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Categories
Home > Documents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Date post: 06-Aug-2020
Category:
Upload: others
View: 6 times
Download: 0 times
Share this document with a friend
51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Transcript
Page 1: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변 주 영

Page 2: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9년 6 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변 주 영

Page 3: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변주영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년 6월 일

Page 4: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감사의 글

제 인생에서 가장 큰 모험이자 도전이었던 2년간의 대학원 생활을 되돌아봅니

다. 언제나 그렇듯이 힘들었던 시간들은 지나고 나면 값진 경험과 아쉬움 가득한

추억으로 남는가봅니다. 특히 논문을 쓰면서 언어치료사로서 뿐만 아니라 연구자

로서의 자질을 갖추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배우게 되었습니다. 논문 기간

동안 자상함과 꼼꼼함으로 연구자의 자세를 보여주신 존경하는 김향희 교수님, 날

카로운 지적으로 좀 더 나은 논문이 나올 수 있도록 해주신 신지철 교수님, 김덕

용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따뜻하게 격려해주시고 도와주신 박지은 선생님, 치

료실습 뿐만 아니라 논문 쓰면서 어려워할 때 많이 가르쳐주시고 조언해주신 김

수정 선생님, 언어치료사로서의 모델이 되어주신 박미경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

를 드립니다. 바쁘신 와중에 데이터 수집에 도움을 주신 박혜원 선생님, 김수연 선

배, 최영미 선배, 명수언니, 승진오빠, 열매, 수업을 통해서 많은 것을 가르쳐주신

심현섭 교수님, 윤혜련 교수님, 윤미선 교수님, 김민정 교수님, 남정모 교수님, 최

예린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최고의 기수라고 자부하는 사랑하는 우

리 14기, 학교에서 만날 때마다 격려해주신 선배님들, 언어치료사 선생님들, 부모

님의 이야기를 수집해 준 고마운 15기, 16기 후배님들, 심사 때마다 기도해준 사랑

하는 내 친구들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무엇보다도 나를 믿고 내가 하고 싶어 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서포트 해주시는

사랑하는 우리 아빠, 친구 같은 우리 엄마, 나의 든든한 동역자인 큰언니, 큰형부,

작은언니, 작은 형부, 귀여운 내 조카들 예찬, 예준, 찬이에게 항상 고맙고 사랑한

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늘 나의 옆에서 큰 힘이 되어주는 대영오빠에

게 감사와 사랑을 보냅니다. 마지막으로 저를 늘 좋은 길로 인도하시는 나의 목자

되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저자 씀

Page 5: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i -

표 차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국문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ⅳ

제1장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1.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11.2. 연구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71.3. 연구 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9

제2장 연구 대상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102.1. 연구 대상 ․ ․ ․ ․ ․ ․ ․ ․ ․ ․ ․ ․ ․ ․ ․ ․ ․ ․ ․ ․ ․ ․ ․ ․ 102.1.1. 연구 대상 ․ ․ ․ ․ ․ ․ ․ ․ ․ ․ ․ ․ ․ ․ ․ ․ ․ ․ ․ ․ ․ ․ 102.1.2. 피험자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11

2.1 연구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122.2.1. 실험 자료 ․ ․ ․ ․ ․ ․ ․ ․ ․ ․ ․ ․ ․ ․ ․ ․ ․ ․ ․ ․ ․ ․ 122.2.2. 실험 절차 ․ ․ ․ ․ ․ ․ ․ ․ ․ ․ ․ ․ ․ ․ ․ ․ ․ ․ ․ ․ ․ ․ 122.2.3. 자료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132.2.3.1. 이야기문법 ․ ․ ․ ․ ․ ․ ․ ․ ․ ․ ․ ․ ․ ․ ․ ․ ․ ․ ․ ․ 132.2.3.2. 완전한 에피소드 ․ ․ ․ ․ ․ ․ ․ ․ ․ ․ ․ ․ ․ ․ ․ ․ ․ ․ 15

2.2.4. 신뢰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152.2.5. 통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16

제3장 연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173.1.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 ․ ․ ․ ․ ․ ․ ․ ․ ․ ․ ․ ․ ․ ․ ․ ․ ․ ․ ․ 173.2.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및 사용률 ․ ․ ․ ․ ․ ․ ․ ․ ․ ․ ․ ․ ․ 183.2.1.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 ․ ․ ․ ․ ․ ․ ․ ․ ․ ․ ․ ․ ․ ․ 183.2.2.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사용률 ․ ․ ․ ․ ․ ․ ․ ․ ․ ․ ․ ․ ․ ․ 20

3.3. 완전한 에피소드 수 ․ ․ ․ ․ ․ ․ ․ ․ ․ ․ ․ ․ ․ ․ ․ ․ ․ ․ ․ ․ 21

차 례

Page 6: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ii -

제4장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제5장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참고 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영문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Page 7: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iii -

표 1. 유창성 실어증 환자군의 기본 정보 ․ ․ ․ ․ ․ ․ ․ ․ ․ ․ ․ ․ ․ 11표 2. 정상군 및 환자군 정보 ․ ․ ․ ․ ․ ․ ․ ․ ․ ․ ․ ․ ․ ․ ․ ․ ․ ․ 11표 3. 각 군간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비교 ․ ․ ․ ․ ․ ․ ․ ․ ․ ․ ․ ․ ․ 17표 4. 각 군간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비교 ․ ․ ․ ․ ․ ․ ․ ․ ․ ․ 19표 5. 각 군간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사용률 비교 ․ ․ ․ ․ ․ ․ ․ ․ ․ ․ 20표 6. 각 군간 완전한 에피소드 수 비교 ․ ․ ․ ․ ․ ․ ․ ․ ․ ․ ․ ․ ․ ․ 21

표 차례

Page 8: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iv -

국 문 요 약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이야기 평가는 중요한 의사소통 평가의 한 구성요소로 여겨진다. 이는 특정

어휘나 문장 패턴을 이해하고 산출하는데 있어서 언어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인지

적, 사회-정서적 능력 등이 평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야기 평가 방법 중 이야

기문법은 이야기에서 흔히 발견되는 규칙체계로 6가지 범주를 포함한다. 이 6가지

이야기문법 범주들을 적절히 사용하여 이야기 할 수 있는가는 실어증 환자의 이

야기 능력을 반영해주는 좋은 지표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이야기 평가를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창성 실

어증 환자의 이야기 만들기를 통해 이야기문법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죄뇌반구 뇌졸중 환자들 중 유창성 실어증 환자 15명과 나이

및 성별을 고려한 정상 성인 15명을 대상으로 ‘흥부와 놀부’ 그림을 보고 이야기

만들기를 통해 이야기문법을 살펴보았다. 두 군 간에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이야

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및 사용률, 완전한 에피소드 수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

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에서 환자군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환자군은 중요 논항을 생략하거나, 주어와 서술어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조사오류, 이름대기 오류, 결속표지의 부적절한 사용, 지나치게 많은 대용어

의 사용으로 인해 그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았다.

둘째, 이야기문법 모든 하위범주별 점수에서 환자군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유의

하게 낮았다. 두 집단 간 점수의 순위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배경 범주가 가장

높았고 내적반응 범주는 가장 낮았다. 즉, 배경 범주는 가장 산출하기 쉽고, 내적

반응 범주는 산출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사용률에서는 내적반응 및 반응 범주를 제외하고

Page 9: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v -

환자군과 정상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환자군도 핵심적이고 명시적인

이야기문법 범주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내적반응

및 반응 범주와 같이 이야기 구성의 핵심적인 정보가 아니고 암시적인 정보를 사

용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보인다.

넷째, 완전한 에피소드 수에서는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적은 완전한

에피소드를 산출하였다. 계기사건, 시도, 결과의 세 가지의 범주의 사용률이 정상

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세 가지 범주를 포함하는 완전한 에

피소드 수에서 차이가 났던 이유는 환자군이 이 범주들을 고르게 사용하지 못하

기 때문이다.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맞물려 전개되어야 하나

의 이야기가 완성된다. 그러나 환자군은 이를 고르게 사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야기 전체의 흐름이 중단되었고 결과적으로 완전한 에피소드 수가 적게 산출되

었다.

