교과

구조를 좀더 통합 인 교육 과정으로 구조화할 것을 제의하고 있으며, 은 수의

주제로 깊게 지도하고, 학생들의 경험․발달 단계에 알맞게 계열화하며, 각 교과의

상호 련성을 깨닫도록 통합 으로 지도할 것을 제안하 다.

과학과 교육 과정이 지향하는 방향을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즉, 모든 학생이

과학 으로 소양을 갖추게 하기 해서 과학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에 을

맞추고, 국가 수 의 과학과 교육 과정의 틀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과학과 교육

과정에서는 새로운 과학 교육을 해서는 과학 개념의 이해, 탐구 능력의 개발,

Page 1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7 -

개인 사회 견지에서 탐구, 기술, 과학이라는 맥락에서 각 교과와 과학의 본성

을 이해하고, 과학사 학습을 강조하며, 여러 가지 방향에서 과학 내용을 통합하여,

은 수의 기본 인 과학 개념 학습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2) 국의 과학 교육

국은 1988년 교육 개 법을 제정하고 이를 기 로 국가 교육 과정(The

National Curriculum)을 도입하 는데, 그 기본 목 은 국가 수 에서 학습 내용

성취 수 의 기 을 제시하여 체 인 교육의 질을 높이기 함이다. 통

으로 각 학교나 교사에게 교육 과정을 결정하는 권한이 부여되었던 것에 정부가

국가 수 의 통제를 가함으로써 학생 학교의 자유 경쟁을 가져올 것으로 기

하고 있다. 따라서, 국의 국가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성취 수 을 국가 수 에서

리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을 표 화한 것으로서, 그 기 에는 자유 경쟁을 강조

하는 기본 철학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국가 과학 교육 과정(National Science Curriculum)에서는 체계 인 탐구, 일상

생활에서의 과학, 과학 아이디어의 본질, 의사 소통, 건강과 안 등을 포함하도

록 하 다. 그리고 과학과 운 에서는 구체 인 학습 내용을 제시한다기보다는 학

생들이 과학에서 어떤 경험을 해야 되는지, 학습 과정에서의 유의 등을 일반

인 수 에서 명료화하고 있다.

과학과의 성취 수 을 평가하는 거가 되는 성취 목표는 수 별 성취 목표 진

술의 형식으로 제시된다. 이 성취 목표의 제시 방식은 종합 인 서술문의 형태로

주어지는데, 이는 기존의 개조식 형태로 제시된 방식이 교수 학습의 단편화를

래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과학과의 경우에는 종합 과학(combined

science) 는 통합 과학(integrated science)의 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용되고

있다. 일례로 필드 과학 교육 로그램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물리, 화학 등

으로 분리하여 지도하고 있는데, ‘과학 탐구 활동’ 부분에서는 통합되어 용되

고 있다.

Page 1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8 -

(3) 일본의 과학 교육

1989년에 개정된 학습 지도 요령에서는 학교의 연간 과학 시수가 1, 2학년은

주당 105시간에 3학년은 105에서 140시간이었다. 그러나 수업 시수는 과학과뿐만

아니라 모든 교과에 걸쳐서 감소될 추세이다. 앞으로는 학교가 주 5일제 수업이

이루어질 것을 제로 과학과 다른 교과의 수업 일수는 조 될 것이다. 새 교

육 h가정에서 강조되는 들을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풍부한 인간성, 사회성, 국제 사회에 살 수 있는 사람으로서 자각을 육성하

는 것에 을 둔다.

둘째: 스스로 배우고,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기 하여 체험 학습이나, 문제

해결 학습을 충실히 하고, 컴퓨터 등 정보 수단의 활용을 추진한다.

셋째: 여유 있는 학교 생활을 개하기 하여, 기 ․기본을 확실히 정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개성을 살리는 교육을 충실히 하고, 학습 내용을 축소하고,

수업 시간 수를 이고, 학교에서는 선택 과목의 폭을 넓힌다.

넷째: 창의성을 살리기 하여 특색 있는 학교 만들기에 노력한다. 학교에서는

시간을 알맞게 편성하고, 교과의 특성을 살려 알맞은 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일본의 학교 과학은 물리 화학 심의 제1분야와 생물과 지구 과학 심의

제2분야로 나 어져 있으며, 생활 주변의 물리 상, 주변의 물질 등이 강조되며,

과학 기술과 인간, 자연과 인간 등이 종래에 비하여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교과의 내용도 우리 일상 생활과 한 내용이 많이 도입하고 있는 것을 특징

으로 들 수 있다. 과거와는 달리 교과서에서 잘 다루지 않던 빛과 소리와 같은 내

용을 학교 교과 내용으로 다루고, 우리나라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압력과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과학과 내용의 지도에는 찰, 실험, 야외 찰을 시하며, 지역의 환경과

학교의 실태를 살려 자연을 과학 으로 조사하는 능력 기본 인 개념 형성을

단계 으로 무리 없이 이루어지게 하며, 생명 존 과 자연 환경의 보존에 한 태

도를 기르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 실험, 찰의 과정에서 정보의 검색, 실험 자

Page 1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9 -

료의 처리, 실험의 계측 등에 컴퓨터와 정보 통신 네트워크를 극 으로 활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3)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21세기의 사회는 정보화,세계화로 특징 지워지며 이에 비한 교육은 단순 기능

인을 양성하기보다는 자기 주도 으로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인간 형성에 목표

를 두어야 한다. 이러한 시 요청에 따라 제7차 교육 과정의 기본 입장은 제6

차 교육 과정의 교육 개 인 측면의 기본 철학을 계승하고, 2000년 의 사회 ,

문명사 변화의 의미를 학교 교육 과정에 살리고자 하 다.

제7차 교육 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한다면 10년간의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과 수 별 교육 과정의 시행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국민 공통 기본 교

육 과정은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진로에 계 없이 모두 동일한 교육 과정을 이수

하게 한다는 이 그 특징이다.

지 의 ․ ․고 분리형의 교육 과정은 학교 간의 이동에 있어서 무나

격한 변화로 인하여 학생들이 응하는 데 상당한 애로가 있었다는 을 감안한

다면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은 학교 간의 교육 과정 내용과 방법, 그리고 형

식상의 연계성을 갖추게 하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다. 학교 과학도 이러한

정신에 맞추어 새로운 교육 과정이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제7차 교육 과정은 제6차 교육 과정에 비하여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게

되는 데, 그 의 하나는 과학과 시수가 어 교육 내용의 축소가 필요하며, 수

별 교육 과정의 정신을 살려 심화 학습 과제를 개발하여야 한다. 이런 에서 종

과는 다른 교육 과정의 개발이 필요하고, 기존의 교육 과정과는 다른 차원에서

의 개발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Page 1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0 -

2. 과학과 교육 과정의 변천

해방후 우리 나라 교육과정은 여러 차례의 개정이 있었다. 과학과 교육과정의 시

별 변천 내용을 학교를 심으로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교수 요목의 시기(1946~1954)

1945년 복 후 우리나라의 교육 심의회를 발족시켜 교육의 방침을 마련하 다.

이듬해에 ‘교수 요목’이란 이름으로 교과명, 학년, 총 이수 시간 수 내용만을 나

열한 간결한 교육 과정이 물리, 화학, 생물을, 농업 학교에서는 과학을, 상업 학교

에서는 이과를 각각 이수시키도록 하 다.

이 교수 요목의 특성은

첫째, 교과의 지도 내용을 상세히 제시하고 기 능력 배양에 주력한다.

둘째, 교과는 분과주의를 택하 으며, 체계 인 지도와 지력 배양에 을 둔다.

셋째, 우리나라의 교육 이념인 ‘홍익 인간’의 정신에 입각하여 애국 애족의 교육을

강조하고, 일제 잔재를 정신 인 면에서나 생활 인 면에서 시 히 제거하는 데에

각별히 노력한다. 당시 학교에서 가르친 600교시분의 과학과 교수 요목을

보면 산‧알칼리, 기, 식물계, 동물계 등과 같이 행 교육 과정의 내용 제목과

비슷한 것도 있으며, 기, 통신, 라디오, 내연 기 , 세탁, 가축, 약용 식물, 회충,

지 법 등과 같이 행 기술 교과에서 다루는 내용과 실생활과 계가 깊은 내용

을 포함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Page 1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1 -

<표 1> 학교 일반 과학과 교수 요목 약 600 교시

1. 자연 과학 13. 물질 25. 일2. 공기 14. 물 26. 가내 조명3. 공기의 압력 15. 상수도와 하수도 27. 음4. 불 16. 암석과 토양 28.라디오와 텔 비

5. 산소 17. 물과 속 29. 간단한 기기6. 탄소와 탄산가스 18. 산과 알칼리 30. 큰기계7. 호흡하는 공기 19. 세탁 31. 식물계8. 난방법 20. 음식물 32. 동물계9. 열과 온도 21. 음식물의 요리법과 장법 33. 인류10. 기상 22. 나침반 34. 과학과 사회11. 천체 23. 기12. 힘과 에네르기 24. 기의 용도

2) 제1차 교육 과정의 시기(1954~1963)

이 기간은 ‘교과 과정의 시기’라 할 수 있으며, 1954년 교육 과정 시기 배당 기

령 공포로부터 1963년 새로운 교육 과정이 공포될 때까지의 기간이다.

이 때, 과학과 시간 배당 기 은 1학년이 주당 4시간, 2학년이 3시간, 3학년이 2시

간으로 되어 있으며, 물상과 생물을 통합하여 ‘과학’으로 하 다.

이 교육 과정의 특징은 당시의 교육 사조인 미국의 진보주의에 의한 생활 경험을

시한 교육 과정이었으며, 체제면에서도 목표와 내용을 별도로 구성하여 교육 과

정으로서의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1) 목표

이 교육 과정에서는 과학과의 목표를 일상 생활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과학 으

로 해결하여, 합리 인 생활을 도모할 수 있는 과학 인 지식과 태도 능력을

체득시키고 습 화하는 데 두었다. 즉, 자연 사물과 상 인체에 한 과학

여러 문제를 등학교의 자연과 교육의 기 에 심화, 확충하여 기 인 지식

과 원리, 법칙을 이해시키며, 과학 인 태도, 습 을 기르고, 보다 나은 생활을 합

리 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① 과학 지식

Page 1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2 -

② 과학 능력

③ 과학 태도와 습

(2) 내용

과학과의 내용은 학생의 실생활 경험을 심으로 선정하 으며, 각 학년마다 6개

단원으로 구성하고, 단원에 포함하는 주제는 ‘계 과 일기는 우리들의 생활에 어떤

향을 주는가?’ 와 같이 의문형으로 제시하 다.

, 각 단원마다 지도 목표와 지도 내용을 제시하 다. 문장형으로 제시된 각 단

원을 간단히 주제로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가) 1학년

① 계 의 일기 ② 물과 공기 ③ 지구 ④ 천체 ⑤ 식물 ⑥ 동물

(나) 2학년

① 건강 ② 빛 ③ 불과 연기 ④ 기 ⑤ 우리의 몸 ⑥ 생물

(다) 3학년

① 기계와 연모 ② 천연 자원 ③ 교통 ④ 통신 ⑤ 질병 방 ⑥ 생물

3) 제2차 교육 과정의 시기(1963~1973)

이 기간은 산업 구조의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진 시기로, 자주성, 생산성, 유용성,

합리성, 지역성을 강조하고, 개정의 요 으로는 기 학력의 충실, 교육 과정의 계

열성과 일 성 유지, 생활 경험 심의 종합 지도를 강조하 다.

이 때부터 고등학교의 교과 단 제를 채택하고, 교과 활동, 반공․도덕 생활, 특별

활동으로 교육 과정을 구성하 다. 학교의 과학과 시간 배당 시수는 주당 1학년

은 3~4시간, 2학년은 3~4시간, 3학년은 2~4시간으로 시간폭을 두게 하 다.

과학과 교육 과정은 과학 인 생활 태도 육성에 주력하여 과학 기술의 후진성을

Page 2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3 -

극복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과학 기술 교육을 강조하 다. 따라서, 교육 내용도 실

제 인 경험이나 문제에서 선정하게 하 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보주의나 생활

심의 과학과의 지도는 1950년 에 그 비 이 일기 시작하 다.

이 교육 과정이 개편된 후 속한 경제 건설과 산업 구조의 다원화에 응하기

하여 실업 교육의 개선이 긴 하여, 1969년 9월 4일 각 학교의 교육 과정을 부

분 개정한 것도 이 교육 과정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1) 목 표

① 자연 사물 상의 기 가 되는 윤리 법칙을 이해하고, 그 응용이 인간 생활의

향상 발 에 크게 공헌한 바를 인식하게 한다.

② 자연 사물 상을 올바르게 찰, 실험하고, 그 속에서 문제를 발견하여 과학

으로 계획, 처리할 수 있는 능력과 기계, 기구, 약품 등의 취 동식물의

사육 재배를 합리 으로 하는 기능을 기른다.

③ 자연 과학의 기 지식과 기능을 일상생활에 활용하는 능력과 미지의 것을 탐

구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태도를 기른다.

④ 자연 사물 상에 한 심을 깊게 하고, 자연 자원을 애호․이용하며, 과학

자의 업 을 존 하는 태도를 기른다.

(2) 내용

생활 심 교육 과정으로 제1차 교육 과정 때의 것을 보완하고, 배열을 달리하

다.

㈎ 1학년

① 물 ② 공기 ③ 불 ④ 지표와 그 변화 ⑤ 주변의 생물 ⑥ 주변의 동물

㈏ 2학년

① 날씨 ② 자석과 기 ③ 산․알칼리 ④ 식품과 양 ⑤ 인체 ⑥ 힘과 운동

Page 2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4 -

㈐ 3학년

① 빛 ② 에 지 ③ 교통과 통신 ④ 화학 변화 ⑤ 생 ⑥ 자원의 개발과

리 ⑦ 생물의 발달 ⑧ 태양계와 우주

4) 제3차 교육 과정의 시기(1973~1981)

우리나라에서 생활 심의 과학 교육이 실시되는 동안 미국에서는 1957년 ‘스푸

트니크’ 충격으로 인한 과학 교육 신 운동이 일어나, IPS, ISCS 학 과학 과정

등 새 교육 과정이 개발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새 과학과 교육 과정은 종래의 과학에 한 단편 지식의 수를 지

양하고, 과학의 지식을 구조화하여 제공하며, 자연을 탐구하는 과학 인 방법을 구

사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이러한 세계 인 교육 사조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탐구 과학의 교육 과정이 탄

생하게 되었으며 그 기본 방침을 살펴보면

첫째, 과학에서 기본이 되는 개념들을 정선하고, 이를 구조화시킨다.

둘째, 과학과의 지도 내용은 물상, 생물, 지구 과학의 3개 역에만 국한한다.

셋째, 과학과 학습에서는 과학 방법의 훈련을 통하여 과학 인 사고력을 기르

는 데 을 둔다.

넷째, 학생의 발달 수 에 맞게 목표를 설정하고, 내용을 선정한다.

다섯째, 가능한 한 탐구 학습이 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한다.

이에 따라 지 까지의 생활 심 과학 교육에서 완 히 탈피한 탐구 심, 학문

심의 과학과 교육 과정을 개정, 공포하게 되었으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목 표

① 과학 기본 개념을 체계 으로 이해시켜, 자연을 과학 으로 고찰할 수 있게

한다.

② 과학 탐구 방법을 체득시켜, 자연의 규칙성을 발견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

Page 2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5 -

다.

③ 과학 개념은 과학자들의 활동에 의하여 이루어졌고, 계속 발 하는 것임을

깨닫게 한다.

④ 자연에 한 과학 인 탐구 과정에서 흥미와 즐거움을 느껴 계속 학습하려는

의욕을 가지게 한다.

(2) 내 용

생활 심의 교육 과정으로부터 탈피하여 새로운 과학과 교육 사상을 받아들여

학문 심 교육 과정의 입장에서 편성되었다. 따라서, 생활에 필요한 지식보다는

학문으로서의 교과의 구조와 과학 기본 개념을 탐구 으로 학습하게 하는 형태

를 취하게 되었다.

㈎ 1학년

① 물질의 특성 ② 물질의 분리 ③ 화합물과 원소 ④ 지구의 물질과 지표의 변화

⑤ 생물의 종류

㈏ 2학년

① 원자와 분자 ② 열에 지 ③ 기 에 지 ④ 태양 에 지와 일기 변화 ⑤ 생

물과 환경

⑥ 자연과 인생

㈐ 3학년

① 물질의 변화 ② 힘과 운동 ③ 에 지의 환 ④ 태양계와 우주 ⑤ 지각의 변

화와 지구의 역사 ⑥ 생명의 연속성 ⑦ 물질 사

Page 2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6 -

5) 제4차 교육 과정의 시기(1981~1987)

1973년에 개정된 신 학문 심 교육 과정을 실시한 결과, 학습 내용의 과다,

기 교육의 소홀, 인 교육의 경시 등의 여러 가지 문제 이 제기되었다. 한편,

1980년 7월 30일 학교 교육의 정상화 조치로 교육 과정의 개정이 필요하게 되었

다.

이 교육 과정의 기본 방향은 국민 정신 교육의 체계화, 인 교육의 강화, 기

교육의 강화, 진로 지도의 충실화에 두었다.

과학과 교육 과정에서는 총론에 제시한 기본 방향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

방향을 설정하 다.

첫째, 과학 생활을 할 수 있는 인간을 기르는 데에 역 을 두고 과학의 기본

개념의 이해, 탐구 능력의 신장, 과학 인 태도 함양을 강조한다.

둘째, 학생의 지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내용을 선정하고, 학년의 수 과 학습

의 시기를 고려하여 조직, 배열한다.

셋째, 학교 간, 타 교과 간의 연계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효율 인 학습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넷째, 장 지도 교사의 탐구 학습 지도 경험을 살리기 하여 실험 시설․기구,

약품 등은 가능한 한 그 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1) 목 표

과학의 지식과 방법을 습득하여 과학 생활을 할 수 있게 한다.

① 자연 상을 악하는 데 필요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게 한다.

② 자연 상을 과학 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른다.

③ 자연의 규칙성에 흥미를 느끼고, 과학의 학습에 의욕을 가지게 한다.

④ 자연 상과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과학 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가지게 한다.

(2) 내 용

Page 2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7 -

㈎ 1학년

① 기와 물의 순환 ② 주변의 생물 ③ 물질의 특성과 분리 ④ 힘과 운동

㈏ 2학년

① 지구의 물질과 변화 ② 물질 사 ③ 물질의 입자 ④ 기

㈐ 3학년

① 에 지 ② 물질의 변화 ③ 지구와 우주 ④ 생명의 연속성 ⑤ 자연 보존

6) 제5차 교육 과정의 시기(1987~1992)

이 교육 과정은 학문 심에 한 많은 비 을 받아 이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내

용 수 과 배열을 조 하고, 실생활 문제를 약간 다루었다. 그 개정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철학, 학문 내용, 교육 방법 변화에의 합성

둘째, 경제 발 과 사회 구조의 변화에 응

셋째, 국제 경쟁력 강화

넷째, 교육의 질 고도화

(1) 목 표

자연 상에 한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의 지식과 방법을 습득하여, 과학

으로 사고하고 창의 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① 과학의 사실, 개념 원리를 이해하게 하고, 자연 상을 설명하는 데에 이를

용하게 한다.

② 자연을 탐구하는 과학 방법을 습득하게 하고, 문제 해결에 이를 활용하게

한다.

③ 자연 상과 과학과 학습에 한 흥미와 호기심을 증진하게 하고 과학 태도

를 기르게 한다.

Page 2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8 -

④ 자연을 탐구하는 데에 필요한 기본 인 실험 실습 기능을 기르도록 한다.

⑤ 과학이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발 에 미치는 향을 인식하게 한다.

(2) 내 용

㈎ 1학년

① 기와 물의 순환 ② 주변의 생물 ③ 물질의 성질 ④ 힘과 운동

㈏ 2학년

① 물질의 구성 ② 생물체의 구조와 기능 ③ 지각의 변화 ④ 기

㈐ 3학년

① 일과 에 지 ② 생명의 연속성 ③ 물질의 변화 ④ 지구와 우주 ⑤ 자연과 자

원의 보

7) 제6차 교육 과정의 시기(1992~1997)

이 교육 과정은 건강한 사람, 자주 인 사람, 창의 인 사람, 도덕 인 사람을 추

구하고자 하는 인간상으로 하고, 제5차 교육 과정을 평가한 결과를 토 로 다음과

같이 개정의 을 정하 다.

첫째, 교육 과정 결정을 분권화하여 시․도 교육청과 학교의 재량권을 확 한다.

둘째, 교육 과정의 구조를 다양화하여 다양한 이수 과정과 교과목을 개설하고, 필

수 과목을 축소하고 선택 과목을 확 한다.

셋째, 교육 과정의 내용을 정화하여 학습량과 수 을 조정하고 학습 부담을

인다.

넷째, 학생의 성, 능력, 진로를 고려하고, 평가 방법을 개선하여 교육 과정이 효

율 으로 운 될 수 있도록 한다.

제6차 과학과 교육 과정은 제5차 교육 과정을 용하면서 나타난 문제 을 종합

하여 다음과 같은 개정 방침을 정하 다.

Page 2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9 -

첫째, 학습 내용의 성을 보완한다.

둘째, 탐구 활동을 강화한다.

셋째, 학습 분량을 정화한다.

넷째, 학습 동기를 유발하도록 흥미 있는 소재를 선정한다.

다섯째, 평가 방법을 개선한다.

(1) 목 표

자연 상의 탐구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기본 인 탐구 방법과 과학 지식을

습득하여 창의 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① 기본 인 탐구 방법을 습득하여, 실생활 문제 해결에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한

다.

② 탐구 활동을 통하여 기본 인 과학 지식을 이해하고, 자연 상을 설명하는

데에 이를 용하게 한다.

③ 자연 상과 과학과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계속하여 탐구하려는 태도를 기르

게 한다.

④ 과학이 기술의 발달과 사회 발 에 미치는 향을 인식하게 한다.

(2) 내 용

<1학년>

① 지각의 물질과 변화 ② 주변의 생물 ③ 물질의 특성과 분리 ④ 힘과 운동

<2학년>

① 물질의 구성 ② 생물의 구조와 기능 ③ 기와 물의 순환 ④ 기와 자기

<3학년>

① 일과 에 지 ② 물질의 반응 ③ 유 과 진화 ④ 지구와 우주 ⑤ 자연 환경과

우리 생활

Page 2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20 -

교육과정

기기간 배경 기본 방향과 특징 사조 미국

교수

요목기

1945~

1954

미국의 군정

시기에 제정

-교과명이 이과

-생활 심으로

실과 교육 포함

과목 심

교과 심

진보

시기

제1차

교육과정

1954~

1963

교과과정으

로 , 최 로

제정

-과학 지식, 능

력, 태도제시

-주변의 생활 심

교과 심

생활 심

1950년

후반

제2차

교육과정

1963~

1973

국가 ,사회

변화에 따

른개정

-기 주요내용

정선

-생물, 천문, 지학,

인체, 물상

생활 심

신기

1970년

후반

제3차

교육과정

1973~

1981

세계의 과학

교육개 에

따른 개정,

학문 심교

육과정

-과학의 기본개념

과탐구 시

-탐구 방법의 강화

-과학 학습량의 증

학문 심침체기

제4차

교육과정

1981~

1987

경제 성장에

따른 개정,

인간 심주

의도입

-과학의 개념

과학 사고 시

-과학 생활 태도

인간 심

1980년

이후

제5차

교육과정

1987~

1992

S.T.S도입,

학문내용

경제 발 에

따른 개정

-과학, 기술의 계

-발달 과정 고려인간 심

탐색기

S.T.S도입

6차

교육과정

1992~

1999

탐구 과정

향상을 한

개정

-실생활 소재 비

강조

-과학 소양과

탐구 과정 강조

종합S.T.S강조

<표 2>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Page 2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21 -

3. 과학과 교육 과정 개정의

제6차 과학과 교육 과정의 진단과 평가는 교육 과정이 학교 장에서 용된 기

간이 짧은 계로 충분한 조사, 연구가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따라서, 제6차 과학

과 교육 과정의 운 실태를 심으로 장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 다. 조사 결

과를 바탕으로 과학과 교육 과정을 개발하 으며, 학교 과학과 개정에서 을

두었던 것을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간의 연계성 있는 교육 과정을 개발하 다.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정신을 살려서, 등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연계성 있는 교육 과

정을 개발하 다. 물리, 화학, 생물 지구 과학의 기본 인 과학 개념으로 에

지, 물질, 생명, 지구를 정하고 등학교 3학년에서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개념

상의 비약이 없이 연계성을 가지도록 교육 과정을 개발하 다.

그리고 제6차 교육 과정은 등학교, 학교, 고등학교로 나뉘어 교육 과정이 개

발되었기 때문에 학교 간에 교육 과정 수 의 차이가 있어 학생들이 학습에 어

려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학교 간의 차이를 게 하기 하여 등

학교에서 학교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내용이나 수 에서 많은 격차가 생기지 않

도록 유의하여 교육 과정을 개발하 다.

특히, 등학교 6학년과 학교 1학년의 학습 주제 수를 동일하게 하여 등학교

와 학교의 수 차이를 이도록 하 다. ,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교육 과정의

내용 제시 방법이 진 으로 변하게 하 다. 등학교 6학년과 학교 1학년은

같은 수 의 활동 심 는 개념 심으로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발하

고, 학교 2학년과 3학년은 비교 개념 심으로 학습을 하되 학습 주제 수를

이는 신에 내용은 늘이는 방향으로 개발하 다.

학교 과학의 학습 내용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마지막 학년인 고등학

교 1학년 과학의 가장 기본 인 개념, 즉 에 지, 물질, 생명, 지구의 개념에

이 맞도록 교육 과정을 개발하 으며, 탐구와 환경을 강조하도록 하 다.

지식은 에 지, 물질, 생명, 지구의 네 분야로 나 고, 다시 각 분야를 4개의

Page 2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22 -

역으로 구분하여 모든 학년에 걸쳐서 각 역의 내용이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주제를 설정하 다. 에 지 분야는 힘과 운동, 기, 동 에 지로, 물질은 물

질의 성질, 물질의 구조, 물질의 변화 에 지로, 생명은 생명의 다양성, 생태계,

생명의 연속성, 물질 사 항상성, 지구는 기와 물의 순환, 지구의 물질과 변

화, 지구의 변동과 역사, 태양계와 우주와 같이 각각의 분야는 4개 역으로 나

었다.