본 연구에서는 ‘흥부와 놀부’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서 나타난 유창성 실어증 환

자의 이야기문법 특성을 제시함으로서 이야기 평가 도구로서의 유용성과 이야기

문법 특성의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임상 현장에서

유창성 실어증 환자나 회복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발화특성을 평가하거나 효과적

인 중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는 유창성 실어증

이외에도 비유창성 실어증을 대상으로 대형구조와 소형구조를 함께 비교하는 후

속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해본다.

핵심되는 말 : 유창성 실어증, 자발화, 이야기, 담화, 대형구조, 이야기문법, 완전한

에피소드 수

Page 10: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1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 문법 특성

<지도교수 김 향 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변 주 영

제1장 서론

1.1. 이론적 배경

실어증(aphasia)은 후천적인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관련한 언어의 전 영역에 걸쳐 어려움을 보이며, 대부분 자발화(spontaneous

speech)에서 정상인에 비하여 언어를 표현하는 데에 어려움을 보인다.1 즉, 이름

대기(naming) 장애, 착어 오류, 대치 오류, 문법 사용의 어려움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상인에 비해서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지 못하고 정확하지 않은 표현으

로 적절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2 그러므로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평가

는 환자가 실어증을 보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나아가 구어 의사소통 능력을 측

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3

실어증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보스톤 학파의 체계에 의하면, 실어증 환자들이

보이는 언어상의 문제점들을 특정한 영역에 따라 나누고, 이 영역들 간의 상대적

인 능력의 차이로 나타나는 패턴에 근거하여 실어증의 유형을 분류한다. 즉, 환자

의 언어특성을 유창성(fluency), 청각적 이해(auditory comprehension), 따라말하

Page 11: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2 -

기(repetition), 이름대기(naming)의 영역으로 나누어 이해에 비해 말 산출이 상대

적으로 양호한 실어증 유형을 유창성 실어증으로 분류하였다. 여기에는 베르니케

실어증(Wernickes aphasia), 초피질감각실어증(transcortical sensory aphasia),전도실어증(conduction aphasia), 명칭실어증(anomic aphasia)이 속한다. 유창성

실어증은 발화 자체는 길고 유창하지만 내용이 없거나(empty speech) 상황에 맞

지 않는 부적절한 발화를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능어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탈문법성(paragrammatism)을 보이기도 하며, 의미착어(semantic paraphasia), 음

소착어(phonemic paraphasia) 등 정확하지 않은 낱말 형태와 표현이 많고 심할

경우 신조어(neologism)가 나타나 적절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2

뇌손상을 입은 환자의 자발화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

사(PARADISEㆍKorean version-Western Aphasia Battery)4에서는 자발화에 대

한 척도평가를 통해 내용전달과 유창성 정도를 평가한다. 그러나 척도에 의한 평

가는 임상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한 것으로, 회복에 따른 환자의 의사소통능

력의 미묘한 변화를 객관적으로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다.5또한 자발화

검사과제로 대화와 그림설명과제를 사용하는데, 대화는 비교적 자연스러운 상황

에서 개방형 질문으로 이루어지지만 충분한 발화 샘플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

기 때문에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발화 문제를 찾아내기가 힘들다. 따라서 그림설

명과제가 반드시 실시되어야 하는데,6 이 과제에서 유창성 실어증 환자들은 그림

을 이야기로 구조화하는 것을 매우 어려워하고 특정 어휘를 재인해서 표현하는

데 문제를 보인다.7

그러므로 언어를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체계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

법은 발화샘플을 통한 분석이며, 이는 표현언어 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8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분석은 절의 수, 문법형태소, 결

속표지(cohesion marker), 유효정보단위(correct information unit, 이하 CIU) 등

의 단어나 문장수준에서만 이루어져왔다.8-12그러나 단어나 문장수준에서의 언어

능력만으로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문장의 단위를 넘어서고, 실제 의사소통에서 자주 사용하는 담화(discourse) 수준

에서의 평가가 필요하다.

Page 12: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3 -

담화는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의사소통 방법으로서 문장을 넘어서

는 언어 단위이다.13일반적으로 구어 담화는 화자와 청자간의 상호작용이 지속되

는지 여부에 따라 대화(conversation)와 이야기(story)로 나뉜다.13 대화는 화자와

청자간의 언어 교환을 통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이 지속되는 담화이고, 이야기는

화자 혼자 담화를 주도해가는 형태이다. 대화는 비교적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이

루어져서 환자의 실제의 의사소통 능력을 나타내지만, 충분한 발화 샘플을 확보

하는데 한계가 있고, 문장이 문법구조에 따라 구조화되지 않아 실어증 환자의 발

화 문제를 찾아내기가 힘들다. 그러나 이야기는 여러 문장이 하나의 주제, 시간적

연속성, 인과 관계에 따라 하나의 일정한 형식으로 구조화되는 것으로 긴 발화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어휘와 통사 지식을 갖고 여러 개의

문장을 일관성 있는 전체로 조직해야하므로 언어적 능력 뿐만 아니라 인지 및

사회적 능력이 요구되는 의사소통 기술이다. 그러므로 이야기 평가는 기존에 이

루어졌던 특정 어휘나 문장 패턴을 이해하고 산출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

이상으로 언어적인 지식은 물론 인지적, 사회-정서적 능력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중요한 의사소통 평가의 한 구성요소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이야기는 이야기 전체에 걸쳐 유지되는 일정한 구조

때문에 하나의 이야기가 된다. 의미구조 측면에서 이야기를 분석할 때는 크게 대

형구조(macro-structure)와 소형구조(micro-structure)의 두 가지 수준으로 나누

어 분석할 수 있다.14대형구조는 이야기의 내용에 관한 분석으로 이야기의 전체

적인 구조가 얼마나 일관성 있게 연결되어 있는가에 대한 분석이다. 반면 소형구

조는 텍스트(text) 구조에 관한 분석으로 텍스트에 포함된 요소들의 결속성에 관

한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 대형구조에 관한 분석에는 이야기문법(story

grammar)이 가장 널리 사용되며, 소형구조에는 결속표지와 구문복잡성 등이 여

기에 속한다.14,15

선행연구에 따르면, 뇌손상 환자의 원인질환에 따라 대형구조와 소형구조는

분리되어 나타난다고 하였다. 예를 들면, 상위인지처리에 문제가 있는 치매환자는

주제의 응집력 즉, 대형구조에서 가장 많은 결함을 보인다. 우뇌손상환자 역시 어

휘, 통사적 구조 등 소형구조에서는 어려움을 보이지 않으나 전체적인 구조 파악

Page 13: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4 -

등의 대형구조에서 어려움이 나타난다. 반면에, 유창성 실어증 환자는 좌뇌의 측

두-두정엽 손상으로 대형구조보다는 음운, 어휘, 문법적 측면의 소형구조에서 어

려움을 보인다고 밝혔다. 그리하여 뇌의 손상 영역에 따라 언어 손상의 양상이

분리되어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7그러나 유창성 실어증 환자 1명을 대상으로

종단연구를 한 연구에서는 환자가 회복이 됨에 따라 절의 수, 절 당 단어의 수와

같이 소형구조는 정상군과 비슷하게 산출할 수 있었으나, 대형구조는 정상군에

비해서 늦게까지 어려움을 보인다고 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며, 병인에 따라서 대형구조와 소형구조가 정확하게 분리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16 이처럼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대형구조에 관한 의견이 분

분하고 이에 관한 연구가 적으므로, 유창성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대형구조인

이야기문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야기문법이란 이야기에서 흔히 발견되는 규칙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형식

적인 규칙체계이다.14,15

하나의 이야기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에피소드(episode)

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에피소드는 배경(setting), 계기사건(initiation event), 내적

반응(internal response), 시도(attempt), 결과(consequency), 반응(response)의 여섯

가지 범주로 구성된다. 이 여섯 가지 범주들이 서로 고리를 만들면서 이야기 내용

을 꾸미고, 이야기가 시간적, 인과적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범주들이 얼마나 적절

하게 조합되어 있는가에 따라서 화자의 이야기 발달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17 이

때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로 Merritt 등(1987)은 ‘계기 사건’, ‘시도’,

‘결과’의 3가지를 들어 완전한 에피소드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규정하였다.18

이야기 평가를 위해 이야기를 수집하는 방법에는 크게 이야기 만들기(story

generation)와 이야기 다시 말하기(story retelling)가 있다.15이야기 만들기는 자발

적으로 이야기를 만들게 하는 방법으로써 화자가 자신의 이야기 문법 지식을 어

떻게 사용하는가를 알아보는 평가방법이다. Fitzerald 등(1983)은 이야기문법이 자

발적인 이야기 산출에서 명백히 드러난다고 하였다.19반면, 이야기 다시 말하기는

대상자에게 이야기를 들려주고 들은 이야기를 다시 말하게 하는 방법으로 화자가

이야기문법지식이 있는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야기 다시 말하기는 이야기 회

상능력과 이해능력이 큰 변인으로 작용하게 된다.15그러므로 이해력과 기억력에

Page 14: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5 -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화자의 자발적인 이야기문법 사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

야기 말하기 방법이 더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이야기 만들기의 절차에 따른 과제로는 한 장의 그림을 보여주고 그것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기, 이야기의 끝부분을 완성하게 하기, 어떤 물건이나 사건에 대

해 이야기 만들기, 무엇이든 친숙한 것에 대해 이야기하기, 개인적인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기 등이 있다.15 우리나라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글자가 없는 그

림책을 보고 이야기하기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20-22

이러한 이야기 만들기 평

가방법은 화자의 자발적인 의사소통능력, 특히 화용적인 특성을 잘 반영해주며 상

황 맥락적(contextual)이고 준언어적인(extralinguistic) 정보를 해석할 수 있게 한

다.23그리고 그림을 보고 이야기 말하기 과제는 기억 부담이 적고 이야기 말하기

수행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그림에 대한 수행력을 한 환자 내 그리

고 여러 환자들 간 비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4

이야기문법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산출하는 능력은 5~6세경부터 나타나기 시

작하여 학령기까지 발달한다. 즉, 연령이 증가할수록 이야기 구조가 복잡해지며,

여러 개의 완전한 에피소드를 산출할 수 있다.20,22 이는 언어 보편적(universal)

특성으로 다양한 언어를 대상으로 비교한 연구 결과에서 이야기문법은 세계 모

든 언어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규칙이라고 밝혔다.25

성인의 경우에는 치매,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야기 연구는

있으나,7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야기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실어

증 환자를 대상으로 이야기문법을 분석한 선행연구에서는 중증도에 따라 이야기

문법 산출에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경도(mild) 및 중도(moderate) 실어증 환

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는 실어증 환자군이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

지만, 완전한 에피소드 수가 적었으며, 이야기문법 범주별로는 배경과 해결이 정

상군보다 더 낮게 산출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실어증 환자가 산출한 절의 수는

많지만, 이야기의 중요한 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고 하였다. 그래서

실어증 환자는 대형구조의 어려움보다는 소형구조에서 어려움을 보인다고 주장

하였다.26,27 그러나, 심도(severe)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유사한 방법으로 실험

한 연구에서는 이야기문법에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산출을 보였다. 심도

Page 15: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6 -

실어증 환자들은 사건을 순서에 맞게 기술하지 못하였으며, 배경과 해결 범주가

부적절하였다. 또한 가장 기본적인 내용 정보도 산출하지 못하였다.28따라서 심

도 실어증 환자는 소형구조 뿐만 아니라 대형구조에서도 어려움을 보인다고 밝

혔다.

Page 16: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7 -

1.2. 연구 목적

실어증 환자의 이야기 문법 연구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환

자의 특성, 사용된 이야기 자료, 이야기 수집 방법, 분석 방법이 연구 결과에 영향

을 줄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제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는 중증도에 따라서 실어증 환자의 이야기문법을 살펴보았

다. 그러나 같은 중증도에 있는 환자라도 유창성 실어증 환자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발화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하나의 실어증 환자군으로 집단화하는 것

은 문제가 있다. 즉,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는 심할 경우 무의미음절을 반복하거나

습관적인 말 정도만 나타내서 목표어를 알 수 없고, 주어+서술어의 문장 형태로

산출하지 못해서 이야기문법을 분석하는데 적절하지 않다. 그러므로 중증도의 차

이보다는 자발화 평가에서 나타나는 유창성 점수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유창성은 자발화 평가의 중요한 한 측면이므로, 이러한 구분을 통해서 나

타나는 결과는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이야기 자료 측면에서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이야기는 비교적 짧고 2개

이하의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단순한 이야기 형태였다. 이러한 짧은 이야기에서는

환자의 충분한 발화를 이끌어내기가 어렵고, 이야기 전개가 단순하기 때문에 실어

증 환자의 이야기 문법 특성을 알아내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에피소

드를 포함하여 긴 발화를 유도할 수 있고 이야기문법 능력을 확인하기에 적절한

이야기가 사용되어야 한다.

셋째,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이야기 수집 방법은 이야기 다시 말하기가 사용되

었다. 이야기 다시 말하기는 이야기를 듣고 회상하여 다시 말하는 방법으로 이야

기 만들기보다 이야기 길이나 이야기의 복잡성을 통제할 수 있으므로 언어장애

아동들의 이야기 평가를 할 때 자주 사용된다.15 그러나 대부분의 실어증 환자는

청각적 이해력이 떨어지므로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할 때는 이야기 다시 말하

기 방법은 적절하지 않다. 또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는 이야기문법 지식이 있는가

Page 17: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8 -

를 평가하는 것으로 이야기문법을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보는 이야기 말하기와 성

격이 다르다. 실어증은 언어능력이 소실된 것이 아니라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이라

고 정의된다. 그러므로 이야기 구조 자체에 대한 지식의 문제라기보다는 이미 알

고 있는 이야기문법을 적절하게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이야기 만

들기를 통하여 이야기문법을 분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이야기문법은 내용의 정확성과 상관없이 이야기문

법 하위범주의 사용률을 정상군과 비교하였다. 이를 초대형구조(superstructure)라

고 한다. 초대형구조는 이야기의 구조를 본다는 점에서 대형구조와 비슷하지만, 대

형구조보다 더 광범위하다.29 즉, 초대형구조는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사용률을

보고 대상자가 이야기문법에 관한 지식이 있는지, 이야기 도식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반면, 대형구조는 내용의 적절성을 보는 것으로 인지적 능력 뿐

만 아니라 언어적 능력을 포함한다.29,30 선행연구에서는 실어증 환자와 정상인의

초대형구조만을 비교하였기 때문에 실어증 환자가 대형구조에 손상이 없다고 결

론지었다.26,27그러나 초대형구조와 대형구조는 그 분석의 내용이 다르므로 구분하

여 비교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초대형구조를 살펴보는 이야기문

법 사용률과 대형구조를 살펴보는 이야기문법 점수를 각각 비교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창성 실어증 환자 15명과 정상 성인 15명을 대상으로

‘흥부와 놀부’ 이야기를 6컷의 연속된 그림을 보고 이야기 말하기를 통하여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이야기 문법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창성 실어증 환

자가 보이는 이야기 산출 특징과 표준화된 언어평가로는 드러나지 않는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문제점을 알아볼 수 있고, 효과적인 중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Page 18: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9 -

1.3. 연구 문제

유창성 실어증 환자군과 정상군은 흥부와 놀부 이야기를 그림을 보고 말하기

과제에서,

1.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에 차이가 있는가?

2.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및 사용률에 차이가 있는가?

3. 완전한 에피소드 수의 차이가 있는가?

Page 19: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10 -

제2장 연구 방법 및 재료

2.1. 연구 대상

2.1.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좌뇌반구 뇌졸중 환자들 중 실어증을 보이는 환자 15명

과 나이 및 성별을 고려한 정상 성인 15명으로 총 30명이다. 여기에는 이승진

(2009)3의 선행연구에 참여한 환자 6명과 정상 성인 1명의 자료를 포함하였다. 그

리고 선행연구에 참여한 피험자의 자료와 더불어 환자군 9명과 정상군 14명을

추가하였다.

추가된 환자들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재활병원 언어치료실에서 유창성

실어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이었다. 선정기준은 선행 연구의 기준을 이용하여 선정

하였다. 왼손잡이이거나, 마비말장애(dysarthria)나 말실행증(apraxia of speech)이

심하여 발화 전사가 불가능한 환자는 제외하였다. 또한 시지각적 및 청지각적 문

제가 있거나, 실어증의 중증도가 심하여 본 실험의 과제를 수행할 수 없는 환자

는 제외하였다. 수집된 유창성 실어증 환자군의 실어증지수(Aphasia Quotient, 이

하, AQ)는 50.4점 이상이었다. 실험에 참가한 유창성 실어증 환자 15명의 기본

정보는 (표 1)과 같다.