학습 주제의 수를 학년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3학년에서 5학년은 16주제, 6학년

과 7학년은 12주제, 8학년과 9학년은 8주제를 선정하고, 10학년에서는 각 분야에서

1주제씩 선정하여 개념 체계를 세웠다. 학년에서는 비교 작은 크기로 학습 주

제 수를 많게, 고학년에서는 큰 학습 주제를 선정하여 개념을 심화시킬 수 있도록

고려하 다. 이와 같은 구성은 학습자들의 학습 능력 흥미를 고려하여 학습 교

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련이 깊은 학습 주제를 묶

어서 함께 학습할 수 있도록 교재 구성이 가능하게 하 다.

둘째, 교육 과정 내용을 축소하고, 학습 주제의 수를 늘 다. 제7차 교육 과정에

서는 제6차 교육 과정보다 학교 1학년의 시간이 주당 1시간이 축소되었다. 그리

고 제7차 교육 과정에서 과학과는 심화․보충 과정으로 운 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7차 과학과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 내용을 종 보다 30% 정도 이도록 노력하

다. 한편, 새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 주제 수를 늘 다. 제6차 교육 과정에서는

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학년당 4단원이고, 3학년만 환경 단원이 1개 단원이

더 있다.

따라서, 1단원을 학습하는 데에는 약 2개월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새 교

육 과정에서는 학교 1학년은 등학교 6학년과 같이 12개의 학습 주제가 개발

되어, 한 학습 주제에 약 3주의 기간이 소요되고, 학교 2학년과 3학년은 각각 8

개의 학습 주제가 개발되어, 한 학습 주제를 배우는 데 약 1개월이 필요하여, 학생

들의 학습 능력에 알맞은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심화 교육 과정을 개발하 다. 새 교육 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한다면

수 별 교육 과정의 운 이라고 할 수 있다. 수학과 어는 단계형 수 별 교육

과정으로, 국어, 사회 과학은 심화․보충형 교육 과정으로 운 된다. 과학과는

Page 3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23 -

등학교 3학년부터 10학년인 고등학교 1학년을 상으로 용되며, 기본 과정과

심화․보충 과정으로 구성된다. 기본 과정은 모든 학생들이 공통 으로 학습해야

할 기본 필수 내용으로 구성하고, 심화․보충 과정은 학습 능력에 응하여 자기

주도 으로 학습이 가능하도록 기본 과정에 근거해서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을

운 하여야 한다.

심화 과정은 기본 과정의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을 상으로 하며, 앞으로 학습하

게 될 교육 과정에 있는 내용은 배제하고, 기본 학습을 성공 으로 이수한 학생들

에게 추가 으로 제공하는 과제 학습이나 활동을 통하여 기본 과정을 심화하여

학습의 경험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을 편성하도록

하 다. 반면에 보충 학습은 기본 과정을 성공 으로 이수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교육 과정이다.

심화․보충형 교육 과정의 운 은 같은 학 내에서 동시에 분단을 달리하여 심

화 학습과 보충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자기 주도 인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

도록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을 편성해야 한다. 보충 과정은 학생의 능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 으로 교육 과정을 개발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로 교

육 과정에 일 으로 보충 과정을 개발하여 제시하지 않기로 하 다.

심화․보충형 수 별 교육 과정은 기본(공통) 과정, 심화 과정, 보충 과정의 세

하 과정으로 구분하여 편성하기로 되어 있으나, 교육 과정상에는 기본 과정과

심화 과정으로 편성하기로 하 으며, 보충 과정은 실제 수업에서 충실히 운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 다.

그 방안으로는 ‘교수-학습 방법’ 항목에 보충 과정 지도의 방법을 제시하고, ‘교

수-학습 자료 개발 지침’ 항목에 교과용 도서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구체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되었다. 그리고 편제표에 제시된 교과별 연간 수업 시수

동안에 기본(공통) 과정을 심으로 운 하되,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도 함께 운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시간을 확보하여 보충 과정과 심화 과정을 지도

할 수 있다. 학교 1학년에는 학습 주제별로 1개의 심화 과정을, 2학년과 3학년은

2개 정도의 심화 과정을 개발하 다.

넷째, 종합 인 탐구 학습 활동을 강조하 다. 새 교육 과정에서는 탐구를 탐구

Page 3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24 -

과정과 탐구 활동으로 구분하 다. 탐구 과정은 다시 기 탐구와 통합 탐구를

선으로 나 어 제시하 는데, 여기에서 기 탐구는 탐구의 가장 기 이고 보

인 탐구 요소를 말하며, 통합 탐구는 기 탐구 요소가 복합 으로 포함된 보다

고차원 인 탐구 요소를 말한다. 그리고 탐구 활동은 탐구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의 유형을 나타낸 것으로, 토의, 실험, 조사, 견학, 과제 연구 등을 포함시켜,

가능하면 다양한 탐구 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 다.

종 과 같이 학습 내용에 따라 탐구 활동을 교육 과정에 명시하면, 학습 내용에

따라 정해진 탐구 요소와 탐구 활동에 한정하여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새 교육 과정에서는 교재를 개발하거나 지도하는 교사가 자유롭게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 다.

학습 주제에 따라 특정한 탐구 요소나 토의, 실험, 조사 등과 같은 교수-학습 활

동을 명시하지 않음으로써 다양하고 한 탐구 활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과서 개발자가 창의력을 발휘하여 한 탐구 활동을 제시할 수 있고, 교사들

이 학생들에게 알맞은 교수-학습 활동을 할 수 있게 하 다.

기 탐구인 찰, 분류, 측정, 상, 추리 등은 3학년부터 10학년까지 여러 학습

활동에서 강조하여 육성해야 할 탐구 능력으로 ○○○와 같이 표시하 다. 그러나

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변환,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일반화 등과

같은 과정은 3학년에서 5학년까지는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고려하여 알맞은 수

에 머물러 지도하여야 한다는 의미에서 ○표를, 6학년과 7학년은 ○○표를, 8학년

에서 10학년은 ○○○표를 하여 이러한 탐구 과정들이 학년의 수 에 따라 알맞

게 지도할 수 있도록 하 다.

한편, 탐구 활동은 토의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활동은 모든 학년에서 강조하여

학습 지도를 하도록 하 다.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 주제별로 특정 탐구 요소를 명

시하지 않고, 그 활동에 한 탐구 활동을 할 수 있게 열어 놓았다. 이 게 함으

로써, 교과서 개발자가 창의력을 발휘하여 한 여러 가지 탐구 활동을 제시할

수 있게 하 다. 뿐만 아니라 학교 장의 과학과 교사들이 다양하고 창의성 있는

탐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 다.

Page 3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25 -

4. 과학과의 성격과 특성

교육 과정은 1945년 교수 요목이 발표된 이후 제7차 교육 과정까지 8번 바 었

다. 국가는 어느 때나 마찬가지로 그 때마다 최선을 다하여 교육 과정을 개정하

다. 그러나 지나고 보면 좀더 보완하고 싶은 바가 있고 수정할 부분이 있게 마련

이다. 물론 교육 과정 개정의 필요성과 당 성 철학의 바탕 에 교과 내용면

에서 부분 인 수정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에서 본다면 아마도 제3차 교육 과

정과 이번의 제7차 교육 과정이 가장 큰 변화를 보여 주었다고 생각한다.

제3차 교육 과정은 세계 인 과학 교육 개 운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므

로 기본 개념의 이해와 탐구 과정의 강조라는 이 종 의 교육 과정과는 한

차이가 있었다. 이 번 제7차 교육 과정은 기존의 교육 제도를 무시하고 등학교

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10년간을 하나의 단 로 묶었다는 데 커다란 변화가 있

다. 3개의 학교 간을 한 묶음으로 한 것은 우리 교육 사상 커다란 변화이다.

매교육 과정 때마다 어려운 개념을 쉬운 개념으로, 그리고 탐구 과정을 요시하

려고 노력하 다. 그러나 생각 로 교실 장의 과학 교육은 제 로 실시되지 않

았다. 이러한 폐단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이 번에도 시도되었다. 제7차 교육 과

정에서는 학년에서는 주로 상 심의 내용으로 하되 한 개 단원의 크기를

이는 신에 단원의 수를 늘리도록 하고,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차 개념 심

의 내용으로 하면서 단원의 크기를 크게 하고 단원의 수를 게 하는 방향으로

설정하 다.

즉, 단원의 크기는 게 하고 단원의 수는 많게 하는 변화가 시도되었다. 등학

교 학년의 경우를 본다면 제3차 교육 과정 때에는 한 학기에 2개 단원으로 구

성되었던 것이 제4차 교육 과정 때부터 4개의 단원으로, 그리고 제7차 교육 과정

에서는 8개의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그것은 주의 집 이 어려운 시기에 하나의 단

원으로 2개월 정도 지속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에서 출발하여 2주 정도 지속하는

것으로 변화한 것이다.

제6차 교육 과정 운 에서 문제 으로 두된 첫째 번 요인은 학습량의 과다이

Page 3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26 -

다. 그러므로 학습량의 축소는 불가피한 일이다. 일반 으로 단원 수가 다는 것

은 한 단원에 들어가는 내용이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같은 단원에 있는 내용

은 상호 논리 인 체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당연히 개념 간의 계에 해서

보다 심층 으로 다루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 게 되면 불가피하게 학습량의 증

가를 가져오게 된다.

고학년의 경우, 잘 조작된 개념 체계를 가지는 것은 요한 일이겠으나, 학년

인 경우에는 논리 수 으로 볼 때, 이러한 요구는 매우 무리한 일일 아닐 수 없

다. 따라서, 학습량의 축소를 외형 인 단원의 수나, 도입하는 용어의 수가 아닌

실제로 수업에 할애되는 시간으로 보았다.

그러므로 단원의 규모를 이고 단원의 수를 늘이는 것이 오히려 학습량을 이

는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사고력이 비교 부족한 학년에서는 개념 체계의 확

립보다는 자연에 해 보고, 자연을 찰하고,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자연에 한

체험을 해 보는 것에 을 두었다. 이 게 되면 학습의 주제는 많을지 모르나,

학습에 소요되는 시간은 상 으로 어들 것이다.

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제6차 교육 과정과 마찬가지로 탐구 학습을 강조하지만

탐구 학습의 제시 방법을 다르게 하 다. 모든 활동은 탐구 으로 이루어지도록

하 으나, 제6차 교육 과정과 달리 학생들이 해야 할 탐구 요소를 명시하지 않았

다. 제6차 교육 과정에서 어떤 특정 탐구 요소를 제시한 결과, 그 활동에는 반드시

제시된 탐구 요소의 활동만 해야 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탐구 학습의 기본 취지에 어 나는 것이기 때문에 제7차 교육 과정에서

는 단원별로 특정 탐구 요소를 명시하지 않고, 그 활동에 한 탐구 활동을 할

수 있게 열어 놓았다. 이 게 함으로써, 교과서 개발자가 창의력을 발휘하여

한 탐구 활동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하여 7학년에서는 찰하고 분류하며 추리하고 가설을 설정하는 탐구 과

정 요소를 활용할 수 있고, 다른 단원에서는 실험 결과 얻은 자료로부터 자료

해석을 할 수도 있고 상을 설정할 수도 있다.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과학’은 3학년부터 10학년 학생을 상으로 하는

과목이다. 그러므로 ‘과학’은 국민의 기본 인 과학 소양을 기르기 하여 자연

Page 3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27 -

을 과학 으로 탐구하는 능력과 과학의 기본 개념을 습득하고, 과학 인 태도를

함양하기 한 과목이다. 10년간의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과학’은 종래의

․ ․고의 학교 별 구분을 없애고 3학년에서 10학년까지 연계성 있는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6차 교육 과정의 체제하에서 교육 과정의 내용, 방법 등 체제상의 가장 큰 비

약은 등학교 6학년에서 학교 1학년, 그리고 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

으로의 진 에서 나타난다.

학생의 입장에서 보면, 1년의 차이임에도 불구하고 교육 과정은 무나 격한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응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러한 을 감안하여,

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학교 간의 이동에 있어서 비약을 완화시키고 연속 인

변화를 주는 데 주안 을 두고 있다. 따라서, 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 ․고의

구분을 없애는 신에 다음과 같이 3단계로 구분하 다.

학년별 3단계 구분

3~5 학년 6~7 학년 8~10 학년

단원의 성격 상 심 상 개념 심 개념 심

단원의 크기 6차시/단원 8차시/단원 17차시/단원

단원의 수 16 12 8(6)

주당 수업 시수 3시간 3시간 4시간(3시간)

*( )는 10학년에 해당함.

교육 과정의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과학’에서는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

에 따라 학년은 단원명을 상 심 활동 심으로 하고 단원 수를 많게 하

다. 그리고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단원명을 개념 심으로 하고, 단원의 수를

임으로써 개념의 체계를 학습할 수 있게 하 다. 다시 말하면, ‘과학’의 학습은

학년에서는 자연 상을 찰하는 활동과 자연에 한 체험을 넓히는 활동을

통하여 자연에 친숙하게 하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차 으로 과학의 개념 학

습에 치 하도록 한다. , 환경과 일상 생활 문제를 학습의 소재로 활용하고, 탐

구 활동을 통하여 생활 주변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스스로 발견하고 해결하려는

태도를 기르도록 한다.

심화․보충 과정의 학습은 학생의 능력과 요구에 의해 선택 인 활동 심으로

Page 3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28 -

실시하며, 학생 개개인의 자기 주도 인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과학 인 재능을

발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제7차 교육 과정은 크게 지식과 탐구로 구분하 다. 지식과 에 지, 물질, 생명,

지구의 네 분야를 설정하고, 3학년에서 10학년에 이르기까지 연계성이 있도록 구

성하 다. 탐구는 탐구 과정과 탐구 활동으로 구분하 으며, 탐구 과정은 다시

찰, 분류, 측정, 추리, 상 등 기 탐구와 문제 발견, 가설 설정, 자료 변환, 자료

해석, 변인 조 , 결론 도출, 일반화 등 통합 탐구로 구분하 다. 그리고 토의, 조

사, 발표, 견학 등은 탐구 활동으로 구분하고, 학년에 증가함에 따라 심화 발 하

도록 구성하 다. 지식과 탐구에서 분야를 세분화하여 설정한 것은 과정에 걸

쳐서 요한 요소가 락됨이 없이 내용의 연계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함이다.

따라서, 각 분야는 다시 세분화된 역을 설정하고, 각 분야에서 설정한 역이

과정에 걸쳐서 연계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국 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에서 과학과는 심화․보충형 수 별 교육 과정을 실

시하도록 되어 있는데, 심화․보충형 수 별 교육 과정은 기본(공통) 과정을 심

으로 운 하되,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도 함께 운 하도록 하고 있다. 필요한 경우

에는 별도의 시간을 확보하여 보충 과정과 심화 과정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하 다.

심화․보충형 교육 과정의 운 은 같은 학 내에서 동시에 분단을 달리하면서

심화 학습과 보충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자기 주도 인 개별화 학습이 가능

하도록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을 편성해야 한다. 심화․보충 과정은 학교에서는

학교의 실정에 따라 다양하게 편성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학 편성 허용은 장 교사들에게는 자연스럽게 그들에

게 친숙한 수 별 반 편성으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학 내 집단 편성을 원

칙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개개 학교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학습 편성도 필요한 경우에는 외 으로 허용될 수 있다.

등학교 3학년부터 5학년까지는 활동 심의 학습 활동이므로 굳이 심화․보충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단되어 기본 과정으로만 구성하고, 6학년부터 10

학년까지는 기본 과정뿐만 아니라 기본 과정에 근거한 심화․보충 과정을 구성하

도록 하고 있다.

Page 3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29 -

따라서, 학교 교육 과정 1학년 과정은 내용의 수 방향에 있어서 등

학교 6학년과 긴 한 연 계하에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이 과정은 인지 발달

수 에 따라 등학교 학년을 상으로 상 심의 단원에서 ․고등학교 학

생을 한 개념 심의 단원으로 환되는 과도기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은 에 지, 물질, 생명, 지구 각 역에 따라 3개씩 총 12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각 주제에 할당된 시간은 8~9시간씩이다.

학교 2, 3학년 과정은 고등학교 1학년 과정과 연계성을 가지도록 되어 있지만,

고등학교 1학년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마지막 과정이므로 그 동안 배운

지식과 탐구 활동을 마무리하고 정리하는 단계로 보았으므로 학교 2, 3학년의

성격과는 약간 다른 특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학교 2, 3학년 과정은 개념

심으로 내용을 다루며, 각 학년에서 에 지, 물질, 생명, 지구 각 역에서 2개씩

총 8개의 단원을 다루고 있으며, 각 주제에 할당된 시간은 17시간이다.

, 학교 1학년부터는 각 단원에 심화 학습을 할 수 있는 소재 는 주제를 제

시하여 학생들의 학습의 폭 는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학교 1

학년은 교육 과정에 제시된 시간은 단원별로 8~9시간이므로 7시간은 기본(공통)

과정을 운 하고 1~2시간을 심화․보충 시간으로 운 하도록 하고 있다. 학교

2학년과 3학년은 단원별로 17시간이 배당되어 기본 과정에 13~15시간, 심화․보

충 과정에 2~4시간을 배당하여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기본 으로 건 한 민주 시민을 키우기 한 제도상의 변화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체제의 도입이다. 이 체제하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공통 필수 과목

이수를 심으로 운 하고 고등학교 2, 3학년에서 다양한 선택 과목을 이수하여

공 선택의 기회를 폭넓게 해 것이 큰 변화이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하여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에서 심화 보충

형 교육 과정을 도입하 으며, 심화 과정을 통하여 좀더 수월한 학생의 욕구를 충

족하여 뿐만 아니라 보충 과정을 통하여 지진한 학생들의 부족한 학습을 보충

하여 기회도 가지게 된다. 그리하여 재와 같이 교실 장에서 과목마다 심화

격차가 있는 학생들의 학습 수 을 고르게 해 기회를 가지도록 한다.

Page 3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30 -

Ⅲ. 제 7차 교육 과정

1. 개정의 배경과 경과

1) 개정의 배경

1995년 5월 31일, 통령 자문기구인 교육개 원회에서는 정보화․세계화 시

에 비하여 신교육체제 수립을 한 교육개 방안을 구상하여 발표하 다.

신교육체제는 구나,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길이 활짝 열

려진 ‘열린 교육 사회, 평생 학습 사회’의 건설을 비 으로 삼았다.

이러한 비 의 실 을 해 교육 운 을 ① 교육 공 자 심에서 학습자 심

교육으로, ② 획일 인 교육에서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으로, ③ 규제와 통제

심 교육 운 에서 자율과 책무성에 바탕을 둔 교육 운 으로, ④ 획일 균일주의

교육에서 자유와 평등이 조화된 교육으로, ⑤ 흑 과 분필 심의 통 교육에

서 교육의 정보화를 통한 21세기형 열린 교육으로, 그리고 ⑥ 질 낮은 교육에서

평가를 통한 질 높은 교육으로 환할 것을 제시하 다.

특히, 학생의 성과 능력에 따라 다양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하여 ①

필수과목 축소 선택과목 확 , ② 정보화․세계화 교육 강화, ③ 수 별 교육

과정의 편성․운 을 교육과정 개선 원칙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원칙 아래 교육개

원회 내에 「교육과정특별 원회」가 구성, 운 되어 1995년말 교육과정 개정

의 기본 골격이 마련되었다.

교육개 원회에서는 이러한 신교육과정의 기본 골격을 바탕으로 1996년 2월 9

일에 「 ․ 등학교 교육과정 개 」을 교육개 과제의 일환으로 제시하 는데,

①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체제에 의한 교육과정 편제 도입, ② 학생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 별 교육과정 도입, ③ 능력 심의 목표 진술과 구체 내용 제시의

Page 3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31 -

최소화, ④ 교육과정 지원 체제의 확립 등에 한 세부 인 개정 지침이 제시되어

있었다.

교육개 과제로 제시된 신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건 한 인성 발달을 도모하

고, 다양한 능력과 성을 존 하며, 독창 이고 유용한 지 가치를 생산할 창의

인 능력을 기르는 것을 강조하 다. 이 게 하기 해서는 우리나라 ․ 등학

교 교육과정에 한 반 인 재검토가 필요한 것이며, 학생들이 자신의 성과

소질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하여 능동 , 자율 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자 심의 교육과정”으로 개정되어야 한다고 하 다.

따라서, 신 교육체제 수립을 한 교육개 의 과정에서 ․ 등 학교의 교육과정

개정은 그 어느 것보다도 가장 근본 이고도 우선 인 교육개 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교육부가 ․ 등 교육법 제23조에 의거하여 고시하는 국가 수 의

교육과정은 의도 인 제도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 평가의 기 이 될 뿐만 아니

라, 교육의 지원 리 기능인 교육투자, 산, 행정, 교원의 양성․수 ․연수, 교

과서 등의 교육자료, 입시제도, 교육시설․설비 등에 한 정책 수립과 집행의 근

거가 되는 「교육의 기본 설계도」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 수립 후 제7차의 개정으로 기록되는 이번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요인은 세

계화․정보화․다양화를 지향하는 교육체제의 변화와 속한 사회변동, 과학․기

술과 학문의 격한 발 , 경제․산업․취업 구조의 변 , 교육 수요자의 요구와

필요의 변화, 교육여건 환경의 변화 등 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내외 인 체제

환경, 수요의 폭 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그 질과 속도, 범 가 종래와는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의 변

과 환으로서 지 까지의 학교 교육에서 다루어 온 교육내용 반에 걸친 근

본 이고 종합 인 검토와 개 을 요구하기에 이른 것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개정은 재까지 장기간에 걸쳐 시행․정착되어 온 교육의

역사와 성과의 맥락에서 추진되기 때문에 실 인 교육여건과 환경, 교육경험과

제도를 교육 개 의 이상 실 과 조화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여

러 가지 개정상의 제약과 다양한 요구가 뒤따르는 복잡한 선택과 의사 결정의 과

Page 3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32 -

정이기도 한 것이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이상과 실, 개 과 유지의 갈등 속에서 21세기의 정보화․

세계화 시 를 주도 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자율 이고, 창의 인 한국인을

기르기 해서는 학교 교육 자체가 안고 있는 내재 인 문제와 선행되어야 할 개

선 과제도 동시에 추진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한 효율 인 응 방안이 실

히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시 , 교육 요청에 부응하여 교육부에서는 1996년 3월부터 ․

등학교의 교육과정 개정 계획을 수립하고, 교육과정 체제․구조 개선 기 연구,

교원․학생․학부모의 개정 요구 조사,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등을 통하여 교

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 개정 업무를 추진하 다.

(기본 방향)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 를 주도할 자율 이고 창의 인 한국인 육성

- 건 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 ․기본 교육의 충실

- 세계화․정보화에 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 능력의 신장

- 학생의 성, 능력, 진로에 합한 학습자 심 교육의 실천

- 지역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 의 자율성 확

개정의 기본 방향에 따라 ․ 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 시안의 연구개발을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선 원회에 탁하고, 문가 의회, 공청회, 장 검

토, 심의 등의 과정을 거쳐, 1997년 2월 28일에는 ‘교육과정 총론의 편제와 시간

배당 기 ’ 개선안을 우선 으로 확정, 발표한 바 있다.

교육부에서는 이 교육과정 편제를 바탕으로 교과 교육과정(각론) 개발 지침을 작

성, 제시하고, 서울 학교 등 14개 연구기 , 학, 학회에 교과별 각론 개정시안의

연구개발을 탁하 으며, 각종 의회, 세미나, 공청회 그리고 시․도 교육청과

학교의 장 검토, 심의 수정․보완을 거쳐 1997년 12월 30일, 제7차 ․ 등

학교 교육과정을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로 확정, 고시하 다.

이번의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학교 장 각계의 다양한 요구와 의견을 폭넓게

Page 4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33 -

반 하여 국민 인 합의를 도출하고자 최 한의 노력을 기울 다. 지난 2년 동안

교육과정 문가, 학 교수, 장 교원, 학부모 등 연인원 14,332명이 교육과정 개

정에 참여하 고, 총론․각론 개발 의회, 세미나, 공청회 등 연 282회의 각종

의회를 개최하여 폭넓은 의견과 요구를 수용하 으며, 교육과정 운 원회, 학교

별 교과별 소 원회 등 127개의 교육과정 심의회에 1,786명의 심의 원이 참

여하여 ‘자율과 창의에 바탕을 둔 학생 심 교육과정’을 구성하고자 수많은 열과

성의를 다하 다.

개정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21세기의 학교 교육 모습을 망하면서 교육여건

과 환경이 조성된 인간 인 학교를 만들기 하여 지역이나 학교 실정에 알맞은

학교 교육과정이 다양하고 특색있게 운 되기를 기 하고 있으며 기본 으로 다

음과 같은 의미의 교육과정에 한 사고와 인식의 환을 요구하고 있다.

첫째, 교과서 심, 공 자 심의 학교 교육 체제가 교육과정 심, 교육수요자

심의 교육체제로 환됨을 의미한다.

둘째, 학교의 경 책임자인 교장과 수업 실천자인 교사가 교육 내용과 방법의 주

인이되고 문가의 치를 확보하게 됨을 의미한다.

셋째, 지역 학교의 특성, 자율성, 창의성을 충분히 살려서 다양하고 개성있는

교육을 실 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결국,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을 구 하기 해서는 국가에서 ‘주어지는 교육과정’

의 틀에 안주해 있기 보다는 교육 실천이 이루어지는 학교 장에서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흐름으로 교육과정을 이해하여 나가는 인식과 구조의 환이 필요하

다고 하겠다.

따라서, 교육과정 기 자체의 타당성이나 합성도 물론 요하겠으나, 앞으로

는 “학교 장에 주어진 학교교육과정 편성․운 의 자율성, 융통성, 창의성을 어

떻게 발휘하느냐”가 교육목표 실 의 보다 더 요한 변인이 될 것으로 본다.