정상군의 경우에는 별도의 면담지를 통해 병력을 수집하여 신경학적 손상, 시

각 및 청각의 이상이 있는 대상자는 배제하였다(부록 1).3 또한, 한국판 간이정신

진단검사(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이하 K-MMSE)31를 실시하여

정상 범주에 속하는 대상자로 한정하였다(부록 2).

Page 20: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11 -

표 1. 유창성 실어증 환자군의 기본 정보

번호 성별 연령 교육년수 진단명(Dx) AQ

1 남 18 10 Temporal ICH1 89.6

2 여 41 16 MCA2infarct 86.6

3 남 66 16 AVM3

50.4

4 남 54 12 SAH4 86.8

5 남 63 9 ICH 87.8

6 여 59 6 MCA infarct 71.7

7 남 69 6 MCA infarct 60.1

8 남 51 12 MCA infarct 75.8

9 남 53 18 MCA infarct 79.6

10 여 57 16 MCA infarct 86.0

11 남 36 16 IVH5

74.0

12 여 39 16 MCA infarct 79.8

13 여 65 6 EDH6,SAH 74.5

14 남 40 16 Basal Ganglia ICH 59.0

15 남 58 16 MCA infarct 65.2

1ICH: Intracranial Hemorrhage

2 MCA: Middle Cerebral Artery

3AVM: Arteriovenous Malformation

4SAH: Subarachnoid Hemorrhage

5 IVH: Intraventricular Hemorrhage

6EDH: Epidural Hemorrhage

2.1.2. 피험자 정보

각 군의 평균 연령(±표준편차)은, 정상군은 50.40(±13.11)세, 환자군은

51.26(±13.96)세로 나타났다. 각 군의 평균 교육년수(±표준편차)는, 정상군은

14.26(±1.98), 환자군은 12.73(±4.31)이었다. 각 대상군 간의 평균 연령과 교육년수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age 21: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12 -

표 2. 정상군 및 환자군 정보

군 인원 연령 교육년수

정상군 15 50.40(±13.11) 14.26(±1.98)

환자군 15 51.26(±13.96) 12.73(±4.31)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

2.2. 연구 방법

2.2.1. 실험 자료

자발화 과제로는 한국인에게 친숙한 전래동화 ‘흥부와 놀부’를 축약한 6컷의

그림을 보고 이야기하도록 하였다. ‘흥부와 놀부’ 이야기를 선택한 이유는 한국인

화자라면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동화

의 경우에는 머리에 도식(schema)이 있어서 검사자의 개입 없이도 자발적인 산

출이 가능하고 여러 개의 에피소드가 조직적으로 잘 구성되어 긴 발화를 유도하

기에 적절하기 때문이다.

자발화 유도에 사용할 그림은 선행연구에서 선정한 그림을 동일하게 사용하

였다. 선행연구에서는 24컷의 컬러 그림으로 이루어진 흥부와 놀부 원본 동화책

에서32글자 자극을 삭제한 후, 4명의 정상 성인에게 예비실험을 실시하여 6개의

그림을 선정하였다. 원본 그림 중에서 정상 성인이 보기에 그림자극이 모호하거

나 이야기의 핵심 내용에서 벗어난다고 판단되거나 1~2개 발화만이 유도되는

자극 그림은 제외하였다. 단, 위의 제외 기준에 해당하나 전체 내용의 흐름이 이

어지기 위해 필수적인 경우에 한하여 핵심 내용이 잘 전달되도록 그림에 수정을

가하여 최종 6컷의 그림을 선정하였다(부록 3).33

2.2.2. 실험 절차

Page 22: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13 -

환자군과 정상군에게 ‘흥부와 놀부’ 이야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에게

“지금부터 동화 ‘흥부와 놀부’의 그림 6장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잘 보시고 전체

줄거리를 파악해보세요.” 라고 말한 뒤 6컷의 그림을 차례대로 각각 5초씩 보여

주었다. 그런 다음, “지금부터 그림을 다시 한 장씩 보여드리겠습니다. 그림을 설

명하듯이 하지 마시고 어린 아이한테 옛날이야기를 해주듯이 될 수 있는 대로

문장을 만들면서 길게 말씀해주세요.”라는 지시사항을 들려주고 그림을 한 장씩

보여주었다. 이야기를 시작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옛날에 흥부와 놀부 형제가 살

았습니다.” 라고 이야기의 첫 부분을 검사자가 알려주고, “그래서 어떻게 되죠?”

라고 질문하여 이야기의 뒷부분을 유도하였다. 이 때 청각적 이해력이 떨어지는

환자들의 과제 이해를 돕기 위해 읽기 자극을 함께 제시하였다. 이야기를 하는

도중 피험자의 발화가 중단되어 5초 이상 침묵이 이어지는 경우에는 “그래서요?”

혹은 “그 다음은요?”라고 질문하여 반응을 유도하였다. 충분한 발화를 이끌어내

고 이야기의 흐름이 끊지 않기 위해서 시간제한이 없었다.3

이야기는 녹음 전용 녹음기를 사용하여 녹음하였으며, 자료 수집 후 1주일 이

내에 검사자가 전사하였다. 발화내용은 기본적으로 철자법 수준의 전사를 하였

다. 다만, 입말의 발음 특성, 개인의 발음 특성, 지역적인 특성 등에 의해 철자법

대로 소리 나지 않는 발음에 대해서는 발음 나는 대로 전사하였다.

2.2.3. 자료 분석

2.2.3.1. 이야기문법

이야기문법 점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분석 단위가 필요한데, 종속절을 포함하는

주절의 단위인 의사소통 단위(Communication unit, 이하 C-unit)20,34를 사용하였

다. 우리말은 단문과 복문으로 나누어지는데, 단문은 주어와 하나의 서술어로 이루

어지며, 복문은 2개 이상의 단문이 모여 이루어진다. 복문에서 두 문장의 연결은

이어진 문장(대등적 연결문장, 종속적 연결문장)과 안은 문장(명사절을 안은 문장,

Page 23: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14 -

부사절을 안은 문장, 관형절을 안은 문장, 서술절을 안은 문장, 인용절을 안은 문

장)으로 나뉜다.35그러나, 이에 대해 이익섭(2005)은 종속적 연결문장을 이어진 문

장이 아닌 부사절을 안은 문장으로 정의하였다.36 이어진 문장은 두 문장이 대등적

자격으로 연결되는 방식을 말하는데, 종속적 연결문장은 두 문장의 지위가 한쪽은

상위적인 주절로 다른 한쪽은 종속적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이어진 문장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unit을 구분하는데 있어서 두 문장이

종속적으로 연결된 것은 1개의 C-unit으로 보고, 대등적으로 연결된 것은 2개의

C-unit으로 나누는 등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원칙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자세한 구분원칙은 (부록 4)에 실었다. 다음으로 이야기문법은 Stein 등(1979)의

이야기 문법 분석절차에 따라 배경, 계기사건, 내적반응, 시도, 결과, 반응의 여섯

가지 문법 요소로 분석하였다(부록 5).17이야기문법 점수 체계는 김유정 등

(2004)37의 3점 체계를 본 연구에 맞게 2점 체계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선행논문

에서는 목표명제를 완전한 내용으로 산출하는 경우 2점, 목표명제를 불완전한 내

용으로 산출한 경우 1점, 목표명제가 전혀 나타나지 않은 경우 0점을 주었다.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공이야기,그네이야기는 이야기분석을 위해 만들어진 이야

기이다. 따라서 목표명제와 완전한 에피소드 수가 정해져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서 사용하는흥부와 놀부이야기는 구전되는 전래동화로서 이야기의 내용이 사

람마다 다르다. 그리고 제시된 6컷의 그림은 이야기의 전체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가 이야기 만들기를 하는데 있어서 기억력에 의한 영향

을 최소화 하고자 필수적인 그림만을 선정한 그림이다. 따라서 선행연구와 같이

목표명제가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나타나지 않은 목표명제에 0점을 주는 점수체

계는 본 연구에서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0점, 1점 체계로 산출된

이야기가 완전한 내용으로 산출한 경우 1점, 불완전한 내용으로 산출한 경우 0점

을 주었다. 완전한 내용이란 각 명제에 부합하는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는 것을 의

미한다. 이야기문법의 분석 절차 및 점수에 대한 기준은 (부록 6)에 제시하였다.

이야기문법 점수는 각 연구 대상자마다 산출한 이야기문법 수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으로 통제하기 위해 비율로 구하여 비교하였다. 이야기문법 사용률은

각각의 이야기문법 하위범주가 출현한 수를 세어서 전체 이야기문법 수로 나누었

Page 24: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15 -

다.

이야기문법 점수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분석 방법

(1)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 각 이야기문법 범주별 점수의 총 합 / 전체 이야기문법 수 * 100

나.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및 사용률 분석 방법

(1)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 각 이야기문법 범주별 점수 / 각 이야기문법 하위범주 수 * 100

(2)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사용률

= 각 이야기문법 범주별 사용 수 / 전체 이야기문법 수 * 100

2.2.3.2. 완전한 에피소드 수

완전한 에피소드는 Merrit 등(1979)이 완전한 에피소드를 구성하기 위해 반드

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제시한 계기 사건, 시도, 결과가 갖추어진 경우를 완전한 에

피소드로 분석하였다.18 그리고 피험자가 산출한 완전한 에피소드 수를 비교하였

다.

2.2.4. 신뢰도 분석

전체 언어샘플 중 과제의 10%에 해당하는 자료를 임의로 선택하여 전체 이야

기문법 점수, 이야기문법 사용률, 완전한 에피소드 수에 대하여 검사자내, 검사자

간 신뢰도를 구하였다. 신뢰도는 일치한 항목수를 전체 항목수로 나눈 다음 100

을 곱하여 계산하였다. 검사자내 신뢰도는 1차 검사자가 1주일 후 다시 분석하여

평가 결과의 일치율을 구한 결과,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에 있어서는 94.1%, 이야

기문법 사용률에 있어서는 96.2%, 완전한 에피소드 수에 있어서는 100%로 산출

Page 25: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16 -

되었다. 검사자간 신뢰도의 경우에는 언어병리학 전공자이며 언어치료 경험이 있

는 대학원생인 2차 검사자에게 분석방법을 숙지시키고 분석을 의뢰한 결과,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에 있어서는 88.3%, 이야기문법 사용률에 있어서는 77.5%, 완전

한 에피소드 수에 있어서는 77.6%로 나타났다.

2.2.5. 통계 분석

SPSS 통계프로그램(version 15.0)을 이용하여 통계적 검증을 하여 두 집단 간

에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및 사용률, 완전한 에피소

드 수의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독립된 두 집단 t-검정(independent

two-sample t-test)을 시행하였다. 유의수준은 0.05 미만으로 하였다.

Page 26: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17 -

제3장 결과

3.1.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각 군의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본 결과, 정상군은

89.60(±9.79), 환자군은 47.13(±33.83)으로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t(18.187) = 4.669, p < .001(표 3).

표 3. 각 군간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비교

군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t

정상군 89.60(±9.79)4.669

***

환자군 47.13(±33.83)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

***p < 0.001.

Page 27: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18 -

3.2.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및 사용률

3.2.1.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각 군의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본 결과, 모든

범주에서 환자군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표 4). 배경

의 평균(±표준편차)은 정상군이 97.66(±6.22), 환자군이 63.73(±47.45)으로 환자군

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t(65.407) = 2.746, p = .015. 계기사건에

서는 정상군이 91.06(±16.27), 환자군이 51.06(±46.47)으로 환자군의 점수가 정상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t(27.546) = 3.146, p = .006. 내적반응에서는 정상군이

66.60(±45.44), 환자군이 6.66(±25.81)으로 환자군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t(13.562) = 4.441, p < .001. 시도에서는 정상군이 78.40(±26.49), 환자군

이 33.26(±39.34)으로 환자군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t(1.541) =

3.685, p = .001. 결과에서는 정상군이 93.06(±15.43), 환자군이 29.33(±35.37)으로

환자군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t(19.811) = 6.396, p < .001. 반응

에서는 정상군이 81.06(±24.31), 환자군이 10.00(±28.03)으로 환자군의 점수가 정

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t(0.867) = 7.417, p < .001.

Page 28: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19 -

표 4. 각 군간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비교

이야기문법

하위범주정상군 환자군 t

배경 97.66(± 6.22) 63.73(±47.45) 2.746*

계기사건 91.06(±16.27) 51.06(±46.47) 3.146**

내적반응 66.60(±45.44) 6.66(±25.81) 4.441***

시도 78.40(±26.49) 33.26(±39.34) 3.685**

결과 93.06(±15.43) 29.33(±35.37) 6.396***

반응 81.06(±24.31) 10.00(±28.03) 7.417***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

*p < 0.05. **p < 0.01. ***p < 0.001.

Page 29: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20 -

3.2.2. 이야기문법 범주별 사용률

각 군의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사용률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본 결과, 내

적반응 및 반응 범주를 제외하고 다른 범주에서는 각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내적반응은 정상군이 6.00(±4.91), 환자군이 0.80(±3.09)으로 환자

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사용률을 보였다, t(6.632) = 3.467, p = .002. 반

응은 정상군이 9.40(±2.64), 환자군이 4.53(±7.99)으로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유의

하게 낮은 사용률을 보였다, t(8.214) = 2.238, p = .039 (표 5).

표 5. 각 군간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사용률 비교

이야기문법

하위범주정상군 환자군 t

배경 24.73(±7.63) 34.66(±24.16) -1.518

계기사건 18.40(±5.40) 16.80(±14.68) 0.396

내적반응 6.00(±4.91) 0.80(± 3.09) 3.467**

시도 20.80(±4.09) 14.40(±12.14) 1.934

결과 18.86(±3.44) 28.53(±18.53) -1.986

반응 9.40(±2.64) 4.53(± 7.99) 2.238*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

*p < 0.05. **p < 0.01.

Page 30: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21 -

3.3. 완전한 에피소드 수

각 군의 완전한 에피소드 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본 결과, 정상군은

3.26(±0.70), 환자군은 0.80(±0.77)으로 환자군이 산출한 완전한 에피소드 수가 정

상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t(0.148) = 9.129, p < .001(표 6).

표 6. 각 군간 완전한 에피소드 수 비교

군 인원 완전한 에피소드 수 t

정상군 15 3.26(±0.70)9.129***

환자군 15 0.80(±0.77)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

*** p < 0.001.

Page 31: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22 -

제4장 고찰

환자군의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가 정상군보다 낮게 관찰된 것은 환자들이 이

야기에 있는 내용을 완전한 문장으로 이야기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는 대상자에 의하여 완전하게 산출된 이야기문법 하위범주

별 점수의 총합을 전체 이야기문법 수로 나뉜 값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환자군에

서 이야기문법 점수가 낮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들 수 있다. 첫째, 환자군은 중요

논항을 생략하거나, 주어와 서술어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둘

째, 정상군보다 이름대기 오류가 많았기 때문이다. 셋째, 조사 오류가 많아서 말

하고자 하는 내용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넷째, 이야기가 하나의

이야기로 응집성이 있으려면 결속표지를 잘 사용해야 하는데, 환자군은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사나 연결어미를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부적절하게 사용하

였기 때문이다. 다섯째, 환자군에 있어서 대명사, 대용어(예, 이거/그거, 얘, 사람

들) 등의 사용이 지나치게 많아서 그 뜻이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실어증 환자는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의 양이 정상군보다 적고, 대명사 및

접속사의 사용이 부적절하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26,27

위와 같은 결

과에서 볼 수 있듯이, 이야기 과제를 통한 이야기문법 분석은 환자의 발화특성을

잘 보여준다. 따라서 유창성 실어증 환자나 회복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발화특성

을 평가해보고자 할 때 이야기문법을 통한 이야기 분석이 유용한 평가도구로서

의의가 있다.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에서는 모든 범주에서 환자군의 점수가 정상군보

다 유의하게 낮았다. 점수의 순위를 살펴보면, 정상군은 배경-결과-계기사건-반

응-시도-내적반응 순이었고, 환자군은 배경-계기사건-시도-결과-반응-내적반응

순이었다. 즉, 환자군과 정상군 모두 공통적으로 배경 범주를 가장 정확하게 산출

하였고, 내적반응 범주를 정확하게 산출하지 못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특히 그림