Page 4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34 -

2) 개정의 경과

<표 3>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의 경과

추 진 내 용 시 기 담 당 비 고

◦신교육체제 수립을 한 교육개 방

- 교육과정 특별 원회 설치, 운

- ‧ 등학교 교육과정개 방안

’95. 5.31

’95. 8~’96. 2

’96. 2. 9

교 육 개

원 회 ∙신교육과정골격 마련

◦교육과정 개정 기본 계획 수립

- 개정안 연구 개발 탁

’96. 3. 19 교 육 부 ∙ 탁기 :한국교육개발원

∙ 탁과제:8과제

◦기 연구 총론 연구 개발

- 교육과정개정을 한 기 연구

- 총론 개정시안의연구 개발

’96. 3~’96.12 연 구 기 ∙연구진 연구 원:146명

∙의견조사:2,460명

∙운 의:7회, 408명

∙검토 수정보완:12회,

444명

◦합동 의회, 세미나 공청회

- 장교원, 련학회 등과의 합동

의회

- 수 별 교육과정개발 방향 탐색 세

미나

- 총론 시안에 한 공청회

’96. 6~’96. 8

’96. 6

’96. 7

’96. 8

교 육 부,

연 구 기 ∙참여인원:106명

∙참여인원:300명

∙참여인원:600명

◦총론시안검토‧수정

- 총론 개정안의심의

- 시‧도교육청, 학교의 장 검토

- 교원양성 학, 연구기 련학

회의 검토

- 수정‧보완 집 작업

’96.11~’97.2 교 육 부 ∙교육과정심의회:12 원회

∙심의회 개최:24회

∙심의 원:260명

∙15개 시‧도

∙연구학교:22개교

∙ 학, 연구기 :41개 기

∙ 련학회:11개 학회

∙2회

◦총론 개정안 확정 ’97. 2.28 교 육 부 ∙ 의, 검토:총80회

∙총론개정참여인원:

연4,598명

◦교육과정각론 연구개발 계획 수립

- 각론 연구개발 탁

- 각론 개발 지침 작성

’96.12

’96.12

’97. 1

교 육 부

∙ 탁기 :14개 기

∙ 탁과제:39과제

Page 4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35 -

추 진 내 용 시 기 담 당 비 고

◦각론 연구개발

- 교과별 기 연구 각론 연구

개발

- 교과별 의회 운

- 각론 조정워크

- 교과별 세미나(공청회)

’97. 1~’97.10

’97. 5

’97. 7~8

연구기

∙연구진:총530명

∙총124회(교과 평균 3회)

∙참여인원:150명

∙30교과, 약 5,000명 참여

◦각론 시안검토‧수정

- 각론개정 시안의심의

- 시‧도교육청, 학교의 장 검토

- 시‧도교육과정 담당 장학 의

’97.8.~’97.12

’97.8~9

’97.10~11

’97.11

교 육 부 ∙교과별심의회:115소 원회

∙심 의 원:1,526명

∙심의회 개최:각 교과 2회

∙ 장검토 원:160명

∙참 여 인 원:32명

◦종합심의 정리 작업

- 개정안 작성집 작업

- 교육과정심의회

- 문가 검토‧ 의

’97.11~12

’97.11~12

’97.12

’97.10~12

교 육 부

∙2회, 260명 참여

∙4회, 심의 원 205명

∙4회, 자문교수 5명

◦ 개정안 보고 ’97.12 교 육 부

◦ 제7차 ‧ 등학교 교육과정고시 ’97.12.30 교 육 부

※ 추진과정

<표 4> 제 7차 교육과정 추진과정

(’96. 3) (’96.11~’97.2) (’97.8~10) (’97.11~12) (’97.12)

기본 계획

총론 개정안

각론 개정안

총론 + 각론 → 확정‧고시

수 립 검토‧심의‧결정 검토‧심의‧결정개정안

심의‧결정(’98~2000)↓

(답신보고)(답신보고)

교과서 개편

( 탁) (’98~2000)↓

교원 연수

기 연구 →총론 개정 시안

→각론 개정 시안

→련 연구 ↓

연구‧개발 연구‧개발 (지원‧ 리방안) 국 용

(’96.4~7) (’96.4~10) (’96.12~’97.10) (’97~’98) (2000~2002)

Page 4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36 -

<표 5> 교육 과정 개정 업무 처리 흐름도

단 계 ― 업 무 추 진 내 용 소요 기간

⑴ 교육 과정 개정

기본 계획 수립―

◦ 개정 기본 방향 설정

◦ 계 문가와의 의 종합 검토

◦ 실무 작업반 구성․운

◦ 기본 계획수립, 결재

1개월

⇓ ⇓

⑵ 기 연구

체제․구조 개선

연구의 탁―

◦ 연구 개발 탁 의 기 선정

◦ 연구 개발 세부 계획서 국고 보조 신청서 제

◦ 연구 개발 책임자 의회

◦ 연구진, 의진 등 실무 추진 구성

◦ 연구 개발비 국고 보조

2개월

⇓ ⇓

⑶ 교육 과정 개정

기 연구

◦ 탁 과제별 기 연구

◦ 행 교육 과정의 분석, 평가

◦ 교육 과정 국제 비교, 연구

◦ 학생․교원․학부모의 요구 의견 조사

◦ 국가․사회 인 요구 학교 교육의 망 조사 연구

◦ 교육 과정 운 실태 조사

◦ 추진 상황 검토 의회

◦ 탁 과제별 의회

◦ 탁 과제별 기 연구 결과 답신 보고서 제출

◦ 국고 보조 집행 정산서 제출

6개월

⇓ ⇓

Page 4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37 -

⑷ 교육 과정 총론

개정 시안의 개발

◦ 교육 과정 체제․구조 개선 연구

◦ 추진 상황 검토 의회

◦ 종합 세미나, 공청회

◦ 시안 작성 검토 의회

◦ 수정․보완 1차 집 작업

◦ 수정안 작성 검토 의회

◦ 수정․보완 2차 집 작업

◦ 심의 자료 제출

◦ 제1차 심의

◦ 총론 개정 시안 작성

◦ 총론 개정 시안 개발 답신 보고서 제출

◦ 국고 보조 집행 정산서 제출

6개월

⇓ ⇓

⑸ 교육 과정 심의회

구성․운

◦ 교육 과정 심의회 구성

◦ 교육 과정 심의 원

◦ 총론 개정 시안에 한 1차 심의 자료 작성

◦ 총론 개정 시안 1차 심의

-운 원회 -학교 별 소 원회

◦ 심의 결과 수정․보완

◦ 총론 수정안 2차 심의

3개월

⇓ ⇓

⑹ 총론 개정 시안

장 검토, 공청회

◦ 총론 수정안에 한 의견 수렴

- ․ ․고등 학교 장 검토

-시․도 교육청, 련 학회, 각론 연구 기 , 타 부처

◦ 총론 수정안에 한 공청회

◦ 총론 수정․보완 집 작업

◦ 총론 개정안 작성

3개월

⇓ ⇓

⑺ 교육 과정 총론

확정―

◦ 교육 과정 개정 기본 방향, 개정 , 주요 개정

사항 보고

◦ 편제와 시간 배당 기 확정

◦ 교육 과정 총론 개정 자료 홍보 자료 발간

1개월

⇓ ⇓

Page 4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38 -

⑻ 교과별 각론 개정

시안 연구 개발

◦ 각론 연구 개발 탁 기 책임자 추천

◦ 착 정 기 과의 사 의 조정

◦ 각론 연구 개발 지침 작성

◦ 각론 개정안 개발 기본 계획 수립, 결재

◦ 각론 개정 시안 연구 개발 탁

◦ 연구 개발 책임자 의회 개최

◦ 교과별 연구 개발 세부 계획서 제출

◦ 교과별 국고 보조 신청서 제출

◦ 교과별 연구진, 의진 구성

◦ 연구 계획서, 보조 신청서 검토, 조정 확정

◦ 연구 개발 과제별 국고 보조 교부

2개월

⇓ ⇓

⑼ 교과별 각론 개정

시안 연구 개발

◦ 연구진, 의진 공동 의

◦ 교과별 연구 개발 계획의 상세화

◦ 교과별 각론 개발 기본 방향 설정

◦ 행 교과별 교육 과정 분석, 평가

◦ 교과별 교육 과정 국제 비교 분석

◦ 학생, 교원, 학부모 계 문가의 요구, 의견 조사

교과별 교육 과정 운 장 실태 조사

◦ 교과별 세미나, 의회

◦ 추진 상황 검토 의회

◦ 총론 각론 개발 조정 의회

◦ 교과별 각론 개정 시안 작성

◦ 교과별 수정․보완 집 작업

◦ 교과별 각론 개정 시안 답신 보고서 제출

◦ 국고 보조 집행 정산서 제출

8개월

⇓ ⇓

⑽ 교육 과정 각론

장 검토, 공청회

◦ 각론 수정안에 한 의견 수렵

- ․ ․고등 학교 장 검토

-시․도 교육청 련 학회, 타부처 등

◦ 각론 수정안에 한 공청회

◦ 각론 수정․보완 집 작업

◦ 교과별 각론 개정안 작성

3개월

⇓ ⇓

Page 4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39 -

⑾ 교육 과정 개정

시안(총론, 각론)

작성 ―

◦ 교육 과정 운 원회 최종 심의

◦ 학교 별 소 원회 최종 심의

◦ 종합 세미나 개최

◦ 교육 과정 개정 시안 종합 수정․보완

◦ 개정안 작성 최종 정리 작업

2개월

⇓ ⇓

⑿ 교육 과정 개정안

확정, 고시 ―

◦ 교육 과정 개정 시안 보고, 확정

◦ 새 교육 과정 고시

◦ 교육 과정 고시 책자 발간, 보

2개월

⇓ ⇓

⒀ 교육 과정 개정

후속 지원 업무

◦ 교과용 도서 개발

◦ 교육 과정 시행 비 교원 연수

◦ 교육 과정 해설서 발간․보

◦ 연수 자료, 홍보 자료 발간․보

◦ 교과별 이행 조치

◦ 시․도별 교육 과정 편성․운 지침 작성

◦ 학교 교육 과정의 편성․운

◦ 교과용 도서 실험 연구 학교 운

◦ 교육 과정 연구 학교 운

∘ 3년

∘ 3년

∘ 1년

∘ 1년

∘ 1년

∘ 1년

∘ 1년

∘ 3년

∘ 3년

⇓ ⇓

⒁ 새 교육 과정의

시행 ―◦ 학교 별 국 용

- 연차별, 단계 으로 시행

새 교육 과

정 고시 후

2~4년 소

Page 4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40 -

2. 개정의 기본방향과 특징

1) 기본 방향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 를 주도할 자율 이고 창의 인 한국인 육성

(목 표)

- 건 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 ・기본 교육의 충실

(내 용)

- 세계화・정보화에 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 능력의 신장

(운 )

- 학생의 능력, 성, 진로에 합한 학습자 심 교육의 실천

(제 도)

- 지역 학교 교육 과정 편성・운 의 자율성 확

2) 개정의 특징

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편성

- 국민 공통 기본 교육기간 설정 : 등 1학년~고등 1학년(10년 간)

- 단계 는 학년제 개념에 기 하여 일 성있는 구성

나. 고교 2, 3학년의 학생 선택 심 교육 과정 도입

- 일반 선택과 심화 선택으로 구분, 다양한 선택과목 개설

- 과정이나 계열의 구분없이 운 , 학생의 선택 폭 확

다. 수 별 교육 과정의 도입

- 학생의 능력, 개인차에 따른 다양한 교육 기회 제공

- 단계형, 심화・보충형, 과목 선택형 수 별 교육 과정 편성・운

라. 재량 활동의 신설 확

- 학생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의 신장

Page 4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41 -

- 학교 교육 과정 편성・운 의 자율성 학생의 선택권 부여

마. 교과별 학습량의 최 화와 수 의 조정

- 최 필수 학습 요소를 심으로 교과별 학습 내용 정선

- 이수 교과목 수의 축소와 범 ・수 의 정화 도모

바. 질 리 심의 교육 과정 평가 체제 확립

- 교과별 교육 목표 성취 기 설정

- 주기 인 학력 평가 학교 교육 과정 운 평가

사. 정보화 사회에 비한 창의성, 정보 능력 배양

- 컴퓨터 교육 내용의 강화, 정보 활용 교육의 강조

- 개방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을 진하는 창의 교육 활동

3)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 이념) : 교육기본법 제2조

우리 나라의 교육은 홍익 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 인격을 도야

하고, 자주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 과 인류 공 의 이상을 실 하는데 이바지

하게 함을 목 으로 한다.

(인 간 상)

가. 인 성장의 기반 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나. 기 능력을 토 로 창의 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다.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라. 우리 문화에 한 이해의 토 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마. 민주 시민 의식을 기 로 공동체의 발 에 공헌하는 사람

4) 교육 과정의 구성 방침

가. 사회 변화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길러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을 구성 한다.

Page 4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42 -

나.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과 선택 심 교육 과정 체제를 도입한다.

다. 교육 내용의 양과 수 을 정화하고, 심도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수 별

교육 과정을 도입한다.

라. 학생의 능력, 성, 진로를 고려하여 교육 내용과 방법을 다양화한다.

마. 교육 과정 편성과 운 에 있어서 장의 자율성을 확 한다.

바. 교육 과정 평가 체제를 확립하여 교육에 한 질 리를 강화한다.

5) 편제와 시간 배당 기

(1) 편 제

가. 교육 과정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과 고등 학교 선택 심 교육 과정으

로 구성한다.

나. 국민 공통 기본 과정은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으로 편성한다. <표 6>

➀ 교과는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 어)로 한다. 다만, 등 학교 1, 2 학년의 교과는 국어, 수학, 바

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우리들의 1학년으로 한다.

② 재량 활동은 교과 재량 활동과 창의 재량 활동으로 한다.

③ 특별 활동은 자치 활동, 응 활동, 계발 활동, 사 활동, 행사 활동으로

한다.

다. 고등 학교 선택 심 교육 과정은 교과와 특별 활동으로 편성한다,

➀ 교과는 보통 교과와 문 교과로 한다.

- 보통 교과는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와 한문, 교련, 교양 선택 과목으로 한다. <표 7>

- 문 교과는 농업, 공업, 상업, 수산․해운, 가사․실업, 과학, 체육, 술,

외국어, 국제에 한 교과로 한다. <표 8>

② 특별 활동은 자치 활동, 응 활동, 계발 활동, 사 활동, 행사 활동으로

한다.

Page 5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43 -

(2) 시간(단 ) 배당 기

(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

<표 6>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등 학 교 학 교 고등 학교

구 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국 어 238 204 204 204 170 136 136 136

국 어210 238

도 덕 34 34 34 34 68 68 34 34

사 회 102 102 102 102 102 102 136 170(국사68)수 학

120 136

수 학 136 136 136 136 136 136 102 136

바른 생활60 68

과 학 102 102 102 102 102 136 136 102

실 과 ․ ․ 68 68

기술․가정

슬기로운생활9 0

68

68 102 102 102

체 육 102 102 102 102 102 102 68 68

즐거운 생활1 8 0204

음 악 68 68 68 68 68 34 34 34

미 술 68 68 68 68 34 34 68 34우리들은 1학년

80 ․외국어( 어)

34 34 68 68 102 102 136 136

재량 활동 60 68 68 68 68 68 136 136 136 204

특별 활동 30 34 34 68 68 68 68 68 68 68 8 단

연간 수업시간 수

830 850 986 986 1,088 1,088 1,156 1,156 1,156 1,224 144 단

Page 5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44 -

① 이 표의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에 제시된 시간 수는 34 주를 기 으로 한

연간 최소 수업 시간 수이다.

② 1 학년의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에 배당된 시간 수는 30 주를 기 으로

한 것이며, ‘우리들은 1학년’에 배당된 시간 수는 3월 한 달 동안의 수업 시간

수를 제시한 것이다.

③ 1 시간의 수업은 등 학교 40 분, 학교 45 분, 고등 학교 50 분을 원칙으

로 한다. 다만, 기후, 계 ,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등을 고려하

여 실정에 알맞도록 조 할 수 있다.

④ 11, 12 학년의 특별 활동과 연간 수업 시간 수에 제시된 숫자는 2 년 동안

이수하여야 할 단 수이다.

Page 5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45 -

(나) 고등 학교 선택 심 교육 과정

(1) <표 7> 보통 교과

구 분국민 공통기본 교과

선 택 과 목

일반 선택 과목 심화 선택 과목

국 어도 덕

국어(8)도덕(2)

국어 생활(4)시민 윤리(4)

인간 사회와 환경(4)

화법(4), 독서(8), 작문(8), 문법(4), 문학(8)윤리와 사상(4), 통 윤리(4)한국 지리(8), 세계 지리(8), 경제 지리(6)한국 근․ 사(8), 세계사(8), 법과 사회(6)정치(8), 경제(6), 사회․문화(8)

사 회사회(10)

(국사 4)

수 학

과 학

기술․가정

수학(8)

과학(6)

기술․가정(6)

실용 수학(4)

생활과 과학(4)

정보 사회와 컴퓨터(4)

수학 Ⅰ(8), 수학 Ⅱ(8), 미분과 분(4)확률과 통계(4), 이산 수학(4)물리Ⅰ(4), 화학Ⅰ(4), 생물Ⅰ(4), 지구과학 Ⅰ(4)물리Ⅱ(6), 화학Ⅱ(6), 생물Ⅱ(6), 지구과학Ⅱ(6)농업 과학(6), 공업 기술(6), 기업 경 (6)해양 과학(6), 가정 과학(6)

체 육음 악미 술

체육(4)음악(2)미술(2)

체육과 건강(4)음악과 생활(4)미술과 생활(4)

체육 이론(4), 체육 실기(4 이상)*음악 이론(4), 음악 실기(4 이상)*미술 이론(4), 미술 실기(4 이상)*

외국어

어(8)어 Ⅰ(8), 어 Ⅱ(8), 어 회화(8)어 독해(8), 어 작문(8)

독일어 Ⅰ(6), 랑스어 Ⅰ(6)스페인어 Ⅰ(6), 국어 Ⅰ(6)일본어 Ⅰ(6), 러시아어 Ⅰ(6)아랍어 Ⅰ(6)

독일어 Ⅱ(6), 랑스어 Ⅱ(6)스페인어 Ⅱ(6), 국어 Ⅱ(6)일본어 Ⅱ(6), 러시아어 Ⅱ(6)아랍어 Ⅱ(6)

한 문

교 련

교 양

한문(6)

교련(6)

철학(4), 논리학(4),심리학(4), 교육학(4),생활 경제(4), 종교(4),생태와 환경(4),진로와 직업(4), 기타(4)

한문 고 (6)

이수 단 (56) 24 이상 112 이하

재량 활동 (12)

특별 활동 (4) 8

총 이수 단 216

① ( ) 안의 숫자는 단 수이며, 1단 는 매주 50분 수업을 기 으로 하여 1

학기 (17주) 동안 이수하는 수업 량이다.

② 국민 공통 기본 교과와 재량 활동에 배당된 단 수 특별 활동 4 단 는

10학년에서 이수하도록 한 것이다.

Page 5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46 -

③ * 표시한 체육, 음악, 미술 교과의 심화 선택 과목은 <표 8> 의 체육, 술

에 한 문 교과의 과목 에서 선택한다.

④ 교양 교과에서 심화 선택 과목이 필요한 경우 <표 8>의 과목 에서 선택

하거나, 시․도 운 지침에 의거, 새로운 과목을 신설할 수도 있다.

<표 8> 문 교과

Page 5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47 -

교 과 과 목 기 학과

농업에

한교과

농업 이해

생물 공학 기

산림 자원 기술

원 기술Ⅰ

사육 기술Ⅱ

농업 기계 공작

농 과 농지 개발

식품 생

환경 리Ⅰ

조경 기술Ⅱ

기타

농업 기 기술

재배

원 기술Ⅱ

에와 비단

농업 기계 기술Ⅰ

농업 토목 기술Ⅰ

식품 가공 기술Ⅰ

환경 리Ⅱ

농산물 유통

농업 정보 리

작물 생산 기술

생활 원

축산

잠사 기술

농업기계기술Ⅱ

농업토목기술Ⅱ

식품가공기술Ⅱ

조경

유통 리Ⅰ

농업 경

숲과 인간

생산 자재

사육 기술Ⅰ

농업 기계

농업과 물

식품 과학

환경 보

조경 기술Ⅰ

유통 리Ⅱ

식물 자원과

동물 자원과

농업 경 과

농업 토목과

식품 가공과

농업 기계과

조경과

농산물유통과

환경 보 과

기타 학과

공업에 한

교과

공업 입문

기계 일반

기계 공작법

기계 기 공작

형 제작

자 기계 제어

주조

석재 가공

기 응용

력 설비Ⅱ

자․ 산 응용

정보 통신

로그래

토목 설계

수리․토질

건축계획일반

화공 계측 제어

응결․경화 세라믹

식품 공업Ⅰ

제포․ 제

평 인쇄

자동차․건설 기계

건설기계 구조․정비

선박 건조

항공기 장비

수질 리

기 제도

기 일반

원동기

공작 기계Ⅰ

자 기계 이론

속 재료

속 처리

시추․지하수

기 회로

기․ 자 측정

자 회로

통신 시스템

디지털 논리 회로

토목 일반

지 산

건축 시공Ⅰ

색채 리

공업 화학

뉴 세라믹

용융 세라믹

식품 공업Ⅱ

염색․가공 

특수 인쇄

자동차 기

선박 이론

항공기 일반

항공기 자 장치

폐기물 처리

정보 기술 기

공업 어

유체 기기

공작 기계Ⅱ

자 기계 회로

속 제조

자원 개발

자원 개발 조성

기 기기

자동화 설비

계측 제어

컴퓨터 구조

멀티미디어

측량

지 실무

건축 시공Ⅱ

조형

단 조작

소결 세라믹

발효 공업

섬유 재료

인쇄 일반

사진․ 자제

자동차 시

선박구조

항공기 기체

환경 공업 일반

기타

문 제도

기계 설계

공기 조화 설비

산업 설비

자 기계 공작

소성 가공

화약․발

자원 개발 기계

력 설비Ⅰ

자 기기

통신 일반

시스템 로그

역학

토목재료․시공

건축 구조

건축 시공Ⅲ

제품 디자인

제조 화학

고온 세라믹

식품 제조 기계

방 ․방사

인쇄 재료

사진 기술

자동차 기

선박 의장

항공기 기

기․소음방지

기계과

자 기계과

속과

자원과

기과

자과

통신과

자계산기과

토목과

건축과

산업 디자인

화학 공업과

세라믹과

식품 공업과

섬유과

인쇄과

자동차과

조선과

항공과

환경 공업과

기타 학과

상업에 한

교과

상업 경제

상업 법규

원가 회계

무역 어

로그래 실무

그래픽 디자인

비서 실무

기타

회계 원리

상업 계산 실무

세무 회계

국제 상무

시각 디자인 일반

컴퓨터 그래픽

사무 자동화 일반

고 일반

컴퓨터 일반

경 실무

회계 실무

자료 처리

사진

경 실무

사무자동화실무

유통 리 일반

경 요

기업 회계

자 계산 실무

시각디자인실무

비서 일반

문서 실무

유통 정보 실무

경 정보과

회계 정보과

통상 정보과

정보 처리과

시각디자인과

경 과

비서과

사무자동화과

유통 경 과

기타학과

Page 5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48 -

수산․해운

에 한 교과

수산일반

수산 생물

양식 생물 질병

수산물 매 리

냉동 기계

선박 기․ 자

잠수 기술

해사 어

자 통신 운용

해사 일반

수산 경 일반

수산 가공

해양 환경

냉동 설비․설계

기계 설계․공작

항해

선화 운송

기타

해양 일반

어업

수산 가공 기계

해양 오염

열기

해양 토목

선박 운용

자 통신 공학

수산․해운 정보

처리

수산 양식

수산물 유통

냉동 일반

선박 보조 기계

해양구조물설계․

시공

해사 법규

자 통신 기기

어업과

수산 양식과

자 수산과

수산 식품과

수산물유통과

해양 환경과

냉동 기계과

동력 기계과

해양 토목과

항해과

선박 운항과

자 통신과

기타 학과

가사․실업

에 한 교과

인간 발달

외국 조리

한국 의복 구성

한국 무늬

가구 디자인

유아놀이․표 지도

조리

헤어 미용

식품과 양

제과 제빵

서양 의복 구성

자수

디스 이

일반

피부 리

식 리

의복 재료․

홈 패션

주거

유아 교육 리

여행 업무

일본어

공 보건

한국 조리

복식 디자인

편물

실내 디자인

유아 생활 교육

호텔 업무

노인 생활 지원

기타

조리과

의상과

자수과

실내 자인과

유아 교육과

노인복지․간호과

미용과

기타학과

과학에

한교과

물리 실험

과학사

고 수학

고 지구 과학

과학과 기술

기타

화학 실험

자 과학

고 물리

과제 연구Ⅰ

원서 강독

생물 실험

컴퓨터 과학Ⅰ

고 생물

환경 과학

과학 철학

체육에

한교과

체육 개론

체조 경기

사격

사이클

볼링

스포츠 과학

구기

수 경기

양궁

스키

기타

육상

무용

구기 경기

역도

요트

펜싱

체조

육상 경기

투기

빙상

조정

배드민턴

술에

한 교과

음악이론

실내악

음악 감상

미술 이론

무용 이론

무용 창작

문학 개론

문학

연극 개론

화술

공실기

사진 개론

암실 실기

기타

음악사

합창․합주

미술사

조소

상 미술

무용사

무용

무용 감상

문학사

시 창작

화 개론

기 연기

사진사

조명실기

시창․청음

연주

소묘

디자인

동작 분석

민속 무용

문장론

소설 창작

연극사

무 기술

기 촬 실기

사진 편집

공 실기

컴퓨터와 음악

회화

한국 무용

무용 음악

고 문학

희곡 창작

화사

라디오․텔 비

촬 실기

음악과

미술과

무용과

문 창작과

연극 화과

사진과

Page 5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49 -

외국어에

한 교과

어 독해Ⅰ

어 작문Ⅰ

어권 문화

독일어 독해Ⅰ

독일어 작문Ⅰ

독일 문화

랑스어 독해Ⅰ

랑스어 작문Ⅰ

랑스 문화

스페인어 독해Ⅰ

스페인어 작문Ⅰ

스페인어권 문화

국어 독해Ⅰ

국어 작문Ⅰ

국 문화

일본어 독해Ⅰ

일본어 작문Ⅰ

일본 문화

러시아어 독해Ⅰ

러시아어 작문Ⅰ

러시아 문화

아랍어 독해Ⅰ

아랍어 작문Ⅰ

아랍 문화

기타

어 독해Ⅱ

어 작문Ⅱ

실무 어

독일어 독해Ⅱ

독일어 작문Ⅱ

실무 독일어

랑스어 독해Ⅱ

랑스어 작문Ⅱ

실무 랑스어

스페인어 독해Ⅱ

스페인어 작문Ⅱ

실무 스페인어

국어 독해Ⅱ

국어 작문Ⅱ

실무 국어

일본어 독해Ⅱ

일본어 작문Ⅱ

실무 일본어

러시아어 독해Ⅱ

러시아어 작문Ⅱ

실무 러시아어

아랍어 독해Ⅱ

아랍어 작문Ⅱ

실무 아랍어

어 회화Ⅰ

어 청해

독일어 회화Ⅰ

독일어 청해

랑스어 회화

랑스어 청해

스페인어 회화

스페인어 청해

국어 회화Ⅰ

국어 청해

일본어 회화Ⅰ

일본어 청해

러시아어 회화

러시아어 청해

아랍어 회화Ⅰ

아랍어 청해

어 회화Ⅱ

어 문법

독일어 회화Ⅱ

독일어 문법

랑스어 회화Ⅱ

랑스어 문법

스페인어 회화Ⅱ

스페인어 문법

국어 회화Ⅱ

국어 문법

일본어 회화Ⅱ

일본어 문법

러시아어 회화Ⅱ

러시아어 문법

아랍어 회화Ⅱ

아랍어 문법

어과

독일어과

랑스어과

스페인어과

국어과

일본어과

러시아어과

아랍어과

국제에

한교과

어 강독

국어 강독

국제 정치

정보 과학

한국의 통 문화

과제연구

독일어 강독

일본어 강독

국제 경제

국제법

한국의 사회

능 실습

랑스어 강독

러시아어 강독

국제 문제

지역 이해

한국어

기타

스페인어 강독

아랍어 강독

비교 문화

인류의 미래 사회

이수 단 82~

① 문 교육을 주로 하는 고등 학교에서는 <표 8>에서 필요한 문 과목을

82 단 이상 이수한다.

② 문 교육을 주로 하는 고등 학교에서는 다음 과목을 필수로 이수한다.

㉮ 농업 계열 : 농업 이해, 농업 기 기술, 농업 정보 리

㉯ 공업 계열 : 공업 입문, 기 제도, 정보 기술 기

㉰ 상업 계열 : 상업 경제, 회계 원리, 컴퓨터 일반

㉱ 수산․해운 계열 : 해양 일반, 수산․해운 정보 처리, 수산 일반 (수산 계

Page 5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50 -

열), 해사 일반 (해운 계열)

㉲ 가사․실업 계열 : 인간 발달, 컴퓨터 일반

㉳ 외국어 계열 : 각 학과 해당 외국어 과목Ⅰ 청해

㉴ 국제 계열 : 어 강독, 지역 이해, 한국의 통 문화

③ 문 교과의 각 과목에 한 이수 단 는 시․도 교육감이 정하되, 외국어와

국제에 한 교과의 각 과목별 이수 단 는 8단 이하로 배당한다.

④ 국제 계열 고등 학교에서 이수하는 외국어 과목은 외국어에 한 교과의 과

목에서 선택하여 이수한다.

3.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요

1) 주요 특징

(1) 기본 방향

(1) 학교 간의 연계성이 있는 교육과정으로 구성하 다.

(2) 교육과정 내용(단원의 크기)을 축소하고, 학습주제의 수(단원 수)를 늘 다.

(3) 등 3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는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에 해당하며,

심화․보충형 수 별 교육과정으로 구성하 다.

(4) 기본개념과 탐구과정을 시하는 종합 인 탐구학습 활동을 강조하 다.

(5)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을 개선하는데 교사 스스로 참여토록 하 다.

(2) 주요 내용

(1) 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는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으로, 내용

구성을 학년(3-5학년), 학년(6-7학년), 고학년(8-10학년)의 3단계로 구분하여,

학교 간, 학년간의 학습내용이 복되거나 수 의 격차가 없도록 하고, 연계성이

유지되도록 조정하 다.

(2) 내용은 지식 역을 에 지, 물질, 생명, 지구 역으로 구분하고, 탐구 역을

Page 5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51 -

탐구과정과 탐구활동으로 구성하 다.

(3) 학년별 학습내용은 학년 16개 주제, 학년 12개 주제, 고학년 8개 주제(10

학년은 6개)로 하여, 상 심의 탐구활동으로부터 기본개념 심의 탐구학습을

하도록 하 다.

(4) 내용 진술은 개념과 탐구과정을 포함하는 학생 심의 문장으로 진술하 다.

(5) 학생 발달단계에 합하도록 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다수의 작은 주

제 학습’에서 ‘소수의 큰 역 학습’으로, ‘ 상 심의 기 탐구과정 학습’에서

‘개념 심의 통합 탐구과정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배열하 다

행 교육과정에서 내용 체계는 크게 지식과 탐구로 구분하고, 지식은 에 지,

물질, 생명, 지구로 구분되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 연구 개발자들(김범기 외,

1999)은 이러한 내용 체계표를 작성한 배경을 주제의 성격, 주제의 수 크기

로 설명하 다(<표 8> 참조).

학년

단원3~5학년 6~7학년 (가) 8~10학년

주제의 성격 상 심 상․개념 개념 심

주제의 크기 6차시/단원 8차시/단원 17차시/단원

주제의 수 16 12 8(6)

<표 9>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각 단계별 주제의 성격, 크기 수

* ( )는 10학년에 해당함.

제7차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원칙은 학년에서는 상 심의 주제를 도입하고

차 개념 심의 주제를 도입하여 고학년에서는 개념 심의 주제를 도입하며,

학년에서는 한 주제에 한 집 도가 오래가지 못하므로 역(단원)수는 많게

하고 그 크기는 작게 하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진 으로 역 수는 감소하고 그

크기는 증가시키도록 한다는 것이다.

Page 5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52 -

2) 성 격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과학’은 3 학년부터 10 학년까지의 학생을 상으

로 하며, 국민의 기본 인 과학 소양을 기르기 하여 자연을 과학 으로 탐구

하는 능력과 과학의 기본 개념을 습득하고, 과학 인 태도를 기르기 한 과목이

다.

‘과학’의 내용은 에 지, 물질, 생명, 지구 등의 지식과 탐구 과정 탐구 활동으

로 구성한다. 과학 지식의 각 분야는 다시 여러 개의 역으로 구분하여 학년

에 걸쳐서 연계성이 있도록 하며, 과학의 기본 개념을 탐구 과정과 탐구 활동을

통하여 체계 으로 학습하도록 구성한다. , 3 학년부터 5학년까지는 기본 과정으

로 구성하고, 6 학년부터 10 학년까지는 기본 과정과 기본 과정에 근거한 심화‧보

충 과정으로 구성한다.

‘과학’의 학습은 학년에서는 자연에 한 찰과 경험을 통하여 자연에 친숙하

게 하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차 으로 과학의 개념 이해에 주안 을 두도록

한다. , 환경과 실생활 문제를 학습의 소재로 활용하고, 탐구 활동을 통하여 생

활 주 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스스로 발견하고 해결하려는 태도를 기르도록 한다.

심화‧보충 과정의 학습은 학생의 능력과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선택 활동 심으

로 실시하며, 학생 개개인의 자기 주도 인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과학 인 소

질을 발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한다. , 과학의 단편 인 지식 달보다

는 기본 개념을 유기 이고, 통합 으로 이해하도록 하고, 창의성, 개방성, 객 성,

합리성, 동심을 기르는 데 유의한다.

3) 목 표

과학과의 목표는 과학 학습 후 도달하여야 할 행동으로 과학의 본질 측면인

기본 개념과 탐구 과정, 과학의 호기심 과학 학습 동기 유발, 표 력 신장, 탐

구 능력 신장, 과학․기술․사회와의 계 등 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설정하

다.

Page 6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53 -

<과학과의 목표>

자연 상과 사물에 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의 지식 체계를 이해하

며, 탐구방법을 습득하여 올바른 자연 을 가진다.

① 자연의 탐구를 통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실생활에 이를 활용한다.

② 자연을 과학 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르고, 실생활에 이를 활용한다.

③ 자연 상과 과학 학습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실생활의 문제를 과학 으

로 해결 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④ 과학이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발 에 미치는 향을 바르게 인식한다.

여느 때와 같이 목표는 총 목표와 항목별 목표로 구분된다. 총 목표는 학교

과정을 이수한 후에 학생들이 도달해야 종착역이다. 반면에 이러한 총 목표를

도달하기 한 과정이 네 가지의 항목별 목표이다. 다만 6차 교육 과정 때와 달리

탐구 과정의 목표가 첫째 항에서 둘째 항으로 가고 둘째 항에 있던 기본 개념의

이해가 첫째 항으로 온 것이 큰 변화이다.

과학과의 세부 목표를 인지 측면, 탐구 과정 측면, 정의 측면, 과학․기술․

사회와의 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 측면에서의 목표는 자연의 탐구를 통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

하고 실생활에 이를 용한다.

교과 내용을 선정, 조직함에 있어서 제6차 교육 과정이 개념 심으로 설정되어

있어 구체 조작기에 있는 학년 학생들에게는 개념 습득에 많은 어려움이 있

을 수밖에 없다. , 학년 학생들은 한 과제에 한 집 력이 고학년에 비해 상

으로 낮으므로, 학년 학생들에게는 단원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학생의 인지 발달 단계와 집 력의 차이를 고려

하여 학년에서는 주로 상 심의 내용으로 하되 한 개 단원의 크기를 이는

신에 단원의 수를 늘이도록 한다. 그리고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차 개념

심의 내용으로 하면서 단원의 크기를 크게 하고 단원의 수를 게 하는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학교 학생들의 인지 수 은 구체 조작 단계에서 형식 조작 단계로 이 하

는 과도기 단계로 두 단계의 특징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따

Page 6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54 -

라서, 단원 내용의 조직도 학년에 따라 는 학생의 수 에 따라 구체 인 상

활동 심의 내용과 개념 심의 내용이 혼재되어 있다.

교과에서 다루는 내용도 자연 상에 한 직․간 인 찰 등의 탐구 과정을

거침으로써 일상 인 생활에서 과학 원리와 법칙을 확인하고 용할 수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 이 있다.

둘째, 탐구 과정 측면에서 보면, 자연 상의 탐구를 통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습득한다는데 그 목 이 있다. 탐구 학습은 제6차 교육 과정에서도 많이 강조된

부분이기는 하지만 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탐구 학습의 제시 방법을 이 과 다르

게 하고 있다. 특, 모든 활동은 탐구 으로 이루어지도록 하 으나, 단원별로 해야

할 탐구 요소를 명시하지 않는다.

제6차 교육 과정에서 어떤 특정 탐구 요소를 제시한 결과, 그 활동에는 반드시

제시된 탐구 요소의 활동만 해야 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탐구

학습의 기본 취지에 어 나는 것이기 때문에 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단원별로 특

정 탐구 요소를 명시하지 않고, 그 활동에 한 탐구 활동을 할 수 있게 열어

놓았다. 이 게 함으로써, 교과서 개발자가 창의력을 발휘하여 한 탐구 활동을

제시할 수 있게 하 다.

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탐구를 탐구 과정과 탐구 활동으로 구분하고 탐구 과정

을 기 탐구와, 통합 탐구로 나 었다. 그리고 탐구 과정은 탐구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 다. 이것은 탐구 과정의 수 이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차 으

로 분화되도록 하기 함이다.

기 탐구는 탐구의 가장 기 이고 보 인 탐구 요소를 말한다. 즉, 찰, 분

류, 측정, 추리, 상 같은 것은 기 탐구로 탐구 과정의 바탕이라 보았다. 이것을

토 로 다시 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변환,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일반화 등의 통합 탐구를 설정하 다. 통합 탐구는 기 탐구 요소가 복합 으로

포함된, 보다 고차원 인 탐구 요소를 말한다. 탐구 활동은 탐구 요소라고 할 수는

없으나 탐구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의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탐구의 유형과 이에 따른 각 요소를 나타내며, 각 탐구의 유형이 학년에

따라 어떻게 심화 발 되는지를 보여 다.

Page 6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55 -

따라서, 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7학년은 기 탐구 통합 탐구와 탐구 활동

을 하는데, 좀더 높은 단계의 탐구 활동이라 할 수 있는 통합 탐구, 즉 문제 발견,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변화,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일반화 등의 활동을 시작

한다. 그 다음 단계로 학교 2, 3학년 학생들도 1학년의 연장선상에서 기 탐구

와 통합 탐구를 바탕으로 탐구 활동을 한다. 그 게 함으로써 과학 개념을 습득하

는 데 주안 을 두고 있다.

<표 10> 학년에 따른 탐구 유형의 심화 발

탐 구학 년

탐구 요소3~5 6~7 8~10

탐구과정

기 탐구 찰, 분류, 측정, 상, 추리 등 ◦◦◦ ◦◦◦ ◦◦◦

통합 탐구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변환,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일반화 등

◦ ◦◦ ◦◦◦

탐구 활동 토의, 실험, 조사, 견학, 과제 연구 등 ◦◦◦ ◦◦◦ ◦◦◦

*◦: 학습 활동시 활용 빈도

셋째, 정의 인 측면에서 학생들이 자연 상과 과학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자기

주 의 문제들을 과학 으로 탐구하고 해결하려는 태도를 가지도록 하는 데 그

목 이 있다. 학생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인지 수 에 맞춰 소재 주제를 선정

하고 내용을 조직함으로써 학생들의 과학에 한 흥미와 심을 높이는 데 일차

인 목표를 가진다. 그 게 함으로써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에서 발생

하는 문제들을 과학 으로 탐구하고 해결하려는 태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학교 1학년은 활동 심과 개념 심의 과도기 인 치에 있지만, 학교 2,

3학년은 개념 심으로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학습 내용이 개념 심이라고는 하

지만 학문 체계에 을 두기보다는 주 환경이나 일상 생활에서 찰 가능

한 내용에 한 개념 근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심과 호기심을 자극할 만한 소재와 내용을 선정하는 것이

요하다. 그리고 문제가 주어졌을 때 그 문제의 해결에 과학 근을 하려는 태도

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요한 과제이며 목표이다. 이러한 과학 태도를 바탕으

로 자연 상을 설명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요한 목표 의 하나이다. 이러

Page 6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56 -

한 정의 인 측면의 목표는 과학을 머리로만 하고 가슴으로 느끼는 정의 인 측

면의 변화가 없는 한, 차디찬 과학 과목에서 재미있는 과학 과목으로 가까워질 수

있는 길은 쉽지 않다고 본다.

넷째, 과학․기술․사회와의 계 측면에서 과학이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발 에

미치는 향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 요한 목표이다. 학문 인 발달 과정으로 본

다면 형식주의 교육 과정이 오랜 세월을 지배해왔는데, 그것은 지나치게 지식

주의 교육, 형식 주의 교육, 암기 주의 교육의 틀 속에서 교육을 이끌어 왔다.

이에 한 반발로 경험주의 교육 과정, 흥미 주의 교육 과정, 아동 심의 교육

과정이 싹트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 과정은 흥미 주이며 학생 심이지만 개념 체계로 본다면 많은

문제 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경험주 교육 과정에 한 반발로 등장한 것이

학문 심 교육 과정이었다. 이 학문 심 교육 과정은 기본 개념을 시하고 탐

구 과정을 소 히 여기며, 학생들로 하여 과학 인 태도의 변화가 있는 것을

제로 하 다. 이 학문 심 교육 과정은 교육 과정 역사상 가장 큰 획을 는

환 이 되었다.

학문 심 교육 과정 이후에 과학의 발달은 물론이고 교실 장에서의 과학을

배우는 학생들의 학습 방법이나 교수 방법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학문 심

교육 과정이 교실 장에 커다란 향을 끼쳤지만, 지나친 학문 심 교육 과정

주의 미비 을 보완하기 하여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 인간 심 교육 과정이

었다. 이 때에도 기본 골격은 학문 심 교육 과정의 틀이 그 로 유지되었다.

그 이후에 과학 교육에 한 반성, 과학의 역기능에 한 회의, 순기능으로서의

과학 교육 등의 새로운 사상이 싹트게 되었다. 이 때에 많은 과학 교육 학자들은

과학을 생활 속에서 찾고 사회 속에서 찾으며, 기술 속에서 과학이 싹트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교실 장에서 모든 학생을 과학자로 키울 필요

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각자 과학 인 소양을 가지고 건 한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

질을 갖춘 사람을 키워야 한다는 생각 속에 통합 인 교육 과정의 틀이 나타나게

되었다.

제6차 교육 과정은 인간 심 교육 과정과 STS와 SATIS의 향을 받은 통합

Page 6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57 -

교육 과정이다. 제7차 교육 과정에서도 제6차 교육 과정의 기본 방향을 그 로 받

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특히 제7차 교육 과정의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

정인 ‘과학’에서는 과학․기술․사회의 련성을 강조하고 있다.

과학을 생활 속에서 찾고 사회 속에 과학을 연 짓고 기술 속에 과학이 내재되

어 있다는 것을 차장 내어 교실 장에 들여온다는 것은 퍽 의미 있는 일이다. 그

게 함으로써 과학이 과학자들만의 유물이 아니고 우리도 할 수 있으며 어려

운 내용이 아니고 우리가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주변의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어렵고 힘들고 남의 일만 같이 느끼는 과학을 우리 곁에 있고 재미있으며,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은 STS 인 도입이 시도하는 커다란 과

제이다.

Page 6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58 -

학년분야 3 4 5 6 7

에 지

‧자석놀이‧소리내기‧그림자놀이‧온도 재기

‧수평잡기‧용수철늘이기‧열의 이동‧ 구에 불 켜기

‧물체의속력‧거울과즈‧ 기회로꾸미기‧에 지

‧물속에서의무 게 와압력‧편리한도구‧ 자석

‧ 빛‧ 힘‧ 동

물 질

‧주의의 물질알아보기‧여러가지 고체의 성질알아보기‧물에 가루물질 녹이기‧고체 혼합분리하기

‧여러 가지 액체의 성질 알아보기‧혼합물 분리하기‧열에 의한 물체의 온도와부피 변화‧모습을 바꾸는 물

‧용액만들기‧결정만들기‧용액의 성질알아보기‧용액의 변화

‧기체의 성질‧여러가지기체‧촛불 찰

‧물체의 세가지 상태‧분자의 운동‧상태 변화와 에 지

생 명

‧ 리의 한살이‧어항에 생물기르기‧여러 가지잎 조사하기‧식물의 기찰하기

‧강낭콩기르기‧식물의 뿌리‧여러 가지 동물의 생김새‧동물의 생활찰하기

‧꽃과 열매‧식물의 잎이 하는일‧작은 생물찰하기

‧환경과 생물

‧우리몸의생김새‧주변의 생물‧쾌 한 환경

‧생물의 구성‧소화와 순환‧호흡과 배설

지 구

‧여러 가지돌과 흙‧운반되는 흙‧둥근 지구,둥근 달‧맑은 날, 흐린 날

‧별자리찾기‧강과 바다‧지층을 찾아서‧화석을 찾아서

‧날씨 변화‧물의 여행‧화산과 암석‧태양의 가족

‧계 의 변화‧일기 보‧흔들리는땅

‧지구의 구조‧지각의 물질‧해수의 성분과 운동

4) 내 용

(1) 내용 체계

<표 11>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지식 체계

Page 6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59 -

탐구

과정

찰,분류,측

정, 상, 추리

○○○ ○○○

문제 인식, 가

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변

환,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일

반화 등

○ ○○

탐구활동

토의,실험,조

사,견학,과제

연구 등

○○○ ○○○

학년분야

8 9 10

에 지‧ 여러 가지 운동‧ 기

‧ 일과 에 지‧ 류의 작용

‧ 에 지

‧ 탐구

‧ 환경

물 질‧ 물질의 특성‧ 혼합물의 분리

‧ 물질의 구성‧ 물질 변화에서의규칙성

‧ 물질

생 명‧ 식물의 구조와기능

‧ 자극과 반응

‧ 생식과 발생‧ 유 과 진화

‧ 생명

지 구‧ 지구와 별‧ 지구의 역사와지각 변동

‧ 물의 순환과 날씨 변화

‧ 태양계의 운동‧ 지구

탐구

과정

찰, 분류,

측정, 상, 추리

○○○

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변환,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일반화 등

○○○

탐구활동

토의, 실험, 조사,

견학, 과제 연구 등○○○

Page 6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60 -

(2) 학년별 내용

<7 학년>

⑴ 지구의 구조

㈎ 기권을 기온의 연직 분포에 따라 류권, 성층권, 간권, 열권 등으로 구분

하고 각 층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특징을 이해한다.

㈏ 주어진 지진 의 속도를 분포 곡선을 이용하여 지각을 포함한 지구 내부의 층

상 구조를 이해한다.

[심화 과정] 지구 구조 모형 만들기

⑵ 빛

㈎ 빛의 반사와 굴 상을 찰하고, 실생활에서 그 를 찾는다.

㈏ 리즘이나 분 기 등을 이용하여 빛의 분산을 찰하고, 환등기나 조명 장치

를 이용하여 빛을 합성한다.

[심화 과정] 물 속에서의 반사 찰하기

⑶ 지각의 물질

㈎ 지각을 구성하는 8 원소와 조암 물을 알아보고, 표 인 물의 찰

실험을 통하여 여러 가지 물을 구분한다.

㈏ 여러 가지 암석을 찰하여 화성암, 퇴 암, 변성암으로 구분하고, 그 암석을

각각의 특징에 따라 분류한다.

㈐ 풍화 작용과 토양의 생성 과정을 이해하고, 침식, 운반, 퇴 을 유수, 지하수,

바람, 빙하, 해수의 작용에 의해서 생기는 특징 인 지형과 련짓는다.

[심화 과정] 학교 건물과 운동장의 구성 물질 비교하기

Page 6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61 -

⑷ 물질의 세 가지 상태

㈎ 기화, 액화, 응고, 융해, 승화와 같은 여러 가지 상태 변화와 이 때 나타나는

상을 실험을 통하여 찰하고, 이로부터 물질은 분자라는 기본 입자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 생활 주 에서 여러 가지 상태 변화의 를 찾는다.

㈏ 분자 모형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태를 표 하고, 물질의 상태에 따른 분자 배열

의 차이를 비교한다.

[심화 과정] 드라이 아이스 등을 이용한 상태 변화 실험하기

⑸ 분자의 운동

㈎ 증발, 확산 등의 실험을 통하여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의 움직임을 추리한다.

㈏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를 측정하여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계를 이

해 하고, 이를 분자 운동과 련짓는다.

㈐ 기체를 가열할 때 나타나는 부피 변화를 통하여 기체의 부피 변화와 온도와의

계를 이해하고, 이를 분자 운동과 련짓는다.

[심화 과정] 보일의 법칙 실험하기

⑹ 생물의 구성

㈎ 미경을 사용하여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를 찰하고, 세포의 구조를 비교하

여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의 공통 차이 을 발견한다.

㈏ 생물은 세포로부터 조직, 기 등을 거쳐 체계화된 개체를 구성함을 이해한다.

[심화 과정] 원생 생물 찰하기

⑺ 상태 변화와 에 지

㈎ 물질의 상태가 변할 때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그래 로 나타내고, 상태 변화

Page 6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62 -

를 열에 지와 련짓는다.

㈏ 모형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태 변화 과정을 분자 운동과 련짓는다.

[심화 과정] 상태 변화시 수반되는 열을 이용하는 물건 만들어 보기

⑻ 소화와 순환

㈎ 우리 몸에 필요한 양소의 종류와 작용을 조사하고, 양소 검출 실험을 통하

여 음식물 속에 들어 있는 3 양소를 확인한다.

㈏ 소화 기 과 련지어 음식물 속의 양소가 소화, 흡수됨을 이해한다.

㈐ 구를 찰하고 액의 조성과 기능을 이해하며, 모형이나 표본을 이용하여

사람의 심장 구조를 찰하고, 액의 흐름을 이해한다.

[심화 과정] 운동과 맥박수의 계 조사하기

⑼ 호흡과 배설

㈎ 사람의 호흡기 구조를 이해하고, 폐와 조직 세포에서의 기체의 교환과 그 이동

을 설명하며, 호흡이 생활 에 지를 제공하는 요한 과정임을 이해한다.

㈏ 사람의 배설기 구조를 모형이나 표본을 이용하여 찰하고, 물질 사 결과 생

성된 노폐물이 몸 밖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이해한다.

[심화 과정] 호흡기 질환과 흡연과의 계를 조사하여 토의하기

⑽ 힘

㈎ 탄성력, 마찰력, 자기력, 기력, 력 등 여러 가지 힘을 다양한 활동을 통하

여확인하고, 실생활에서 힘이 작용하여 나타나는 상을 조사한다.

㈏ 용수철을 이용하여 힘의 크기를 측정하고, 힘의 크기와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

낸다.

㈐ 한 물체에 작용하는 두 힘의 방향에 따라 두 힘의 합력이 달라짐을 실험을 통

Page 7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63 -

하여 확인하고, 두 힘의 합력을 구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심화 과정] 3 개 이상의 힘이 작용할 때 합력 구하기

⑾ 해수의 성분과 운동

㈎ 해수에 녹아 있는 주요 성분을 질량의 크기 순으로 열거하고, 그 성분비가 일

정함을 설명한다.

㈏ 해수의 운동을 이해하기 하여 난류와 한류의 성질과 분포를 조사하고, 물

과 썰물에 의한 조류의 특징을 안다.

[심화 과정] 해안 환경 조사하기

⑿ 동

㈎ 용수철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동을 만들어 보고, 동의 성질을 이해한다.

㈏ 여러 가지 물체가 진동할 때의 소리를 들어 보고, 소리의 높이와 세기를 구별

한다.

㈐ 물결과 투 장치를 이용하여 동의 달을 찰한다.

[심화 과정] 소리를 으로 볼 수 있는 장치 만들기

<8 학년>

⑴ 여러 가지 운동

㈎ 속력이 변하지 않는 운동, 속력이 변하는 운동, 방향이 변하는 운동 등 여러

가지 운동을 시간과 치의 변화로 나타낸다.

㈏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물체의 운동을 이해하고, 실생활에서 성으로 설명

되는 상을 찾는다.

㈐ 힘이 작용할 때의 물체의 운동을 이해하고, 일상 생활에서 그 를 찾는다.

Page 7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64 -

[심화 과정] 물방울 낙하 시간 측정하기

⑵ 물질의 특성

㈎ 끓는 , 녹는 , 도, 용해도 등 물질의 성질을 실험을 통하여 조사하고, 얻어

진 자료를 해석한다.

㈏ 실생활에서 물질이 이용되는 를 조사하고, 그 물질의 용도와 특성을 련짓

는다.

[심화 과정] 호수의 물이 부터 어는 이유와 이것이 수 생물에 미치는 향 토

의하기 여러 가지 결정 만들기

⑶ 지구와 별

㈎ 지구가 둥 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지구 모형을 이용하여 지구의 크기를 측정

한다.