설명과제에서 배경 정보가 많이 산출된다고 설명하였다.30배경은 등장인물, 장소,

시간에 대해 열거하는 것이다. 배경 정보는 그림에서 보여지는 명시적인(explicit)

Page 32: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23 -

정보를 열거하는 것으로 인지적, 언어적으로 표현하기가 쉽다. 즉, 인지적으로는

그림에서 보여지는 정보를 그대로 서술하면 되기 때문에 이야기를 의미적으로

구조화해야하는 인지적 과정을 거칠 필요가 적다. 그리고 언어적으로는 비교적

단순한 상태동사(예, -같다, -이다, -있다)를 사용해도 의미가 전달되므로 언어적

인 복잡성이 덜하다.38반면, 내적반응은 등장인물의 생각, 느낌,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등장인물들의

입장에서 보이지 않는 암시적인(implicit) 정보를 산출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정상

군과 환자군 모두에서 가장 낮게 산출되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환자군의 이야기

문법 하위범주별 점수의 표준편차가 하위범주마다 25점 이상씩 크게 차이가 난

다는 것은 환자마다 이야기 산출능력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을 고

려해볼 때 환자의 이야기 산출능력에 따라 치료를 위계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이야기 산출 능력이 낮은 환자에게는 배경 정보를 먼저 가르쳐야한다. 그리고

점차 이야기의 핵심이 되고 명시적인 정보를 담고 있는 계기사건, 시도, 결과 등

의 이야기범주를 가르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명시적인 정보를 말할 수 있을

정도의 이야기 능력이 갖춰지면 이야기의 핵심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이야기를

자연스럽고 짜임새 있게 만들어주는 내적반응과 반응 범주를 가르치는 것이 필

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사용률에서는 내적반응과 반응을 제외하고 정상군과

환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경도 및 중도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26,27

선행연구에서는 개요-배경-행위-해결-결과-종결의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를 사용하였는데, 환자군과 정상군 간의 사용률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환자군도 이야기문법에 관한 지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사용 순서를 살펴보면, 정상군과 환자군 모두 배경-

결과-계기사건-시도-반응-내적반응의 순이었다. 계기사건, 시도, 결과는 완전한

에피소드를 구성하는 범주이다. 환자군이 이러한 범주를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

없이 산출했다는 것은 유창성 실어증 환자군이 이야기 구조의 중요한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이야기 산출시 필요한 정보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 세 가지 범주를 묶어 완전한 에피소드 수를 살펴본 결과, 환

Page 33: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24 -

자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적은 완전한 에피소드 수를 산출하였다. 환자군이

계기사건, 시도, 결과의 사용률에서 정상군과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에피소드 수에서 차이가 있었던 이유는 이야기문법 하위범주 사용률의 분포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즉, 정상군은 이 세 가지 범주를 고르게 사용하는데 반해

환자군은 결과 범주를 다른 범주에 비해 더 많이 사용하였다. 이는 그림 6컷 중

4컷이 결과 범주를 나타내는 그림이기 때문에 환자군이 결과 범주를 더 많이 사

용하였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환자군은 각각의 이야기 범주를 이해해서 사용할

수는 있으나, 정상군과 같이 그림에서 보이지 않는 정보를 유추해서 이야기를 응

집력 있게 구성하지는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는 이야기

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서로 유기적으로 맞물려 전개되어야 하나의 이야기가 완

성된다. 그러나 실어증 환자는 하위범주를 고르게 사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

야기의 전체 흐름이 중단되어 완전한 에피소드 수가 적게 산출되었다고 판단된

다.38

마지막으로, 완전한 에피소드 수에서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적은 완

전한 에피소드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16 선

행연구에서는 유창성 실어증 환자 1명을 대상으로 종단적 연구를 하여 회복에

따른 완전한 에피소드 수의 차이를 보았다. 포취의사소통능력검사(Porch Index

of Communicative Ability)에서 실어증 환자의 퍼센타일이 증가함에 따라 절의

수, 절 당 단어의 수와 같이 소형구조는 정상군과 비슷하게 산출할 수 있었으나,

대형구조는 정상군에 비해서 늦게까지 어려움을 보인다고 하였다.16여기에서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다시 회상하여 말하게 하였는데, 이야기 다시 말하기는 이해

과정과 회상능력이 큰 변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들 변인에 대한 통제가 요구

된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이들 변인에 대한 통제가 없었으므로 이야기 만들

기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만들기를 통한 완전한

에피소드 수를 보았으므로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이야기 능력에 대해 좀 더 타

당한 결과를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제한점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대상자에 있어서 유창성 실어증 환자만을 포함하였으므로 모든 실어

Page 34: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25 -

증 환자를 대표한다고 할 수 없다. 이에, 향후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야기문법 연구가 수행된다면 두 연구 간의 비교가 가능할 수 있다. 둘째, 이

야기 분석에서 소형구조와 대형구조는 밀접하게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구조를 비교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연

구에서 대형구조와 소형구조를 함께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age 35: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26 -

제5장 결론

본 연구에서는 흥부와 놀부 이야기를 그림 6컷을 보고 이야기 만들기를 통하

여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이야기문법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및 하위범주별 점수는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하위범주별 사용률에서는 내적반응과 반응 범주를 제외

하고 정상군과 환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유창성 실어증 환자군은

이야기의 핵심적인 이야기문법 지식은 가지고 있으나, 정상군과 같이 이야기를

의미적 및 언어적으로 정확하게 말하지는 못하였다. 즉, 환자군은 중요논항 생략,

조사 오류, 낱말 찾기 오류, 지나치게 많은 대용어의 사용이 많았기 때문에 이야

기의 내용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았다. 또한 계기사건, 시도, 결과 범주를 묶어

서 완전한 에피소드 수를 살펴본 결과,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적은 완전

한 에피소드가 산출되었다. 이는 환자군이 이러한 세 가지 범주를 사용할 수는

있으나, 이야기 흐름에 맞게 각각의 범주들을 고르게 사용하지 못하였기 때문이

다. 이처럼 실어증 환자가 이야기문법을 고르게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 이야기의

전체 흐름을 중단시켜 결과적으로 대형구조 산출을 어렵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흥부와 놀부’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서 나타난 유창성 실어증 환

자의 이야기문법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이야기 평가 도구로서의 유용성과 이야기

문법 특성의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임상 현장에서

유창성 실어증 환자나 회복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발화특성을 평가하거나 효과적

인 중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는 유창성 실어증

이외에도 비유창성 실어증을 대상으로 대형구조와 소형구조를 함께 비교하는 후

속 연구를 제언해본다.

Page 36: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27 -

참 고 문 헌

1) Wagenaar E, Snow C, Prins R. Spontaneous speech of aphasic patients: a

psycholinguistic analysis. Brain Lang 1975;2:281-303.

2) 이승환, 배소영, 심현섭 외. 의사소통장애개론. 서울: 하나의학사; 2001.

3) 이승진. 실어증 환자의 그림설명과 동화이야기 과제간 품사 산출의 양상 비교. 연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 김향희, 나덕렬. 파라다이스ㆍ한국판-웨스턴 실어증검사. 서울: 재단법인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2001.

5) Yorkston KM, Beukelman DR. An analysis of connected speech samples of aphasic

and normal speakers. J Speech Hear Disord 1980;45:27-36.

6) Nancy HE, Martin LA. Manual of aphasia therapy. Austin(Tx): Pro·ed; 1991.

7) Glosser G, Desser T. Patterns of discourse production among neurological patients

with fluent language disorders. Brain Lang 1990;40:67-88.

8) 임은주. 경중도에 따른 유창성 실어증환자의 정보전달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9) 윤지연. 유창한 실어증 환자의 이야기 결속표지 사용특징.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5.

10) Lemme ML, Hedberg NL, Bottenberg DE. Cohesion in narratives of aphasic adults.

In: Brookshire RH, editor. Clinical aphasiology. Minneapolis(MN): BRK; 1984.

p.154-79.

11) Brookshire RH, Nicholas LE. Story structure and retelling of narratives by aphasic

and non-brain-damaged adults. J Speech Hear Res 1987;30:44-9.

12) 양용선. 뇌손상자의 이야기 이해와 산출.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6.

13) 백경선. 우뇌 손상자의 이야기 산출에서 의미내용과 담화 구조화의 분석. 언어청각장

애연구 2004;9:72-101.

Page 37: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28 -

14) 주영희. 유아언어발달과 교육. 서울: 교문사; 2001.

15) 윤혜련. ‘다시말하기’를 통해 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이해 및 산출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6) Coelho CA, Liles BZ, Duffy RJ. Longitudinal assessment of narrative discourse

in a mildly aphasic adult. Clin Aph 1994;22:145-55.

17) Stein NL, Glenn CG. An analysis of story comprehens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Freedle R, editor. New directions in discourse processing.

Norwood(NJ): Ablex; 1979. p.465-78.

18) Merritt DD, Liles BZ. Story grammar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isorder: story generation, story retelling, and story comprehension. J Speech Hear

Res 1987;30:539-52.

19) Fitzerald J, Spiegel D. Enhancing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instruction in narrative structure. J Read Beh 1983;15:1-17.

20) 신수진. 초등저학년아동의 학년에 따른 이야기산출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7.

21) 박지혜, 이윤경.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 이야기 자발적 산출 및 회상 산출 능력 비교.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11:193-207.

22) 배소영, 이승환. 한국 아동의 이야기 산출 연구. 말-언어장애연구 1996;1:34-67.

23) 성시연. 설명하기 과제에 나타난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의 정보전달 능력과 접속표지

사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4) 이영미, 김향희. 대화와 그림설명과제를 통한 한국성인 발화의 비교 분석. 언어청각장

애연구 2001;6:40-52.

25) Mandler JM, Johnson NS. Remembrance of things parsed: story structure and

recall. Cogn Psychol 1977;9;111-51.

26) Ulatowaska HK, North AJ. Production of narrative and procedural discourse in

aphasia. Brain Lang 1981;13:345-71.

27) Ulatowaska HK, Stern RF, Doyel AW. Production of narrative discourse in

aphasia. Brain Lang 1983;19:317-34.

Page 38: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29 -

28) Ulatowaska HK, Allard L, Chapman SB. Narrative and procedural discourse in

aphasia. In: Joanette Y, editor. Discourse ability and brain damage: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New York(NY): Springer-Verlag; 1990. p.180-98.

29) Ulatowaska HK, Sadowska M. Some observations on aphasic texts. In: Longacre

RE, editor. Language in context: essays for Robert E. Longacre. Dallas(TX):

Academic Bookstore; 1992. p.51-66.

30) Chapman SB, Ulatowaska HK. Methodology for discourse management in the

treatment of Aphasia. Clin Commun Disord 1992;2:64-81.

31) 강연욱. K-MMSE(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2006;25:1-12.

32) 신예영, 윤혜영. 흥부와 놀부. 서울: 도서출판 새샘; 2001.

33) 김정완. 알쯔하이머성 치매환자의 발화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4) 이현정. 담화유형에 따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사용 특성: 대화와 설명

담화를 중심으로. 언어청각장애연구 2008;13:103-21.

35) 남기심, 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서울: 탑출판사; 1985.

36) 이익섭. 한국어 문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37) 김유정, 배소영. 학령전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정상언어발달아동의 이야기 능력. 한국

심리학회지 2004;17:41-58.

38) Ulatowska HK, Chapman SB. Discourse macrostructure in aphasia. In: Bloom RL,

Obler LK, editors. Discourse analysis and applications. Hillsdale(NJ): L. Erlbaum

Associates; 1994. p.29-46.

Page 39: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30 -

부록 1. 정상 성인 면담지3

면 담 지

1. 이름

2. 성별 남 / 여

3.생년월일 19 년 월 일 (만 세)

4. 병력

① 뇌손상으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을 받으신 적이

있습니까?예 / 아니오

② 정신적 질환을 앓은 적이 있습니까? 예 / 아니오

③ 말ㆍ언어장애로 진단받은 적이 있습니까? 예 / 아니오

④ 시각 혹은 청각적 장애로 진단받은 적이 있습니

까?예 / 아니오

5. 직업

6. 학력문맹 / 무학 / 초졸 / 중졸 / 고졸 / 대졸 / 전문대졸 /

대학원이상 ( ) / 기타 ( )

7. 손잡이 주로 사용하는 손은 오른손 / 왼손 / 양손

8.방언여부 표준어 / (경상 / 충청 / 전라 / 강원 / 제주) 방언

이상의 질문에 답하여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본 검사와 면담지의 내용

은 아래 연구자의 연구를 위한 것입니다. 피험자는 본 연구 참여 여부의 결정을

자발적으로 하며, 연구 참여를 거부하거나 연구 도중 언제라도 중도에 참여를

포기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피험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은 비밀로 보

장될 것이며, 검사와 면담지의 답변 내용은 연구 이외의 용도로 사용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석사과정 5학기 변주영

이승진(2009)에서 인용.

Page 40: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31 -

부록 2. K-MMSE 규준31

교육년수2

연령군10 1∼6 7∼9 10∼12 13이상 총계

15∼1928.86

(±1.00)

28.86

(±1.00)

20∼2428.67

(±1.14)

29.55

(±0.60)

29.28

(±0.89)

25∼3428.50

(±1.59)

29.41

(±0.70)

28.96

(±1.15)

35∼4427.69

(±1.97)

27.91

(±1.73)

29.04

(±1.11)

27.55

(±1.98)

45∼5426.55

(±2.11)

27.11

(±1.94)

27.44

(±1.44)

28.87

(±1.13)

27.41

(±1.86)

55∼6422.56

(±2.51)

26.82

(±1.38)

27.35

(±1.62)

27.65

(±1.55)

28.50

(±0.89)

26.58

(±1.59)

65∼7423.46

(±2.60)

27.14

(±2.08)

26.85

(±2.23)

27.43

(±1.21)

27.65

(±1.71)

26.42

(±1.97)

75이상21.79

(±3.40)

24.56

(±2.79)

27.57

(±2.57)

23.20

(±3.59)

총계22.60

(±2.84)

26.27

(±2.09)

27.22

(±2.12)

28.00

(±1.02)

28.83

(±1.02)

각 값은 평균 (±표준편차)

1단위는 ‘세’

2단위는 ‘년(年)’

Page 41: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32 -

부록 3. 흥부와 놀부 이야기33

Page 42: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33 -

Page 43: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34 -

부록 4. C-unit의 정의 및 구분원칙20,34

1. C-unit이란 종속절을 포함하는 주절을 말한다.

1-1. 주절이란 한 문장을 이루는 두 절 중에서 주(主)가 되는 절을 말한다.

1-2. 종속절이란 조건, 원인, 때 등을 나타내면서 주절을 꾸며 주는 절을 말한다.

2. 주절에는 주어가 명시되어 있어야 한다. 단, 앞의 C-unit과 일치하는 주어의

경우에는 생략이 가능하다.

예: 앞의 C-unit: 흥부가 그 흥부 부인하고 식구 자식을 많이 낳았어요.

뒤의 C-unit: 많이 낳는데 배가 너무너무 고파가지고

→뒤의 C-unit의 주어가 앞의 C-unit의 주어와 일치하므로 하나의

C-unit 으로 분석한다.

3. 한 문장을 이루는 두 절이 대등적(나열 및 대조)으로 연결되었을 경우 두 개

의 C-unit으로 구분한다.

3-1. 나열을 나타내는 대등연결어미 ‘-고, -며’로 연결된 경우

예: 놀부는 형이고 흥부는 동생이었어요.

→두 개의 C-unit으로 구분함.

3-2. 대조를 나타내는 대등연결어미 ‘-지만, -는데, -(으)나’로 연결된 경우

예: 형님 집에 와서 밥을 얻으러 왔는데 형수한테 면박만 당하고

→두 개의 C-unit으로 구분함.

단, 하나의 주어에 여러 개의 서술어가 나열 또는 대조로 연결될 경우에

는 하나의 C-unit으로 한다.

예: 놀부는 심술이 많고 부자였다.

→하나의 C-unit으로 분석한다.

4. 한 문장을 이루는 두 절이 대등적으로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한 개의 C-unit

으로 구분한다.

4-1. 종속적(원인, 양보, 의도 등)으로 연결된 문장은 한 개의 C-unit으로 본다.

예: 배고픈 흥부가 형수에게 쌀을 얻으러 갔다가 밥알이 묻은 주걱으로

뺨을 얻어맞는다.

Page 44: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35 -

4-2. 안은문장(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인용절)과 연결된 문장은 한 개의

C-unit으로 본다.