㈏ 망원경을 이용하여 태양과 행성을 측하고, 최근의 태양계 탐사 자료를 통하

여 태양과 행성의 특징을 조사한다.

㈐ 다양한 기구를 이용하여 별을 측하고, 별이 밝기와 등 을 련짓는다.

㈑ 우리 은하는 성단과 성운, 성간 물질로 이루어져 있음을 이해하고, 우리 은하

의 특성을 설명한다.

[심화 과정] 우리 은하 심 근처의 사진을 보고 성단, 성운 찾아보기

별자리 보기 보기

⑷ 식물의 구조와 기능

㈎ 뿌리의 구조 물과 양분이 흡수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식물 생장에 필요한

주 요원소를 열거한다.

㈏ 기의 단면을 찰하여 그 구조와 기능을 련짓고, 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

Page 7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65 -

의 차이 을 비교한다.

㈐ 잎의 단면을 찰하여, 증산 작용과 합성 호흡을 이해한다.

㈑ 꽃의 생김새를 찰하여 그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고, 꽃가루와 씨의 수정으

로 씨가 만들어짐을 이해한다. , 다양한 식물 열매의 속 구조를 찰한다.

[심화 과정] 공변 세포 찰하기

여러 가지 씨의 차이 조사하기

⑸ 자극과 반응

㈎ 여러 가지 자료를 통하여 , 귀, 코, , 피부 감각 기 의 구조를 알아보고,

자극에 한 반응을 연 시켜 그 기능을 이해한다.

㈏ 뉴런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을 알고, 자극에 한 반응 경로를 이해한다.

㈐ 신경계와 련된 약물의 오‧남용이 인체에 미치는 향에 한 사례를 조사한

다.

㈑ 사람의 주요 호르몬의 기능과 과잉‧결핍에 따른 질병을 조사하고, 청소년기의

신체 변화를 호르몬과 련지어 이해한다.

[심화 과정] 추 신경과 말 신경과의 계를 조사하여 발표하기

성 호르몬과 2 차 성징과의 계를 조사하여 발표하기

⑹ 지구의 역사와 지각 변동

㈎ 지층에 나타난 퇴 물의 모양과 화석을 조사하여 지층이 퇴 될 때의 환경을

추론한다.

㈏ 화석 모형 만들기 실험으로 화석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아보고, 표 화석과

시상 화석을 통하여 퇴 물이 쌓인 시 와 그 당시의 환경을 추리한다.

㈐ 상 연령과 연령을 이해하고, 지질 연 표를 이용하여 지질 시 와 과거

의 생물이 살았던 당시의 환경을 추리한다.

㈑ 모형 실험을 통하여 부정합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습곡, 단층, 부정합의 구

Page 7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66 -

조를 지각변동과 련짓는다.

㈒ 지형에 나타나는 융기‧침강의 증거를 찾아 조륙 운동을 설명하고, 습곡 산맥의

구조를 통하여 조산 운동을 이해한다.

㈓ 지각은 여러 개의 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이해하고, 구조와 륙 이동을

어떻게 하는지 증거를 조사한다.

[심화 과정] 인도 륙의 평균 이동 속도 구하기

나무의 나이테를 이용한 고지구 환경 조사하기

⑺ 기

㈎ 마찰 기를 발생시켜 기의 성질을 이해하고, 검 기를 이용하여 정 기 유

도 상을 확인한다.

㈏ 류의 방향 자의 이동 방향을 알고, 류의 세기를 측정하며, 류가 흐

를 때 하가 보존됨을 안다.

㈐ 실험을 통하여 압과 류의 계를 밝히고, 이를 항의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에 용한다.

[심화 과정] 과일 지 만들기

연체에서 정 기의 유도 상 찰하기

⑻ 혼합물의 분리

㈎ 혼합물과 순물질으 차이 을 알고, 그 를 찾는다.

㈏ 끓는 , 녹는 , 도, 용해도 등의 물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혼합물을 분리하

고, 실생활이나 산업 장에서 혼합물의 분리가 이용되는 를 찾아 물질의 특성

과 련짓는다.

[심화 과정] 수지의 물이 정수되어 집으로 오기까지의 과정을 조사하여 발표하

Page 7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67 -

<9 학년>

⑴ 생식과 발생

㈎ 생물체는 세포 분열을 통하여 생장하고 번식함을 이해하며, 세포 분열의 찰

을 통하여 염색체의 행동을 조사하고, 체세포 분열과 생식 세포 분열의 특징을 비

교한다.

㈏ 여러 가지 생물의 생식 방법을 조사하여 무성 생식과 유성 생식을 비교하고,

사람의 생식기 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한다.

㈐ 속씨식물과 척추동물의 수정 그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사람의 임신과 출산

과정을 이해한다.

[심화 과정] 유성 생식이 무성 생식보다 환경에 응하는 데 유리한 조사하기

일란성 생아와 이란성 생아의 공통 과 차이 조사하기

⑵ 일과 에 지

㈎ 일의 정의를 알고, 일의 원리, 일률, 일과 역학 에 지와의 계를 이해한다.

㈏ 력장에서의 운동을 찰하여 치 에 지와 운동 에 지를 이해한다.

㈐ 치 에 지와 운동 에 지의 상호 환 계를 조사하여, 역학 에 지가 보

존됨을 이해한다.

[심화 과정] 용수철 진자의 운동을 찰하여 에 지의 환 설명하기

단진자의 운동을 찰하여 에 지의 환 설명하기

⑶ 물질의 구성

㈎ 라부아지에, 돌턴, 아보가드로 등에 의해 화학 변화의 양 계를 설명하는

여러 가지 법칙이 밝 지는 과정에서 물질의 입자 개념이 형성되었음을 인식한다.

㈏ 다양한 종류의 원소를 원소 기호로 표 하고, 원소 기호를 이용하여 간단한 분

Page 7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68 -

자를 화학식으로 나타낸다.

㈐ 원자 모형을 이용하여 간단한 화합물을 나타내고, 화합물에서 원자의 공간 배

열을 정성 으로 이해한다.

[심화 과정] 우 자 모형을 이용하여 메탄, 에탄올과 같은 화합물을 나타내 보고,

이들의 화학식 써 보기

⑷ 물의 순환과 날씨 변화

㈎ 증발과 응결 상을 이슬 , 포화 수증기량 상 습도와 련지어 설명한

다.

㈏ 기 에서 수증기의 응결에 의하여 구름이 만들어짐을 이해하고, 구름이 모

양을 찰하여 분류하며, 구름에서 비와 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 기압의 개념을 통하여 기압 분포와 바람을 련짓는다.

㈑ 고기압, 기압, 기단, 선에서 나타나는 기상 상을 설명하고, 이를 날씨 변

화와 련짓는다.

㈒ 일기도에 사용된 여러 가지 기호를 이해하고, 일기도를 보고 기의 상태와 일

기를 기술한다.

[심화 과정] 과학 인 근거가 있는 일기 속담 조사하기

인터넷을 통하여 기상청 일기도 조사하기

⑸ 물질 변화에서의 규칙성

㈎ 표 인 화학 반응 실험을 통하여 반응 물질과 생성 물질을 알아보고, 이를

분자 모형으로 나타내어 확산, 증발, 용해, 상태 변화 등의 물리 변화와 다름을 안

다.

㈏ 간단한 화학 반응 실험을 통하여 화학 반응 과 후에 질량이 보존된다는 것

을 확인하고, 이를 모형으로 나타낸다.

㈐ 나무의 연소, 강철솜의 연소 실험을 통하여 연소 과 후의 질량 변화에 하

Page 7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69 -

여 토의하고, 닫힌 계에서는 화학 반응 과 후에 질량이 보존된다는 것을 추리한

다.

㈑ 간단한 화학 반응 실험을 통하여 화합물의 성분 질량비가 일정함을 확인하고,

이를 모형으로 나타낸다.

㈒ 화학 반응에서 일정 성분비의 법칙이 성립하는 것을 물질의 입자 모형으로 설

명한다.

[심화 과정] 화학 반응에서의 양 계를 알아보는 실험하기

⑹ 류의 작용

㈎ 압과 류가 일정할 때 발생하는 열량(온도 변화)을 측정하여, 기 에 지

가 열에 지로 환됨을 이해한다.

㈏ 류가 흐르는 도선주 에 생기는 자기장의 특성을 확인하고, 자기장 속에서

류가 흐르는 도선이 받는 힘에 하여 이해한다.

[심화 과정] 가정에서 소비 력 구하기

스피커 만들기

⑺ 태양계의 운동

㈎ 천체의 일주 운동을 찰하고, 지구의 자 과 련지어 설명한다.

㈏ 황도와 태양의 연주 운동을 이해하고, 지구의 공 과 련지어 설명한다.

㈐ 달의 상 변화를 찰하고, 달의 운동과 련지어 설명한다.

㈑ 모형 실험을 통하여 일식가 월식이 생기는 원리를 설명한다.

㈒ 각 행성의 공 주기와 궤도 크기를 조사하고, 행성 공 궤도의 상 크기

를 비교한다.

[심화 과정] 달의 상 변화 작도하기

부분 일식, 개기 일식, 환 일식 때 태양‧달‧지구의 치 작도하기

Page 7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70 -

⑻ 유 과 변화

㈎ 멘델의 유 법칙을 통해 유 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간 유 상과 멘

델 의 법칙의 차이 을 이해한다.

㈏ 사람의 유 을 연구하는 방법과 여러 가지 유 상의 를 들고, 가계도를

이용하여 각 개인의 유 자형을 추리한다.

㈐ 생물이 진화해 왔다는 증거를 조사하고, 생물이 진화해 온 원인이나 과정에

한 학자의 학설을 비교하고 종합하여 이해한다.

[심화 과정] 사람의 유 병 조사하기

진화론에 한 역할 놀이 해 보기

5) 과학과의 교수․학습 방법

7차 교육 과정에서는 종래와는 다르게 1학년에서 10학년까지의 10년 기간을 국

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으로 삼고 있다. 이 기간 에서 학교 과학은 7학년에서

9학년까지의 학생들을 상으로 하며, 국민의 기본 인 과학 소양을 기르기

하여 자연 상과 사물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자연을 과학 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르며,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 인 태도를 기르는 것을 그 목

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과학 교육에서는 자연 상과 사물의 탐구를 통하여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통하여 과학 인 태도를 형성함으로써 궁극 으로 기본 인 과학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학습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한 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교사는 학생들에게 과학을 어떻게 가르칠 거신가에 더 많은 심을 가

지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여기서는 교육 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학습 지도 방법

에 을 맞추어 학교 과학의 교수․학습 방법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1) 학생의 지 호기심과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발문을 하도록

노력하고, 개방 질문을 극 활용한다.

Page 7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71 -

학습 과정에서의 발문은 여러 가지 목 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그 에서도 특히

수업의 도입 부분에서는 학생들의 지 호기심을 자극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하기

한 발문이 필요하다. 그 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와 심을 수업에 집 시키

고,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 능동 으로 참여하게 하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해서는 당한 발문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

의문을 가지거나 갈등을 느끼게 해야 하는데, 그 효과 인 방안으로는 학생들의

상과는 다른 상을 보여 주거나, 답이 용이하지 않은 질문을 던지는 방법 등

이 있다. 이 때의 발문은 주로 창의력과 상상력을 유발할 수 있는 개방 질문이

바람직하다.

‘나무의 연소, 강철 솜의 연소 실험을 통하여 연소 과 후의 질량 변화에 하

여 토의 하고, 닫힌계에서는 화학 반응 과 후에 질량이 보존된다는 것을 추리하

게 한다’는 학습 목표로 수업 활동을 개한다고 가정했을 때, 목 에 따라 발문을

몇 가지 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가) 학습 내용과 련된 학생들의 사 개념 이해 정도 진단

․연소란 무엇인가?

․실례를 들어 ‘계’의 의미를 설명하여라.

․닫힌계와 열린계의 차이 을 를 들어 설명하여라.

(나) 학습의 도입 부분에서 문제 제기 학습 동기 유발

학습 내용을 도입하기 해서 나무의 연소와 강철 솜의 연소에 련된 질문을

한다고 가정해 보자. 나무의 연소는 학생들이 일상에서 많이 경험하는 굳이 시험

하지 않아도 되겠지만, 강철 솜의 연소는 흔히 경험하지 못하는 상이므로 시범

실험을 하면서 수업을 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시범 실험을 하기 에:

․나무를 연소시키면 연소된 후의 재의 질량은 연소되기 의 나무의 질량에 비

하여 어떻게 되겠는가?

Page 7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72 -

․강철 솜을 연소시키면 연소된 후의 질량은 연소되기 에 비하여 어떻게 되겠

는가? 그 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인가?

(다) 학습 과정에서 탐구 활동의 안내

- 강철 솜의 연소를 시범으로 보여 후에:

․강철 솜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을 찰하고 기록하여라. 찰 결

과로부터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연소된 강철 솜의 질량은 연소되기 에 비하여 어떻게 되었는가? 앞에서 상

한 결과와 일치하는가?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

하는가?

․나무의 연소와 강철 솜의 연소에서 나타나는 차이 은 무엇인가?

(라) 학습 내용의 정리

․열린계와 닫힌계에서 일어나는 연소 상의 차이 은 무엇인가?

․강철 솜의 연소에서 질량 보존의 법칙이 성립된다고 말할 수 있는가?

(마) 학습 내용의 심화, 발

․입자 모형을 이용하여 연소 반응에서의 질량 보존을 설명하여라.

의 에서 알 수 있듯이, 교사의 발문은 학생들의 탐구 활동과 사고 활동을

진시켜 주는 교사의 매우 요한 활동이다. 따라서, 교사는 발문의 시 과 내용

을 미리 계획하여 수업에 임해야 한다. 교사가 질문 내용을 비할 때 일반 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상황에 따라 단순한 지식이나 기억의 재생을 요구하는 질문, 비교, 분석, 종합

력 등의 고차 능력을 요구하는 질문, 과학 지식이나 개념, 원리 등을 새로운 사

태에 용하는 질문 등 다양한 종류의 질문을 균형 있게 해야 한다.

② 처음에는 다양한 답이 가능한 확산 질문을 하고, 결론 부분에 가까워질수록

제한된 내용의 답을 요구하는 수렴 질문을 해야 한다. 처음부터 무 폭이 좁은

Page 8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73 -

질문을 하게되면, 학생들의 사고를 제한하는 결과를 래하게 된다.

③ 때때로 학생들의 사고 방향을 환시킬 수 있도록 발 인 질문을 하여 제한

된 생각에서 탈피할 수 있도록 안내, 유도한다.

④ 학습한 내용을 요약, 정리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답을 유도하는 질문을 한

다.

⑤ 교사의 질문이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요한 역할을 하므로, 교사는 즉흥 인

것이 아닌, 계획되고 의도 인 질문을 해야 한다. 이를 하여 학습 지도 계획을

세울 때, 계획의 체 인 단계를 발문의 형태로 세우는 것도 바람직하다.

(2) 탐구 방법을 체득시키기 하여 기 남구 과정( 찰, 분류, 측정,

사, 추리등)과 통합 탐구 과정(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변환,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일반화 등)을 학습 내용과 히

련시켜 지도한다.

새로운 과학과 교육 과정에서는 3학년에서 10학년까지의 기간을 3단계로 나 어

3학년에서 5학년까지의 3년간은 학년 과정, 6학년에서 7학년까지의 2년간은

학년 과정, 8학년에서 10학년까지의 3년간은 고학년 과정으로 구분하 다. 그리고

각 과정과 그 과정에서 으로 지도해야 할 탐구 과정 기능을 련지었다. 그

것은 지도해야 하 탐구 과정 기능의 수 을 어느 정도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

에 맞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 탐구 과정 기능은 학년 과정에 해당되지만, 특히 학년과 학

년 과정에서 으로 지도하는 것이 바람지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탐구 과

정 기능은 토의, 실험, 조사, 견학, 과제 연구 등의 탐구 활동을 통하여 지도할 수

있다.

학습 내용과 탐구 과정 기능을 련지을 때 유의할 은 한 학습 내용에서 모든

탐구 기능을 지도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이다. 활동 내용에 따라 련되는 탐

구 과정 기능이 다를 수 있다. 앞에서 시로 든 ‘나무의 연소, 강철 솜의 연소 실

험을 통하여 연소 과 후의 질량 변화에 하여 토의하고, 닫힌계에서는 화학 반

Page 8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74 -

응 과 후에 질량이 보존된다는 것을 추리하게 한다’ 를 생각해 보자.

만약, 앞에서 발문한 내용을 심으로 수업을 개해 간다면, 이 활동에 련된

탐구 기능은 찰, 상, 추리와 같은 기 탐구 과정 기능과 문제 인식, 자료 해

석, 가설 설정, 결론 도출, 일반화 같은 통합 탐구 과정 기능이다. 이 활동에는 측

정이나 분류와 같은 기 탐구 과정 기능이나 실험 설계, 자료 변환과 같은 통합

탐구 과정 기능은 직 인 련이 없다. 물론 이러한 탐구 기능이 포함되는 활동

을 개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 으로 어느 활동에는 그 활동에서 주로 활용되는 탐구 과정 기능이

있으며, 교사는 그 기능을 지도하는 데 을 맞추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어느

한 활동에서 특정 탐구 기능에 을 맞추어 지도하더라도, 다양한 활동을 지도

하게 되면 결국 다양한 탐구 과정 기능을 지도하게 된다.

(3) 찰, 실험 등의 탐구 활동은 가 은 인원의 분단별 학습으

로 하고, 분단별 학습시에는 상호 력하게 하여 과학 탐구에서

상호 력의 요성을 인식하게 한다.

찰, 실험 등의 탐구 활동은 학생의 직 인 활동을 염두에 둔 것이므로 분단

별 인원을 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단별 인원이 많을 경우에, 그 에는 실

험에 소극 이어서 남의 활동을 보고만 있는 학생이 있을 수 있다. 교사는 바로

그러한 학생들이 직 실험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학생들을 실험에 참여시키는 한 가지 방법으로 업무를 분담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실험마다 업무 분담을 바꾸어 가면, 학생들은 다양한 활동

에 직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분단별 실험 활동에서 요한 것은 신체 활동뿐만이 아니라 사고 활동에서도

공동의 참여를 권장하는 일이다. 그 게 함으로써 소극 이고 피동 인 학생들이

지 활동에 보다 극 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 때, 요한 것은 틀리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는 이다. 실제로 교사는

학생들에게서 정답을 원하지만, 더 요한 것은 학생들이 타당한 이유를 가지고

Page 8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75 -

그 게 답변하느냐이다. 그 게 생각한 이유가 논리 이고 타당한 것이냐가 정답

을 말하는 것보다 더 귀 할 수 있다.

자기 자신의 타당한 논리를 가지고 발표하는 학생들을 평소에 격려함으로써, 학

생들이 틀리게 답변하는 것에 두려워하지 않고 사고의 날개를 활짝 펴서 신 하

게 생각하고, 자기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서 답변하는 습 을 길러 주는 것은 요

하다.

공동의 탐구 활동에서 가장 요한 교훈은 상호 력의 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다. 서로의 생각을 나 다 보면, 학생들은 서로에게서 많은 것을 배운다. 내가 미

쳐 생각하지 못했던 것을 상 방이 말하게 되면 나의 생각이 깊지 못했음을 스스

로 반성하게 되고, 보다 다양한 경우를 함께 고려해야 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래서 많은 경우 학생들은 자기 혼자만의 생각보다는 함께 생각하는 것이 필요

하다는 인식을 하게 된다.

과학의 발달은 더구나 공동의 력이 필요하다. 그것은 과학의 소재가

간학문 인 경우가 많고, 그러한 경우에는 특히 자신이 미흡한 분야에 해서 그

분야 의 도움이 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연구 과정에서 상호 력의 필요

성을 학생 시 에 깊이 인식하게 되면, 성인이 되어서도 무리 없이 상호 력하는

연구 분 기에 쉽게 용할 수 있을 것이다.

(4) 학생 심의 탐구 활동과 토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신의 의견

을 명확히 표 하려는 태도와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는 태도

를 가지게 한다.

학교 가학과 교육은 학생 심의 탐구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강조되고

있다. 과학이 무엇인가를 간단히 말하기는 어려우나, 일반 으로 자연 상과 사물

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한 탐구 과정과 그 과정의 산문인 지식, 그리고 이러한

탐구 과정과 지식의 활용 등을 통틀어 일컫는다.

그런데 지식은 폭발 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모두 학습한다는 것은 불가능

하다. 그리고 모든 지식을 학습할 필요도 없다. 자연 상과 사물을 이해하고 설

Page 8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76 -

명하는 데 필요한 기본 인 지식만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더 필요한 지식이 있다면, 그 지식을 어디서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를 알고 있으

면 된다.

그런데 필요한 지식을 가장 정확하게 이해하는 방법 의 하나는 그 지식의 형

성 과정을 학습하는 것이다. 즉, 그 지식이 어떤 탐구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었는지

를 직 경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학습을 통하여 탐구

과정을 직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요하다. 이러한 탐구 과정은 과학자들이 문

제 해결 과정에서 직 가졌을 만한 경험이라고 볼 수 있다.

학생들이 학습 활동을 통하여 과학자들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경험했음직한 경험

을 직 체험하게 하는 경우, 우리는 탐구 학습을 한다고 한다. 그러나 탐구 학습

도 학생이 심이 되어 이루어져야 의미가 있다.

즉, 학생들이 자신의 노력과 사고 활동에 의해서 문제 해결 과정을 경험해야 한

다.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과학 사실이나 법칙 등을 교사나 실험 지도서의

지시 로 아무런 생각도 없이 따라서 하는 실험 활동은 큰 의미가 없다. 그것은

마치 요리책을 보고 요리하듯이 l하는 활동이어서, 학습이 다 끝난 후에도 학습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며, 학습 내용을 다른 상황 하에서 활용하는 면에

서도 극히 제한 이다.

에서 논의한 을 고려하여 실험 학습 활동을 지도할 때에는 다음 사항에 유

의하도록 한다.

① 학생들은 실험 목 을 명확히 인식하고 실험 활동을 해야 한다. 실험 목 을

인식하지 못하고 실시하는 실험 활동은 기구 조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는 있겠지

만, 자발 탐구 능력을 가지는 과학 소양을 기를 수는 없다.

② 실험 활동은 학생들의 사고를 조장하는 방향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교사가 미

리 결과를 알려 주거나 학생이 이미 결과를 알고 있으면, 실험 활동의 의미는 없

어진다. 실험 활동은 학생들의 과학 사고를 신장시킬 뿐만 아니라, 과학에 한

흥미와 호기심, 정직성, 동심,비 마음, 개방 마음 등의 과학 태도를 함양

시킨다.

Page 8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77 -

③ 사용하는 기구와 자료는 될 수 있는 로 간단하고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친근

한 겅이 바람직하다.

④ 찰 실험 활동은 가 은 인원의 분단 학습으로 한다. 분단 실험을 할

때, 모든 학생이 찰 실험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도록 충분한

기구와 자료를 비하고, 활동 시간을 계획하여야 한다.

⑤ 학생이 실험 도 에 실험 방법을 바꾸려고 하면 이를 격려하고, 가능하면 시범

실험으로 다른 학생에게 이를 소개하는 것이 좋다.

⑥ 학생들이 단 한 번의 실험으로 성 하게 결론을 내리지 않도록 한다. 성 하게

잘못 내린 결론에 하여 교사는 다른 방법으로 다시 찰, 실험하여 보도록 질문

이나 지시를 할 필요가 있다.

⑦ 실험 활동에서 학생들이 수집한 정보와 결과 등을 언제,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

에 한 계획을 세우고 지도하여야 한다. 필요하다면 실험 보고서 용지를 교사가

사 에 만들어 배부하고, 실험 도 에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여 평가에 활용할

수도 있다. 실험 보고서를 미리 만들어 배부할 때에는 학생들이 보고서를 작성하

는 데 시간이 무 걸려서 찰 실험 활동이 소홀해지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수업 과정에서는 학생들의 토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토의 과정

에서 요한 것은 자신의 생각을 다른 학생들에게 바르게 이해시키는 것이며, 그

게 하기 해서는 자신의 생각을 쉽고 설득력 있게 제시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토의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조리 있고 정확하게 표 하

는 방법을 터득하고, 다른 학생들의 발표 내용을 들으면서 자신의 생각과 다른 학

생들의 생각 사이의 차이를 비교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료 학생들과의 상호 작용은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에 한 반성

사고를 발 시켜, 보다 신 히 생각하고, 보다 많은 다양한 을 미리 고려하는

습 을 가지게 함으로써 서두르지 않고 정확한 결론을 이끌어 내도록 도와 다.

수업 과정에서의 토의는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조리 있게 발표하는

능력을 키워 뿐만 아니라, 남의 발표를 경청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시켜 다.

그것은 자신의 생각과 다른 학생의 생각을 비교하고 평가하기 해서는 다른 학

Page 8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78 -

생의 생각을 정확히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학생의 발표 내용에 한 정확한 이해는 그의 입장에서 그의 주장을 이해

할 수 있도록 도와 주기 때문에,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는 편견을 가지지 않게 하

며, 동시에 다른 학생의 의견을 존 하는 태도도 길러 다. 이와 같이 토론을 통

한 탐구 활동은 다른 어떤 수업 방법보다도 학생들에게 민주 시민의 자질을 함양

시키는 데 효과 임을 알 수 있다.

(5) 최신 과학, 과학자 이야기, 시사성 있는 과학 내용 등을 히 과

학 시간에 소개하여, 학생이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게 한다.

얼마 에 탄소의 새로운 구조가 밝 졌는데 그 모양은 나노튜 이고, 이 구조를

밝히는 데 우리나라 과학자도 참여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그리고 이 나노튜 는

센서의 개발 등 앞으로 그 응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최신의 과학 이야기는 그 내용을 학생들이 정확히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학생들에게 과학의 유용성과 무한한 발 가능성, 그리고 나 자신이 과학 발 에

기여할 수도 있다는 생각 때문에 과학에 한 학생들의 흥미와 심을 끌기에 충

분하다. 더구나 최신 과학의 발 에 우리나라 과학자가 함께 기여했다는 사실도

함께 얘기해 주면, 학생들에게는 더욱 고무 일 것이다.

다른 최근의 뉴스 에는 우리나라의 한 반도체 연구소에서 세계 최 로

256MD램을 개발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그래서 세계 유수의 업체들로부터 주문을

받고 있는데, 연구소에서 샘 로 만들어진 첩 한 개의 값이 무려 600$이나 되어서

재까지 무려 1천억원 어치의 주문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모두 우울한 IMF

시 에 유독 이 연구소 연구원들은 모두 즐거운 얼굴이라는 것이었다. 앞으로

량 생산체제를 갖추게 되면 단한 외화를 벌어들일 것이라는 보도 다.

이러한 류의 시사성 있는 보도는 과학의 발 이 기술의 발달에 직결되며, 이는

곧 사회의 발 에도 큰 향을 다는 것을 실감나게 한다. 즉, 과학․기술․사회

의 상호 련성을 이해시키는 데 매우 한 소재이다. 이러한 자료는 요즈음 많

이 거론되는 신문을 활용한 교육(NIE : newspaper in education)의 방법으로 제시

Page 8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79 -

하면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공기, 물, 토양의 오염과 그 책, 유해 물질의 증가, 유 자 조작에

의한 식량의 량 생산과 이것이 인체에 미칠지도 모르는 부작용의 가능성, 동식

물의 멸종에 한 문제, 환경 오염과 기상 이변 문제, 물 자원, 에 지 자원 등

의 문제, 우주 탐사 등을 련 내용을 학습할 때 학생들의 수 에 맞게 간단히 소

개하는 것은, 과학을 재미없는 과목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과학의 새로

운 면을 인식시킬 수 있다.

, 과학이 우리 생활과 얼마나 하게 련되어 있는가를 이해함으로써 과학

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궁극 으로 과학 교과에 흥미와 심을 가지게 하는 데 기

여할 수 있을 것이다.

(6) 실험․실습 지도

실험이나 실습 과정에서 특히 손되기 쉬운 기구를 사용할 때에는, 기구의 손

등을 상하여 학생들에게 그 사용법을 사 에 가르치고, 상해를 입지 않도록 안

에 유의한다. , 상 밖의 결과가 생겨 사고의 을 느끼거나 당황하는 경우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는 사 실험을 통하여 실험 내용을 정확히 악함으

로써 상되는 사고를 미리 방지하여야 한다.

실험 후의 폐기물은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처리하여야 한다. 특히 근래에는

환경 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두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 오염에 비하여 폐기물

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수집함으로써 그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것은

학생들의 환경 교육 차원에서도 요한 의미를 가진다. 식물을 재배하거나 동물을

사육할 때에는, 자연에 가까운 환경을 조성하고 생명 상의 변화를 계속 찰하

여야 한다. 그리고 생물에 한 친근감과 생명을 존 하는 태도를 가지게 지도한

다. 특히, 실습 에 부득이 생명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사후 처리에 유의하여 학생들로 하여 생명의 고귀함을 인식하도록 하

여야 한다.

야외 탐구 활동 장 학습시에는 사 답사를 하여 견학 장이 학습 목 에

Page 8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80 -

합한지를 알아보아야 하며, 험한 시설이나 지형 등을 미리 악하여야 한다.

실험, 야외 조사, 찰시에는 항상 사고 방지에 주의하여야 하며, 불의의 사고가

나지 않도록 비하여야 한다. , 안 수칙을 만들어 안 검을 하고, 학습 지

도시 필요하다고 생각할 때마다 안 에 하여 주의를 환기시켜야 한다.

(7) 심화․보충 학습 지도

(가) 심화․보충형 수 별 교육 과정이란?

교육 개 원회에서 입안, 건의하고 교육부에서 추진한 ‘수 별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수 별로 수업을 하자는 것인데, 7차 교육 과정에 고시된

수 별 교육 과정은 단계형 수 별 교육 과정, 심화․보충형 수 별 교육 과정, 과

목 선택형 수 별 교육 과정과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들 세 가지 종류의 수 별 교육 과정은 모두 학생 능력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수업한다는 에서는 동일하나, 학습 집단을 구성하는 방식이나 교육 과정을 구성

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과학과에서 용하도록 되어 있는 심화․보충형 수 별 교육 과정의 기본 정신

은 교육부(1997a)에서 제시한 교과 교육 과정(각론) 개발 지침에 잘 나타나 있다.

그에 따르면, 과학과의 수 별 교육 과정은 학년별로 공통으로 용되는 기본 과

정을 두고, 하 과정으로서 보충 과정과 심화 과정을 두도록 하고 있다.

이 때, 기본 과정은 모든 학생들이 기본 으로 알아야 할 교과 내용을 심으로

편성하고, 하 과정으로서 보충 과정은 기본 과정의 성취도가 떨어지는 학생들이

추가 인 과제(활동) 심의 학습을 통해 기본 과정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을 편성하며, 심화 과정은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이 추가 인 과제(활동)

심의 학습을 통해 기본 과정을 심화하 수 있게 교육 과정을 편성하도록 규정하

고 있다. 따라서, 교육 과정의 구성 방식에서 본다면, 심화․보충형 수 별 교육

과정은 학습 내용의 깊이에서의 차별화와 련된다고 특징지어 말할 수 있다.

교육부(1997b)에서 고시한 교육 과정의 편성, 운 지침에 의하면, 심화․보충형

Page 8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81 -

수 별 교육 과정의 용을 한 학습 집단의 구성 방식은 등학교에서는 학

내 집단 편성을 원칙으로 하되 학교의 여건이나 교사,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는 학교의 실정에

따라 다양하게 편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교육 과정의 구성뿐만이 아니라 학습

집단의 구성에서 보다 더 유연성을 보임을 의미하며, 시도 교육청 는 학교 수

에서 교육 과정의 운 방침 는 여건에 맞게 학습 집단을 구성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 심화․보충형 교육 과정 운 의 유형

교육부(1997a)에서 제시한 교과 교육 과정 개발 지침에 의하면, 과학과 심화․보

충형 교육 과정 운 은 모든 학생들이 기본 으로 알아야 할 교과 내용을 다루는

기본 과정을 두고, 하 과정으로 보충 과정과 심화 과정을 두는 경우이다.

1997년 12월에 개정 고시된 제7차 과학과 교육 과정도 이 지침에 따라서 개발되

어, 각 학습 주제에는 기본 과정이 제시되어 있고 말미에 심화 과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보충 과정은 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충 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내

용의 구성은 교과서 자나 담당 교사의 몫으로 남아 있는 셈이다. 이 경우는 기

본 으로 각 주제의 학습에 배당된 시간의 80% 정도는 기본 과정의 운 에 사용

하고, 나머지 20% 정도의 시간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 정도에 따라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을 운 하는 방법이다.

이 때, 어느 정도의 성취를 보이는 학생을 심화 과정 는 보충 과정에 배치할

것이냐 하는 것은 다른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상에서 언 한 기본 과정을

학습한 후 수 별 교육 과정의 구성 방식을 모형으로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심화 과정

기본 과정 −−→ 형 평가

보충 과정

기본 공통 과정 후 수 별 교육 과정 구성 모형

Page 8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82 -

6) 평가

과학과의 학습 평가는 과학과의 교육 목표에 근거를 두고 교수-학습이 이루어진

후 목표하는 바에 얼마나 도달하 는가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즉, 교육 목

표를 구체 으로 구 하기 한 교육 과정에서 의도한 교육 목표가 어느 정도 달

성되었는지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 반에 반 시켜 그

효율을 극 화시키기 한 목 을 가지는 학습 과정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과의 학습 평가는 보다 효율 이고 바람직한 교수․학습의 계획 수립

은 물론 교수․학습 과정 방법, 과학 교육 과정의 편성과 운 등의 개선을

한 피드백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1) 과학과의 평가 과정

과학과 교수․학습의 시작 단계에서나 교수․학습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 는

종료된 뒤 학생들의 목표 도달 정도를 평가할 경우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

다. 그 에서 교사는 직 수업 활동을 하면서 가장 한 방법 는 차를 선

택하거나 고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떠한 평가 방법이나 차

든지 교육 과정의 결과에 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의 결과에 향을 주

는 제반 요인들의 규명을 통하여 교수․학습의 계획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과학 학습의 평가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과학과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 는 개념들은 서로 간에 계를 형성하고 있어

내용 는 개념 요소들이 어떻게 조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체계화하여야

한다.

② 학생 스스로 탐구 과정을 통하여 개념이나 원리를 획득하도록 하기 해서 하

나의 활동으로부터 일어날 수 있는 행동의 변화를 여러 측면에서 근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과정에서 어떠한 행동 요인을 학습자에게 부과할 것인지

를 미리 결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③ 학습 과제 속에 포함된 내용 요소의 계, 내용 요소와 행동 요인과의 계를

Page 9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83 -

명확히 하기 하여 이원 목 분류표를 활용한다.

④ 모든 학습 활동이 과학 교육 으로 의미 있고, 찰될 수 있으며 평가될 수

있게 교수 목표를 명확히 하고 명시 인 행동 용어로 진술하여야 한다.

⑤ 상세화된 교수 목표에 따라 학습자의 목표 도달 정도를 측정하는 데 가장

한 학습 평가 방법을 설정하여야 한다.

⑥ 학습자가 성취한 수 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과학 평가 도구를 구체화한

다. 이 평가 도구는 지식 는 개념의 획득 정도뿐만 아니라 탐구 능력, 실험

기구의 조작 능력, 과학 태도의 변화까지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⑦ 평가 문항이 설정된 교수 목표와 평가 목표에 합한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2) 과학과의 평가 역

과학과 학습 평가에서 무엇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해서는 보는 과 기

에 따라 매우 다양한 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여기서는 과학과 교육 과정에 명

시되어 있는 교육 목표에 근거를 두어 평가 내용을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즉,

과학과 학습 평가는 ‘과학과의 교육 목표에 명시되어 있는 과학 지식(과학의 기본

개념), 과학의 탐구 능력, 과학 인 태도 과학과 기술과 사회의 계에 을

두어 평가하여야 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안 을 두어 평가한다’라고 명

시되어 있다.

㉮ 기본 개념의 유기 이고 통합 인 이해도를 평가한다.

㉯ 탐구 활동 수행 능력과 실생활 문제 해결에 용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 학습 과정에서 계속 탐구하려는 의욕, 상호 동, 증거를 존 하는 태도 등을

평가 한다. 그러므로 과학 학습의 평가는 지식 는 개념의 획득은 물론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의 변화도 평가되어야 한다.

(가) 과학 지식

과학 지식은 과학 탐구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 범 한 지 과정을 통틀어

Page 9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84 -

말한다.

를 들면 사실, 개념, 일반화, 원리, 이론, 법칙 등으로 이들 과학 지식 에서도

학교 과학과의 내용은 부분이 사실, 개념, 일반화, 원리 심으로 이루어져 있

다. 과학 지식에 한 역은 통 으로 불룸(Bloom)의 교육 목표 분류체계 에

서 인지 역의 분류틀을 많이 이용하여 왔다. 일반 으로 지식, 이해까지를

수 이라 하고 용, 분석, 종합, 평가를 고수 이라 한다. 그러나 불룸이 제시하는

교육 목표의 분류 체계를 따를 수도 있고, 는 교사가 나름 로 의미 있게 구성

한 독창 인 분류 체계를 만들 수도 있다. 그런데 행동 역의 분류 수는 무

게 잡으면 서로 구별되어야 할 행동의 식별이 어렵게 되며, 무 많이 잡으면 수

많은 교육 목표를 일목 요연하게 악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행동의 분류 수는 5에서 8개 정도가 하며 10개를 넘어서면 복잡하

게 된다.

(나) 탐구 능력의 평가

과학 학습의 요한 성과는 과학 탐구 능력의 성취와 향상으로 생각할 수 있다.

과학은 과정이지 단순한 사실의 수집과 지식의 암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탐구 능력의 평가는 탐구 과제를 얼마나 잘 수행할 수 있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그러나 탐구 능력의 평가는 그 문항 제작이 쉽지 않기 때문에 교육 장에서 제

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탐구 능력의 평가는 실험 수행 과정이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시에 따른 시

간과 경비, 교사의 심과 열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부분의 교육 장에서는 탐

구 능력의 평가가 결과 심의 평가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과정 심의 평

가에 비해 결과만을 요시하기 때문에 과정이 잘못되어도 좋은 평가 결과가 나

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여기서는 탐구의 결과 심과 과정에 한 평가로 나 어 살펴보기로 한다.

* 결과 심 평가

실험 실습 평가에서 결과를 통한 평가는 결과의 특성에 따라 정량 인 결과와

Page 9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85 -

정성 인 결과로 나 어 생각해 볼 수 있다.

① 정량 인 결과의 평가

정량 인 결과는 설정한 목표와 측정값에 결과가 얼마나 근 하 는가를 평가한

다. 물질의 부피 정에 한 평가를 한다고 할 때, 평가자는 학생에게 메스실린

더, 피펫, 뷰렛 등과 정해야 할 양을 제시한 후 측정하도록 한다. 측정한 결과와

목표로 하는 측정치와의 차이가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수를 아래 표에서 제시

한 것처럼 부여할 수 있다. 이것은 어느 정도의 허용 오차를 정해 측정 항목에

해서 일정한 수를 주는 방법이다. 일정 범 의 오차는 수를 주고 그 이상

은 수를 주지 않는 경우도 있다.

부피 정의 평가 거의

정량의 오차 정도 수의 백분율

0.10이하 100

0.11~0.15 80

0.16~0.20 60

0.21~0.25 40

0.26~0.30 20

0.31 이상 0

② 정성 인 결과의 평가

정성 인 결과의 는 찰한 결과에 해 찰자가 원하는 특성이 나타났는가,

나타나지 않았는가? 이다. 다음의 는 촛불을 찰하도록 하여 학생의 찰력을

평가한 것이다.

* 과정 심의 평가

탐구 활동을 평가자가 직 찰하여 탐구 능력을 평가할 때에는 반드시 과정과

련된 평가의 거가 필요하다. 실험 과정의 찰 평가에는 검표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 이며, 검표는 학생의 가능한 행동들을 상하여 모두 포함하고 있어

야 한다.

과정 심 평가에서는 학생들의 탐구 능력 숙달도와 탐구 과제의 수행 여부를

조사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일반 으로 찰에 의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Page 9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86 -

다. 체크리스트는 과학 탐구 과정들 각각의 능숙 정도를 나타내는 몇몇의 척도로

나 어 개발된다. 학생들이 실제로 탐구 능력 숙달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범 는

학년, 탐구 환경과 같은 요인에 의존하지만, 교사들은 그 학년에 합한 체크리스

트를 비하고 체크리스트에 의해 실제 학생들의 숙련도를 비교하게 된다. 탐구

능력의 숙련도를 평가하는 데 찰에 의한 방법은 매우 합한 방법이지만, 구조

화되거나 반구조화된 면담과 병행하여 찰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탐구 능력 성취

와 진보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 과학 태도의 평가

과학 태도의 평가는 인간의 의지와 정서에 련된 것으로 과학 추론, 과학

업 , 그리고 과학과 기술의 발 으로 인한 사회 향, 동심, 반성 사고, 호기

심, 그리고 교실 밖 상황 등과 같은 요소들을 나타낸다. 다음은 몇 가지의 과학

태도의 평가를 한 목록이다.

․과학 탐구를 해 여가 시간을 이용한다.

․과학이 재미있고 흥미 있다고 인식한다.

․호기심을 언어로 표 한다.

․과학을 학교 외의 상황으로 확장시킨다.

․학교 외의 과학 활동들에 자발 으로 참여한다.

․과학 비 지식을 해 박물 , 천문 , 식물원 과학과 련된 공공 장소를

방문한다.

․과학 인 직업과 경력에 해 조사한다.

․과학 활동들을 비하고 마무리하는 일에 보조자의 역할을 자진해서 한다.

․교실에서 동물과 식물을 기르고 과학 센터를 운 하는데 심 인 역할을 한

다.

․과학 심 인 TV 로그램을 골라서 본다.

와 같은 목록을 기 로 하여 과학 학습에 한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실제로 학생들의 태도를 측정할 수 있다.

Page 9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87 -

<표12> 과학 태도 체크리스트

행동

역평가의

평 가 횟 수

호기심

∘무엇을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질문한

다.

∘생물체나 물체를 탐색할 때 여러 감각 기 을 이용한다.

∘ 찰된 상을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어떤 상이나 사물에 해서 질문을 한다.

자진성

극성

∘실험이나 과학 수업에서 자진하여 발표하고 참여한다.

∘과학 활동에 극 참여한다.

∘의문이 나는 문제는 책을 찾아보거나 질문하여 해결하려

고 노력한다.

솔직성∘실험 결과를 왜곡하거나 선택 으로 취하지 않는다.

∘실험 결과를 그 로 발표한다.

객 성

∘가설에 반 되는 증거도 수집한다.

∘실험에서 결론을 내릴 때, 실험 결과를 근거로 한다.

∘어떤 설명에 찬성하거나 반 할 때 증거를 찾는다.

개방성

∘증거에 맞게 자기의 의견을 수정한다.

∘남의 의견을 경청하고 타당할 때는 받아들인다.

∘자기가 생각한 것을 다른 사람에게 발표한다.

비 성∘남의 의견을 잘 듣고 옳고 그름을 단한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맹목 으로 받아 들이지 않는다.

단 유

∘확실한 증거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는 것은 사실로 받아

들이지 않는다.

∘성 히 단과 결론을 내리지 않는다.

∘결론을 내리기 에 충분한 참고 자료를 찾는다.

동성 ∘실험을 할 때 잘 동한다.

비성∘실험이나 찰을 하기 에 필요한 자료를 비한다.

∘실험이나 찰이 끝나면 정리 정돈을 잘 한다.

계속성

끈기

∘실험 도 실패했을 때 그 실험을 반복하여 결과를 얻으

려고 노력한다.

∘다른 학생들이 실험을 일 끝마치더라도 실험을 계속해

서 완결한다.

∘해결되지 않은 문제는 계속해서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Page 9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88 -

(3) 과학과 평가 방법

지 은 과학 학습 평가에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통 인 지필 평

가가 인터뷰, 찰, 포트폴리오(portfolios) 등의 수행 평가, 그리고 개인 단과

같은 좀더 믿을 만한 방법, 즉 참평가(authentic assessment)로 치되고 있다. 게

다가, 평가는 수업의 끝, 단원의 끝, 학기의 끝으로 계획되어지는 특별한 경우로

제한되어 지기보다는 학습에서의 과정에 한 평가로 수업에 도입되고 있다. 이

같은 새로운 패러다임은 교사로 하여 학생들의 성취와 진보에 해 최 한의

가능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한다.

다음은 수행 평가의 기법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에 해 간략히 기술한다.

폴리오는 학생 스스로 과제를 선정하고, 자신의 진보 정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기록 한다는 에서 단순히 작품을 쌓아 둔 집합체와는 달리 일종의 반성 인 성

격을 지니고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의 주된 목 은 다음과 같다.

① 교사가 시험 성 만이 아닌 학생들의 모든 면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② 학생 자신의 개인 견해에 해 단지 시험 성 에 의존하기보다는 자기 평가

에 참여하고 그들 자신의 성과를 가져오도록 학생들에게 용기를 북돋워 주는 것

③ 학생의 성취, 발달, 성장에 계 있는 교사와 학생, 교사와 부모님, 그리고 교

사와 학교의 다른 문가들 사이에 의사 소통의 증가를 진시키는 것

④ 교사가 교육 로그램을 평가하도록 하는 것

과학 포트폴리오에 합한 성취 증거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들 수 있다.

∘활동들의 요약 ∘차트와 그래 ∘시험 ∘고안된 분류 체계

∘가설, 방법, 데이터 그리고 결론을 포함한 실험 보고서

∘실험에 한 학생 자신의 의견 ∘활동 에 조사된 데이터와 측정치

∘활동에서 만들어진 찰 결과의 목록 ∘개인과 그룹의 보고서

∘쓰여진 학 과제와 과제의 평가 ∘ 검표 ∘일화 (일상 ) 기록들

∘교실을 벗어난 과학 활동의 증거(과학반 활동, 과학 방문, 천문과 방문)

∘일상 생활에서 과학의 용과 아이들의 인지의 증거

∘ 찰과 실제 시험(테스트)의 결과들

Page 9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89 -

포트폴리오에서는 평가될 두 가지 요소가 있는데, 그것은 학생들의 기여와 교사

의 요구이다. 학생들의 기여는 정확한 퍼센트나 어떤 기 에 의한 진 과 같은 외

부 기 을 참고하여 평가하지 않고, 다음과 같은 기 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① 선택 - 학생들이 나타내기 원하는 것을 나타낼 사례를 선택하 는가? 그 사례

는 생각과 수행을 가장 잘 나타내는 사례인가? 그 사례는 발 과 성장을 나타

내었는가?

② 반성 - 설명은 논리 인가? 그들이 나타내려고 하는 것을 나타내었는가? 학

생들의 증거와 설명은 부족 부분에서 발 을 나타내었는가? 학생은 무엇이 행

해지고 있는지를 이해하는지 나타내었는가? 취약한 부분에서 이해를 하기

해 효과 으로 수행했는지를 나타내는가?

③ 기술 - 목차가 있는가? 모든 증거물들은 타당하게 명칭이 붙여져 있으며 설명

되어 있는가? 동일한 구성이 따르는가?

Page 9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90 -

< 12> 과학과 신․ 과정 비

구 분 제6차 교육 과정 제7차 교육 과정 비 고

기 본방 향

∘지식과 탐구 과정의 학습을시∘ 정 학습 분량으로 조정∘실생활과의 련성 강조∘학교 간 연계성 유지

∘지식과 탐구 과정의 학습을 시∘과학 학습에 흥미와 심제고∘실생활과의 련성 강조∘학습량 감축, 학습 내용의연계성 유지

시 간배 당기

∘과목명 : 과학∘1~3학년 : 주당 4시간

∘과목명 : 과학∘1학년 : 주당 3시간2~3학년 : 주당 4시간

체 제∘ ․ ․고교별 교육 과정∘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 3학년~고1학년)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성 격∘ 학교 과학과 교육 과정의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포으로 진술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한 과목으로서 과학과의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포

으로 진술

목 표∘총 목표와 4개의 하 목표를 제시∘교사 심으로 진술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과학과 목표를 총 목표와 4 개의 하 목표를 제시∘학생 심으로 진술

∘교사→학생 심으로진술

Page 9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91 -

Ⅳ. 제 7차 교육과정의 문제

개선 방안

7차 교육과정은 실시되기 과 즈음에 교육과정정착의 승패를 가름할 주체인 교

사들에게 학생을 더 낫게 보람되게 가르칠 수 있다는 기 나 의미를 갖게끔 인식

하고 느낄 수 있게 하는데 우선 실패했다. 교육과정이 처음 틀을 갖추었을 때 가

능한 많은 교사들에게 이 교육과정을 건네주고 진지하게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내용을 보완하는 과정을 생략하거나 무 짧게 가겼기 때문이다. 둘째 새로운 교

육과정에 담긴 목표가 아무리 이상 으로 훌륭한 것이라도 그것을 실 할만한 기

가 되어 있지 않으면 아무런 쓸모가 없는 것이다. 7차 교육과정은 물 , 인 기

반은 그 로 둔 채 교사의 변화만을 구하 다. 수 별 수업을 제 로 실시하려

면 그에 한 다양한 자료 제공과 한 연수가 필요하고, 교사들이 목표에 맞게

지도할 수 있도록 한 학생 수 확보를 한 학 당 학생 수의 감축이 필요하

고,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제 로 살펴보고 실시하는 방법을 찾고 연구할 수 있는

시간의 확보가 필요한 데 이러한 것에 하여 개선할 방도를 조 도 갖고 있지

않으면서 그 교사들만 바라보고 있는 것처럼 되어왔다. 셋째 새로운 교육과정

개편은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한 경험을 세 히 조사하고 한 그런 경험 속에

서 이루어 놓은 새로운 방향을 지향하는 성과물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일을 생략

하 다. 그러므로 이 교육 과정과 7차 교육과정은 완 히 단 되는 듯한 분 기

를 가져왔고 여기에 교사들은 단 에 한 불안과 불완 한 목표와 내용에 한

불신 속에서 그나마 어렵게 유지하던 자신감과 의욕을 상실하는 지경에 이르 다.

한편 사회의 변화 흐름 속에서 교사들의 자아의식이 높아졌고 박사학 를 받은

교사들의 수의 증가가 보여주듯이 그들이 갖는 교육에 한 문성도 높아지고

교육과정 등 교육에 한 여러 문제에 하여 집단 연구와 응이 계속되고 있

는 것도 요한 실이다. 이러한 실을 인정하고 교사와 교사집단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함께 고민해나가는 향 인 자세가 교육 계자들에게 요구된다고 하겠

다. 이런 문제는 과학과를 포함하여 부분의 교과에 공통되는 문제이다.

Page 9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92 -

1. 목표

1) 실태 문제

제7차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이 총 성격의

상 목표와 하 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 상과 사물에 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의 지식 체계를

이해하며, 탐구 방법을 습득하여 올바른 자연 을 가진다.

가. 자연의 탐구를 통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실생활에 이를

용한다.

나. 자연을 과학 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르고, 실생활에 이를 활용한다.

다. 자연 상과 과학 학습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실생활의 문제를 과

학 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라. 과학이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발 에 미치는 향을 바르게 인식한다.

총 성격의 상 목표에서는 ‘올바른 자연 을 가지는 것’을 지향해야 할 가

장 궁극 인 목 으로 제시하면서 올바른 자연 을 가지기 해서는 자연 상과

사물에 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의 지식 체계를 이해하며, 탐구 방법

을 습득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하 목표들은 총 목표에서 말한 것을 다시

구체화한 것으로, ‘과학의 기본 개념 이해’, ‘탐구 능력 신장’, ‘과학 학습에 한 흥

미와 호기심 신장’, ‘과학이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발 에 미치는 향 인식’의 네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 목표와 하 목표의 내용을 살펴볼 때, ‘올바른 자연

을 가진다.’가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단된다.

이러한 목표 구성 진술체제에 해서는 아직 크게 문제 이 제기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다른 나라의 목표 구성 진술체제와 련하여 논의의 상이 될

수 있는 항목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과학과 교육 목표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인 3~10학년을 상으로

하고 있는데, 이처럼 여러 학교 을 상으로 한 단일 목표 체계가 상 학년들의

인지 수 을 고려할 때 합한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즉 3학년부터 10학년까

지는 무려 8년의 나이 차이가 있는데 하나의 목표가 8년의 연령차에 계없이 모

Page 10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93 -

두에게 의미 있고 바람직한 목표가 될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과학

교육의 목 은 3~10학년을 통합하여 하나로 주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목

표는 학생의 연령이나 수 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구체 인 수 에서 설정되어야

만 의미가 있다. 따라서 3~10학년을 상으로 하나의 동일한 목표를 제시할 것이

아니라 히 수 을 나 어 목표를 수 에 맞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학교나 교사가 교육과정을 구 하는 데 있어서 자율성을 침해받을 정도로 자세하

게 목표를 제시하는 것도 곤란하지만 지나치게 추상 인 목표 한 실질 인 도

움이 되지 못한다.