예: 제비 부부가 새끼들을 구해줘서 고맙다고 흥부네 가족에게 박씨를 떨

어뜨려줬습니다.

5. 종속절 연결어미라도 두 절이 종속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는 두 개의

C-unit으로 본다.

예: 그 까치를 보살펴줬는데 그 까치가 박씨를 하나 물어다줬어요.

→연결어미 ‘-는데’가 ‘인과’를 나타내므로 두 개의 C-unit으로 나눈다.

신수진(2007), 이현정(2008)에서 인용.

Page 45: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36 -

부록 5. 이야기문법의 하위 범주(Story grammar categories)15

범주 정의

배경

등장인물의 소개(예: 옛날에 흥부놀부가 살았다)

장소의 묘사(예: 큰 기와집에서 살고)

사회적, 물리적, 시간적 상황(예: 밤이 되가지고)

계기사건

목표 지향적 에피소드의 시작을 알리는 주인공의 행동이나 사건

(예: 흥부가 몽둥이로 내어쫒는다.)

사건에 대한 등장인물의 내적 지각

등장인물의 내적 상태를 변화시키는 사건

등장인물의 직접적 반응을 일으킴

내적반응

등장인물의 감정, 목표, 희망, 의도, 생각

(예: 기쁜 맘으로 받는거 같애)

이야기의 계기사건과 인과적으로 관련됨

다음의 계획을 이끄는 것

시도

상황을 해결하거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등장인물의 행동

(예: 박을 삶아서 먹으라고 틀었는데)

계기사건 또는 내적반응과 인과적으로 연결되거나, 이후에 나오는

결과와 인과적으로 연결됨.

결과

주인공의 목표 달성을 위해 도와주거나 방해함으로써 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 것(예: 형수가 밥주걱을 푸다가 형수 동생 흥부 얼굴

에다가 때렸어요 나가라고.)

목표 달성 또는 사건의 전환을 일으킬만한 주인공의 행동

반응

등장인물의 목표 달성 또는 실패에 대해 느끼는 감정, 생각, 또는 행

동(예: 흥부네 가족들이 너무 좋아서 서로 얼싸안고 춤을 추고 있습

니다.)

직접적인 결과와 인과적으로 연결됨

에피소드의 끝에 나타남.

윤혜련(2001)에서 인용.

Page 46: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37 -

1. 잘못된 시작, 반복된 내용, 이야기와 관련 없는 내용, 일반적인 설명이나 질문,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개인적인 의견, 끝마치지 않은 진술문 등의 C-unit

은 부적절한 C-unit으로 모든 분석에서 제외한다.

(예: 이건 고일라가 왔어→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예: 참 불쌍합니다→개인적인 의견)

2. 하나의 C-unit 내에서 습관적으로 반복하는 간투사, 반복되는 발화, 잘못 시작

한 발화는 분석 하지 않는다.

(예: (너무너무 불쌍해가.. 아니네?) 네 다쳤어요.)

3. 자발적으로 수정한 경우 이야기 정보에 더 가까운 쪽으로 분석한다.

4. 분석에 포함시킬 최종 C-unit에 대해 각각 번호를 매긴다.

5. 이야기문법 점수는 0,1점 체계로 산출된 이야기가 완전한 내용으로 산출한 경

우 1점, 불완전한 내용으로 산출한 경우 0점을 주었다. 완전한 내용이란 각 명

제에 부합하는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

6. 하나의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C-unit을 사용했을 경우, 1개의

이야기문법으로 채점한다.

(예: 첫 번째 C-unit: 흥부는 너무너무 가난했어요.

두 번째 C-unit: 먹을 것도 없고)

7. 만일 하나의 C-unit에 2가지 이상의 이야기문법이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다면

이야기문법에 대한 각각의 점수를 준다.

(예: 배고픈 흥부가 형수에게 쌀을 얻으러 갔다가 밥알이 묻은 주걱으로 뺨을

얻어맞는다 → 시도, 결과)

8. 앞의 C-unit과 주어가 다른 경우 주어를 명백히 표현했을 경우에만 1점을 준

다. 만일 앞의 C-unit과 주어가 동일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주어를 생략한

C-unit은 0점을 준다.

*9. 문법 형태소 및 구문 오류가 있어서 이야기의 내용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이야기문법 점수를 부여하지 않는다.

(예: 동생에게 놀부는 도와주지 못했습니다.)

부록 6. 이야기문법 분석 절차 및 점수에 대한 기준22,37

Page 47: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38 -

*10. 낱말 찾기 오류가 있을 경우 이야기문법 점수를 부여하지 않는다.

(예: 놀부는 가난했고 흥부는 부자였어요.)

*11. 중요논항(주어, 목적어, 보어)의 생략이 있어서 의미가 불확실 할 경우 이

야기문법 점수를 부여하지 않는다.

배소영(1996), 김유정(2004)에서 부분 인용.

*연구자가 추가한 내용.

Page 48: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39 -

부록 7. 이야기문법 scoring의 예

No 발화이야기

문법점수

1(그 놀부 부인 그러니까) 흥부 형수가 밥주걱을 푸다가 형수 동

생 흥부 얼굴에게다 때렸어요.결과 1

2 그래가지고 돌아왔는데 (주어: 흥부가) 배경 0

3흥부네 집에 그 (천장에 천장이 아니고 어 그그 저 뭐냐 사는)

처마끝에 까치들이 집을 짓고 살았는데배경 1

4 뱀이 그 까치를 건드려가지고 까치가 다쳤어요.계기

사건1

Page 49: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40 -

ABSTRACT

Characteristics of Story Grammar

in Fluent Aphasic Patients

Byun, Joo Young

The Graduate Program in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

Yonsei University

Evaluating storytelling skills may provide information to assess if a person

possesses linguistic knowledge in addition to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abilities. Among all the methods that are used for assessing storytelling, story

grammar includes six sets of rules that are commonly found in all stories. The

adequate use of these six categories of story grammar during story telling can

reflect the ability of aphasic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ory grammar of fluent aphasic patients through storytelling of a

Korean folk tale, ‘Heung-bu and Nol-bu'.

The subjects included 15 fluent aphasic patients with left-hemispheric

stroke and 15 normal adults. The total scores of story grammar, the

percentage of usage and the scores within the subcategories of story

grammar, and the total number of episodes were compared between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phasic groups had lower scores in terms of the total scores of

story grammar. The aphasic group omitted the principal argument and they

Page 50: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41 -

couldn't match the subject word with the predicate of a sentence. In addition,

the main points of the contents were not delivered effectively due to word

retrieval errors and inappropriate use of cohesions. These results clear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speech in fluent aphasic patients.

Second, within the subcategories of story grammar, the aphasic group

received a relatively lower score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On comparing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both groups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he

background subcategory, while they both received the lowest score in the inner

response subcategory. In other words, both groups found it easier to explain

the background information, but they had more difficultly to provide their

personal responses and reactions.

Third, regarding the usage within the subcategories of story grammar, the

two study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all the

subcategories except for the inner response and response. This implies that the

aphasic group also acknowledges and clearly distinguishes between the core

subcategories of the story grammar. However, they may have difficulty

explaining inner responses and responses, since these subcategories do not

provide the main information of the story, but rather, they only supplement the

story.

Last of all, the normal group produced a significantly greater numbers of

complete episodes as compared to the aphasic group. Although the two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age of the three subcategories of

events, attempts, and conclusions, the total number of episodes that included

the three subcategor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is occurred because the aphasic group did not evenly include the three

subcategories in their storytelling. To develop a complete story, all the

subcategories of story grammar should interact with one another. However, the

aphasic group had difficulty in this aspect, which may have blocked the flow

Page 51: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 Yonsei University€¦ ·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지도 김 향 희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 42 -

of the story and made it challenging to produce a complete episod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tory grammar and its utility as an assessment tool for stories, according to

the story grammar, in fluent aphasic patients. Therefore, this study ma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or assessment in the clinical field, for the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speech in fluent aphasic patients or in those patients who are

recovering from aphasia. We expect that continuous research on this will be

done in the future, not only with fluent aphasic patients, but with those

patients who are non-fluent aphasic as well. We also look forward to

comparing the macrostructure and the microstructure within these population

groups.

Key words : fluent aphasia, spontaneous speech, story, discourse,

macrostructure, story grammar, number of complete episode


Recommended