둘째,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의 신장은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매우

요한 능력으로 과학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항목이다. 이러한 요성에도 불구하

고 제7차 과학과 교육 목표에는 창의력이나 문제 해결력의 신장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를 과학 교육의 목표 속에 명시하는 것에 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의 목표는 과학 지식의 이해, 탐구 능력의 신장, 과학

에 한 흥미와 호기심 신장, 과학이 기술과 사회의 발달에 미치는 향에 한

인식 제고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과학과 교육 목표로 합하고

충분한지에 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과학과 교육의 목표 진술 체계를 살펴보면, 상 수 의 과학 교육 목 을

진술하는 부분과 하 목표를 진술하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하 목

표가 총 성격을 가진 상 수 의 목표를 많은 부분 반복하고 있으므로, 이

두 목표간에 뚜렷한 차이를 찾기가 어려우며, 연 계 한 명시 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이양락(2004c)은 이러한 형태의 목표 진술은 일본을 제외한 다른 나라

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고 있음을 지 하면서, 교육과정 심의 원들도 총 성격

의 목표 진술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며, 이러한 목표 진술은 오랜 행이었으나

총 진술이 있고 없음의 차이에 한 체계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하 다.

다섯째,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의 목표는 비교 추상 이고 간명하게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행 과학 교육 목표 진술의 구체화 정도가 한지에 한 검토가

필요하다. 를 들어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 목표 속에는 ‘올바른 자연 을 가진

다.’는 내용이 들어있다. 그러나 이는 지나치게 추상 이고 포 인 성격을 가지

Page 10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94 -

고 있어서 사람마다 해석이 다를 수 있다. 실제로 이양락(2004c)은 교육 학원의

교사를 상으로 올바른 자연 의 의미를 물은 결과, 그 뜻을 아는 사람이 별로

없었다고 지 하고 있다. 이는 총 성격의 목표가 추상 이어서 실제 과학교육

실천에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개선 방안

에서 제시한 문제 과 련하여 과학과 교육목표의 개선 방안을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첫째, 학교 별로 과학과 교육 목표를 제시한다. 재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3~10학년까지로 그 상층이 넓다 보니 목표가 매우 포 이고 일반

이어서 이 목표를 용하기 해서는 목표에 한 다른 해석을 필요로 한다.

목표가 그 차체로 의미가 있기 해서는 어느 정도 구체 인 수 에서 목표를 진

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 인 수 에서 목표를 진술하기 해서는 목표의 상

을 축소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해서는 학교 별 목표 제시 방법과 학년별 목

표 제시 방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년별로 목표를 제시할 경우에는

상 학생들의 특성이 비슷하여 그 목표를 차별화하기가 어려우므로, 학습자 특성

에 차이가 뚜렷한 학교 별로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단된다. 이

때는 상 학습자 집단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창의성 신장’을 과학 교육의 목표에 포함시켜야 한다. ‘창의성 신장’은 미

래 사회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요한 능력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과학은 창의성 신장을 한 매우 효과 인 학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실

제로 외국의 과학 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창의성 신장’이 목 으로 명시된 경우를

볼 수 있다. 창의성 신장이 과학교육의 목 이나 목표로 추가된다면 내용 구성

개, 방법 측면에서 행 교육과정과 어떤 에서 달라져야 하는지 등에 한 검

토도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이양락, 2004c).

셋째, 미래 사회를 고려했을 때 과학과 교육의 목표로 포함될 요소가 더 있는지,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 바 어야 할 것은 없는지에 한 검토가 필

Page 10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95 -

요하다. 미국의 국가과학교육기 에서는 ‘개인 인 의사 결정 과정에서 한 과

학 과정과 원리를 사용한다’를 목표로 포함하고 있으며, 싱가포르의 과학 교육목

표 속에는 ‘개인 인 의사 결정을 할 때 과학 지식과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능

력을 기른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김주훈과 이미경, 2003). 이외에도 다른 나라

의 과학과 교육 목표를 살펴보면 여러 가지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

한 다른 나라의 사례를 참고하고, 미래 지향 인 에서 과학 교육을 조망했을

때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 목표의 내용들이 한지 더 포함될 내용은 없는지

에 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행처럼 상 수 의 목표와 하 목표로 구분하여 과학 교육의 목표를

진술할 경우에는 연계성 차이가 뚜렷하도록 진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재처럼 상 수 의 목표와 하 목표로 나 어 과학 교육의 목표를 진술할 것

인지에 한 근본 인 검토도 필요하다.

다섯째, 의미가 공유될 수 있도록 과학 교육의 목표를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

다. 앞에서도 언 한 것처럼 재의 교육과정 목표 의 일부 용어는 의미의 공유

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의 개선이 필요하다.

2. 내용 체계

1) 실태 문제

과학과의 내용체계에서 보이는 문제 들은 첫째 7차 과학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목표는 ‘실생활에 용하고 활용하고, 실생활의 문제를 과학 으로 해결하려는 태

도를 기르는 것’이 주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과학교육 내용은 등1,1학년의 경우

사회과와 통합한 슬기로운 생활이 만들어져 활용되고 있을 뿐 등학교 3학년에

서 고등 10학년까지 지식체계로 엮어진 학문 심으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의 4 역의 내용이 정확하게 4등분되어 제시된 합본과학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역이 다른 곳에서 사용하는 같은 개념사이에 서로 모순되는 이 발

견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고, 학생들이 체 과학내용을 아우르는 통합 인 사

Page 10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96 -

고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실생활에 과학 태도를 갖고 과학지

식들을 활용할 기회를 갖지 못하므로 과학교육과정 목표를 이루는데 어려움이 있

다.

둘째 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이 교과내용을 이는 것이었다. 그에 따라 과학

내용이 6차 교육과정의 내용보다 약 30%정도 다. 하나, 교육과정의 구성이 기

본내용, 심화내용으로 이루어져 있고 6차 교육과정 때 보다 수업시수가 1시간

어들고 학생들이 활동할 수 있는 내용이 늘어나면서 장교사들은 6차 교육과정

때보다 시간이 음을 호소하고 있다.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활동을 많이 하고 제

로 된 탐구형태의 실험, 찰을 하며, 제 로 된 다양한 학생 평가를 하기

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지 의 교육과정 내용 역시 여 히 양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과학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지식과 탐구로 나 어져 있고 한 탐구는 기

탐구와 통합탐구로 이루어진 탐구과정과 탐구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개발된

교과서의 부분에서 탐구가 과학 개념지식을 유도하는 형태로 제시되어 있어 기

탐구과정에 주로 한정되어 통합탐구의 다양한 탐구과정 형태를 띠고 있지 못하

다. 한편 탐구의 방법 등을 소개하는 내용이 10학년에서만 제시되어 탐구의 방법

에 한 내용에 한 학습은 다른 학년에서는 할 수 없어 정확한 탐구에 한 인

식이 부족하게 된다.

넷째 총론에 ‘우리 문화에 한 이해의 토 에 새로운 가지를 창조하는 사람’

으로 되어있는데 과학의 목표나 내용 해설에서 우리나라 과학을 언 해 놓은 곳

이 없고, 그래서인지 부분의 과학의 내용이 서양에서 이루어놓은 과학의 구조와

개념을 학습하게끔 구성되어있고 우리나라 과학에 하여는 가끔 하나씩 에 띨

분 역사 속에서 우리나라에서 이루어놓은 과학 지식이나 산물, 우리나라 과학자에

한 소개가 매우 인색하다. 한 총론에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

는 사람’이라는 목표가 제시되어 있는데 과학교육과정에서는 진로를 개척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에 한 소개가 미약하다.

다섯째 재 과학의 가장 큰 문제의 하나는 과학의 발달로 말미암은 인간생활의

풍족과 편리 등 그 성과에 반하여 자연생태의 괴, 인간의 소외 상 등이 나타나

Page 10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97 -

는 것이다. 과학의 소양과 과학의 실생활에서의 용과 활용을 목표로 하기 때문

에 이러한 과학의 반 인 문제들이 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에도 우리의 교육과

정이나 교과서에는 단편 일뿐 다양하게 본격 으로 다루고 있지 않다.

여섯째 교육과정이 확정된 후 교육과정을 담을 교과서를 개발할 때 배부하는 유

의할 을 담은 지침서가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 혹은 이루어지고 있

는 시기에 배부되고 교과서의 개발 시기가 등 3,4학년과 학교 1학년이 같

은 해에, 등 5,6학년과 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이 다음 같은 해에, 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이 그 다음 같은 해에 개발되고 있어 교과서의 소재나 내

용이 겹쳐지고 내용의 흐름이 학년에 따라 매끄럽지 못하기도 하다.

일곱째 과학교육 내용을 학년은 상 심으로 고학년으로 갈수록 개념 심으

로 구성방침을 정해놓고 있어 학년에서는 부분의 내용이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활동에 한 개념학습이 부족하여 학년이 갖출 수 있는 개념 확립이

될 수 없는 을 등 교사들이 많이 지 하고 있다.

2) 개선방안

재 과학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다음의 두가지를 유념해두었으면 한다. 첫째 과

학교육과정 내용구성이 과학교육의 목표와 걸맞는 것인가로 단해야 한다. 아무

리 체계가 잡히고 잘 짜여진 내용구성이더라도 목표를 이루는데 크게 기여를 하

지 않는다면 과감히 수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과학교육과정내용을 수정할 때 아

무리 이상 이라고 해도 연구되거나 실천된 것이 없는 경우 새롭게 구성하는 것

이 실질 으로 어렵다. 그러므로 목표에 다가가면서 실행하기 쉬운 방법으로 내용

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과학교육과정 내용에 한 논의에 앞서 우선 참고로 연구

자가 국 , ,고 과학교사들에게 실시한 ‘과학교사들이 재 필요로 하고, 미래

에 필요로 하는 교과내용’에 한 설문(2004년 1월-6월 실시)에서 그 결과를 제시

해 보면 다음과 같다.

Page 10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98 -

응답항 빈도- 명(%)

흥미로운 안실험 87(28.2)

과학교수이론과 실행방법 95(33.1)

탐구수업의 실천 이론과 용 44(15.3)

과학교육평가방법 11(3.8)

과학교육방향에 한 철학 내용 4(1.4)

교과내용의 심도있는 원리나 이론 12(4.2)

수 별, 개별지도 내용 33(11.5)

기타 5(1.7)

무응답 2(0.7)

응답항 빈도- 명(%)

환경과 친화되는 과학윤리, 철학 47(16.4)

탐구 능력과 기능 63(22.0)

호기심을 유발하는 실험이나 과학내용 73(25.4)

실생활과 련한 과학지식 71(24.7)

과학의 기본 원리나 개념 28(9.8)

기타 2(0.7)

무응답 23(1.0)

<표 14>

재 학생지도에 필요로 하는것 (n=287)

앞으로 과학교육에서 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내용(n=287)

교사들은 재 수업에서 필요로 하는 것으로 과학교수이론과 실행방법(33.1%),

흥미로운 안실험(28.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것은 학생들이 과학에 흥미를

덜 갖고 있으며 교사들은 그러한 학생들을 효과 으로 지도하는데 필요한 수업방

법이나 실험내용을 찾고 있다고 해석해도 무방할 것이다.

앞으로 과학교육에서 가장 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내용으로는 호기심을 유발하

는 실험이나 과학내용(25.4%), 실생활에 련한 과학지식(24.7%), 탐구 능력과 기

능(22.0%), 환경과 친화하는 과학윤리, 철학(16.4)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재 과

학의 기본원리나 개념 주로 되어 있는 교육과정이 좀 더 학생들의 흥미와 심

Page 10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99 -

에 맞는 내용으로 보완되고, 한 과학의 원리나 개념보다 탐구 능력과 기능을 키

우고 환경과 친화하는 과학윤리, 철학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 다고 할

수 있겠다.

과학교육과정 안내용에 해 알아보면 첫째 7차 교육과정은 과학교육의 목표

를 과학 인 소양, 과학지식을 익 실생활에 활용하고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잡고 있으나 재 내용은 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10학

년까지의 과학내용은 천편일률 으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4 역으로 나

어져 에 지, 물질, 생명, 지구라는 이름으로 같은 페이지를 나 어 구성하고 있

다. 10학년의 경우만 탐구와 환경이 더 첨가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

성이 바로 교육과정의 과학교육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과학교육

계자보다 아니라고 생각하는 과학교육 계자가 더 많을 것이다. 그러면 이것을 수

정해야 하는데 여러 가지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로 지 처럼 역별 학문

체계를 그 로 두되 그 양은 폭 여서 넣고 실생활과 련이 깊고 과학교육목

표에 가까운 내용을 몇 가지 선정하여 넣는 것이다. 그 내용의 로서는 과학은

우리의 생활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과학이 낳은 문제와 해결방안 찾기, 과학 내

용은 시 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 는가, 내 주변의 과학 련 문제와 해결방안 찾

기, 과학 탐구방법은 무엇이며 어디에 어떻게 사용할까, 과학은 홀로 자기 역

을 지키며 발 할 수 있을까 등이 있다. 즉 역별 지식의 구조와 학습은 재 교

육과정과 같이 하고 다만 여기에서 과학교육목표를 채우기 부족한 면을 보완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로 3학년에서 10학년을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따라 크게 2-3단계

로 나 어 1단계에서는 과학지식을 주제 심의 통합 과학 인 방법으로 익히게

하고 2단계에서는 지 과 같이 역별로 지식을 익히게 하고 3단계에서는 실생활

심, 다른과목과의 통합도 이루어지는 문제해결 심 내용으로 지식보다는 탐구방

법, 과학 지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익히게 하는 형태로의 구성이다. 세 번

째로 3학년에서 10학년까지 모두 주제 심으로 통합하고 그 속에서 련 학문

지식과 과학 탐구방법, 실생활과 련되고 문제해결능력을 키우는 내용을 주제

속에서 녹여 넣어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다. 내용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의 결정

은 실질 인 내용설정과 각 해당학교에서의 실행을 토 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

Page 10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00 -

다. 이것을 하기 한 구체 방법의 하나로 교육과정개정 원회를 상시 으로 굴

러갈 수 있도록 하고 그속에 하나의 교과로서 과학교육과정 내용에 하여 필요

한 주제나 소재를 교사모임을 상으로 공모하여 선정된 교사모임과 그 주제를

계속 연구해온 과학교육 문가를 연결하여 함께 연구, 실천하도록 한다. 여러 번

의 연구, 실천과정을 통하여 나온 결과와 문제 을 바탕으로 내용을 결정하는 것

을 제안하고 싶다. 둘째 재 교육과정은 학년에서는 상, 사물 심으로, 고학

년에서는 개념 심으로 꾸렸다고 한다. 학년에서 상, 사물 심이라고 하나

여 히 물, 화, 생, 지의 역구분의 틀을 벗어버리지 못하고 있고, 상, 사물

심이라고 하여 개념의 소개가 매우 다고 한다. 나이가 어리다고 하여 개념소개

가 반드시 배제될 필요가 없으므로 해당 학년의 인지단계에서 맞는 개념이나 원

리를 선정하여 가르쳐야 할 것이고 그와 련한 문제해결의 내용도 제시할 수 있

을 것으로 본다. 한 하나의 상에 련된 여러 분야의 내용을 종합 으로 구성

하여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을 개선하기 하여 교육과정 개발이나

교과서의 개발에서 , ,고의 장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수 있는 교사들과 장과

련한 교육과정의 계속 인 연구를 하고 있는 교과 문가를 선정하여, 연구와

의 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과학교육의 구성을 기본, 심화,

보충, 재량으로 나 지 말고, 단순하게 과학시간으로 확보하고, 확보한 시간을 과

학지식, 탐구방법, 장학습, 평가가 균형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간을 배분하

는 것이 필요하고, 한편 교사의 재량으로 할 수 있는 과학내용의 구성과 실시를

하여 의 교육과정의 내용의 양을 확보된 수업시간보다 은 시간이 소요되도

록 정했으면 한다. 교사의 재량시간에 각자 학교와 학생의 조건에 따라 수 별 수

업, 더 나아간 탐구등을 교사 스스로가 구성하여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교사가

자기에게 주어진 시간을 질 높게 활용하기 하여 한 자료들이 제작되어 배

부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과학에서 탐구능력은 지식을 만들고 알아가는 방법으로

매우 요하다. 그러나 탐구능력을 요시 여기는 만큼 익히는 내용이 제 로 안

내되어 있지 않다. 탐구에 한 정확한 인식을 하여 탐구에 한 내용이 각 학

년에 골고루 분산되어 학년 내에서는 조직화되어 제시되고, 각 탐구과정이 발

달간계에 맞게 교과 내용 속에 골고루 제시되며 종합 으로 탐구과정을 사용

Page 10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01 -

하는 문제상황이나 실험상황이 제시되어 학생들이 실행하면서 탐구에 한 인식

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꾸며지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과학교육과정 내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들어갔으면 한다.

① 우리나라 과학의 역사를 알 수 있고, 아울러 우리나라 과학자의 활동과 업

등을 소개하는 내용이 일정량으로 각 학년에 배치되기를 바란다. 과학의 내용이

서양에서 이루어 놓은 과학의 구조와 개념을 학습하게끔 되어있고, 범세계 인

내용을 학습해야 한다는 논리가 있더라도 그 속에 우리나라 과학의 역사를 알

수 있는 내용과 우리나라 과학자의 활동과 업 등을 소개하여 우리 과학의 내용

을 알고 자부심을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 우리 과학

에 하여 알려주는 것은 우리 국민만이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② 재 과학의 반 인 문제들을 문제가 발생한 사회 배경과 원인, 이에 한

인생의 의미, 목 들을 생각할 수 있는 철학 내용, 과학이 이러한 문제를 해

결해나가는 과정을 소개하며 문제 인식과 아울러 과학이 재에도 매우 유용한

학문임을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과학이 다른 학문들과 연결하여야 그 의미가

살아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③ 교과의 지식과 함께 학생들이 과학에 련된 진로를 생각할 수 있게끔 유도하

는 내용을 실어야 할 것이다.

④ 과학 지식은 시간에 따라 항상 변해나가는 것을 알 수 있는 내용을 소개하여

학생들이 자신이 탐구하는 내용에 의욕을 갖도록 하고 창의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육과정을 개선할 때 과학과 련한 유 교과인 수학, 기술, 사회의 교

육과정을 살펴보고 연 되는 부분의 내용이나 지도방법 등을 함께 논의하고 정하

는 것이 필요하다. 과학 내용 수학의 지식이 바탕이 되는 내용일 경우 필히 수

학에서 미리 지도되거나 함께 지도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STS나

실생활과 련한 내용을 구성할 때에는 통합교과내용구성과 지도방법에 한 논

의도 필요하다.

일곱째 과학교육 과정의 구조와 과정 내용을 정할 때 , , 고교의 경험이 많

은 교사, 은교사를 선정하여 참여하도록 한다. 이것은 , , 고교 학생들의 학

Page 10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02 -

습경험은 경력이 많은 교사로부터, 학생들의 재 학습심리를 경력이 은 교사로

부터 얻기 함이다. 이 교사들과 교과 문가들이 서로 의하는 체제를 갖추어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고 교과서도 등, 등, 고등집필자들이 함께 논의하여 개발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야 좀더 학생의 발달단계에 맞는 상, 주제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 교과서의 경우 같이 모여서 개발할 필요라 있는 것은

등은 국정, 등은 검인정의 형태를 취하고, 등, 등, 고등이 별로 따로

교과서를 개발하기 때문에 내용이 겹치는 것이 보이는 등 문제 이 보이기 때문

이다.

여덟째 교육과정을 목표에 맞게 구 하는 다양한 내용 도입을 하여 재 교과

서의 국정이나 검인정제도는 자유발행제로 바 으면 한다. 즉 교과서를 만드는

데에 아무런 제약이 없고 만든 내용에 크게 문제가 없으면 발행을 허가하는

것이다. 지 은 검정제도가 있기 때문에 검정에 합격한 부분의 교과서가 각각의

특징을 별로 갖고 있지 못하고 거의 엇비슷한 내용과 순서를 담고 있다. 우리의

교육과정이 차 지역과 학교에서 교사별로 재구성되는 방향을 취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내용을 담은 여러 가지 형태의 교과서 발행으로의 유도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Page 11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03 -

3. 교수 학습방법

1) 실태 문제

교육과정 해설서의 ‘과학과 교수, 학습방법’ 부분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은 다음

과 같다.

< 등, 등, 고등학교 공통 내용>

➀ 학생의 지 호기심과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발문을 하도록 노력하고,

개방 질문을 극 활용한다.

② 탐구 방법을 체득시키기 하여 기 남구 과정( 찰, 분류, 측정, 사, 추리

등)과 통합 탐구 과정(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변환,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일반화 등)을 학습 내용과 히 련시켜 지도한다.

③ 찰, 실험 등의 탐구 활동은 가 은 인원의 분단별 학습으로 하고, 분단

별 학습시에는 상호 력하게 하여 과학 탐구에서 상호 력의 요성을 인

식하게 한다.

④ 학생 심의 탐구 활동과 토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신의 의견을 명확히 표

하려는 태도와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는 태도를 가지게 한다.

⑤ 최신 과학, 과학자 이야기, 시사성 있는 과학 내용 등을 히 과학 시간에

소개하여, 학생이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게 한다.

< 등, 고등학교에만 제시된 내용>

⑥ 실험․실습 지도

⑦. 심화․보충 학습 지도

제시된 교수방법은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때 반드시 해야 할 일 는 유의랄 을

짚어 것으로 구체 교수학습 방법의 제시를 기 하는 교사들에게는 크게

와 닿지 않는다.

Page 11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04 -

등학교 과학 교사를 상으로 과학 수업을 하면서 어떤 교수․학습 방법과 자

료를 주로 활용하는지, 어떤 교수․학습 방법이 활용하기 어려운지, 그 이유는 무

엇인지 등에 하여 설문 조사를 하 고 면담을 실시하 다. 이에 한 응답 결과

는 다음과 같다.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에 한 학생들의 응답 결과도 함께 제시

하 다.

(1) 등 과학과 수업에서 주로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나 활동

과학 수업을 할 때 주로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나 활동을 우선 순 로

세 가지를 고르도록 하 다. 1순 에서 강의식 수업에 한 응답이 6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실험 실습이 14.3%, ICT 활용 수업이 12.0%로 높

게 나타났다. 그리고 2순 에서는 실험 실습이 34.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시범 실험이 26.1%로 높게 나타났다. 토론 발표와 조사 과제 학습

의 경우 1순 보다 2순 와 3순 로 갈수록 그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견학

탐방이나 역할 놀이는 거의 활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활동이 과

학 교육에서 정의 역의 교육에 효과 이라는 을 고려해볼 때, 과학 수업에

보다 극 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과학 교사들을 주로 강의식 수업을 하면서 실험 실습과 시

범 실험을 병행하고 있고 ICT 활용 수업도 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업 찰 면담 결과에서도 과학 교사들은 교실에서 강의식 수업을 주로 하

면서 교사의 설명과 함께 시범 실험을 하거나 학생들이 간단한 활동에 참여하도

록 하고 있었다. 그리고 실험 수업의 요성을 인식하고 과학실에서 모둠별 실험

수업을 많이 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학실 부족, 진도 문제 등으로

인하여 실험 수업 운 이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한편 학생들이 과학 수업에 흥미

를 갖고 보다 극 으로 참여하도록 하기 하여 주로 실생활과 련지어 과학

내용을 설명하고 있으며 화나 TV 내용 에서 과학과 련된 를 소개하는

경우도 있고 동 상 자료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을 상으로 한 설문에서 각 과목의 선생님이 수업할 때 어떤 방법과 자

료를 사용하는지, 학습 내용에 따라 수업 방법이 다른지, 학생의 의견이나 요구가

Page 11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05 -

수업 방법에 반 되는지 등에 하여 질문하 다. 과학과 수업방법에 한 학생들

의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과학 수업 방법에 해서는 교사의 설명이나 시범에 한 응답이 32.1%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실험․실습 찰, 린트물을 통한 요 정리, 문제 풀

이와 해설 등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시범, 발표, 토의․토론,

동 학습, 개별 집단 과제 부여 등의 경우 그 비율이 낮게 나타났고, 역할 놀

이를 하는 경우는 아주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등학교 과

학 수업은 주로 교사의 설명식 수업으로 진행되면서 문제 풀이, 요 정리 등을

하고, 실험․실습과 찰 수업을 병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상의 설문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2) 등 과학과 수업에서 활용이 어려운 교수․학습 방법과 그 이유

과학과 수업을 할 때 교수․학습 방법 특히 활용하기 어려운 방법과 그 이유

를 구체 으로 서술하도록 하 다. 응답 결과를 정리하면 <표 14>과 같다.

실험 실습, 토론 발표, 견학 탐방 등의 교수․학습 방법을 수업에 활용하

기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실습의 경우 실험 조교가 없는 상황에서 실

험을 비하고 실험 후에 정리하는 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과학 실험실이

부족하여 학년이 이용하기에 어려우며, 실험 기자재가 부족하거나 실험 기구가

노후되어 실험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토론 발표의 경우 학생들

이 토론을 하기에는 과학 지식이 부족하고 토론 자세가 성숙되지 않았으며, 학

생들간의 개인차와 수 차가 커서 일부 학생들만 주도 으로 토론에 참여하게 되

어 어렵다는 응답이 많았다. 견학 탐방의 경우 교통비 등 경제 인 부담 때문

에 어렵다는 응답이 많았다. 강의식 수업과 시범 실험의 경우를 제외하고 부분

의 교수․학습 방법을 용할 때 수업 진도 등의 이유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렵거

나 수업을 비할 시간이 부족하거나 그런 수업을 진행하는 데 시간이 많이 필요

하다는 응답이 공통 으로 많았다. 토론 발표, 조사 과제 학습, 역할놀이의

경우 학생들이 흥미가 부족하고 극 으로 참여하지 않아서 어렵다는 응답이 공

통 으로 나타났다. 한편 ICT 활용 수업의 경우 시설이나 기자재가 잘 갖추어져

Page 11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06 -

있지 않고 노후되어 어려움이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표 15> 등 과학 수업에서 활용이 어려운 교수․학습 방법과 그 이유

교수․학습방법

빈도 이유

강의식 수업 2․학생들의 성취 의욕 하․교과 내용이 어려움

시범 실험 1 ․교실로 실험 기구를 매번 가져가야 함

실험 실습 53

․실험 비와 실험 후 정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함․과학실 부족․실험 기자재의 부족, 노후된 실험 기구․학생 수 과다, 학생 통제의 어려움․수업 진도의 이유로 실험 시간 확보 어려움, 실험 시간 부족․실험 결과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그 경우 다른 수업방법에 비하여 효과가 감소됨

토론 발표 64

․토론 시간 확보의 어려움, 토론에 많은 시간이 필요함․학생들의 지 능력과 토론 자세가 부족함․학생들간의 개인차와 수 차, 일부 학생만 주도 으로 발표함․학생들의 소극 인 참여․교사의 수업 지도 능력 부족․학생 수 과다

조사 과제학습

20

․학생들의 흥미 부족, 소극 참여, 부담․인터넷 자료를 인용하고 내용이 천편일률 임․시간이 많이 필요함․자료 부족

견학 탐방( 장 체험학습)

69

․시간 부족, 교육과정 운 상 별도의 시간을 마련하기 어려움․교통비, 학교의 지원 등 경제 인 부담․안 지도, 학생 리․ 차상의 번거로움․과학과 련된 견학 시설의 부족

역할 놀이 41

․시간 확보의 어려움, 계획 연습 시간 부족․학생들의 소극 인 참여․과목의 특성상 부 합한 방법․교사의 경험 부족․주제나 자료의 부족

동 학습 8․수업 비에 많은 시간이 필요함․조원 내부의 수 차나 성실도의 차이 때문에 불만이 생김

ICT 활용수업

27

․시설이나 여건의 미비, 기자재 고장․학생들의 주의집 이 잘 되지 않고 수업이 산만해짐․자료가 부족함․자료 제작 등 수업 비에 시간이 많이 필요함

기타 1 ․수 별 수업에서 조별로 다른 수업을 하기 어려움

Page 11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07 -

(3) 등 과학과 수업에서 주로 활용하는 자료

과학과 수업을 할 때 주로 활용하는 자료에 한 응답을 살펴보면, 교과서, 교사

용 지도서 등 교과용 도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5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

음으로는 워포인트 자료, VTR, CD-ROM 타이틀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가

17.2%로 높게 나타났는데, 2순 와 3순 에서는 그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인터넷

자료, 참고서와 문제집, 자신이 제작하거나 는 동료 교사와 함께 제작한 자료,

연구 기 시․도 교육청에서 개발한 자료를 활용한다는 응답도 비교 많았

다. 한편 교과 모임에서 개발한 자료, 과학 련 서 , 신문기사나 잡지, 교육방송

등을 수업에서 활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찰 면담 결과에서도 학습 내용을 정리한 린트물, 활동지, 실험보고

서 등의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고 있었고, 교단 선진화 시설을 잘 활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수업 자료를 제작하기 해 교육청이나 교육과학연구원, 에듀넷, 교사 연구

회 등에서 제공하는 자료, 과학 교사가 운 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자료 등을 주로

참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과학 교사들은 수업에서 교과용 도서를 주로 활용하면서

멀티미디어 자료와 인터넷 자료를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단 선진화

시설이 보 되어 이러한 자료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 상황이 하나의 요인

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과학 수업에서 사용되는 수업 자료에 한 학생들의 설문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교과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40.3%), 그 다음으로는 린트물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자료와 실물 자료 등을 사용

한다는 응답도 10% 이상으로 나타났다. 과학과 련된 책, 잡지, 신문기사 등의

경우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과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이나 실험

보고서 등의 린트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 상의 설문 결

과에서도 교과용 도서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자료

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생 상의 설문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Page 11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08 -

(4) 등 과학과 수업 운 시 방법 련 문제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과학과 수업을 운 할 때 교수․학습 방법과

련하여 발생하는 문제 그에 한 개선 방안을 구체 으로 어 달라는 문항

에 하여 총 58명의 교사가 응답을 하 는데, 교사의 응답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다양한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9명)

․실험 수업을 한 여건(실험실 수, 실험 기자재, 실험 시간, 실험 조교 등)이

충분하지 않다. (8명)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한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7명)

․ 련 자료가 부족하다. (6명)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의 결과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3명)

기타 의견으로는 실험 주로 구성되어 있어 시간이 부족하다,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을 동 상 자료로 개발되면 도움이 될 것이다, 개발된 자료들을 통합하여 분

류해서 웹에 탑재하면 유용할 것이다, 실험 방법의 다양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심화 보충형 자료가 다양하지 않다 등이 있었다. 응답 내용을 살펴보면 교수․학

습 자료에 한 의견과 실험 수업 운 의 어려움에 한 의견이 많았다.

학생 설문의 경우, 과학 수업에 하여 바라는 내용이 있으면 자유롭게 쓰도록

한 문항에 하여 총 281명의 학생들이 응답을 하 다. 응답 내용의 부분이 수

업 방법에 한 것이었다. 응답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을 더 많이 했으면 좋겠다. (103명)

․과학이 어려운데 재미있고 활기차게 수업했으면 좋겠다. (42명)

․과학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을 잘 해 주셨으면 좋겠다. (30명)

․ 재 수업 방법에 만족한다. (13명)

․문제 풀이를 많이 했으면 좋겠다. (10명)

․요 정리를 해 주셨으면 좋겠다. (5명)

․학생들이 이해했는지를 확인하면서 수업 진도를 나가셨으면 좋겠다. (5명)

Page 11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09 -

이 외에도 ‘ 찰을 많이 했으면 좋겠다, 수업 진도가 빠르다, 필기를 많이 한다’

등의 응답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학생들은 과학 수업 시간에 실험을 많

이 하기를 바라며 과학 수업이 좀더 재미있고 이해하기 쉽게 진행되기를 바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개선방안

이상의 논의를 토 로 과학과 교수․학습 방법에 한 개선 방안을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 등을 막론하고 과학과 실험 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과

학실을 확보하고 실험 조교를 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 하다. 과학 수업에서

는 실험 수업을 권장하고 있고 과학 교사들도 실험 수업의 요성을 인식하고 있

으며 학생들도 실험 수업을 선호하고 있으나, 과학실 부족, 실험 비와 정리의 부

담, 진도 문제 등으로 인하여 실험 수업을 제 로 운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실험 기자재와 멀티미디어 시설을 갖춘 과학실이 해당 학교 크기에 맞게

확보되어야 하고, 각 학교마다 실험 조교가 배정될 필요가 있다. 교직 발령 기

인 비 교사들이 과학 보조 교사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방안을 하나의 안으로

제안한다.

둘째, 수업자료 측면에서 안 인 실험을 포함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제

공해 주어야 한다. 그 일환으로 일부 교사들은 교수․학습 자료 은행 역할을 할

‘학습자료 센터’가 필요하다고 주장하 다. 이러한 학습자료 은행을 통하여 교사들

이 쉽게 자료에 근하여, 좋은 자료들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교사용 지도서에 검증을 거친 다양한 안 실험들을 실어

주고, 해당 수업주제와 련된 다양한 교수․학습자료를 상세하게 안내해 주어야

한다고 지 하 다. 실험의 경우 지역에 따라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도구나 재료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부분의 경우에는 “별다른 안이 없어서 그냥 넘

어가는 경우가 훨씬 많다”고 한다. 따라서 교사들은 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Page 11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10 -

재료를 이용하면서도 동일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실험들을 교사용 지도

서 등에 제시해 달라고 요청하 다.

셋째, ․ 등학교 장 교사들에게 과학과 수업모형에 한 상세한 지침을 제

공해 필요가 있다. 장 교사들에게는 ‘지도서가 모범 답안’이어서 지도서에 제

시된 과학 내용뿐만 아니라 지도서에 안내되어 있는 수업모형조차도 그 로 따라

하려고 하다보면 실제로 용하기에는 특정 학습모형 활용에 한 안내가 부족하

여 어려움이 많다고 호소하 다. 따라서 교사들은 지도서에 학습모형을 시해 주

려면 자세한 용 방법을 안내해 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일례로, 각 수업모형별로

구체 인 학습지도안 사례를 하나씩 첨부하여 제시해 것을 제안하 다. 한편,

장 교사들은 좋은 수업을 담은 활동 장면이나 다양한 수업모형을 활용한 수업

장면이 동 상으로 제공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즉, 같은 주제의 수업을 다른 사람

들은 어떻게 했는지를 실제로 지켜보고, 이를 참고하여 자신의 수업을 설계하고

싶다는 것이다. 특히, 등 교사들은 수업장면을 담은 동 상과 함께, 굳이 사

실험을 해보지 않고서도 실험과정과 결과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실험 과정을 동 상으로 제작하여 제공해 달라”고 요청하 다. 아울러 교사들

은 과학과 직 교사 연수에서 ‘효과 인 교수학습방법’에 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한다고 지 하 다.

끝으로, 과학과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과학 수업에서 견학 탐방과 역할 놀이 등은 거의 활용되

지 않는데, 이러한 활동이 과학 교육에서 정의 역의 교육과 STS 교육의 목

실 에 효과 이라는 을 고려할 때 과학 수업에 보다 극 으로 도입할 필요

가 있다. 견학 탐방의 경우 국가 수 , 시․도 지역 교육청 수 , 단 학교

수 의 교육과정 문서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 인 여건 미비 등으로 인하여 실제 운 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학교와

과학 유 기 의 연계를 강조하면서 과학과 련된 견학 시설을 좀더 확충하고,

견학 기 자체의 로그램을 개발하며, 교육청이나 학교 수 에서 경제 지원을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Page 11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11 -

4. 평가

1) 실태 문제

어떤 평가 방법을 주로 활용하는지, 평가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평가 활동을 계

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어려운 사항이 무엇인지 등에 하여 질문하 다. 그에

한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에 한 학생들의 응답 결과도 함께 제시하

다.

(1) 등 과학과에서 주로 활용하는 평가 방법

과학과에서 주로 활용하는 평가 방법을 우선 순 로 세 가지를 고르도록 하

다. 선택형과 단답형 문항을 주로 활용한다는 응답이 69.8%로 가장 많았다. 이는

학교에서 시행하는 간고사와 기말고사의 문항 유형이 주로 선택형이기 때문으

로 생각된다. 실험 보고서 평가를 1순 로 선택한 경우는 16.2%로 나타났는데, 2

순 에서는 그 비율이 56.5%로 가장 높았다. 2순 에서 실험 수행 능력 찰을 선

택한 경우도 비교 많았다. 이는 과학과에서 수행 평가를 하여 주로 실험 보고

서를 평가하고 실험 과정을 찰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3순 에서는 과

제 수행을 선택한 경우가 38.0%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수업 태도 찰을

선택한 경우가 많았다. 한편 학생의 자기 평가 동료 평가, 구술 시험, 토론

발표 등을 주로 활용한다는 응답은 2% 미만으로 아주 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과학과에서는 정기고사에서 주로 선택형과 단답형 문항으

로 평가를 하고 수행 평가의 항목으로 실험 보고서 평가, 실험 수행 능력, 과제 수

행 능력, 태도 등이 포함됨을 알 수 있다.

Page 11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12 -

<표 16> 주로 활용하는 평가 방법

응답 빈도 백분율(%)

1순 2순 3순

선택형과 단답형 문항 215 (69.8) 10 (3.2) 20 (6.5)

서술형과 논술형 문항 5 (1.6) 24 (7.8) 12 (3.9)

실험 보고서 평가 50 (16.2) 174 (56.5) 35 (11.4)

실험 수행 능력 찰 29 (9.4) 54 (17.5) 54 (17.5)

과제 수행(포트폴리오 포함) 3 (1.0) 28 (9.1) 117 (38.0)

수업 태도 찰 2 (.6) 14 (4.5) 61 (19.8)

학생의 자기 평가 동료 평가 1 (.3) 1 (.3) 2 (.6)

구술 시험 2 (.6) 0 (0.0) 1 (.3)

토론 발표 1 (.3) 3 (1.0) 6 (1.9)

합계 308 (100.0) 308 (100.0) 308 (100.0)

수업을 찰한 부분의 학교에서 주로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를 실시하고 있었

는데, 그 비율은 60 : 40인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학생들의 성취수 이 낮아 지필

평가로는 수가 낮게 나와서 수행 평가 비율을 50%로 높인 학교도 있었다. 수행

평가의 항목으로 비 태도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항목에 한 평가

결과에 하여 학생들이 수 하는지를 확인하고 있었다. 수행 평가에서는 실험 평

가가 성 에 반 되는 비율이 높기는 하지만, 퀴즈, 퍼즐, 발명 아이디어, 화 속

의 과학 원리, 참여도 등의 다양한 평가 항목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학생들을 상으로 한 설문에서 각 과목의 선생님이 평가를 할 때 어떤 방

법을 사용하는지에 하여 학생들에게 질문한 결과, 과학과의 경우 지필 평가에

한 응답이 29.9%로 가장 많았고, 과제나 보고서 평가, 실험 수행 능력 평가, 학

생 태도 찰 등의 방법도 평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평가를 할 때 학생 본인 평가 는 상호 친구 평가, 토론 발표 등을 거의 활용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응답으로 공책에 필기한 내용이나 책을 검사한

다는 응답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를 상으로 질문한 결과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과학 교

Page 12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13 -

사에게 주로 활용하는 평가 방법을 질문한 결과 선택형과 단답형 문항을 주로 활

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실험 보고서 평가, 실험 수행 능력 찰, 수업 태도

찰 등을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학생들도 지필 평가, 과

제나 보고서 평가, 실험 수행 능력 평가, 학생 태도 찰 등을 과학 선생님이 평가

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응답하 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등학교 과학과에서 평가를 할 때 주로 지필 평가를 많이

하고 있으며, 실험 수업과 수행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보고서 평가와 실험

수행 능력 평가를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등 과학과 평가의 활용 방법

평가의 활용 방법을 우선 순 로 세 가지를 고르도록 하 다. 내신 성 산출

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64.2%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학생의 학습에 한

피드백 제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13.7%로 나타났는데, 2순 에서는 그 비율이

34.0%로 가장 높았다. 수업 개선을 한 기 자료로 평가를 활용한다는 응답과

학생의 성취동기 부여를 해 평가를 활용한다는 응답은 2순 와 3순 에서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의 집 력 향상을 해 평가를 활용한다는 응답은 상 으

로 많지는 않았으나 1순 보다 2순 와 3순 에서 그 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수 별 수업 운 을 한 집단 편성에 평가를 활용한다는 응답은 아주 었는데,

이는 수 별 수업을 운 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과학과에서는 평가를 내신 성 산출에 주로 많이 활용하

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에 한 피드백 제공, 수업 개선을 한 기 자료, 학생의

성취동기 부여 등을 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평가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원인

평가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어려운 사항을 우선 순 로 세 가지

를 고르도록 하 다. 평가 상 학생 수가 과다해서 어렵다는 응답을 1순 로 선

택한 경우가 35.2%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평가 활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하다

는 응답의 경우 1순 에서 많이 나타났는데, 2순 에서는 그 비율이 가장 높았다.

Page 121: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14 -

한 객 이고 신뢰할만한 평가 기 도구의 개발이 어렵다는 응답도 1순

에서 많이 나타났는데 2순 와 3순 에서도 그 비율이 상 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다양한 평가 도구를 개발하거나 평가에서 교사의 자율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는 응답의 경우 3순 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과학 교사들은 평가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평가 상 학생 수가 많아서 어려움을 겪고 있고, 평가 활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

된다는 도 어려움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평가 기 과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

도 어려운 사항임을 알 수 있다.

평가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어려운 사항으로 1순 를 선택한 결과

는 학교 소재지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특별시나 역시와

소 도시의 경우 평가 상 학생 수가 과다해서 어렵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읍면

지역의 경우 평가 활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하고 객 이고 신뢰할만한 평가

기 도구의 개발이 어렵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지역에 따라서 학

교 규모와 학 당 학생 수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과 련이 있다고 단된다.

면담 결과에서도 수행 평가의 어려움으로 실험 평가를 한 여러 항목의 검표

작성 평가 실시, 평가 상 학생 수 과다, 객 인 수화 등을 지 하 다.

(4) 수업 운 시 평가 련 문제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과학과 수업을 운 할 때 평가와 련하여 발생

하는 문제 그에 한 개선 방안을 구체 으로 어 달라는 문항에 하여

총 57명의 교사가 응답을 하 는데, 교사의 응답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

․평가의 공정성 확보가 어렵다, 객 이고 신뢰할만한 평가 기 과 평가 도

구 마련이 시 하다. (21명)

․다양한 평가 문항과 평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6명)

․평가해야 하는 학생수가 많다. (6명)

․수행 평가의 시간이 부족하다. (6명)

․평가에 한 교사의 자율권을 확 해야 한다. (2명)

․수 별 다양한 평가도구와 평가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2명)

Page 122: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15 -

기타 의견으로는 과학에 한 태도의 평가가 제 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실험

보고서와 형성평가의 비 을 높 으면 한다, 문제 은행이나 자료집이 필요하다, 내

신 성 으로 인하여 수 별 평가가 어렵다 등이 있었다.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객

이고 신뢰할만한 평가 기 과 평가도구에 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수행 평

가 실시의 어려움에 한 의견도 많이 제시되었다.

2) 개선방안

이상의 논의를 토 로 과학과 평가 측면에 한 개선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과 수행평가(특히 실험방법이나 실험수행에 한 평가) 방안을 개선하

고, 다양한 평가방법에 한 안내 자료, 평가 기 , 시 자료 등을 개발하여 보

해야 한다. ․ 등학교 과학 교사들은 평가 방법으로 주로 선택형과 단답형 문

항을 활용하면서도 실험 보고서 평가, 실험 수행 능력 찰, 과제 수행 평가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찰 평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표 화된 평가

도구나 개선된 평가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수행평가에 주로 활용되는

실험 주제의 경우 타당하고 신뢰로우면서도 용이 쉬운 간단한 평가 기 을 개

발하여 보 할 필요가 있다. 한 다양한 평가 방법에 한 시 자료를 개발하여

보 하는 것도 교사들에게 유용할 것이다. 교사들이 주로 활용하지 않는 평가 방

법인 학생의 자기 평가 동료 평가, 구술 시험, 토론 발표 등에 하여 교

수․학습 방법과 련지어서 안내하는 자료가 필요하다.

둘째, 등 교사들은 수행평가와 함께 지필평가를 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

다. 특히, 서울 지역의 경우에는 일부 사립학교를 제외하고는 수행평가 이외의

별도의 지필평가는 없는 실정이어서 학생들의 과학 사고능력 자체를 평가하기

는 굉장히 어렵다고 교사들은 지 하 다. 뿐만 아니라, 시험이 없어서 아이들이

긴장을 안하게 되고, 따라서 공부를 안해서 아이들 학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없지

는 않다고 등 교사들은 설명하 다. 과학과의 경우 수행평가와 함께 지필평가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도, 일부 교사들은 일률 인 평가를 실시하는 것은 험하

Page 123: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16 -

다고 경계하 다. 즉, 반 인 평가의 방향이 지식 주의 주입식 수업을 강요하

는 분 기를 조성한다면 학부모나 학생들의 인식이 실험을 해 야 소용이 없고

[지식만] 가르치면 된다는 식으로 흐르게 될 것임을 지 하 다. 따라서 지필평가

를 도입하더라도 지식 주의 평가가 되지 않도록 방향 설정을 잘해야 한다고 교

사들은 강조하 다.

끝으로, 과학과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심화․보충 과정의 평가 여부, 다양한 평가

방법 등을 합의하여 교육과정이나 교육과정 해설서에 자세한 설명을 제시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Page 124: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17 -

Ⅴ.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과학교육과정의 운 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이 우리나라의 교육 실정에 맞지 않아 여러

가지 문제 이 발생하고는 있지만, 무조건 인 비 보다는 문제 을 보완하고 수

정함으로써 활성화 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 과학과 교육과정과 련된

몇 가지 문제 을 추출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한 가능한 안들을 모색해 보

았다.

먼 목표 측면을 보면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 신장 등의 요한 능력이 목표에서

제외되어 있고, 목표와 목표 사이에도 연계성이나 조화가 부족한 이 발견되며,

목표가 지나치게 추상 으로 진술되어서 목표 달성을 한 구체 교수 행동 결

정에도 어려움이 있다.

내용 면에서는 과학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이 학년에 계없이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4 역의 배경 학문에 따라 균등 배분되고 있으며, 주제의 세분화는

개정 취지와 달리 통합 지도를 어렵게 하고, 지나치게 반복되는 나선형 교육과

정으로 인해 내용의 복 상이 나타나며, 내용 수 이나 학습량의 성 측면에

서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수-학습방법이나 평가에 해서는 교수, 학습 평가 자

료, 실험실, 과학 교사의 주당 수업 시수 등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원칙 심의 진

술이라는 비 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 들의 개선안으로는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 방향은 창의성 추구, 탐

구 수업의 지속 강조, 과학-기술-사회 련 내용 강화, 내용의 정화, 정의

특성의 계발, 교육과정 운 의 탄력성 제고, 교육 과정의 구체화, 그리고 실 가

능한 교육과정 개발, 등으로 제시하 다. 한 과학과 내용의 선정과 조직 원칙을

제시하면 첫째, 과도하게 어려운 내용은 조정하여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합한

내용이 되도록 한다. 둘째, 과도한 내용 복을 피해 학습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유사한 내용으로 구성된 단원은 통합한다. 넷째, 과학 네 역의 학년

Page 125: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18 -

별 안배를 지양하고, 학생 특성을 고려하여 내용을 구성한다. 다섯째, 탐구 활동은

필수 탐구 활동 심으로 최소한으로 선별해서 제시한다. 여섯째, 실생활과 련된

주제를 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제고한다.

제7차 교육과정이 성공 으로 이루어지기 해서는, 다양한 학습자료와 학습환경

을 요구하는 만큼 행정 , 재정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 교사, 학

생, 학부모가 극 으로 심을 가지고 참여하여, 학교 교육과정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여러 교육 문가들의 제 7차 교육과정의 지속 인 심과 분석, 평

가를 통해 우리나라의 교육의 문제 을 해결하여 장에서 잘 용될 수 있는 교

육과정이 되기를 기 한다.

Page 126: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19 -

Ⅵ. 참고문헌

교육부. (1997). 학교 교육과정 해설 (Ⅰ) -총론, 특별 활동-

교육부. (1997). 학교 교육과정 해설 (Ⅲ) -수학, 과학, 기술. 가정-

교육부. (1997). , 등 학교 교육 과정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별책1]

교육부. (2001). 제 7차 교육과정의 개요. 교육과정자료 29(2001.1)

이양락, 이범홍, 김주훈, 신일용, 이미경, 정은 , 곽 순. (2004). 과학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개선 방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2004-4-7

교육인 자원부. (2003). 교실수업 개선을 한 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운 자료.

강출 사. 강원도

교육인 자원부. (2004). 교실수업 개선을 한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운 자

료. 세창문화사. 주 역시교육청

교육인 자원부, 서울특별시과학연구원.(2001). 수 별 교육과정의 이해와 용. 극

동디앤시

교육인 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 자원부 고시 제2007-79호[별책9]

김은형, 홍진표, 한송희, 방지원, 박정 , 김주환, 이승표. (2004) , 등 교과 교

육과정 개선을 한 방향 설정 연구. 정책연구과제 2004-공모-5. 서울.

김채춘. (2003). 제 7차 교육과정의 문제 개선방안 연구. -수 별 교육과정의

실태 분석을 심으로- 남 학교. 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제 7차 교육과정 운 의 실제 분석과 과제

-일반계 고등학교를 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5-7. 서울.

Page 127: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20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제 7차 교육과정의 성공 시행을 한 방안 탐색.

창립3주년 기념 세미나자료집. 연구자료OMR 2001-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수정,보완 연구

연구보고 CRC 2006-10

이민수. (2007).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운 실태 조사 분석

-일반계 고등학교를 심으로- 한국 교원 학교 석사학 논문

최 경. (2007). 한국과학교육과정의 문제 과 개선 방안.

건국 학교 석사학 논문

홍성진. (2004).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물리교과 선택 가능성 연구.

한국외국어 학교 석사학 논문

문희. (2007).제 7차 과정에 른 초, 중, 고등학 과학 과 내

중 물질 야 연계 . 숙명여 대학 사 문

Page 12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21 -

ABSTRACT

P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a of the 7th Curriculum

Lee, eun hye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The seventh education course is applied from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2002, to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n the school education in the country, starting with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on March 1st, 2000. The sixth education course which had

practiced since 1995 ended on February 28th, 2004 when the last target

students were in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problems in the process of applying is carried

Page 129: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22 -

out during the seventh education course and at the same time, people criticized

that the current conditions of school education were so poor that the goal of

the seventh education course couldn't be achieved. At this poin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research and the raised criticism should be examined deeply so

that a measure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can be deduced, which is

more urgent than ever. In this sense, this studies is to reveal the problems of

the current education course and provide a measure for settling them.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the scientific education are

presented in the chapter two and three, the basic direction and overall

overview of the seventh education course also are presented. Administration

conditions and improvement of the current scientific education course is

presented in the chapter four.

The objective of the scientific community is presented as a single one for

students in third to tenth grade, and creativity and an ability to solve

problems are excluded from the objective. Moreover, even connec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the objectives are in bad condition, and objectives are too

abstract, so one has difficulty determining concrete teaching behavior to

achieve the goal. A measure is presented in order to settle these problems.

The content forming science is classified into four fields such as the Physics,

the Chemistry, the Biology, and the Earth science regardless of the grade.

However, the offered content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subjects, overlapped

each other, or have little connection between them. Therefore, the overlapped

parts of the contents should decrease by organizing the proper contents for

students level, characteristics. The contents also should be organized for

students to be able to learn a subject deeply by uniting too divided subjects.

In addition, the contents level needs to be adjusted.

In the case of teaching methods, the inadequacy of teacher capability, poor

teaching materials, and bad condition for scientific investigation- the factors

Page 130: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oblems

- 123 -

required for effectively achieving the goal- are pointed out as problems. Thus,

training of competent teachers,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raining programs of teachers are required.

Finally, in an aspect of assessment, an assessment criterion is too ambiguous

to figure out a learner's ability, and there are few reference materials in

assessing students' test. There also isn't enough time to practice a

performance test. To improve these problems, improvement of a performance

test, development of various of assessment materials, and various of

assessment methods are presented.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